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825B1 - 영상반주기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내장형 텔레비젼 및 그 신곡 데이터 업 데이트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반주기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내장형 텔레비젼 및 그 신곡 데이터 업 데이트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825B1
KR0135825B1 KR1019940001718A KR19940001718A KR0135825B1 KR 0135825 B1 KR0135825 B1 KR 0135825B1 KR 1019940001718 A KR1019940001718 A KR 1019940001718A KR 19940001718 A KR19940001718 A KR 19940001718A KR 0135825 B1 KR0135825 B1 KR 0135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ideo
song data
data
accompani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1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4525A (ko
Inventor
강병석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01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825B1/ko
Publication of KR950024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4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8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6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combined with other apparatus having a different main func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8Sepa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from pictur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04N7/087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 H04N7/08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 H04N7/0882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for the transmission of character code signals, e.g. for teletex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영상반주기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내장형 텔레비젼 및 그 신곡 데이타 업 데이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영상반주기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내장형 텔레비젼은 기존의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에 비해 비디오 신호 기록용 자기테이프 재생장치부가 더 내장되어 있다. 또한, 이 텔레비젼은 비디오 신호 기록용 자기테이프의 수직블랭킹 신호구간에 신곡 데이타를 삽입시켜, 재생시에 이를 다시 재생시킨 후 내부에 저장된 곡 데이타와 동일한지를 비교한다. 또한 동일한 신호가 아닌 데이타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시킨 후 필요시 언제라도 백업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영상반주기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내장형 텔레비젼 및 그 신곡 데이터 업 데이트 방법
제 1 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컴퓨터 반주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블럭도.
제 2 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 반주기 텔레비젼의 개략적 불럭도.
제 3 도는 이 발명에 따른 영상반주기와 브이.씨.알(VCR)내장형 텔레비젼의 개략적 블럭도.
제 4 도는 이 발명에 따른 영상반주기와 브이.씨.알(VCR)내장형 텔레비젼의 신곡 데이타 업 데이트 수행흐름도.
제 5 도는 제 4 도에서의 VBI곡 데이타 업 데이트 모드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튜너52 : 복조부
53 : 마이크로 컴퓨터54 : 리모콘 수신부
55 : 키보드 수신부56 : 비디오 신호 스위칭 회로
57 : OSD회로58 : 비디오 신호 처리부
59 : 오디오 신호 스위치60 : 등기신호 분리기
61 : 문자신호 검출기62 : 영상반주기부
63 : VCR부
이 발명은 영상반주기와 브이.씨.알(이하, VCR이라 약칭함) 내장형 텔레비젼 및 그 신곡 업 데이트(up date)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VCR의 자기기록 및 매체기록된 비디오 신호 수직블랭킹 구간(Vertical Blanking Interval) (이하, VBI라 약칭함)에 신곡 데이타를 기록한 후, 재생시 신곡 데이타를 영상반주기 및 내장형VCR 내장형 텔레비젼에 업 데이타를 시킬 수 있는 영상반주기와 VCR내장형 텔레비젼 및 그 신곡 데이타 업 데이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젼은 방송국에서 송출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도 있고, 외부기기로부터의 영상 및 음성신호를 유입하기 위한 외부신호 입력단자가 설치되어 있어 이를 통해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 캠코더, 영상반주장치등에서 제공되는 영상 및 음성신호를 브라운관 및 스피커에 의해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텔레비젼에 설치된 조작버튼이나 리모콘을 사용하여 텔레비젼에 신호 혹은 외부신호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영상 및 음성신호를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현재 급속하게 개발 시판되고 있는 영상반주장치는 텔레비젼 모니터와 연결하여 노래반주와 함께 가사를 표시해 주는 장치로서 크게 레이져 디스크 플레이어를 이용한 LD 영상반주 시스템과, 콤팩트 디스크 그래픽 플레이어를 이용한 CDG 영상반주 시스템 및 메모리를 이용한 컴퓨터 반주 시스템으로 구분되고 있다.
그런데, 레이져 디스크 플레이어를 이용한 LD 영상반주 시스템은 영상과 음질이 어떤 음원보다 가장 우수하지만 1장의 레이져 디스크에 수록되는 곡이 30여곡 정도의 제한되므로 다량의 곡을 서비스하기 위하여는 주크 박스(Juke Box)와 같은 디시크 교환장치를 필요로 한다.
또한, CDG 영상반주 시스템은 레이져 디스크와 같은 정도의 우수한 음질을 제공할 수 있으나, 컴팩트 디스크의 서브코드 채널(Sub-code channel)에 기록되어 있는 제한된 수의 정지화면 정보만을 제공하므로 레이져 디스크에 비해 영상과 음악의 연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컴팩트 디스크에 수록되는 곡이 15곡 정도로 제한되므로 레이져 디스크 플레이어를 이용하는 시스템에서와 같이 디스크 교환장치가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한편, 컴퓨터 반주 시스템은 레이져 디스크 플레이어와 컴팩트 디스크 그래픽 플레이어를 이용한 반주 시스템에서와 같은 우수한 음질을 제공할 수는 없지만, 1,000∼1,500여곡 정도의 반주정도와 가사정보를 다량으로 제공할 수 있고 곡의 선택을 고속으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바, 이에 대해 제 1도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제 1 도는 메모리를 이용한 컴퓨터 반주장치의 개략적 블럭도인 바, 이는 스테레오 반주신호와 가사정보를 제공하여 일반적인 모니터와 오디오 앰프에 연결되어 사용된다.
제 1도를 참조하면, 명령입력부(1)에 의해 특정한 곡이 선택되고, 반주 시작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는 반주신호 발생부(3)를 제어하여 지정된 곡의 반주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2)는 문자신호 발생부(4)를 제어하여 지정된 곡의 가사정보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음성입력부(5)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는 합성부(6)에서 반주신호와 합성된 뒤 오디오 출력단자를 통해 오디오 앰프에 제공되고, 문자신호 발생부(4)의 출력은 모니터에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는 반주에 맞추어 노래를 부를 수가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컴퓨터 반주장치는 반주신호 및 가사신호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별도의 모니터를 필요로 하며, 또한 앰프를 구비하여야만 하였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는 두가지의 기기를 별도로 구입하거나 취입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에 의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3-3422 호에는 영상반주장치와 텔레비젼이 일체화되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는바, 제 2도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제 2 도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개략적 블럭도인바, 이 텔레비젼은 영상관련 계통과 음성관련 계통으로 대별되어지며, 또한 텔레비젼의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에 있어서는 채널선택, 비데오 선택, 볼륨을 비롯한 조정단자들의 조정들을 모두 수행하며, 영상반주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에 있어서는 곡선택, 음정 및 속도의 조정, 예약설정들을 모두 수행한다.
특히, 영상반주모드에서 음성신호는 영상반주장치에 의해서만 제공되나, 영상신호는 텔레비젼에 의해 형성되는 선택된 채널의 방송신호와 외부에서 제공되는 신호 및 영상 반주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된 그래픽 신호중의 하나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곡의 내용에 대응하여 생동감있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먼저, 영상신호 계통의 동작에 있어서, 안테나(10)를 통하여 튜너(12)에 입력되는 방송신호(IF신호)는 중간 주파신호(IF신호)로 변환되어 복조부(14)로 입력된다. 복조부(14)로 입력된 IF 신호는 복합영상신호(Composite video signal : CVS)와 음성신호(L/R)로 형성되어져 텔레비젼 신호 선택부(16)로 입력된다. 텔레비젼 신호 선택부(16)에는 외부로부터의 신호들로 입력되어진다. 즉, 제 1 및 제 2의 비데오 신호원(도시하지 않음)에서 신호(V1,V2)와 수퍼 VHS신호원(도시하지 않음)에서의 신호(S-V)가 입력된다.
텔레비젼 신호 선택부(16)에 의해 선택되어진 비데오 신호(CVS, V1 혹은 V2)는 휘도/색신호 분리부(18)에 입력된다. 휘도/색신호 분리부(18)에서 분리된 동기신호를 포함한 휘도신호(Y+S)는 제 1 선택부(20)의 일측입력으로 입력되고 색신호(C) 색복조부(22)에 입력된다. 한편, 제 1 선택부(20)의 타측입력으로는 영상 반주신호 발생부(24)에서 발생되는 의사동기신호(PS)가 입력된다. 제 1 선택부(20)에 의해 선택되어진 신호(Y+S 혹은 PS)는 색복조부(22)에 입력된다.
한편, 텔레비젼 신호 선택부(16)에서 수퍼 VHS 신호(S-V)가 선택된 경우에는 휘도/색신호 분리부(18)를 거치지 않고 직접 색복조부(22)와 제 1선택부(20)로 입력된다.
제 1 선택부(20)는 영상반주신호 발생부(24)에서 발생되는 그래픽 모드신호(G)에 의해 제어되며, 그래픽 모드신호(G)가 하이(HIGH)일 경우에는 영상반주신호 발생부(24)에서의 의사 동기신호(PS)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로우(LOW)일 경우에는 텔레비젼 신호 선택부(16)에서의 영상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색복조부(22)에 입력된 색신호(C)와 휘도신호(Y+S)는 색차신호(R-Y, B-Y, G-Y, -Y)로 복조되어져 영상신호 합성부(26)로 입력된다. 복합동기신호가 포함된 휘도신호(Y+S)로부터 추출된 동기신호(H/V)는 영상반주신호 발생부(24)와 제어부(28)에 제공된다.
제어부(28)에서 색복조부(2)에 인가되는 OSD(On Screen Display)신호는 복조된 색차신호와 합성되어져 출력된다.
영상합성부(26)의 다른 입력으로서는 영상반주신호 발생부(24)에서의 그래픽 신호 및 문자신호가 R, G, B. BLK의 형태로 입력되어 색복조부(22)에서 제공되는 색차신호와 합성되어 음극선관(CRT)구동부(30)로 출력된다. 여기에서 영상신호 합성부(26)에 제어부(28)에서의 블랭킹 신호(BLK) 및 영상 반주신호 발생부(24)에서의 블랭킹 신호(BLK)를 인가함에 의해 제어부(28)에서의 OSD신호, 영상반주신호 발생부(24)에서의 그래픽 신호 및 문자신호, 텔레비젼 신호 선택부(916)에서의 신호의 순서로 우선 순위를 설정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음성신호 계통의 동작에 있어서, 텔레비젼 신호 선택부(16)에 의해 선택되어진 오디오 신호(SVBS, V1, V2 혹은 S-V)는 제 2 선택부(32)에 입력된다. 제어부(28)에 의해 텔레비젼 모드가 선택되면 제 2 선택부(32)에서 텔레비젼 신호 선택부(16)에서의 오디오 신호가 선택되고, 영상반주모드가 선택되면 영상반주신호 발생부(24)에서의 반주신호가 선택되어져 음성출력장치로 출력된다. 즉, 제 2 선택부(32)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잔향음 처리부(34)에 입력되어져 잔향음 처리 및 이퀄라이징 처리가 행해진 뒤 증폭부(36)로 출력된다. 증폭부(36)에서 증폭된 신호는 스피커(L, R, WOOFER)에 의해 음성출력으로서 제공된다.
그리고, 마이크를 통하여 유입되는 음성신호(VOICE)는 음성합성부(38)에서 상기 영상반주신호 발생부(24)의 반주신호와 합성된 뒤, 제2 선택부(32)에 제공된다.
한편,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반주신호 발생부(24)는 그래픽/문자신호 발생기(242), 반주신호 발생기(244), 영상반주 제어기(246) 및 외부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그래픽/문자신호 발생기(242)는 그래픽 신호 및 문자신호를 발생한다. 반주신호 발생기(244)는 반주음을 발생한다. 영상반주 제어기(246)는 그래픽/문자신호 발생기(242)와 반주신호 발생기(244)의 동작을 제어하고 의사동기신호를 발생한다. 그래픽/문자신호 발생기(242)는 외부에서 제공될 수 있는 그래픽/문자정보 및 음원정보를 입력하여 외부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았음)를 통하여 그래픽/문자신호 발생기(242)와 반주신호 발생기(244)에 제공한다.
그래픽/문자신호 발생기(242)는 그래픽 정보를 기억하는 그래픽 메모리, 문자정보를 기억하는 문자 메모리, 그래픽 메모리로부터 독출된 그래픽 정보와 문자 메모리로부터 독출된 문자정보를 조합하는 그래픽/문자 처리기 및 상기 그래픽/문자 처리기의 출력을 디지탈/아날로그 변환하여 출력하는 D/A 변환기등을 구비한다.
그리고, 반주신호 발생기(244)는 음원정보를 기억하는 음원메모리, 음원메모리로부터 독출된 음원정보를 입력하고 반주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원정보 처리기 및 음원정보 처리기의 출력신호를 디지탈/아날로그 변환하여 출력하는 D/A 변환기를 구비한다. 여기서 음원메모리에 기억되는 음원정보는 MIDI정보이다.
한편, 영상반주 제어기(246)는 내장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상기 그래픽/문자신호 발생기(242)와 반주신호 발생기(244)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원격 조정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원격 제어 명령을 수행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및 텔레비젼 신호의 동기신호와 동등한 의사동기신호를 발생하는 동기신호 발생기를 포함한다.
한편, 전치증폭부(40)는 마이크로 컴퓨터(28)에 리모콘으로부터 제어명령을 인터페이스하고, 명령입력부(42)는 마이크로 컴퓨터(28)에 명령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적어도 텔레비젼/영상반주모드 선택키, 반주용 영상신호 선택키, 곡선택용 숫자패드, 시작/취소키, 예약키, 음정 조정키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영상반주기 텔레비젼이 일체로 복합 형성되어 있으므로써, 소비자들은 영상반주기와 텔레비젼을 각각 별도로 구입할 필요가 없으며, 이들 제품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써 조작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설치공간이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이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서, 이 발명의 목적은 자기기록 및 재생매체상에 비디오 신호와 함께 포맷화된 VBI의 수평동기신호 기간에 신곡 데이타를 기록하고, 재생시 이를 독출하여 마이크로 컴퓨터내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영상반주기의 곡 데이타와 비교한 후 동일하지 않을 경우 이를 백업(Back-up)시킬 수 있는 영상반주기와 VCR 내장형 텔레비젼 및 그 신곡 데이타 업데이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자기기록 및 재생매체상에 특정코드를 부여하고 동시에 특정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에 동일한 코드를 부여함으로써,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된 텔레비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른 영상반주기와 VCR 내장형 텔레비젼 및 그 신곡 데이타 업 데이트 방법의 특징은, 비디오 신호가 기록된 자기테이프의 소정신호 구간에 곡 데이타를 디지탈 신호 형태로 저장한 후, 재생시 상기 디지탈 신호를 검출하고, 내부에 저장된 곡 데이타와 비교한 후 동일하지 않을 경우 내부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신곡 데이타를 업 데이트할 수 있는 점이 있다.
이하, 이 발명에 따른 영상반주기와 VCR내장형 텔레비젼 및 그 신곡 데이타 업 데이트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이미 설명된 바 있는 제 2도의 동작과 중복되는 부분은 설명을 생략한다.
제 3도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 있지만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방송신호(RF 신호)는 중간주파수 신호(IF신호)로 변환되어 복조부(52)로 입력된다. 복조부(52)로 입력된 IF신호는 복합영상신호(Composite video signal ; CVS)와 음성신호(L/R)로 나눠져 각각 비디오 신호 스위칭 회로(56) 및 오디오 신호 스위치(59)로 입력된다. 비디오 신호 스위칭 회로(56)에서 외부단자로부터의 입력신호들(TV, V1, V2, S-V) 및 내부 VCR부로부터의 입력신호가 입력되어 스위칭 된다. 동시에 내·외부로부터 제공된 오디오 신호들도 오디오 신호 스위치(59)에서 스위칭된 후 오디오 신호 처리부(63)를 통하여 스피커로 음성 출력된다.
한편, 비디오 신호 스위칭 회로(56)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신호는 동기신호 분리기(60)에서 수직 및 수평동기신호로 분리된다.
분리된 동기신호는 음극선관의 전자총(도시하지 않음)에 제공됨과 아울러, VCR부(63)에서 제공된 비디오 신호가 선택된 경우, 그 기록매체인 테이프상에 있는 수직블랭킹 구간중의 수평동기신호 기간에 텔레텍스트(TTX)형태의 디지탈 신호를 삽입하여 기록된 곡 데이타를 검출하는 문자신호 검출기(61)의 문자신호 발생부의 곡 데이타와 비교된다.
곡 데이타 비교에 의해 영상반주기(62)내의 그래픽 문자신호 발생부의 곡 데이타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새롭게 입력된 VCR부의 신곡 데이타를 저장시킨다. 여기에서, VCR부의 신곡 데이타가 저장된 자기테이프는 특정회사 제품, 예를들면 삼성 비디오 테이프(상표명 Starmax)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특정회사 제품인 테이프와 테이프 기록재생장치사이에 통신 가능 로크기능을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 발명에 따른 텔레비젼의 곡 데이타 업데이트 방법을 제 4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이 인가되면, 마이크로 컴퓨터는 영상반주기 모드인가를 확인한다(S41).
만약, 영상반주기 모드가 아니면 VCR 모드인가를 확인(S43)한다.
상기 단계(S41)에서 영상반주기 모드일 경우 사용자의 곡 데이타 디스플레이 키의 키누름에 의해 영상반주기 속에 저장되어 있는 곡 데이타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S42, S44). 이어서, 사용자에 의해 곡 선택키가 입력되었는가를 확인하는 단계(S45)가 수행되고, 곡 선택키 입력키가 입력되었으면 영상반주기 모드가 수행(S46) 된다.
또한, 상기 VCR모드 확인단계(S43)에서 VCR모드가 아니면 텔레비젼 모드가 수행(S47)되고, VCR 모드이면 수직블랭킹 구간내의 수직동기펄스 기간에 삽입되어 있는 곡 데이타를 업 데이트하는 모두가 수행(S50)된다.
이 업 데이트 모드 수행단계(S50)는 제 5 도에 잘 나타나 있다.
제 5 도를 참조하면, 입력된 복합 비디오 신호중에 포함되어 있는 VBI내의 수평동기신호르 분리하는 단계(S51)와 분리된 수직블랭크 구간내에 삽입된 비밀코드와 마이크로 컴퓨터내의 룸에 저장되어 있는 비밀코드와 비교한 후 로크기능 해제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52)가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일단, 상기 비밀코드가 서로 일치된다고 확인되면 VBI내의 곡 데이타가 입력되는 모드가 수행되고(S53), 영상반주기의 곡 데이타와 동일한지가 판단된다(S54). 만약, 상기 단계(S54)에서 영상반주기내의 저장곡 데이타와 동일하면 신곡 데이타가 저장할 필요없이 업 데이트 모드가 종료되고, 서로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최근 신곡으로 간주되어 룸에 저장된다(S55). 따라서, 이후에 사용자의 곡 데이타 디스플레이 키 동작에 의해 기존의 영상반주기내의 곡 데이타와 함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영상반주기와 VCR 내장형 텔레비젼 및 그 신곡 업 데이트를 삽입시킴과 동시에 비밀코드를 부여하고, 이 자기테이프를 영상반주기와 VCR 내장형 텔레비젼에서 재생할 경우 자동으로 곡 데이타를 판독한 후 백업(Back up)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영상기록 재생/기록 수단과 영상 반주기가 내장된 일체형 텔레비젼에 있어서, 상기 영상기록 재생/기록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방송 신호중 내·외부 단자 비디오 신호 및 복조된 무선 신호인 복합 영상 신호를 스위칭 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 상기 스위칭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복합영상신호로부터 수직블랭킹 구간내의 수평동기 신호를 분리하는 동기신호 분리수단과; 상기 동기신호 분리기로부터 제공된 신호에 포함된 곡 데이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의 출력신호와 내부에 저장된 곡 데이타를 비교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반주기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내장형 텔레비젼.
  2. 비디오 신호 및 비밀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자기테이프내의 소정신호 구간에 기록된 곡 데이타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시키고, 필요에 따라 업 데이트시킬 수 있는 영상 반주기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내장형 텔레비젼의 신곡 데이타 업 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기테이프내의 기록신호중 소정신호 구간을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자기테이프의 기록된 비밀코드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자체 코드번호를 서로 동일한지를 비교하는 단계와; 비밀코드가 서로 통신 가능한 것으로 판명되면 상기 소정 구간내의 곡 데이타를 입력하고 내부에 저장된 영상반주기의 곡 데이타와 동일한지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곡 데이타가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면 상기 자기테이프내의 곡 데이타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로 구성된 영상반주기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내장형 텔레비젼의 신곡 데이타 업 데이트 방법.
  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신호 구간은, 수직블랭킹 신호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반주기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내장형 텔레비젼의 신곡 데이타 업 데이트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코드 번호 및 곡 데이타는 상기 수직 블랭킹 구간내에 포함된 복수개의 수평동기신호 기간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반주기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내장형 텔레비젼의 신곡 데이타 업 데이트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코드 번호 및 데이타는 텔레텍스트 방식의 디지탈 신호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반주기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내장형 텔레비젼의 신곡 데이타 업 데이트 방법.
KR1019940001718A 1994-01-31 1994-01-31 영상반주기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내장형 텔레비젼 및 그 신곡 데이터 업 데이트 방법 KR0135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1718A KR0135825B1 (ko) 1994-01-31 1994-01-31 영상반주기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내장형 텔레비젼 및 그 신곡 데이터 업 데이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1718A KR0135825B1 (ko) 1994-01-31 1994-01-31 영상반주기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내장형 텔레비젼 및 그 신곡 데이터 업 데이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525A KR950024525A (ko) 1995-08-21
KR0135825B1 true KR0135825B1 (ko) 1998-04-27

Family

ID=19376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1718A KR0135825B1 (ko) 1994-01-31 1994-01-31 영상반주기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내장형 텔레비젼 및 그 신곡 데이터 업 데이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8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162B1 (ko) * 2004-08-23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락 코드를 이용한 광디스크 재생 제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525A (ko) 1995-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62439B2 (ja) 映像伴奏機能を有する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5486645A (en) Musical medley function controlling method in a televison with a video/accompaniment-music player
KR0165271B1 (ko) 가라오케 텔레비젼의 메들리 기능 수행 여부 판단방법
KR0135825B1 (ko) 영상반주기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내장형 텔레비젼 및 그 신곡 데이터 업 데이트 방법
KR0160642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노래연습방법
KR0132854B1 (ko) 음성인식에 의한 곡명 자동 선택용 노래방 텔레비젼
KR0129981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기록 제어방법
KR19990042500A (ko) 다화면 텔레비전의 외부입력시 부화면재생제어방법
KR0160643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사용 데이터 검출방법
KR0183687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바이오 리듬 기능을 이용한 선곡방법
KR0132855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모드 전환방법
KR0160644B1 (ko) 다기능 노래방 텔레비젼
KR0135827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가사 선택 및 삭제 기능 수행방법
KR0132853B1 (ko) 가요반주기의 가요 베스트 텐 관리방법
KR0160651B1 (ko) 영상반주기가 내장된 멀티 방식용 텔레비젼의 곡 선택방법
KR0176477B1 (ko) 영상반주기가 내장된 멀티 방송방식용 텔레비젼
KR0135828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을 이용한 알람방법
KR0176478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예약 곡목 표시 기능 수행방법
KR0132848B1 (ko) 영상반주장치 내장형 tv의 특정악기 음량 조절방법
KR0132850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2인 점수 디스플레이 방법
KR0160646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편곡 형태 선택 기능 수행방법
KR100219583B1 (ko) 가요반주기의 애창곡 관리 방법
KR0141214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자동 탐색 기능 수행방법
KR0132846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문자위치 이동방법
KR0141212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자동 탐색 기능 수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