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850B1 -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2인 점수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2인 점수 디스플레이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850B1
KR0132850B1 KR1019930031143A KR930031143A KR0132850B1 KR 0132850 B1 KR0132850 B1 KR 0132850B1 KR 1019930031143 A KR1019930031143 A KR 1019930031143A KR 930031143 A KR930031143 A KR 930031143A KR 0132850 B1 KR0132850 B1 KR 0132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core
accompaniment
television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31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2853A (ko
Inventor
이영묵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30031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850B1/ko
Publication of KR950022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2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8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2인 점수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마이크 2개가 연결되어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2인이 동시에 노래를 부를 때 각각의 마이크로 입력된 해당 음성신호의 점수를 판정하여 특정 화면에 별도로 디스플레이함에 따라서 사용자가 점수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고 영상반주기 사용감의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것은 모든 영상 반주기에 이용 가능하다.

Description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2인 점수 디스플레이 방법
제1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컴퓨터 반주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블록도.
제2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개략적 블록도.
제3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마이크 장치를 나타내는 상세 블록도.
제4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더블 마이크 장치를 나타내는 상세 블록도.
제5도는 이 발명에 따른 영상 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2인 점수 디스플레이 방법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제6도의 (a) 내지 (b)는 이 발명에 따른 점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4 : 영상반주신호 발생부 28 : 마이크로 컴퓨터
38 : 음성 합성부 26 : TX영상신호 합성부
50, 52, 54 : 외부 마이크 신호 처리부 241 : 디스플레이 데이타 처리부
242 : 그래픽/문자신호 발생기 243, 251, 252 : A/D 컨버터
245, 253 : 마이크로 프로세서 247, 254 :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
501, 521, 541 : 전치 증폭기 502, 522, 542 : 레벨 보정부
S1 S16 : 단계, MIC, MIC1, MIC2 : 마이크
이 발명은 영상 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더블 마이크 장치 및 2인 점수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인이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을 사용하여 동시에 노래할 때 점수가 별도로 계산된 후 화면상에 각각에 해당되는 점수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더블 마이크 장치 및 2인 점수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젼은 방송국에서 송출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도 있고, 외부 기기로부터의 영상 및 음성신호를 유입하기 위한 외부신호 입력단자가 설치되어 있어 이를 통해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 켐코더, 영상반주장치 등에서 제공되는 영상 및 음성신호를 브라운관 및 스피커에 의해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텔레비젼 신호 혹은 외부신호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영상 및 음성신호를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현재 급속하게 개발, 시판되고 있는 영상반주장치는 텔레비젼 모니터와 연결하여 노래반주와 함께 가사를 표시해주는 장치로서 크게 레이져 디스크플레이어를 이용한 LD 영상반주 시스템과, 카세트 디스크 그래픽 플레이어를 이용한 CDG영상반주 시스템 및 메모리를 이용한 컴퓨터 반주 시스템으로 구분되고 있다. 그런데, 레이져 디스크 플레이어를 이용한 LD 영상반주 시스템은 영상과 음질이 어떤 음원보다 가장 우수하지만 1장의 레이져 디스크에 수록되는 곡이 30여곡 정도로 제한되므로 다량의 곡을 서비스하기 위하여는 주크박스(Juke Box)와 같은 디스크 교환장치를 필요로 한다. 또한 CDG 영상반주 시스템은 레이져 디스크와 같은 정도의 우수한 음질을 제공할 수 있으나, 컴팩트 디스크의 서브코드 채널(Sub-code channel) 에 기록되어 있는 제한된 수의 정지화면 정보만을 제공하므로 레이져 디스크에 비해 영상과 음악의 연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컴팩트 디스크에 수록되는 곡이 15곡 정도로 제한되므로 레이져 디스크 플레어어를 이용하는 시스템에서와 같이 디스크 교환장치가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한편, 컴퓨터 반주 시스템은 레이져 디스크 플레어어와 컴팩트 디스크 그래픽 플레이어를 이용한 반주 시스템에서와 같은 우수한 음질을 제공할 수는 없지만, 1,000∼1,500여곡 정도의 반주정보와 가사정보를 다량으로 제공할 수 있고 곡의 선택을 고속으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바, 이에 대해 제1도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는 메모리를 이용한 컴퓨터 반주장치의 개략적 블록도인 바, 이는 스테레오 반주신호와 가사정보를 제공하여 일반적인 모니터와 오디오 앰프에 연결되어 사용된다. 제1도를 참조하면, 명령입력부(1)에 의해 특정한 곡이 선택되고, 반주 시작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는 반주신호발생부(3)를 제어하여 지정된 곡의 반주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2)는 문자신호 발생부(4)를 제어하여 지정된 곡의 가사정보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음성입력부(5)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는 합성부(6)에서 반주신호와 합성된 뒤 오디오 출력단자를 통해 오디오 앰프에 제공되고, 문자신호 발생부(4)의 출력은 모니터에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는 반주에 맞추어 노래를 부를 수가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컴퓨터 반주장치는 반주신호 및 가사신호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별도의 모니터를 필요로 하며, 또한 앰프를 구비하여야만 하였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는 두 가지의 기기를 별도로 구입하거나 취급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에 의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3-3422호에는 영상반주장치와 텔레비젼이 일체화되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는 바, 제2도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제2도는 영상 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개략적 블록도인 바, 이 텔레비젼은 영상관련 계통과 음성관련 계통으로 대별되어지며, 또한 텔레비젼의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에 있어서는 채널선택, 비데오 선택, 볼륨을 비롯한 조정단자들의 조정등을 모두 수행하며, 영상반주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에 있어서는 곡선택, 음정 및 속도의 조정, 예약설정등을 모두 수행한다. 특히 영상반주 모드에서 음성신호는 영상반주장치에 의해서만 제공되나, 영상신호는 텔레비젼에 의해 형성되는 선택된 채널의 방송신호와 외부에서 제공되는 신호 및 영상반주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된 그래픽 신호중의 하나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곡의 내용에 대응하여 생동감있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먼저, 영상신호 계통의 동작에 있어서, 안테나(10)를 통하여 튜너(12)에 입력되는 방송신호(RF신호)는 중간 주파신호(IF 신호)로 변환되어 복조부(14)로 입력된다. 복조부(14)로 입력된 IF 신호는 복합 영상 신호(Composite video signal ; CVS)와 음성신호(L/R)로 형성되어져 텔레비젼 신호 선택부(16)로 입력된다. 텔레비젼 신호 선택부(16)에는 외부로부터의 신호들도 입력되어진다. 즉, 제 1 및 제 2의 비데오 신호원( 도시하지 않음)에서의 신호(V1, V2)와 슈퍼 VHS 신호원 (도시하지 않음)에서의 신호(S-V)가 입력된다. 텔레비젼 신호 선택부(16)에 의해 선택되어진 비데오 신호(CVS, V1 혹은 V2)는 휘도/색신호 분리부(18)에 입력된다. 휘도/색신호 분리부(18)에서 분리된 동기신호를 포함한 휘도신호(Y S)는 제 1선택부(20)의 일측입력으로 입력되고 색신호(C)는 색복조부(22)에 입력된다. 한편, 제 1선택부(20)의 타측입력으로는 영상반주신호 발생부(24)에서 발생되는 의사동기 신호(PS)가 입력된다. 제 1 선택부(20)에 의해 선택되어진 신호(Y S 혹은 PS)는 색복조부(22)에 입력된다. 한편, 텔레비젼 신호 선택부(16)에서 슈퍼 VHS 신호(S-V)가 선택된 경우에는 휘도/색신호 분리부(18)를 거치지 않고 직접 색복조부(22)와 제 1 선택부(20)로 입력된다. 제 1선택부(20)는 영상 반주신호 발생부(24)에서 발생되는 그래픽 모드신호(G)에 의해 제어되며, 그래픽 모드신호(G)가 하이 (HIGH)일 경우에는 영상반주신호 발생부(24)에서의 의사동기 신호(PS)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로우(LOW)일 경우에는 텔레비젼 신호선택부(16)에서의 영상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색복조부(22)에 입력된 색신호(C)와 휘도신호(Y S)는 색차신호(R-Y, B-Y, G-Y, -Y)로 복조되어져 영상신호 합성부(26)로 입력된다. 복합동기 신호가 포함된 휘도신호(Y S)로부터 출력된 동기신호(H/S)는 영상반주신호 발생부(24)와 제어부(28)에 제공된다. 제어부(28)에서 색복조부(2)에 인가되는 OSD( On Screen Display)신호는 복조된 색차신호와 합성되어져 출력된다. 영상 합성부(26)의 다른 입력으로서는 영상반주신호 발생부(24)에서의 그래픽신호 및 문자신호가 R, G, B, BLK의 형태로 입력되어 색복조부(22)에서 제공되는 색차신호와 합성되어 음극선관 (CRT)구동부(30)로 출력된다. 여기에서 영상신호 합성부(26)에 제어부(28)에서의 블랭킹 신호(BLK) 및 영상반주신호 발생부(24)에서의 블랭킹 신호(BLK)를 인가함에 의해 제어부(28)에서의 ODS 신호, 영상반주신호 발생부(24)에서의 그래픽 신호 및 문자신호, 텔레비젼 신호 선택부(16)에서의 신호의 순서로 우선 순위를 설정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음성신호 계통의 동작에 있어서, 텔레비젼 신호 선택부(16)에 의해 선택되어진 오디오 신호( V1, V2 혹은 S-V)는 제 2 선택부(32)에 입력된다. 제어부(28)에 의해 텔레비젼 모드가 선택되면 제 2 선택부(32)에서 텔레비젼 신호 선택부(16)에서의 오디오 신호가 선택되고, 영상반주모드가 선택되면 영상반주신호 발생부(24)에서의 반주신호가 선택되어져 음성출력장치로 출력된다. 즉, 제 2 선택부(32)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잔향음 처리부(34)에 입력되어져 잔향음 처리 및 이퀄라이징 처리가 행해진 뒤 증폭부(36)로 출력된다. 증폭부(36)에서 증폭된 신호는 스피커(L, R, WOOPER)에 의해 음성출력으로서 제공된다.
그리고, 마이크를 통하여 유입되는 음성신호(VOICE)는 음성합성부(38)에서 상기 영상반주신호 발생부(24)의 반주신호와 합성된 뒤, 제 2 선택부(32)에 제공된다. 한편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반주신호 발생부(24)는 그래픽/문자신호 발생기(242), 반주신호 발생기(244), 영상반주 제어기(246) 및 외부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그래픽/문자신호 발생기(242)는 그래픽 신호 및 문자신호를 발생한다. 반주신호 발생기(244)는 반주음을 발생한다. 영상반주 제어기(246)는 그래픽/문자신호 발생기(242)와 반주신호 발생기(244)의 동작을 제어하고 의사동기신호를 발생한다. 그래픽/문자신호 발생기(242)는 외부에서 제공될 수 있는 그래픽/문자정보 및 음원정보를 입력하여 외부 인터페이스( 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그래픽/문자신호 발생기(242)와 반주신호 발생기(244)에 제공한다. 그래픽/문자신호 발생기(242)는 그래픽 정보를 기억하는 그래픽 메모리, 문자정보를 기억하는 문자 메모리, 그래픽 메모리로부터 독출된 그래픽 정보와 문자 메모리로부터 독출된 문자정보를 조합하는 그래픽/ 문자 처리기 및 상기 그래픽/문자 처리기의 출력을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하여 출력하는 D/A 변환기 등을 구비한다. 그리고, 반주신호 발생기(244)는 음원정보를 기억하는 음원 메모리, 음원메모리로부터 독출된 음원정보를 입력하고 반주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원정보 처리기 및 음원정보 처리기의 출력신호를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하여 출력하는 D/A 변환기를 구비한다. 여기서 음원 메모리에 기억되는 음원정보는 MIDI 정보이다. 한편, 영상반주 제어기(246)는 내장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상기 그래픽/문자신호 발생기(242)와 반주신호 발생기(244)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원격 조정장치 (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원격 제어명령을 수행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및 텔레비젼 신호의 동기신호와 동등한 의사동기신호를 발생하는 동기신호 발생기를 포함한다. 한편, 전치 증폭부(40)는 마이크로 컴퓨터(28)에 리모콘으로부터 제어명령을 인터페이스하고, 명령입력부(42)는 마이크로 컴퓨터(28)에 명령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적어도 텔레비젼/영상반주 모드선택키, 반주용 영상신호 선택키, 곡선택용 숫자패드, 시작/ 취소키, 예약키, 음정조정키 및 속도조정키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영상반주장치가 텔레비젼에 일체로 수납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마이크(MIC)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제2도에서는 외부 마이크 신호처리부(50)에서 처리되어 음성합성부(38)에서 반주신호와 합성됨과 동시에 영상반주신호 합성부(26)와 마이크로 컴퓨터(28)에서 ODS 신호로 변환된 후 영상신호 합성부(26)로 출력되어 영상신호와 합성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블록도가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나있다. 제3도는 마이크가 하나 연결된 경우이고, 제4도는 마이크가 둘 연결된 경우이다. 마이크가 하나연결된 경우에는 마이크(MIC)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그 신호 레벨이 미약하므로 증폭시켜야 한다. 따라서, 전치 증폭하고, 이 증폭된 신호가 레벨 보정부(502)에 입력되어 레벨이 보정된다. 이때 이루어지는 보정으로서는 신호의 주파수 특성 및 이득 게인을 조정하며 또 출력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보정동작이 수행된 후 음성신호는 음성합성부(38)로 입력되는 한편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부(241)로 입력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부(241)에서 A/D 컨버터(243)는 영상반주 신호 합성부(24)에 내재된 것이고, 마이크로 프로세서(245) 및 OSD부(247)는 마이크로 컴퓨터(28)에 내재된 것이다. 그리고 제4도도 그 구성 및 동작상에 있어서 제3도와 동일하고 마이크가 하나더 연결됨에 따른 외부 마이크 신호 처리부가 더 구성되었다. 즉, 레벨 보정부(502)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신호가 후단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45)에서 인식 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A/D컨버터(243)에서 변환되어 출력되면 이 신호가 마이크로 프로세서(245)로 입력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45)는 명령 입력부로부터의 명령신호가 입력되고, 이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바, 그래픽/문자 및 반주신호 발생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출력한다.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로서는 가사 및 기타 자막 데이터 또는 볼륨 디스플레이 데이터와 점수 데어터등 그 기능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의 데이터가 있을 수 있다. 영상반주기를 이용하여 노래하는 세트의 경우에 점수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 내장되지 않은 경우도 있다. 그러나 점수 디스플레이 기능은 노래 부르는 사람의 심취감을 더해주고 만족도를 극대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이유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점수에 대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45)는 입력된 디지털 음성신호의 박자 및 강약을 체크한다. 이때 점수 카운팅하는 방법으로는 입력된 음성신호가 박자 및 강약이 맞지 않을 때마다 최고 점수로부터 감산하는 방법과 이와 반대로 입력된 음성신호가 박자 및 강약이 맞을때마다 최저점수로부터 가산하는 방법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판정된 점수 데어터는 OSD부(247)로 입력되어 영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신호로 변형된 후 TX 영상신호 합성부로 출력되어 영상신호와 합성오디오, 이 신호가 음극선관 구동부를 거쳐 CRT 에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마이크가 제3도와 같이 하나가 연결된 경우에는 입력신호를 판정하여 점수를 디스플레이하고, 제4도와 같이 마이크가 두 개 연결된 경우에는 입력 음성신호가 합성된 후 이 합성신호를 이용하여 점수를 판정한다. 그러므로, 두 사람이 별도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노래를 부르는 경우에 한 사람이 노래를 잘 부르고 다른 한 사람이 노래를 못 불러서 점수가 좋지 않게 나오게 되어 점수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 발명은 상기의 기술내용을 진일보시킨 것으로서, 이 발명의 목적은 2인이 동시에 노래를 불렀을 때 각자에 해당되는 점수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2인 점수 디스플레이 방법의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른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2인 점수 디스플레이 방법의 특징은 두 개의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판정하여 이에 해당하는 점수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2인 점수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1인 모드인지 2인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1인 모드이면 노래 선곡 후 반주를 시작하고 이때 마이크로부터의 입력 음성에따른 점수를 계산하여 노래가 끝나면 화면상에 점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2인 모드이면 노래 선곡 후 반주를 시작하고 이때 서로 다른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에 따른 점수를 각각 계산하여 노래가 끝나면 각 해당음에 따라 판정된 점수를 특정영역에 따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점에 있다. 이하, 이 발명에 따른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2인 점수 디스플레이 방법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2인 점수 디스플레이 방법의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5도는 실시예 동작을 위한 제어 순서도이고, 제6도(a) 내지 (b)는 이에 따른 화면 디스플레이 상태도이다. 우선,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을 파워 온 하여 사용할 시점에 도시되지 않은 모드 선택키를 사용하여 모드를 선택하여야 한다. 즉, 단계(S1)에서 가라오케 모드를 선택할 지를 결정하고, 가라오케 모드를 선택하지 않으면 단계(S2)에서 TV 모드를 수행한 후 다시 단계(S1)를 수행한다. 그리고 단계(S1)에서 가라오케 모드가 선택되었으면 도시되지 않은 특정키를 이용하여 1인 모드를 수행할 것인지를 단계(S3)에서 선택하고, 이에 따라 1인 모드가 선택되었으면 단계(S4)에서 부를 노래를 선곡 한 후 이에 해당하는 번호를 특정 키를 누름으로써 입력하면 반주가 시작된다. 반주가 시작되면 사용자는 노래를 부르게 되고, 이때 사용자의 음성이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내부 소프트웨어적으로 설정된 점수 판정 기준에 따라 단계(S5)에서 점수를 계산한다. 노래가 끝나지 않았으면 계속 점수를 계산하고 노래가 끝난 것이 단계(S6)에서 확인되면 단계(S7)에서 계산된 점수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점수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상태는 제6도의 (a)에 나타나 있다. 영상반주기 또는 점수에 따라서 화면의 아랫부분에 디스플레이되는 로고의 내용도 변환될 수 있고, 점수에 따라 축하 배경음악도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곡을 선곡할지 단계(S8)에서 확인한후 다른 곡을 선곡한다면 단계(S4)를 재수행하고 다른 곡을 선곡하지 않으면 가라오케 모드를 계속 수행할지 확인한다. 가라오케 모드를 계속 수행한다면 1인 모드인지 2인 모드인지 확인하여 계속 수행하고 가라오케 모드를 계속하지 않은 경우에는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단계(S3)에서 1인 모드가 선택되지 않으면, 단계(S10)에서 2인 모드를 수행할지 확인하여 2인 모드를 수행하지 않으면 모드 확인 후 해당 모드 기능을 수행한다. 만약 2인 모드이면 단계(S11)를 수행하여 사용자가 선곡한 노래에 해당하는 반주를 시작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반주에 맞춰 노래를 부른다. 이때 2인용 모드에서 사용되는 마이크는 2개로서, 각각의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에 대한 점수 계산을 별도로 단계(S12)에서 수행한다. 그리고 노래 끝 확인단계(S13)에서 노래 끝 확인한 후 노래가 끝이면 점수를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점수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상태가 제6도의 (b)에 나타나 있다. 화면에 각각의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신호에 대한 판정 점수가 별도로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화면에 점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제작자의 설계상 편의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점수를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두 점수 사이의 우열을 가리기 위한 메시지가 삽입될 수도 있으며, 메시지에 대체하여 그래픽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 동시에 부른 두 사용자간의 노래 점수 우위만을 체크할 목적이라면 , 와 같은 도시적인 표현도 가능하다. 이것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의 문제로서 별 어려움없이 구현이 가능한 것이다. 단계(S14)에서 점수가 디스플레이된 후 다른 곡을 계속 선곡할 것인지를 단계(S15)에서 확인한 후 계속 선곡할 것이면 단계(S10)를 수행하고 계속 선곡하지 않는다면 단계(S9)를 수행하여, 그 결과에 따라 단계(S3)를 수행하거나 동작을 종료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에 따라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2인 점수 디스플레이 방법에 의하면, 두 개의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신호가 각각의 별도로 점수가 판정되어 화면에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사용자의 점수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영상반주기의 사용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Claims (6)

  1. 두 개의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판정하여 이에 해당하는 점수를 디스플레이 하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2인 점수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1인 모드인지 2인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2인 모드이면 노래 선곡 후 반주를 시작하고 서로 다른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에 따른 점수를 각각 계산하여 노래가 끝나면 각 해당음성에 따라 판정된 점수를 특정영역에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2인 점수 디스플레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해당음성에 따라 판정된 점수가, 디스플레이 화면이 둘로 분할되어 각 화면에 해당 음성 점수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2인 점수디스플레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인용 모드시 디스플레이되는 점수에 대체하여 우열 판단 가능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2인 점수 디스플레이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우열 판단 가능 영상은,○,× 부호가 디스플레이되어 우열 판단하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2인 점수 디스플레이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우열 판단 가능 영상은, 2개의 서로 다른 애니메이션 화상을 이용하여 우열 판단하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2인 점수 디스플레이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우열 판단 가능 영상은, 우 및 열 방향을 지시하는 화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우열을 판단하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2인 점수 디스플레이 방법.
KR1019930031143A 1993-12-30 1993-12-30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2인 점수 디스플레이 방법 KR0132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1143A KR0132850B1 (ko) 1993-12-30 1993-12-30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2인 점수 디스플레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1143A KR0132850B1 (ko) 1993-12-30 1993-12-30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2인 점수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853A KR950022853A (ko) 1995-07-28
KR0132850B1 true KR0132850B1 (ko) 1998-04-16

Family

ID=19374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31143A KR0132850B1 (ko) 1993-12-30 1993-12-30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2인 점수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8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3745B2 (ja) * 1996-08-30 2002-06-17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853A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62439B2 (ja) 映像伴奏機能を有する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5510573A (en) Method for controlling a muscial medley function in a karaoke television
CN1069478C (zh) 在带有视频/伴奏音乐唱机的电视机中控制音乐混合功能的方法
KR0132850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2인 점수 디스플레이 방법
KR0160642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노래연습방법
KR0183687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바이오 리듬 기능을 이용한 선곡방법
KR0132854B1 (ko) 음성인식에 의한 곡명 자동 선택용 노래방 텔레비젼
KR0129981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기록 제어방법
KR0135827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가사 선택 및 삭제 기능 수행방법
KR0132853B1 (ko) 가요반주기의 가요 베스트 텐 관리방법
KR0129982B1 (ko)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와 화상 메모리 및 영상반주기 일체형 텔레비젼
KR0160644B1 (ko) 다기능 노래방 텔레비젼
KR0160646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편곡 형태 선택 기능 수행방법
KR0132852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을 이용한 축하메세지 표시방법
KR0160648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예약곡 믹싱 기능 수행방법
KR0176478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예약 곡목 표시 기능 수행방법
KR0132847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반복 기능 수행방법
KR0160651B1 (ko) 영상반주기가 내장된 멀티 방식용 텔레비젼의 곡 선택방법
KR0132848B1 (ko) 영상반주장치 내장형 tv의 특정악기 음량 조절방법
KR0141214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자동 탐색 기능 수행방법
KR0160641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화면이동방법
KR100200820B1 (ko) 영상반주기 및 시디롬 복합 텔레비젼
KR0160643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사용 데이터 검출방법
KR0160652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
KR0135826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설정 점수 도전 기능 수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