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7109B1 - 버스용 플랩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버스용 플랩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7109B1
KR100457109B1 KR10-2002-0042678A KR20020042678A KR100457109B1 KR 100457109 B1 KR100457109 B1 KR 100457109B1 KR 20020042678 A KR20020042678 A KR 20020042678A KR 100457109 B1 KR100457109 B1 KR 100457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door
door
vehicle body
opening
electro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2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8938A (ko
Inventor
김영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2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7109B1/ko
Publication of KR20040008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8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1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8Electrical using electromagnets or soleno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용 플랩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극성변환이 이루어지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플랩도어를 록킹시키거나 록킹해제시키고 플랩도어의 초기 개방시에 보조적인 힘을 제공하도록 한 버스용 플랩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버스의 일측에 마련된 수용공간을 커버하기 위하여 힌지를 매개로 플랩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플랩도어의 개방을 보조하며 플랩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압축반발력을 제공하는 리프터수단이 상기 힌지와 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플랩도어의 개방을 지원하고, 상기 플랩도어가 차체에 록킹되도록 하는 록킹수단과 상기 플랩도어을 열 때 잡도록 된 도어핸들이 구비된 버스용 플랩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플랩도어의 일측단과 접촉되는 차체에 설치된 차체측 전자석과, 상기 차체측 전자석에 대응되는 플랩도어의 일측에는 플랩도어가 닫힐 때에는 상기 차체측 전자석과 반대극성을 갖고 플랩도어가 열릴 때에는 상기 차체측 전자석과 동일한 극성을 갖도록 극성 변환이 이루어지는 도어측 전자석이 설치된 버스용 플랩도어 개폐장치이다.

Description

버스용 플랩도어 개폐장치{Flap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bus}
본 발명은 버스용 플랩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극성변환이 이루어지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플랩도어를 록킹시키거나 록킹해제시키고 플랩도어의 초기 개방시에 보조적인 힘을 제공하도록 한 버스용 플랩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는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대중교통수단으로서, 버스의 측면바디 하부 양측에는 승객들이 소지하고 탑승하기에 비교적 큰 화물이 적재될 수 있도록 화물칸이 마련되어 있다. 특히, 장거리를 운행하는 고속버스의 경우에 이 화물칸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많은 승객들이 이 화물칸을 빈번하게 사용하고 있다. 이 화물칸에는 수납된 화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덮개 역할을 하는 플랩도어가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근래에는 버스의 엔진룸이 버스차체의 후방에 위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에도 버스의 정비를 위하여 용이하게 개폐 가능하며 엔진룸을 보호하도록 하는 플랩도어가 마련된다.
통상의 플랩도어는 힌지를 매개로 회동되어서 개폐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고 그 무게 또한 만만치 않아서, 사용자가 플랩도어를 개방할 때에 보다 쉽게 적은 힘으로 열리도록 하고, 닫을 때에는 자중을 갖는 플랩도어가 갑자기 닫힘으로써 플랩도어 및 버스차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수단이 요구된다. 따라서 플랩도어와 차체 사이에는 압축가스나 오일 등이 저장되어 압축반발력을 제공하는 리프터수단이 마련된다.
도1a 및 도1b는 종래의 버스용 플랩도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살펴보면, 버스(1)의 측면 또는 후방 일측에는 화물칸 또는 엔진룸과 같은 수용공간(R)이 마련되고 상기 수용공간(R)을 커버하기 위하여 힌지(3)를 매개로 회동되는 플랩도어(2)가 설치된다.
상기 플랩도어(2)는 상당한 중량을 갖는 자중체로서, 플랩도어(2)를 개방시키려면 상당한 힘이 필요하고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플랩도어(2)를 닫을 때에도 자중에 의하여 급격히 닫히게 되므로 플랩도어 및 차체가 손상된다.
따라서, 힌지회동되는 상기 플랩도어(2)가 개방될 때에는 그 개방을 보조하며 플랩도어(2)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는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플랩도어(2)에 소정의 힘을 제공하는 리프터수단(4)이 상기 힌지(3)와 차체(1a)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리프터수단(4)은 내부에 압축가스나 유체가 봉입되어 상기 플랩도어(2)의 개방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상기 플랩도어(2)가 급격히 닫히지 않도록 하여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도 한다.
한편, 상기 플랩도어(2)가 차체(1a)에 록킹되도록 차체(1a)의 어느 일측에는 스트라이커(5)가 설치되고, 상기 스트라이커(5)에 걸리도록 상기 플랩도어(2)에는 래치(6)가 설치된다. 즉, 상기 플랩도어(2)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래치(6)가 차체의 스트라이커(5)에 걸림으로써 록킹된다.
또한, 상기 플랩도어(2)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플랩도어(2)의 일측에는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된 도어핸들(7)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플랩도어(2)를 개방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어핸들(7)을 잡고 플랩도어(2)를 위로 회동시켜 열면 상기 플랩도어(2)가 힌지(3)를 중심으로 회동되기 시작하면서 어느 정도 회동되면 상기 리프터수단(4)에 의해 용이하게 개방되고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는 그 개방각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플랩도어(2)를 닫을 때는 상기 리프터수단(4)의 압축반발력보다 큰 힘으로 상기 플랩도어(2)를 밀어서 플랩도어의 래치(6)가 상기 스트라이커(5)에 걸리도록 하면 된다.
그러나, 이상의 구성을 갖는 종래의 버스용 플랩도어 개폐장치에서는 플랩도어에 설치된 래치가 힌지를 중심으로 곡선운동을 하는 반면, 상기 래치가 걸리도록 된 스트라이커는 차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래치가 스트라이커에 정확히 록킹되지 않으므로 플랩도어의 록킹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한, 종래의 플랩도어 개폐장치에서는 플랩도어가 어느 정도 개방된 상태에서 리프터수단이 보조적으로 힘을 지원하므로 플랩도어의 초기 개방시에는 보다 큰 힘이 필요하게 되어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노약자나 여성이 플랩도어를 여는 것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플랩도어가 차체에 정확하게 록킹되도록 하여 종래의 문제가 되었던 버스의 플랩도어 록킹 불량을 해소하는데 있다.
또한, 버스의 플랩도어가 초기 개방시에도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힘을 지원받아 누구나 간편하게 플랩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1a는 버스의 후방 사시도,
도1b는 도1a의 A-A 부위를 보인 종래 버스용 플랩도어의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버스 1a : 차체
2 : 플랩도어 3 : 힌지
4 : 리프터수단 7 : 도어핸들
7a : 변환버튼 10: 록킹수단
11 : 차체측 전자석 12 : 도어측 전자석
13 : 릴레이 13a : 극성변환 스위치
13b : 자화코일 b : 배터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버스의 일측에 마련된 수용공간을 커버하기 위하여 힌지를 매개로 플랩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플랩도어의 개방을 보조하며 플랩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압축반발력을 제공하는 리프터수단이 상기 힌지와 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플랩도어의 개방을 지원하고, 상기 플랩도어가 차체에 록킹되도록 하는 록킹수단과 상기 플랩도어을 열 때 잡도록 된 도어핸들이 구비된 버스용 플랩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플랩도어의 일측단과 접촉되는 차체에 설치된 차체측 전자석과, 상기 차체측 전자석에 대응되는 플랩도어의 일측에는 플랩도어가 닫힐 때에는 상기 차체측 전자석과 반대극성을 갖고 플랩도어가 열릴 때에는 상기 차체측 전자석과 동일한 극성을 갖도록 극성 변환이 이루어지는 도어측 전자석이 설치된 버스용 플랩도어 개폐장치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랩도어 개폐장치는 플랩도어(2)를 회동 가능하게 해주는 힌지(3)와, 상기 플랩도어(2)의 개방을 보조하며 플랩도어(2)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압축반발력을 제공하는 리프터수단(4)과, 상기 플랩도어(2)가 차체(1a)에 록킹되도록 하는 록킹수단(10) 및 상기 플랩도어(2)를 용이하게 열 수 있도록 손으로 잡을 수 있게 된 도어핸들(7)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3)와 리프터수단(4)은 종래와 동일한 구조 및 구성을 가지므로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만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랩도어의 록킹수단(10)은 극성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환되는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하여 플랩도어(2)가 차체(1a)에 록킹되거나 록킹해제 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플랩도어(2)의 개방시에는 전자석의 척력에 의해 플랩도어(2)의 초기 개방을 돕도록 한다.
상기 록킹수단(10)은 플랩도어(2)의 일측단과 접촉되는 차체(1a) 일측에 설치되는 차체측 전자석(11)과, 상기 차체측 전자석(11)과 대응되는 위치의 플랩도어(2)에 설치되는 도어측 전자석(12) 및 상기 도어측 전자석(12)의 극성을 변환시키는 변환버튼(7a)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차체측 전자석(11)은 어떠한 극성을 가져도 무방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음(-)극성을 갖도록 차량의 배터리(b)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차체측 전자석(11)과 대응되는 위치의 플랩도어(2) 상에는 도어측 전자석(12)이 설치되는데, 상기 도어측 전자석(12)은 통상의 경우에는 상기 차체측 전자석(11)과 반대극성을 갖도록 하여 두 개의 전자석간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하고, 상기 플랩도어(2)가 개방될 때에는 상기 차체측 전자석(11)과 동일한 극성을 갖도록 하여 두 개의 전자석(11,12)간에 척력이 작용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측 전자석(12)은 변환버튼(7a)에 의하여 그 극성이 상기 차체측 전자석(11)과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도어측 전자석(12)과 배터리(b) 사이에는 극성변환스위치(13a)가 구비된 릴레이(13)가 설치된다.
즉, 상기 도어측 전자석(12)은 통상의 경우에는 차량용 배터리(b)로부터 양(+)극성을 인가받다가 변환버튼(7a)을 누르면 릴레이의 코일(13b)이 자화(磁化)되어 극성변환스위치(13a)가 음(-)극성 쪽으로 접촉되어 도어측 전자석(12) 또한 음극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플랩도어(2)가 닫힌 경우에는 차체측 전자석(11)과 도어측 전자석(12)이 서로 다른 극성을 갖게 되어 인력이 작용하므로 플랩도어(2)가 차체(1a)에 록킹되는 효과를 갖게되고, 플랩도어(2)를 개방할 때에는 플랩도어(2) 일측에 마련된 변환버튼(7a)을 누르면 상기 도어측 전자석(12)이 차체측 전자석(11)과 동일한 극성이 되어 두 전자석(11,12) 간에는 척력이 발생되므로 플랩도어(2)는 차체(1a)로부터 록킹해제될 뿐만 아니라 플랩도어(2)의 초기 개방이 좀 더 용이해진다.
이때, 상기 변환버튼(7a)의 설치 위치는 플랩도어의 도어핸들(7) 내측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플랩도어(2)를 열기 위해서는 도어핸들(7)을 잡아당겨야 하는데, 이때 상기 변환버튼(7a)을 도어핸들(7)의 내측에 설치하여 두면 도어핸들(7)을 잡아당기면서 함께 눌려서 그 작동이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변환버튼(7a)을 놓으면 상기 도어측 전자석(12)은 다시 차체측 전자석(11)과 다른 극성을 갖게 되어 플랩도어(2)를 닫으면 도어측 전자석(12)과 차체측 전자석(11) 간에 인력이 작용되어 플랩도어(2)는 차체(1a)에 록킹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플랩도어 개폐장치에 의하면, 극성변환이 이루어지는 전자석을 플랩도어의 록킹수단에 적용하여 플랩도어의 록킹 및 록킹해제를 가능하게 하고 플랩도어가 초기 개방시에 좀 더 용이하게 열리도록 함으로써 플랩도어의 록킹성능이 향상되고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버스의 일측에 마련된 수용공간을 커버하기 위하여 힌지(3)를 매개로 플랩도어(2)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플랩도어(2)의 개방을 보조하며 플랩도어(2)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압축반발력을 제공하는 리프터수단(4)이 상기 힌지(3)와 차체(1a) 사이에 설치되어 플랩도어(2)의 개방을 지원하고, 상기 플랩도어(2)가 차체(1a)에 록킹되도록 하는 록킹수단(10)과 상기 플랩도어(2)를 열 때 손으로 잡도록 도어핸들(7)이 구비된 버스용 플랩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10)은 플랩도어의 일측단과 접촉되는 차체(1a)에 설치된 차체측 전자석(11)과, 상기 차체측 전자석(11)과 다른 극성을 가지며 차체측 전자석에 대응되는 플랩도어(2)의 일측에 설치된 도어측 전자석(12)과, 상기 도어측 전자석(12)의 극성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환되도록 차량 배터리(b)와 도어측 전자석(12) 사이에 설치되는 릴레이(13) 및 상기 릴레이(13)를 작동시켜 상기 도어측 전자석(12)이 상기 차체측 전자석(11)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을 갖도록 극성을 변환시키는 변환버튼(7a)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플랩도어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버튼(7a)은 상기 플랩도어(2)의 도어핸들(7) 내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플랩도어 개폐장치.
KR10-2002-0042678A 2002-07-19 2002-07-19 버스용 플랩도어 개폐장치 KR100457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678A KR100457109B1 (ko) 2002-07-19 2002-07-19 버스용 플랩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678A KR100457109B1 (ko) 2002-07-19 2002-07-19 버스용 플랩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8938A KR20040008938A (ko) 2004-01-31
KR100457109B1 true KR100457109B1 (ko) 2004-11-12

Family

ID=37317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2678A KR100457109B1 (ko) 2002-07-19 2002-07-19 버스용 플랩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71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21305A3 (fr) * 2007-09-20 2009-03-27 Renault Sas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ouvrant muni d'une trapp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7383A (ja) * 1988-12-07 1990-06-18 Tokai Rika Co Ltd 車両用戸閉め装置
KR970005275U (ko) * 1995-07-10 1997-0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휴즈박스용 리드 개폐구조
KR970041664A (ko) * 1995-12-29 1997-07-24 김태구 자동차 트렁크 리드 클로징 장치
KR980009002A (ko) * 1996-07-26 1998-04-30 김영귀 차량의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KR19980030209U (ko) * 1996-11-29 1998-08-17 박병재 차량의 개폐장치
KR200211075Y1 (ko) * 1996-12-14 2001-02-01 정몽규 자동차 트렁크리드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7383A (ja) * 1988-12-07 1990-06-18 Tokai Rika Co Ltd 車両用戸閉め装置
KR970005275U (ko) * 1995-07-10 1997-0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휴즈박스용 리드 개폐구조
KR970041664A (ko) * 1995-12-29 1997-07-24 김태구 자동차 트렁크 리드 클로징 장치
KR980009002A (ko) * 1996-07-26 1998-04-30 김영귀 차량의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KR19980030209U (ko) * 1996-11-29 1998-08-17 박병재 차량의 개폐장치
KR200211075Y1 (ko) * 1996-12-14 2001-02-01 정몽규 자동차 트렁크리드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8938A (ko) 2004-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8258A (en) Retrofit electric truck door lock
US6435596B1 (en) Automotive double folding tailgate
US20040227358A1 (en) Motor vehicle lock
KR101795252B1 (ko)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US4372603A (en) Double pivot door for cargo vehicles
US20040012468A1 (en) Electrically operated ratcheting pawl latch
KR100388094B1 (ko) 차량의 도어 유리 수납 고정장치
CN112776572A (zh) 用于车辆的滑动/摆动复合车门
KR100457109B1 (ko) 버스용 플랩도어 개폐장치
CN101736969A (zh) 闩组件及具有该闩组件的机器
KR100821005B1 (ko) 플랩도어 핸들
KR100419732B1 (ko) 차량 슬라이딩 도어의 잠금장치
KR100368377B1 (ko) 버스의 플랩도어 오픈 유지장치
KR101095230B1 (ko) 러기지 박스용 커버의 잠금장치
KR0138850Y1 (ko) 버스 플랩도어의 록킹장치
JPH0643974Y2 (ja) 開閉装置用操作装置の扉構造
KR200195829Y1 (ko) 버스차량의 사이드 플랩 손잡이
KR100942089B1 (ko) 차량용 도어의 파워 래치 시스템
KR20040099788A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의 결합구조
KR100439967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록킹장치
KR20210055826A (ko) 차량의 슬라이딩/스윙 복합도어
KR100398428B1 (ko) 차량의 슬라이드식 회전글래스 개폐장치
KR20210055828A (ko) 차량의 슬라이딩/스윙 복합도어
KR200177750Y1 (ko) 자동차용 일체형 버튼
KR100222244B1 (ko) 버스용 화물칸 도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