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2878B1 - 차량의 리프터 - Google Patents

차량의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2878B1
KR100962878B1 KR1020080118313A KR20080118313A KR100962878B1 KR 100962878 B1 KR100962878 B1 KR 100962878B1 KR 1020080118313 A KR1020080118313 A KR 1020080118313A KR 20080118313 A KR20080118313 A KR 20080118313A KR 100962878 B1 KR100962878 B1 KR 100962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il gate
moving panel
lifter
electromagnet
reaction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9514A (ko
Inventor
강준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8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878B1/ko
Publication of KR20100059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6/00Magnetic springs; Fluid magnetic springs, i.e. magnetic spring combined with a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이 차체에 고정되는 실린더와; 일단이 이동 판넬에 고정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타단에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이동 판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자석으로 구성되는 피스톤부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마련되며, 전원부에 연결되어 전자기력을 제공하는 전자석부와; 상기 이동 판넬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와; 상기 위치 센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석부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종래의 유체의 힘을 전자기력으로 대체하여 반력을 제어함으로써, 온도 변화에 따라 반력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동 판넬이 폐쇄된 상태에서 차체 및 이동 판넬에 반력이 가해지지 않아 이동 판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리프터{LIFTER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반력을 형성하는 차량의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리프터는 가스압을 이용하여 큰 힘을 필요로 하는 곳에 개폐기구로서 사용되는데, 차량의 경우 테일 게이트(또는, 엔진 후드, 트렁크 리드 등)에 장착하여 테일 게이트를 개폐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테일 게이트는 일반 도어에 비하여 크고 무겁기 때문에 작은 힘으로도 간편하게 열고 닫을 수 있어야 함은 물론, 테일 게이트를 완전히 개방시킨 상태에서 테일 게이트의 개방 상태를 어느 정도 지속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가스 리프터(101)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03)에 고정되며 내부에 가스가 충진되어 있는 실린더(110)와, 테일 게이트(105)에 고정되어 테일 게이트(105)의 개폐에 따라 실린더(110)를 따라 직선 이동하는 피스톤부(120)로 구성되어 있다.
실린더(110)의 내부에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피스톤부(120)의 피스톤(122)에 의해 구획되는 제1 챔버(110a) 및 제2 챔버(110b)가 형성 되어 있다.
피스톤부(120)는 일단이 테일 게이트(105)에 고정되는 로드(121)와, 로드(121)의 타다에 마련되어 테일 게이트(105)의 개폐에 따라 실린더(110)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피스톤(122)으로 구성된다.
이 때, 제1 챔버(110a) 및 제2 챔버(110b)에 충진된 가스는 파스칼 원리에 의해 압력이 같으나, 제2 챔버(110b)의 경우 로드(121)가 차지하는 면적만큼 제1 챔버(110a)에 비해 압력이 작용하는 면적이 작으므로 반력(F')이 형성된다. 이에, 가스 리프터(101)의 반력의 크기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결정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가스 리프터(101)에 있어서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항상 반력이 형성되므로, 테일 게이트(105)가 폐쇄된 상태에서도 가스에 의한 반력이 항상 테일 게이트(105) 및 차체(103)에 가해져 테일 게이트(105)가 처져 단차가 불균일하게 발생하고, 테일 게이트(105)가 변형되어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가스 리프터(101)의 경우에는 가스압에 의해 작동되기 때문에 유체 이동에 따른 작동 소음이 발생하고, 유체의 누기를 막기 위한 씰링 장치가 필요했으며, 가스가 온도에 따라 변화되어 반력이 온도에 따라 변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차량이 평지에 있을 때 테일 게이트(105)의 회전 각도에 대한 테일 게이트(105)의 무게에 의한 모멘트 및 리프터(101)의 반력에 의한 모멘트의 그래프는 도 2의 (a)와 같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 게이트(105)의 작동 시스템은 테일 게이트(105)의 무게에 의한 모멘트가 리프터(101)의 반력에 의한 모멘트보다 큰 구간(A), 사점, 리프트(101)의 반력에 의한 모멘트가 테일 게이트(105)의 무게에 의한 모멘트보다 큰 구간(B)으로 구분되어진다.
이에, 테일 게이트(105)를 개방할 때에는 A 구간에서 사용자의 작동력을 필요로 하고, 사점을 지나면서 리프터(101)의 반력에 의한 모멘트가 더 커지면서 자력으로 상승하게 된다.
한편, 테일 게이트(105)를 폐쇄할 때에는 B 구간에서 사용자의 작동력을 필요로 하고, 사점을 지나면서 테일 게이트(105)의 무게에 의한 모멘트가 더 커져 자력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가스 리프터(101)의 경우에 있어서는, 테일 게이트(105)를 개폐할 때 사용자의 작동력이 필요하여 사용자의 힘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차량이 평지가 아닌 후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로에 있는 경우에는 도 2의 (b)의 Q 그래프와 같은데, 이러한 경우에는 테일 게이트(105)의 무게에 의한 모멘트가 일반 상태(차량이 평지에 있는 경우)보다 더 커지게 되므로, 경사로를 대비하여 필요한 반력보다 더 큰 반력의 가스 리프터(101)를 사용해야만 했었다.
그런데, 경사로를 대비하기 위해 반력이 큰 가스 리프터(101)를 사용하게 되면, 일반 상태에서는 테일 게이트(105)의 폐력이 커져 사용자가 더 큰 작동력을 가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유체의 힘을 전자기력으로 대체하여 반력을 제어함으로써, 온도 변화에 따라 반력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동 판넬이 폐쇄된 상태에서 차체 및 이동 판넬에 반력이 가해지지 않아 이동 판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리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작동력이 거의 필요하지 않아 사용자가 손쉽게 이동 판넬을 개폐할 수 있는 차량의 리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차량의 리프터에 따라, 일단이 차체에 고정되는 실린더와; 일단이 이동 판넬에 고정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타단에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이동 판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자석으로 구성되는 피스톤부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마련되며, 전원부에 연결되어 전자기력을 제공하는 전자석부와; 상기 이동 판넬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와; 상기 위치 센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석부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실린더의 각도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 판넬이 폐쇄된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석부로의 전류를 차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이동 판넬이 소정 각도까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리프 터의 반력에 의한 모멘트가 상기 이동 판넬의 무게에 의한 모멘트보다 크도록 전류량을 상기 전자석부에 공급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이동 판넬이 소정 각도를 초과하면서 완전 개방되는 동안, 상기 제어부는 리프터의 반력에 의한 모멘트가 상기 이동 판넬의 무게에 의한 모멘트보다 작도록 전류량을 상기 전자석부에 공급하는 것이 좋다.
상기 이동 판넬이 완전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리프터의 반력에 의한 모멘트가 상기 이동 판넬의 무게에 의한 모멘트와 같도록 전류량을 상기 전자석부에 공급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위치 센서는 차량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센서에서 감지된 차량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전자석부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 판넬이 개방 또는 폐쇄되는 동안 상기 위치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이동 판넬의 위치가 일정시간 이상 변화가 없거나 진행하는 반대 방향으로 위치가 변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판넬이 진행하는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압을 이용하지 않고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반력을 형성하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따라 반력이 변화되지 않아 반력의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테일 게이트가 폐쇄된 상태에서 차체 및 테일 게이트에 반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테일 게이트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리프터가 제공된다.
또한, 테일 게이트를 개폐할 때 테일 게이트의 위치에 따라 반력이 제어됨으로써, 사용자의 힘이 많이 소요되지 않아 사용자가 손쉽게 작동할 수 있는 차량의 리프터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리프터의 전자석부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리프터(1)는 전자기력에 의한 반력을 이용하여 이동 판넬(5, 도 5 참조)을 리프팅 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이 때 이동 판넬(5)은 후드, 트렁크 리드, 테일 게이트 등이 될 수 있는데, 이하 이동 판넬(5)을 테일 게이트라 칭하기로 하겠다.
본 발명의 리프터(1)는 일단(11)이 차체에 고정되는 실린더(10)와, 일단(31)이 테일 게이트(5)에 고정되는 로드(30) 및 로드(30)와 일체로 마련되어 실린더(10)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자석(40)으로 구성된 피스톤부(20)와, 실린더(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전원부(80)에 연결되어 전자기력을 제공하는 전자석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자석(40)은 N극과 S극으로 나뉘며, 이 때 자석(40)은 전자석부(50)에서 형성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영향을 받아 실린더(10)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즉, 피스톤부(20)는 도 3과 같이 전자석부(50)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은 경우에는 정지해 있다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부(50)에 전류가 공급되면 자석(40)의 N극에 가까운 부분에 N극이 형성되어 척력이 작용함으로써 F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테일 게이트(5)가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석부(50)에 인가되는 전류량은 위치 센서(60)의 신호에 따라 전원부(80)를 제어하는 제어부(70)에 의해 가능하다.
전자석부(50)는 철심(52)과, 철심(52)의 주위에 감겨져 전원부(80)에 연결되어 전류를 제공받는 코일(51)로 구성된다. 이에, 코일(51)에 전류가 인가되면 철심(52)에는 자기장이 형성되어 전자기력이 발생하게 된다.
위치 센서(60)는 테일 게이트(5)의 위치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70)에 송출하는데, 여기서 위치 센서(60)는 실린더(10)의 각도를 감지함으로써 테일 게이트(5)의 위치가 감지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위치 센서(60)의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부(80)를 제어하여 전자석부(50)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변화시키게 된다.
즉, 제어부(70)는 위치 센서(60)의 신호에 의해 테일 게이트(5)가 폐쇄된 위치에 있다고 판단되면, 전자석부(50)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도록 전원부(80)를 제어한다. 이에, 테일 게이트(5)가 폐쇄된 경우 전자기력이 발생하지 않아 반력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차체 및 테일 게이트(5)로 반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테일 게이트(5)가 처져서 단차가 불균일하게 발생하는 일이 없을 뿐만 아니라, 테일 게이트(5)의 외형이 변형되는 일이 없으므로 품질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이 점이 있다.
한편, 사용자가 아웃사이드 핸들을 작동시켜 래치와 스트라이커가 풀리면 테일 게이트(5)의 각도에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위치 센서(60)가 감지하여 제어부(70)에 신호를 송출하면 제어부(70)는 코일(51)에 전류를 공급하고 이에 의해 철심(52)에 전자기장이 형성되어 자석(40)과 척력이 발생하게 되어 피스톤이 테일 게이트(5)의 개방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 제어부(70)는 테일 게이트(5)가 개방되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완전히 개방되는 시점까지 3 구간으로 나누어 전자석부(50)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하게 된다.
[1 구간]
먼저, 테일 게이트(5)가 최초로 개방되어 소정 각도까지 개방된 위치에 있는 경우로서,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겠다. 이 때, 소정 각도는 댐핑이 시작되기 전의 각도인데 이 각도는 차량 조건에 맞게 설정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테일 게이트(5)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전자석부(50)에 전자기장이 발생하지 않아 반력이 형성되지 않으나, 도 4와 같이 테일 게이트(5)가 최초로 개방되기 시작하면 위치 센서(60)는 테일 게이트(5)의 각도 변화를 감지하여 제어부(70)에 송출하고, 이에 제어부(70)는 코일(51)에 전류를 공급한다. 그 결과, 철심(52)에 전자기장이 형성되어 자석(40)의 N극에 가까운 곳에 N극이 형성됨으로써 자석(40)을 F 방향으로 밀게 됨으로써 테일 게이트(5)가 서서히 더 개방될 수 있다.
이 구간에서 제어부(70)는 리프터(1)의 반력에 의한 모멘트(Mf)가 테일 게이트(5)의 무게에 의한 모멘트(Mw)보다 클 정도의 전류량을 전자석부(50)에 공급하여 리프터(1)의 반력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리프터(1)의 반력에 의한 모멘트(Mf)는 도 5의 (a)의 도면에 따라 아래 1)과 같은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Mf = F x a x sin(θo - θf) x 2 (리프터의 개수) --- 1)
이 때, F는 리프터의 반력이고, a는 힌지 포인트와 리프터 마운팅 포인트 간의 거리이며, θo는 힌지 포인트 대비 리프터 마운팅 포인트의 위치 각도로서 고정값이고, θf는 리프터의 절대위치 각도로서 테일 게이트의 오픈각 θ에 의한 함수이다.
한편, 테일 게이트(5)의 무게에 의한 모멘트(Mw)는 도 5의 (b)의 도면에 따라 아래 2)와 같은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Mw = W x b x cos(θw) --- 2)
이 때, W는 테일 게이트의 무게이고, b는 힌지 포인트와 무게중 중심 간의 거리이며, θw는 테일 게이트의 절대위치 각도로서 테일 게이트의 오픈각 θ에 의한 함수이다.
이와 같이, 테일 게이트(5)의 개방 각도에 따라 테일 게이트(5)의 무게에 의한 모멘트(Mw)는 변하게 되는데, 테일 게이트(5)가 개방되기 위해서는 Mf > Mw 이면 된다.
즉, F x a x sin(θo - θf) x 2 > W x b x cos(θw) 이므로, 제어부(70)는 아래 3) 식을 만족하도록 리프터(1)의 반력을 연속적으로 제어하여 테일 게이트(5)를 개방한다.
F > (Wb/2a) x {cos(θw)/sin(θo - θf)} --- 3)
이 때, ∑M = Mf - Mw 의 값에 따라 테일 게이트(5)의 개방 속도가 달라지는데, 사용자(설계자)는 Mf - Mw 값을 얼마로 할지를 결정해서 제어부(70)에 설정해야 할 것이다.
[2 구간]
상기 원리에 의해 테일 게이트(5)가 댐핑이 시작되기 전까지 개방된 후에는 제어부(70)는 댐핑이 시작되는 각도부터 완전 개방되기 전 위치까지 테일 게이트(5)의 개방 속도를 점진적으로 줄임으로써, 완전 개방되는 시점에 테일 게이트(5)의 각속도가 0이 되도록 전자석부(50)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한다.
즉, F x a x sin(θo - θf) x 2 < W x b x cos(θw) 이므로, 제어부(70)는 아래 4) 식을 만족하도록 리프터(1)의 반력을 연속적으로 제어하여 테일 게이트(5)를 개방한다.
F < (Wb/2a) x {cos(θw)/sin(θo - θf)} --- 4)
이 구간에서, 리프터(1)의 반력에 의한 모멘트(Mf)는 테일 게이트(5)의 무게에 의한 모멘트(Mw)보다 작으나, [1 구간] 동안 테일 게이트(5)가 열리던 관성에 의해 테일 게이트(5)가 열리면서 개방 속도가 감소되도록 제어된다.
[3 구간]
마지막으로, 제어부(70)는 위치 센서(60)에 의해 테일 게이트(5)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 개방된 위치에 있다고 판단되면, 리프터(1)의 반력에 의한 모멘트(Mf)가 테일 게이트(5)의 무게에 의한 모멘트(Mw)와 같도록 리프터(1)의 반력을 제어하여 테일 게이트(5)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F x a x sin(θo - θf) x 2 = W x b x cos(θw) 이므로, 제어부(70)는 아래 5) 식이 만족하도록 리프트의 반력을 제어한다.
F = {W x b x cos(θw)} / {2 x a x sin(θo - θf)} --- 5)
상기 과정은 테일 게이트(5)가 최초로 열리는 시점부터 완전히 개방되는 시점까지의 과정을 서술한 것인데, 테일 게이트(5)가 완전히 개방된 시점부터 폐쇄되는 시점까지의 과정은 상기 개방 과정과 반대로 리프트의 반력을 제어하면 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겠다.
한편, 본 발명은 차량이 평지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경사로에 위치해 있는 경우를 대비하여 리프트의 반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위치 센서(60)는 차량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제어부(70)에 차량의 기울기어진 정도를 제어부(70)에 송출한다. 이에, 차량이 특히 후방으로 기울어진 경우 테일 게이트(5)의 무게에 의한 모멘트(Mw)가 평지에 있는 경우에 비해 커지게 되므로, 제어부(70)는 전자석부(50)에 공급하는 전류량을 많이 인가하여 리프터(1)의 반력을 크게 제어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차량이 경사로에 있더라도 사용자가 큰 힘을 소요하지 않고 손쉽게 테일 게이트(5)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작동성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테일 게이트(5)를 개폐할 때 테일 게이트(5)에 저항(사용자가 테일 게이트(5)에 부딪히는 경우나, 물체가 테일 게이트(5)에 끼이는 경우 등)이 가해지는 경우, 테일 게이트(5)가 안전하게 작동되도록 구성된 점에서 특징이 있다.
즉, 테일 게이트(5)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동안 위치 센서(60)에서 감지된 테일 게이트(5)의 위치가 일정시간 이상 변화가 없거나 진행하는 반대 방향으로 위치가 변하는 변하면, 제어부(70)는 테일 게이트(5)의 진행 방향으로 저항이 있다고 판단하여 테일 게이트(5)가 원래 위치(진행하는 반대 방향)로 이동하도록 전원부(80)를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 게이트(5)가 개방되는 동안 P 부근에서 저항이 발생하게 되면, 테일 게이트(5)가 원래 폐쇄된 위치로 진행되도록 리프터(1)의 반력에 의한 모멘트(Mf)가 a1 --> a2 --> a3 로 작동되도록 전원부(80)를 제어하고, 테일 게이트(5)가 폐쇄되는 동안 P 부근에서 저항이 발생하게 되면, 테일 게이트(5)가 원래 개방된 위치로 진행되도록 리프터(1)의 반력에 의한 모멘트(Mf)가 b1 --> b2 --> b3로 작동되도록 전원부(80)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에, 테일 게이트(5)에 저항이 발생하는 경우 테일 게이트(5)가 억지로 진행 방향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지 않으므로 안전하게 구동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압을 이용하지 않고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반력을 형성하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따라 반력이 변화되지 않아 반력의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테일 게이트(5)가 폐쇄된 상태에서 차체 및 테일 게이트(5)에 반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테일 게이트(5)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테일 게이트(5)를 개폐할 때 테일 게이트(5)의 위치에 따라 반력이 제어됨으로써, 사용자의 힘이 많이 소요되지 않아 사용자가 손쉽게 작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a)는 종래 차량의 가스 리프터에 의해 테일 게이트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후방 사시도, (b)는 (a)의 가스 리프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의 (a)는 차량이 평지에 있을 때 테일 게이트의 회전 각도에 대한 테일 게이트의 무게에 의한 모멘트 및 리프터의 반력에 의한 모멘트의 그래프, (b)는 차량이 평지에 있는 경우와 후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로에 있는 경우 테일 게이트의 무게에 의한 모멘트를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리프터의 전자석부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전자석부에 전류가 인가되어 피스톤부가 F 방향으로 밀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의 (a)는 테일 게이트의 무게에 의한 모멘트를 수식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b)는 리프터의 반력에 의한 모멘트를 수식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4의 전자석부에 전류가 더 인가되어 테일 게이트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리프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테일 게이트가 개방 또는 폐쇄될 때 테일 게이트에 저항(부딛힘 등)이 발생하는 경우 테일 게이트의 작동 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프터 10 : 실린더
20 : 피스톤부 30 : 로드
40 : 자석 50 : 전자석부
51 : 코일 52 : 철심
60 : 위치 센서 70 : 제어부
80 : 전원부

Claims (8)

  1. 일단이 차체에 고정되는 실린더와;
    일단이 이동 판넬에 고정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타단에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이동 판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자석으로 구성되는 피스톤부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마련되며, 전원부에 연결되어 전자기력을 제공하는 전자석부와;
    상기 이동 판넬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와;
    상기 위치 센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석부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프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실린더의 각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프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 판넬이 폐쇄된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석부로의 전류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프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동 판넬이 소정 각도까지 개방되는 동안, 상기 제어부는 리프터의 반력에 의한 모멘트가 상기 이동 판넬의 무게에 의한 모멘트보다 크도록 전류량을 상기 전자석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프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동 판넬이 소정 각도를 초과하면서 완전 개방되는 동안, 상기 제어부는 리프터의 반력에 의한 모멘트가 상기 이동 판넬의 무게에 의한 모멘트보다 작도록 전류량을 상기 전자석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프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동 판넬이 완전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리프터의 반력에 의한 모멘트가 상기 이동 판넬의 무게에 의한 모멘트와 같도록 전류량을 상기 전자석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프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서는 차량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센서에서 감지된 차량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전자석부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프터.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이동 판넬이 개방 또는 폐쇄되는 동안 상기 위치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이동 판넬의 위치가 일정시간 이상 변화가 없거나 진행하는 반대 방향으로 위치가 변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판넬이 진행하는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프터.
KR1020080118313A 2008-11-26 2008-11-26 차량의 리프터 KR100962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313A KR100962878B1 (ko) 2008-11-26 2008-11-26 차량의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313A KR100962878B1 (ko) 2008-11-26 2008-11-26 차량의 리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514A KR20100059514A (ko) 2010-06-04
KR100962878B1 true KR100962878B1 (ko) 2010-06-09

Family

ID=42369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313A KR100962878B1 (ko) 2008-11-26 2008-11-26 차량의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287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398B1 (ko) 2005-07-26 2007-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가스 리프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398B1 (ko) 2005-07-26 2007-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가스 리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514A (ko) 201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53651B1 (en) Power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GB2543386B (en) Power system vehicle doors
JP2004523682A (ja) 車両扉の自動操作方法及びその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装置
JP4139381B2 (ja) ドア開閉制御装置
JP3620836B2 (ja) 開閉体の動作機構
US20080222964A1 (en) Door actuation method
KR100857202B1 (ko) 차량용 도어의 개폐성능측정장치
KR100962878B1 (ko) 차량의 리프터
EP2034117A1 (en) Door device
JP6733441B2 (ja) スイングドア制御装置
GB2543385B (en) Assistance system for vehicle door
JP4874216B2 (ja) ドア開閉制御装置
KR20040073545A (ko) 트렁크 후드의 개폐 조절 장치
KR960706014A (ko) 내연기관 실린더내의 밸브 리프트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lifting of a valv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599308B1 (ko) 각센서를 이용한 가스리프터의 내압 조절방법
KR100512009B1 (ko) 차량용 도어의 로킹제어방법 및 로킹장치
CN115450523A (zh) 车辆用开闭体控制装置
GB2541549A (en) Vehicle door
KR100461063B1 (ko)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
KR20050119494A (ko) 자성체를 이용한 차량 도어 체커
JP2016094794A (ja) ドア装置
KR100693228B1 (ko) 가스리프터의 내압 조절장치
CN211193907U (zh) 机器人
CN210910046U (zh) 机器人
KR100461066B1 (ko)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