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5645A - 휴대 전화 - Google Patents

휴대 전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5645A
KR20020065645A KR1020027008984A KR20027008984A KR20020065645A KR 20020065645 A KR20020065645 A KR 20020065645A KR 1020027008984 A KR1020027008984 A KR 1020027008984A KR 20027008984 A KR20027008984 A KR 20027008984A KR 20020065645 A KR20020065645 A KR 20020065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data
sound
music
melod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5094B1 (ko
Inventor
후토하시이치로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5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0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1Encoding the ringing signal, i.e. providing distinctive or selective ring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휴대 전화는 비프음과 멜로디음 중 어느 하나를 착신음으로서 발생한다. 멜로디음은, 미리 기억되거나 또는 소정의 배송 센터로부터 다운로드된 음악 데이터에 기초하여 발생되고, 해당 음악 데이터는 미리 시간대에 각기 할당된 다른 편곡으로 단일 악곡의 멜로디를 나타낸다. 따라서, 휴대 전화는 착신의 수신 시간이 속하는 시간대에 따라 다른 편곡으로 동일 멜로디를 발생한다.

Description

휴대 전화{PORTABLE TELEPHONE}
종래에, 아날로그 셀룰러 시스템과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이 있으며, 그들의 예로서 퍼스널 디지털 셀룰러 전기통신 시스템(PDC)과 퍼스널 핸디폰 시스템(PHS)이 알려져 있다. 발신자로부터의 착신시, 휴대 전화는 소정의 착신음을 발생하여 유저 또는 가압자에게 착신을 통보한다. 착신음으로서, 휴대 전화는 종래 비프음을 발생하고 있는데, 이것은 유저의 귀에 거슬린다. 최근에, 휴대 전화는 착신음으로서 멜로디음을 발생하고 있으며, 이것이 종래의 비프음에 대신하고 있다.
그러나, 멜모디음은 음조가 일정하고 변화와 표현이 부족한 소정의 악곡의 단순한 악음에 대응하기 때문에 휴대 전화에 의해 발생되는 멜로디음은 단조롭다. 즉, 종래의 휴대 전화에는, 착신을 알리는 단조로운 멜로디음을 듣는 것에 유저가 쉽게 흥미를 잃는다는 불이익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풍부한 변화와 풍부한 표현을 갖는 착신 멜로디음을 발생할 수 있는 휴대 전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멜로디음을 발생하여 유저 또는 가입자에게 발신자로부터의 착신을 통보하는 휴대 전화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의 전자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되는 악음 재생부 및 음성 처리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휴대 전화의 CPU에 의해 실행되는 착신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4는 휴대 전화의 CPU에 의해 실행되는 발신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휴대 전화는, 유저에게 착신을 알리는 착신음으로서 비프음과 멜로디음 중 어느 하나를 발생하도록 설계된다. 멜로디음은 미리 기억되거나 또는 소정의 배송 센터(distribution center)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음악 데이터에 기초하여 발생되고, 해당 음악 데이터는 미리 시간대에 할당된 다른 편곡에 의한 단일 악곡의 멜로디를 나타낸다. 즉, 휴대 전화는 착신 시간이 속하는 시간대에 각각 대응하여 다른 편곡으로 동일 멜로디를 발생한다.
배송 센터로부터 음악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기 위해서, 유저는 그 전화번호를 발신하여 호 접속을 확립시킨다. 그 후, 배송 센터는 유저에게 악곡 선택 가이던스를 제공하고, 그 내용이 휴대 전화의 표시부의 스크린상에 표시된다. 유저는 배송 센터에 리스트된 전체의 악곡 타이틀중에서 악곡을 선택한다. 그 후, 선택된 악곡의 음악 데이터는 다운로드되어 휴대 전화에 기억된다. 따라서, 유저는 새로운 착신음으로서 다운로드된 음악 데이터의 새로운 멜로디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편곡으로 발생할 수 있는 착신 멜로디음의 변화와 풍부한 표현에 기인하여, 유저는 휴대 전화의 착신 메로디음을 듣는 것에 흥미를 잃지 않게 된다. 또한, 유저는 소정의 시간대에 관련하여 소정의 편곡에 발생되는 착신 멜로디음에 의해 현재의 착신 시간을 개략 인지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가 시간대에 관련하여 자동적으로 변화하는 편곡으로 동일 멜로디음을 발생하기 때문에, 유저는 자기 자신의 휴대 전화의 울림을 다른 사람의 휴대 전화로 착각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써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1)의 전자적 구성을 나타낸다. 휴대 전화(1)는 일반적으로 "인입식" 안테나(1a)를 구비하고 있고, 이것이 변조와 복조 기능을 갖는 통신부(13)와 접속된다. 타이머 기능을 가지고 있는 중앙처리장치(CPU)(10)는, 전화 기능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휴대 전화(1)의 몇개의 섹션과 부품에 대해 총괄적 제어를 행한다.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1)는 데이터 기억용의 반도체 메모리이다. 리드 온리 메모리(ROM)(12)는 CPU(1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또한, ROM(12)은, 예를 들면, 착신음, 보류음, 배경 음악(BGM)음을 나타내는 다양한 음악 데이터를 사전에 기억한다.
착신음을 나타내는 음악 데이터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소정 악곡의 멜로디음이 있다.
타이틀편곡시간대
(1) 단고 3형제행진곡6:00---10:00
(2) 단고 3형제록10:00---14:00
(3) 단고 3형제재즈14:00---20:00
(4) 단고 3형제발라드20:00---6:00
상기와 같이, 4개의 시간대에 각기 할당된 4개의 편곡의 변화, 즉, 행진곡, 록, 재즈, 발라드가 "단고 3형제"라는 단일 악곡에 대해 준비되어 있다.
즉, ROM(12)은 소정의 단일 악곡의 동일 멜로디에 기초하여 작성되고, 각각 편곡이 다른 4종류의 음악 데이터를 미리 기억한다. ROM(12)은 4개의 시간대 데이터와 함께 4종류의 음악 데이터를 기억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변경하여 RAM(11)을 음악 데이터 기억용의 기억부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부(13)는 안테나(1a)에 의해 수신된 착신 신호를 복조하거나, 또는 통신부(13)는 안테나(1a)를 통하여 송신하는 송신 신호를 변조한다. 통신부(13)에 의해 복조된 착신 신호는 코더-디코더를 구비하는 음성 처리부(14)에 의해 복호된다. 즉, 음성 처리부(14)는 발신자로부터의 착신 신호를 복호하여 음성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음성 신호를 악음 재생부(15)를 통하여 스피커(22)로 보낸다. 이것에 의해, 스피커(22)는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발신자의 음성을 재생한다. 또한, 마이크로폰(21)은 유저(즉, 착신자)의 음성을 송신용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해당 음성 신호를 음성 처리부(14)에 보낸다. 음성 처리부(14)는 음성 신호에 압축 부호화를 실시하여 압축 음성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압축 음성 신호를 통신부(13)로 보내어져 안테나(1a)를 통하여 발신자에게 송신된다. 상기와 같이, 음성 처리부(14)는 음성 신호에 대해 고효율 압축 부호화 및 복호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음성 처리부(14)는, 예를 들면, code excited linear predictive coding 방식(즉, CELPC) 또는 적응 차분 플러스-코드 변조 방식(즉, ADPCM)에 기초하여 코더-디코더를 구비하고 있다. 악음 재생부(15)는 착신음, 보류음, 및 BGM음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세히 후술한다.
인터페이스(I/F)(16)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20)로부터 음악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데 사용된다. 전화번호 및 코맨드 입력용으로 사용되는 입력 조작부(17)는 ‘0’에서 ‘9’범위의 수값 입력용의 수값 키, 펑션 키, 및 조그 다이얼로 구성되고, 그것들은 휴대 전화(1)의 패널부에 구비된다. 표시부(18)는 문자 /또는 화상 뿐만 아니라 전화 기능의 메뉴를 입력 조작부(17)의 조작에 따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휴대 전화(1)는 착신음을 대신하여 진동을 발생하는 바이브레이터(19)도 구비하여, 유저에게 착신의 수신을 통지한다. 휴대 전화(1)의 전체의 블록 또는 섹션은 버스(24)에 의해 상호 접속되어 데이터 및 명령의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에, 도 2를 참조하여 악음 재생부(15) 및 음성 처리부(14)의 내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악음 재생부(15)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악음 재생부(15)에서, 참조부호 30은 버스(24)에 접속되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RAM(32)은 음색 데이터 이외의 음악 데이터를 기억하는 반도체 메모리이다. 보이스 RAM(36)은 음악 데이터중의 음색데이터를 전용으로 기억하는데 사용된다. 보이스 RAM(36)은 예를 들면 8음색의 복수의 음색 데이터를 기억하는 소정의 기억 용량을 가지고 있다.
판독/기입(R/W) 콘트롤러(31)는 CPU(10)가 버스선(24)에 출력하는 음악 데이터를 인터페이스(30)를 통해 판독한다. 그 후, 판독/기입 콘트롤러(31)는 RAM(32)에 음악 데이터를 기입한다. 또한, 판독/기입 콘트롤러(31)는 RAM(32)으로부터 음악 데이터를 판독하여, 시퀀서(33)로 보낸다.
시퀀서(33)는 음악 데이터의 복수의 파트중의 소정의 파트에 미리 할당된 음색 넘버에 대응하는 어드레스에 의해 보이스 RAM(36)을 액세스한다. 이와 같은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시퀀서(33)는 보이스 RAM(36)으로부터 소정의 음색 파라미터를 판독하여, 음원(34)에 송신한다. 음악 데이터에 대응하는 악곡의 재생이 개시되면, 판독/기입 콘트롤러(31)는 시퀀서(33)로부터 주어진 판독 요구 신호(Req)에 따라 RAM(32)으로부터 음악 데이터를 순차 판독하여 시퀀서(33)에 공급한다. 여기서, RAM(32)은 단일 악곡의 전체의 음악 데이터를 완전히 기억하는 기억 용량보다 적은 소정의 기억 용량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RAM(32)은 32워드분의 음악 데이터를 기억하는 용량을 가지고 있다. 시퀀서(33)는 판독/기입 콘트롤러(31)로부터 순차 공급되는 음악 데이터를 수신하고, 해당 음악 데이터를 해석하여 지정 발음 타이밍으로 악음을 발생하도록 음원(34)을 제어하는 각종 발음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발음 파라미터는 음원(34)으로 보내진다. 발음 파라미터로서, 음고 데이터, 노드 온/오프 신호 등이 있다.
음원(34)은 예를 들면 4 파트의 악음 신호를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4 파트에 대응하는 음색은, 보이스 RAM(36)으로부터 판독되는 상기의 음색 파라미터에 의해 설정된다. 해당 음색에 따라, 음원(34)은 시퀀서(33)에 의해 설정된 발음 파라미터에 각기 기초하여 4 파트의 디지털 악음 신호를 발생한다. 즉, 음원(34)은 4 파트의 음원 데이터를 발생하여, 소정 재생 타이밍마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35)로 보내고, 여기서 악음 데이터는 아날로그 발음 신호로 변환된다.
RAM(32)으로부터의 음악 데이터의 판독이 진행하여 RAM(32)내에 소정 사이즈의 빈 영역이 발생하면, 판독/기입 콘트롤러(31)는 전송 요구 신호(Req)를 발생하여, 인터페이스(30)를 통해 버스(24)로 보낸다. CPU(10)는 그 전송 요구 신호(Req)를 수신하여 ROM(12) 또는 RAM(11)에 액세스한다. 즉, 전송 요구 신호(Req)를 수신하면, CPU(10)는 RAM(32)내에 생성된 빈 영역과 일치하는 예를 들면 16 워드의 음악 데이터를 ROM(12) 또는 RAM(11)으로부터 판독한다. 16 워드의 음악 데이터는 버스(24)로 송신된다. 이것에 의해, 판독/기입 콘트롤러(31)는 인터페이스(30)를 통해 16 워드의 음악 데이터를 수신한다. 판독/기입 콘트롤러(31)의 제어하에서, 16 워드의 음악 데이터는 RAM(32)의 빈 영역에 기입된다. 상기의 동작이 판독/기입 콘트롤러(31)의 제어하에서 반복된다. 이 때문에, RAM(32)이 단일 악곡의 전체의 음악 데이터를 완전히 기억하는 기억 영역보다도 작은 소정의 기억 용량을 가지더라도, 휴대 전화(1)는 악곡을 완전히 재생할 수 있다.
재생되는 상기 악음 신호의 악음에 대응하는 착신음을 발생하기 위해서, 계수 승산기(40)의 계수가 ‘1’로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35)로부터 출력되는 악음 신호가 스피커(23)로 보내져, 착신음으로서 악음이 차례로 발생된다. BGM음으로서 악음 신호의 악음을 발생하기 위해서, 계수 승산기(37)의 계수는 ‘0.5’로 설정된다. 또한, 음성 처리부(14)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계수 승산기(50)의 계수는 ‘0.5’로 설정된다. 믹서(38)는 악음 신호와 음성 신호를 동일 레이트로 혼합하여 혼합 신호를 생성하고, 스피커(22)로 보낸다. 혼합 신호에 기초하여, 스피커(22)는 BGM음과 함께 음성을 재생한다. 여기서, 스피커(22)는 휴대 전화(1)의 수화부에 사용되고, 계수 승산기(50)는 음성 처리부(14)에 의해 복호된 수신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음원(34)으로부터 출력된 악음 신호는 송신용 BGM 신호로서 음성 처리부(14)에도 보내진다.
악음 신호의 악음을 휴대 전화(1)의 보류 상태를 통지하는데 사용되는 보류음으로서 발생하기 위해서, 계수 승산기(37)의 계수는 ‘1’로 설정되어, 악음 신호는 믹서(38)를 통하여 스피커(22)로 보내진다. 이것에 의해, 휴대 전화(1)의 수화부에 대응하는 스피커(22)는 음악 데이터에 기초하여 재생된 악음에 대응하는 보류음을 발생한다. 그 경우, 계수 승산기(50)의 계수는 ‘0’으로 설정되어, 음성 처리부(14)에 의해 복호된 수신 음성 신호는 믹서(38) 및 스피커(22)에는 공급되지 않는다. 또한, 음원(34)으로부터 출력된 악음 신호는 송신용 보류음 신호로서 음성 처리부(14)에도 공급된다. 스피커(22)의 보류음 발생을 금지하기 위해서, 계수 승산기(37)의 계수는 ‘0’으로 설정된다.
마이크로폰(21)은 휴대 전화(1)의 유저의 음성을 송신용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송신용 음성 신호는 도 2에 도시하는 음성 처리부(14)로 보내져,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DC)(42)에 의해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된다. 디지털 음성 신호는 계수 승산기(43)를 통하여 믹서(44)로 보내진다. 믹서(44)는 악음 재생부(15)로부터 계수 승산기(45)를 통하여 악음 신호를 수신한다. 이것에 의해, 믹서(44)는 디지털 음성 신호와 악음 신호를 혼합하여 혼합 신호를 생성하고, 코더(46)로 보낸다. 코더(46)는 예를 들면 code excited linear predictive coding 방식(즉, CELPC)에 기초하여 혼합 신호를 고효율 압축 부호화한다. 즉, 코더(46)는 믹서(44)로부터 출력되는 혼합 신호에 기초하여 압축 송신 데이터를 발생한다. 압축 송신 데이터는 통신부(13)로 보내지고, 그로부터 안테나(1a)를 통하여 휴대 전화(1)와 통신하고 있는 휴대 단말로 송신된다. 통신부(13)는 안테나(1a)를 통하여 휴대 단말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신호를 복조하여 CELPC 방식에 기초한 디코더(48)로 송신한다. 디코더(48)는 수신된 음성 신호를 복호하여 디지털 음성 신호를 생성한 다음, 해당 디지털 음성 신호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49)에 의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49)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악음 재생부(15)로 공급된다.
악음 재생부(15)에 의해 재생되는 악음 신호의 악음을 음성과 함께 BGM음으로서 발생하기 위해서, 계수 승산기(43와 45)의 양 계수는 ‘0.5’로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믹서(44)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42)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와 악음 재생부(15)로부터 주어진 악음 신호(즉, BGM음 신호)를 동일 레이트로 혼합한다. 혼합 신호는 코더(46) 및 통신부(13)로 보내져, 안테나(1a)를 통하여 휴대 전화(1)와 통신하고 있는 휴대 단말로 송신된다.
악음 재생부(15)에 의해 재생되는 악음 신호의 악음을 보류음으로서 발생하기 위해서, 계수 승산기(43)의 계수는 ‘0’으로 설정되는 한편, 계수 승산기(45)의 계수는 ‘1’로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믹서(44)는 악음 재생부(15)로부터 공급되는 악음 신호(즉, 보류음 신호)만을 출력한다. 믹서(44)로부터 출력된 보류음 신호는 코더(46) 및 통신부(13)로 보내져, 안테나(1a)를 통하여 휴대 전화(1)와 통신하고 있는 휴대 단말로 송신된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휴대 전화(1)의 착신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휴대 전화(1)가 발신자의 휴대 단말로부터의 착신 신호를 수신하면, 통신부(13)는 이것을 복조하여 발신자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착신 데이터를 발생한다. 착신 데이터는 CPU(10)로 보내진다. 착신 데이터를 수신하면, CPU(10)는 도 3의 착신 처리를 실행하고, 플로우는 단계 S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10에서, CPU(10)는 소정 처리를 실행하여, 발신자로부터의 착신의 수신에 따라 착신자 전화번호를 RAM(11)에 기입한다. 단계 S11에서는, 휴대 전화(1)가 착신음으로서 멜로디음을 발생하는 멜로디 모드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휴대 전화(1)가 멜로디로 설정된 경우, 플로우는 단계 S12로 진행하고, CPU(10)는 착신 멜로디음용의 음악 데이터의 초기화를 행한다.
초기화에서, CPU(10)는 먼저 소정 시간대 중 어느 하나에 현재 시간이 속하는가를 검출한다. 그 다음, CPU(10)는 미리 현재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 시간대용으로 지정된 소정 음악 데이터를 ROM(12) 또는 RAM(11)으로부터 판독한다. 음악 데이터는 버스(24)로 송신된다. 현재 시간이 11:15 am인 경우, CPU(10)는 제2 시간대(2)의 음악 데이터, 즉, 록 편곡의 "단고 3형제"를 판독한다. 그 음악 데이터는 버스(24)로 송신된다. 현재 시간이 5:20 pm인 경우, CPU(10)는 제3 시간대(2)의 음악 데이터, 즉, 재즈 편곡의 "단고 3형제"를 판독한다. 판독된 음악 데이터는 악음 재생부(15)로 송신되고, 여기서 도 2에 도시하는 RAM(34)에 기입된다. 또한, 악음 재생부(15)의 보이스 RAM(36)은 음악 데이터내의 음색 데이터를 기억한다. 시퀀서(33)는 음악 데이터로부터 음색 할당을 해석하여, 보이스 RAM(36)으로부터 복수 파트의 음색 파라미터를 판독하여 음원(34)으로 보낸다. 또한, 시퀀서(33)는 음악 데이터로부터 템포 데이터를 판독한다. 초기화의 완료 후, 플로우는 단계 S13으로 진행하여, CPU(10)는 악음 재생부(15)에 착신 멜로디음으로서 악음의 재생을 개시하도록 지시한다. 이것에 의해, 음원(34)은 시퀀서(33)로부터주어진 발음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복수 파트의 악음 신호를 재생한다. 따라서, 스피커(23)는 복수 파트의 악음 신호에 기초하여 착신 멜로디음을 발생한다.
단계 S11에서 CPU(10)가 휴대 전화(1)는 멜로디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플로우는 단계 S14로 진행하고, 음원(34)은 비프음과 같은 표준 착신음의 재생을 행하여, 스피커(23)는 표준 착신음을 발생한다. 이 경우, 표준 착신음을 바이브레이터(19)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으로 대신할 수 있다. CPU(10)가 단계 S13 또는 S14를 완료하여 착신음을 발생한 후, 휴대 전화(1)의 유저가 입력 조작부(17)의 착신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누르면, 단계 S15에서 CPU(10)가 발신자의 전화 단말과의 회선 접속이 된 것으로 판단하여, 플로우는 단계 S1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5의 판정은 유저가 착신 버튼을 누룰 때까지 반복실행된다. 그 때까지, 휴대 전화(1)는 착신음을 계속하여 울린다. 단계 S16에서, CPU(10)는 스피커(23)에 의한 착신 멜로디음 또는 표준 착신음의 발생을 정지한다. 구체적으로, CPU(10)는 악음 재생부(15)의 재생 동작을 정지하고, 계수 승산기(40)의 계수를 ‘0’으로 설정한다.
다음에, 플로우는 단계 S17로 진행하여, CPU(10)는 유저가 휴대 전화(1)에 의한 통화를 행하기 위한 통화 처리를 실행한다. 통화가 종료하면, 플로우는 단계 S18로 진행하여, 회선이 단절되어 착신 처리가 종료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1)는 착신을 수신하는 시간대에 대응하여 착신음으로서 동일 멜로디음을 다른 음조 및 편곡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착신음에 변화 및 표현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착신을 수신하는 현재 시간을 개략 인지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에 다른 시간대에 각기 대응하여 다른 악곡의 멜로디를 발생시키도록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단일 악곡의 동일 멜로디를 다른 편곡으로 발생시키는 것이 편리하다. 이것은, 혼동하기 쉬운 착신 멜로디음을 들을 때 자신의 휴대 전화의 울림을 다른 사람의 휴대 전화로 착각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1)에 의해 발생되는 착신 멜로디음을 미리 ROM(12)에 기억된 음악 데이터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즉, 휴대 전화(1)는 외부의 음악 데이터 배송 센터로부터 배송되는 다른 음악 데이터를 착신 멜로디음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음악 데이터 배송 센터(25)로부터의 음악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실현하는 발신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휴대 전화(1)의 유저는 입력 조작부(17)의 수값 키를 조작하여 통화 목적지의 전화번호를 발신하고, 그 후, 유저는 통화 송신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눌러, 단계 S1에서 통화 목적지와의 호 접속을 요구한다. 여기서, 통화 목적지의 전화번호는 RAM(11)에 기억되며, 휴대 전화(1) 자신의 전화번호 정보와 조합되어 송신용 통화 신호를 형성한다. 통신부(13)는 안테나(1a)를 통하여 송신용 통화 신호를 통화 목적지로 송신한다. 송신용 통화 신호는 휴대 전화(1)의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을 커버하는 기지국에 의해 수신되고, 이동 교환국으로 중계된다. 이동 교환국은 통화 목적지의 전화번호를 참조하여, 일반 전화 교환국 및 통화 목적지와의 호 접속을 행하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통화 경로를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이동 교환국은 해당 통신 경로로 송신용 통화 신호를 송신한다. 이 결과, 통화 목적지(즉, 착신측의 전화 단말)은 휴대 전화(1)로부터 보내지는 송신용 통화 신호에 대응하는 착신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S2에서, 착신측이 그 전화 단말의 착신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조작하여 오프훅(off-hook) 회선을 접속하는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착신측이 오프훅 회선을 접속하지 않은 경우, 플로우는 단계 S8로 진행하여, 착신측이 그 전화 단말의 통화 종료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눌러 강제적으로 통화를 종료하는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착신측이 전화 단말의 통화 종료 버튼을 누르지 않은 경우, 플로우는 단계 S2로 진행하여 다시 회선 접속에 관한 판정을 행한다. 즉, CPU(10)는 착신측이 회선 접속을 할 때까지 단계 S2와 S8을 반복한다.
착신측이 전화 단말의 착신 버튼을 눌러 회전 접속을 행한 경우, 단계 S2의 판정 결과는 "YES"가 되어 플로우는 단계 S3으로 진행한다. 단계 S3에서는, 착신측이 음악 데이터 배송 센터(25)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단계 S3으로 CPU(10)가 착신측은 음악 데이터 배송 센터(25)인 것으로 판정한 경우, 플로우는 단계 S4로 진행하여, CPU(10)는 음악 데이터 배송 센터(25)로부터 악곡 선택 가이던스의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내용이 표시부(18)의 스크린상에 표시된다. 악곡 선택 가이던스는, 음악 데이터 배송 센터(25)에 리스트된 타이틀 및 음악 데이터에 관한 악곡 분류용의 가수별 리스트 및 장르별 리스트를 유저에게 제공한다. 이들 리스트를 이용하여, 유저는 ‘리스트된’ 악곡중 다운로드 할 적어도 하나의 악곡을 선택한다. 그 후, 악곡 선택 가이던스는 휴대 전화(1)의 표시부(18)의 스크린상에 다음과 같이 소정 메시지를 표시한다.
‘다운로드 요구: 음악 데이터의 컴플리트 세트(complete set) 또는 기본 멜로디?’
상기 메시지에서, 음악 데이터의 컴플리트 세트는 선택된 악곡의 동일 멜로디에 대해서 4개의 편곡을 유저에게 제공하는 한편, 음악 데이터의 기본 멜로디는 악곡의 멜로디의 기본 편곡만을 유저에게 제공한다.
휴대 전화(1)의 유저가 음악 데이터의 컴플리트 세트를 선택하면, 음악 데이터 배송 센터(25)는 단계 S5에서 휴대 전화(1)로 음악 데이터의 컴플리트 세트를 배송 및 다운로드한다. 음악 데이터의 컴플리트 세트는 통신부(13)에 의해 수신되어 버스(24)로 보내지고, 그것에 의해 음악 데이터는 CPU(10)의 제어하 RAM(11)에 순차 기입된다. 또한, RAM(11)은 복수 세트의 음악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는 기억 용량을 가지고 있다. 음악 데이터 배송 및 다운로드 종료 후, 플로우는 단계 S6으로 진행하여, 휴대 전화(1)는 음악 데이터 배송 센터(25)와의 접속 회선을 단절한다. 그런데, 단계 S3에서 CPU(10)가 착신측은 음악 데이터 배송 센터(25)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플로우는 단계 S7로 진행하여, CPU(10)는 유저에게 전화를 통한 착신측과의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통상의 통화 처리를 실행한다. 유저가 통화를 종료하면, 플로우는 단계 S6으로 진행하여, 휴대 전화(1)는 착신측과의 접속 회선을 단절한다. 그 후, CPU(10)는 도 4에 도시하는 발신 처리를 종료한다.
발신 처리를 종료한 후, 유저는 입력 조작부(17)의 키를 조작하여 RAM(11)에 기억한 다운로드 음악 데이터를 새로운 착신 멜로디음으로서 사용하도록 설정한다. 그 후, 착신시, RAM(11)의 다운로드 음악 데이터는 자동적으로 악음 재생부(15)로 보내져, 휴대 전화(1)는 해당 다운로드 음악 데이터에 기초하여 새로운 착신 멜로디음을 발생한다.
지금까지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여러 가지의 효과 및 기술적 특징을 구비하고 있어, 이하에 기재한다.
(1) 착신시, 착신을 수신한 현재의 시간이 속하는 시간대에 관련하여 음악 데이터가 적절히 기억부로부터 판독되어, 휴대 전화는 해당 음악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절한 착신 멜로디음을 발생한다. 여기서, 착신 멜로디음의 편곡이 시간대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 착신 멜로디음 발생에서 변화나 표현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유저가 휴대 전화에서 발생되는 착신 멜로디음을 듣는데 흥미를 잃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착신을 수신하는 현재 시각이 속하는 시간대를 개략 인지할 수 있다.
(2) 본 휴대 전화는, 시간대에 관련하여 다른 편곡으로 동일 멜로디음을 발생하도록 설계된다. 단순히 다른 멜로디음을 발생하는 휴대 전화에 비해서, 본 발명의 휴대 전화에는, 유저가 자신의 휴대 전화에서 실제로 발생되는 착신 멜로디음을 식별할 수 있고, 또 자신의 휴대 전화의 울림을 다른 사람의 휴대 전화로 착각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반드시 한정될 필요는 없고, 따라서, 발명의 필수 사항에서 일탈하지 않는 각종 변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회선 접속을 행하는 회선 접속부, 음악 데이터에 기초하여 착신음을 발생하는 착신음 발생부 및 유저에 접속 회선에 의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로 이루어지는 휴대 전화에 있어서,
    현 시각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소정의 시간대에 각기 관련하여 복수의 음악 데이터를 미리 기억하는 기억부; 및
    현 시각이 속하는 시간대에 대응한 음악 데이터를 기억부로부터 선택적으로 판독하여, 착신음 발생부로 보내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음악 데이터는 동일 멜로디에 대응하지만 각각 편곡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3. 착신의 수신시, 음악 데이터에 기초하여 착신 멜로디음을 발생하는 휴대 전화에 있어서,
    현 시각을 카운트하는 카운터;
    미리 결정된 시간대에 관련하여 할당된 다른 편곡으로 단일 악곡의 멜로디를 나타내는 음악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
    현 시각이 속하는 시간대에 할당되어 소정 편곡의 음악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기억부로부터 판독하는 판독 제어부; 및
    판독된 음악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정 편곡으로 상기 단일 악곡의 멜로디의 악음을 발생하는 악음 발생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데이터에 기초하는 착신 멜로디음과 비프음에 대응하는 표준 착신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착신음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5. 제3항에 있어서, 유저의 지시에 따라 음악 데이터 배송 센터로부터 음악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음악 데이터 다운로드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기억부에 의해 해당 다운로드한 음악 데이터를 기억하여 해당 다운로드한 음악 데이터에 기초하는 새로운 멜로디의 발생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KR1020027008984A 2000-01-14 2001-01-12 휴대 전화 KR1005550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07070A JP2001197159A (ja) 2000-01-14 2000-01-14 携帯電話機
JPJP-P-2000-00007070 2000-0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645A true KR20020065645A (ko) 2002-08-13
KR100555094B1 KR100555094B1 (ko) 2006-02-24

Family

ID=18535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984A KR100555094B1 (ko) 2000-01-14 2001-01-12 휴대 전화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960713B2 (ko)
EP (1) EP1248442A4 (ko)
JP (1) JP2001197159A (ko)
KR (1) KR100555094B1 (ko)
CN (1) CN1395786A (ko)
AU (1) AU2001225513A1 (ko)
TW (1) TW493330B (ko)
WO (1) WO20010525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3721B1 (en) * 2002-01-22 2009-01-27 Nokia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providing diverse audio signals to indicate receipt of a call or message
KR20040009937A (ko) * 2002-07-26 2004-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소리 출력 장치
JP4303485B2 (ja) * 2003-01-27 2009-07-29 株式会社音楽館 楽曲編成システム、楽曲編成システム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楽曲編成方法
JP4487616B2 (ja) * 2003-05-02 2010-06-23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再生装置並びにデータ記録再生装置
KR100689485B1 (ko) * 2003-11-10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배경음악 제공 시스템 및 방법, 및 휴대용단말기
JP4364046B2 (ja) * 2004-04-09 2009-11-11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情報通信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WO2006001488A1 (ja) * 2004-06-29 2006-01-05 Kyocera Corporation 携帯端末装置
KR20060013229A (ko) * 2004-08-06 2006-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벨 소리 재생 방법
US20060068763A1 (en) * 2004-09-30 2006-03-30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Polyrhythm generator for mobile audio platform applications and methods thereof
US7164906B2 (en) * 2004-10-08 2007-01-16 Magix Ag System and method of music generation
JP4505817B2 (ja) * 2005-09-16 2010-07-21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携帯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791768B1 (ko) 2006-04-10 2008-01-03 (주) 엘지텔레콤 벨소리 출력 제어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US7797135B2 (en) * 2006-09-01 2010-09-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the time of recordal of a series of recordings
EP3503558B1 (en) * 2017-12-19 2021-06-02 Spotify AB Audio content format select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2351A (ja) * 1992-11-18 1994-06-10 弘明 ▲はが▼ 警報音量自動調節機能付き警報装置
KR0183682B1 (ko) * 1993-06-30 1999-04-15 김광호 가라오케 텔레비젼의 메들리 기능 수행방법
FR2724081A1 (fr) * 1994-08-23 1996-03-01 Ebauchesfabrik Eta Ag Telephone dont le numero d'appel est compose par une couronne du type horloger
JPH09307606A (ja) * 1996-05-14 1997-11-28 Ekushingu:Kk 電話装置
JPH1042008A (ja) * 1996-07-22 1998-02-13 Nec Shizuoka Ltd 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H10150505A (ja) * 1996-11-19 1998-06-02 Sony Corp 情報通信処理方法及び情報通信処理装置
JP2000504542A (ja) * 1996-12-06 2000-04-1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電気通信装置及び呼出情報を提供する方法
US6606506B1 (en) * 1998-11-19 2003-08-12 Albert C. Jones Personal entertainment and communication device
US6407325B2 (en) * 1999-12-28 2002-06-18 Lg Electronics Inc. Background music 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mobile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5094B1 (ko) 2006-02-24
TW493330B (en) 2002-07-01
US6960713B2 (en) 2005-11-01
EP1248442A4 (en) 2005-07-06
US20030119443A1 (en) 2003-06-26
JP2001197159A (ja) 2001-07-19
EP1248442A1 (en) 2002-10-09
AU2001225513A1 (en) 2001-07-24
WO2001052506A1 (fr) 2001-07-19
CN1395786A (zh) 200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19057B2 (ja) 電話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100555094B1 (ko) 휴대 전화
JP2002064626A (ja) 携帯電話機
WO2000045567A1 (fr) Telephone et systeme telephonique
JP3575368B2 (ja) 携帯電話機
KR100468987B1 (ko) 휴대 단말 장치와 그의 효과 부여 방법 및 기록 매체
JP2002156982A (ja) 携帯端末、携帯電話端末、携帯端末システム、音楽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楽音データ配信方法
JP3997374B2 (ja) 電話機及び記録媒体
CN100373966C (zh) 便携电话机
JP3279293B2 (ja) 楽曲再生装置、楽曲再生機能を備える携帯電話装置および楽曲再生方法
JP2003010540A (ja) 携帯通信端末におけるイントロクイズ処理プログラム、携帯通信端末およびサーバ装置
JP3240000B1 (ja) 通信端末装置、着信メロディ演奏方法および情報記憶媒体
JP3743357B2 (ja) 携帯電話機
JP2001177605A (ja) 携帯電話装置
JP2001060990A (ja) 電話端末装置および楽曲データ転送方法
KR20010027241A (ko) 휴대폰의 착신음 선택 장치 및 착신음 선택 방법
JP2001100747A (ja) 移動通信端末装置
KR20000003369A (ko) 휴대통신단말기의 사용자 착신음 녹음방법
KR100455178B1 (ko) 미디 시퀀스에 의한 착신벨소리 설정장치 및 방법
JP3578132B2 (ja) 携帯端末装置
KR20030041001A (ko) 음성 데이터 저장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의 착신벨설정 및 울림 방법
KR20050057813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벨소리 재생방법
JPH098875A (ja) 呼出音が録音可能な通信用端末機器
JP2003122352A (ja) エフェクタ搭載端末装置およびエフェクトプログラム配信システム
JP2003066976A (ja) メッセージ配信装置及び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