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5324B1 -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5324B1
KR100455324B1 KR10-2002-0014906A KR20020014906A KR100455324B1 KR 100455324 B1 KR100455324 B1 KR 100455324B1 KR 20020014906 A KR20020014906 A KR 20020014906A KR 100455324 B1 KR100455324 B1 KR 100455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eveloping roller
developing
process cartridge
bear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4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0819A (ko
Inventor
고마쯔노리유끼
오구마도오루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0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0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3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5Pivotable subunit conn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현상 장치는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롤러, 현상 롤러에 공급되는 현상제를 보유하기 위한 현상제 보유부, 현상 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제1 프레임, 제1 프레임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현상제 보유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2 프레임, 및 화상 담지 부재를 향해 현상 롤러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사진형의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현상 장치, 이를 구비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현상 장치를 사용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구성이 이하에 기술될 것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감광 부재 내에,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화상 담지 부재인 감광 드럼, 감광 드럼의 광전도성 층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수단, 및 기록 매체로 전사되지 않고 감광 드럼에 부착하는 잔류 토너를 제거하고 폐 토너 용기 내에 제거된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세척 수단이 배치된다.
또한, 현상 유닛 내에, 토너를 보유하는 토너 용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현상 롤러, 토너에 마찰 전기 전하를 공급하여 현상 롤러의 표면 상에 토너 층을 형성하기 위한 현상 블레이드, 및 현상 롤러의 반경 방향으로의 토너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제트 방지 시트(jet preventing sheet)가 배치된다. 현상 유닛 및 감광 부재 유닛은 결합 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함께 연결된다. 결합 핀은 현상 유닛에 의해 지지되는 현상 롤러와 감광 부재 유닛에 의해 지지되는 감광 부재가 이동할 수 있는 위치에 제공된다. 편의 스프링(biasing spring)은 현상 롤러를 감광 드럼을 향해 가압하도록 현상 유닛과 감광 부재 유닛 사이에 제공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전술된 현상 장치에서, 현상 유닛과 감광 부재 유닛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따라서 토너 용기 내의 토너의 중량은 현상 롤러를 감광 드럼을 향해 가압하는 압력에 더해진다. 결과적으로, 현상 롤러를 감광 드럼을 향해 가압하는 압력은 화상 형성 중에 토너의 소비에 의해 변동된다. 현상 장치의 구동 토오크는 또한 압력의 변동에 의해 변동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 담지 부재를 향한 현상 롤러의 압력이 안정화될 수 있는 현상 장치, 이러한 현상 장치를 구비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상 담지 부재를 향한 현상 롤러의 압력이 현상제 보유부 내의 현상제의 양과 독립적으로 안정화될 수 있는 현상 장치, 이러한 현상 장치를 구비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그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상 담지 부재를 향한 현상 롤러의 압력이 안정화될 수 있고 동시에 조립 특성의 향상이 실현되는 현상 장치와, 이러한 현상 장치를 구비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상 담지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롤러, 현상 롤러에 공급되는 현상제를 보유하기 위한 현상제 보유부, 현상 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제1 프레임, 제1 프레임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현상제 보유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2 프레임, 현상 롤러를 화상 담지 드럼을 향해 가압하기 위한 가압 부재, 현상 장치를 구비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포함하는 현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을 고려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1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2는 제1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3은 제1 프레임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5a는 활주 프레임을 도시하는 기본 부분의 확대도.
도5b는 활주 프레임을 도시하는 기본 부분의 확대도.
도6은 토너 밀봉 구조를 도시하는 제1 프레임의 도면.
도7은 토너 밀봉 구조를 도시하는 제2 프레임의 도면.
도8은 토너 밀봉체의 압축 방향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9는 현상 롤러의 반대편 단부들 상의 토너 밀봉체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10은 현상 롤러를 위한 구동 시스템의 개략도.
도11은 현상 롤러가 활주 프레임 측면 상에서 구동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13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학 수단
3 : 전사 롤러
4 : 기록 매체
5 : 정착 수단
7 : 운송 트레이
10 : 감광 드럼
11 : 대전 수단
12 : 폐 토너 용기
14 : 세척 수단
20 : 현상 롤러
21 : 토너 용기
22 : 현상 블레이드
25 : 밀봉체
40 : 제1 프레임
50 : 제2 프레임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일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기술될 것이다. 도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는 먼저 도12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레이저 비임 프린터(P)는 전자사진식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의해 기록 용지, OHP 시트 또는 천과 같은 기록 매체(4) 상에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 담지 부재로서 드럼형 전자사진식 감광 부재인 감광 드럼(10)의 표면은 대전 수단(11)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화상 정보에 부합하는 레이저 비임(L)은 광학 수단(1)으로부터 감광 드럼(10)으로 인가되어, 감광 드럼(10) 상에 화상 정보에 부합하는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감광 드럼(10) 상의 정전 잠상은 이하에 설명되는 현상 수단에 의해 현상되어,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한편, 토너 화상의 형성과 동시에, 이송 카세트(6a) 상에 설치되는 기록 매체(4)는 픽업 롤러(6b), 운반 안내부(6c) 및 한 쌍의 등록 롤러(6e)에 의해 이송되어 표면이 역전(전도)된다. 그 후, 기록 매체(4)는 일정한 전압이 인가되는 전사 롤러(3)와 감광 드럼(10)에 의해 형성된 닙(nip) 부분을 통과한다. 이때, 감광 드럼(10) 상에 현상되는 토너 화상는 기록 매체(4)로 전사된다. 토너 화상이 전사되는 기록 매체(4)는 운반 안내부(6f)에 의해 정착 수단(5)으로 운반된다. 정착 수단(5)은 구동 롤러(5c) 및 히터(5a)를 갖는 정착 롤러(5b)를 구비하며, 기록 매체(4)가 정착 수단(5)의 닙 부분을 통과함에 따라 기록 매체(4)에 열과 압력을 인가하여, 전사된 토너 이미지를 정착시킨다. 그 후, 기록 매체(4)는 한 쌍의 전달 롤러(6i)에 의해 이송되고 전달 트레이(7)에 의해 전달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이제 프로세스 카트리지(C)가 기술될 것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C)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의 (도시 안된)지지 수단에 의해 탈착 및 장착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의 감광 부재 유닛(B) 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감광 드럼(10), 감광 드럼(10)의 광전도성 층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수단(11), 기록 매체로 전사되지 않고 감광 드럼(10) 상에 부착된 잔류 토너를 감광 드럼의 표면으로부터 제거하고 폐 토너 용기(12) 내에 제거된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세척 수단(14)이 배치된다.
또한, 현상 유닛(A) 내에, 토너를 보유하는 토너 용기(21),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되는 정전 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현상 롤러(20) 및, 토너에 마찰 전기 전하를 공급하여 현상 롤러(20)의 표면 상에 토너 층을 형성하기 위한 현상 블레이드(22)가 배치된다. 또한, 현상 롤러(20)와 제1 프레임(40) 사이 및 현상 롤러(20)와 제2 프레임(50) 사이의 하부 개구 내에, 하부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제트 방지 밀봉체가 제공되며, 이러한 밀봉체(25)들은 현상 롤러(20)의 반경 방향의 토너의 누설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유닛(A)과 감광 부재 유닛(B)은 함께 일체로 연결되고 측면 커버(R100)와 측면 커버(L101)에 의해 고정된 길이 방향 대향 측면들을 구비한다. 따라서 이들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구성한다. 측면 커버(R100)에는 현상 유닛(A)에 대해 위치 설정하기 위한 핀(100a)과 감광 부재 유닛(B)에 대해 위치 설정하기 위한 개구(100b)가 제공되고, 핀(100a)과 개구(100b)는 각각 현상 유닛(A)과 감광 부재 유닛(B)의 감광 드럼 베어링(10a) 내에 형성된 위치 설정 구멍(A1)에 끼워진다. 그럼으로써, 현상 유닛(A)와 감광 부재 유닛(B)의 상대 위치가 결정된다. 유사하게, 측면 커버(L101)에는 현상 유닛(A)에 대해 위치 설정하기 위한 핀(101a)과 감광 부재 유닛(B)에 대해 위치 설정하기 위한 개구(101b)가 제공된다. 핀(101a)과 개구(101b)는 현상 유닛(A)과 감광 부재 유닛(B)의 (도시 안된)감광 드럼 베어링 내에 형성된 (도시 안된)위치 설정 구멍에 끼워져, 두 유닛이 위치 설정되며 함께 연결된다.
도1에서, 감광 드럼(1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대전 수단(11)은 일정한 전압이 인가되며, 대전 수단(11)과 감광 드럼(10)은 서로 접촉하고 감광 드럼(10)의 광전도성 층의 표면은 균일하게 대전된다. 그 후, 광학 수단(1)으로부터의 화상 정보에 부합하는 레이저 비임(L)이 노출 개구(2)를 통해 감광 드럼(10) 상에 인가되어 감광 드럼(10)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그 후에, 토너 화상은 현상 수단에 의해 감광 드럼(10) 상에 형성된다.
현상 수단은 토너 이송 부재(23)의 회전에 의해 현상 롤러(20)로 토너 용기(21) 내의 토너를 이송한다. 정지 자석을 구비한 현상 롤러(20)는 회전되며,또한 현상 블레이드(22)에 의해 공급되는 마찰 전기 전하를 갖는 토너 층은 현상 롤러(20)의 표면 위에 형성된다. 현상 롤러(20)는 스페이서 러너(spacer runner, 26)를 통해 일정한 공차를 유지하면서 편의 스프링(32) (도4 및 도10을 참조)에 의해 감광 드럼(10)에 대해서 가압된다. 현상 롤러(20)의 표면 상에 형성된 토너 층은 감광 드럼(10)의 현상 구역에 공급된다. 토너는 형성된 정전 잠상에 따라 감광 드럼(10)으로 이송되어,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현상 블레이드(22)는 현상 롤러(20)의 주연 상의 토너의 양을 조절하며 마찰 전기 전하를 공급한다. 또한, 현상 롤러(20)의 인접부에, 토너를 현상 챔버 내에서 순환시키기 위한 토너 교반 부재(24)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토너 화상에 대해 반대 극성인 전압이 감광 드럼(10)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4)로 이동시키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몸체 내에 제공되는 전사 롤러(3)에 인가되어, 그 후에, 감광 드럼(10) 상의 잔류 토너는 세척 수단(14)에 의해 제거된다. 세척 수단(14)은 감광 드럼(10)과 접촉 상태로 제공되는 탄성 세척 블레이드(14a)에 의해 감광 드럼(10) 상의 잔류 토너를 제거하며 제거된 토너를 폐 토너 용기(12) 내에 수집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유닛(A)은 제1 프레임(40) 및 제2 프레임(50)으로 구성된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40)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프레임(이하에서 가동 프레임으로 언급됨)(41), 진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프레임(이하에서 진동 프레임으로 언급됨)(42), 및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는 프레임(이하에서 활주 프레임으로 언급됨)(43)으로 구성되고 제1 프레임의 대향 단부들에 배치되어, 제1 프레임(40)은 일반적으로 제2 프레임(50)에 대한 이동을 위해 지지된다. 또한, 제1 프레임(40)은 현상 롤러(20)와 현상 블레이드(22)를 유지한다. 현상 롤러(20)는 베어링(27)을 통해 진동 프레임(42)과 활주 프레임(4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대향 단부들을 구비한다. 또한, 현상 롤러(20)와 실질적으로 동심이며 현상 롤러(20)의 외경보다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더 큰 외경을 갖는 스페이서 러너(26)는 현상 롤러(20)의 대향 단부들에게 활주 가능하게 제공된다. 현상 롤러(20) 상의 토너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수단으로서의 현상 블레이드(22)는 현상 블레이드 금속 판(28)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이에 접착식으로 고정된다. 현상 블레이드 금속 판(28)은 가동 프레임(41)에 고정되고, 현상 블레이드(22)의 말단부는 현상 롤러(20)에 대항하여 맞닿는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40)은 제2 프레임(50) 내에 설치된다. 제2 프레임(50)은 토너 용기(21)에 고정된다. 제1 프레임의 진동 프레임(42)에는 단부에서 진동 구멍(47)을 구비하는 진동 가능한 아암(46)이 제공되고, 제2 프레임(50)은 단부에서 고정 구멍(56)을 구비하는 지지 아암(55)이 제공되며, 진동 프레임(42)과 제2 프레임(50)은 결합 핀(80)에 의해 진동할 수 있게 서로 결합된다. 진동 프레임(42)의 진동 구멍(47)과 결합 핀(80)은 서로에 대해서 활주 가능하며, 제2 프레임(50)의 고정 구멍(56)과 결합 핀(80)은 서로 가압 끼워맞춤된다. 편의 스프링(32)은 제1 프레임(40)과 제2 프레임(50) 사이에 제공된다. [특히, 편의 스프링(도4 및 도10에서 스프링 수용기(51f) 측면 상의 편의 스프링은 도시되지 않음)이 제2 프레임(50)의 스프링 수용부(51e, 51f)에 부착된다.] 제1 프레임(40) 내에 제공되는 현상 롤러(20)는 스페이서 러너(26)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감광 드럼(10)에 대향하여 가압된다. 편의 스프링(32)을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현상 장치는 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프레임(50)은 토너 용기(21)에 고정되어 있지만, 제2 프레임(50)은 토너 용기(21)와 [통합 성형(integral molding)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주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활주 편평 표면(43a, 43b)이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활주 프레임(43)의 실질적 상부 및 하부 표면 상에 제공된다. 한편, 안내 편평 표면(51a, 51b)은 제1 프레임(40)이 제2 프레임(50) 내에 설치된 때 사이에 제공된 미세 간격에 의해 활주 프레임(43)의 활주 편평 표면(43a, 43b)의 대향하는 영역에 제공된다. 또한, 제2 프레임(50) 및 제1 프레임(40)의 길이 방향 위치 설정을 위하여, 위치 설정 보스(52)가 제2 프레임(50) 상에 제공되며, 길이 방향만을 결정하기 위한 위치 설정 슬롯(41a)이 가동 프레임(41) 내에 형성된다. 활주 프레임(43)은 활주 편평 표면(43a, 43b) 및 안내 편평 표면(51a, 51b)에 의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활주될 수 있다.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구조로서 활주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활주 레일 볼록부(43c, 43d)가 활주 프레임(43)의 실질적 상부 및 하부 표면 상에 제공되고, 활주 레일 오목부(51c, 51d)가 제2 프레임(50)의 대향 영역에 제공된다. 활주 프레임(43)의 레일 끼움부는 활주 프레임(43) 및 제2 프레임(50)의 길이 방향 위치 설정을 위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6은 제1 프레임(40) 및 제2 프레임(50)을 위한 토너 밀봉 구조를 도시한다. 탄성 밀봉 부재(44) 및 탄성 밀봉 부재(45)는 접착식 이중 코팅 테이프에 의해 제1 프레임(40)의 대향 단부들의 짧은 측면 부분과 상부의 긴 측면 부분에 고정되고, 도7에 도시된 제2 프레임(50)의 수용 표면(57, 58)에 의해 압축 되어 토너의 누설을 방지하는 밀봉 효과를 제공한다. 도8에서, 양방향 화살표 "s" 및 "t"는 각각 대향 단부들에서의 짧은 측면 부분 상의 탄성 밀봉 부재(44) 및 상부의 긴 측면 부분 상의 탄성 밀봉 부재(45)의 압축 방향을 지시한다. 여기서, 탄성 밀봉 부재(45)의 압축 방향은 제1 프레임(40)의 이동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이 되도록 설정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현상 롤러(20)를 감광 드럼(10)에 대해 가압하는 압력을 받는 압축 영역이 더 큰 탄성 밀봉 부재(45)의 반발력의 영향을 감소시키고 압력을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트 방지 시트(25)는 현상 롤러(20)에 대향하여 맞닿고 현상 롤러(20)의 하부의 반경 방향의 토너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접착식 이중 코팅 테이프에 의해 제2 프레임(50)의 하부의 긴 측면 부분(54)에 고정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탄성 밀봉 부재가 제1 프레임(40)의 길이 방향 하부 표면 상에 배치되는 구조를 채택할 필요가 없고,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9는 현상 롤러(20)의 대향 단부의 토너 밀봉체를 도시한다. 자기 밀봉체(60)에는 현상 롤러(20)의 표면에 대항하는 표면(60a) 상의 다수의 자극이 제공되며, 자기 밀봉체와 현상 롤러(20) 사이의 자기 커튼에 의해 토너를 흡수하기 위한 밀봉 수단이다. 자기 밀봉체(60)는 가동 프레임(41) 내에 형성된 (도시 안된)리세스 내에 삽입되어 위치하며, 현상 블레이드(22) 금속 판(28)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된다. 현상 롤러(20) 및 자기 밀봉체(60)는 동일한 제1 프레임(40)에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현상 롤러(20)가 감광 드럼(10)의 외주연을 따르고 제1 프레임이 이동하는 경우에도, 현상 롤러(20)와 자기 밀봉체(60)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고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자기 밀봉체(60)에 의한 현상 롤러(20)의 대향 단부의 토너 밀봉은 양호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10은 본 실시예에서 현상 롤러(20)를 위한 구동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감광 드럼(10)의 단부에 제공된 드럼 기어(71)는 구동 기어(70)를 통해 (도시 안된)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이에 전달된 구동력을 갖고, 감광 드럼(10)을 회전식으로 구동한다. 한편, 드럼 기어(71)는 현상 롤러(20)와 동축으로 제공된 현상 롤러 기어(72)를 회전식으로 구동한다. 도10에서, 화살표 "a"는 구동이 드럼 기어(71)로부터 현상 롤러 기어(72)로 전달될 때 현상 롤러 기어(72) 상에 작용하는 작용력의 방향을 지시한다. 도10의 화살표 "b"는 진동 프레임(42)의 진동 운동의 중심과 현상 롤러 기어(72) 상에 작용하는 작용력의 작용점(피치 원 상의 맞물리는 점)을 함께 연결하는 선이다. 화살표 "a"가 수평 선과 이루는 각도는 θa로 형성되며 화살표 "b"가 수평 선과 이루는 각도는 θb로 형성되고, 그들 사이엔 θa>=θb의 관계가 성립한다. 따라서, 현상 롤러 기어(72) 상에 작용하는 작용력은 현상 롤러(20)를 감광 드럼(10)을 향해 가압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현상 롤러(20)와 감광 드럼(10) 사이의 압력은 작용력의 영향 하에서 감소되지 않고, 스페이서 러너(26)는 작은 외력의 작용에 의해서 감광 드럼(10)으로부터 이격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이 진동 프레임(42) 측면 상에 영향을 주도록 설계되어, 활주 운동이 채택될 때 구동의 전달 중에 작용하는 힘의 영향에 의해 생성된 활주 표면 상의 마찰 저항력의 증가가 회피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단부의 활주 측면 상에서, 진동 샤프트 및 진동 아암을 구성하는 부재와 같은 부품들이 생략될 수 있고, 따라서 소형이고 저비용의 현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11은 현상 롤러(20)가 활주 프레임(42) 측면 상에서 구동되는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다. 이 구조에서, 현상 롤러 기어(72)는 활주 프레임(43) 측면 상에 배치된다. 도11에서, 화살표 "a"는 구동이 드럼 기어(71)로부터 현상 롤러 기어(72)로 전달될 때 현상 롤러 기어(72)에 작용하는 작용력의 방향을 지시한다. 활주 프레임(43)의 활주 편평 표면(43a, 43b)의 각도는 화살표 "a"에 대해 직각이거나, 또는 작용력이 활주 편평 표면 상에 작용할 때 힘이 제1 프레임(40)을 감광 드럼(10)을 향해 가압시키는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도11에서, 참조 부호 "F"는 현상 롤러 기어(72) 상에 작용하는 작용력에 의해 생성된 힘을 가리킨다. 참조 부호 "Fy"는 힘(F)에 대한 안내 편평 표면(51b)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성분력을 나타내고, 참조 부호 "Fx"는 힘(F)에 대한 안내 편평 표면(51b)에 수평인 방향으로의 성분력을 나타낸다. 성분력(Fx)은 감광 드럼(10)으로 배향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현상 롤러(20)가 구동될 때 기어로부터의 작용력의 영향 하에서, 현상 롤러(20)와 감광 드럼(10) 사이의 압력은 감소되지 않으며 스페이서 러너(26)는 작은 외력의 작용에 의해서 감광 드럼(10)으로부터 이격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40)은 제2 프레임(50)에 대한 회전을 위해 지지되는 길이 방향[현상 롤러(20)의 축 방향]의 일 단부 및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는 길이 방향의 타 단부를 구비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로서, 길이 방향의 양 단부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거나 길이 방향의 양 단부는 활주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현상 유닛(A)은 현상 롤러(20)를 지지하기 위한 제1 프레임(40), 제1 프레임(40)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토너 용기(21)를 지지하기 위한 제2 프레임(50), 및 편의 스프링(32)을 구비하는 유닛이다. 또한 감광 부재 유닛(B)은 감광 드럼(10), 대전 수단(11), 폐 토너 용기(12) 및 세척 수단(14)을 구비한다. 결과적으로, 제1 프레임(40)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현상 유닛(A)과 감광 부재 유닛(B)의 연결 및 조립은 쉽게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효과는 화상 담지 부재를 향한 현상 롤러의 압력을 안정시키는 능력이다. 특히, 현상제 보유부 내의 현상제의 양과 독립적으로 화상 담지 부재를 향한 현상 롤러의 압력을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현상 유닛은 화상 담지 드럼 상에 형성되는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롤러, 현상 롤러에 공급되는 현상제를 보유하기 위한 현상제 보유부, 현상 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제1 프레임, 제1 프레임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현상제 보유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2 프레임, 및 화상 담지 드럼을 향해 현상 롤러를 가압시키기 위한 가압 부재를 구비하여 화상 담지 부재를 향한 현상 롤러의 압력이 안정될 수 있고, 동시에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조립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설명된 상세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출원은 개량의 목적 또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수정이나 변경을 포함한다.

Claims (20)

  1. 현상 장치에 있어서,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에 공급되는 현상제를 보유하기 위한 현상제 보유부와,
    상기 현상 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현상제 보유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2 프레임과,
    상기 화상 담지 부재를 향해 상기 현상 롤러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
    를 포함하는 현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제공되는 현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에 대한 회전을 위해 지지되는 현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에 대한 활주 운동을 위해 지지되는 현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기 현상 롤러의 축 방향의 일 단부 및 상기 제2 프레임에 대해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기 축 방향의 타 단부를 구비하는 현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보유부는 상기 제2 프레임에 고정되는 현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롤러에는 상기 현상 롤러와 상기 화상 담지 부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제공되는 현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에는 상기 현상 롤러 상의 현상제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부재가 제공되는 현상 장치.
  9.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화상 담지 부재와,
    상기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롤러, 상기 현상 롤러에 공급되는 현상제를 보유하기 위한 현상제 보유부, 상기 현상 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현상제 보유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2 프레임, 및 상기 화상 담지 부재를 향해 상기 현상 롤러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부재를 구비하는 현상 유닛
    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제공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에 대한 회전을 위해 지지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에 대한 활주 운동을 위해 지지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기 현상 롤러의 축 방향의 일 단부 및 상기 제2 프레임에 대해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기 축 방향의 타 단부를 구비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보유부는 상기 제2 프레임에 고정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롤러에는 상기 현상 롤러와 상기 화상 담지 부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제공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에는 상기 현상 롤러 상의 현상제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부재가 제공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담지 부재의 표면을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수단과, 상기 화상 담지 부재의 표면 상에 남아 있는 잔류 토너를 제거하고 제거된 잔류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세척 수단을 더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화상 담지 부재를 지지하는 화상 담지 부재 유닛을 상기 현상 유닛으로 연결함으로써 구성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9.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i) 화상 담지 부재와, 상기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롤러, 상기 현상 롤러에 공급되는 현상제를 보유하기 위한 현상제 보유부, 상기 현상 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현상제 보유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2 프레임, 및 상기 화상 담지 부재를 향해 상기 현상 롤러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부재를 갖는 현상 유닛을 구비하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ii)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탈착 및 장착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과,
    (iii) 기록 매체를 상기 화상 담지 부재로 운반하기 위한 운송 수단
    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0.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기록 매체 상에 화상를 형성하도록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i) 화상 담지 부재와,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롤러, 상기 현상 롤러에 공급되는 현상제를 보유하기 위한 현상제 보유부, 상기 현상 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현상제 보유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2 프레임, 및 상기 화상 담지 부재를 향해 상기 현상 롤러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부재를 갖는 현상 유닛을 구비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지지 수단과,
    (ii) 기록 매체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 수단
    을 포함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2002-0014906A 2001-10-10 2002-03-20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04553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13027A JP3969990B2 (ja) 2001-10-10 2001-10-10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01-00313027 2001-10-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819A KR20030030819A (ko) 2003-04-18
KR100455324B1 true KR100455324B1 (ko) 2004-11-06

Family

ID=19131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4906A KR100455324B1 (ko) 2001-10-10 2002-03-20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71477B2 (ko)
EP (1) EP1316852B1 (ko)
JP (1) JP3969990B2 (ko)
KR (1) KR100455324B1 (ko)
CN (1) CN1231822C (ko)
DE (1) DE60227230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8564B2 (ja) * 2002-11-08 2004-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ローラー組立方法
JP4401713B2 (ja) * 2003-08-29 2010-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5173485A (ja) * 2003-12-15 2005-06-30 Canon Inc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7224924B2 (en) * 2004-02-13 2007-05-29 Seiko Epson Corporation Develop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eveloping device
JP4185927B2 (ja) * 2004-09-29 2008-11-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701830B2 (ja) * 2005-05-11 2011-06-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804212B2 (ja) * 2006-04-19 2011-11-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生産方法及び再生産方法
US8942592B2 (en) 2009-12-16 2015-01-27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photosensitive drum unit, developing unit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5611102B2 (ja) 2010-04-30 2014-10-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ドラム取り付け方法
RU2637370C2 (ru) 2011-12-06 2017-12-04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Картридж, устанавливаемый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извлечения в основной узел электрофотографичес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способ сборки устройства передачи привода для светочувствительного барабана и электрофотограф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JP6094795B2 (ja) * 2012-02-22 2017-03-15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6066841B2 (ja) 2012-09-10 2017-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100110B2 (ja) 2013-07-03 2017-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装置本体、及びカートリッジ装着システム
JP6335606B2 (ja) * 2014-04-18 2018-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
US9535398B2 (en) 2014-09-04 2017-01-03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cartridge,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7262983B2 (ja) 2018-11-30 2023-04-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7187305B2 (ja) 2018-12-28 202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
US10969730B2 (en) 2019-02-25 2021-04-0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unit
AU2020294030A1 (en) 2019-06-12 2021-12-02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attachment, and mounting ki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9149A (ja) * 1995-06-13 1996-12-24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20745A (ja) * 1996-07-04 1998-01-23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267439A (ja) * 1999-01-14 2000-09-29 Canon Inc 間隔保持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現像装置
JP2000293086A (ja) * 1999-04-02 2000-10-20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201999A (ja) * 2000-01-19 2001-07-2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4684A (en) 1987-03-10 1990-01-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developing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JP2553400Y2 (ja) * 1992-01-22 1997-11-05 日立金属株式会社 現像装置
JP3126532B2 (ja) 1992-02-10 2001-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1093946C (zh) 1995-07-21 2002-11-06 佳能株式会社 电极部件、显影装置、处理卡盒和成像设备
JP3372747B2 (ja) 1996-02-09 2003-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3382465B2 (ja) 1996-07-04 2003-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37915B2 (ja) 1996-07-04 2002-10-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3323749B2 (ja) 1996-08-01 2002-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磁気シール装置及び現像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H11143226A (ja) 1997-11-11 1999-05-2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装置
JP2000089567A (ja) 1998-09-11 2000-03-31 Canon Inc シャッタ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3507372B2 (ja) 1999-09-03 2004-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092335A (ja) 1999-09-17 2001-04-06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量検出部材
JP3679665B2 (ja) * 1999-11-19 2005-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間隙保証部材および現像装置および帯電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9149A (ja) * 1995-06-13 1996-12-24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20745A (ja) * 1996-07-04 1998-01-23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267439A (ja) * 1999-01-14 2000-09-29 Canon Inc 間隔保持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現像装置
JP2000293086A (ja) * 1999-04-02 2000-10-20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201999A (ja) * 2000-01-19 2001-07-2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27230D1 (de) 2008-08-07
US20030068172A1 (en) 2003-04-10
EP1316852B1 (en) 2008-06-25
US6671477B2 (en) 2003-12-30
EP1316852A2 (en) 2003-06-04
EP1316852A3 (en) 2003-06-11
JP2003122119A (ja) 2003-04-25
CN1231822C (zh) 2005-12-14
KR20030030819A (ko) 2003-04-18
JP3969990B2 (ja) 2007-09-05
CN1410844A (zh) 2003-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5324B1 (ko)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US11774905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P0754984B1 (en) Process cartridge, sub-assembly thereof, develop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JP4164293B2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7158735B2 (en) Process cartridge, mounting method of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and replacing method of the photosensitive drum
US896525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860434B2 (en) Develop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3937802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8238800B2 (en) Developing apparatus
US6385417B1 (en) Holding structure of image holding member in image forming system
JP2013250515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2002162828A (ja) 現像装置
JP4981346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5899603A (en) Imaging module employing frictional drive
JP4011882B2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758935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913034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822931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belt cleaning unit thereof
JP2003076144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851947B2 (ja) 画像形成装置に着脱自在な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2195374A (ja) 回転体の駆動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JPH10143049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20060113140A (ko)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유닛
JP2003015410A (ja) 現像装置
JP2000075637A (ja) 現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