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3682B1 - 가라오케 텔레비젼의 메들리 기능 수행방법 - Google Patents

가라오케 텔레비젼의 메들리 기능 수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3682B1
KR0183682B1 KR1019930012407A KR930012407A KR0183682B1 KR 0183682 B1 KR0183682 B1 KR 0183682B1 KR 1019930012407 A KR1019930012407 A KR 1019930012407A KR 930012407 A KR930012407 A KR 930012407A KR 0183682 B1 KR0183682 B1 KR 0183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put
accompaniment
so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2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수
이상수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30012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3682B1/ko
Priority to CN94106580A priority patent/CN1069478C/zh
Priority to JP6149920A priority patent/JPH0772887A/ja
Priority to US08/268,942 priority patent/US54866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3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36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01Music Composition or musical creation; Tools or processes therefor
    • G10H2210/125Medley, i.e. linking parts of different musical pieces in one single piece, e.g. sound collage, DJ mi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4/00Music
    • Y10S84/06Cathode-ray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가라오케 텔레비젼의 메들리 기능 수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라오케 텔레비젼의 영상 반주 기능에 메들리 기능을 추가하여 공통된 곡 형식 또는 공통된 주제를 갖는 노래들을 분류하고 이를 일괄 취합하여 연속적으로 연주하도록 하므로서, 사용자의 흥미를 배가시켰다. 이 발명은 가라오케 텔레비젼에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일반 가정용 가라오케 텔레비젼에 사용하면 매우 효과적이다.

Description

가라오케 텔레비젼의 메들리 기능 수행방법
제1a도와 1b도는 종래의 가라오케 텔레비젼의 영상 반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과정을 보이는 흐름도.
제2도는 이 발명에 따른 가라오케 텔레비젼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3도는 제2도에 따른 가라오케 텔레비젼의 메들리 기능 수행방법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안테나 4 : 외부단자
10 : 텔레비젼 신호 수신회로 20 : 영상반주 신호 발생회로
30 : 선택 회로 40 : 영상 출력회로
50 : 음성 출력회로 60 : 제어회로
70 : 음성신호 입력 및 결합회로 100 : 튜너부
110 : 복조부 120 : 텔레비젼 신호 선택부
130 : 휘도/색 신호 분리부 200 : 그래픽/문자신호 발생부
210 : 반주 신호 발생부 220 : 영상 반주 제어부
300 : 제1선택기 310 : 제2선택기
400 : 색 복조부 410 : 영상신호 합성부
420 : 음극선관 구동부 430 : 음극선관
440 : 색 신호 출력단자 500 : 잔향음/이퀄라이징 출력부
510 : 증폭부 520 : 헤드폰 출력부
530 : 레프트 스피커 540 : 라이트 스피커
550 : 우퍼 스피커 600 : 제어신호 검출부
610 : 마이크로 프로세서 620 : 전치 증폭부
700 : 음성신호 입력부 710 : 결합기
이 발명은 가라오케 텔레비젼의 메들리 기능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라오케 텔레비젼의 영상 반주 기능에 공통된 곡 형식 또는 공통된 주제를 갖는 노래들을 분류하여 이를 일괄 취합하여 연속적으로 연주되도록 하는 메들리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배가시키고, 선택할 수 있는 메뉴의 폭을 다양하게 한 가라오케 텔레비젼의 메들리 기능 수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수상기는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신호 및 음성 신호를 유입하기 위한 외부 신호 입력 단자가 설치되어져 있다. 이를 통하여 비데오 레코더, 캠코더, 영상 반주 장치등에서 제공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음극선관 및 스피커를 통하여 모니터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설치된 조작 버튼이나 원격 조정 장치를 사용하여 텔레비젼 신호 혹은 외부 신호 입력 단자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음성 신호를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반주 장치는 텔레비젼 모니터에 연결하여 노래 반주와 함께 가사를 표시해 주는 장치로서 크게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를 이용한 엘디(LD) 영상 반주 시스템과, 카세트 디스크 그래픽 플레이어를 이용한 씨디(CD) 영상 반주 시스템, 그리고 메모리를 이용한 컴퓨터 반주 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가라오케 텔레비젼은 상기 텔레비젼 수상기와 영상 반주 장치를 결합한 것으로서, 여기서는 컴퓨터 반주 시스템용 가라오케 텔레비젼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a도와 1b도는 종래의 가라오케 텔레비젼의 영상 반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과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제1a도에 도시된 흐름도의 수행 과정에 있어서, 먼저 가라오케 모드가 선택되었다고 가정한다. 텔레비젼 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의 동작은 통상적인 텔레비젼 수상기의 제어 동작과 동일하다.
가라오케 모드가 선택되면 초기 화면이 가라오케 텔레비젼내에 구성된 영상 출력 회로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고 선곡하기 위한 준비 단계가 된다(S101). 지정곡을 입력한다(S102). 반주 시작 명령을 입력한다(S103). 예약용 큐(Que)에 지정곡이 있는가를 검색하여 없으면 상기 지정곡 입력 단계(S102)로 귀환한다(S104). 지정곡이 있으면 그래픽 모드를 확인한다(S105).
그래픽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가라오케 텔레비젼내에 구성된 영상 출력 회로를 통하여 영상 반주 신호 발생 회로의 의사 동기 신호(PS)와 그래픽/문자 신호 발생부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고, 음성 출력 회로를 통하여 반주 신호 발생부의 반주 신호를 출력한다(S106).
그래픽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고 텔레비젼/비데오로 설정되면 가라오케 텔레비젼내에 구성된 영상 출력 회로를 통하여 텔레비젼 신호 수신 회로의 출력 신호와 그래픽/문자 신호 발생부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고, 음성 출력 회로를 통하여 반주 신호 발생부의 반주 신호를 출력한다(S107).
취소 여부를 판단하여 취소 명령이 입력되면 후단의 예약 설정용 큐버퍼 재설정 단계(S110)로 분기한다.
곡의 종료 여부를 검사하여 중료되지 않았으면 다시 곡 종료 판단 단계(S109)로 귀환한다(S109).
곡이 종료되었으면 예약 설정용 큐 버퍼에서 최종적으로 연주된 곡을 삭제한다(S110).
반주 기능이 종료되었는지를 검색하여 종료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으면 지정곡 입력 단계(S102)로 귀환하고, 종료 명령이 입력되었으면 영상 반주 기능을 종료한다(S111).
제1b도에 도시된 흐름도는 예약 설정 기능의 흐름을 보이는 것이다. 예약 설정에 있어서 초기 상태 즉 예약 설정 큐버퍼에 잔여곡이 없는 경우에는 예약 설정이 동작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예약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예약곡의 지정을 대기한다(S201).
예약 설정 큐버퍼에 지정된 예약곡을 입력하고 예약 설정을 종료한다(S202).
그런데 상기와 같은 경우, 선택할 수 있는 메뉴의 폭이 한정되어 있고, 메들리 기능이 갖추어져 있지 않으므로 한 곡이 끝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야만 다음 곡이 시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목적은 가라오케 텔레비젼의 영상 반주 기능에 메들리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배가시키고, 선택할 수 있는 메뉴의 폭을 다양하게 한 가라오케 텔레비젼의 메들리 기능 수행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른 가라오케 텔레비젼의 메들리 기능 수행 방법의 특징은,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통하여 메들리 키 입력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메들리 키 입력이 확인되면 영상 출력 수단을 통하여 주제별 항목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과;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된 주제별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숫자키의 입력을 확인하고, 입력된 숫자키의 숫자를 판단하여 선택된 숫자키에 해당하는 곡 형식별 분류 항목을 영상 출력 수단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과;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된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숫자키의 숫자를 판단하여, 선택된 숫자키에 해당하는 첫 번째 곡의 제목을 영상 출력 수단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과;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통하여 시작 키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고, 시작 키의 입력이 확인되면 첫 번째 곡부터 연주를 시작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는 점에 있다.
이하, 이 발명에 따른 가라오케 텔레비젼의 메들리 기능 수행 방법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이 발명에 따른 가라오케 텔레비젼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2도를 보면, 텔레비젼 신호 수신 회로(10)와, 영상 반주 신호 발생 회로(20)와, 선택 회로(30)와, 영상 출력 회로(40)와, 음성 출력 회로(50)와, 제어 회로(60)와, 음성 신호 입력 및 결합 회로(70)로 구성된다.
여기서 텔레비젼 신호 수신 회로(10)는, 안테나(2)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의 반송 주파수에 동조하여 선국된 방송 신호를 튜닝하는 튜너부(100)와, 상기 튜너부(100)에 연결되어 상기 튜너부(100)에서 튜닝한 중간 주파수 신호로부터 복합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110)와, 상기 복조부(110)와 외부 단자(4)에 동시 연결되어 상기 복조부(110)에 의해 복조된 신호와 외부 단자(4)로부터 인가된 외부의 입력 신호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텔레비젼 신호 선택부(120)와, 상기 텔레비젼 신호선택부(120)에 연결되어 상기 텔레비젼 신호 선택부(120)에 의해 선택된 복합 영상 신호를 입력 받아 동기 신호를 포함하는 휘도 신호와 색 신호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휘도/색 신호 분리부(13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영상 반주 신호 발생 회로(20)는, 그래픽 신호 및 문자 신호를 발생하는 그래픽/문자 신호 발생부(200)와, 상기 그래픽/문자 신호 발생부(200)에 연결되어 반주음을 발생하는 반주 신호 발생부(210)와, 상기 그래픽/문자 신호 발생부(210)와 상기 반주 신호 발생부(220)에 동시 연결되어 상기 그래픽/문자 신호 발생부(210)와 상기 반주 신호 발생부(220)의 동작을 제어하며 의사 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영상 반주 제어부(220)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선택 회로(30)는, 상기 텔레비젼 신호 수신 회로(10)와 상기 영상 반주 신호 발생 회로(20)에 동시 연결되어 상기 텔레비젼 신호 수신 회로(10)에서의 동기 신호와 상기 영상 반주 신호 발생 회로(20)에서의 의사 동기 신호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1선택기(300)와, 상기 텔레비젼 신호 수신 회로(10)에서의 음성 신호와 상기 영상 반주 신호 발생 회로(20)에서의 반주 신호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2선택기(31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영상 출력 회로(40)는, 상기 텔레비젼 신호 수신 회로(10)와 상기 선택 회로(30)에 동시 연결되어 상기 텔레비젼 신호 수신 회로(10)에서의 합성 영상 신호와 상기 선택 회로(30)에서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아 색차 신호(R-Y, G-Y, B-Y)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색 복조부(400)와, 상기 색 복조부(400)와 상기 영상 반주 신호 발생 회로(20)에 동시 연결되어 상기 색 복조부(400)의 출력 신호와 상기 영상 반주 신호 발생 회로(20)의 그래픽 신호 및 문자 신호를 입력하여 이들의 조합된 신호를 발생하는 영상 신호 합성부(410)와, 상기 영상 신호 합성부(410)에 연결되어 상기 영상 신호 합성부(410)에서 출력된 영상 신호를 인가 받아 음극선관(430)을 구동시키는 음극선관 구동부(420)와, 상기 영상 신호 합성부(410)에 연결되어 상기 영상 신호 합성부(410)에서의 색차 신호(R-Y, G-Y, B-Y)를 외부에 출력하기 위한 색차 신호 출력 단자(440)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음성 출력 회로(50)는, 상기 선택 회로(30)에 연결되어 상기 선택 회로(30)에서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아 이에 잔향음(Suround) 처리 및 이퀄라이징(Equalizing) 처리를 행하여 출력하는 잔향음/이퀄라이징 출력부(500)와, 상기 잔향음/이퀄라이징 출력부(500)에 연결되어 상기 잔향음/이퀄라이징 출력부(500)의 출력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증폭부(510)와, 상기 증폭부(510)에 연결되어 상기 증폭부(510)를 통하여 증폭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을 출력하는 각각의 스피커(530-550)와, 상기 잔향음/이퀄라이징 출력부(500)에 연결되어 상기 잔향음/이퀄라이징 출력부(500)의 출력을 헤드폰으로 출력하는 헤드폰 출력부(52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 회로(60)는, 외부에서 입력된 제어 신호를 검출하는 제어 신호 검출부(600)와, 상기 제어 신호 검출부(600)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 신호 검출부(600)에서 검출한 제어 신호에 따라 그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가라오케 텔레비젼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61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610)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 신호 검출부(600)에 의해 검출된 제어 신호를 인터페이스 하는 전치 증폭부(620)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음성 신호 입력 및 결합 회로(70)는 외부에서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음성 신호 입력부(700)와, 상기 음성 신호 입력부(700)와 상기 반주 신호 발생부(210)에 동시 연결되어 외부의 음성 신호 입력부(700)와 상기 반주 신호 발생부(210)에서 발생하는 반주 신호를 합성하는 결합기(710)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참조하여 동작을 설명한다.
가라오케 텔레비젼은 영상 관련 계통과 음성 관련 계통으로 크게 구별할 수 있고, 또한 텔레비젼 수상기와 영상 반주 장치의 통상적인 기능들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즉, 텔레비젼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이하, 텔레비젼 모드라 함)에 있어서는 채널 선택과 비디오 선택 및, 볼륨을 비롯한 조정 단자들의 조정 등을 모두 수행하고, 영상 반주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이하, 영상 반주모드라 함)에 있어서는 곡 선택과 음정 및 속도의 조정과 예약 설정 등을 모두 수행한다.
특히 영상 반주 모드에서 음성 신호는 영상 반주 장치에 의해서만 제공되나, 영상 신호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의해 형성되는 선택된 채널의 방송 신호와 외부에서 제공되는 신호와 영상 반주 신호 발생 회로(20)에서 발생된 그래픽 신호 중의 하나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곡의 내용에 대응하여 보다 현실감이 있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먼저, 영상 계통의 동작에 있어서 튜너부(100)에 입력되는 방송 신호(고주파 신호:RF 신호)는 중간 주파수 신호(IF 신호)로 변환되어 복조부(110)에 입력된다. 복조부(110)에 입력된 중간 주파수(IF) 신호는 합성 영상 신호(Composite Video Signal:CVBS)와 음성 신호(L/R)로 형성되어 텔레비젼 신호 선택부(120)에 입력된다. 텔레비젼 신호 선택부(120)에는 외부로부터의 신호들도 입력된다. 즉, 제1과 제2비디오 신호원(도시되지 않음)에서의 신호(V1, V2)와 슈퍼 VHS 신호원(도시되지 않음)에서의 신호(S-V)가 입력된다.
텔레비젼 신호 선택부(120)에 의해 선택된 비디오 신호(SVBS, V1, V2)는 휘도/색신호 분리부에 입력된다. 휘도/색 신호 분리부(130)에서 분리된 동기 신호를 포함한 휘도 신호(Y+S)는 선택 회로(30)의 제1선택기(300)의 일측 입력단으로 입력되고, 색 신호(C)는 영상 출력 회로(40)의 색 복조부(400)에 입력된다. 또한, 제1선택기(300)의 타측 입력단으로는 영상 반주 신호 발생 회로(20)에서 발생되는 의사 동기 신호(PS)가 입력된다. 제1선택기(300)에 의해 선택된 신호 (Y+S 혹은 PS)는 색 복조부(400)에 입력된다.
한편, 텔레비젼 신호 선택부(120)에서 슈퍼 VHS 신호(S-V)가 선택된 경우에는 휘도/색 신호 분리부(130)를 거치지 않고 직접 색 복조부(400)와 제1선택기(300)에 입력된다.
제1선택기(300)는 영상 반주 신호 발생 회로(20)에서 발생되는 그래픽 모드 신호(G)에 의해 제어되며 그래픽 모드 신호(G)가 온 상태일 경우에는 영상 반주 신호 발생 회로(20)에서의 의사 동기 신호(PS)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그래픽 모드 신호(G)가 오프 상태일 경우에는 텔레비젼 신호 선택부(120)에서의 영상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색 복조부(400)에 입력된 색 신호(C)와 휘도 신호(Y+C)는 색차 신호(R-Y, G-Y, B-Y)로 복조되어 영상 신호 합성부(410)에 입력된다. 복합 동기 신호가 포함된 휘도 신호(Y+C)로부터 추출된 동기 신호(H/V)는 영상 반주 신호 발생 회로(20)와 제어 회로(60)에 제공된다. 제어 회로(60)에서 색 복조부(400)에 인가되는 온 스크린 플레이어(OSD:On Screen Display) 신호는 색차 신호와 합성되어 출력된다.
영상 신호 합성부(410)의 다른 입력단으로는 영상 반주 신호 발생 회로(20)에서의 그래픽 신호 및 문자 신호가 R, G, B, BLK의 형태로 입력되어 색 복조부(400)에서 제공되는 색차 신호와 합성되어 음극선관 구동부(420)에 출력된다. 여기서 영상 신호 합성부(410)에 제어 회로(60)에서의 블랭킹 신호(BLK OSD) 및 영상 반주 신호 발생 회로(20)에서의 블랭킹 신호(BLK)를 인가함에 의해 제어 회로(60)에서 출력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신호, 영상 반주 신호 발생 회로(20)에서 출력되는 그래픽 신호 및 문자 신호, 텔레비젼 신호 발생 수신 회로(10)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순서로 우선 순위를 설정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음성 신호 계통의 동작에 있어서, 텔레비젼 신호 선택부(120)에 의해 선택된 오디오 신호(SVBS, V1, V2, S-V)는 선택 회로(30)의 제2선택기(310)에 입력된다. 제어 회로(60)에 의해 텔레비젼 모드가 선택되면 제2선택기(310)에서 텔레비젼 신호 선택부(120)에서의 오디오 신호가 선택되고, 가라오케 모드가 선택되면 영상 반주 신호 발생 회로(20)에서의 반주 신호가 선택되어 음성 출력 회로(50)로 출력된다. 제2선택기(31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잔향음/이퀄라이징 출력부(500)에 입력되어 잔향음 처리 및 이퀄라이징 처리가 행하여져 증폭부(510)에 출력된다. 증폭부(510)에서 증폭된 신호는 각각의 스피커(530-550)에 의해 음성 신호로 출력된다. 여기서, 우퍼(Woofer) 스피커는 복합 스피커에서 낮은 음역의 재생을 담당하는 스피커를 말한다.
또한, 음성 신호 입력부(700)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 신호(Voice)는 결합기(710)를 통하여 상기 영상 반주 신호 발생 회로(20)에서 출력되는 반주 신호와 혼합되어 상기 제2선택기(310)의 반주 신호로서 제공된다.
제3도는 제2도에 따른 가라오케 텔레비젼의 메들리 기능 수행 방법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마이크로 프로세서(610)에서 메들리 기능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01).
메들리 기능이 선택되면 초기 화면이 영상 출력 회로(40)를 통하여 주제별 항목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예를 들면, 1번은 가요, 2번은 민요, 3번은 가곡 등으로 디스플레이 된다(S302).
사용자가 주제별 항목에 대하여 숫자키를 선택하고, 숫자키를 선택하면 그 숫자키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가 제어 신호 검출부(600)에 입력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610)에 전달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610)에서는 선택된 숫자키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303).
마이크로 프로세서(610)를 통하여 숫자키의 입력 여부가 판단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610)에서는 숫자키에 해당하는 숫자를 판단한다(S304).
마이크로 프로세서(610)를 통하여 숫자키에 해당하는 숫자가 판단되면 영상 출력 회로(40)를 통하영 음극선관(430)에 그 숫자에 해당하는 곡의 형식별 분류 항목을 디스플레이 한다. 예를 들면, 가요가 선택되면 1번은 트롯트, 2번은 디스코, 3번은 고고 등으로 디스플레이 한다(S305).
사용자가 곡의 형식별 분류에 해당하는 숫자키를 입력하면, 해당 숫자키의 제어 신호가 제어 신호 검출부(600)에 입력되고, 입력된 제어 신호는 마이크로 프로세서(610)에 인가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610)는 상기 제어 신호 검출부(600)에서 인가된 제어 신호를 검출하여 입력된 숫자키의 숫자를 판단한다(S306).
마이크로 프로세서(610)를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숫자키의 숫자가 확인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610)는 영상 출력 회로(4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각각에 해당하는 첫 번째 곡의 제목을 음극선관(430)에 디스플레이 한다(S307).
마이크로 프로세서(610)에서 연주 시작 명령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08).
연주 시작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610)에서 특정 키의 입력 여부를 확인한다(S309).
특정 키가 입력되었을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610)에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키에 대한 명령을 수행하고, 메들리 기능을 취소한다(S310).
연주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610)는 음성 출력 회로(5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 신호를 인가받은 음성 출력 회로(50)는 첫 번째 곡부터 같은 형식별로 취합된 곡의 연주를 시작한다. 이 때, 한 곡의 연주가 완료되면 다음 곡이 자동적으로 연주된다(S311).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일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메들리 기능키를 선택하면 메들리 기능키의 제어 신호가 제어 신호 검출부(600)에 인가된다. 제어 신호를 인가받은 제어 신호 검출부(60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610)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610)는 메들리 기능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메들리 기능키가 입력되었음이 확인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영상 출력 회로(4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 신호를 인가받은 영상 출력 회로(40)는 곡의 주제별 항목을 음극선관(430)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 되는 항목은 아래와 같다.
[곡의 주제별 항목]
1. 가요
2. 민요
3. 가곡
4. 동요
5. 군가
이상의 항목에서 사용자가 가요를 선택하여 1번 키를 입력하면, 이 신호는 제어 신호 검출부(600)에 입력되고, 제어 신호 검출부(600)는 제어 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610)에 전달하며, 마이크로 프로세서(610)는 영상 출력 회로(4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 신호를 인가 받은 영상 출력 회로(40)는 아래와 같은 항목을 디스플레이 한다.
[곡의 형식별 분류]
1. 트롯트
2. 디스코
3. 고고
4. 랩
5. 발라드
이상의 항목에서 사용자가 트롯트를 선택하여 1번 키를 입력하면, 이 신호는 제어 신호 검출부(600)에 입력되고, 제어 신호 검출부(600)는 제어 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610)에 전달하며, 마이크로 프로세서(610)는 영상 출력 회로(4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 신호를 인가 받아 영상 출력 회로(40)는 트롯트에 해당하는 첫 번째 곡의 제목을 표시한다.
이후, 반주 시작 키가 입력되면 이 신호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며 마이크로 프로세서(610)에 전달 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610)는 제어 신호를 음성 출력 회로(50)에 인가한다. 제어 신호를 인가 받은 음성 출력 회로(50)는 첫 번째 곡부터 연주를 시작하고, 첫 번째 곡의 연주가 완료되면 두 번째 곡의 연주가 계속되어 결국 트롯트로 분류되어 일괄 취합된 N개의 곡이 모두 연주된다.
한편 연주 시작 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610)는 특정 기능 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여 특정키가 입력되면 메들리 기능을 취소하고 해당되는 특정키에 대한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가라오케 텔레비젼의 메들리 기능 수행 방법에 의하면, 가라오케 텔레비젼의 영상 반주 기능에 메들리 기능을 추가하므로서, 사용자에게 보다 흥미로움을 선사할 수 있고, 한 곡의 연주가 끝나고 난 후 연이어 다음 곡이 연주되므로 다음 곡이 연주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영상반주신호 발생회로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가라오케 텔레비젼의 메들리 기능 수행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영상반주신호 발생회로의 메모리에 곡을 주제별, 형식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과정; (b)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메들리 기능키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c) 상기 과정(b)의 판단 결과 상기 메들리 기능키가 입력되는 경우에, 영상 출력 수단을 통하여 주제별 항목들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d) 상기 주제별 항목 중의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는 제1선택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e) 상기 제1선택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영상 출력 수단을 통하여 형식별 항목들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f) 상기 형식별 항목 중의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는 제2선택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g) 상기 제2선택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영상반주신호 발생회로의 메모리에 저장된 곡 중에서 상기 제1, 2선택명령에 의하여 선택된 주제 및 형식에 해당되는 곡만을 취합하고, 취합된 곡 중의 첫 번째 곡의 제목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및 (h) 연주 시작키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과정(g)에서 취합된 곡들을 첫 번째 곡부터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출력하여 연주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 텔레비젼의 메들리 기능 수행 방법.
KR1019930012407A 1993-06-30 1993-06-30 가라오케 텔레비젼의 메들리 기능 수행방법 KR0183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2407A KR0183682B1 (ko) 1993-06-30 1993-06-30 가라오케 텔레비젼의 메들리 기능 수행방법
CN94106580A CN1069478C (zh) 1993-06-30 1994-06-30 在带有视频/伴奏音乐唱机的电视机中控制音乐混合功能的方法
JP6149920A JPH0772887A (ja) 1993-06-30 1994-06-30 映像伴奏器内装型テレビの映像伴奏制御方法
US08/268,942 US5486645A (en) 1993-06-30 1994-06-30 Musical medley function controlling method in a televison with a video/accompaniment-music p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2407A KR0183682B1 (ko) 1993-06-30 1993-06-30 가라오케 텔레비젼의 메들리 기능 수행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83682B1 true KR0183682B1 (ko) 1999-04-15

Family

ID=19358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2407A KR0183682B1 (ko) 1993-06-30 1993-06-30 가라오케 텔레비젼의 메들리 기능 수행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486645A (ko)
JP (1) JPH0772887A (ko)
KR (1) KR0183682B1 (ko)
CN (1) CN106947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1683A (en) * 1993-05-14 1998-07-1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Video reproducing apparatus with non-repetitive selecting function
KR0124612B1 (ko) * 1994-09-22 1997-11-28 구자홍 가라오케 시스템의 자막 및 반주음 처리장치 및 방법
KR0129953B1 (en) * 1994-10-20 1998-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act disk player on body television receiver
US5616876A (en) * 1995-04-19 1997-04-01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s for selecting music on the basis of subjective content
US5670730A (en) * 1995-05-22 1997-09-23 Lucent Technologies Inc. Data protocol and method for segmenting memory for a music chip
US6231347B1 (en) 1995-11-20 2001-05-15 Yamaha Corporation Computer system and karaoke system
US5885085A (en) * 1995-11-24 1999-03-23 Yamaha Corporation Drive-in interactive system
JP2956569B2 (ja) * 1996-02-26 1999-10-04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JPH1074092A (ja) * 1996-08-30 1998-03-17 Yamaha Corp カラオケ装置
US6199076B1 (en) * 1996-10-02 2001-03-06 James Logan Audio program player including a dynamic program selection controller
US6032156A (en) * 1997-04-01 2000-02-29 Marcus; Dwight System for automated generation of media
US6425018B1 (en) 1998-02-27 2002-07-23 Israel Kaganas Portable music player
US6953886B1 (en) 1998-06-17 2005-10-11 Looney Productions, Llc Media organizer and entertainment center
US5969283A (en) * 1998-06-17 1999-10-19 Looney Productions, Llc Music organizer and entertainment center
JP2001197159A (ja) * 2000-01-14 2001-07-19 Yamaha Corp 携帯電話機
US6760721B1 (en) * 2000-04-14 2004-07-06 Real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metadata data
US6545209B1 (en) * 2000-07-05 2003-04-08 Microsoft Corporation Music content characteristic identification and matching
US7035873B2 (en) * 2001-08-20 2006-04-25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adaptive media property classification
US7065416B2 (en) * 2001-08-29 2006-06-20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automatic classification of media entities according to melodic movement properties
US6748395B1 (en) * 2000-07-14 2004-06-08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playlist of media
US20060015904A1 (en) 2000-09-08 2006-01-19 Dwight Marcus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on, distribution, assembly and verification of media
US9419844B2 (en) 2001-09-11 2016-08-16 Ntech Propert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on of media
US7003515B1 (en) 2001-05-16 2006-02-21 Pandora Media, Inc. Consumer item matching method and system
US7962482B2 (en) * 2001-05-16 2011-06-14 Pandora Medi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utilizing contextual feedback to generate and modify playlists
US20060212442A1 (en) * 2001-05-16 2006-09-21 Pandora Media, Inc. Methods of Presenting and Providing Content to a User
US20060206478A1 (en) * 2001-05-16 2006-09-14 Pandora Media, Inc. Playlist generating methods
US20050044569A1 (en) * 2003-06-24 2005-02-24 Dwight Marcus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entertaining information delivery
US7288712B2 (en) * 2004-01-09 2007-10-30 Yamaha Corporation Music station for producing visual images synchronously with music data codes
US20050249080A1 (en) * 2004-05-07 2005-11-10 Fuji Xerox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harvesting a media stream
US20080276189A1 (en) * 2007-05-01 2008-11-06 Thomas Dawson Method and system for themeable on-screen display
US8145704B2 (en) 2007-06-13 2012-03-27 Ntech Propert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edia programming
US20110022620A1 (en) * 2009-07-27 2011-01-27 Gemstar Development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associating and providing media content of different types which share atrributes
CN205789102U (zh) * 2016-04-08 2016-12-07 王泰来 使用高保真混放器的高保真双音频播放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7490A (ja) * 1990-07-06 1992-03-03 Pioneer Electron Corp 情報再生装置
CN2111602U (zh) * 1991-07-02 1992-07-29 广州广播设备厂 带有卡拉ok装置的电视广播接收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478C (zh) 2001-08-08
JPH0772887A (ja) 1995-03-17
US5486645A (en) 1996-01-23
CN1101477A (zh) 1995-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3682B1 (ko) 가라오케 텔레비젼의 메들리 기능 수행방법
KR0165271B1 (ko) 가라오케 텔레비젼의 메들리 기능 수행 여부 판단방법
JP3262439B2 (ja) 映像伴奏機能を有する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20110310308A1 (en) Video/audio output device and external speaker control apparatus
KR100237303B1 (ko) 복합 영상기기의 주변 시스템 연결 표시장치 및 그 방법
JPH0775015A (ja) テレビチャンネル切換装置
JPH0898102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20050280744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having combined mode set-up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9990042500A (ko) 다화면 텔레비전의 외부입력시 부화면재생제어방법
KR0113153Y1 (ko) 무신호시 저장화면출력기능을 갖춘 비디오비전
KR0132854B1 (ko) 음성인식에 의한 곡명 자동 선택용 노래방 텔레비젼
KR0129981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기록 제어방법
JPH0614307A (ja) 文字放送受信機能付き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201835B1 (ko) 텔레비전의 채널 선국장치 및 그 방법
KR0160643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사용 데이터 검출방법
KR0132855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모드 전환방법
KR0135825B1 (ko) 영상반주기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내장형 텔레비젼 및 그 신곡 데이터 업 데이트 방법
KR0176478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예약 곡목 표시 기능 수행방법
KR0141214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자동 탐색 기능 수행방법
KR0160644B1 (ko) 다기능 노래방 텔레비젼
KR19990025599A (ko) 텔레비전의 영상/자막 편집 시스템
KR0141212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자동 탐색 기능 수행방법
KR0160651B1 (ko) 영상반주기가 내장된 멀티 방식용 텔레비젼의 곡 선택방법
KR0160647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자동 탐색 기능 수행방법
KR100282062B1 (ko) 문자방송의 녹화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의 운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