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5543B1 - 낚시용 스피닝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스피닝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5543B1
KR100455543B1 KR10-1998-0023282A KR19980023282A KR100455543B1 KR 100455543 B1 KR100455543 B1 KR 100455543B1 KR 19980023282 A KR19980023282 A KR 19980023282A KR 100455543 B1 KR100455543 B1 KR 100455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state
reverse rotation
rotation
br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3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7183A (ko
Inventor
신지 무라까미
아끼라 야마구찌
Original Assignee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64516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9158A/ja
Priority claimed from JP366709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515895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07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5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터를 정회전만 가능한 상태/정역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절환할 수 있고, 그리고 로터가 역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고기가 걸린 때, 로터가 고속으로 역회전하여 과회전을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제동 장치를 구비한 스피닝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피닝 릴은 릴 본체(1)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10)에 낚싯줄을 권취 안내하는 로터(7)와, 이 로터(7)의 낚싯줄 풀림 방향의 회전을 방지하는 역회전 방지 장치와, 이 역회전 방지 장치를 작동 상태와 비작동 상태로 절환하는 절환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로터(7)의 역회전 시에 로터(7)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 부재에 대해 로터(7)의 과회전을 방지하도록 제동력을 부여한 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하는 제동 장치(3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로터의 역회전 제동력 조절 상태와 로터 역전 방지 상태 또는 로터 역회전 제동 보유 지지 상태의 양상태로 용이하면서 신속하게 절환하여 조작할 수 있는 조작성이 양호한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로터(108)의 역회전을 제동하는 제동 장치를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 릴(101)에 있어서, 제동 장치가 조작 부재(105)의 이동 조작에 의해 로터에 정회전뿐만 아니라 역회전도 허용하는 제1 상태와, 로터의 역회전에 조작 부재의 조작량에 따른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2 상태와, 로터의 역회전에 일정한 저항력을 지속적으로 부여하는 제3 상태로 절환되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3 상태로 보유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시용 스피닝 릴
본 발명은 낚시용 스피닝 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로터에 대해 제동력을 부여 가능하게 구성되는 낚시용 스피닝 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용 스피닝 릴에는 로터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회전 방지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장치를 레버로 조작함으로써 ON/OFF 상태로 하고, 로터를 정회전만 가능한 상태/정역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절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일반적인 낚시에 있어서는 로터는 정회전만 가능한 상태로 해 두는 일이 많지만, 특정 대상 물고기에 따라서 로터를 역회전 가능한 상태로 하여 낚는 방법, 즉 역회전 방지 장치를 OFF로 하여 로터를 역회전 가능한 상태로 해 두고, 고기가 걸린 때 고기를 달아나게 하면서 낚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 실제로 고기가 걸리면, 그 고기는 낚싯대, 특히 낚싯줄의 텐션이 사라질 때까지 움직이므로, 핸들이나 로터가 고속으로 역회전하여 함부로 손을 댈 수 없어 바로 권취 동작으로 이행할 수 없다.
이로 인해, 스피닝 릴 중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로터의 역회전에 대해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동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있으며, 예를 들어 일본 실용 신안 공개 소60-67075호나 일본 실용 신안 공고 평1-39194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성이 알려져 있다. 즉, 이와 같은 제동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스피닝 릴에 따르면, 고기가 걸려서 로터가 역회전한 때, 그 회전에 제동력을 부여하면서 낚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상기한 제동 장치는 제동을 거는 타이밍이 어렵고, 타이밍이 맞지 않으면 실풀림이나 실얽힘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즉, 고기가 걸린 역회전 초기 시에는 로터의 회전이 빠르므로, 로터가 과회전을 일으키기 쉬우며, 이 시점에서 제동력을 적당히 부여하지 않으면 실풀림이나 실얽힘 등이 발생한다. 그리고, 고기가 갑자기 정지한 후에 제동을 거는 타이밍이 지연되면, 로터가 과회전하는 경우가 있으며, 실풀림이나 실얽힘 등이 발생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낚시용 스피닝 릴에는 로터의 낚싯줄 풀림 방향(역전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는 역전 방지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역전 방지 장치는 절환 기구의 조작에 의해 작동 상태(로터 역전 방지 상태 ; 온)와 비작동 상태(로터 역전 가능 상태 ; 오프)로 절환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스피닝 릴은 걸린 고기를 달아나게 하면서 낚기 위해 역전 방지 장치가 오프로 절환된(로터가 역전 가능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걸린 고기가 바다 한가운데나 바닷가를 향해 달아나면 핸들과 로터가 고속으로 역회전하므로 바로 권취 동작으로 이행하지 못하며, 또 달아난 고기가 갑자기 정지하면 로터가 오버런되어 백래시 현상(실풀림)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로 인해, 스피닝 릴 중에는 로터의 역회전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동 기구를 구비한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제동 기구에 의하면, 어종 및 고기의 기력 상황 등의 낚시 상황에 따라 로터의 역회전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걸린 고기를 손쉽게 포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동 기구를 구비한 스피닝 릴은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60-5369호 공보, 특허 공개 평9-23790호 공보, 특허 공개 평9-140303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60-5369호 공보에 개시된 스피닝 릴은 로터의 역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동판과, 릴 본체의 다리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제동판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조작 레버와, 로터와 일체로 회전하는 역전 방지 기어를 구비하고 있다. 역전 방지 기어에는 걸림 갈고리가 스프링의 편의력에 의해 항상 계지되어 있고, 이에 의해 로터의 역회전이 방지된다. 조작 레버가 인상 조작되면 걸림 갈고리가 스프링의 편의력에 저항하여 역전 방지 기어로부터 분리되어 로터의 역전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역전하는 로터에 제동판을 거쳐 제동력이 부여된다. 즉, 조작 레버의 조작에 연동하여 로터가 역전 방지 상태로부터 역전 가능 상태로 절환(로터의 역전 제동 시에 로터의 역전 방지 상태가 자동적으로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일본 특허 공개 평9-23790호 공보에 개시된 스피닝 릴은 로터의 역전 시에만 일방향 클러치를 거쳐 로터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제동판과, 릴 본체의 다리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제동판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조작 레버와, 로터와 일체로 회전하는 역전 방지 기어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이 스피닝 릴은 역전 방지 기어에 걸림 갈고리를 계지시켜 로터의 역전을 방지하는 역전 방지 위치와 역전 방지 기어로부터 걸림 갈고리를 분리하여 로터의 역전을 허용하는 역전 가능 위치 사이에서 절환되는 절환 레버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절환 레버가 역전 방지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조작 레버가 인상 조작되면, 그에 연동하여 절환 레버가 역전 가능 위치로 절환되어 걸림 갈고리가 역전 방지 기어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일본 특허 공개 평9-140303호 공보에 개시된 스피닝 릴은 로터의 역전 시에만 일방향 클러치를 거쳐 로터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제동판과, 릴 본체의 다리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제동판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조작 레버와, 조작 레버에 의해 제동판에 제동력이 부여된 상태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레버를 구비하고 있다.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60-5369호 공보에 개시된 스피닝 릴의 구성에서는 조작 레버를 어느 정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면 걸림 갈고리가 스프링의 편의력에 의해 역전 방지 기어에 결합되어 버린다. 즉, 조작 레버를 세게 잡아당기고 있는 경우는 로터의 역전을 제동할 수 있지만, 조작 레버를 잡아당기는 힘을 약하게 하거나 또는 조작 레버로부터 손을 놓거나 한 경우는 로터의 역전이 방지되어 버린다. 따라서, 로터의 역회전에 약한 제동을 가하거나 제동을 가하지 않고 로터를 자유롭게 역회전시키지 못해 고기와의 미묘한 밀고 당기기를 행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로 인해 대어를 놓쳐 버릴 우려가 있다.
또, 일본 특허 공개 평9-23790호 공보에 개시된 스피닝 릴의 경우, 로터의 역전 방지 상태로부터 역전 가능 상태로의 절환은 절환 레버 및 조작 레버의 양자로 행할 수 있지만, 로터의 역전 가능 상태로부터 역전 방지 상태로의 절환은 절환 레버에 의해서 밖에 행할 수 없다. 따라서, 실제 낚시시의 상황 변화에 따라 역전 가능 상태로부터 역전 방지 상태로 절환하는 경우는 조작 레버를 조작하는 손과 반대의 손가락으로 절환 레버를 조작해야 하므로 조작성이 상당히 나빠 고기와의 밀고 당기기를 용이하면서 신속하게 행할 수 없다. 특히, 조작 레버를 조작하는 손과 반대 손에 그물 등을 들고 있는 경우는 절환 레버의 조작을 행하지 못해 고기를 놓쳐 버릴 우려가 있다.
또, 일본 특허 공개 평9-140303호 공보에 개시된 스피닝 릴의 경우도 실제 낚시 시에 조작 레버와 보유 지지 레버를 구분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으므로 조작성 면에서 문제가 있다. 그리고, 두개의 레버가 릴 본체로부터 크게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으므로 릴 전체가 대형화되어 휴대성 면에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로터를 정회전만 가능한 상태/정역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절환할 수 있고, 또 로터가 역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고기가 걸린 때, 로터가 고속으로 역회전하여 과회전을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제동 장치를 구비한 스피닝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로터의 역회전 제동력 조절 상태와 로터 역전 방지 상태 또는 로터 역회전 제동 보유 지지 상태의 양상태로 용이하면서 신속하게 절환하여 조작할 수 있는 조작성이 양호한 낚시용 스피닝 릴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2a 내지 도2c는 절환 레버를 위치(Ⅰ)로 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2a는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2b는 도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 도2c는 도1을 D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3은 도1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
도4는 작동 부재를 회전 위치와, 이 회전 위치에 의한 래칫에 결합하는 스톱퍼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5a 내지 도5c는 절환 레버를 위치(Ⅱ)로 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각각 도2a 내지 도2c에 대응하는 도면.
도6a 내지 도6c는 절환 레버를 위치(Ⅲ)로 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각각 도2a 내지 도2c에 대응하는 도면.
도7a 및 도7b는 도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7a는 로터와 브레이크 로터가 일체 회전 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b는 로터만이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9a 내지 도9c는 절환 레버를 위치(Ⅰ)로 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9a는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9b는 래칫과 스톱퍼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9c는 릴 본체를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
도10a 내지 도10c는 절환 레버를 위치(Ⅱ)로 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10a는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10b는 래칫과 스톱퍼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10c는 릴 본체를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
도11은 작동 부재의 회전 위치와, 이 회전 위치에 의한 래칫에 결합하는 스톱퍼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12는 작동 부재의 후단부 단면도이며, 작동 부재의 위치를 절환 보유 지지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13a 및 도13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13a는 일정 부하 유지 상태에 있어서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13b는 릴 본체를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
도14a 및 도14b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14a는 제동 비작동 상태에 있어서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14b는 릴 본체를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
도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닝 릴의 일부 단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16은 도15의 스피닝 릴의 요부 확대 단면도(초기 위치).
도17은 도15의 스피닝 릴의 요부 확대 단면도(제동 위치).
도18은 도15의 스피닝 릴의 요부 확대 단면도(역전 방지 위치).
도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닝 릴의 일부 단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20은 도19의 스피닝 릴의 요부 확대 단면도(초기 위치).
도21은 도19의 스피닝 릴의 요부 확대 단면도(제동력 보유 지지 위치).
도2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닝 릴의 일부 단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2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닝 릴의 요부 확대 단면도(초기 위치).
도24는 도23의 D-D선을 따른 단면도.
도25는 도23의 E-E선을 따른 단면도.
도26은 도23의 F-F선을 따른 단면도.
도27은 도23의 G-G선을 따른 단면도.
도2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닝 릴의 요부 확대 단면도(역전 방지 위치).
도29는 도28의 H-H선을 따른 단면도.
도30은 도28의 I-I선을 따른 단면도.
도31은 도28의 J-J선을 따른 단면도.
도32는 도28의 K-K선을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1a : 릴 본체
7, 108 : 로터
10 : 스풀
20 : 작동 부재
22 : 절환 레버
30 : 제동 장치
31 : 브레이크 로터
33 : 제동판
37 : 브레이크 레버
101, 101A, 101B, 101C : 스피닝 릴
105 : 조작 레버(조작 부재)
109 : 스풀축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낚시용 스피닝 릴은 릴 본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에 낚싯줄을 권취 안내하는 로터와, 이 로터의 낚싯줄 풀림 방향의 회전을 방지하는 역회전 방지 장치와, 이 역회전 방지 장치를 작동 상태와 비작동 상태로 절환하는 절환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로터의 역회전 시에 로터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 부재에 로터의 과회전을 방지하도록 제동력을 부여한 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하는 제동 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로터는 역회전 방지 장치에 의해 낚싯줄 권취 방향의 회전(정회전)만 가능한 상태와, 정역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절환된다. 그리고, 로터가 정역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 경우에 있어서, 고기의 당김에 의해 로터가 회전한 때, 로터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 부재에 대해 로터의 과회전을 방지하는 제동력이 부여된 상태가 유지되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그 고기가 갑자기 정지함으로써 로터가 과회전하려고 해도 그 유지되고 있는 제동력에 의해 로터는 과회전하는 일없이, 실풀림이나 실얽힘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릴 본체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스풀축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동시에 낚싯줄이 권취되는 스풀과, 스풀로의 낚싯줄의 권취를 안내하는 로터와, 릴 본체에 지지된 단일 조작 부재를 구비하고, 스풀로부터의 낚싯줄 풀림에 수반되는 로터의 역회전을 상기 조작 부재의 이동 조작에 의해 제동하는 제동 장치를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 릴에 있어서, 상기 제동 장치가 상기 조작 부재의 이동 조작에 의해 로터에 정회전뿐만 아니라 역회전도 허용하는 제1 상태와, 로터의 역회전에 조작 부재의 조작량에 따른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2 상태와, 로터의 역회전에 일정한 저항력을 지속적으로 부여하는 제3 상태로 절환되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3 상태로 보유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한 도면을 따라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도1은 스피닝 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2a는 그 요부 확대도, 도2b는 도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 그리고, 도2c는 도1을 D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릴 본체(1)에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핸들축(2a)에 대해 핸들(2)이 고정 지지되어 있다. 핸들축(2a)에는 드라이브 기어(3)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드라이브 기어(3)에는 핸들축(2a)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베어링(4)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피니온 기어(5)가 맞물려져 있다. 피니온 기어(5)의 선단부에는 벨(6) 및 낚싯줄 안내 장치(도시 생략)를 구비한 로터(7)가 일체 회전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축(2a)에는 요동 기구(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으며, 핸들축(2a)이 핸들(2)의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된 때, 핸들축(2a)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축(8)을 축 방향을 따라서 왕복 구동한다. 이 스풀축(8)은 상기 피니온 기어(5)의 내부에 삽입 관통되어 있으며, 그 선단부에 낚싯줄을 권취하는 스풀(10)이 부착되어 있다.
이 결과, 핸들(2)을 회전 조작하면, 상기 요동 기구를 거쳐서 스풀(10)이 전후로 왕복 이동하고, 또 로터(7)가 드라이브 기어(3) 및 피니온 기어(5)를 거쳐서 회전 구동하므로, 스풀(10)에는 낚싯줄 안내 장치를 거쳐서 낚싯줄이 균등하게 권취된다.
릴 본체(1) 내에는 로터(7)를 낚싯줄 권취 방향의 회전(정회전)만 가능한 상태와, 정역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절환하는 역회전 방지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절환 기구(12)의 조작에 의해 절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절환 기구(12)는 후술하는 로터(7)의 제동 장치를 작동 상태, 비작동 상태로 절환하는 기능도 더불어 구비하고 있으며, 조작의 간략화를 도모하고 있다.
이하, 역회전 방지 장치의 절환 기구(12)의 구성 및 로터(7)의 제동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절환 기구(12)는 상기 피니온 기어(5)에 회전 정지 고정된 래칫(15)(도2b 참조)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래칫(15)에 대해 스톱퍼(17)를 결합시킴으로써, 피니온 기어(5), 즉 로터(7)의 낚싯줄 권취 방향만의 회전을 허용하고, 또 스톱퍼(17)를 비결합시킴으로써, 정역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절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스톱퍼(17)는 릴 본체의 프레임에 대해 도2a의 반시계 방향으로 압박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그 지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일단부(17a)가 래칫(15)에 결합 가능하고, 타단부가 이하에 상세하게 서술하는 원통형의 작동 부재(20)의 일부를 절결하도록 형성된 캠 면(20a) 및 작동 부재(20)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다.
작동 부재(20)는 상기 스풀축(8)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릴 본체(1)의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그 기단부에는 릴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수동 조작 가능한 절환 레버(22)가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작동 부재(20)는 절환 레버(22)의 회전 조작에 의해 3개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 부재(20)의 후단부에는 평탄형의 캠 면(20b, 20c, 20d)이 연속하여 절결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캠 면에 대해 릴 본체의 프레임 사이에 개재된 압박 스프링(24)이 맞닿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절환 레버(22)의 회전 조작에 의해 작동 부재(20)는 캠 면(20b, 20c, 20d)에 대응한 3개의 위치를 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작동 부재(20)는 캠 면(20b, 20c, 20d)에 의해 3개의 위치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여기에서 작동 부재(20)가 취할 수 있는 위치와 그에 형성된 상기 캠 면(20a)과의 관계를 설명한다.
절환 레버(22)가 도2c에 도시한 위치에 있을 때(위치Ⅰ), 압박 스프링(24)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면(20b)에 맞닿아 있으며, 또 캠 면(20a)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호(20a1)로 나타내는 점선 위치에 있다. 이로 인해, 스톱퍼(17)의 타단부(17b)는 그 압박력에 의해 캠 면(20a)에 맞닿은 상태에 있으며, 그 일단부(17a)가 래칫(15)에 결합한 상태에 있다(도2a, 도2b 참조). 따라서, 피니온(5)에 부착되어 있는 로터(7)는 한 쪽 방향만 회전, 즉 정회전만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절환 레버(22)를 도5c에 도시한 위치로 조작하면(위치Ⅱ), 압박 스프링(24)이 도3에 도시한 캠 면(20c)에 맞닿아 작동 부재(20)의 위치를 고정하고, 또 캠 면(20a)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호(20a2)로 나타내는 실선 위치가 된다. 이로 인해, 스톱퍼(17)의 타단부(17b)는 작동 부재(20)의 외주면을 따라서, 압박력에 저항하여 회전되고, 그 일단부(17a)가 래칫(15)으로부터 분리된다(도5a, 도5b 참조). 따라서, 피니온(5)에 부착되어 있는 로터(7)는 정역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또한, 절환 레버(22)를 도6c에 도시한 위치로 조작하면(위치Ⅲ), 압박 스프링(24)이 도3에 도시한 캠 면(20d)에 맞닿아 작동 부재(20)의 위치를 고정하고, 또 캠 면(20a)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호(20a3)로 나타내는 점선 위치가 된다. 스톱퍼(17)의 타단부(17b)는 작동 부재(20)의 외주면에 접촉한 상태이며, 그 일단부(17a)는 래칫(15)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되어 있다(도6a, 도6b 참조). 따라서, 피니온(5)에 부착되어 있는 로터(7)는 정역 회전 가능한 상태이다.
다음에, 로터(7)의 제동 장치(3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동 장치(30)는 로터(7)가 역회전한 때에만 로터(7)에 대해 제동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피니온 기어(5)에 대해 칼라를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브레이크 로터(31)와, 이 브레이크 로터(31)와 일체 회전하도록 연결된 도우넛형의 제동판(브레이크 디스크)(33)과, 이 제동판(33)이 협지하도록 배치되고, 릴 본체의 프레임에 지지된 압접 부재(35a) 및 압접 부재를 향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브레이크 슈우(35b)를 구비하고 있다. 브레이크 슈우(35b)는 릴 본체(1)의 부착 다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브레이크 레버(37)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조작함으로써, 그 회전 지지부(37a)에 대해 반대측에 위치하는 압박부(37b)를 거쳐서 압접 부재(35a)를 향해 미끄럼 이동된다. 이와 같이, 브레이크 슈우(35b)가 미끄럼 이동되면, 도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동판(33)은 압접 부재(35a)와 브레이크 슈우(35b) 사이에서 협지된다. 그리고, 제동판(33)과 일체화되어 있는 브레이크 로터(31)와 로터(7) 사이에는 스프링(39)이 개재되어 있으며, 도5a에 도시한 협지 상태가 해제된 때, 브레이크 로터(31)를 도2a에 도시한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브레이크 로터(31)와 로터(7)는 로터(7)가 회전한 때, 서로 자유스런 관계가 되며, 로터(7)가 역회전한 때, 로터(7)의 역회전과 일체적으로 브레이크 로터(31)도 역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로터(7)가 정회전하고 있을 때, 브레이크 레버(37)를 회전 조작해도 제동판(33)에 작용하는 제동력은 로터(7)에 전달되지 않고, 또 로터(7)가 역회전하고 있을 때, 브레이크 레버(37)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제동판(33)에 작용하는 제동력이 로터(7)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이와 같은 작용을 하는 기구(전달 기구라 칭한다)를 도2 및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브레이크 로터(31)의 원주부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로터(7)의 이면을 향해 결합 돌기부(4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원주부에 8개 형성되어 있으며, 각 결합 돌기(40) 사이에는 균등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결합 돌기부(40)에는 로터(7)가 화살표로 나타낸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한 때, 이하에 상세하게 서술하는 결합 갈고리가 각 간극에 들어가기 쉽도록 테이퍼(40a)가 형성되는 동시에, 그 갈고리를 맞닿는 정지부(40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로터(7)에는 브레이크 로터(31)측을 향해 회전 부재(43)가 핀(42)을 지지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그 일단부측에 상기 각 결합 돌기부(40) 사이의 간극에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 갈고리(43a)가 굴곡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로터(7)에는 브레이크 로터(31)측을 향해 회전 부재(43)의 회전을 규제하는 보스(45a, 45b)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 부재(43)가 소정 범위 회전한 때, 그 양단부를 맞닿아 회전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부재(43)에는 U자형으로 절입된 홈(43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43b)에 브레이크 로터(31)에 감싸이도록 권취 보유 지지된 판 스프링(45)의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달 기구에 따르면, 로터(7)가 화살표와 반대인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브레이크 로터(31)는 스프링(39) 압박력 등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일체적으로 정회전한다. 이 상태에서, 브레이크 레버(37)를 회전 조작하여 브레이크 로터(31)의 회전을 정지해도 로터(7)의 회전과 함께 일체 회전하고 있는 회전 부재(43)는 그 판 스프링(45)의 작용에 의해 핀(4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의 힘을 받고, 이 결과, 회전 부재(43)의 일단부가 도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스(45a)에 맞닿는다. 따라서, 회전 부재(43)는 아무런 규제도 받는 일이 없는 자유스런 상태가 되며, 브레이크 로터(31)의 정지와는 관계없이 로터(7)만이 회전한 상태가 된다.
이에 반해, 로터(7)가 화살표 방향으로 역회전하면, 브레이크 로터(31)는 스프링(39)의 압박력 등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일체적으로 역회전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브레이크 레버(37)를 회전 조작하여 브레이크 로터(31)의 회전에 제동을 걸면, 로터(7)의 회전과 함께 일체 회전하고 있는 회전 부재(43)는 그 판 스프링(45) 작용에 의해 핀(4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의 힘을 받고, 이 결과, 회전 부재(43)의 타단부가 도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스(45b)에 맞닿는다. 이 때, 반대측에 있는 결합 갈고리(43a)는 결합 돌기부(40)에 형성된 테이퍼(40a)로 안내되고, 결합 돌기부(40) 사이의 간극으로 인입하는 동시에, 결합 돌기부(40)의 정지부(40b)에 맞닿으므로, 로터(7)와 브레이크 로터(31)라 함은 일체적으로 역회전 가능 상태가 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로터(31)에 작용하는 제동력은 그대로 로터(7)에 작용한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제동 장치(30)는 로터(7)의 역회전 시에 브레이크 레버(37)의 화살표 방향의 조작에 의해 소망의 제동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 제동 장치(30)는 게다가, 로터(7)의 역회전 시에 로터(7)의 과회전을 방지하도록 소정의 제동력을 부여한 상태가 유지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구성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로터(7)는 역회전 방지 장치의 절환 기구(12)의 조작, 즉 절환 레버(22)의 조작에 의한 작동 부재(20)의 회전에 의해 정회전만 가능한 상태(위치Ⅰ: 도2 참조), 정역 회전 가능한 상태(위치Ⅱ : 도5 참조) 및 정역 회전 가능한 상태(위치Ⅲ : 도6 참조)의 3개의 상태로 절환된다. 그리고, 로터(7)의 역회전 시에 로터(7)의 과회전을 방지하도록 소정의 제동력을 부여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이 절환 레버(22)의 조작이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작동 부재(20)의 연장 단부를 브레이크 레버(37)의 압박부(37b)에 결합 가능하게 하고, 로터(7)가 정역 회전 가능한 상태인 때, 이 압박부(37b)에 대해 소정의 압박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로 인해, 작동 부재(20)의 연장 단부에는 경사지도록 절삭한 캠 면(20g)이 형성되어 있으며, 절환 레버(22)를 상기 위치(Ⅱ)로 한 때만 이 캠 면(20g)에 의해 브레이크 레버(37)의 압박부(37b)를 압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5a 참조). 이 캠 면(20g)의 형상 및 동작 부재(20)의 연장 길이는 절환 레버(22)를 위치(Ⅱ)로 한 때, 브레이크 슈우(35b)를 압박하는 힘이 지나치게 큰 경우는 없으며, 결과로서 제동판(33)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을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즉, 고기가 걸려 낚싯줄을 풀어내면서 달아나도 로터(7)는 충분히 역회전할 수 있고, 또 로터(7)가 과회전한 때, 그 회전을 바로 억제할 수 있을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낚시용 스피닝 릴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로터(7)의 회전 상태는 절환 레버(22)의 조작에 의한 작동 부재(20)의 회전에 의해 절환된다. 우선, 절환 레버(22)를 도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Ⅰ)로 하면 작동 부재(20)의 캠 면(20a)에 의해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칫(15)에 스톱퍼(17)의 일단부(17a)가 결합하므로, 로터(7)는 역회전이 방지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때 제동 장치(30)는 도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7)에 대해서는 작동 부재(20)의 선단부에 형성된 캠 면(20g)을 거쳐서 제동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브레이크 레버(37)를 조작하여 브레이크 슈우(35b)가 제동판(33)을 협지해도 상술한 전달 기구의 구성에 의해 브레이크 로터(31)의 정지 상태와 관계없이 로터(7)만이 정회전한다.
절환 레버(22)의 위치(Ⅰ) 설정은 통상의 낚시, 즉 로터(7)의 역회전 낚시를 행하지 않을 때, 채비를 부착한 상태에서 낚싯대를 가지고 이동할 때, 혹은 채비가 매달린 때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와 같은 때는 로터(7)의 역회전을 로크해 두는 것이 편리하다.
다음에, 절환 레버(22)를 도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Ⅱ)로 하면 스톱퍼(17)의 타단부(17b)는 캠 면(20a)으로부터 분리되고, 작동 부재(20)의 외주부에 의해 압박되고, 이 결과, 스톱퍼(17)의 일단부(17a)는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칫(15)으로부터 분리되므로, 로터(7)는 정역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때, 제동 장치(30)는 도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7)에 대해 작동 부재(20)의 선단부에 형성된 캠 면(20g)을 거쳐서 소정의 제동력이 작용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로터(7)의 역회전 낚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게다가 로터(7)에 대해서는 역회전 시에 로터의 과회전을 방지하도록 소정의 제동력을 부여한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이 결과, 고기가 낚싯대에 걸린 때인 초기지, 혹은 낚싯대에 걸려있는 고기가 갑자기 정지함으로써, 로크(7)가 과회전하려고 해도 그 과회전은 억제되고, 실풀림이나 실얽힘 등의 문제가 방지된다. 그리고, 로터(7)의 역회전에 대해 별도의 제동력을 부여하고 싶은 경우는 브레이크 레버(37)를 조작함으로써, 압박부(37b), 브레이크 슈우(35b), 제동판(33) 등을 거쳐서 로터(7)에 대해 소망의 제동력을 부여할 수 있다.
다음에, 절환 레버(22)를 도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Ⅲ)로 하면, 스톱퍼(17)의 타단부(17b)는 작동 부재(20)의 외주부에 의해 압박된 상태이므로, 스톱퍼(17)의 일단부(17a)는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칫(15)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로터(7)는 정역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때, 제동 장치(30)는 도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7)에 대해서는 작동 부재(20)의 선단부에 형성된 캠 면(20g)을 거쳐서 제동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로터(7)의 역회전 낚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게다가 로터(7)에 대해서는 상기 위치(Ⅱ)와 같이, 소정의 제동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브레이크 레버(37)의 조작에만 따른 역회전 낚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로터의 역회전 낚시를 행하는 경우, 절환 레버(22)를 위치(Ⅱ)로 설정해 두면, 브레이크 레버(37)의 조작이 익숙하지 않아도 로터(7)의 과회전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실풀림이나 실얽힘 등의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브레이크 레버(37)를 조작함으로써, 소망의 제동력을 부여할 수 있다. 게다가, 로터(7)에 소정의 제동력을 부여하고, 이것을 유지하는 제동 장치(30)의 작동 상태와 비작동 상태의 절환은 로터(7)의 역회전 방지 장치의 절환 레버(22)의 조작과 연동시키고 있으므로, 조작성이 간략화되어 조작 실수가 사라진다. 게다가 또한, 로터의 역회전 낚시를 행하지 않는 경우, 채비를 부착한 채 낚싯대를 들고 운반할 때 등은 절환 레버(22)를 위치(Ⅰ)로 설정하는 것만으로 로터의 역회전을 로크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그 조작성이 보다 향상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음에, 도8 내지 도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절환 레버(22)는 3개의 위치에서 절환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었지만, 이것을 간략화하여 2개의 위치에서 절환 조작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즉, 작동 부재(20)의 후방 단부에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탄형 캠 면(20m, 20n)이 연속하여 절결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캠 면에 대해, 릴 본체의 프레임 사이에 개재된 압박 스프링(24)이 맞닿음으로써 작동 부재(20)를 절환 레버(22)의 조작에 의해 2개의 위치(도9 및 도10 참조)로 절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부재(20)의 중간부에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일부를 절결하여 캠 면(2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캠 면(20a) 및 작동 부재(20)의 외주면에 스톱퍼(17)의 타단부(17b)가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작동 부재(20)가 취할 수 있는 위치와 그에 형성된 캠 면(20a)과의 관계를 설명한다.
절환 레버(22)가 도9c에 도시한 위치에 있을 때(위치Ⅰ), 압박 스프링(24)은 도9a 및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면(20m)에 맞닿아 있으며, 또한 캠 면(20a)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호(20a1)로 나타내는 점선 위치에 있다. 이로 인해, 스톱퍼(17)의 타단부(17b)는 그 압박력에 의해 캠 면(20a)에 맞닿은 상태에 있으며(도9b 참조), 그 일단부(17a)가 래칫(15)에 결합한 상태에 있다(도9a, 도9b 참조). 따라서, 피니온(5)에 부착되어 있는 로터(7)는 일방향만 회전, 즉 정회전만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절환 레버(22)가 도10c에 도시한 위치에 있을 때(위치Ⅱ), 압박 스프링(24)은 도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면(20n)에 맞닿아 있으며, 또 캠 면(20a)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호(20a2)로 나타내는 실선 위치에 있다. 이로 인해, 스톱퍼(17)의 타단부(17b)는 그 압박력에 의해 작동 부재(20)의 외주면에 맞닿은 상태에 있으며(도10b 참조), 그 일단부(17a)가 래칫(15)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있다(도10a, 도10b 참조). 따라서, 피니온(5)에 부착되어 있는 로터(7)는 정역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작동 부재(20)의 연장 단부에는 단면 비원형의 끼움부(20p)가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스프링(20q)을 거쳐서 선단부에 캠 면(20g)이 형성된 캠 부재(20r)가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 캠 부재(20r)는 절환 레버(22)를 상기 위치(Ⅱ)로 한 때만 캠 면(20g)에 의해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된 브레이크 레버(37)의 압박부(37b)를 압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10a 참조). 그리고, 이 캠 면(20g)의 형상 및 작동 부재(20)의 연장 길이 등은 절환 레버(22)를 위치(Ⅱ)로 하여 제동판(33)이 압접판(35a)과 브레이크 슈우(35b) 사이에 협지된 때, 제동판(33)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을 정도, 즉 고기가 걸려 낚싯줄을 풀어내도록 달아나도 로터(7)는 충분히 역회전할 수 있고, 또 로터(7)가 역회전한 때, 그 회전을 바로 억제할 수 있을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로터(7)는 절환 레버(22)의 조작에 의해 역회전 방지 상태(위치Ⅰ: 도9 참조)와, 정역 회전 가능 상태(위치Ⅱ, 도10 참조)로 절환된다. 그리고, 이 절환 조작에 의해 로터(7)가 정역 회전 가능 상태(위치Ⅱ)인 때는 로터(7)에 대해 소정의 제동력이 작용한 상태가 유지되고 있으므로, 로터(7)의 역회전 낚시를 행한 경우에 있어서 로터(7)가 과회전하려고 해도, 그 과회전은 억제되고, 실풀림이나 실얽힘 등의 문제가 방지된다. 그리고, 로터(7)의 역회전에 대해 별도의 제동력을 부여하고 싶은 경우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브레이크 레버(37)를 도8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압박부(37b), 브레이크 슈우(35b), 제동판(33) 등을 거쳐서 로터(7)에 대해 소망의 제동력을 부여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캠 면(20g)이 형성된 캠 부재(20r)는 스프링(20q)을 거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브레이크 레버(37)는 도8의 화살표 b 방향으로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조작을 행함으로써, 압박부(37b) 및 브레이크 슈우(35b)를 제동판(33)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로터(7)가 역회전 가능 상태인 때, 브레이크 레버(37)를 도8의 화살표 b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로터(7)에 대해 제동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자유 회전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로터의 역회전 낚시를 행하는 경우는 절환 레버(22)를 위치(Ⅱ)로 절환하는 것만으로, 실풀림이나 실얽힘 등의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그 조작성의 보다 간략화가 도모된다.
다음에, 도13 및 도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로터(7)는 절환 레버(22)의 조작에 의해, 역회전 방지 상태와, 정역 회전 가능 상태로 절환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로터(7)의 역회전 방지 장치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13 및 도14에 도시한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에 있어서, 그와 같은 역회전 방지 장치를 생략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 부재(20)에는 로터(7)의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캠 면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피니온(5)에도 역회전 방지 기능을 한 래칫은 부착되어 있지 않다. 즉, 로터(7)는 항상 정역 회전 가능 상태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절환 레버(22)는 제동 장치(30)를, 도13에 도시한 일정 부하 유지 상태와, 도14에 도시한 제동 비작동 상태로 절환하는 기능을 가질 뿐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로터(7)는 항상 역회전 가능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로터의 역회전 낚시를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역회전 방지 장치의 절환 조작을 잊음으로써 발생하는 줄 절단 등의 문제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절환 레버(22)를 도13에 도시한 일정 부하 유지 상태로 절환함으로써 실풀림, 실얽힘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브레이크 레버(37)를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함으로써, 로터(7)에 소망의 제동력을 가하거나, 혹은 로터(7)를 자유로운 회전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와 같이, 여러 가지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동 장치에 있어서의 부하를 부여하는 수단은 제동판과 브레이크 슈우에 의한 것 및 자성판과 자석에 의한 것을 예시하였지만, 그 이외의 구성을 이용하여 부하를 가해도 좋다. 로터의 역회전 방지 장치로서는 래칫과 갈고리에 의한 결합 관계 이외에도 일방향 클러치에 의한 구성이어도 좋다. 상술한 전달 기구는 로터(7)와 브레이크 로터(31) 사이에 일방향 클러치를 설치한 구성이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특징은 다른 실시 형태에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15 내지 도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스피닝 릴(101)은 릴 본체(101a)와, 릴 본체(101a)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다리부(101b)와, 다리부(101b)의 단부에 형성되는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낚싯대에 부착되는 낚싯대 부착부(101c)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101a) 내에는 핸들축(102)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릴 본체(101a)로부터 돌출되는 핸들축(102)의 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핸들이 고정되어 있다.
핸들축(102)에는 드라이브 기어(103)가 부착되어 있고, 이 드라이브 기어(103)에는 핸들축(102)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베어링(111)을 거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피니언 기어(113)가 맞물려 있다. 이 피니언 기어(113)의 선단부에는 베일(106) 및 낚싯줄 안내 장치(115)를 구비한 로터(108)가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또, 피니언 기어(113)의 내부에는 핸들축(10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축(109)이 삽입 관통되어 있고, 스풀축(109)의 선단부에는 낚싯줄이 권취되는 스풀(110)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드라이브 기어(103)에는 요동 기구(119)가 결합되어 있다. 이 요동 기구(119)는 핸들축(102)이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될 때 스풀축(109)이 축방향을 따라 왕복 구동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핸들을 회전 조작하여 핸들축(102)을 회전시키면 요동 기구(119)를 거쳐 스풀축(109)에 부착된 스풀(110)이 전후로 왕복 이동하는 동시에 드라이브 기어(103) 및 피니언 기어(113)를 거쳐 로터(108)가 회전 구동한다. 따라서, 스풀(110)에는 낚싯줄 안내 장치(115)를 거쳐 낚싯줄이 균등하게 권취된다.
또, 릴 본체(101a)에는 로터(108)의 역회전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동 기구와, 로터(108)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전 방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기구는 지지축(107)을 거쳐 다리부(101b)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조작 레버(105)에 의해 조작된다. 조작 레버(105)의 일단부에는 손가락이 놓여지는 조작부(105a)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조작 레버(105)는 조작부(105a)로부터 릴 본체(101a)의 다리부(101b)를 향해 폭 넓게 형성되는 동시에, 상면에는 연질 부재(105b)가 설치되고, 파지한 손가락으로 조작 레버(105)를 하방으로 용이하게 무리없이 밀어내려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릴 본체(101a) 내에 위치하는 조작 레버(105)의 타단부에는 나사못(112)을 거쳐 가압 플레이트(114)가 부착되어 있다. 가압 플레이트(114)의 단부에는 후술하는 제동 기구의 브레이크 슈우(117)를 가압하는 가압부(114a)가 형성되어 있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105)가 도15에 도시한 초기 위치로부터 A방향으로 가압 상승 조작되면 가압부(114a)에 의해 브레이크 슈우(117)가 가압되어 제동 기구가 작용하는 동시에, 조작 레버(105)가 초기 위치로부터 B방향으로 가압 하강 조작되면 역전 방지 기구가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 플레이트(114)와 릴 본체(101a)의 브래킷(118) 사이에는 조작 레버(105)를 초기 위치에 항상 보유 지지하는 인장 스프링(116)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 레버(105)를 지지축(107)을 중심으로 A방향(시계 방향)으로 가압 상승 조작한 후 그 조작력을 해제하면 스프링(116)의 편의력에 의해 조작 레버(105)가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도16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108)의 역회전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동 기구는 일방향 클러치(120)를 거쳐 피니언 기어(113)에 부착된 브레이크 로터(131)와, 이 브레이크 로터(131)의 표면에 나사못을 거쳐 부착 고정된 링 형상의 제동판(브레이크 디스크)(133)과, 이 제동판(133)을 걸치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릴 본체(101a)의 프레임(101f)에 지지된 압접편(135)과, 프레임(101f)에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는 동시에 제동판(133)과 압접 가능한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예를 들어 목제의 브레이크 슈우(117)를 구비하고 있다.
일방향 클러치(120)는 피니언 기어(113)에 대하여 회전 방지 끼워 맞춤된 내륜(121)과, 내륜(121)의 외측에 배치된 보유 지지기(127)와, 보유 지지기(127)의 외측에 배치된 외륜(125)을 구비하고 있다. 보유 지지기(127)는 복수의 전동 부재를 보유 지지하고 있고, 각 전동 부재는 보유 지지기(127)에 설치된 스프링 부재에 의해 일방향으로 편의되어 있다. 또, 외륜(125)의 내주면에는 각 전동 부재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자유 회전 영역과, 각 전동 부재의 회전을 저지하는 쐐기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일방향 클러치(120)는 피니언 기어(113)와 함께 내륜(121)이 정회전(로터(108)가 실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보유 지지기(127)의 전동 부재가 외륜(125)의 자유 회전 영역에 위치되어 내륜(121)의 회전력이 외륜(125)에 전달되지 않는다. 그러나, 피니언 기어(113)와 함께 내륜(121)이 역회전(로터(108)가 실풀림 방향으로 회전)하면, 보유 지지기(127)의 전동 부재가 외륜(125)의 쐐기 영역에 위치되어 내륜(121)의 회전력이 외륜(125)에 전달된다.
외륜(125)의 외주에는 보유 지지 부재(129)가 압입 끼워 맞춤되어 있다. 또, 보유 지지 부재(129)의 외주에는 브레이크 로터(131)가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유 지지 부재(129)의 외주면에는 보유 지지 부재(129)의 주위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의 간극으로 배치된 복수의 돌출부(129a…)가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129a, 129a) 사이에는 브레이크 로터(131)로부터 스풀축(109)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 돌출되는 복수의 연장 돌출부(131a)의 각각이 끼워 맞춰져 있다. 즉, 브레이크 로터(131)는 돌출부(129a)와 연장 돌출부(131a)의 맞물림에 의해 보유 지지 부재(129)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동시에 보유 지지 부재(129)에 대하여 축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브레이크 로터(131)는 조작 레버(105)로부터 브레이크 슈우(117)를 거쳐 작용하는 가압력이 해제되면, 스프링(161)(도16 참조)의 편의력에 의해 보유 지지 부재(129)를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도15에 도시된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되어 있다.
일방향 클러치(120)를 거친 피니언 기어(113)와 브레이크 로터(131)의 이상과 같은 연결 구조에 의하면, 브레이크 로터(131)와 보유 지지 부재(129)는 피니언 기어(113)가 역회전했을 때만 일방향 클러치(120)를 거쳐 피니언 기어(113)(따라서, 로터(108))와 직결되어 로터(108)와 일체로 회전한다.
브레이크 로터(131)의 이면 주위 모서리부에는 주위 방향으로 서로 소정의 간극으로 배치된 복수(예를 들어 8개)의 결합 돌기부(14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각 결합 돌기부(140)에는 로터(108)가 역회전했을 때 후술하는 결합 갈고리(143a)를 결합 돌기부(140) 사이의 간극으로 안내하는 테이퍼면과, 결합 돌기부(140) 사이의 간극에 위치한 결합 갈고리(143a)와 접촉하는 스톱퍼면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로터(108)에는 회전 부재(143)가 핀(142)을 거쳐 브레이크 로터(131)측을 향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 부재(143)의 일단부에는 결합 돌기부(140) 사이의 간극에 결합 가능한 결합 갈고리(143a)가 굴곡 형성되어 있다. 또, 로터(108)에는 브레이크 로터(131)측을 향해 회전 부재(143)의 각 방향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두개의 보스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회전 부재(143)에는 U자 형상으로 절삭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에는 보유 지지 부재(129)에 매달리도록 권취 보유 지지된 판 스프링(145)의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로터(108)의 역전을 방지하는 역전 방지 기구는 조작 레버(105)의 타단부 또는 가압 플레이트(114)에 돌출 형성된 작동 부재(150)와, 지지축(15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작동 부재(150)에 의해 회전되는 제어캠(154)과, 릴 본체(101a)의 프레임(101f)에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는 동시에 제어캠(154)의 회전에 의해 제동판(133)을 향해 이동되는 걸림 갈고리(156)와, 제동판(133)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동시에 걸림 갈고리(156)와 맞물리는 복수의 걸림홈(133a)으로 이루어진다. 제어캠(154)은 작동 부재(150)와 접촉하는 제1 및 제2 접촉부(154a, 154b)와, 걸림 갈고리(156)와 접촉하는 제3 접촉부(154c)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접촉부(154a)와 제2 접촉부(154b) 사이에는 작동 부재(150)가 위치되고, 또 제3 접촉부(154c)는 걸림 갈고리(156)의 단부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56a)와 접촉하고 있다. 제어캠(154)은 제어캠(154)과 브래킷(118) 사이에 설치된 분리 스프링(158)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항상 편의되어 있다. 또, 걸림 갈고리(156)는 지축(152)에 권취 보유 지지된 스프링(157)에 의해 제동판(133)의 걸림홈(133a)과 맞물리는 방향으로 항상 편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는 조작 레버(105)가 도15에 도시된 초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분리 스프링(158)의 편의력(제어캠(154)에 대하여 이를 도면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함)에 의해 제어캠(154)의 제1 접촉부(154a)가 작동 부재(150)에 접촉되는 동시에 걸림 갈고리(156)의 돌출부(156a)와 접촉하는 제3 접촉부(154c)가 스프링(157)의 편의력에 저항하여 걸림 갈고리(156)를 제동판(133)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로 보유 지지한다. 또, 조작 레버(105)가 초기 위치로부터 B방향으로 가압 하강 조작되면(도18 참조), 작동 부재(150)가 분리 스프링(158)의 편의력에 저항하여 제어캠(154)을 도면 중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분리 스프링(158)은 제어캠(154)의 회전에 수반하여 요동하는데, 그 데드 포인트를 초과한 시점에서 제어캠(154)에 대하여 이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편의력을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그 후 제어캠(154)은 작동 부재(150)에 의존하지 않고 분리 스프링(158)의 편의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1 접촉부(154a)가 작동 부재(150)로부터 이격되는 동시에 제3 접촉부(154c)에 접촉하는 걸림 갈고리(156)가 제동판(133)을 향해 이동된다. 그리고, 제동판(133)의 걸림홈(133a)에 걸림 갈고리(156)가 맞물리고, 제2 접촉부(154b)가 작동 부재(150)와 접촉한 시점에서 제어캠(154)의 회전이 정지된다. 즉, 걸림홈(133a)과 걸림 갈고리(156)의 맞물림 상태가 보유 지지되고, 또 조작 레버(105)가 B방향으로 가압 하강된 로터 역전 방지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스피닝 릴(10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조작 레버(105)가 도15에 도시한 초기 위치에 보유 지지된 상태에서 핸들을 거쳐 피니언 기어(113)를 정회전시키면 피니언 기어(113)에 부착된 로터(108)도 일체로 정회전(실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나, 이 때 브레이크 로터(131)는 일방향 클러치(120)의 상기 연결 작용에 의해 회전하지 않는다. 또, 로터(108)에 지지되어 이와 함께 정회전하는 회전 부재(143)는 판 스프링(145)의 작용에 의해 역회전 방향으로 힘을 받아 핀(14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그 일단부가 로터(108)의 상기 보스에 접촉하고, 결합 갈고리(143a)가 브레이크 로터(131)의 결합 돌기부(140)로부터 이격되도록 내측으로 후퇴한다. 따라서, 회전 부재(143)는 브레이크 로터(131)에 전혀 규제받지 않고 로터(108)와 함께 자유롭게 정회전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조작 레버(105)를 A방향으로 가압 상승 조작하여 브레이크 슈우(117)와 압접편(135) 사이에서 제동판(133)을 협지해도(이 경우, 브레이크 로터(131)는 브레이크 슈우(117)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지지 부재(129)를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함) 로터(108)에는 제동력이 전혀 작용하지 않는다.
또, 조작 레버(105)가 초기 위치에 보유 지지된 상태에서 피니언 기어(113)가 역회전되면 피니언 기어(113)에 부착된 로터(108)도 일체로 역회전(실풀림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브레이크 로터(131)도 일방향 클러치(120)의 상기 연결 작용에 의해 로터(108)와 함께 역회전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조작 레버(105)를 A방향으로 가압 상승 조작함으로써 브레이크 슈우(117)와 압접편(135) 사이에서 제동판(133)을 협지하여 브레이크 로터(131)의 회전에 제동을 가하면(도17 참조), 브레이크 로터(131)와 직결 상태로 일체로 회전하는 로터(108)에도 일방향 클러치(120)를 거쳐 조작 레버(105)의 회전량에 따른 제동력이 시간 지연을 발생시키지 않고 작용한다. 이 경우, 일방향 클러치(120)의 외륜(125)의 쐐기 영역에는 브레이크 로터(131)에 부여되는 제동력과 로터(108)의 회전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데, 이들 힘이 일방향 클러치(120)의 허용 하중 범위 내이면 로터(108)와 브레이크 로터(131)는 서로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는다. 즉, 제동시에도 로터(108)와 브레이크 로터(131)가 일체로 회전한다. 따라서, 로터(108)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 부재(143)의 결합 갈고리(143a)는 브레이크 로터(131)와 맞물리지 않으므로, 로터(108)의 회전력(예를 들어 고기가 당기는 힘)은 모두 일방향 클러치(120)가 받게 된다. 그러나, 외륜(125)의 쐐기 영역에 작용하는 힘(로터(108)의 회전력 및 브레이크 로터(131)에 작용하는 제동력)이 일방향 클러치(120)의 허용 하중을 초과하면 일방향 클러치(120)가 미끄러져 브레이크 로터(131)에 대하여 로터(108)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로터(108)와 일체로 역회전하고 있는 회전 부재(143)는 판 스프링(145)의 작용에 의해 정회전 방향으로 힘을 받아 핀(14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그 일단부가 로터(108)의 상기 보스에 접촉하고, 결합 갈고리(143a)가 브레이크 로터(131)의 결합 돌기부(140) 사이로 돌출하게 된다. 그 결과, 로터(108)와 브레이크 로터(131)가 맞물려 이들이 일체가 되어 역회전한다. 따라서, 그 후 브레이크 로터(131)에 작용하는 제동력은 일방향 클러치(120)를 거치지 않고 직접 로터(108)에 작용하며 로터(108)의 회전력(예를 들어 고기가 당기는 힘)은 모두 브레이크 로터(131)가 받게 된다.
한편,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105)를 B방향으로 가압 하강 조작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 부재(150)를 거쳐 제어캠(154)이 도면 중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의해, 제3 접촉부(154c)에 접촉하는 걸림 갈고리(156)가 제동판(133)을 향해 이동되고, 제동판(133)의 걸림홈(133a)에 걸림 갈고리(156)가 맞물려 브레이크 로터(131)의 회전이 저지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핸들을 거쳐 피니언 기어(113)를 역회전시키려고 해도 일방향 클러치(120)를 거쳐 피니언 기어(113)에 직결된 브레이크 로터(131)의 회전이 저지되어 있으므로 피니언 기어(113), 즉 로터(108)는 역회전하지 않는다. 물론, 이 상태에서 피니언 기어(113)를 정회전시키면 일방향 클러치(120)를 거친 브레이크 로터(131)와 피니언 기어(113)의 직결 상태가 해제되므로 로터(108)는 정회전할 수 있다.
또, 조작 레버(105)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면 작동 부재(150) 및 분리 스프링(158)에 의해 제어캠(154)이 도면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어캠(154)의 제3 접촉부(154c)와 접촉하는 걸림 갈고리(156)가 스프링(157)의 편의력에 저항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도15 참조). 이에 의해, 제동판(133)의 걸림홈(133a)과 걸림 갈고리(156)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브레이크 로터(131)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스피닝 릴(101)에 의하면 로터(108)에 정회전 뿐만 아니라 역회전도 허용하는 제1 상태(초기 상태)와, 로터(108)에 제동력을 조절하면서 부여할 수 있는 제2 상태(도17 참조)와, 로터(108)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제3 상태(도18 참조)를 하나의 조작 레버(105)에 의해 절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가지 상태 사이에서의 절환 조작을 용이하면서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 실제 낚시시의 상황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고기와의 미묘한 밀고 당기기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어 걸린 고기를 놓치거나 순식간에 낚싯줄이 끊어지는 등의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 레버(105) 이외의 조작 수단을 조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성이 우수하고, 또 조작 레버(105) 이외에 조작 수단을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릴 전체를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어 휴대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이에 따라 외관 디자인의 자유도도 증가하여 양호한 외관으로 설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스피닝 릴(101)에 의하면 조작 레버(105)의 절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상태와 제3 상태가 보유 지지된다. 따라서, 조작력의 가감에 의해 상기 두가지 상태가 절환되어 의도하지 않은 로터 동작이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스피닝 릴(101)에서는 로터(108)의 역회전에 제동을 가하는 경우, 고기의 당김 등에 수반되는 로터(108)의 회전력이 일방향 클러치(120)의 허용 하중 범위 내이면 브레이크 로터(131)에 부여되는 제동력이 쐐기 작용에 의한 역전 유격이 작은 구름식 일방향 클러치(120)를 거쳐 로터(108)에 작용하고, 로터(108)의 회전력이 일방향 클러치(120)의 허용 하중을 초과하면 브레이크 로터(131)에 부여되는 제동력이 일방향 클러치(120)를 거치지 않고 직접 로터(108)에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허용 하중은 크지만 제동력의 전달에 약간의 지연이 발생하는 브레이크 로터(131)와 로터(108)의 맞물림 전달 기구(회전 부재(143)의 결합 갈고리(143a)와 브레이크 로터(131)의 결합 돌기부(140)의 맞물림에 의한 힘 전달 기구)와, 허용 하중은 작지만 제동력의 전달을 선형으로 행할 수 있는 일방향 클러치(120)에 의한 힘 전달 기구를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한 쪽 기구의 결점을 다른 쪽 기구로 보완하는 등의 제동력 전달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로터(108)의 회전력이 작은 경우는 이 힘이 일방향 클러치(120)에 의해 수신되는 동시에 제동력이 일방향 클러치(120)를 거쳐 로터(108)에 선형으로 전달되고, 또 대어가 걸림으로써 로터(108)가 고속으로 역전하여 일방향 클러치(120)의 전동 부재가 미끄러진 경우는 브레이크 로터(131)와 로터(108)가 맞물려 확실하게 로터(108)의 역회전에 브레이크 로터(131)가 추종하여 일체적으로 회전되는(따라서, 브레이크 로터(131)에 부여되는 제동력이 로터(108)에 직접 작용하는) 동시에, 일방향 클러치(120)에 가해진 로터 회전력이 브레이크 로터(131)에 의해 그대로 수신되어 일방향 클러치(120)의 파손이 방지된다. 이에 의해, 순간의 로터 고속 역회전시에 있어서도 안정된 로터 역전 제동이 가능해져 실제 낚시시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충분한 허용 하중을 확보하면서 제동력 전달의 응답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구름식 일방향 클러치(120)의 전동 부재의 미끄럼은 결합 갈고리(143a)가 결합 돌기부(140)와 맞물리기까지의 최소량(결합 갈고리(143a)의 역전 허용 범위 내의 최소)으로 억제되므로, 전동 부재 및 외륜(125)의 손상, 마모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어 쐐기 작용의 성능 유지 및 수명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역전 방지 기구에서는 걸림 갈고리(156)와 맞물리는 복수의 걸림홈(133a)이 제동판(133)의 외주면이 아니라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걸림 갈고리(156) 등의 구동 요소가 릴 본체(101a)의 내측에 배치되게 되어 릴 전체를 직경 방향으로 대형화하지 않고 소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스피닝 릴(101)에서는 브레이크 로터(131)가 돌출부(129a)와 연장 돌출부(131a)의 맞물림에 의해 보유 지지 부재(129)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동시에 보유 지지 부재(129)에 대하여 축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브레이크 로터(131)(제동판(133))의 주변부에 브레이크 슈우(117)를 거쳐 제동력이 작용하는 구성에서는 브레이크 슈우(117)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브레이크 로터(131)가 스풀축(109)의 축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갖고 이동하게 되며, 그 경우는 스풀축(109)에 편하중이 작용하여 로터(108)의 정회전 동작이 느려지는 등의 단점이 발생한다. 그러나, 보유 지지 부재(129)에 대하여 브레이크 로터(131)가 축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게 구성하면, 브레이크 슈우(117)로부터의 가압력을 축방향으로 회피시킬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
도19 내지 도2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스피닝 릴(101A)은 역전 방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점, 일정한 제동력을 로터(108)에 부여한 상태를 보유 지지할 수 있는 제동력 보유 지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점 및 일방향 클러치(120)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제4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이하 제4 실시 형태와 공통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19 및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스피닝 릴(101A)에서는 브레이크 로터(131)가 일방향 클러치가 아니라 칼라(162)를 거쳐 피니언 기어(113)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브레이크 로터(131)와 로터(108) 사이에는 브레이크 로터(131)를 프레임(101f)측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113)에 회전 방지 고정된 스톱퍼부(166)로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편의하는 스프링(161)이 개재되어 있다. 브레이크 로터(131)는 브레이크 슈우(117)에 의해 가압되면 스프링(161)의 편의력에 저항하여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그 제동판(133)이 압접편(135)에 압박된다.
또, 조작 레버(105)와 다리부(101b) 사이에는 조작 레버(105)를 도19에 도시한 초기 위치에 항상 보유 지지하는 가압 스프링(16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 레버(105)를 지축(107)을 중심으로 A방향(시계 방향)으로 가압 상승 조작한 후 그 조작력을 해제하면 스프링(160)의 편의력에 의해 조작 레버(105)가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또, 회전 부재(143)에 형성된 U자 형상의 홈에는 브레이크 로터(131)에 매달리게 권취 보유 지지된 판 스프링(145)의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릴 본체(101a) 내에 위치하는 조작 레버(105)의 타단부에는 브레이크 슈우(117)를 밀어내는 조작부(115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동력 보유 지지 기구는 조작 레버(105)의 타단부에 형성된 축부(165)와, 지축(16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축부(165)에 의해 회전되는 제어캠(163)과, 제어캠(163)을 회전 방향으로 항상 편의하는 분리 스프링(158)과, 제어캠(163)에 돌출 형성되는 동시에 제어캠(163)의 회전에 의해 브레이크 슈우(117)와 접촉하여 이를 밀어내는 접촉부(163b)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캠(163)에는 긴 구멍(163a)이 형성되어 있고, 이 긴 구멍(163a)에 조작 레버(105)의 축부(165)가 결합되어 있다. 긴 구멍(163a)의 길이는 조작 레버(105)의 조작부(115b)에 의해 이동되는 브레이크 슈우(117)의 스트로크(브레이크 슈우(117)가 도19에 도시한 초기 위치로부터 제동판(133)을 압접편(135)에 접촉시키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거리)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다. 또, 브레이크 슈우(117)는 조작 레버(105)의 조작부(115b)와 접촉하여 제동판(133)에 밀착되는 가압부(117a)와 제어캠(163)의 접촉부(163b)와 접촉하는 연장 돌출부(117b)로 이루어지고, 프레임(101f)과의 사이에 개재된 압축 스프링(167)에 의해 제동판(133)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항상 편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는 조작 레버(105)가 도19에 도시된 초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분리 스프링(158)의 편의력(제어캠(163)에 대하여 이를 도면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함)에 의해 제어캠(163)의 긴 구멍(163a)의 상측 종단부가 축부(165)에 접촉되는 동시에 제어캠(163)의 접촉부(163b)가 후방측으로 후퇴한다. 따라서, 브레이크 슈우(117)는 압축 스프링(167)의 편의력에 의해 그 연장 돌출부(117b)가 접촉부(163b)에 밀착되어(가압부(117a)도 조작부(115b)에 밀착되어 있음) 제동판(133)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보유 지지된다. 또, 이 상태에서는 조작 레버(105)를 A방향으로 가압 상승 조작해도 긴 구멍(163a)의 길이가 브레이크 슈우(117)의 스트로크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축부(165)는 긴 구멍(163a) 내를 단지 이동할 뿐, 축부(165)에 의해 제어캠(163)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지는 않는다.
또, 조작 레버(105)가 초기 위치로부터 B방향으로 가압 하강 조작되면(도21 참조), 축부(165)가 분리 스프링(158)의 편의력에 저항하여 제어캠(163)을 도면 중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분리 스프링(158)은 제어캠(163)의 회전에 수반하여 요동하는데, 그 데드 포인트를 초과한 시점에서 제어캠(163)에 대하여 이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편의력을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그 후 제어캠(163)은 축부(165)에 의존하지 않고 분리 스프링(158)의 편의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접촉부(163b)와 접촉하는 브레이크 슈우(117)가 압축 스프링(167)의 편의력에 저항하여 밀어 내어지고, 브레이크 슈우(117)가 압접편(135)과의 사이에서 제동판(133)을 협지하여 제어캠(163)의 긴 구멍(163a)의 하측 종단부가 축부(165)에 접촉한 시점에서 제어캠(163)의 회전이 정지된다. 즉, 브레이크 슈우(117)에 의한 제동판(133)의 가압 상태(로터 제동 상태)가 보유 지지되고, 또 조작 레버(105)가 B방향으로 가압 하강된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스피닝 릴(101A)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조작 레버(105)가 도19에 도시한 초기 위치에 보유 지지된 상태에서 핸들을 거쳐 피니언 기어(113)를 정회전시키면 피니언 기어(113)에 부착된 로터(108)도 일체로 정회전(실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브레이크 로터(131)도 스프링(161)에 의한 마찰력 등에 의해 일체로 회전한다. 이 상태에서 조작 레버(105)를 A방향으로 가압 상승 조작하여 브레이크 슈우(117)를 거쳐 브레이크 로터(131)의 회전에 제동을 가하면 로터(108)에 지지되어 이와 함께 정회전하는 회전 부재(143)는 판 스프링(145)의 작용에 의해 역회전 방향으로 힘을 받아 핀(14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그 일단부가 로터(108)의 상기 보스에 접촉하고, 결합 갈고리(143a)가 브레이크 로터(131)의 결합 돌기부(140)로부터 이격되도록 내측으로 후퇴한다. 따라서, 회전 부재(143)는 브레이크 로터(131)에 전혀 규제받지 않고 로터(108)와 함께 자유롭게 정회전한다. 즉, 브레이크 로터(131)의 정지와는 관계없이 로터(108)만이 회전하는 상태가 되고, 로터(108)에는 제동력이 전혀 작용하지 않는다.
또, 조작 레버(105)가 초기 위치에 보유 지지된 상태에서 피니언 기어(113)가 역회전되면 피니언 기어(113)에 부착된 로터(108)도 일체로 역회전(실풀림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브레이크 로터(131)도 스프링(161)에 의한 마찰력 등에 의해 일체로 역회전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조작 레버(105)를 A방향으로 가압 상승 조작함으로써 브레이크 슈우(117)와 압접편(135) 사이에서 제동판(133)을 협지하여 브레이크 로터(131)의 회전에 제동을 가하면, 로터(108)와 일체로 역회전하고 있는 회전 부재(143)는 판 스프링(145)의 작용에 의해 정회전 방향으로 힘을 받아 핀(14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그 일단부가 로터(108)의 상기 보스에 접촉하고, 결합 갈고리(143a)가 브레이크 로터(131)의 결합 돌기부(140) 사이로 돌출하게 된다. 그 결과, 로터(108)와 브레이크 로터(131)가 맞물려 이들이 일체가 되어 역회전한다. 따라서, 브레이크 로터(131)에 작용하는 제동력이 직접 로터(108)에 작용한다.
한편,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105)를 B방향으로 가압 하강 조작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축부(165)를 거쳐 제어캠(163)이 도면 중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의해, 접촉부(163b)와 접촉하는 브레이크 슈우(117)가 압축 스프링(167)의 편의력에 저항하여 밀어 내어지고, 브레이크 슈우(117)가 압접편(135)과의 사이에서 제동판(133)을 협지하여 제어캠(163)의 긴 구멍(163a)의 하측 종단부가 축부(165)에 접촉한 시점에서 제어캠(163)의 회전이 정지된다. 즉, 브레이크 슈우(117)에 의한 제동판(133)의 가압 상태가 보유 지지되고, 또 조작 레버(105)가 B방향으로 가압 하강된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핸들을 거쳐 피니언 기어(113)를 역회전시키면 조작 레버(105)를 A방향으로 가압 상승 조작한 경우와 동일한 동작에 의해 로터(108)에 소정의 제동력(분리 스프링(158)의 스프링력에 의존함)이 작용한다. 또, 이 상태에서 피니언 기어(113)를 정회전시키면 전술한 이유에 의해 로터(108)는 브레이크 로터(131)의 정지와는 관계없이 자유롭게 회전하고, 로터(108)에 제동력이 전혀 작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조작 레버(105)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면 축부(156) 및 분리 스프링(158)에 의해 제어캠(163)이 도면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접촉부(163b)와 접촉하는 브레이크 슈우(117)가 압축 스프링(167)의 편의력에 의해 도19에 도시한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스피닝 릴(101A)에 의하면 로터(108)에 정회전 뿐만 아니라 역회전도 허용하는 제1 상태(초기 상태)와, 로터(108)에 제동력을 조절하면서 부여할 수 있는 제2 상태와, 로터(108)에 대한 제동력의 부여 상태를 보유 지지하는 제3 상태(도21 참조)를 하나의 조작 레버(105)에 의해 절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가지 상태 사이에서의 절환 조작을 용이하면서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 실제 낚시시의 상황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고기와의 미묘한 밀고 당기기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어 걸린 고기를 놓치거나 순식간에 낚싯줄이 끊어지는 등의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 레버(105) 이외의 조작 수단을 조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성이 우수하고, 또 조작 레버(105) 이외에 조작 수단을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릴 전체를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어 휴대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이에 따라 외관 디자인의 자유도도 증가하여 양호한 외관으로 설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스피닝 릴(101A)에 의하면 조작 레버(105)의 절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상태와 제3 상태가 보유 지지된다. 따라서, 조작력의 가감에 의해 상기 두가지 상태가 절환되어 의도하지 않은 로터 동작이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2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스피닝 릴(101B)은 가압 플레이트(114)의 단부에 의해 로터(108)에 직접 제동을 가하는 점, 브레이크 로터(131)와 맞물리는 회전 부재(143)가 로터(108)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점 및 브레이크 로터(131)가 제동 기구로서가 아니라 역전 방지 기구로서 기능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 제4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이하 제4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플레이트(114)의 단부에는 로터(108)의 내면과 대향하는 제동부(14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동부(14b)는 조작 레버(105)가 A방향으로 조작되면 로터(108)의 내면에 형성된 제동링(8a)과 접촉하여 로터(108)에 제동력을 부여한다. 피니언 기어(113)에 일방향 클러치(120)를 거쳐 부착된 브레이크 로터(131)에는 제4 실시 형태와 달리 결합 돌기부(140)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 브레이크 슈우(117) 및 압접편(135)도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스피닝 릴(101B)에서는, 우선 조작 레버(105)가 도시한 초기 위치에 보유 지지된 상태에서 핸들을 거쳐 피니언 기어(113)를 정회전시키면 피니언 기어(113)에 부착된 로터(108)도 일체로 정회전(실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나, 이 때 브레이크 로터(131)는 일방향 클러치(120)의 연결 작용에 의해 회전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조작 레버(105)를 A방향으로 가압 상승 조작하여 가압 플레이트(114)의 조작부(14b)를 로터(108) 내면의 제동링(8a)에 밀어 붙이면 로터(108)에 제동력이 작용한다.
또, 조작 레버(105)가 초기 위치에 보유 지지된 상태에서 피니언 기어(113)가 역회전되면 피니언 기어(113)에 부착된 로터(108)도 일체로 역회전(실풀림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브레이크 로터(131)는 일방향 클러치(120)의 연결 작용에 의해 로터(108)와 함께 역회전하는데, 로터(108)에 대하여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자유로운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 레버(105)를 A방향으로 가압 상승 조작하면 정회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가압 플레이트(114)의 조작부(14b)가 로터(108) 내면의 제동링(8a)에 밀착되어 로터(108)에 제동력이 작용한다.
한편, 조작 레버(105)를 B방향으로 가압 하강 조작하면 작동 부재(150)를 거쳐 제동캠(154)이 도면 중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의해, 제3 접촉부(154c)에 접촉하는 걸림 갈고리(156)가 제동판(133)을 향해 이동되고, 제동판(133)의 걸림홈(133a)에 걸림 갈고리(156)가 맞물려 브레이크 로터(131)의 회전이 저지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핸들을 거쳐 피니언 기어(113)를 역회전시키려고 해도 일방향 클러치(120)를 거쳐 피니언 기어(113)에 직결된 브레이크 로터(131)의 회전이 저지되어 있으므로 피니언 기어(113), 즉 로터(108)는 역회전하지 않는다. 물론, 이 상태에서 피니언 기어(113)를 정회전시키면 일방향 클러치(120)를 거친 브레이크 로터(131)와 피니언 기어(113)의 직결 상태가 해제되므로 로터(108)는 정회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스피닝 릴(101B)에 의하면 로터(108)에 정회전 뿐만 아니라 역회전도 허용하는 제1 상태(초기 상태)와, 로터(108)에 제동력을 조절하면서 부여할 수 있는 제2 상태와, 로터(108)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제3 상태를 하나의 조작 레버(105)에 의해 절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가지 상태 사이에서의 절환 조작을 용이하면서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 실제 낚시시의 상황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고기와의 미묘한 밀고 당기기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어 걸린 고기를 놓치거나 순식간에 낚싯줄이 끊어지는 등의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 레버(105) 이외의 조작 수단을 조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성이 우수하고, 또 조작 레버(105) 이외에 조작 수단을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릴 전체를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어 휴대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이에 따라 외관 디자인의 자유도도 증가하여 양호한 외관으로 설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스피닝 릴(101B)에 의하면 조작 레버(105)의 절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상태와 제3 상태가 보유 지지된다. 따라서, 조작력의 가감에 의해 상기 두가지 상태가 절환되어 의도하지 않은 로터 동작이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23 내지 도3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스피닝 릴(101C)은 역전 방지 기구의 일부 및 조작 레버(105)의 구성, 동작이 다른 점을 제외하고 제4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이하 제4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스피닝 릴(101C)의 다리부(101b)에는 지축(170)을 거쳐 조작 레버(105)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지축(170)은 조작 레버(105)를 지지하는 구형 지지부(170a)와, 구형 지지부(170a)로부터 연장되는 수평 축부(170b) 및 수직 축부(170c)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조작 레버(105)는 수평 축부(170b)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도면 중 A, B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동시에 수직 축부(170c)를 중심으로 해서 횡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 구형 지지부(170a)와 조작 레버(105) 사이에는 조작 레버(105)의 횡방향 회전을 허용하는 간극(171)이 형성되어 있다(도25 참조). 그리고, 조작 레버(105)와 다리부(101b) 사이에는 조작 레버(105)를 상측 회전 방향으로 편의하는 스프링(175)이 개재되어 있다.
다리부(101b)에는 조작 레버(105)의 회전을 허용하면서 조작 레버(105)의 타단부측을 부분적으로 보유 지지하는 단차식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식 홈은 수평 축부(170b)를 중심으로 하는 조작 레버(105)의 상하 방향의 회전만 허용하는 내측의 제1 끼워 맞춤홈(172c)과, 수직 축부(170c)를 중심으로 하는 조작 레버(105)의 횡방향의 회전도 허용하는 외측의 제2 끼워 맞춤홈(172b)으로 이루어진다. 제2 끼워 맞춤홈(172b)에는 그 조작 레버(105)를 사이에 둔 타단부측에 조작 레버(105)를 횡방향으로 편의하는 편의 수단이 배치되어 있다. 이 편의 수단은 조작 레버(105)의 측면에 접촉하는 가압판(173)과 가압판(173)을 편의하는 압축 스프링(174)으로 이루어진다.
로터(108)의 역전을 방지하는 역전 방지 기구는 조작 레버(105)의 타단부 또는 가압 플레이트(114)에 돌출 형성된 절환 레버(176)와, 지축(17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절환 레버(176)에 의해 회전되는 제어캠(178)과, 릴 본체(101a)의 프레임(101f)에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는 동시에 제어캠(178)의 회전에 의해 제동판(133)을 향해 이동되는 걸림 갈고리(156)와, 제동판(133)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동시에 걸림 갈고리(156)와 맞물리는 복수의 걸림홈(133a)으로 이루어진다.
제어캠(178)은 절환 레버(176)와 접촉하는 제1 접촉부(178a)와 걸림 갈고리(156)의 접촉면(156a)에 접촉되는 제2 접촉부(178b)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제어캠(178)은 지축(177)에 권취 보유 지지된 스프링(179)에 의해 절환 레버(176)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항상 편의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 갈고리(156)는 프레임(101f)과의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180)에 의해 제동판(133)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항상 편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는 조작 레버(105)가 도23에 도시된 초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도23 내지 도27 참조), 스프링(179)의 편의력에 의해 제어캠(178)의 제1 접촉부(178a)가 절환 레버(176)에 접촉되는 동시에 걸림 갈고리(156)가 스프링(180)의 편의력에 의해 제어캠(178)의 제2 접촉부(178b)에 접촉하여 제동판(133)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보유 지지된다. 또, 조작 레버(105)는 제1 끼워 맞춤홈(172c)에 끼워 맞춰져 그 횡방향의 회전이 규제된 상태에 있다. 이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105)를 수평 축부(170b)를 중심으로 B방향으로 회전(가압 하강) 조작하면 제1 끼워 맞춤홈(172c)에 끼워 맞춰져 있던 조작 레버(105)의 타단부측이 제2 끼워 맞춤홈(172b)으로 진입한다. 이 때, 조작 레버(105)는 제2 끼워 맞춤홈(172b)에 배치된 가압판(173)에 의해 가압되고, 수직 축부(170c)를 중심으로 횡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끼워 맞춤홈(172b)에 접촉하여 끼워 맞춰진다(도28 내지 도32 참조). 이와 같이, 조작 레버(105)가 수평 축부(170b) 및 수직 축부(170c)를 중심으로 회전되면 절환 레버(176)에 의해 제어캠(178)이 스프링(179)의 편의력에 저항하여 회전되고, 제2 접촉부(178b)와 접촉하는 걸림 갈고리(156)가 스프링(180)의 편의력에 저항하여 제동판(133)을 향해 이동된다. 그리고, 조작 레버(105)가 제2 끼워 맞춤홈(172b)에 접촉하여 끼워 맞춰진 단계에서 제동판(133)의 걸림홈(133a)에 걸림 갈고리(156)가 맞물린다. 즉, 가압판(173)과 압축 스프링(174)으로 이루어진 편의 수단에 의해 조작 레버(105)가 횡방향 회전 위치(조작 레버(105)가 제2 끼워 맞춤홈(172b)에 접촉하여 끼워 맞춰진 상태)에 보유 지지되고, 이에 수반하여 걸림홈(133a)과 걸림 갈고리(156)의 맞물림 상태가 보유 지지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스피닝 릴(101C)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작 레버(105)가 도23에 도시한 초기 위치에 보유 지지된 상태에서 피니언 기어(113)를 정회전 및 역회전시킨 경우의 동작은 제4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또, 피니언 기어(113)의 정회전 및 역회전시에 조작 레버(105)를 A방향으로 가압 상승 조작한 경우의 동작도 제4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한편, 조작 레버(105)를 초기 위치로부터 수평 축부(170b)를 중심으로 B방향으로 회전(가압 하강) 조작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105)는 그 타단부측이 제2 끼워 맞춤홈(172b)에 진입한 시점에서 가압판(173)에 의해 수직 축부(170c)를 중심으로 횡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 끼워 맞춤홈(172b)에 접촉하여 끼워 맞춰진다(도28 내지 도32 참조). 이에 따라 제어캠(178)이 절환 레버(176)에 의해 회전되고, 제2 접촉부(178b)와 접촉하는 걸림 갈고리(156)가 제동판(133)의 걸림홈(133a)과 맞물려 브레이크 로터(131)의 회전이 저지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핸들을 거쳐 피니언 기어(113)를 역회전시키려고 해도 일방향 클러치(120)를 거쳐 피니언 기어(113)에 직결된 브레이크 로터(131)의 회전이 저지되어 있으므로 피니언 기어(113), 즉 로터(108)는 역회전하지 않는다. 물론, 이 상태에서 피니언 기어(113)를 정회전시키면 일방향 클러치(120)를 거친 브레이크 로터(131)와 피니언 기어(113)의 직결 상태가 해제되므로 로터(108)는 정회전할 수 있다.
또, 이 상태로부터 가압판(173)의 편의력에 저항하여 조작 레버(105)를 제2 끼워 맞춤홈(172b) 내에서 수직 축부(170c)를 중심으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작 레버(105)가 제1 끼워 맞춤홈(172c)과 대향한 시점에서 스프링(175)의 편의력에 의해 제1 끼워 맞춤홈(172c)과 끼워 맞춰지는 초기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된다. 이에 의해, 절환 레버(176)와 접촉하는 제어캠(178)이 스프링(179)의 편의력에 의해 회전되어 도23에 도시한 초기 위치로 복귀되는 동시에 제어캠(178)과 접촉하는 걸림 갈고리(156)도 스프링(180)의 편의력에 의해 제동판(133)으로부터 이격되는 초기 위치(도23 참조)로 복귀된다. 즉, 제동판(133)의 걸림홈(133a)과 걸림 갈고리(156)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브레이크 로터(131)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스피닝 릴(101C)에 의하면 제4 실시 형태와 완전히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터를 정회전만 가능한 상태/정역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절환할 수 있고, 또한 로터가 역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고기가 걸린 때, 로터가 고속으로 역회전하여 과회전을 발생해도 로터에 소정의 제동력이 가해지고 있으므로 실풀림이나 실얽힘 등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낚시용 스피닝 릴에 의하면 단일 조작 레버의 임의 조작만으로 로터의 역회전 제동력 조절 상태와 로터 역전 방지 상태 또는 로터 역회전 제동 보유 지지 상태의 어느 상태로든 용이하면서 신속하게 절환하여 조작할 수 있다.

Claims (9)

  1. 릴 본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에 낚싯줄을 권취 안내하는 로터와, 이 로터의 낚싯줄 풀림 방향의 회전을 방지하는 역회전 방지 장치와, 이 역회전 방지 장치를 작동 상태와 비작동 상태로 절환하는 절환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로터의 역회전시에 로터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 부재를 릴 본체에 설치한 조작 부재의 이동 조작으로 제동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로터의 과회전을 방지하도록 제동력을 부여한 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하는 제동 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장치를 작동 상태와 비작동 상태로 절환하는 절환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장치는 상기 절환 기구의 절환 조작에 의해 작동 상태와 비작동 상태로 절환되고, 상기 로터는 상기 절환 기구의 절환 조작에 의해 역회전 가능 상태, 역회전 제동 상태, 역회전 방지 상태로 절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4. 릴 본체로부터 연장하는 스풀축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 낚싯줄이 권취되는 스풀과, 이 스풀로의 낚싯줄의 권취를 안내하는 로터와, 릴 본체에 지지된 단일 조작 부재를 지니고, 스풀로부터의 낚싯줄 풀림에 수반하는 로터의 역회전을 상기 조작 부재의 이동 조작에 의해 제동하는 제동 장치를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 릴에 있어서,
    상기 제동 장치는 상기 조작 부재의 이동 조작에 의해 로터에 정회전 뿐만 아니라 역회전도 허용하는 제1 상태와, 로터의 역회전에 조작 부재의 조작량에 따른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2 상태와, 로터의 역회전에 일정한 저항력을 계속 부여하는 제3 상태로 절환되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3 상태에서 보유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상태에서는 로터의 역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상태에서는 로터에 소정의 제동력이 계속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7. 릴 본체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스풀축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동시에 낚싯줄이 권취되는 스풀과, 스풀로의 낚싯줄의 권취를 안내하는 로터와, 릴 본체에 지지된 단일 조작 부재를 구비하고, 스풀로부터의 낚싯줄 풀림에 수반되는 로터의 역회전을 상기 조작 부재의 이동 조작에 의해 제동하는 제동 장치를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 릴에 있어서,
    상기 제동 장치는 상기 조작 부재의 이동 조작에 의해 로터에 정회전 뿐만 아니라 역회전도 허용하는 제1 상태와, 로터의 역회전에 조작 부재의 조작량에 따른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2 상태와, 로터의 역회전에 일정한 저항력을 지속적으로 부여하는 제3 상태로 절환되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3 상태로 보유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상태에서는 로터의 역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상태에서는 로터에 소정의 제동력이 지속적으로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KR10-1998-0023282A 1997-06-20 1998-06-20 낚시용 스피닝 릴 KR1004555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451697A JPH119158A (ja) 1997-06-20 1997-06-20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97-164516 1997-06-20
JP97-366709 1997-12-26
JP36670997A JP3515895B2 (ja) 1997-12-26 1997-12-26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183A KR19990007183A (ko) 1999-01-25
KR100455543B1 true KR100455543B1 (ko) 2004-12-17

Family

ID=26489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3282A KR100455543B1 (ko) 1997-06-20 1998-06-20 낚시용 스피닝 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455543B1 (ko)
CN (1) CN1236675C (ko)
TW (1) TW4318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5281B2 (ja) * 2001-07-12 2011-10-0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規制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1740A (ja) * 1991-02-15 1992-09-28 Saitama Shinpan Kk スピニングリール
JPH06292492A (ja) * 1993-04-07 1994-10-21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制動装置
JPH07111847A (ja) * 1993-10-21 1995-05-02 Ryobi Ltd スピニングリール
JPH089844A (ja) * 1994-06-27 1996-01-16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JPH09140303A (ja) * 1995-11-20 1997-06-03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制動機構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1740A (ja) * 1991-02-15 1992-09-28 Saitama Shinpan Kk スピニングリール
JPH06292492A (ja) * 1993-04-07 1994-10-21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制動装置
JPH07111847A (ja) * 1993-10-21 1995-05-02 Ryobi Ltd スピニングリール
JPH089844A (ja) * 1994-06-27 1996-01-16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JPH09140303A (ja) * 1995-11-20 1997-06-03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制動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3022A (zh) 1998-12-30
CN1236675C (zh) 2006-01-18
TW431860B (en) 2001-05-01
KR19990007183A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5313B2 (en) Drive mechanism for a fishing reel
KR100455543B1 (ko) 낚시용 스피닝 릴
KR100290699B1 (ko) 낚시용 스피닝 릴
JP2516027Y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H0687722B2 (ja) 両軸受リ−ル
JP3515895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100574309B1 (ko) 낚시용 스피닝 릴
JP3857999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895727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におけるドラグ装置
JP3495584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3008381U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H1156182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3578684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3949279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1157534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4462754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3515896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4016053B2 (ja) 魚釣り用リール
JPH119159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3583670B2 (ja) 魚釣り用リールの回転制動装置
JP3839897B2 (ja) 魚釣り用リールの回転制動装置
JP3894533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H119158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1238584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3668398B2 (ja) 魚釣り用リールの回転制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