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738B1 - 웰 전압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웰 전압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738B1
KR100458738B1 KR10-2001-0016814A KR20010016814A KR100458738B1 KR 100458738 B1 KR100458738 B1 KR 100458738B1 KR 20010016814 A KR20010016814 A KR 20010016814A KR 100458738 B1 KR100458738 B1 KR 100458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l
insulating layer
type
transistors
word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5151A (ko
Inventor
나쯔메히데따까
Original Assignee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95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5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7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0/00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0/00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evices
    • H10B10/12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evices comprising a MOSFET load ele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7/00Active solid-state devices, e.g. transistors, solid-state diodes
    • Y10S257/903FET configuration adapted for use as static memory cell

Landscapes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반도체 기판(1),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웰(3, 4), 및 웰의 활성 영역(6, 7)을 둘러싸는 두꺼운 필드 절연층(2)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에서, 두꺼운 필드 절연층 내에 구비되고 웰에 접속된 콘택트 홀(CONT2) 내에 매립된 콘택트 구조(92)에 의해 웰 전압을 고정시킨다.

Description

웰 전압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SEMICONDUCTOR DEVICE CAPABLE OF SURELY FIXING VOLTAGE AT WELL}
본 발명은 CMOS형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와 같은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SRAM 셀은 두개의 교차결합된 인버터(cross-coupled inverter)와 두개의 트랜스퍼 트랜지스터(transfer transistor)로 구성된 플립플롭을 사용한다. 이 경우, 각 인버터는 부하 소자와 구동 트랜지스터를 갖는다.
전력 소비면에서, 상기 부하 소자를 P채널형 MOS 트랜지스터로 구성하는 한편 상술한 구동 트랜지스터를 N채널형 MOS 트랜지스터로 구성하는 CMOS형 SRAM 셀이 개발되어 왔다. 이것을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CMOS형 SRAM 셀에서, 웰 전압이 셀 내에서 확정된 전압으로 확실히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래치-업(latch-up)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래치-업 현상을 억제하거나 피하기 위해, N형 웰의 P형 불순물 영역이 P형 웰의 N형 불순물 영역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져 있어야 하므로, 집적 밀도(integration density)가 감소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래치-업 현상을 억제하거나 피할 수 있는 CMOS형 SRAM 장치와 같은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 기판,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웰 및 웰의 활성 영역을 둘러싸는 두꺼운 필드 절연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에서, 두꺼운 필드 절연층 내에 구비되고 웰에 접속된 콘택트 홀 내에 매립된 콘택트 구조에 의해 웰 전압을 고정시키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CMOS형 SRAM 셀을 도시하는 등가 회로도.
도 2a는 도 1의 CMOS형 SRAM셀의 평면도.
도 2b는 도 2a의 선 Ⅱ-Ⅱ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3a, 4a, 5a, 6a, 7a, 8a 및 9a는 본 발명에 따른 CMOS형 SRAM 셀을 제조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3b, 4b, 5b, 6b, 7b, 8b 및 9b는 각각 도 3a 내지 9a의 단면도.
도 10a 및 10b는 각각 도 8a 및 8b 각각의 변형을 도시하는 평면도 및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기판
2: 두꺼운 필드 실리콘 산화물층
3: P형 웰
4: N형 웰
5: 게이트 전극층
6: N+형 불순물 확산 영역
7: P+불순물 확산 영역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앞서, 종래 기술의 CMOS형 SRAM셀을 도 1, 도 2a 및 2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 기술의 CMOS형 SRAM 셀을 도시한 등가 회로도인 도 1에서, 하나의 SRAM 셀이 워드선 WL과 보상 비트선(complementary bit line) BL1및 BL2사이의 각 교차점에 구비된다. SRAM 셀은 두개의 교차 결합 인버터로 형성된 플립플롭과, 플립플롭의 노드 N1및 N2와 비트선 BL1및 BL2사이에 접속된 N채널 MOS 트랜지스터 Qt1및 Qt2로 구성된다. 트랜스퍼 트랜지스터 Qt1및 Qt2는 워드선 WL의 전압에 의해 제어된다.
인버터 각각은 고전원 공급선 Vdd와 저전원 공급선 VSS사이에 있는 부하 P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Qp1(Qp2)와 구동 N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Qn1(Qn2)로 구성된다. 노드 N2는 트랜지스터 Qp1과 Qn1의 게이트에 접속됨으로써 트랜지스터 Qp1과 Qn1으로 형성된 인버터가 노드 N2에서의 전압에 의해 구동된다. 동일하게, 노드 N1은 트랜지스터 Qp2와 Qn2의 게이트에 접속됨으로써 트랜지스터 Qp2와 Qn2에 의해 형성된 인버터가 노드 N1에서의 전압에 의해 구동된다.
도 2a는 도 1의 두개의 CMOS형 SRAM 셀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두개의 CMOS형 SRAM 셀이 일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도 2a의 선 Ⅱ-Ⅱ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2a 및 2b에서, 참조번호 (1)은 그 상부에 P형 웰(3)과 N형 웰(4)이 형성되는 단결정 실리콘 기판을 나타낸다.
또한, 두꺼운 필드 실리콘 산화물층(2)이 P형 웰(3)과 N형 웰(4) 상에 형성되어 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활성 영역을 분리시킨다.
또한, 도 1의 워드선 WL 뿐아니라 트랜지스터 Qt1, Qt2, Qp1, Qp2, Qn1및 Qn2의 게이트로서 동작하는 게이트 전극층(5)이 형성된다.
또한, N+형 불순물 확산 영역(6)이 P형 웰(3)의 활성 영역에 형성되고, P+형 불순물 확산 영역(7)이 N형 웰(4)의 활성 영역에 형성된다. 또한, 절연층(8)이 전면에 형성된다.
또한, 콘택트 홀 CONT1이 절연층(8) 내에 개구되고, 금속 플러그(91)가 콘택트 홀 CONT1 내에 매립된다.
또한, 도전층(10a, 10b, 10c, 10d, 10e 및 10f)이 형성된다. 이 경우, 도전층(10a 및 10b)이 도 1의 저전원 공급선 Vss및 고전원 공급선 Vdd에 각각 접속되고, 도전층(10c 및 10d)이 도 1의 노드 N1및 N2로서 동작한다. 또한, 도전층(10e 및 10f)이 각각 도 1의 비트선 BL1및 BL2에 접속된다. 또한, 절연층(11)이 전면에 형성된다.
그러나, 도 2a 및 2b의 CMOS형 SRAM 셀에서, P형 웰(3)이 SRAM 셀 내의 저전원 공급선 Vss영역에 접속되지 않기 때문에, P형 웰(3) 전압이 저전원 전압에 확실하게 고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P형 웰(3)의 저항이 P형 웰(3) 전압을 증가시키게 되어 래치-업 현상을 초래한다.
본 발명에 따른 CMOS형 SRAM 셀을 제조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두개의 CMOS형 SRAM 셀이 일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도 3a, 3b, 4a, 4b, 5a, 5b, 6a, 6b, 7a, 7b, 8a, 8b, 9a 및 9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a 및, 도 3a의 선 Ⅲ-Ⅲ을 따라 취한 단면도인 도 3b를 참조하면, 두꺼운 필드 실리콘 산화물층(2)이 얕은 트렌치 절연(Shallow Trench Isolation: STI) 공정에 의해 P형 또는 N형 단결정 실리콘 기판(1) 상에 형성된다. STI 공정은 실리콘 질화물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실리콘 질화물 패턴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실리콘 기판(1)을 에칭하는 단계, 화학적 기상 증착(CVD) 공정에 의해 전면에 실리콘 산화물층을 피착하는 단계, 실리콘 산화물층 및 실리콘 질화물층 상에 화학·기계적 폴리싱(CMP) 공정을 행하여 두꺼운 필드 실리콘 산화물층(2)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나, 두꺼운 필드 실리콘 산화물층(2)이 선택적 산화(Local Oxidation of Silicon: LOCOS) 공정 또는 개선된 LOCOS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빗금친 부분들로 나타낸 활성 영역이 두꺼운 필드 실리콘 산화물층(2)로 둘러싸여 있거나 이들과 분리되어 있다.
다음, 도 4a 및, 도 4a의 선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인 도 4b를 참조하면, P형 웰(3)과 N형 웰(4)은 단결정 실리콘 기판(1) 내로 불순물을 주입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러면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질산화물로 된 대략 1 내지 20 ㎚ 두께의 두꺼운 게이트 절연층 (도시안됨)이 활성 영역 상에 피착된다.
다음, 도 5a 및, 도 5a의 선 Ⅴ-Ⅴ을 따라 취한 단면도인 도 5b를 참조하면, 다결정 실리콘 또는 폴리사이드 (고융점(refractory) 금속/다결정 실리콘)로 된 게이트 전극층(5)이 CVD 또는 스퍼터링 공정 및 포토리소그래피 및 에칭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층(5)은 도 1의 워드선 WL 뿐아니라 트랜지스터 Qt1, Qt2, Qp1, Qp2, Qn1및 Qn2의 게이트로서 동작한다.
다음, 도 6a 및, 도 6a의 선 Ⅵ-Ⅵ를 따라 취한 단면도인 도 6b를 참조하면, 비소 이온과 같은 N형 불순물을 게이트 전극층(5)을 마스크로서 사용함으로써 P형 웰(3)로 주입하여 P형 웰(3) 내에 N+형 불순물 확산 영역(6)을 형성한다. 그리하여, N채널 MOS 트랜지스터 Qt1, Qt2, Qn1및 Qn2가 형성된다. 동일하게, 붕소 이온과 같은 P형 불순물을 게이트 전극층(5)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N형 웰(4)에 주입하여, N형 웰(4) 내에 P+형 불순물 확산 영역(7)을 형성한다. 그리하여, P채널 MOS 트랜지스터 Qp1및 Qp2가 형성된다. 그러면, 절연층(8)이 CVD 공정에 의해 전면에 형성된다.
다음, 도 7a 및 도 7a의 선 Ⅶ-Ⅶ을 따라 취한 단면도인 도 7b를 참조하면, 콘택트 홀 CONT1이 절연층(8) 내에 개구되고, 콘택트 홀 CONT2가 두꺼운 필드 실리콘 산화물층(2)뿐아니라 절연층(8) 내에 개구된다. 이 때, 콘택트 홀 CONT1 및 CONT2가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형성됨을 주지하기 바란다. 그런 다음, 금속 플러그(91 및 92)가 각각 콘택트 홀 CONT1 및 CONT2 내에 매립된다.
다음, 도 8a 및 도 8a의 선 Ⅷ-Ⅷ을 따라 취한 단면도인 도 8b를 참조하면, 알루미늄 합금, W 및 W/Ti 등과 같은 고융점 금속, Cu/Ti 등의 금속/고융점 금속으로 된 도전층(10a, 10b, 10c 및 10d)이 스퍼터링 공정 및 포토리소그래피 및 에칭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이 경우, 도전층(10a 및 10b)이 저전원 공급선 Vss및 고전원 공급선 Vdd에 각각 접속된다 (도 1 참조). 또한, 도전층(10c 및 10d)은 각각 노드 N1및 N2로서 동작한다 (도 1 참조). 또한, 도전층(10e 및 10f)이 비트선 BL1및 BL2에 각각 접속된다 (도 1 참조). 그러면, 절연층(11)이 CVD 공정에 의해 전면에 형성된다.
결국, 도 9a 및 도 9a의 선 Ⅸ-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인 도 9b를 참조하면, 비어 홀 VH가 절연층(11) 내에 개구된다. 다음, 금속 플러그(12)가 비어 홀 VH 내에 매립된다. 그 다음, 알루미늄 합금, W 및 W/Ti등의 고융점 금속 또는 Cu/Ti 등의 금속/고융점 금속으로 된 도전층(13a, 13b, 13c 및 13d)이 스퍼터링 공정 및 포토리소그래피 및 에칭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이 경우, 도전층(13a 및 13b)이 저전원 공급선 Vss및 고전원 공급선 Vdd에 각각 접속된다 (도 1 참조). 또한, 도전층(13c 및 13d)이 각각 비트선 BL1및 BL2로서 동작한다 (도 1 참조). 그러면, 패시베이션층 (도시안됨)이 전면에 형성되어 SRAM 셀을 완성하게 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P형 웰(3)이 금속 플러그(92)를 경유하여 절연층(8) 뿐아니라 두꺼운 필드 절연층(2)을 통하여 저전원 전압을 갖는 도전층(10a)에 접속되고, P형 웰(3) 전압이 저전원 전압으로 확실히 고정됨으로써 P형 웰 전압의 변동이 억제될 수 있어 래치 업 현상을 피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콘택 홀 CONT2 내에 매립된 금속 플러그(92)가 두개의 워드선 WL 사이에 구비되고 있지만, 금속 플러그(92) (콘택트 홀 CONT2)가 도 10a 및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드선 WL과 N+형 불순물 확산 영역(6)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콘택트 홀 CONT1 및 CONT2에 대해 동일한 포토마스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추가의 제조 비용은 불필요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래치-업 현상을 억제 또는 피할 수 있다. 또한, 래치-업 현상을 억제하면 N+형 불순물 확산 영역과 P+불순물 확산 영역 사이의 간격을 줄여서, 집적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반도체 기판(1),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도전형의 제1웰(3)과 제2 도전형의 제2 웰(4)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메모리 셀 - 상기 각각의 메모리 셀은 상기 제1웰 내에 형성된 제1 및 제2 트랜스퍼 트랜지스터(Qt1, Qt2)와, 상기 제1웰 내에 형성된 제1 및 제2 구동 트랜지스터(Qn1, Qn2)와, 상기 제2웰 내에 형성된 제1 및 제2 부하 트랜지스터(Qp1, Qp2)를 포함함 - ;
    상기 제1웰 및 제2웰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트랜스퍼 트랜지스터, 상기 제1 및 제2 구동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및 제2 부하 트랜지스터를 서로 절연시키는 두꺼운 필드 절연층(2); 및
    상기 제1웰 전압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두꺼운 필드 절연층 내에 구비된 콘택트 홀(CONT2) 내에 형성되는 콘택트 구조(92)
    를 포함하는 CMOS형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두꺼운 필드 절연층 상에 형성되고, 상기 메모리 셀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트랜스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접속된 다수의 워드선(5, WL)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 홀이 상기 워드선들 중 두개의 인접한 워드선 사이에 구비되는 CMOS형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두꺼운 필드 절연층 상에 형성되고, 상기 메모리 셀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트랜스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접속되는 다수의 워드선(5, WL)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 홀이 상기 워드선들 중 두개의 인접한 워드선 외측에 구비되는 CMOS형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형은 P형이고, 상기 제2 도전형은 N형인 CMOS형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KR10-2001-0016814A 2000-03-31 2001-03-30 웰 전압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 KR1004587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98750A JP3472742B2 (ja) 2000-03-31 2000-03-31 半導体記憶装置
JP2000-098750 2000-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151A KR20010095151A (ko) 2001-11-03
KR100458738B1 true KR100458738B1 (ko) 2004-12-03

Family

ID=18613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814A KR100458738B1 (ko) 2000-03-31 2001-03-30 웰 전압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495899B2 (ko)
JP (1) JP3472742B2 (ko)
KR (1) KR100458738B1 (ko)
TW (1) TW5849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1751B2 (ja) * 2004-07-23 2009-07-08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2006237454A (ja) * 2005-02-28 2006-09-07 Toshiba Corp 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100773353B1 (ko) * 2006-09-26 2007-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 플러그를 가지는 반도체 장치들 및 그의 형성방법들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9346A (en) * 1988-06-28 1995-10-17 Ricoh Co., Ltd. Semiconductor substrate with electrical contact in groove
SG46606A1 (en) * 1990-05-31 1998-02-20 Conon Kabushiki Kaisha Device seperation structure and semiconductor device improved in wiring structure
JP3771283B2 (ja) * 1993-09-29 2006-04-26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2684979B2 (ja) * 1993-12-22 1997-12-03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159237B2 (ja) * 1996-06-03 2001-04-23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896313A (en) * 1997-06-02 1999-04-20 Micron Technology, Inc. Vertical bipolar SRAM cell, array and system, and a method of making the cell and the array
KR100562539B1 (ko) * 1997-12-19 2006-03-22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즈, 인코포레이티드 벌크 씨모스 구조와 양립 가능한 에스오아이 구조
US6013927A (en) * 1998-03-31 2000-01-11 Vlsi Technology, Inc. Semiconductor structures for suppressing gate oxide plasma charging damage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JP2000323484A (ja) * 1999-05-07 2000-11-24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記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84941B (en) 2004-04-21
KR20010095151A (ko) 2001-11-03
US20010028091A1 (en) 2001-10-11
JP3472742B2 (ja) 2003-12-02
JP2001284470A (ja) 2001-10-12
US6495899B2 (en) 2002-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3930A (en) SRAM cell employing substantially vertically elongated pull-up resistors and methods of making, and resistor constructions and methods of making
KR100253032B1 (ko) 스테이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47050B1 (ko)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의 제조 방법
KR19990062569A (ko) 박막 및 벌크 실리콘 트랜지스터를 조합한 병합된 로직 및 메모리
US20030153147A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03145761A (ja) 半導体装置
US6204538B1 (en) SRAM cell
US6597041B2 (en) Semiconductor stat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
EP0426174B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KR100859043B1 (ko)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KR100282169B1 (ko) 전원배선에 평형한 데이터선을 가진 스태틱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539243B1 (ko) 부분 에스오아이 기판에 구현된 에스램 소자
KR100458738B1 (ko) 웰 전압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
US6525382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730974B2 (en) Semiconductor devices, memory systems and electronic apparatuses with improved latch up suppression
US7250661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plural source/drain regions
US6011712A (en) Interconnection structures for integrated circuits including recessed conductive layers
JPS59130462A (ja) 相補型mos半導体メモリ
KR100325464B1 (ko) 자기 정렬된 금속 플러그를 이용한 cmos 메모리소자의 제조 방법
JPH01166554A (ja) 半導体記憶装置
JPH1167932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JPH1154509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24099A (ko) 에스램 소자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에스램 소자
JPH08236643A (ja) スタティック型メモリセル
KR19990061726A (ko) 박막 트랜지스터를 부하소자로 갖는 에스램(sram) 셀 및 그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