KR100461063B1 -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1063B1
KR100461063B1 KR10-2002-0069729A KR20020069729A KR100461063B1 KR 100461063 B1 KR100461063 B1 KR 100461063B1 KR 20020069729 A KR20020069729 A KR 20020069729A KR 100461063 B1 KR100461063 B1 KR 100461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ecu
spring
doo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9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1375A (ko
Inventor
이병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9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063B1/ko
Publication of KR20040041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1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0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8Air-extractors, air-evacuation from the vehicle interior
    • B60H1/249Air-extractors, air-evacuation from the vehicle interior using one-wa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또는 트렁크 리드를 닫을 때 상승되는 압력에 의해서 그릴을 개방시켜 도어 및 트렁크 리드의 개폐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도어를 개폐시킴에 따라서 변화되는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수단; 상기 압력감지수단의 감지신호에 따라서 ECU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의해서 작동되는 작동수단; 상기 작동수단에 이해서 이동되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수단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Pressure control apparatus for the inside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도어 또는 트렁크 리드를 닫을 때 상승되는 압력에 의해서 그릴을 개방시켜 도어 및 트렁크 리드의 개폐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된 도어를 닫을 경우에는 실내의 압력이 상승되어 도어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트렁크를 개폐시키는 트렁크리드를 닫을 경우에도 트렁크 내부의 압력이 상승되어 트렁크리드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실내 또는 트렁크 내부의 압력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릴을 설치하고 있다.
도 1은 압력 조절장치가 설치된 트렁크리드를 나타낸 것으로서,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전면에 공기가 통입되는 그릴(1)이 설치되어 있되, 그 그릴(1)의 내부에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밸브(도면 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트렁크리드(2)를 닫을 경우에 트렁크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밸브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트렁크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를 최소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압력 조절장치는 공기가 배출되는 단면적의 크기가 작고 1면만 개방되므로 공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단면적의 크기를 증가시키면 공기는 원활하게 배출되지만 외부의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어 쾌적한 실내를 유지할 수 없게 되었으며 차량 구조상 단면적의 크기를 증가시키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상기 밸브가 닫힐 때 및 주행 중에는 밸브에서 소음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동차 실내 또는 트렁크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상승될 경우에 내부의 그릴을 개방시켜 내부의 공기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압력 조절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조절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1 : 작동판
12 : 제1스프링 13 : 압력센서
14 : ECU 20 : 솔레노이드 밸브
21 : 탱크 23 : 엑츄에이터
24 : 턴버클 25 : 작동로드
26 : 이동부재 26a : 경사면
27 : 가이드 29 : 제2스프링
30 : 승강바 31 : 안내롤
32 : 승강부재 33 : 제3스프링
34 : 안내관 35 : 개폐판
36 : 그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는 도어를 개폐시킴에 따라서 변화되는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수단; 상기 압력감지수단의 감지신호에 따라서 ECU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의해서 작동되는 작동수단; 상기 작동수단에 이해서 이동되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수단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조절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도어를 개폐시킴에 따라서 변화되는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수단과, 상기 압력감지수단의 감지신호에 따라서 ECU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이해서 작동되는 작동수단과, 상기 작동수단에 이해서 이동되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압력감지수단은 실내의 압력이 상승됨에 따라서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이동되도록 작동판(11)이 설치되어 있고, 그 작동판(11)은 제1스프링(12)을 매개로 탄력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작동판(11)의 이동을 감지하는 압력센서(1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압력센서(13)는 ECU(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ECU(14)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작동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20)가 ECU(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0)는 에어가 저장된 탱크(21)와 호스(22)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0)의 타측에는 호스(22)를 매개로 엑츄에이터(23)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엑츄에이터(23)에는 턴버클(24)을 매개로 작동로드(25)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작동로드(25)의 단부에는 이동부재(26)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26)는 제2스프링(29)으로 탄력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재(26)의 상부면에는 가이드레일(28)을 따라서 이동되는 가이드(27)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면에는 소정의 경사각이 유지되는 경사면(26a)이 되어 있다.
상기 배기수단은 이동부재(26)의 하부면에 형성된 경사면(26a)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는 안내롤(31)이 설치되어 있되, 그 안내롤(31)은 승강바(30)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승강바(30)의 타측에는 승강부재(32)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32)는 안내관(34)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고, 안내관(34)의 내부에는 승강부재(32)를 탄력 설치하기 위한 제3스프링(33)이 내장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안내관(34)의 저면에는 그릴(36)이 부착되어 있고, 그 그릴(36)의 내부에는 승강부재(32)와 함께 상승/하강되도록 그 승강부재(32)에 연결된 개폐판(35)이 내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내의 압력이 대기압과 동일할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판(11)은 제1스프링(12)의 탄성력에 의해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 또는 트렁크 리드를 닫을 경우에는 실내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이때 상승되는 압력이 소정압력(대기압 보다 20%상승)이상으로 상승되면, 작동판(11)은 제1스프링(12)을 압축하면서 하우징(10)의 내부를 따라서 이동되므로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된 압력센서(13)에 의해서 감지된다.
상기 압력센서(13)에서 작동판(11)의 이동을 감지하면 ECU(14)로 신호가 전송되고 그 신호를 전송받은 ECU(14)에서는 솔레노이드 밸브(20)로 작동신호를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ECU(14)로부터 작동신호를 전송받은 솔레노이드 밸브(20)가 작동되면 탱크(21)에 저장되어 있던 에어는 호스(22)를 통하여 엑츄에이터(23)로 공급되므로 상기 엑츄에이터(23)가 작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엑츄에이터(23)가 작동되면 턴버클(24)을 매개로 설치된 작동로드(25) 및 그 작동로드(25)에 연결된 이동부재(26)는 제2스프링(29)을 인장시키면서 이동되는 것이며, 이때 이동부재(26)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27)는 가이드레일(28)에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동부재(26)의 저면에 형성된 경사면(26a)이 함께 이동되므로 그 경사면(26a)에 접촉되어 있던 안내롤(31)과 그 안내롤(31)이 설치된 승강바(30) 및 승강부재(32)는 제3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승강부재(32)가 상승하게 되면, 그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판(35)이 함께 상승하게 되므로 개폐판(35)에 의해서 차단되어 있던 그릴(36)이 개방되므로 실내의 공기는 그릴(36)을 통하여 배출되면서 실내의 압력을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가 배출되어 실내의 압력이 감소되면 작동판(11)은 제1스프링(12)의 복원력에 의해서 이동되어 초기상태로 복원되는 것이며, 이때 엑츄에이터(23)로 공급되는 에어는 차단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동되어 있던 이동부재(26)는 제2스프링(29)의 복원력에 의해서 초기상태로 이동되며 상기 이동부재(26)가 이동될 때 그 하부의 경사면에 접촉되어 있던 안내롤(31)은 경사면(26a)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상기 안내롤(31)과 승강바(30) 및 승강부재(32)는 제3스프링(33)을 압축하면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부재(32)가 하강하게 되면 그 하부에 설치된 개폐판(35)이 함께 하강되어 그릴(36)을 차단하게 되므로 외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 또는 트렁크 내부의 압력이 상승됨을 감지하여 그 압력이 소정압력 이상일 경우에는 엑츄에이터가 작동되어 그릴을 개방시키게 되므로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도어 또는 트렁크 리드의 개폐동작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엑츄에이터 및 스프링에 의해서 그릴이 개폐되므로 동작소음 및 자동차가 운행 중 발생하는 진동을 미연에 방지하여 자동차의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도어를 개폐시킴에 따라서 변화되는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수단; 상기 압력감지수단의 감지신호에 따라서 ECU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이해서 작동되는 작동수단; 상기 작동수단에 의해서 이동되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수단은 실내의 압력이 상승됨에 따라서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이동되도록 제1스프링(12)으로 탄력 설치된 작동판(11)과, 상기 작동판(11)이 이동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ECU(14)로 전송하는 압력센서(13)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ECU(14)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탱크(21)에 저장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20)와, 상기 탱크(21)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서 작동되는 엑츄에이터(23)와, 상기 엑츄에이터(23)에 턴버클(24)을 매개로 연결된 작동로드(25)와, 상기 작동로드(25)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부면에는 가이드(27)가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경사면(26a)이 형성되며 제2스프링(29)으로 탄력 설치된 이동부재(26)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수단은 상기 이동부재(26)의 경사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는 안내롤(31)과, 상기 안내롤(31)을 지지하며 타측에는 승강부재(32)가 연결된 승강바(30)와, 상기 승강부재(32)가 수용되며 내부에는 제3스프링(33)이 탄력 설치된 안내관(34)과, 상기 안내관(34)의 저면에 부착된 그릴(36)과, 상기 승강부재(32)에 연결되어 그릴(36)을 개폐시키는 개폐판(35)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
KR10-2002-0069729A 2002-11-11 2002-11-11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 KR100461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729A KR100461063B1 (ko) 2002-11-11 2002-11-11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729A KR100461063B1 (ko) 2002-11-11 2002-11-11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375A KR20040041375A (ko) 2004-05-17
KR100461063B1 true KR100461063B1 (ko) 2004-12-14

Family

ID=37338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729A KR100461063B1 (ko) 2002-11-11 2002-11-11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0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5176A2 (en) * 2009-03-13 2010-09-16 Trw Automotive U.S. Llc Vehicle vent valve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066B1 (ko) * 2002-11-15 2004-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
KR100778944B1 (ko) * 2007-04-25 2007-11-22 이은복 금융거래방법과 금융거래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704A (ko) * 1995-07-20 1997-02-19 전성원 차량의 실내 공기압 해소장치
KR970005703A (ko) * 1995-07-20 1997-02-19 전성원 차량의 실내 공기압 해소장치
KR970034514A (ko) * 1995-12-30 1997-07-22 전성원 소형트럭의 실내 공기압해소장치
KR19990029223U (ko) * 1997-12-29 1999-07-15 정몽규 차량 도어의 크로징 에포트 감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704A (ko) * 1995-07-20 1997-02-19 전성원 차량의 실내 공기압 해소장치
KR970005703A (ko) * 1995-07-20 1997-02-19 전성원 차량의 실내 공기압 해소장치
KR970034514A (ko) * 1995-12-30 1997-07-22 전성원 소형트럭의 실내 공기압해소장치
KR19990029223U (ko) * 1997-12-29 1999-07-15 정몽규 차량 도어의 크로징 에포트 감소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5176A2 (en) * 2009-03-13 2010-09-16 Trw Automotive U.S. Llc Vehicle vent valve assembly
WO2010105176A3 (en) * 2009-03-13 2011-01-13 Trw Automotive U.S. Llc Vehicle vent valve assembly
US9410629B2 (en) 2009-03-13 2016-08-09 Illinois Tool Works, Inc. Vehicle vent valv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375A (ko) 2004-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5939B2 (ja) 角度センサを利用したテールゲート開閉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US20080108290A1 (en) Fume hood
US8898956B2 (en) Sliding door device for vehicle with pressure sensing unit and sealing unit
US5211513A (en) Apparatus for selectively supporting and releasing a carrier in a pneumatic tube transportation system
KR100461063B1 (ko)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
JP2001163054A (ja) 車両のフロントドア移動構造及び車両のドアガラス下降構造
KR102014043B1 (ko) 화물용 금속박스
KR20050037697A (ko) 차량 슬라이딩 도어의 윈도우 글래스 인터 로크
KR100461066B1 (ko)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
JP6733441B2 (ja) スイングドア制御装置
KR20230073834A (ko) 압력 가변형 웨더스트립 어셈블리
KR100897326B1 (ko) 차량용 도어 글래스 실링장치
KR100791057B1 (ko) 자동 개폐 장치 및 그 개폐 방법
KR20050113023A (ko) 자동차용 실내 기압 조절장치
KR100410855B1 (ko) 자동차의 도어 닫힘에 대응한 실내압력 배출장치
CN112334619B (zh) 作业车辆的驾驶室
KR100251315B1 (ko) 트렁크 커버 락 돌출 방지 장치
KR100761057B1 (ko) 도어개폐장치
JP2001254524A (ja) 落下防止装置
KR100341909B1 (ko) 자동차의 도어 개폐력 향상장치
KR100962878B1 (ko) 차량의 리프터
JPH07317428A (ja) 扉開閉装置
KR200202996Y1 (ko) 차량의 도어유동방지장치
JP2650207B2 (ja) プラグドア装置
KR100354077B1 (ko) 자동차용 가스 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