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1909B1 - 자동차의 도어 개폐력 향상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개폐력 향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1909B1
KR100341909B1 KR1020000016139A KR20000016139A KR100341909B1 KR 100341909 B1 KR100341909 B1 KR 100341909B1 KR 1020000016139 A KR1020000016139 A KR 1020000016139A KR 20000016139 A KR20000016139 A KR 20000016139A KR 100341909 B1 KR100341909 B1 KR 100341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otor
closed
clos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6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3497A (ko
Inventor
정제필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20000016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1909B1/ko
Publication of KR20010093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1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19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 E05F15/662Motor units therefor, e.g. geared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개폐력 향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10)의 각 출입구 일측에 설치되어 도어(6)의 개폐상태를 전기적인 신호로 감지하는 도어개폐 감지센서(1)들과; 상기 도어개폐 감지센서(1)들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도어(6)가 열린 것으로 감지되면 도어 열음신호를, 도어가 닫힌 것으로 감지되면 도어 닫음신호를 모터구동부(3)측으로 출력시키는 제어부(2)와; 상기 제어부(2)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모터(4)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부(3)와; 그의 축상에 설치된 기어(41)가 자동차(10) 실내의 후방부에 천공된 토출구(52)상에서 개폐 가능하게 축지된 비상 체임버 도어(5)의 축기어(51)와 맞물린 구성을 갖고 상기 모터구동부(3)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상기 비상 체임버 도어(5)를 자동 개폐시키는 모터(4)로 구성하여 도어가 닫혀질시 토출구를 통해 실내 공기가 원할히 배출되도록 하므로써, 적은 힘으로도 도어를 쉽게 닫을 수 있고, 도어가 닫히면서 발생하는 충격력에 의해 타 기능부품들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 하나의 비상 체임버만으로도 실내공기를 충분히 배출시킬 수 있어 부품 수 및 생산공정을 대폭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소음의 실내 유입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고, 제품의 신뢰성 자체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개폐력 향상장치{Opening/closing device for vehicle door}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개폐력 향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자동차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시 실내의 공기가 원할히 배출되도록 하여 적은 힘으로도 도어를 쉽게 닫을 수 있음은 물론 차체에 큰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부품 수 및 생산공정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소음의 실내 유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열려있는 자동차의 도어를 닫게 되면 실내의 공기가 압축되므로 인해 도어가 잘 안닫히게 하는 반발력이 발생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자동차 후방부에는 도어를 닫을 때 실내의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비상 체임버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은 비상 체임버는 통상 자동차의 실내 후방부에 소정크기의 통공을 갖는 토출구 천공하고 이 토출구의 외측에는 실내의 공기압에 의해 개폐될 수 있는 도어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비상 체임버는 도어 자체가 실내의 공기압 변화에 의해서만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만약, 비상 체임버가 품질 불량일 경우 또는 토출구의 크기가 작을 경우 실내의 공기가 일시에 빠져 나가지 못하게 되어 실내에 있는 공기의 압력(반발력)에 의해 도어가 잘 안닫히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고, 또한 상기와 같이 체임버의 불량으로 인해 도어가 안닫힐 경우에는 외부에서 배기가스 등이 유입되어 실내환경이 오염될 우려가 있음은 물론 외부소음이 유입되어 실내 분위기에 저해를 주게 될 우려가 있고, 또한 상기와 같이 도어가 잘 안닫힐 경우에는 다시 도어를 세게 닫게 되므로 인하여 차체에 큰 충격을 주게 되어 타 기능부품에 손상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내 공간이 큰 대형차의 경우는 이와같은 비상 체임버를 적어도 두개이상 설치해야 하므로 부품 수 및 생상공정의 증가로 제품의 생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비상 체임버 도어에 도어개폐 감지센서의 신호에 부응하여 작동되는 모터를 설치하여 자동차의 도어가 열렸을시 체임버의 토출구가 최대로 개구되었다가 도어가 닫히는 토출구가 완벽히 막혀지도록 하여 도어의 개폐시 실내의 공기가 원할히 배출되어 적은 힘으로도 도어를 쉽게 닫을 수 있음은 물론 자동차 도어 개폐시 차체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켜 타 기능부품들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 하나의 비상 체임버만으로도 실내공기를 충분히 배출시킬 수 있어 부품 수 및 생산공정을 대폭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소음의 실내 유입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 개폐력 향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각 출입구 일측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상태를 전기적인 신호로 감지하는 도어개폐 감지센서와; 상기 도어개폐 감지센서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도어가 열린 것으로 감지되면 도어 열음신호를, 도어가 닫힌 것으로 감지되면 도어 닫음신호를 모터구동부에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모터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부와; 그의 축상에 설치된 기어가 자동차 실내의 후방부에 천공된 토출구상에서 개폐 가능하게 축지된 비상 체임버 도어의 축기어와 맞물린 구성을 갖고 상기 모터구동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상기 비상 체임버 도어를 개폐시키는 모터로 구성하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도어가 열리면 토출구에 설치된 체임버 도어가 자동으로 최대로 열렸다가 도어가 닫히면 자동으로 닫히게 되므로 도어가 닫힐시 완벽히 개구된 상태에 있는 토출구를 통해 실내공기를 원할히 배출시킬 수 있어 적은 힘으로도 도어를 쉽게 닫을 수 있고, 또 자동차의 도어가 닫힐시 차체에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 도어가 닫히면서 발생하는 충격력에 의해 타 기능부품들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하나의 비상 체임버만으로도 실내공기를 충분히 배출시킬 수 있어 부품 수 및 생산공정을 대폭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소음의 실내 유입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가 실시된 자동차의 측면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도어개페 감지센서 2 ; 제어부
3 : 모터구동부 4 : 모터
5 : 비상 체임버 도어 6 : 도어
10 : 자동차 41 : 기어
51 : 축기어 52 : 토출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장치가 실시된 자동차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자동차(10)의 각 출입구 일측에 설치되어 도어(6)의 개폐상태를 전기적인 신호로 감지하는 도어개폐 감지센서(1)들과;
상기 도어개폐 감지센서(1)들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도어(6)가 열린 것으로 감지되면 도어 열음신호를, 도어가 닫힌 것으로 감지되면 도어 닫음신호를 모터구동부(3)측으로 출력시키는 제어부(2)와;
상기 제어부(2)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모터(4)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부(3)와;
그의 축상에 설치된 기어(41)가 자동차(10) 실내의 후방부에 천공된 토출구(52)상에서 개폐 가능하게 축지된 비상 체임버 도어(5)의 축기어(51)와 맞물린 구성을 갖고 상기 모터구동부(3)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상기 비상 체임버 도어(5)를 자동 개폐시키는 모터(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차의 도어(6) 개폐상태를 전기적인 신호로 감지하는 도어개폐 감지센서(1)들은 기존의 자동차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것을 이용한다.
이와같은 도어개폐 감지센서(1)들이 입력단자에 연결된 제어부(2)에서는 상기 도어개폐 감지센서(1)들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도어(6)가 열린 상태인지 닫힌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만약 열린 것으로 인지되면 모터구동부(3)에 비상 체임버 도어(5)가 열리도록 하는 출력신호(예를들어 정방향 구동신호) 발생시키고, 이와 반대로 도어(6)가 닫힌상태로 인지되면 비상 체임버 도어(5)가 닫히도록 하는 출력신호(예를들어 역방향 구동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모터구동부(3)에서는 상기 제어부(2)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구동신호를 모터(4)에 출력시켜 주게 되므로 상기 모터(4)가 자동차 도어(6)의 개폐 여부에 부응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하게 된다.
한편, 자동차의 실내 후방부에 천공된 토출구(52)상에서 개폐 가능하게 축지된 공지된 비상 체임버 도어(5)의 축상에는 축기어(51)를 설치하고 상기 모터(4)의 축상에 설치된 기어(41)와 상호 맞물리도록 하므로써, 자동차의 도어(6) 개폐상태에 부응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되는 상기 모터(4)의 구동방향에 부응하여 상기 비상 체임버 도어(5)가 자동 개폐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상기 비상 체임버 도어(5)를 자동차 도어(6) 개폐에 부응하여 최대로 열거나 완전히 닫아줄 수 있으므로, 자동차 도어(6)를 닫을시 실내의 공기를 최대로 개구된 상태에 있는 토출구(52)를 통해 순식간에 배출시킬 수 있어 가벼운 힘으로도 자동차의 도어를 닫을 수 있으므로 도어의 개폐감이 크게 향상고, 또한, 비상 체임버 도어(5)가 닫혀졌을시 그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어 역풍진입 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배기가스 및 외부소음의 실내유입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어 실내환경 및 분위기를 대폭 개선시킬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도어(5)가 열려졌을시 토출구(52)의 개구상태를 최대로 할수 있으므로 하나의 비상 체임버만으로도 실내공기를 충분히 배출시킬 수 있어 부품 수 및 생산공정을 대폭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개폐 감지센서를 통해 자동차의 도어 개페상태를 감지하여 만약 도어가 열린 것으로 인지되면 토출구에 설치된 체임버 도어가 최대로 열렸다가 도어가 닫히면 자동으로 닫히게 되므로 도어가 닫혀질시 토출구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원할히 배출시킬 수 있어 적은 힘으로도도어를 쉽게 닫을 수 있고, 또 자동차의 도어가 닫힐시 차체에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 도어가 닫히면서 발생하는 충격력에 의해 타 기능부품들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하나의 비상 체임버만으로도 실내공기를 충분히 배출시킬 수 있어 부품 수 및 생산공정을 대폭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소음의 실내 유입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 자체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10)의 각 출입구 일측에 설치되어 도어(6)의 개폐상태를 전기적인 신호로 감지하는 도어개폐 감지센서(1)들과;
    상기 도어개폐 감지센서(1)들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도어(6)가 열린 것으로 감지되면 도어 열음신호를, 도어가 닫힌 것으로 감지되면 도어 닫음신호를 모터구동부(3)측으로 출력시키는 제어부(2)와;
    상기 제어부(2)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모터(4)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부(3)와;
    상기 모터구동부(3)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정역 방향으로 구동되는 모터(4)로 구성된 자동차의 도어 개폐력 향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4)의 축상에 기어(41)를 설치하고, 자동차(10) 실내의 후방에 천공된 돌출구(52)상에서 개폐가능하게 축지된 비상 체임버 도어(5)의 축기어(51)는 상기 기어(41)와 맞물리도록하여 상기 모터 구동부(3)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모터(4)가 정역 회전될시 상기 비상체임버 도어(5)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개폐력 향상장치.
KR1020000016139A 2000-03-29 2000-03-29 자동차의 도어 개폐력 향상장치 KR100341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139A KR100341909B1 (ko) 2000-03-29 2000-03-29 자동차의 도어 개폐력 향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139A KR100341909B1 (ko) 2000-03-29 2000-03-29 자동차의 도어 개폐력 향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497A KR20010093497A (ko) 2001-10-29
KR100341909B1 true KR100341909B1 (ko) 2002-06-26

Family

ID=19659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6139A KR100341909B1 (ko) 2000-03-29 2000-03-29 자동차의 도어 개폐력 향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19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409U (ko) * 1994-08-10 1996-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실내/외의 압력차이 보상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409U (ko) * 1994-08-10 1996-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실내/외의 압력차이 보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497A (ko) 2001-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1909B1 (ko) 자동차의 도어 개폐력 향상장치
KR19990008464A (ko) 차량내에 설치된 조정 구동부의 전자적 감시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73834A (ko) 압력 가변형 웨더스트립 어셈블리
SE528926C2 (sv) Anordning i en fordonshytt
KR100422843B1 (ko) 자동차용 익스트랙터
KR100415348B1 (ko) 선루프가 설치된 자동차 루프패널의 개구부 폐쇄장치
KR100535613B1 (ko) 자동차 환기성능 개선장치
KR100241683B1 (ko) 자동차의 실내공기 배출장치
KR100410855B1 (ko) 자동차의 도어 닫힘에 대응한 실내압력 배출장치
KR100452205B1 (ko) 버스 도어의 안전 개폐방법
KR0132363Y1 (ko) 자동차의 소음 차단 장치
KR200207617Y1 (ko) 자동차용 도어 에어 벤틸레이션 그릴 구조
KR100312868B1 (ko) 자동차용 선 루프의 자동 닫힘 방법
JP2004142667A (ja) 作業車両運転室の半ドア防止装置
KR20040003249A (ko) 자동차용 선루프의 저주파 소음 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73833A (ko) 압력 가변형 웨더스트립의 제어방법
KR19990031116A (ko) 버스의 출입문 잠금 장치
KR200392792Y1 (ko) 차량의 도어열림 경고장치
KR200282652Y1 (ko) 통풍이 가능한 자동차용 도어
KR19980036252U (ko) 차량의 에어콘 작동시 윈도우 글래스 자동닫힘 장치
KR970027632A (ko) 자동차의 원 터치 도어개폐장치
KR19980039139U (ko) 도어개도시 차량 발진 방지장치
KR19990031115A (ko) 버스의 출입문 잠금장치
KR19980074959A (ko) 자동차용 윈도우의 자동 닫힘장치
KR970037625A (ko) 도어개방경고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