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0525B1 - 휴대전화단말에 적용 가능한 음악재생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전화단말에 적용 가능한 음악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0525B1
KR100460525B1 KR10-2002-7012616A KR20027012616A KR100460525B1 KR 100460525 B1 KR100460525 B1 KR 100460525B1 KR 20027012616 A KR20027012616 A KR 20027012616A KR 100460525 B1 KR100460525 B1 KR 100460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usic
waveform
waveform data
re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2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4248A (ko
Inventor
다니구치준야
나카무라노부카즈
도바노부카즈
다나카다카히로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4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4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5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41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 coded form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7/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 G10H7/0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in which amplitudes at successive sample points of a tone waveform are stored in one or more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01Physical layer or hardware aspects of transmission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e.g. voltage levels, bit streams, code words or symbols over a physical link connecting network nodes or instruments
    • G10H2240/241Telephone transmission, i.e. using twisted pair telephone lines or any type of telephone network
    • G10H2240/251Mobile telephone transmission, i.e. transmitting, accessing or controlling music data wirelessly via a wireless or mobile telephone receiver, analog or digital, e.g. DECT GSM, UM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50/00Aspects of algorithms or signal processing methods without intrinsic musical character, yet specifically adapted for or used in electrophonic musical processing
    • G10H2250/541Details of musical waveform synthesis, i.e. audio waveshape processing from individual wavetable samples, independently of their origin or of the sound they represent
    • G10H2250/571Waveform compression, adapted for music synthesisers, sound banks or wavetables
    • G10H2250/591DPCM [delta pulse code modulation]
    • G10H2250/595ADPCM [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휴대전화 단말장치에 적용 가능한 음악재생장치는 각각 제한된 기억 용량을 갖는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 및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를 사용한다. 시스템 CPU는 해당 메모리의 부족 이벤트에 응하여 시퀀스 데이터나 파형 데이터의 순차 전송을 한다. 이것에 의해, 작은 기억 용량의 메모리나 시스템 CPU에서의 작은 처리 부하에 의해 악곡의 고품질 재생을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전화단말에 적용 가능한 음악재생장치{MUSIC PLAYER APPLICABLE TO PORTABLE TELEPHONE TERMINAL}
종래부터,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나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등의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이 있다. 착신을 받으면, 사용자가 보유하는 이동 전화 등의 휴대전화단말은 착신음을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착신을 알린다. 착신음으로서, 전화단말장치는 종래 비프음을 발생하지만, 이것은 사용자 귀에 거슬리다. 근년, 전화단말장치는 종래의 비프음 대신 착신음으로서 멜로디 음을 발생한다.
상기 전화단말장치는 멜로디 음을 발생할 수 있지만, 그 음질은 만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음질을 개선하기 위해서, 전화단말장치에서 악곡을 나타내는 음악 데이터를 재생하는 음악재생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전화단말장치에 사용되는 음악재생장치의 전형적인 예는 중앙처리장치(CPU), 읽기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음원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CPU는 ROM에 기억된 자동연주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ROM 또는 RAM에 기억된 음악 데이터를 독출하는 동시에, 발음 파라미터를 음원에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전화단말장치에서 악곡이 재생된다.
전화단말장치, 특히 시장에서 판매되는 휴대전화는 크기나 가격이 축소되어, 멀티 기능을 갖도록 설계되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또한, 전화단말장치는 송화 기능, 전화 기능 및 표시 기능 등의 많은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휴대전화 단말장치에 내장되는 음악재생장치에 있어서, CPU는 전화 기능 처리 외에도 음악 재생 기능을 실행해야 한다. 이 때문에, 음악재생장치는 처리용 고속 CPU를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나, 고속 CPU를 갖는 휴대전화 단말장치는 고가가 되는 문제가 생긴다.
멜로디 IC는 멜로디 재생용으로 특별히 설계된 디바이스로서 알려지고 있다. 휴대전화 단말장치용 멜로디 IC의 전형적인 예는 음원, 시퀀서 및 음악 데이터 기억부로 쓰이는 ROM으로 구성된다. 외부장치에서 음악재생지시를 함으로써, 멜로디 IC는 ROM에 기억된 음악 데이터를 재생하여 악곡의 멜로디를 재생한다. 그와 같은 멜로디 IC를 휴대전화 단말장치에 조합함으로써, CPU는 음악재생처리를 할 필요가 없어진다. 멜로디 IC의 사용에 의해, CPU가 음악재생처리를 실행할 필요성이 없어진다. 이 때문에, 멜로디 IC를 조합한 휴대전화 단말장치에 대해 저 가격으로 저속의 CPU를 사용할 수 있다.
통상, 멜로디 IC의 ROM은 음악 데이터용으로 작은 기억 용량을 갖고 있기 때문에, 멜로디 IC는 제한된 수의 악곡을 기억할 수 있지만, 악곡 재생의 시간 길이를 늘이는 것은 불가능하다. ROM의 작은 기억 용량 때문에, 멜로디 IC는 악곡의고품질 재생을 실현하는 상당량의 음악 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멜로디 IC를 탑재한 휴대전화 단말장치는 저음질의 멜로디밖에 재생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한된 기억 용량에 기억시킨 음악 데이터에 근거하여, 저속 연산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고음질로 악곡을 재생할 수 있는 음악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악 데이터의 제한된 기억 용량 및 저속 연산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악곡의 고품질 재생을 실현하는 음악재생장치를 탑재한 휴대전화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전화나 이동 전화 등의 휴대전화단말에 적용 가능한 음악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음악재생장치를 갖는 휴대전화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전화회선을 통한 휴대전화의 통신접속을 나타내는 개념적 시스템도이다.
도 3은 휴대전화의 일부, 특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악 재생부 내부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휴대전화의 일부, 특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악 재생부 내부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에 기억된 시퀀스 데이터용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a는 단일 채널에 관해 지속기간 데이터와 노트 데이터와의 시간 관계의 제1 예를 게시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6b는 다수 채널에 관해 지속기간 데이터와 노트 데이터와의 시간 관계의 제2 예를 게시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7은 시퀀스 데이터와 파형 데이터를 기억하는 시스템 RAM의 맵을 나타낸다.
도 8은 음악 재생부의 음악재생처리를 보조하는 메인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음악 재생부의 음악재생처리를 보조하는 IRQ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동 전화 등의 휴대전화 단말장치는 음악재생장치를 탑재하여 소정 용도, 즉 착신 통보, 보류음 발생, BGM 재생 및 음악 재생을 위해 악곡을 재생한다. 음악재생장치는 악곡에 관해 지속기간 데이터 및 노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시퀀스 데이터를 기억하는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 압축 부호화에 의해 생성되는 악음파형의 샘플을 나타내는 파형 데이터를 기억하는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 해당 파형 데이터를 복호화 하여 악음신호를 재생하는 디코더, 및 시퀀스 데이터에 근거하여 악곡에 맞추어 악음신호를 재생하도록 디코더를 제어하는 시퀀서로 구성된다. 지속기간 데이터는 노트 데이터의 시작 타이밍까지의 시간 간격을 나타낸다.
악곡재생의 진행에 의해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에서 시퀀스 데이터가 부족하면, 시퀀스 데이터 전송 요구(S-IRQ)를 시스템 CPU에 발하여 시퀀스 데이터의 다음 부분의 전송을 재촉한다. 악곡재생의 진행에 의해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에서 파형 데이터가 부족하면, 파형 데이터 전송 요구(W-IRQ)를 시스템 CPU에 발하여 파형 데이터의 다음 부분의 전송을 재촉한다. 이것에 의해, 시스템 CPU는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에 시퀀스 데이터를 순차 전송하여 그 기억 용량을 채우고, 또한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에 파형 데이터를 순차 전송하여 그 기억 용량을 채운다. 이것에 의해, 악곡의 고품질 재생을 확보하면서 메모리의 기억 용량의 감소가 초래된다. 또한, 시스템 CPU는 음악 재생 처리의 실행에 작은 처리 부하만 걸리기 때문에, 시스템 CPU에 반드시 고속 CPU가 필요하지는 않다.
한편, 다수의 채널에 대응하여 다수의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 경우, 디코더는 시분할 다중으로 다수 채널의 악음신호를 동시에 재생한다.
본 발명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음악재생장치를 탑재한 휴대전화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다. 즉, 휴대전화(1)는 변조-복조 기능을 갖는 통신부(13)와 접속된 집어넣을 수 있는 안테나(1a)를 갖고 있다. 시스템 CPU(10)는 전화 기능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휴대전화(1)의 시스템의 각 부 또는 블록에 관해 통괄적 제어를 한다. 또한, 시스템 CPU(10)는 타이머(도시 생략)를 구비하여, 동작중의 시간 경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특정 시간 간격마다 타이머 인터럽트를 한다. 인터럽트 요구신호(IRQ)를 받아, 시스템 CPU(10)는 음악재생처리를 보조하기 위해 음악 데이터나 파형 데이터의 전송처리를 실행하지만, 그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시스템 RAM(11)은 다운로드 센터에서 다운로드 된 음악 데이터나 파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영역, 사용자 설정 데이터영역, 및 시스템 CPU(10)의 처리용으로 이용되는 작업영역을 갖는다. 시스템 ROM(12)은 CPU(10)에 의해 실행되는 전화의 송신 ·수신 등의 여러 가지 전화 기능 프로그램이나 상기 음악재생처리를 보조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또한, 시스템 ROM(12)은 미리 설정된 음악 데이터나 파형 데이터 등의 여러 가지 데이터를 기억한다.
통신부(13)는 안테나(1a)에 의해 수신된 착신신호를 복조하는 동시에, 안테나(1a)를 통해 송신되는 출력신호를 변조한다. 즉, 통신부(13)는 착신신호를 복조하여 송신된 발신자의 음성을 나타내는 수화신호를 생성한다. 수화신호는 음성 처리부(코더-디코더)(14)에 의해 복호된다. 또한, 음성 처리부(14)는 휴대전화(1) 사용자의 음성을 나타내는 송화신호에 대해 압축 부호화를 한다. 즉, 음성 처리부(14)는 음성신호에 대해 고효율 압축 부호화/복호화를 실행하는 것이며, 음성 처리부(14)는 예컨대 코드 여기된 선형 예측 부호화(Code Exited Linear Predictive Coding: CELPC) 방식이나 적응 차분 펄스 부호 변조(Adaptive Differential Pulse-Code Modulation: ADPCM) 방식의 코더-디코더로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음악재생장치를 실현하는 음악 재생부(15)는 스피커(22)와 접속되어, 이 스피커(22)에 의해 음성 처리부(14)로부터 주어지는 수화신호의 수화를 발생한다. 또한, 음악 재생부(15)는 음악 데이터를 재생하여 착신음이나 보류음을 발생한다. 착신음은 스피커(23)에 의해 발생되는 한편, 보류음은 수화와 혼합되어 스피커(22)에 의해 발생된다.
음악 재생부(15)에는 작은 기억 용량의 음악 데이터 기억부와 파형 데이터 기억부가 포함된다. 음악 재생부(15)에 의한 음악 데이터의 재생중, 소정 사이즈의 빈 영역이 음악 데이터 기억부 및/또는 파형 데이터 기억부 내에 발생한다. 그 경우, 음악 재생부(15)는 시스템 CPU(10)에 인터럽트 요구신호(IRQ)를 발하고, 차례로 시스템 RAM(11)이나 시스템 ROM(12)에 액세스하여 음악 데이터 및/또는 파형 데이터의 다음 부분을 독출한다. 이것에 의해, 음악 데이터 및/또는 파형 데이터의 다음 부분은 음악 재생부(15)에 전송된다. 인터페이스(I/F)(16)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장치(20)로부터 음악 데이터 및/또는 파형 데이터가 다운로드 되어 시스템 RAM(11)에 전송된다. 입력부(17)에는 기능 버튼이나 '0'∼'9'의 수치를 지정하는 다이얼 버튼 등의 여러 가지 버튼이 포함된다. 표시부(18)는 입력부(17)의 버튼 조작에 응하여 스크린 상에 전화 기능 메뉴 및 여러 가지 문자 및/또는 화상을 표시한다. 착신에 응하여, 시스템 CPU(10)는 진동부(19)를 작동하여, 착신음 대신 진동을 발생시킨다. 진동부(19)의 작동으로 인해, 휴대전화(1)의 본체는 진동하여 사용자에 착신을 알린다. 휴대전화(1)의 모든 기능 블록은 버스(24)를 통해 접속되어, 지시이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휴대전화(1)는 전화회선이나 여러 가지 네트웍을 통해 음악 데이터나 파형 데이터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다음에, 음악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순서나 동작에 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각각 음악재생장치를 갖는 휴대전화(1, 101)가 전화회선 네트웍과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의 통신용 셀룰러 시스템은 스몰 존 방식을 채용하고 있고, 많은 무선 존이 서비스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 2에서는, 4개의 기지국(2a∼2d)이 마련되어 있고, 각기 무선 존을 커버하여 관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는 기지국(2c)이 이동국에 해당하는 휴대전화(1, 101)가 속하는 무선 존을 관리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일반 전화단말장치와의 통신을 실현하기 위해서, 휴대전화(1, 101)는 기지국(2c)을 통해 이동국(3)에 접속되고, 거기에서 일반 전화망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휴대전화(1, 101)는 무선 존을 관리하는 기지국과 무선회선을 통해 접속되어, 휴대전화(1, 101)의 사용자는 다른 전화단말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에 나타내는 셀룰러 시스템의 일례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며, 휴대전화(1, 101)는 4개의 기지국(2a∼2d) 중 기지국(2c)에 의해 관리되는 같은 무선 존에 속해있다. 휴대전화(1, 101)는 무선회선을 통해 기지국(2c)과 접속되어 있고, 통화나 위치등록에 이용되는 업링크 신호는 기지국(2c)에서 수신되어 처리된다. 기지국(2a∼2d)은 서로 인접하는 다른 무선 존을 관리하고 있다. 그 무선 존의 주변부가 서로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기지국(2a∼2d)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기지국(2a∼2d)은 다중 회선을 통해 이동 교환국(3)과 접속된다. 도 2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하나의 이동 교환국(3)과 하나의 게이트 교환국(4)만 나타내고 있지만, 다수의 이동 교환국을 다수의 게이트 교환국으로 집선하여, 그 게이트 교환국을 일반 전화 교환국(5a)과 접속하도록 할 수도 있다. 게이트 교환국은 서로 중계 전송로를 통해 접속된다. 일반 전화 교환국(5a, 5b, 5c)은 각기 서비스 영역에 배치되어, 서로 중계 전송로를 통해 접속된다. 일반 전화 교환국(5a∼5c)의 각각은 많은 일반 전화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일반 전화 교환국(5b)은 다운로드 센터(6)와 접속되어 있다.
다운로드 센터(6)는 일반 전화단말이나 다른 통신장치에 대해 음악 데이터나 정보를 배포하는 컴퓨터 설비이다. 즉, 다운로드 센터(6)는 수시로 많은 음악 데이터나 파형 데이터를 축적하고, 그 데이터들은 새로운 악곡을 추가하는 것에 의해 수시로 갱신되고 있다. 본 시스템에 의해 휴대전화(1, 101)의 사용자는 일반 전화망과 접속된 다운로드 센터(6)로부터 음악 데이터나 파형 데이터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다운로드 센터(6)로부터 음악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휴대전화(1)의 사용자는 소정의 전화번호를 지정하여 다운로드 센터(6)를 호출한다. 이것에 의해, 휴대전화(1), 기지국(2c), 이동 교환국(3), 게이트 교환국(4), 일반 전화 교환국(5a, 5b) 및 다운로드 센터(6) 사이에 통신경로가 개설된다. 그 후, 소정의 악곡 선택 메뉴가 휴대전화(1)의 표시부(18) 스크린 상에 표시되고, 사용자는 그것에 따라 입력부(17)의 다이얼 버튼을 조작하여 원하는 악곡을 선택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원하는 악곡의 음악 데이터를 다운로드 센터(6)에서 휴대전화(1)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원하는 파형 데이터를 다운로드 센터(6)에서 휴대전화(1)로 다운로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음악재생장치인 음악 재생부(15)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의 음악 재생부(15)는 CPU 인터페이스(CPU I/F)(30), 제1레지스터군(31),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32),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 시퀀서(34), 제2 레지스터군(REG)(35), 디코더(36),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37), 믹서(38) 및 IRQ 제어부(39)로 구성된다. 여기서, 'FIFO'는 최초에 입력한 데이터를 최초에 출력하는 것을 나타내는 'First-In-First-Out'의 약어이다.
CPU 인터페이스(30)는 8 비트 데이터 선(Data/Index), 칩 선택 선(CS), 어드레스 제어 선(A0), 독출 제어 선(RD) 및 기입 제어 선(WR)을 통해 시스템 CPU(10)와 접속된다. 어드레스 제어 선은 데이터 선 상의 신호가 데이터나 인덱스 중 어느 것을 나타내는지를 지정하는데 사용된다. 인덱스는 제1 레지스터군(31)이나 제2 레지스터군(35)에 각각 포함되는 레지스터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것이다. 데이터 선을 통해 데이터나 인덱스를 CPU 인터페이스(30)에 순차 기입함으로써, 제1 레지스터군(31)이나 제2 레지스터군(35) 내의 인덱스에 의해 지정되는 레지스터에 데이터를 기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어드레스선의 신호가 데이터 선의 신호간의 구별을 나타낸다. 독출 모드에서, 인덱스는 데이터 선을 통해 CPU 인터페이스(30)에 기입되고, 그 후, 독출 지시가 독출 제어 선을 통해 CPU 인터페이스(30)에 기입된다. 이것에 의해, 제1 레지스터군(31)이나 제2 레지스터군(35) 내의 인덱스에 의해 지정되는 레지스터로부터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
제1 레지스터군(31)에는 5개의 레지스터가 포함되고, 각각 8 비트의 데이터를 기억한다. 이 5개의 레지스터에는 각기 소정의 명칭, 즉, 시퀀서 제어 레지스터, 시퀀스 데이터 레지스터, 파형 데이터 레지스터, 상태 레지스터 및 파형 번호레지스터가 붙여진다.
시스템 CPU(10)는 시퀀서 제어 레지스터에 시퀀서 제어 데이터를 기입하여 시퀀서(34)를 제어한다. 시퀀서 제어 데이터에는 악음 재생을 시작하게 하는 시퀀서 시작 지시 및 악음 재생을 정지시키는 시퀀서 정지 지시가 포함된다.
시스템 CPU(10)는 음악 데이터 등의 시퀀스 데이터를 시퀀스 데이터 레지스터에 기입한다. 시퀀스 데이터는 소정 포맷으로 작성되어 있고, 그 내용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일 악곡의 음악 데이터는 지속기간 데이터와 노트 데이터를 교대로 배치하여 구성되지만, 그 지속기간 데이터는 악음의 발음 타이밍 사이의 시간 간격을 나타내고 있고, 노트 데이터는 발음 데이터에 대응하고 있다. 시퀀스 데이터 레지스터에 기입된 시퀀스 데이터는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32)에 즉시 전송된다.
시스템 CPU(10)는 파형 데이터를 파형 데이터 레지스터에 기입하고, 거기에서 파형 데이터를 직접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에 즉시 전송한다. 파형 데이터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대충, 파형 데이터는 보컬음, 음성 및 실제로 악기를 연주하여 발음된 악음을 샘플링 하여 추출한 파형 진폭 값에 대해 부호화 또는 압축 부호화를 함으로써 생성된다.
상태 레지스터는 음악 재생부(15)의 음악 재생 상태(또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태 레지스터에는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32)로부터의 시퀀스 데이터 Full 플래그(S-Full)나 시퀀스 데이터 IRQ 플래그(S-IRQ)를 기억하는 동시에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로부터의 파형 데이터 Full 플래그(W-Full)나 파형 데이터 IRQ 플래그(W-IRQ)를 기억한다. 또한, 시퀀서(34)로부터의 시퀀스 데이터 END 플래그(END)나 게이트 타임 END 플래그(GNED)도 기억한다. 상태 레지스터의 내용은 시스템 CPU(10)에 의해 독출된다.
파형 번호 레지스터는 재생되어야 하는 파형 데이터를 지정하는 파형 번호를 기억한다. 파형 번호 레지스터의 내용은 시스템 CPU(10)에 의해 독출된다. 한편, 시퀀서(34)는 노트 데이터로부터 파형 번호(WAVE-No)를 추출하여 제1 레지스터군(31)에 공급한다.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32)는 예컨대 32 바이트(즉, 32 ×8 비트)의 기억 용량을 갖고 있다. 기입 모드에서, 시스템 CPU(10)는 제1 레지스터군(31) 내의 시퀀스 데이터 레지스터를 통해 선택된 악곡에 대응하는 시퀀스 데이터를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32)에 순차 기입한다. 독출 모드에서, 시퀀스 데이터는 기입 순서에 맞게 시퀀서(34)로부터 순차 독출된다. 시퀀서(34)에 의해 시퀀스 데이터가 독출되면, 시퀀스 데이터는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32) 내에서 폐기된다. 상기의 FIFO 기능 외에도,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32)는 그 안에 기억되어 있는 시퀀스 데이터량을 감시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32)에 기억되어 있는 시퀀스 데이터량이 32 바이트에 이르는 풀 상태에서는,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32)는 시퀀스 데이터 Full 플래그(S-Full)를 발하여 제1 레지스터군(31)의 상태 레지스터에 설정한다.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32)에 기억되어 있는 시퀀스 데이터량이 시스템 CPU(10)에 의해 미리 설정된 소정량(예컨대, 8 바이트) 이하로 감소하고 있는 부족 상태에서는,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32)는 시퀀스 데이터 IRQ 플래그(S-IRQ)를 발하여 제1 레지스터군(31)의 상태 레지스터에 설정한다. 시퀀스 데이터 IRQ 플래그는 IRQ 제어부(39)에도 공급되어, 시스템 CPU(10)에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32)의 부족 상태를 통지한다.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는 예컨대 384 바이트(즉, 384 ×8 비트)의 기억 용량을 갖고 있다. 기입 모드에서, 시스템 CPU(10)는 제1 레지스터군(31) 내의 파형 데이터 레지스터를 통해 파형 데이터를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에 순차 기입한다. 독출 모드에서, 파형 데이터는 시퀀서(34)나 디코더(36)에 의해 순차 독출된다. 시퀀서(34)나 디코더(36)에 의해 파형 데이터가 독출되면, 파형 데이터는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 내에서 폐기된다. 파형 데이터는 예컨대 16 비트 샘플로 구성된 PCM(또는 펄스 부호 변조된) 파형 데이터에 따라 생성되는 ADPCM(또는 적응 차분 펄스 부호 변조된) 파형 데이터를 실현하는 소정의 포맷으로 작성된다. 즉, PCM 파형 데이터는 ADPCM 인코더에 의해 4 비트 샘플로 구성된 ADPCM 파형 데이터로 압축된다. 도 7은 파형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며, '파형 데이터 1'은 ADPCM 파형 데이터의 두 샘플을 포함하는 8 비트(또는 1 바이트)로 구성된다. 상기의 FIFO 기능 외에도,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는 그 안에 기억되어 있는 파형 데이터량을 감시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에 기억되어 있는 파형 데이터량이 384 바이트에 이르는 풀 상태에서는,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는 파형 데이터 Full 플래그(W-Full)를 발하여 제1 레지스터군(31)의 상태 레지스터에 설정한다. 파형 데이터량이 시스템 CPU(10)에 의해 미리 설정된 소정량(예컨대, 128 바이트) 이하로 감소하고 있는 부족 상태에서는,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는 파형 데이터 IRQ 플래그(W-IRQ)를 발하여 제1 레지스터군(31)의 상태 레지스터에 설정한다. 파형 데이터 IRQ 플래그는 IRQ 제어부(39)에도 공급되어, 시스템 CPU(10)에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의 부족 상태를 통지한다.
시퀀서 시작 지시를 제1 레지스터군(31)의 시퀀서 제어 레지스터에 기입함으로써, 시퀀서(34)는 시퀀서 시작 지시에 따라 동작을 시작한다. 그 시퀀서 시작 지시에 앞서, 얼마간의 시퀀스 데이터를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32)에 선행 기입해야 한다. 적어도 시퀀스 데이터에 의해 지시된 파형 데이터의 선두 부분을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에 선행 기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퀀서(34)의 개략 동작을 하기에 기재한다.
(1) 시퀀서(34)는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32)에 기억된 지속기간 데이터 및 노트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시퀀스 데이터의 선두 부분을 입력한다.
(2) 노트 데이터 1에 포함되는 파형 번호를 제1 레지스터군(31)의 파형 번호 레지스터에 기입한다.
(3) 대응하는 파형 데이터가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에 선행 기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는 즉시 파형 데이터 IRQ 플래그(W-IRQ)를 발하여, IRQ 제어부(39)를 통해 시스템 CPU(10)에 보낸다. 이것에 의해, 시스템 CPU(10)는 제1 레지스터군(31)의 상태 레지스터를 참조하여, 파형 데이터 IRQ 플래그가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에 있어서의 파형 데이터의 부족에 의해 발생하고 있는 것을 인식한다. 시스템 CPU(10)는 즉시 파형 데이터의 전송을 한다. 전송하는 파형 데이터를 특정하기 위해서, 시스템 CPU(10)는 제1 레지스터군(31)의 파형 번호 레지스터에 기입된 파형 번호를 참조한다. 혹은, 시스템 CPU(10)는 시스템 RAM(11)에 기억된 선택 악곡의 시퀀스 데이터에 따라서 파형 번호를 특정한다. 그 후, 시스템 CPU(10)는 파형 번호에 의해 지정된 파형 데이터가 어느 정도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에 전송되어 있는지에 관해 관리한다.
(4)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에 파형 데이터가 완전히 축적되면, 시퀀서(34)는 지속기간 데이터 1에 의해 지정된 소정시간 대기하고, 그 후, 디코더(36)에 대해 노트 데이터 1에 대응하는 파형 데이터의 복호를 시작하도록 지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시퀀서(34)는 시작/정지신호나 음량 등을 포함하는 발음 파라미터를 출력하여 디코더(36) 직전에 배치된 제2 레지스터군(REG)(35)에 기입한다. 이 타이밍에, 시퀀서(34)는 지속기간 데이터 2와 노트 데이터 2를 입력하여, 다음 파형 데이터의 재생에 대비한다. 여기서, 재생 준비는 지속기간 데이터 2에 관한 시간관리를 말한다.
(5) 노트 데이터 1에 포함된 게이트 타임의 경과 후, 시퀀서(34)는 디코더(36)에 복호를 정지시킨다. 또한, 재생된 지속기간 데이터와 노트 데이터는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 내에서 클리어 된다. 더욱이, 시퀀서(34)는 게이트 타임 END 플래그(GEND)를 발하여 제1 레지스터군(31)의 상태 레지스터에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스템 CPU(10)가 게이트 타임 END 플래그를 참조하여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에 파형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즉시 정지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악음 발생에 필요하지 않은 파형 데이터를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에 불필요하게 전송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6) 같은 발음 처리가 노트 데이터 2에도 실행된다. 그 발음 처리는 시퀀스 데이터의 최후에 이를 때까지 연속하여 파형 데이터에 대해 실행된다. 시퀀스 데이터의 최후를 검출하면, 시퀀서(34)와 디코더(36)는 그 동작을 정지한다. 또한,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32)나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 내에서 모든 데이터가 클리어 된다. 시퀀서(34)는 시퀀스 데이터 END 플래그(END)를 발하여 제1 레지스터군(31)의 상태 레지스터에 설정한다. 시퀀스 데이터 END 플래그를 참조하여, 시스템 CPU(10)는 다음 시퀀스 데이터의 재생 준비를 한다.
시퀀서(34)가 시작/정지신호나 음량 등의 발음 파라미터를 제2 레지스터군(35)에 기입하면, 디코더(36)는 그 복호 동작을 시작 또는 정지한다. 시퀀서(34)로부터의 발음 파라미터나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로부터의 파형 데이터에 따라서, 디코더(36)는 4 비트 샘플로 이루어지는 ADPCM 파형 데이터를 복호(또는 신장)하여 16 비트 샘플로 이루어지는 PCM 파형 데이터를 생성한다. 파형 데이터의 포맷은 ADPCM 포맷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DPCM(Differential Pulse-Code Modulation) 포맷, MP3(즉,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audio layer 3) 포맷, TwinVQ(등록상표) 포맷 등, 파형 데이터를 압축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포맷을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상기 포맷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도록 변경하는 경우, 디코더(36)는 그 포맷에 맞게 재구성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해 비압축 PCM 포맷의 파형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변경하는 경우, 디코더(36)의 복호 처리를 건너뛰어야 한다.
도 3에 나타내는 음악 재생부(15)는 원래 시퀀서(34)를 사용하여 파형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시퀀서(34)를 사용하는 대신, 시스템 CPU(10)가 'Direct Data' 회선을 통해 CPU 인터페이스(30)에 의해 직접 제2 레지스터(35)에 발음 파라미터를 기입하도록 음악 재생부(15)가 동작한다. 이것에 의해, 악음의 실시간 발음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코더(36)는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로부터의 파형 데이터를 복호하도록 작동된다. 요컨대,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에 파형 데이터를 공급하여 채울 필요가 있다. 음악 재생부(15)는 예컨대 게임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1)(또는 101)에 탑재된다. 음악 재생부(15)의 실시간 발음 기능에 의해, 휴대전화(1)는 게임 이벤트에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효과음을 발생할 수 있다.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32)는 시퀀스 데이터 IRQ 플래그(S-IRQ)를 출력하여,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32) 내에 남아있는 시퀀스 데이터량이 소정량 이하로 감소하고 있는 것을 IRQ 제어부(39)에 통지한다. 혹은,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는 파형 데이터 IRQ 플래그(W-IRQ)를 출력하여,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 내에 남아있는 파형 데이터량이 소정량 이하가 된 것을 IRQ 제어부(39)에 통지한다. 상기 시퀀스 데이터 IRQ 플래그 및/또는 파형 데이터 IRQ 플래그를 받으면, IRQ 제어부(39)는 시스템 CPU(10)에 대해 IRQ 신호를 발한다. 그 IRQ 신호를 받으면, 시스템 CPU(10)는 제1 레지스터군(31)의 상태 레지스터에 기억된 시퀀스 데이터 IRQ 플래그 및/또는 파형 데이터 IRQ 플래그를 참조하여, IRQ 발생 원인을 조사하여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시퀀스 데이터 IRQ 플래그 설정에 의해, 시스템 CPU(10)는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32)에서 시퀀스 데이터가 부족한 것을 검출하여, 소정량, 즉 24 바이트(= 32 바이트 - 8 바이트)의 시퀀스 데이터의 전송을 한다. 그 시퀀스 데이터의 후속 부분이 시스템 RAM(11)이나 시스템 ROM(12)으로부터 독출되어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32)에 전송된다.
파형 데이터 IRQ 플래그 설정에 의해, 시스템 CPU(10)는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에서 파형 데이터가 부족한 것을 검출하여, 소정량, 즉 256 바이트(= 384 바이트 - 128 바이트)의 파형 데이터의 전송을 한다. 그 파형 데이터의 후속 부분이 시스템 RAM(11)이나 시스템 ROM(12)으로부터 독출되어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에 전송된다. 한편, 시스템 CPU(10)는 즉시 24 바이트의 시퀀스 데이터 전송 및/또는 256 바이트의 파형 데이터 전송을 할 필요는 없다. 또한, 시스템 CPU(10)는 24 바이트의 시퀀스 데이터의 모두 및/또는 256 바이트의 파형 데이터 모두를 전송할 필요도 없다. 즉, 시퀀스 데이터 및/또는 파형 데이터의 전송은 음악 재생부(15)가 중단 없이 악음의 재생을 계속할 수 있는 타이밍과 양으로 행해진다.
상기 시퀀스 데이터 및/또는 파형 데이터의 전송을 인터럽트 처리로 행할 수도 있다. 시스템 CPU(10)가 소정 주기로 시퀀스 데이터 Full 플래그, 시퀀스 데이터 IRQ 플래그, 파형 데이터 Full 플래그, 파형 데이터 IRQ 플래그를 제1 레지스터군(31)의 상태 레지스터에 액세스하여 독출하는 경우에는, 인터럽트 처리에 의하지 않고 시퀀스 데이터 및/또는 파형 데이터의 전송을 할 수 있다. 그 경우, IRQ 제어부(39)를 음악 재생부(15)로부터 제외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에 나타내는 음악 재생부(15)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시퀀서(34)는 시스템 CPU(10)가 발한 재생 시작 지시를 검출하여 재생을 시작한다. 시스템 CPU(10)가 재생 시작 지시를 발하는 것은 사용자가 휴대전화(1 또는 101)의 재생키를 조작하여 음악이나 배경음악(BGM)의 재생을 시작하는 경우나, 휴대전화가 착신통지를 받아 착신음(또는 착신 멜로디)의 재생을 시작하는 경우이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전화의 보류키를 조작하여 보류음의 재생을 시작하는 경우에도, 시스템 CPU(10)는 재생 시작 지시를 발한다.
악음의 재생을 시작하는 경우, 시퀀서(34)는 제1 노트 데이터 및 제1 지속기간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시퀀스 데이터의 선두 부분을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32)로부터 독출하여, 그 제1 노트 데이터에 포함되는 파형 번호를 제1 레지스터군(31)의 파형 번호 레지스터에 기입한다. 이것에 의해, 파형 번호로 지정된 파형 데이터가 시스템 CPU(10)의 제어 하에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에 기입된다. 이것으로서, 음악 재생부(15)는 악음의 재생 시작 준비를 완료한다. 제1 지속기간 데이터에 근거하는 발음 시작 타이밍에서, 시퀀서(34)는 디코더(36)를 제어하여 파형 데이터의 복호를 시작한다. 동시에, 시퀀서(34)는 다음 지속기간 데이터 및 다음 노트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시퀀스 데이터의 다음 부분을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32)로부터 독출한다. 상기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디코더(36)는 순차 파형 데이터를 복호하여 PCM 파형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 PCM 파형 데이터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7)에 의해 아날로그 파형신호로 변환되어, 이 아날로그 파형신호에 따라 적절한 소리가 재생된다. 재생음이 음악 또는 착신음(또는 착신 멜로디)인 경우, 스피커(23)에 의해 재생음을 발생한다. 재생음이 BGM 또는 보류음인 경우, 믹서(38)에 의해 재생음은 음성 처리부(14)로부터의 수화신호와 혼합되어, 그 혼합음이 스피커(22)에 의해 발생된다. 보류음의 경우, 수화신호는 믹서(38)에서 소음(消音)되기 때문에, 보류음만이 스피커(22)로부터 발생된다.
제1 노트 데이터의 복호중,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에 기억된 파형 데이터량이 소정량(예컨대, 128 바이트) 이하로 감소하면,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는 파형 데이터 IRQ 플래그(W-IRQ)를 발하여, 제1 레지스터군(31)의 상태 레지스터에 설정한다. 파형 데이터 IRQ 플래그는 IRQ 제어부(39)에도 보내져, 시스템 CPU(10)에 대해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 내의 파형 데이터의 부족 이벤트를 통지한다. 파형 데이터 IRQ 플래그에 응하여, 시스템 CPU(10)는 파형 데이터 레지스터를 통해 파형 데이터의 다음 부분을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에 기입한다. 그 결과,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의 기억 용량이 비교적 작더라도, 악음의 고품질 재생에 필요한 많은 파형 데이터를 중단 없이 재생할 수 있다.
제1 노트 데이터의 게이트 타임에 근거하는 발음기간의 종료시간에 이르면, 시퀀서(34)는 디코더(36)에 의한 파형 데이터의 복호를 정지함으로써, 재생음도 정지한다. 동시에, 시퀀서(34)는 게이트 타임 END 플래그(GEND)를 상태 레지스터에 설정하는 동시에,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32) 내에서 제1 지속기간 데이터 및 제1 노트 데이터를 클리어 한다. 다음에, 시퀀서(34)는 제2 노트 데이터에 포함되는 파형 번호를 파형 번호 레지스터에 기입하고, 시스템 CPU(10)는 그 파형 번호로 지정된 파형 데이터를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에 기입한다. 그 후,시퀀서(34)는 제2 지속기간 데이터에 근거하는 발음기간의 시작 타이밍까지 대기한다. 그 발음기간의 시작 타이밍에 이르면, 시퀀서(34)는 디코더(36)를 제어하여 제2 노트 데이터에 근거하는 파형 데이터의 복호를 시작하게 한다. 동시에, 시퀀서(34)는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32)로부터 제3 지속기간 데이터 및 제3 노트 데이터를 독출한다. 상기 동작은 시퀀스 데이터의 종료까지, 또는 사용자가 휴대전화의 종료키를 조작하여 재생을 정지할 때까지 반복된다. 그때까지, 휴대전화는 시퀀스 데이터에 따라 재생음을 계속적으로 발생한다.
시퀀스 데이터에 근거하는 파형 데이터의 재생의 진행에 의해,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32)에 기억된 시퀀스 데이터량이 소정량(예컨대, 8 바이트) 이하로 감소하면,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32)는 시퀀스 데이터 IRQ 플래그(S-IRQ)를 발하여 제1 레지스터군(31)의 상태 레지스터에 설정한다. 동시에, 시퀀스 데이터 IRQ 플래그는 IRQ 제어부(39)에도 보내져, 시스템 CPU(10)에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32)내의 시퀀스 데이터 부족 이벤트를 통지한다. 시퀀스 데이터 IRQ 플래그에 응하여, 시스템 CPU(10)는 시퀀스 데이터 레지스터를 통해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32)에 시퀀스 데이터의 다음 부분을 기입한다. 그 결과,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32)의 기억 용량이 비교적 작더라도, 장시간 재생에 필요한 많은 시퀀스 데이터를 중단 없이 재생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음악 재생부(15)의 전기적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악 재생부(15)는 단일 악곡의 시퀀스 데이터에 따라 4채널의 파형 데이터를 동시에 재생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시퀀스 데이터는 4 채널의 파형 데이터의 동시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소정의 포맷을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실시예에 의한 음악 재생부(15)는 4 채널의 파형 데이터의 동시 재생을 확보한다. 단일의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33)를 사용하는 도 3의 음악 재생부(15)와 달리, 도 4의 음악 재생부(15)는 4개의 채널(Ch1, Ch2, Ch3, Ch4)에 각기 대응하여 4개의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133a, 133b, 133c, 133d)를 포함한다. 또한, 디코더(36)는 시분할 다중(TDM)에 따라 4 채널의 파형 데이터를 복호한다.
다음에, 도 5를 참조하여 시퀀스 데이터의 포맷의 일례에 관해 설명한다. 여기서, 시퀀스 데이터는 교대로 배치된 지속기간 데이터와 노트 데이터(또는 발음 데이터)로 구성된다. 지속기간 데이터는 1 바이트 또는 2 바이트로 구성되어, 다음 노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재생음의 시작까지의 시간 간격을 나타낸다. 노트 데이터는 2 바이트로 이루어져, 4개의 발음 채널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2 비트의 채널 번호(Ch-No), 64 음색 안의 하나의 파형 데이터를 지정하는 6 비트의 파형 번호(WAVE-No), 및 8 비트의 게이트 타임으로 구성된다. 게이트 타임은 노트 데이터에 근거하는 재생음의 노트 길이를 나타내는 시간 데이터에 해당한다.
도 5에 나타내는 상기 시퀀스 데이터의 포맷은 4 채널의 파형 데이터를 동시 재생할 수 있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악 재생부(15)뿐만 아니라,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악 재생부(15), 즉 동시 재생음 수가 '1'로 설정되어 있는 단음 음악 재생부에도 적용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악 재생부(15)는 동시에 하나의 소리밖에 재생할 수 없기 때문에, 노트 데이터에 포함되는 채널 번호는 무시된다.
도 5는 발음 데이터로서 발음의 시작과 종료 및 발생해야 할 악음에 대응하는 파형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노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시퀀스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낸다. 노트 데이터 이외에, 음량 제어 등의 음량 데이터의 기술을 시퀀스 데이터에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원래 노트 데이터의 시간 간격을 나타내는 것인 지속기간 데이터를 변경하여 여러 가지 데이터의 시간 간격을 나타내도록 해야 한다.
도 6a, 6b는 지속기간 데이터와 노트 데이터간의 시간 관계를 나타낸다. 즉, 도 6a에 나타내는 시간 관계의 제1 예에서는, 지속기간 데이터가 채널 1(Ch1)에 관한 노트 데이터의 시간 간격을 나타내고 있고, 노트는 같은 시간선 상에서 중복하는 일없이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지속기간 데이터 1은 노트 데이터 1의 시작 타이밍까지의 시간 간격을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지속기간 데이터 2는 노트 데이터 1과 노트 데이터 2의 시작 타이밍 사이에 경과된 시간 간격을 나타내고, 지속기간 데이터 3은 노트 데이터 2와 노트 데이터 3(도시 생략)의 시작 타이밍 사이에 경과된 시간 간격을 나타낸다.
도 6b에 나타내는 시간 관계의 제2 예에서는, 지속기간 데이터가 다른 채널의 노트 데이터의 시간 간격을 나타내고, 노트는 그 다른 채널 사이에서 서로 부분적으로 중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지속기간 데이터 1은 채널 1의 노트 데이터 1의 시작 타이밍까지의 시간 간격을 나타내고, 지속기간 데이터 2는 시간 축에서 서로 부분적으로 중복하는 채널 1의 노트 데이터 1과 채널 2의 노트 데이터 2의 시작 타이밍 사이의 시간 간격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지속기간 데이터 3은 시간 축에서 서로 부분적으로 중복하는 채널 2의 노트 데이터 2와 채널 3의 노트 데이터 3의 시작 타이밍 사이의 시간 간격을 나타낸다.
다음에, 시퀀스 데이터 및 파형 데이터를 기억하는 시스템 RAM(11)의 맵에 관해 설명한다.
기억되어야 하는 시퀀스 데이터의 악곡 수는 시스템 RAM(11)의 기억 용량에 의존한다. 이 때문에, 시스템 RAM(11)의 기억 용량이 클수록 많은 시퀀스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도 7에서, 시스템 RAM(11)은 다수 세트의 시퀀스 데이터, 즉 각기 다른 악곡에 대응하는 시퀀스 데이터 1, 시퀀스 데이터 2, ···를 기억한다. 각 시퀀스 데이터에는 다른 어드레스에 연속하여 배치되는 다수 조의 지속기간 데이터와 노트 데이터가 포함된다. 예컨대, 시퀀스 데이터 1의 경우, 지속기간 데이터 1은 어드레스 m에 배치되고, 노트 데이터 1은 어드레스 m+1에 배치되고, 지속기간 데이터 2는 어드레스 m+2에 배치되며, 노트 데이터 2는 어드레스 m+3에 배치된다. 요컨대, 시퀀스 데이터 내에서 지속기간 데이터와 노트 데이터는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시스템 CPU(10)는 어느 정도의 시퀀스 데이터가 음악 재생부(15)에 이미 전송되었는지에 관해 관리하고 있다. 시퀀스 데이터의 전송 관리는 도 7의 시퀀스 데이터에 따라 이동(혹은 스크롤)하는 포인터 1에 의해 지시된다. 즉, 포인터 1은 음악 재생부(15)에 이미 전송된 시퀀스 데이터의 최종 어드레스를 지정한다.
시스템 RAM(11)에는 재생되는 시퀀스 데이터에 포함되는 파형 번호로 지정되는 적어도 최저 수의 파형 데이터가 기억된다. 단일 악곡의 시퀀스 데이터는 최대64 종류의 파형 데이터(즉, 64 음색)를 지정할 수 있기 때문에, 파형 번호는 64의 아이템 중에서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6 비트로 구성된다. 이 때문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스템 RAM(11)에는 64개의 파형 데이터, 즉 파형 데이터 1 내지 파형 데이터 64가 기억된다. 파형 데이터는 ADPCM 인코더에 의해 4 비트 샘플로 압축된다. 압축된 파형 데이터의 2개의 샘플이 시스템 RAM(11)의 같은 어드레스에 기억된다. 각 어드레스의 기억위치는 1 바이트 영역(또는 8 비트 영역)을 지정하고 있으며, 그 영역은 2개의 섹션, 즉 LSB에서 4번째 비트까지의 제1 섹션과 5번째 비트에서 MSB까지의 제2 섹션으로 분할된다. 예컨대, 어드레스 n에서는 그 제1 섹션에 파형 데이터의 제1 샘플 D1을 기억하는 한편, 제2 섹션에 파형 데이터의 제2 샘플 D2를 기억한다. 마찬가지로, 이어지는 어드레스(예컨대, 어드레스 n+1) 각각에 2개의 샘플이 기억된다.
시스템 CPU(10)는 어느 정도의 파형 데이터가 이미 음악 재생부(15)에 전송되었는지에 관해서도 관리하고 있다. 파형 데이터의 전송 관리는 각각의 채널에 관한 포인터에 의해 지시된다. 즉, 포인터 2는 채널 1(Ch-1)에 관해 음악 재생부(15)에 이미 전송된 파형 데이터의 최후의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포인터 3은 채널 2(Ch-2)에 관해 음악 재생부(15)에 이미 전송된 파형 데이터의 최후의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또한, 포인터 4는 채널 3(Ch-3)에 관해 전송된 파형 데이터의 최후의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포인터 5는 채널 4(Ch-4)에 관해 전송된 파형 데이터의 최후의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단음'의 음악 재생부(15)를 사용한 제1 실시예에서는, 단일 채널에 관해 전송된 파형 데이터의 최후의 어드레스를나타내는 포인터를 하나만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휴대전화(1)의 시스템 RAM(11)은 통신회선을 통해 외부장치(20)와 접속되어 있고, 외부장치(20)로부터 다운로드 된 시퀀스 데이터 및 파형 데이터를 기억한다. 시스템 RAM(11)에 다운로드 된 데이터만을 기억시킬 필요는 없다. 요컨대, 상기의 기억 포맷으로써 미리 설정된 시퀀스 데이터 및 파형 데이터를 미리 기억할 수 있으면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제2 실시예에서, 음악 재생부(15)는 CPU 인터페이스(CPU I/F)(130), 제1 레지스터군(131),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132), 4개의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133a∼133d), 시퀀서(134), 제2 레지스터군(REG)(135), TDM 동작하는 디코더(136),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137), 믹서(138) 및 IRQ 제어부(139)로 구성된다. 기본적으로, 제2 실시예의 음악 재생부의 상기 부분은 도 3에 나타내는 제1 실시예의 음악 재생부와 같이 동작한다. 제2 실시예의 음악 재생부(15)는 4개의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138a∼133d)를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어, 그것들에 의해 4개 채널의 악음의 동시 재생이 실현된다. 이하, 제2 실시예의 음악 재생부(15)에 관해, 특히 4개 채널의 악음의 동시 재생용 4개의 메모리의 동작과 관련시켜 설명한다.
시스템 CPU(10)에 의해 도 4에 나타내는 음악 재생부(15)에 대해 재생 시작 지시가 발생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시퀀서(134)는 재생 시작 지시의 검출에 의해 재생을 시작한다. 시스템 CPU(10)가 재생 시작 지시를 발하는 것은 사용자가 휴대전화(1)(또는 101)의 재생키를 조작하여 음악이나 BGM의 재생을 시작하는 경우, 혹은 휴대전화가 착신을 받아 착신 멜로디 재생을 시작하는 경우이다. 또한,시스템 CPU(10)는 사용자가 휴대전화의 보류키를 조작하여 보류음의 재생을 시작하는 경우에도 재생 시작 지시를 발한다.
음악재생을 시작하는 경우, 시퀀서(134)는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132)에 액세스하여 지속기간 데이터 및 노트 데이터로 이루어진 시퀀스 데이터를 독출한다. 그 후, 시퀀서(134)는 노트 데이터에 포함되어 파형 데이터를 지정하는 파형 번호를 추출하여, 그것들을 발음 채널을 나타내는 채널번호와 함께 제1 레지스터군(131) 내의 파형 번호 레지스터에 기입한다. 시스템 CPU(10)의 제어 하에, 각 파형 번호로 지정되는 각 파형 데이터는 대응하는 채널 번호로 지정되는 4개의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133a∼133d) 중 하나에 기입된다. 다음에, 도 6b에 나타내는 시퀀스 데이터를 취급하는 도 4의 음악 재생부(15)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6b에서, 노트 데이터 1은 그 악음 발생용 발음 채널인 채널 1(Ch1)에 할당된다. 따라서, 노트 데이터 1은 채널 1의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133a)에 기입되어, 그 노트 데이터 1에 관해 재생 시작 준비가 완료된다. 이에 따라, 시퀀서(134)는 지속기간 데이터 1에 근거하는 노트 데이터 1의 시작 타이밍까지 대기한 후, 디코더(136)를 제어하여 노트 데이터 1에 의해 지정된 파형 데이터의 복호를 시작한다. 따라서, 디코더(136)는 채널 1에 관해 파형 데이터의 복호를 시작한다. 파형 데이터의 복호 결과에 근거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37)는 채널 1의 아날로그 악음신호를 출력한다. 동시에, 시퀀서(134)는 다음 지속기간 데이터 2 및 노트 데이터 2를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132)로부터 독출한다.
노트 데이터 1에 의해 지정된 파형 데이터의 복호중, 채널 1의 파형 데이터FIFO 메모리(133a)에 기억된 파형 데이터량이 소정량(예컨대, 128 바이트)이하로 감소하면,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133a)는 파형 데이터 IRQ 플래그(W-IRQ)를 발하여, 제1 레지스터군(131) 내의 상태 레지스터에 설정한다. 동시에, 파형 데이터 IRQ 플래그는 IRQ 제어부(139)에도 보내져,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133a)에서 파형 데이터의 부족이 생긴 것을 시스템 CPU(10)에 통지한다. 이것에 의해, 시스템 CPU(10)는 제1 레지스터군(131) 내의 파형 데이터 레지스터를 통해 채널 1의 파형 데이터의 다음 부분을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133a)에 공급한다. 그 결과,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133a)의 기억 용량이 비교적 작더라도 고품질 재생에 필요한 많은 파형 데이터를 중단 없이 재생할 수 있다.
지속기간 데이터 2 및 노트 데이터 2를 독출한 후, 시퀀서(134)는 노트 데이터 2에 포함되어 파형 데이터를 지정하는 파형 번호를 노트 데이터 2의 발음 채널인 채널 2를 지정하는 채널 번호와 함께 파형 번호 레지스터에 기입한다. 시스템 CPU(10)의 제어 하에, 지정된 파형 데이터는 채널 2의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133b)에 기입한다. 이것에 의해, 시퀀서(134)는 지속기간 데이터 2에 근거하는 노트 데이터 2의 시작 타이밍까지 대기한 후, 디코더(136)를 제어하여 노트 데이터 2에 의해 지정된 파형 데이터의 복호를 시작한다. 디코더(136)는 채널 2에 관해 파형 데이터의 복호를 시작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37)에 의해 채널 2의 아날로그 악음신호가 출력된다. 동시에, 시퀀서(134)는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132)로부터 다음 지속기간 데이터 3 및 노트 데이터 3을 독출한다.
디코더(136)가 TDM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채널 1의 파형 데이터나 채널 2의파형 데이터에 관해 TDM으로 복호가 행해진다. 이 때문에, 디코더(136)는 TDM으로 2개 채널의 PCM 파형 데이터를 출력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37)는 두 채널의 PCM 파형 데이터를 아날로그 악음신호로 변환한다. 이것에 의해, 휴대전화는 채널 1 및 채널 2의 파형 데이터의 혼합에 따라 다음(多音) 합성음을 발생한다.
지속기간 데이터 3 및 노트 데이터 3을 독출한 후, 시퀀서(134)는 노트 데이터 3에 포함되어 파형 데이터를 지정하는 파형 번호를 노트 데이터 3의 발음 채널인 채널 3을 지정하는 채널 번호와 함께 파형 번호 레지스터에 기입한다. 시스템 CPU(10)의 제어 하에, 지정된 파형 데이터는 채널 3의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133c)에 기입된다. 시퀀서(134)는 지속기간 데이터 3에 따라 노트 데이터 3의 시작 타이밍까지 대기한다. 노트 데이터 3의 시작 타이밍이 되기 전에 시퀀서(134)에 게이트 타임 1에 근거하는 노트 데이터 1의 종료 타이밍이 도래한다. 즉, 시퀀서(134)는 디코더(136)에 채널 1의 파형 데이터의 복호를 정지시킴으로써, 음악 재생부(15)는 채널 1의 음 발생을 정지한다. 동시에, 시퀀서(134)는 게이트 타임 END 플래그(GEND)를 제1 레지스터군(131) 내의 상태 레지스터에 설정하는 한편,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132) 내에서 지속기간 데이터 1 및 노트 데이터 1을 클리어 한다.
그 후, 지속기간 데이터 3에 근거하는 노트 데이터 3의 시작 타이밍이 되면, 시퀀서(134)는 디코더(136)에 노트 데이터 3으로 지정된 파형 데이터의 복호를 시작한다. 이것에 의해, 디코더(136)는 채널 3의 파형 데이터의 복호를 시작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37)는 채널 3의 아날로그 악음신호를 출력한다. 동시에,시퀀서(134)는 다음 지속기간 데이터 4 및 노트 데이터 4(도시 생략)를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132)로부터 독출하고, 상기의 동작을 반복한다.
상기와 같이, 시퀀스 데이터의 다수 조의 지속기간 데이터 및 노트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노트 데이터에 의해 파형 데이터 및 발음 채널이 지정된다. 노트 데이터에 의해 지정된 파형 데이터의 복호중, 지정된 발음 채널의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에 기억된 파형 데이터량이 소정량(예컨대, 128 바이트) 이하로 감소하면, 이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는 파형 데이터 IRQ 플래그(W-IRQ)를 발하여, 제1 레지스터군(131) 내의 상태 레지스터에 설정한다. 동시에, 파형 데이터 IRQ 플래그는 IRQ 제어부(139)에도 보내져,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에서 파형 데이터가 부족한 것을 시스템 CPU(10)에 통지한다. 이것에 의해, 시스템 CPU(10)는 지정된 발음 채널에 관해 파형 데이터 레지스터를 통해 파형 데이터의 다음 부분을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에 기입한다. 그 결과, 각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133a∼133d)의 기억 용량이 비교적 작더라도, 고품질 재생에 필요한 많은 파형 데이터를 중단 없이 재생할 수 있다.
시퀀스 데이터에 근거하는 파형 데이터 재생의 진행에 의해,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132)에 기억된 시퀀스 데이터량이 소정량(예컨대, 8 바이트) 이하로 감소하면,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132)는 시퀀스 데이터 IRQ 플래그(S-IRQ)를 발하여, 제1 레지스터군(131) 내의 상태 레지스터에 설정한다. 동시에, 시퀀스 데이터 IRQ 플래그는 IRQ 제어부(139)에도 보내져,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132) 내에서 시퀀스 데이터가 부족한 것을 시스템 CPU(10)에 통지한다. 이것에 의해,시스템 CPU(10)는 시퀀스 데이터 레지스터를 통해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132)에 시퀀스 데이터의 다음 부분을 기입한다. 그 결과,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132)의 기억 용량이 비교적 작더라도, 장시간 재생에 필요한 많은 시퀀스 데이터를 중단 없이 재생할 수 있다.
상기의 재생 처리가 시퀀스 데이터의 종료까지, 혹은 사용자가 휴대전화의 종료키를 조작하여 재생을 정지할 때까지 반복된다. 그때까지, 휴대전화는 시퀀스 데이터에 따라 음악 재생을 계속한다.
재생음을 음악이나 착신음(또는 착신 멜로디)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스피커(23)에 의해 그 재생음이 발생된다. 재생음을 BGM이나 보류음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믹서(138)에 의해 음성 처리부(14)로부터의 수화신호와 혼합되어, 스피커(22)에 의해 그 재생음과 수화의 합성음이 발생된다. 보류음의 경우, 믹서(138)에 의해 수화신호가 소음되기 때문에, 스피커(22)는 재생음으로서 보류음만을 발생한다.
다음에, 시스템 CPU(10)에 의해 실행되어 음악 재생부(15)의 음악재생처리를 보조하는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은 음악재생처리를 보조하는 메인 처리를 나타낸다. 우선, 시스템 CPU(10)는 휴대전화(1)의 표시부(18) 스크린 상에서 사용자에게 악곡을 선택하게 하는 선곡 동작을 한다. 다른 목적용으로 네 종류의 선곡 동작이 제공된다. 즉, 제1 선곡 동작에 의해 사용자는 착신 멜로디를 발생하는 착신통보용 악곡을 선택하고, 제2 선곡 동작에 의해 사용자는 보류키에 의해 지정된 보류음 발생용 악곡을 선택하고, 제3 선곡 동작에 의해 사용자는 수화와 혼합된BGM을 발생하는 BGM 재생용 악곡을 선택하며, 제4 선곡 동작에 의해 사용자는 음악 재생용 악곡을 선택한다. 단계 S1에서, 사용자가 상기 선곡 동작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지가 판정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기 다른 목적용의 악곡을 지정하는 악곡 번호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선곡 동작이 행해진 것을 시스템 CPU(10)가 단계 S1에서 검출하면, 흐름은 단계 S2로 진행하여, 4개의 용도(즉, 착신 통보, 보류음 발생, BGM 재생 및 음악 재생) 각각에 관해 선택한 악곡 번호를 시스템 RAM(11)에 기억한다. 그 후, 흐름은 단계 S3으로 진행한다. 시스템 CPU(10)가 사용자의 선곡 동작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 단계 S2를 건너뛰고 흐름은 직접 단계 S3으로 진행한다. 단계 S3에서, 재생이 시작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재생 시작은 사용자에 의해 휴대전화의 재생키가 조작되어 BGM 또는 음악 재생을 시작했을 때 검출된다. 착신 통보의 경우, 재생 시작은 휴대전화가 착신신호를 수신했을 때 검출된다. 보류음 발생의 경우, 재생 시작은 사용자가 휴대전화의 보류키를 조작했을 때 검출된다.
단계 S3에서 재생 시작이 검출되면, 흐름은 단계 S4로 진행하여, 시스템 CPU(10)가 시퀀스 데이터의 선두 부분을 음악 재생부(15)에 전송한다. 즉, 시스템 CPU(10)는 특정 용도, 즉 착신 통보, 보류음 발생, BGM 재생 또는 음악 재생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악곡 번호에 관련하여 시퀀스 데이터의 전송을 한다. 우선, 시스템 CPU(10)는 시퀀스 데이터의 선두 부분의 수 바이트만을 음악 재생부(15)의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에 전송한다. 단계 S5에서, 시스템 CPU(10)는 시퀀서 시작 지시 전송 처리를 실행하여 시퀀서 시작 지시 데이터를 음악 재생부(15)의 시퀀서 제어 레지스터에 기입한다. 시퀀서 시작 지시 데이터의 기입에 의해, 시스템 CPU(10)는 상기 단계 S3에서 검출된 특정 용도용 악곡의 재생을 시작한다. 시스템 CPU(10)가 단계 S3에서 4개의 용도 중 어느 것에 관해서도 재생 시작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 흐름은 단계 S4 및 S5를 건너뛴다.
단계 S6에서, 재생이 정지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재생 정지는 사용자가 휴대전화의 종료키를 조작하여 BGM 또는 음악의 재생을 정지하였을 때 검출된다. 착신 통보의 경우, 재생 정지는 사용자가 휴대전화의 통화키를 조작하였을 때 검출된다. 보류음 발생의 경우, 재생 정지는 사용자가 휴대전화의 보류 해제키를 조작하였을 때 검출된다. 시스템 CPU(10)가 단계 S6에서 4개의 용도 중 어느 것에 관해서도 재생 정지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 흐름은 단계 S7로 진행하여, 시스템 CPU(10)는 상태 레지스터 독출 처리를 실행하여 음악 재생부(15)의 상태 레지스터의 데이터를 읽는다. 단계 S8에서, 상태 레지스터에 설정되어 있고 시스템 CPU(10)에서 독출되는 END 플래그를 참조하여, 시퀀스 데이터의 재생이 완료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END 플래그가 음악 재생부(15)의 상태 레지스터에 설정되어 있고, 시퀀스 데이터의 재생이 완료한 것을 시스템 CPU(10)가 검출하면, 흐름은 단계 S9로 진행하여, 시스템 CPU(10)에 의해 시퀀서 정지 지시 전송 처리가 실행되고 음악 재생부(15)의 시퀀서 제어 레지스터에 시퀀서 정지 지시 데이터가 기입된다. 시퀀서 정지 지시 데이터를 기입함으로써, 시스템 CPU(10)는 음악 재생부(15)의 내부회로의 동작을 정지한다. 따라서, 시스템 CPU(10)는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나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 내에 기억된 여러 가지 플래그나 데이터를 클리어 한다. 단계 S8에서 시퀀스 데이터의 재생 완료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 시스템 CPU(10)는 메인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6에서 재생 정지가 검출되면, 흐름은 직접 단계 S9로 진행하여, 시스템 CPU(10)는 시퀀서 정지 지시 전송 처리를 실행하고, 음악 재생부(15)의 시퀀서제어 레지스터에 시퀀서 정지 지시 데이터를 기입한다. 이것에 의해, 시스템 CPU(10)는 음악 재생부(15)의 재생 처리를 정지하고 메인 처리를 종료한다.
도 9는 시스템 CPU(10)에 의해 실행되어 음악 재생부의 음악 재생 처리를 보조하는 IRQ 처리를 나타낸다. 즉, 시스템 CPU(10)는 IRQ 신호(또는 IRQ 플래그)를 받아 IRQ 처리를 시작한다.
IRQ 신호를 받으면, 흐름은 단계 S11로 진행하여, 시스템 CPU(10)는 상태 레지스터 독출 처리를 실행하여 음악 재생부(15)의 상태 레지스터의 데이터를 읽는다. 단계 S12에서, 시퀀스 데이터 IRQ 플래그가 상태 레지스터에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시퀀스 데이터 IRQ 플래그가 상태 레지스터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 IRQ의 원인을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 내의 시퀀스 데이터의 부족으로서 특정할 수 있다. 단계 S13에서, 시스템 CPU(10)는 시퀀스 데이터 전송 처리를 실행하여 소정량의 시퀀스 데이터(예컨대,24 바이트)를 음악 재생부(15)의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에 전송한다. 그 후, 흐름은 단계 S14로 진행한다. 단계 S12에 있어서 시퀀스 데이터 IRQ 플래그가 상태 레지스터에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을 시스템 CPU(10)가 검출하면, 흐름은 단계 S13을 건너뛰고 직접 단계 S14로 진행한다.
단계 S14에서, 파형 데이터 IRQ 플래그가 상태 레지스터에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상태 레지스터에 파형 데이터 IRQ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IRQ의 원인은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 내의 파형 데이터의 부족이라고 특정할 수 있다. 단계 S15에서, 게이트 타임 END 플래그 GEND가 상태 레지스터에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단계 S15에서 게이트 타임 END 플래그 GEND가 상태 레지스터에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을 시스템 CPU(10)가 검출한 경우, 흐름은 단계 S16으로 진행한다. 여기서는, 파형 데이터 IRQ 플래그가 상태 레지스터에 설정되어 있고, 단계 S14에서 검출되기 때문에, 파형 데이터 전송 처리가 실행되어 소정량의 파형 데이터(예컨대, 256 바이트)가 음악 재생부(15)의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에 전송된다. '전송하는' 파형 데이터를 특정하기 위해서, 시스템 CPU(10)는 음악 재생부(15)의 파형 번호 레지스터의 내용을 참조하여 파형 데이터 전송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 S15에서 게이트 타임 END 플래그가 상태 레지스터에 설정되어 있는 것이 검출된 경우, 상태 레지스터에 설정된 파형 데이터 IRQ 플래그가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 내에서의 파형 데이터의 부족을 나타내고 있다고 해도 시스템 CPU(10)는 단계 S16의 파형 데이터 전송 처리를 건너뛰고 즉시 IRQ 처리를 종료한다. 왜냐하면, 게이트 타임(즉, 발음기간 또는 노트 길이)의 종료에 의해 게이트 타임 END 플래그가 상태 레지스터에 설정될 때에는, 더 파형 데이터를 재생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고, 바꾸어 말하면,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에 대해 더 파형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단계 S14에서 파형 데이터 IRQ 플래그가 상태 레지스터에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이 검출된 경우, 파형 데이터 전송 처리를 실행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시스템 CPU(10)는 즉시 IRQ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악재생장치에 의해 음악 재생 처리가 실행되어, 4개의 용도에 관련되어 선택된 악곡이 재생된다. 즉, 휴대전화가 착신신호를 수신한 경우, 음악재생장치는 착신음(또는 착신 멜로디)으로서 악곡을 재생한다. 사용자가 휴대전화의 보류키를 조작한 경우, 음악재생장치는 보류음으로서 악곡을 재생한다. 사용자가 휴대전화의 재생키를 조작한 경우, 음악재생장치는 BGM 또는 음악으로서 악곡을 재생한다. 상기의 경우, 음악재생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4개의 용도에 각기 대응하여 선택된 악곡을 재생한다. 여기서, 4개의 용도, 즉 착신 통보, 보류음 발생, BGM 재생 및 음악 재생의 각각에 대해 독립하여 다른 악곡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휴대전화에 의해 사용자는 선곡 동작을 수시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4개의 용도 각각에 대응하여 재생되는 악곡을 수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시스템 CPU(10)의 처리는 주로 전화 기능 처리(이것에 관해서는 도면으로써 설명하지 않고 있다)에 점유되어 있고, 음악 재생 처리를 보조하는 도 8 및 도 9의 처리에 관해서는 처리 부하가 조금밖에 필요하지 않다. 이 때문에, 상기 음악 재생 보조 처리를 전화 기능 처리와 함께 실행하더라도, 휴대전화에 시스템 CPU(10)로서 고속 CPU를 탑재할 필요는 없다.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는 32 바이트의 시퀀스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해제한된 기억 용량밖에 갖고 있지 않지만, 이것은 단지 일례이고 한정적 사항이 아니다. 즉, 휴대전화는 시스템 RAM(11)에 비해 매우 작은 기억 용량을 갖는 시퀀스 데이터 FIFO 메모리를 필요로 한다. 또한,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는 384 바이트의 파형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해 제한된 기억 용량밖에 갖고 있지 않지만, 이것은 단지 일례이고 한정적 사항이 아니다. 즉, 휴대전화에는 시스템 RAM(11)에 비해 매우 작은 기억 용량을 갖는 파형 데이터 FIFO 메모리를 필요로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발명의 범위 내에서 그 필수사항으로부터 이탈하는 일없이 여러 가지 변경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8)

  1. 악곡 재생 기능을 갖지 않는 동시에 전화 기능 처리를 메인 처리로 하는 시스템 제어수단이 내장된 휴대전화장치에서 악곡 재생을 하는 악곡재생장치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수단;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받은 발음 데이터와 발음 간격 데이터를 포함하는 악곡 데이터를 기억하는 동시에, 기억할 수 있는 악곡 데이터량이 한정되어 있는 기입/독출 가능한 악곡 데이터 기억수단;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받은 파형 데이터를 기억하는 동시에, 기억할 수 있는 파형 데이터량이 한정되어 있는 기입/독출 가능한 파형 데이터 기억수단;
    상기 악곡 데이터 기억수단의 빈 용량과 상기 파형 데이터 기억수단의 빈 용량을 감시하는 감시수단;
    상기 파형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된 파형 데이터에 따라 악음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파형 재생수단; 및
    상기 악곡 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악곡 데이터를 독출하여, 독출된 악곡 데이터에 따라 상기 파형 재생수단이 악음신호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연주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악곡 데이터 기억수단에 소정량의 빈 영역이 발생하였을 때, 상기 감시수단은 상기 시스템 제어수단에 데이터 전송 요구를 통지하고, 상기 시스템 제어수단이 시스템 기억수단에서 독출한 이어지는 악곡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취득하여, 상기 악곡 데이터 기억수단의 상기 빈 영역에 기억하도록 하고,
    상기 파형 데이터 기억수단에 소정량의 빈 영역이 발생하였을 때, 상기 감시수단은 상기 시스템 제어수단에 데이터 전송 요구를 통지하고, 상기 시스템 제어수단이 상기 시스템 기억수단에서 독출한 이어지는 파형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취득하여, 상기 파형 데이터 기억수단의 상기 빈 영역에 기억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곡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된 악곡 데이터의 발음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파형 지정 데이터에 의해 지정된 파형 데이터가 상기 파형 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감시수단이 상기 시스템 제어수단에 데이터 전송 요구를 통지하고, 상기 시스템 제어수단이 상기 시스템 기억수단에서 독출한 상기 파형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취득하여, 상기 파형 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입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재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수단이 상기 데이터 전송 요구를 받으면, 상기 연주 제어수단 내의 플래그 상태를 참조하여, 상기 시스템 기억수단으로부터 이어지는 악곡 데이터를 독출하는지 또는 이어지는 파형 데이터를 독출하는지를 판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재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데이터는 미리 압축되어, 상기 파형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된 상기 파형 데이터가 상기 파형 재생수단에서 복호되어 신장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재생장치.
  5. 전화 기능 처리를 메인 처리로 하는 시스템 제어수단과, 이 시스템 제어수단과 협동하여 악음신호를 재생하는 악곡 재생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시스템 제어수단에 의해 관리되는 동시에, 적어도 악곡 데이터 및 파형 데이터를 기억하는 시스템 기억수단을 구비하는 악곡 재생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악곡 재생수단은,
    인터페이스 수단,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받은 발음 데이터와 발음 간격 데이터를 포함하는 악곡 데이터를 기억하는 동시에, 기억할 수 있는 악곡 데이터량이 한정되어 있는 기입/독출 가능한 악곡 데이터 기억수단,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받은 파형 데이터를 기억하는 동시에, 기억할 수 있는 파형 데이터량이 한정되어 있는 기입/독출 가능한 파형 데이터 기억수단,
    상기 악곡 데이터 기억수단의 빈 용량과 상기 파형 데이터 기억수단의 빈 용량을 감시하는 감시수단,
    상기 파형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된 파형 데이터에 따라 악음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파형 재생수단, 및
    상기 악곡 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악곡 데이터를 독출하여, 독출된 악곡 데이터에 따라 상기 파형 재생수단이 악음신호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연주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악곡 데이터 기억수단에 소정량의 빈 영역이 발생하였을 때, 상기 감시수단은 상기 시스템 제어수단에 데이터 전송 요구를 통지하고, 상기 시스템 제어수단이 시스템 기억수단에서 독출한 이어지는 악곡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취득하여, 상기 악곡 데이터 기억수단의 상기 빈 영역에 기억하도록 하고,
    상기 파형 데이터 기억수단에 소정량의 빈 영역이 발생하였을 때, 상기 감시수단은 상기 시스템 제어수단에 데이터 전송 요구를 통지하고, 상기 시스템 제어수단이 상기 시스템 기억수단에서 독출한 이어지는 파형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취득하여, 상기 파형 데이터 기억수단의 상기 빈 영역에 기억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악곡 데이터 기억수단의 발음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파형 지정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시스템 제어수단은 지정된 파형 데이터를 상기 악곡 재생수단에 전송하고, 전송된 파형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받아, 상기 파형 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입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재생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수단이 상기 데이터 전송 요구를 받으면, 상기 연주 제어수단 내의 플래그 상태를 참조하여, 상기 시스템 기억수단으로부터 이어지는 악곡 데이터를 독출하는지 또는 이어지는 파형 데이터를 독출하는지를 판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재생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데이터는 미리 압축되어, 상기 파형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된 상기 파형 데이터가 상기 파형 재생수단에서 복호되어 신장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재생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악곡 데이터 및 상기 파형 데이터를 각기 통신에 의해 다운로드 하여 상기 시스템 기억수단에 기억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재생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
  1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악곡 데이터 기억수단 및 상기 연주 제어수단의 개입 없이, 상기 시스템 제어수단으로부터 공급된 파형 재생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파형 재생수단이 악음신호를 재생하도록 직접 제어를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재생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
  1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악곡 데이터에 의해 지정되는 게이트 타임의 종료 시, 상기 시스템 제어수단은 상기 시스템 기억수단으로부터의 다음의 파형 데이터 독출을 준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재생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
KR10-2002-7012616A 2000-03-28 2001-03-27 휴대전화단말에 적용 가능한 음악재생장치 KR1004605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088204 2000-03-28
JP2000088204A JP3279304B2 (ja) 2000-03-28 2000-03-28 楽曲再生装置および楽曲再生機能を備える携帯電話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248A KR20020084248A (ko) 2002-11-04
KR100460525B1 true KR100460525B1 (ko) 2004-12-08

Family

ID=18604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2616A KR100460525B1 (ko) 2000-03-28 2001-03-27 휴대전화단말에 적용 가능한 음악재생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099704B2 (ko)
EP (1) EP1271467B1 (ko)
JP (1) JP3279304B2 (ko)
KR (1) KR100460525B1 (ko)
CN (1) CN1214360C (ko)
AU (1) AU2001242797A1 (ko)
HK (1) HK1052790B (ko)
TW (1) TW586108B (ko)
WO (1) WO20010737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8609B2 (en) 1999-10-19 2006-07-18 Medialab Solutions Llc Interactive digital music recorder and player
US7176372B2 (en) 1999-10-19 2007-02-13 Medialab Solutions Llc Interactive digital music recorder and player
US9818386B2 (en) 1999-10-19 2017-11-14 Medialab Solutions Corp. Interactive digital music recorder and player
US7548875B2 (en) 2001-06-27 2009-06-16 John Mikkelsen Media delivery platform
US7415291B1 (en) * 2001-09-28 2008-08-19 At&T Delaware Intellectual Property, Inc. Device and method for augmenting cellular telephone audio signals
US7277734B1 (en) * 2001-09-28 2007-10-02 At&T Bls Intellectual Property, Inc.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augmenting cellular telephone audio signals
CN1411311A (zh) * 2001-10-01 2003-04-16 株式会社东芝 移动无线终端设备
US20030096639A1 (en) * 2001-11-16 2003-05-22 Cluff Dean K. Distinctive recordable ringer
EP1326228B1 (en) 2002-01-04 2016-03-23 MediaLab Solu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modifying, interacting with and playing musical compositions
US7076035B2 (en) 2002-01-04 2006-07-11 Medialab Solutions Llc Methods for providing on-hold music using auto-composition
JP3879545B2 (ja) * 2002-03-12 2007-02-14 ヤマハ株式会社 楽曲再生制御装置、楽曲再生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6993285B2 (en) * 2002-04-11 2006-01-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dio buffer processing
JP3778134B2 (ja) * 2002-05-31 2006-05-24 ヤマハ株式会社 楽曲再生装置
JP4039158B2 (ja) * 2002-07-22 2008-01-3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DE10239588A1 (de) * 2002-08-28 2004-03-11 Siemens Ag Telekommunikationsendgerät mit einer Speichereinrichtung zur Speicherung von Akustikeffekt-Daten
US7169996B2 (en) * 2002-11-12 2007-01-30 Medialab Solu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music using data/music data file transmitted/received via a network
US7015389B2 (en) 2002-11-12 2006-03-21 Medialab Solu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modifying, interacting with and playing musical compositions
US7928310B2 (en) 2002-11-12 2011-04-19 MediaLab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ortable audio synthesis
US7400905B1 (en) * 2002-11-12 2008-07-15 Phonebites, Inc. Insertion of sound segments into a voice channel of a communication device
US7054672B2 (en) * 2002-12-02 2006-05-30 Improvista Interactive Music, Inc. Incoming-call signaling melody data transmitting apparatus, method therefor, and system therefor
FR2852778B1 (fr) * 2003-03-21 2005-07-22 Cit Alcatel Terminal de telecommunication
EP1571647A1 (en) * 2004-02-26 2005-09-07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bell sound
TWI238638B (en) * 2004-04-22 2005-08-21 Benq Corp Method and device for multimedia processing
US20060068843A1 (en) * 2004-09-30 2006-03-30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obile audio platform architecture and method thereof
KR100644437B1 (ko) * 2005-03-14 2006-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악 자동 정지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음악 정지방법
US20070027776A1 (en) * 2005-08-01 2007-02-01 Farrow Daniel W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media content
JP4876490B2 (ja) * 2005-09-01 2012-02-15 ヤマハ株式会社 音楽再生装置
US7610044B2 (en) * 2006-02-03 2009-10-27 Dj Nitrogen, Inc. Methods and systems for ringtone definition sharing
KR101005281B1 (ko) * 2010-07-02 2011-01-04 대길산업주식회사 건설폐기물 내의 가연성이물질 선별 및 고순도 제조를 위한 하이브리드형 선별·건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3276A (en) * 1980-12-02 1982-06-10 Toshiba Corp Electronic clock
JPS5915296A (ja) * 1982-07-15 1984-01-26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電子楽器
JPS59125786A (ja) * 1982-12-24 1984-07-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自動演奏装置
US4796014A (en) * 1987-03-24 1989-01-03 Chia Jack T Device for detecting urine in diapers
US5225944A (en) * 1988-03-31 1993-07-06 Seiko Epson Corporation Portable audio apparatus
US5054787A (en) * 1988-11-10 1991-10-08 Selectro-Vision, Ltd. Portable validation unit for gaming system
US5146473A (en) * 1989-08-14 1992-09-08 International Mobile Machines Corporation Subscriber unit for wireless digital subscriber communication system
US5214543A (en) * 1990-01-22 1993-05-25 Seiko Epson Corporation Portable audio apparatus having a power savings device
JPH04168492A (ja) * 1990-10-31 1992-06-16 Brother Ind Ltd 楽音再生装置
FI89993C (fi) * 1991-05-31 1993-12-10 Nokia Mobile Phones Ltd Programmering av installationsdata i en mobiltelefon
US5388992A (en) * 1991-06-19 1995-02-14 Audiological Engineering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actile transduction of acoustic signals from television receivers
US5525748A (en) * 1992-03-10 1996-06-11 Yamaha Corporation Tone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3136797B2 (ja) * 1992-08-31 2001-02-1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音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音データ処理装置
JPH07181967A (ja) * 1993-12-24 1995-07-21 Roland Corp 演奏データ読込装置
JPH07311583A (ja) * 1994-05-17 1995-11-28 Brother Ind Ltd データ伝送装置
US5768628A (en) * 1995-04-14 1998-06-16 Nvidia Corporation Method for providing high quality audio by storing wave tables in system memory and having a DMA controller on the sound card for transferring the wave tables
JP3223756B2 (ja) * 1995-05-23 2001-10-29 ヤマハ株式会社 ミュージックシステムおよび電子楽器
JP3235409B2 (ja) 1995-06-07 2001-12-04 ヤマハ株式会社 ミュージックシステム、音源および楽音合成方法
JP2904088B2 (ja) * 1995-12-21 1999-06-14 ヤマハ株式会社 楽音生成方法および装置
JP2944493B2 (ja) * 1995-12-26 1999-09-06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FI102711B (fi) * 1996-02-23 1999-01-29 Nokia Mobile Phones Ltd Puhelimen soittoäänen määrittely
US5778335A (en) * 1996-02-26 1998-07-0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multiband celp wideband speech and music coding and decoding
US5753844A (en) 1996-05-20 1998-05-19 Yamaha Corporation Music play apparatus with advance resetting for subsequent playing
FI105308B (fi) * 1996-12-30 2000-07-14 Nokia Mobile Phones Ltd Puhelimen soittoäänen ohjelmointi
US5726629A (en) * 1997-02-07 1998-03-10 Yu; Raymond Y. Lighting fixture with motion detector and announcement device
JPH11205432A (ja) * 1998-01-08 1999-07-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装置
US6167251A (en) * 1998-10-02 2000-12-26 Telespree Communications Keyless portable cellular phone system having remote voice recognition
JP2000184038A (ja) * 1998-12-14 2000-06-30 Pioneer Electronic Corp 選択装置
JP3741560B2 (ja) * 1999-03-18 2006-02-01 株式会社リコー メロディ音発生装置
US6366791B1 (en) * 1999-06-17 2002-04-02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usical ringing tone on mobile stations
JP3202733B2 (ja) * 1999-06-30 2001-08-27 コナミ株式会社 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3879323B2 (ja) * 1999-09-06 2007-02-14 ヤマハ株式会社 電話端末装置
JP2001154670A (ja) * 1999-11-25 2001-06-08 Yamaha Corp 曲データ再生装置、方法及び記録媒体
US20020103552A1 (en) * 2000-12-04 2002-08-01 Mike Boucher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processing requirements for the playback of complex audio sequen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71467A4 (en) 2008-09-03
KR20020084248A (ko) 2002-11-04
JP2001272984A (ja) 2001-10-05
EP1271467A1 (en) 2003-01-02
CN1214360C (zh) 2005-08-10
AU2001242797A1 (en) 2001-10-08
CN1419685A (zh) 2003-05-21
US20030176206A1 (en) 2003-09-18
JP3279304B2 (ja) 2002-04-30
HK1052790A1 (en) 2003-09-26
TW586108B (en) 2004-05-01
EP1271467B1 (en) 2012-11-28
WO2001073749A1 (fr) 2001-10-04
US7099704B2 (en) 2006-08-29
HK1052790B (zh) 2005-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0525B1 (ko) 휴대전화단말에 적용 가능한 음악재생장치
US6999752B2 (en) Portable telephone and music reproducing method
JP3719057B2 (ja) 電話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100469215B1 (ko) 전화단말장치
JP3982787B2 (ja) コンテンツデータ配布方法および電話端末装置
KR20020065645A (ko) 휴대 전화
JP2000224269A (ja) 電話機および電話システム
KR20050046719A (ko) 악곡 재생장치
KR100477306B1 (ko) 휴대 전화
JP3279293B2 (ja) 楽曲再生装置、楽曲再生機能を備える携帯電話装置および楽曲再生方法
JP3641999B2 (ja) 楽曲データ配信装置および端末装置
US7235733B2 (en) Musical tone reproducing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apparatus
JP3279298B2 (ja) 楽曲再生装置、楽曲再生機能を備える携帯電話装置、および楽曲再生方法
JP2001060990A (ja) 電話端末装置および楽曲データ転送方法
JP2005108253A (ja) コンテンツデータ配布方法および楽曲再生装置
JP2005229511A (ja) 楽音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