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2406B1 - 피자제조장치 및 피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자제조장치 및 피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2406B1
KR100452406B1 KR10-1999-7000602A KR19997000602A KR100452406B1 KR 100452406 B1 KR100452406 B1 KR 100452406B1 KR 19997000602 A KR19997000602 A KR 19997000602A KR 100452406 B1 KR100452406 B1 KR 100452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zza
plate
plates
station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0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9544A (ko
Inventor
카트챠도우리안푸잔트
쿠줌디지안크리코르
브리니베르나르도
Original Assignee
카트챠도우리안 푸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트챠도우리안 푸잔트 filed Critical 카트챠도우리안 푸잔트
Publication of KR20000029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9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4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3/0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 A21C3/02Dough-sheeters; Rolling-machines; Rolling-pi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21C9/08Depositing, arranging and conveying apparatus for handling pieces, e.g. sheets of dough
    • A21C9/083Manipulating tins, pans etc., e.g. charging or discharging conveyors, trolleys or ove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21C9/04Apparatus for spreading granular material on, or sweeping or coating the surfaces of, pieces or sheets of dough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40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type, form or use
    • A21D13/41Pizza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6/00Other treatment of flour or dough before baking, e.g. cooling, irradiating, heating
    • A21D6/003Heat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피자제조장치 및 피자의 제조방법은 하우징 및 하우징에 위치한 신선한 반죽을 포함하는 다수의 통을 포함한다. 절단 블레이드는 하우징에 위치하며 상부 제한 위치와 하부 제한 위치 사이에서 움직여 여러 통 중의 하나로부터 반죽조각을 자른다. 압력판은 하우징에 위치하며 반죽조각을 받는다. 압력판은 서로 맞물리도록 선택적으로 움직여 사이에서 반죽조각을 납작하게 하고 미리 가온할 수 있는 내부 체임버를 만드는 첫 번째 판과 두 번째 판을 포함한다.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은 하우징에 위치하며 다수의 판을 포함하며, 개개의 판은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의 중앙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미리 가온한 피자 빵조각은 판위에 위치한다. 각각의 판은 그 다음에 가장 안쪽의 방사상 위치와 가장 바깥쪽이 방사상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각 판은 또한 가장 안쪽의 방사상 위치와 가장 바깥쪽이 방사상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때, 해당하는 중앙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중앙축을 가지고 있다. 토핑은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방사상으로 움직일 때 얹어져서, 토핑이 피자 빵조각위에 나선형으로 놓이게 된다.

Description

피자제조장치 및 피자의 제조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Pizza}
리클레어(LeClaire et al.) 등의 미국특허 제 5,121,677호에는 여러 개의 팬(pan)을 쌓아 올린 것을 포함하는 피자를 만들고 굽는 기계가 개시되어 있다. 각각의 팬에는 안에 미리 구워 둔 빵조각이 있다. 팬층적은 냉장고의 상층 선반에 보관하며 팬 분배 스테이션(station)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팬이 팬 분배 스테이션으로 분배된 다음, 팬은 첫 번째 스테이션으로 이동하여 소스 분배기에 의해 소스가 빵조각에 뿌려진다. 다음 구역은 치즈 분배 스테이션으로 모짜렐라(mozzarella) 치즈가 빵조각과 소스 위에 얹어진다. 이 스테이션 다음에는 고기제품 분배 스테이션이 이어진다. 고기제품 분배 스테이션 다음에는 많은 야채 분배 스테이션이 이어지는데, 여기서는 올리브(olive), 버섯, 양파, 후추 등의 야채를 미리 요리된 피자 조각위에 얹는다. 팬이 마지막 분배기를 통과한 다음, 팬은 승강 기구의 플랫폼(platform)로 이동한다. 승강기는 고객이 굽지 않은 피자를 원하느냐 또는 구운 피자를 원하느냐에 따라서 각각 대항정점의 수준으로 또는 오븐 입구의 수준으로 팬을 낮춘다. 만일, 고객이 구운 피자를 선택하면, 팬은 오븐을 통과하여 컨베이어 벨트(conveyor belt)로 이동한다. 오븐은 많은 수의 독립적으로 가열된 층을 포함하여 요리는 손님이 선택한 조합으로 만들어진다. 그 다음 익은 피자는 오븐으로부터 꺼내어 져서 플랫폼으로 이동된다. 이 플랫폼은 요리 분배 선반의 수준으로 올려지고 익은 피자는 선반으로 이동된다. 그런 다음, 고객은 익은 피자를 맛 볼 수 있다.
'677 특허는 미리 구워둔 빵조각을 사용하므로 신선하게 만든 피자와 같은 맛을 낼 수 없다. 게다가, 토핑은 손으로 피자를 만드는 방식과 같이 피자 빵조각 위에 놓여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소스는 연동 운동식으로 튜브 84를 통하여 펌핑(pumping)되고 빵조각으로 위로 뿌져진다(참조: '677 특허의 도 6). 그런 다음, 스프레드 롤러(spread roller) 32는 빵조각의 상부와 맞물리도록 낮춰지고 빵조각의 표면 위에서 회전하여 빵조각의 위에 소스가 퍼질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소스 분배 장치는 매우 불결하며 롤러 32가 원위치로 되돌아 온 다음에도 오랫동안 롤러로부터 소스가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손으로 피자를 만드는 방법과 상당히 유사한 방식으로 신선한 얇은 빵조각으로부터 피자를 제조하여, 손으로 만든 피자와 같은 맛을 내도록하는 피자 제조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시 상대적으로 청결하며 상대적으로 유지가 자유로운 피자 제조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예를 들어, 피자제조장치의 특징, 목적 및 장점이 설명된 피자제조장치는 하우징(housing) 및 하우징을 구성하는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index table station)이 포함되어 있다.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은 여러 개의 판을 포함하며 개개의 판은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의 중앙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개개의 판은 가장 안쪽의 방사상 위치와 가장 바깥쪽의 방사상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개개의 판은 중앙의 축을 가지고 있어 내부 위치와 외부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때, 각각의 판이 중앙축에 대해 회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본 장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저장되는 여러 개의 통을 포함한다. 여러 개의 통은 각각 신선한 반죽을 가지고 있다. 절단 블레이드(blade)는 하우징에 포함되어 있다. 절단 블레이드는 상부 제한 위치와 하부 제한 위치 사이에서 움직임이 가능하여, 여러 통 중 하나로부터의 얇은 반죽을 절단할 수 있다. 하우징에 포함되는 압력판은 첫 번째 판과 두 번째 판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두 판은 선택적으로 서로 맞물려 움직임으로써, 얇은 반죽을 미리 가온시킬 수 있는 내부 공간이 사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은 피자제조장치 및 피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신선한 얇은 반죽 조각으로부터 피자를 만드는 피자 제조 기계에 관한 것이다. 얇은 반죽 조각은 반죽 위에 토핑(topping)을 얹기 전에 부분적으로 굽는다. 소스(sauce), 치즈(cheese), 페페로니(pepperoni), 소세지(sausage), 버섯 등을 포함하는 토핑은 손으로 피자를 만드는 방식과 비슷한 방식으로 미리 가열한 피자 반죽의 위에 놓여진다.
상기의 그리고 더 설명할 본 발명의 목적, 특성 및 장점은 이하 구체적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고려할 때, 특히 많은 도면의 참조 번호가 구성 요소를 명시하도록 사용되고 있는 도면과 함께 고려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피자를 제조하는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장치의 우측면도이며;
도 4는 다른 위치에서의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를 나타내는 부품의 정면도이며;
도 5 및 도 5a는 통을 보관하는 선반을 타나내는 확대된 좌측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선 5b-5b를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며;
도 6은 반동 기구의 확대된 좌측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서 설명된 반동 기구의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선 8-8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과 유사한 단면도이나 절단 위치를 표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여러 위치에서 반동 기구의 좌측면도이며;
도 11은 도 9의 선 11-11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9의 선 12-12를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며;
도 13은 절단부의 확대된 정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선 14-14를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며;
도 15는 폐쇄 위치에서 압력판부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15a는 중간 위치에서 압력판부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15b는 압력판부의 상층판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16은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에서의 압력판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선 17-17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며;
도 18은 압력판부의 상층판의 확대된 부분 횡단면도이며;
도 19는 압력판부로부터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으로 부분적으로 요리된 피자를 운반하는 장치의 확대된 후면도이며;
도 19a는 도 19의 선 19a-19a를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며;
도 20은 소스 분배기의 횡단면도이며;
도 21은 도 20의 선 21-21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며;
도 22는 피자 빵조각의 위에 놓여지는 토핑의 바람직한 위치가 표시된, 부분적으로 요리된 피자 빵조각의 도식적인 평면도이며;
도 23은 치즈 강판 기구의 부분 횡단면도이며;
도 24는 치즈 강판 기구의 정면도이며;
도 25는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로부터 승강부로의 부분적으로 요리된 피자 빵조각의 운송 기구를 나타내는 후면도이며;
도 26은 도 25의 선 26-26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며;
도 26a는 도 27a의 승강부의 평면도이며;
도 27은 도 26의 선 27-27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며;
도 27a는 승강부의 또 다른 실시예의 투시도이며;
도 28은 하층 제한 위치에서 하나의 승강판에 대한 부분 횡단면도이며;
도 29는 원위치로 복귀시 승강부에서 하나의 판을 지지하는 기구를 나타내는 확대된 횡단면도이며;
도 30은 상층 제한 위치로 가까이 다가감에 따라서 다양한 위치에서의 하나의 판에 대한 잠금 기구를 나타내는 확대된 부분 단면도이며;
도 31은 도 3의 선 31-31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며;
도 32는 도 31의 선 32-32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며;
도 33은 도 31의 선 33-33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며;
도 34는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의 부분적으로 절단된 측면도이며;
도 34a는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의 또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며;
도 34b는 도 34a에 도시된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의 확장된 투시도이며;
도 35는 도 34의 선 35-35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며;
도 35a는 도 34a의 선 35a-35a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며;
도 36는 도 34의 선 36-36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며;
도 36a는 슬립 링 연결선(slip ring connection)을 나타내는 도 36과 유사한 단면도이며;
도 37은 도 35의 선 37-37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확장된 단면도이며;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스테이션의 포장 기구를 나타내는 도식적인 평면도이며;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피자제조장치의 두번재 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40은 통 분리기 기구의 측면도이며;
도 41은 통 분리기 기구의 확장된 측면도이며;
도 42는 통 분리기 기구의 평면도이며;
도 43은 통 압출기 기구의 정면도이며;
도 44는 통 압출기 기구의 확장된 정면도이며;
도 45는 통 압출기 기구의 확장된 측면도이며;
도 46은 통 상부롤러 기구의 측면도이며;
도 47은 통 상부롤러 기구의 확장된 측면도이며;
도 48은 통 상부롤러 기구의 확장된 정면도이며;
도 49a 내지 c는 각각 통 뚜껑(lid) 절단기 기구의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50은 통 뚜껑 절단기 기구의 확장된 측면도이며;
도 51은 통 뚜껑 절단기 기구의 확장된 정면도이며;
도 52는 통 뚜껑 절단기 기구의 측면도이며;
도 53은 반죽 압출기의 평면도이며;
도 54는 통 견인 기구의 정면도이며;
도 55는 통 견인 기구의 정면도이며;
도 56은 통 분배기 도어(door)의 평면도이며;
도 57은 통 분배기 도어 기구의 확장된 측면도이며;
도 58은 통 분배기 도어 기구의 확장된 정면도이며;
도 59는 통 분배기 도어와 하부 압력판의 평면도이며;
도 60은 하부 압력판과 선형 이동 암(arm)의 측면도이며;
도 61은 상부 압력판의 정면도이며;
도 62는 상부 압력판의 측면도이며;
도 63은 선형 이동 암(arm)의 평면도이며;
도 64는 회전식 인덱스 판 기구의 평면도이며;
도 65는 회전식 인덱스 판 기구의 정면도이며;
도 66은 소스 분배기의 확장도이며;
도 67은 버섯 분배기의 측면도이며;
도 68은 버섯 분배기의 단면도이며;
도 69는 페페로니 분배기의 평면도이며;
도 70은 페페로니 분배기의 정면도이며;
도 71은 신장된 위치에서 페페로니 분배기의 평면도이며;
도 72은 원위치에서 페페로니 분배기의 평면도이며;
도 73은 페페로니 압출기 판의 확장된 정면도이며;
도 74는 블레이드 하우징의 평면도이며;
도 75는 블레이드 하우징의 측면도이며;
도 76은 페페로니 적하기 기구의 평면도이며;
도 77은 오븐의 투과도이며;
도 78은 오븐의 횡단면도이며;
도 78a는 오븐 및 오븐과 관련된 도관의 사시도이며;
도 79는 상자 혼합 기구의 평면도이며;
도 80은 상자 혼합 기구의 확장된 후면도이며;
도 81은 상자 혼합 기구의 확장된 정면도이며; 및,
도 82는 상자 혼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할 때, 피자를 제조하는 장치 10이 도시되어 있다. 장치 10은 통 스테이션 12, 반죽 절단 스테이션 14, 캐치 판 스테이션(catch plate station) 16, 압력판 스테이션 18,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 20, 승강 스테이션 22 및 오븐 스테이션 24를 포함한다. 도 39 내지 82는 피자를 제조하는 장치 10'의 두 번째 실시예를 도시한다. 장치 10'은 통 스테이션 12', 반죽 절단 스테이션 14', 압력판 스테이션 18',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 20', 승강 스테이션 22', 오븐 스테이션 24' 및 포장 스테이션 25'를 포함한다. 간결함을 위해서 두 번째 실시예 10'에서 첫 번째 실시예 10과 현저히 다른 부분만을 하기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통 스테이션
통 스테이션 12는 다수의 통 26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통 26은 신선한 반죽을 포함하고 있다. 통 26은 하우징 200의 냉동된 부분에 저장되며 32 내지 33°F 사이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통은 바람직하게는 약 4inch의 내부 직경을 갖으며 축 길이가 약 8inch이다.
도 3 내지 12를 참조하면 통 26은 통을 정지 조합 30에까지 물리는 경사대 28의 연속 사용으로 저장된다. 정지 조합에서 받은 통은 통 26'으로 표시한다. 정지 조합 30은 통 26' 아래에 위치하는 반동 기구 32와 통 26' 위에 위치하는 지지 기구 34를 포함한다. 정지 조합 30은 통 26'이 반죽 압출기 위치 36으로 전진하지 못하도록 한다(참조: 도 5). 반죽 압출기 위치 36의 통 26이 비워지면(즉, 통이 통안의 모든 반죽을 제거하였을 때), 반동 기구와 지지 기구는 통 26'으로부터의 축 앞가리개나 뚜껑 38을 제거한다.
통 오프닝 기구는(참조: 도 6 내지 12) 도 7의 실선으로 도시된 뚜껑 38의 원위치와 도 7의 점선으로 도시된 움직인 위치 사이에서 통 오프닝 기구를 회전시키는 첫 번째 전동기 40을 포함한다. 두 번째 전동기 42는 통 오프닝 기구의 핸들을 열린 위치(도 8)와 닫힌 위치(도 9) 사이에서 회전시킨다. 첫 번째 전동기 40은 왕복 운동하는 축 41에 연결되어 있다(참조: 7). 축 41은 회전 핀 46을 경유하여 L자 모양의 팔대 45에 연결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통 오프닝 기구는 도 7의 점선으로 도시된 움직인 위치에 있다. 그러므로, 통 오프닝 기구는 통 26'으로부터 떨어져 회전한다. 새로운 통이 반죽압출 위치 36에 필요할 때, 통 오프닝 기구는 먼저 통 26'으로부터 뚜껑 38을 제거한다. 전동기 40은 축 41을 전진시켜 도 7의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7의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회전 핀 46을 움직이게한다. 그러므로, 두 번째 전동기 42 및 세번째 전동기 44를 포함하는 절단 기구는 움직인 위치에서 원위치로 되돌아온다. 전동기 42는 그런 다음 나사식 막대 54가 회전하도록 한다(도 8 및 9). 첫 번째 절단 바퀴 52는 고정된 핸들 56에 단단히 장착되어 있다. 두 번째 압력 바퀴 50은 회전 핸들 58에 단단히 장착되어 있다. 핸들 56 및 58은 첫 번째 절단 바퀴 52의 회전점인 회전점 60에 대해 회전한다. 내부가 나사식인 슬리브 62는 피벗 64에 대해 회전 핸들 58에 장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나사식 막대 54가 첫 번째 방향으로 회전할 때, 나사식 슬리브 62는 도 8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9에 도시된 위치로 움직여 핸들 58이 열린 위치에서 닫힌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핸들 58이 고정된 핸들 56 방향으로 회전하면, 압력 바퀴 50은 반동 기구 및 지지 기구에 존재하는 통 26'의 뚜껑 38 뒤에 위치한 절삭날 66와 맞물려 움직인다(참조: 도11). 그러므로, 압력 바퀴 50은 절삭날 66의 외부 원통형 표면에 위치하고, 절단 바퀴 52는 뚜껑 38 앞에 있는 절삭날 66의 내부 원통형 표면에 존재한다.
세번째 전동기 44는 내부 절단 바퀴 53를 회전시키도록 작동된다. 절단 바퀴 52가 회전하면, 절삭날 66는 바퀴 50 및 52의 맞물림으로 인하여 잘려진다. 통 26'은 롤러 70, 72, 74 및 76의 안내 작용에 의해서 종축 68에 대해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도 7). 통 26'이 최소한 한 번 회전한 다음, 뚜껑 38은 통 26'으로부터 분리되고 절단 기구는 도 7에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동기 44는 멈춰진다. 전동기 40은 축 41을 전동기 40를 향하여 왕복운동하도록 작동되어 절단 기구가 도 7에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움직이도록 한다. 전동기 42는 그 다음 반대 방향으로 작동되어 나사 막대 54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하여, 핸들 58이 도 9에 도시된 위치에서 도 8에 도시된 위치로 움직이게 한다(즉, 닫힌 위치로부터 열린 위치로). 그러므로, 절단 기구는 통 26'으로부터 멀리서 회전하게 된다. 분리된 뚜껑 38은 아래의 찌꺼기 분배기로 떨어지고(도시하지 않음), 열린 통 26'은 반죽 절단 스테이션 14로 전진하게 된다.
도 5a, 5b, 10 및 12를 참조할 때, 열린 통 26'은 정지 조합 30으로부터 떨어져나와 반죽 압출 위치 36으로 전진한다. 통 26'을 정지 조합 30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 지지 기구 34는 먼저 도 10에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10의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된다. 축 78은 선행 기술에서 공지된 방식으로 축 78에 연결되어 있는 전동기의 작동으로 인해 견인된다. 반동 기구 32는 롤러 70, 72 및 캠(cam) 80을 포함한다. 롤러 72는 고정된 회전점 81에 대해 회전이 자유롭다. 롤러 70은 자유로운 회전점 83에 대해 회전한다. 전동기 86은 선택적으로 캠 80을 종축 85에 대해 회전하도록 한다. 연결 고리 82는 캠 80을 롤러 70에 회전축의 구실을 하며 연결한다. 연결 고리 84는 롤러 70 및 72를 회전축의 구실을 하며 연결한다.
작동시에는 캠 80은 도 8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10에 도시된 위치로 회전하여 연결 고리 82가 위쪽으로 움직이도록하며, 이 움직임은 롤러 70을 위쪽으로 움직이도록하고 통 26'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으로 반죽 압출기 위치36을 향하여 전진하게 한다. 이 위치에서는 롤러 70은 또한 통 26''을 반동 기구 및 지지 기구로 전진하지 못하게 한다. 일단 통 26'이 반죽 압출 위치 36으로 전진하면, 축 78은 도 10의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되돌아간다. 캠 80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롤러 70이 도 8에 도시된 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그 다음 통 26''은 통 운반 기구 27에 의해 방출되어 서서히 전진하고 정지 조합 30에서 멈추게 되고, 이하 기술되는 바와 같이, 막 전진한 통 26'의 안에 있는 모든 반죽이 반죽 압출기에 의해 제거되자 마자 통 26''이 열린다.
통 운반 기구 27은 캠 31을 회전시키는 전동기 29를 포함한다. 연결 고리 33은 캠 31을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 턱 부(pivoting jaw member)에 연결한다. 턱(jaw) 35는 C자형 암 37 및 39로 구성된다. 턱은 통 26''의 각각의 축의 끝에 놓여 있다(참조: 도 5b). 암 37 및 39는 막대 47과 정지 막대 43, 4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정지 막대는 턱 37, 39의 개방된 말단에 놓여있다.
작동시에는 턱 부 35는 중앙의 막대 47의 축에 대해 회전하고, 도 5a에 실선으로 도시된 통 지지 위치와 도 5a에 점선으로 도시된 통 방출 위치 사이에서 움직인다. 통 26 하나를 방출하기 위해서, 전동기 29는 작동하여 29의 산출 축(output shaft)이 한번 회전한다. 캠 31에 비스듬히 장착된 연결 암 33은 턱 부 35를 통 지지 위치로부터 통 방출 위치로(따라서 통 26''만이 방출되어) 또한, 다시 통 지지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도 40 내지 53을 참조하면 통 스테이션의 두 번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도 40을 참조하면 통 스테이션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통 26은 제일 상부에 좌측면을 보이게 위치하고(도 40에서 보았을 때), 트랙(track)의 기울기로 인해 통 26은 따라서 아래로 구른다. 초기 통 26''은 통 분리 기구 602에서 멈춘다.
분리 기구 602는 도 41 및 42에 각각 측면도와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통 26''은 분리 암 604로 인해 트랙 아래로 구르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암은 지렛대 암(lever arm) 606에 연결되어 있고 606은 연결 막대 608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시 608은 원판 610에 연결되어 있다. 전동기 612에 연결된 원판 610은 지렛대 암이 고정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초기 통 26''이 반죽 절단 스테이션으로 전진하도록 만든다. 분리 암의 기하도형적 배열은 다음 통이 잘릴 때까지(즉, 지렛대 암 606이 다시 한번 회전할 때까지) 초기 통 26''의 남아 있는 통들이 상류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한다.
일단 통이 선반으로부터 분리되면, 통은 굴러서 절단 스테이션 614에서 정지한다(참조: 도40). 통 26'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정지 조합에 들어온 통은 통 26'이라 칭한다) 네개의 하부 롤러 616 위에 오게 되며, 통 한 쪽에 롤러 두개씩 위치한다(롤러 616의 두개만을 도 40에 나타냈다). 롤러 616은 첫 번째 분배 도어 618와 두 번째 분배 도어 6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통 26'은 두 개의 상부 롤러 617이 통의 양측에 하나씩 맞물려 있다. 그 다음 작동은 통으로부터 뚜껑을 제거하는 일이다(즉, 통 개방 기구).
첫 번째 단계는 통을 통 추진 기구 622에 의해서 통 뚜껑 절단 기구 614로 전진시키는 단계이다. 추진 기구 622는 축방향으로 통 26'을 전진시킨다(참조: 도43 내지 46).
도 44 및 45는 통 추진기 622의 각각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추진기 622는 랙(rack) 624와 피니언 드라이브(pinion drive) 626를 포함하며 랙 624는 추진 암으로 작용한다. 랙 624의 말단에는 어댑터(adapter) 628이 있어 통 26'과 연결된다. 피니언 기어(pinion gear) 626은 축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 축은 다시 전동기에 연결되어 있다(참조: 도 45).
통 추진기 622는 세개의 축위치를 갖고 있다. 첫 번째 위치 630은 완전히 뒤로 끌린 위치로 본 위치로 간주된다. 두 번째 위치는 추진기 622이 통 26'을 통 뚜껑 절단기 스테이션 614로 전진시키는 위치이다. 세번째 위치는 통 추진기 622가 통 26'을 반죽 절단 스테이션 14'로 전진시키는 위치이다.
일단 통이 통 뚜껑 절단기 스테이션 614(통 추진기의 위치 2)에 오면, 통의 뚜껑은 벗겨지고 제거된다. 두 개의 주된 기구가 이 조작시에 포함된다: 통 상부 롤러 632 및 통 뚜껑 절단기 634(참조: 도 43).
통 상부 롤러 632는 통 26'이 절단기 스테이션 614의 밖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막아준다. 통 상부 롤러 기구 632는 도 46에 측면도로 나타내었다. 이 기구는 선택적으로 통 26'과 접촉하고 있는 롤러 617을 포함한다. 롤러 617은 통 26'을 통 뚜껑이 절단될 때 축에 대해 부드럽게 회전하도록 해 준다.
롤러 617은 상부 제한 위치(도 46 및 47에 점선으로 표시됨)와 하부 제한 위치 사이에서 움직인다. 롤러 617의 정상 위치는 뒤로 끌린 위치 또는 하부 제한 위치이므로, 통 26'이 절단 스테이션으로 굴러갈 때, 통이 통 상부 롤러 기구 632와 접촉이 안된다. 롤러 617은 롤러 하우징 판 634(참조: 도 47 및 48)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이 판은 말단에 축 638에 달린 두 개의 선형 베어링(bearing) 636을 갖고 있다. 롤러 하우징 판 634은 전동기 641에 연결된 편심의 원판 640이 선택적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상부 제한 위치와 하부 제한 위치사이에서 움직인다.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롤러 하우징 판 634를 상부 제한 위치로 치우치게하여 하우징 판 634가 편심의 원판 640과 지속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하부 위치에서는 전동기는 편심의 원판 640을 회전시켜 롤러 하우징 판을 낮추고 그 지점에서 롤러 617은 통 26'과 접촉한다. 전동기는 정지하고 롤러 617는 통 뚜껑이 절단되고 제거될 때까지 통 26'과 계속 접촉하고 있게 된다.
도 49a 내지 c는 각각 통 뚜껑 절단기 기구 642의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다. 통 뚜껑 제거기는 두 개의 축 644, 646에 지지되어 있으며 중앙축 648의 외부는 나사식으로 되어 있다. 나사식 막대 648이 회전할 때, 통 뚜껑 절 단기구 642는 통 26'에 인접하여 움직이고, 통의 뚜껑은 절단되고 제거되며, 그 다음 절단 기구 642는 뚜껑을 처리하기 위해서 제거된 뚜껑과 함께 원래의 스테이션으로 되돌아 온다.
도 50 내지 52는 통 뚜껑 절단기구 642의 확대된 측면도, 정면도 및 또다른 측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52는 또한 절단기구 642의 원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절단 블레이드 650은 도 51에 뒤로 끌린 위치(실선)와 신장되거나 맞물린 위치(실선)로 도시되어 있다. 블레이드 650은 나사식 축 654가 회전함에 따라(참조:51) 신장되거나 뒤로 끌리게 되는 블레이드 하우징 판 652 위에 위치하며, 축 654는 블레이드 하우징 판 652에 있으며 내부가 나사식으로 되어 있는 관통 구멍 655를 통과한다. 축 654의 한쪽 끝은 사접(miter) 기어 656가 고정되어 있다. 상당하는 사접 기어 658은 전동기 660에 연결되어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 판 652는 안내 축 664가 지나가는 두 번째 관통 구멍 662를 가지고 있어 판 652를 일렬로 맞춰 지지할 수 있다. 전동기 660은 하우징 판 652를 신장된 위치로 움직이도록 구동시켜, 도 51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블레이드 650이 통 26'을 관통하도록 한다.
스프로킷(sprocket)/사슬 드라이브 666의 회전은 절단 바퀴 668을 회전하도록 하고, 이는 다시 통 26'이 회전하도록 만든다. 절단 블레이드 650이 통을 관통했기 때문에, 통 26'의 회전은 통 뚜껑 38을 통 26'의 나머지로부터 잘라내게 만든다. 통 26'의 최소한 한번의 회전이 끝난 다음, 뚜껑 38은 통 26'으로부터 분리되고 제거된 뚜껑 38을 여전히 꽉 쥐고 있는 동안 뚜껑 절단 기구 642는 이제 원위치로 되돌아간다(참조: 도 52). 일단 뚜껑 제거 기구가 원위치 670에 있으면, 블레이드 하우징 판 652는 다시 되돌아오고(전동기 660을 구동시킴으로써) 제거된 뚜껑 38을 떨어뜨린다. 뚜껑은 오프닝(opening) 672로 떨어지고 아래의 쓰레기 저장고로 들어간다(도시하지 않음).
일단 통 뚜껑 38이 제거되면, 반죽으로 채워진 개방된 통 26'은 이제 반죽 압출 위치로 전진할 수 있게 된다. 반죽 압출 스테이션에서 반죽은 개개의 퍽(puck)이나 원판 모양의 조각으로 잘린다.
통 추진기 622는 이제 통 26'을 세번째 위치로 전진시키고 개방된 통 26'은 반죽 절단 스테이션 14'에 위치한다. 일단 통이 반죽 절단 블레이드 하우징에 꼭 맞춰지면, 압출 기구는 통으로부터 반죽을 압출하여 반죽을 퍽으로 잘라준다.
반죽 절단 스테이션
도 2 및 4를 참조할 때, 통 26'은 이제 반죽 압출 위치에 있다. 각각의 통 26'의 뒤축의 벽은 바람직하게는 활주하는 피스톤 타입의 벽이다. 통 26'은 안내 램프에 있는 홈 88에 의해 반죽 압출 위치에 있게 된다. 통 26의 뒤축의 활주하는 피스톤 타입의 벽은 도 4에서 보듯이 기구 92에 의해 구동되는 피스톤 90에 의해서 왼쪽으로 전진한다. 통 26의 뒤축의 활주하는 피스톤 타입의 벽은 피스톤 90에 의해 구동될 때 통의 관모양의 하우징 벽에 대해 움직인다.
도 1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된 기구 92는 반전시킬 수 있는 전동기 94에 의해서 작동되며 94는 나사식 막대 96을 회전하게 한다. 내부가 나사식인 안내 부싱(bushing) 98 한 벌이 아코디온 모양의 연결선 91을 경유하여 피스톤 막대 93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나사식 막대 96은 중앙점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꼬여있다. 그러므로, 막대 94가 첫 번째 위치에서 회전할 때, 나사식 부싱 98은 서로를 향하여 움직이게 되어 피스톤 막대 90이 원위치로 오게 한다(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으로). 전동기 94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안내 부싱 98은 서로로부터 멀리서 움직이므로 피스톤 막대 93이 전진 위치에서 통 26'을 향하여 움직이게 된다(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으로). 아코디온 모양의 기구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수압, 기체, 또는 관형 코일의 전동기는 막대 93을 구동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종류의 구동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막대 93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부가적인 구조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만약 공간이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 이러한 기지의 수압, 기체, 또는 관형 코일형의 동력 기구는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르면, 반죽 압출기 680은 도 43 및 53에 각각 정면도 및 평면도로 가장 잘 도시화되어 있다. 반죽 압출기 680은 볼 나사 너트(ball screw nut) 682 및 축 684를 포함하고 있다. 압출판 686은 축 684의 앞단에 연결되어 있다. 볼 나사 너트 682는 드라이브 기어 688과 맞물리는 바깥 기어를 가지고 있다. 드라이브 기어 688은 드라이브 전동기 692에 맞물려 있는 축 690에 고정되어 있다. 기어열(train)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하는 볼 나사 너트 682는 축 684를 직선으로(즉, 축방향으로), 충분한 반죽량이 개방된 통 26'으로부터 압출되어 퍽으로 잘릴 때까지 앞으로 움직이게 한다.
도 1, 2, 13 및 14를 참조할 때, 절단 스테이션 14가 도시되어 있다. 절단 스테이션 14은 블레이드 구조 104내에 단단히 장착된 절단 블레이드 102를 포함한다. 바꾸어, 절단 블레이드 102는 두 번째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고 이 하우징은 다시 하우징에 장착되어 절단 블레이드가 세척을 위해 쉽게 해체될 수 있고 새로운 또는 복귀된 블레이드로 재빨리 교환된다. 구조 104는 수직으로 활주하며 구조 200의 일부분 내에 장착되어 있다. 부싱 106은 블레이드 구조 104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다. 전동기 110에 의해서 회전하며 외부가 나사식인 막대 108와 맞물리는내부가 나사식인 관통 구멍을 부싱 106은 포함한다. 바꾸어, 볼 나사 기구는 블레이드 구조를 움직이는데 사용될 수 있다. 블레이드 구조 104는 구조 100에 단단히 연결된 고정 트랙 112, 114에 의한 수직 운동을 안내한다. 전동기 110은 첫 번째 방향으로 회전하여, 절단 블레이드 102가 도 13에 실선으로 도시된 개방 위치로 움직이도록 한다. 전동기 110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블레이드 102가 도 13에 점선으로 도시된 폐쇄 위치로 움직이도록 한다.
작동시에는, 반죽을 얇은 조각으로 만들기 위해서 절단 블레이드 102는 보통 폐쇄된 하부 제한 위치에 있다. 블레이드 102는 뚜껑 38이 통으로부터 먼저 제거되면 통 26'의 앞 가리개 판으로 작용한다. 피스톤 막대 90이 전동기 94의 작동으로 인해 전진하면, 통 하우징 26'의 뒤의 활주하는 피스톤과 같은 벽은 블레이드를 향하여 앞으로 움직이게 되고 따라서 반죽을 다듬는다. 환언하면, 신선한 반죽내에 생기는 원하지 않는 공기 주머니가 제거된다. 반죽이 정돈이 되고 나서, 전동기 110은 작동하여 절단 블레이드 102를 도 13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된 상부 제한 위치로 상승시킨다. 피스톤 막대 90은 다시 한번 전진하여 미리 결정된 양의 반죽이 통의 전단의 밖으로 압출되도록 한다. 미리 결정된 반죽양은 바람직하게는 3/4 내지 1inch 사이이다. 감지 장치 116은 미리 결정된 양의 반죽이 압출된 후에 측정을 한다. 전동기 94는 조절계에 의해 미리 결정된 양의 반죽이 압출된 후에 정지한다. 블레이드 102는 그 다음 전동기 110에 의해 아래쪽으로 작동되어 미리 결정된 두께로 반죽 조각을 자른다. 절단된 반죽은 캐치(catch) 판 118 위로 떨어진다(참조: 도 1).
첫 번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두 번째 실시예에서 잘리는 반죽양은 절단 적외선 감지장치 116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 장치는 적외선이 돌출되는 반죽에 의해서 깨질 때 절단 블레이드 102가 반죽을 절단하도록 신호한다. 그러므로, 두 번째 실시예에서(참조: 도 54 및 55), 압출기 680은 절단될 미리 정해진 양의 반죽을 전진시킨다. 일단 통이 비워지거나 반죽이 상당량 없어지면 압출기 680은 원위치로 되돌아온다.
압출기 680이 원위치로 복귀하면, 압출판 686을 포함하여 반죽 통은 통 복귀 기구 694에 의해서 반죽 절단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된다(참조: 도 54 및 55). 기구 694는 압출판 686 및 축 684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다. 기구 694는 회전하는 지렛대 암 696을 포함한다. 암 696은 핀 698에 대해 회전하며 도 54 및 55에서 보듯이, 스프링 700에 의해서 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암 696의 첫 번째 끝은 훅(hook) 702를 포함한다. 훅 702은 압출판 686에서 차단 오프닝 또는 노치(notch) 708에 연결되어 있다. 암 696의 두 번째 반대쪽 끝은 캠 피동절(follwer) 표면 704를 포함한다. 캠 피동절 표면은 선택적으로 정지 캠 706과 맞물려 있다.
반죽을 통으로부터 압출시키기 위해서 압출판이 통으로 전진하면, 훅 702는 도 54에 도시된 위치로 판 686과 함께 전진한다(도 54 및 55에서 보듯이 오른쪽으로). 판 686이 계속 전진하면서, 캠 피동절 704는 캠 706의 비스듬한 표면 710을 올라가, 암 606이 도 55에 도시된 위치로 시계방향으로 이동한다. 제동 712는 암696이 더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한다. 암 696 및 판 686은 통 26'으로 모든 반죽이 압출될 때까지 계속 전진한다. 압출기가 원위치로 되돌아오면, 훅 72는 통 26'의 뒤뚜껑 714와 맞물려 통 26'을 반죽 절단 스테이션으로부터 원위치로 되돌린다. 통 되돌림 기구 694는 통 26'을 미리 정해진 위치로 놓아서 빈 통 26'이 제거될 수 있게 한다. 정지 캠 706의 비스듬한 표면 710은 먼저 원위치의 통의 암 696의 캠 피동절 표면 704와 접촉하여 암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연이어 빈 통 26'을 미리 정해진 위치로 풀어 놓는다. 압출판 686을 포함하는 압출기 680은 원위치로 계속 되돌아온다.
반죽이 충분히 고형화되도록 바람직하게는 32 내지 33 °F 사이의 온도에서 반죽이 유지되어 같은 양의 반죽이 압출되도록 한다(즉, 반죽 조각은 동일한 원판 모양이다). 게다가, 반죽을 약 32 내지 33°F 사이의 온도에서 유지하는 것은 효모가 자라는 것을 막는데 도움이 된다. 약 직경이 4''에 두께가 3/4 내지 1''인 반죽의 총 무게는 120 내지 140gram(건조 중량)이다. 토핑(하기에서 설명됨)은 이렇게 낮은 온도에서 보관될 필요가 없고 약 40°F 의 온도에서 보관될 수 있다.
통 분배 도어
기구 694에 의해 빈 반죽 통 26'이 놓여지면, 통은 제거될 준비가 된다. 도 40 및 56 내지 59를 참조하면 통 분배 도어 기구 716이 도시되어 있다. 통 26'은 분배 도어 618 및 620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롤러 616에 지지된다. 빈 통 26'을 제거하기 위해서, 도어 618 및 620은 활주하면서 통 아래에서 개방되어(즉, 서로로부터 멀어져서) 통이 아래로 똑바로 떨어진다. 전체 하우징내의 공간이 제한적이고 통 랙 구역의 아래에 위치한 기구를 고려해야 하므로, 빈 통 26'은 똑바로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 618 및 620의 활주는 랙 720 및 피니언 722 드라이브 계 718에 의해서 이루어진다(참조: 도 57). 도어 618은 랙 720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 722에 의해 구동되는 랙 720은 전동기 724에 연결되어 있다. 전동기 724의 구동은 도어 618를 도어 620으로부터 멀리 또는 620을 향하여 활주하도록 한다. 도 618 및 620이 동시에 개방되어 통 26'을 똑바로 아래로 떨어뜨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을 곧장 아래로 떨어뜨리기 위해서 도어 618 및 620의 각각의 끝까지 케이블계가 갈고리 모양으로 걸고 있다. 도어 618은 단단히 연결된 케이블 728의 한쪽 끝 726을 갖고 있다. 케이블 728은 도르래 730 주위를 감고 있고 케이블 728의 두 번째 끝 732는 도어 620에 연결되어 있다.
도 58을 참조하면 두 개의 안내 절삭날 734은 도어 618 및 620에 장착되어 있다(도 58에서는 하나의 절삭날 734만을 볼 수 있다). 각각의 절삭날 734는 주판 738내에 있는 그루브(groove) 736의 안쪽에 달려 있다. 안내 절삭날 734는 도어 618 및 620이 직선을 따라 움직이도록 해 준다. 또한, 도어 618 및 620의 끝에는 주판 738에 고정되어 있어 도어 618 및 620이 주판 738으로부터 들리지 않게 되어있는 고정된 안내 트랙 740을 수용하도록 오려내었다.
스프링 742의 첫 번째 끈은 도어 620에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 742의 다른 끝은 주판 738에 고정되어 연결되어 있고 도어 618의 아래를 지나간다. 스프링742는 팽팽하게 당겨져 있어 두 도어와 케이블계 사이의 장력이 유지되어 도어가 폐쇄 위치에 머물도록 한다.
캐치 판 스테이션
도 1 및 4를 참조할 때 캐치판 118은 막대 120에 고정되어 연결되어 있다. 베벨(bevel) 기어 122는 막대 120에 고정되어 연결되어 있다. 베벨 기어 122는 고정된 베벨 기어 124와 맞물려 있다. 막대 120은 부싱 126 내에 장착되어 있다. 부싱 126은 막대 120이 부싱 126의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게 하지만, 부싱 126에 대해 막대 120의 어떠한 축이동도 못하게 한다. 부싱 126은 축 128에 대하여 부싱 126이 회전하도록 하는 전동기 127에 연결되어 있으며, 축 128은 막대 120을 도 1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1의 화살표 E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막대 120이 축 128에 대해 회전할 때, 베벨 기어 122는 베벨 기어 124와 맞물려 있는데, 124는 막대 120이 종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하여, 캐치판 118이 수평위치에서 수직위치를 지나서 거꾸로 뒤집혀 반대 수평위치로 약 180°회전하게 한다. 이 작동을 마치면 캐치판 118 위로 떨어지는 반죽 조각 144는 압력판 스테이션 18의 가열된 하부판 140의 중앙으로 이동된다.
도 5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와 일치하듯이, 캐치 판 118은 제거된다. 통 26'의 오프닝은 오른쪽을(도 59에서 보듯이) 향하고 있다. 반죽의 얇은 조각이 잘리면, 하부 압력판 140'은 750 지점에 위치하여 반죽 퍽 조각 144의 낙하점과 일치한다. 그러므로, 하부 압력판은 움직임이 가능하며, 즉, 처음에는750 지점에 반죽 절단기 아래에 위치하고, 반죽 퍽을 받아 그 다음엔 전진하여 752 지점에서 상부 압력판 142'의 아래 중앙에서 정지한다.
압력판 스테이션
도 15 내지 18을 참조할 때, 압력판 스테이션 18은 상부 가열된 판 142와 함께 반죽을 가열하기 위한 하부의 가열된 판 140을 포함한다. 하부 가열된 판 140의 상부 표면으로 떨어지는 반죽 144 조각은 통 26의 내부 직경에 해당하는 약 4''의 직경을 초기에 가지고 있다. 상부 가열된 판 142는 판의 상부 표면에 있는 가열 요소 146을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하부 가열된 140은 아래 표면에 위치한 가열 요소를 가지고 있다(도시하지 않음). 가열 요소는 상부판 142 및 하부판 140을 가열하여 반죽 조각 144를 미리 가열한다. 판 140 및 142는 반죽을 가열하는 동안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450℉ 사이의 온도에서 유지시킨다. 반죽을 미리 가열하는 이 단계는 당 업계에서 "액면(par) 굽기"로 알려져 있다. 하부판 40의 상부 표면 148은 중앙에 위치한 들어 올려진 플랫폼 150을 포함한다. 들어 올려진 플랫폼 150은 바람직하게는 원형이며 약 8''의 외부 직경을 갖고 있다. 플랫폼 150은 도 15에 도시된 상부판 142의 하부 표면 154내에 존재하는 오목한 부분의 내부 원통형 벽 152내에 꼭 맞는다.
상부판 142의 하부 표면 154는 하부판 140의 상부 표면 148과 접촉되도록 이동하여 움푹 들어간 공간 156을 만든다. 공간 156은 부분적으로 내부 원통형 벽 152, 원 모양의 테두리 158, 원 모양의 끝이 뾰족한 된 벽 구간 160, 비스듬한 벽표면 162 및 충분히 평평한 판모양의 표면 164에 의해 결정된다. 압력판 166은 벽 표면 162, 164에 의해 생성되는 움푹 들어간 공간 156내에 위치하여, 압력판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제한 위치에 놓일 때, 압력판 166의 하부 표면 168이 끝이 뾰족한 벽 표면 160의 내부 가장자리 부분과 평행이 되도록 놓인다. 판 166은 바람직하게는 약 4.5''의 외부 직경을 가지고 있어, 압력판의 직경이 반죽 조각 144의 직경보다 더 크다. 압력판 166은 위쪽으로 축 밑둥(stub) 170에 고정되어 연결되어 있다. 축 밑둥 보통 170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coil) 스프링 172에 의해 하부 제한 위치로 기울어져 있다. 축 170의 아래쪽 위치는 고정된 하부 제어장치 178 및 180에 인접한 핀 174 및 176에 의해서 제한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핀 174 및 176은 축 170은 통과하여 뻗어 있고 고정되어 연결된 하나의 핀을 구성한다. 제어장치 178 및 180은 원통형 튜브 182에 위치한 한벌의 신장된 홈 구멍의 하부 부분이며, 튜브 182는 플랜지(flange) 184에 의해 상부판 142에 고정되어 연결되어 있다. 원통 182에 있는 신장된 홈 구멍 또한 한벌의 상부 제어장치 186 및 188을 포함한다. 신정된 홈 구멍은 상부판 142를 향해 축 밑둥 170을 수직으로 움직이도록 이끈다.
도 2를 참조할 때, 상부판 142는 하부판 140의 위쪽으로 멀리 위치하여 캐치판 118이 반죽을 하부판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반죽 조각 144가 캐치판 118에 의해 하부 가열된 판 140위에 위치한 다음, 상부판 142는 압력판 166의 하부 표면 168이 약 4'' 직경의 반죽 조각에 닿을 때까지 하강하고, 반죽을 누르기 시작하며 동시에 반죽을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퍼트린다. 상부판 142는 기구 92가 통에 대해 작동하는 방식과 유사한 기구 190의 작동에 의해 하강된다. 상부판 142이 더 하강되면 압력판 166은 스프링 172의 압축으로 인하여 상부판 142를 향하여 움직인다. 스프링 172의 스프링 상수(constant)는 도 15, 15a 및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결정된 반죽의 최소 두께가 유지되면서 판 166이 반죽 조각 144를 충분히 누를 수 있도록 선택된다. 완전히 폐쇄된 위치에서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판 166은 원위치에서 상부판 142와 접촉하고 있다. 반죽은 압축되고 상부판 142와 하부판 140 사이에 놓여 있는 체임버(chamber) 156을 완전히 둘러 쌓을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퍼진다.
체임버는 피자빵 모양을 만들 수 있게 조형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외부의 고리모양으로 올려진 테두리 192를 포함한다. 원하는 경우에는 상부판 142의 테두리 158에 압축된 반죽의 테두리 192가 손으로 만든 피자빵 모양이 되도록 다수의 아래로 돌출된 결각(indentation)을 만든다. 체임버 156은 중앙이 가장 얇고 점차 각 α로 얇아 지면서 방사형 범위가 증가함에 따라 빵조각의 두께가 증가하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실시예에서 빵조각은 테두리 192의 바깥쪽 끝 두께가 0.2''이고, 빵조각의 중앙의 1.5'' 방사형 나비의 두께는 0.125''이다. 또한, 빵조각의 3'' 직경의 중심은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두께가 되도록 한다. 그러나, 빵조각은 또한 중앙에서 바깥쪽 끝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되게 할 수도 있다. 빵조각의 중앙을 더 얇게 함으로써, 피자 빵조각에 첨가되는 토마토 소스, 치즈, 페페로니, 소세지 및 버섯 등의 토핑이 바깥 테두리 192에 의해 규정되는 빵조각의 방사상 범위 내에 있도록 한다. 게다가, 피자는 빵조각의 중앙이 더 얇은 모양을함으로써 더 균일하게 요리된다.
상부 및 하부판은 400 내지 450 사이의 온도에서 유지되면서 도 15에 도시된 위치로 닫히고, 바람직하게는 반죽 재료 및 반죽의 두께에 따라 약 30 내지 45초 동안 닫힌 위치에서 유지된다. 물론, 전기 요인 및 다른 요인들 예를 들어, 높이에 따라서 다른 시간 범위도 숙련자들이 사용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부판은 도 15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2에 도시된 위쪽으로 들어 올려진다. 반죽은 이제 액면 굽기를 하여 반죽이 탄성을 잃고, 피자 빵조각 144의 형성된 모양을 유지하면서 스테이션에서 스테이션으로 이동한다. 게다가, 반죽을 미리 가열함으로써 오븐 24에서 요리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상부판 142는 바람직하게는 압력 제거 밸브(valve)가 달린 관통 구멍 194를 가지고 있다. 압력 제거 밸브 196은 반죽을 가열할 때 체임버 156내의 압력이 미리 결정된 수준에 도달하면 개방되도록 고안되어 있다. 게다가, 압력판 166의 하부 표면 168(또는 상부판 142의 하부 표면)은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향하는 핀 198을 가지고 있다. 핀 198은 신장되어 반죽 144에 압력제거 구멍을 뚫게 하고 반죽으로부터 증기가 빠져나오도록 한다. 핀 198은 반죽을 완전히 관통하여 뻗지 않는다; 즉, 핀 198은 심지어 상부판 142가 15에 도시된 폐쇄 위치에 있어도 승강된 플랫폼 150의 상부 표면에 접촉하지 않는다.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부판 142 및 하부판 140은 400 내지 450℉의 온도 범위로 판을 가열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150℉ 에서 유지된다.
도 1, 19 및 19a를 참조하면, 액면 굽기를 한 피자 조각 144를 하부판 140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 20으로 이동시키는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장치 201은 선택적으로 회전하는 축 204에 고정된 암 202를 포함하고 있어, 암 202가 도 19에 점선으로 도시된 원위치와 도 19에 실선으로 도시된 맞물린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암 202는 미리 길이가 정해진 다수의 지지 핀 206을 포함하고 있어, 암 202가 맞물리 위치에 오면 핀 206의 바깥 끝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피자 빵조각 144의 상부 표면을 뚫고 들어간다. 전동기 또는 관형 코일 210은 선택적으로 축 204를 작동시켜 암 202가 원위치와 맞물린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한다.
거꾸로 할 수 있는 전동기 212(도 1)는 구조틀 200에 고정되어 장착되어 있다. 작동시 전동기 212은 산출 축 214가 회전하도록 한다. 피니언 기어 216(도 19)은 축 214의 바깥쪽 끝에 고정되어 부착되어 있다. 기어 216은 전동기 212가 작동할 때 축 214와 함께 회전한다. 피니언 기어 216의 기어 톱니는 랙 218의 기어 톱니와 맞물려 있다. 랙 218은 고정된 트랙 220에 의해 도 19에 두 개의 화살표 A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움직인다. 하우징 208은 랙 218에 고정되어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전동기 212가 작동될 때, 피니언 216은 회전하며 따라서 랙 218이 원위치에서 전진한 위치로 또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작동시에는 상부판 142는 도 2 및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위쪽으로 움직인다. 암 202 및 랙 218은 각각 초기에는 원위치에 있다. 전동기 212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 216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첫 번째 방향으로 구동되어, 랙 218이 도 19에서처럼 원위치에서 전진위치로 왼쪽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일단 랙 218이 전진 위치에 있게 되면, 관형 코일 210은 작동되어 암 202가 원위치에서 맞물린 위치로 이동하도록 한다. 핀 206의 바깥쪽 끝은 액면 굽기한 피자 빵조각 144와 맞물리게 된다. 핀 206의 바깥쪽 끝은 부분적으로 익힌 빵조각 144로 침투할 필요가 없다. 핀 206의 바깥쪽 끝은 단지 빵조각 144의 상부 표면에 국소의 을 만든다.
거꾸로 할 수 있는 전동기 212는 그 다음 반대 방향(즉,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으로 구동화시켜, 피니언 기어 216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랙 218이 도 19에서와 같이 전진 위치에서 원위치로 즉, 오른쪽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이 이동시에 암 202는 전동기 또는 관형 코일 202에 의해 맞물린 위치에서 유지된다. 일시적으로 핀 206과 맞물린 액면 굽기한 피자 조각 144는 바닥판 140에서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 20의 스테이션 번호 I로 표시된 판 222로 이동한다.
도 60을 참조할 때 두 번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바닥판 140'은 반죽을 압축할 때 열을 공급하는 판의 아래에 위치하는 두 개의 고리 가열기 754 및 756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판 140'은 이동가능하다. 그러므로, 나사식 드라이브 막대 758은 판 140인 위치 750 및 752 사이를 움직이게 하는데 사용된다. 롤러 트랙 760은 이 움직임을 부드럽고 쉽ㅂ게 만들어 준다. 이 하우징은 두 개의 롤러 베어링을 가지고 있다: 하나의 베어링 762는 판을 굴리는 역할을 하고, 다른베어링 764는 판을 일직선으로 하도록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닥 압력판 140'은 총 여덟 개의 베어링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네 개의 롤러 베어링 하우징을 가지고 있다. 이 베어링은 특히 압력이 작동시, 바닥판 14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당한 중량을 지탱하고 있다.
도 61 및 62를 참조할 때, 상부판 142'를 올리거나 낮출 수 있는 압축판의 네개의 암을 갖는 바이스(vise)형 766이 하부판 140'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압축판의 암 768은, 드라이브 너트로 작용하며 회전하는 나사식 드라이브 축 772에 의해 움직이는 내부가 나사식인 빔 770에 고정되어 있다.
도 61은 상부판 142' 및 원위치에 있는 암 768을 나타낸다. 점선으로 표시된 원은 상부판 142'가 신장된 위치에 있을 때, 나사식 빔의 위치를 표시한다. 압축 거리는 짧은 암 형태로 인하여 첫 번째 실시예에 비하여 현전히 작아진다. 상부 압력판 142'은 여러 개의 증기 출구 774를 가지고 있다. 구멍 774는 두 개의 판이 반죽을 압축할 때 증기가 194'를 통하여 빠져나가 압력을 낮추게 된다.
도 62는 신장된 위치에서의 상부 압력판 142'를 도시하고 있다. 상부 압력판은 또한 압축시 판을 데우는 고리 가열기 146'를 가지고 있다. 나사식 빔 770은 빔이 부드럽고 쉽게 움직일 수 있도록 롤러 트랙계에 장착되어 있다. 상부 압력판 142'는 판의 양쪽 면에 있는 축에 달려 있다. 바이스형 압력판의 구조로 작용하는 상부판은 네개의 기둥에 의해 지지된다.
도 59 및 60을 참조할 때, 선형 운송 암 776은 부분적으로 요리된 빵조각 144'를 바닥 압력판 140'으로부터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 20'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 운송 암 776은 첫 번째 제한 위치 778 및 두 번째 제한 위치 780 사이에서 이동한다. 운송 암은 나사식 막대 782에 의해 부분적으로 요리된 빵조각 144'을 바닥 압력판 140'으로부터 인덱스 스테이션 20'으로 밀어 상당 거리를 이동한다. 선형 베어링 784 및 안내 축 786 설비는 운송 암 776의 이동시 정렬을 하도록 사용된다.
암 776은 부분적으로 요리된 빵조각 144'를 쉽게 받을 수 있는 활 모양의 788 차단기를 가지고 있다. 활 모양은 빵조각 144'가 바닥판 140'에서 인덱스 스테이션으로 이동할 때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
도 1, 4 및 34 내지 36을 참조하면,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 20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여섯 개의 스테이션, 즉, 스테이션 I, II, III, IV, V 및 VI이 각각 60°씩 떨어져 있다.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 20은 120°씩 떨어져 있는 세 개의 판 222, 224, 226을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판은 바람직하게는 판의 전체 중량을 줄일 수 있는 다수의 관통 구멍 223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판 222, 224, 226을 포함하여 피자 빵조각 144와 접촉하는 모든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TEFLON과 같은 점착성이 없고 독성이 없는 물질로 코팅되어 있다. 각각의 판 222, 224, 226은 도 1에 도시된 가장 바깥쪽의 방사상 위치와 도 4에 실선으로 도시된 가장 안쪽의 방사상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움직인다. 간략히, 판 224에 대해서만 기술하기로 한다. 그러나, 나머지 판 222, 226의 구조및 작동도 판 224와 동일함은 자명하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밑둥 228은 판 224로부터 아래로 달려있다. 피니언 기어 230은 축 밑둥 228의 축소된 직경 부분 232에 고정되어 부착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 230은 랙 234의 기어 톱니와 맞물리는 기어 톱니를 가지고 있다. 다수의 바깥쪽으로 방사형으로 뻗은 갈라진 암 238은 중앙축 236에 고정되어 연결되어 있다. 암은 동일하게 120°씩 떨어져 존재한다. 축 236은 웜(warm) 기어 드라이브를 경유하여 전동기 237에 의해 구동된다(참조: 도 36). 각각의 암 238은 방사형으로 가장 바깥쪽으로 갈라져 있다(참조: 도 1). 분기점은 암 238의 바깥 끝을 첫 번째 부분 240 및 두 번째 부분 242로 나눈다. 축 밑둥 228은 신장된 채널(channel) 241 내에 있다. 랙 234는 암 238의 단지 242 부분에만 위치한다(참조: 도 34).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 238의 각각의 부분 240 및 242는 랙 234 위에 있는 U자 모양의 홈 244 및 246을 포함한다. 판 248은 U자 모양의 홈 244 및 246로 활주한다. 판 248은 판 224를 축방향과 회전 방향으로 지탱하며, 베어링이 축 밑둥 228과 판 224를 회전하도록 한다. 축소된 직경의 축 232의 하부는 스프링으로 연결된 한쌍의 포착 날개 250 및 252 사이에 끼워져 있다. 날개 250은 스프링 254에 의해 바깥쪽으로 힘을 주고 있고 날개 252은 스프링 256에 의해 안쪽으로 힘을 주고 있다. 날개 250 및 252는 다리 260 및 262를 갖는 U자형 브래킷 258내에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 254는 U자형 브래킷 258의 다리 260과 날개 250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스프링 256은 U자형 브래킷 258의 다리 262과 날개 252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날개 250 및 252는 외부의 볼록한 표면 251 및 외부의 오목한 표면 253을 가지고 있어, 날개 250 및 252 사이 축 228의 직경이 감소된 부분 232의 삽입과 제거가 용이하다(참조: 도 37).
U자형 브래킷 260은 랙 264에 고정되어 장착되어 있다. 랙 264의 톱니는 전동기 267의 축에 장착된 피니언 266의 톱니와 맞물려 있다. 랙 264를 방사형의 안쪽 위치로 움직이기 위해서, 전동기 267은 작동되어 피니언 266이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랙 264는 방사상의 가장 바깥쪽 위치에서 가장 안쪽으로 움직여, U자형 브래킷 258이 가장 바깥쪽 위치에서 가장 안쪽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축 228의 직경이 감소된 부분 232가 날개 250 및 252 내에 있기 때문에, 축 228은 가장 바깥쪽 위치에서 가장 안쪽으로 이동한다. 축 228이 방사상의 안쪽으로 이동하면, 피니언 230은 랙 234와 맞물려서 축 228이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직경이 감소된 부분 232는 비록 날개 250 및 252 사이에 고정되어 있어도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 브래킷 258의 방사형 이동은 방사상으로 신장된 고정 U자형 트랙 270에 의해 인도된다. 환언하면, 랙 264 및 U자형 브래킷 260은 방사상으로 이동이 가능하지만 회전할 수는 없다.
회전할 수 있으며 방사상으로 움직일 수 있는 판 222, 224, 226이 모두 방사형으로 안쪽으로 위치하면, 축 236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60°회전하여,암 238이 60°회전하게 된다. 암 238의 회전은 축 228을, 좀 더 구체적으로는, 238의 직경이 감소된 부분 232를 스프링이 달린 날개부 250 및 252 의 표면 253으로부터 풀어 놓게 한다. 환언하면, 전동기에 의해 회전하는 축 236에적용되는 힘은 축 228의 직경이 감소된 부분 232를 잡고 있는 스프링 254, 256의 힘를 극복하기에 충분하다. 축 228의 직경이 감소된 부분 232은 60°활모양으로 이동하고 스프링 날개 250, 252와 마주보는 다음 스테이션으로 덥석 이동한다. 그런 다음, 전동기 268은 반시계 방향으로 작동되어 랙 264가 방사형 바깥으로 이동하게 한다. 피니언 230은 다음 스테이션의 랙 234와 맞물려 있어, 판 224가 방사형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동안 회전하도록 한다. 네 개의 스테이션(즉, 스테이션 번호 II, III, IV 및 V)의 각각은 손으로 신선한 반죽 위에 토핑을 얹는 방식과 유사하게 피자 빵조각에 토핑을 얹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두 개의 전동기 790 및 792가 사용된다. 전동기 790은 판 794가 방사상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전동기 792는 판 794가 판 794의 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한다. 두 개의 전동기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방식으로 피자 빵조각 144'위에 양념이 얹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는 바람직하게는 각 나선 사이에 1/2inch를 띄우고 빵조각 위에 나선형으로 뿌린다. 페페로니는 반면에, 바람직하게는 파이의 바깥쪽에 45도 각도로 돌아가면서 공급한다. 그러므로, 각 스테이션에서 전체적으로 유연한 계를 필요로 한다. 두 개의 전동기를 사용함으로써, 판의 위치나 방향이 정확하게 조절된다.
전동기 792는 판에 곧바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전동기 792의 회전 속도는 판의 회전 속도이다. 두 번째 전동기 796은 판 794를 방사상으로 전진시키고 다시 원위치로 되돌리는 데 사용된다. 랙 798 및 피니언 796계(판계의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가 사용된다. 피니언 796은 곧바로 전동기 790의 산출 출에 장착되어 있다.
도 1 및 20 내지 22를 참조하면, 스테이션 II에 위치한 소스 분배기가 도시되어 있다. 소스 분배기 272는 원통형 벽 276 및 바닥 벽 278로 구성된 콘테이너(container) 274를 포함한다. 피자 위에 분배되는 소스는 콘테이너 274의 내부 체임버 280에 들어 있다. 체임버 280는 버섯형 밸브 입구 284을 경유하여 펌핑 체임버 282와 유동 연결되어 있다. 도 20 및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핑 하우징 296은 나사식으로 콘테이너 274에 유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펌핑 하우징 296 내에 있는 다수의 관통 구멍 298은 콘테이너 274에 있는 소스가 펌프 하우징 296의 내부 체임버와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밸브 출구 286은 펌프 하우징 296에 같은 식으로 유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밸브 출구 286은 보통 폐쇄 위치를 향해 있다. 반대 위치 290은 원통형 튜브 292 내에 장착되어 있다. 피스톤 290의 첫 번째 면(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290의 왼쪽으로)에 접해 있는 튜브 292의 내부 위치는 펌핑 체임버 282와 유동 연결되어 있다. 피스톤 290이 앞으로 움직이면(즉, 펌핑 체임버 282 쪽으로 움직임), 밸브 입구 284는 닫히고 밸브 출구 286은 체임버 282내의 유압에 의해서 개방되어 소스가 체임버 282로부터 밸브 출구 286을 지나 방출구(nozzle) 294를 통과하여 방출구 294 아래에 위치한 판 222, 224, 226 중 하나의 판 위에 있는 피자 빵조각 144위로 뿌려진다. 펌핑이 끝나면, 피스톤 290은 바람직하게는 펌핑 체임버 282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로 먼저 정해진 거리만큼을 되돌아 온다. 동시에, 밸브 입구 284는 도 20에 실선으로 나타낸 폐쇄 위치에서 유지된다. 그러므로, 방출구 294 및 밸브 출구 하우징 288내에 남아 있는 어떠한 액도 펌핑 체임버 282로 다시 되돌아 올 것이다.
다음 펌핑 순환을 작동시키기 위해서, 밸브 입구는 도 20에 점선으로 나타낸 개방 위치로 이동한다. 피스톤 290은 그 다음 펌핑 방향으로 작동되어, 미리 정해진 양의 소스를 방출구 294의 아래에 놓인 다음 피자 빵조각에 분배한다. 소스가 피자 빵조각에 분배되는 동안, 판 220, 224, 226의 상부 표면에 위치하는 피자 빵조각은 방사상의 가장 안쪽 위치로부터 가장 바깥쪽 위치로 이동된다. 왕복 운동이 시작되면, 방출구 294는 바람직하게는 위치 302에서 빵조각의 위에 오게 된다(참조: 도 22). 판 222가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움직일 때, 판은 자신의 축에 대해 상기에서 설명된 기작에 의해 회전한다. 소스는 그러므로 도 22의 점선으로 표시된 길 304를 따라서 빵조각에 나선형으로 분배된다. 그러므로, 소스는 손으로 소스를 신선한 피자 빵조각의 위에 바르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피자 빵조각의 상부에 분배하게 된다. 분배 순환의 처음에는 방출구 294는 바람직하게는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20의 중앙축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피자 빵조각의 144의 바로 윗부분에 위치한다. 판이 방사상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할 때, 방출구 294는 빵조각 144의 중앙으로부터 상당히 위쪽에 존재한다. 반대로, 방출구는 초기에 피자의 중앙의 위쪽에 있다가 판의 방사상 바깥쪽으로의 움직임이 끝이 났을 때, 방출구는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20의 중앙축에 가까이 있는 피자 빵조각 144의 위쪽에 있게 된다. 체임버 280은 때때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콘테이너 272내에 포함되어 있는 소스를 섞어 주어 소르를 일정한 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분리된 교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6을 참조할 때, 소스 분배기의 두 번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소스를 부분적으로 요리된 빵조각 144'의 위에 뿌리기 위해 전통적인 연동운동을 하는 펌프 800을 사용한다. 연동운동을 하는 펌프 800은 도식화되어 있으며 어떠한 전통적인 연동운동을 하는 펌프도 사용될 수 있다. 펌프는 바람직하게는 튜브 804를 짜는 롤러를 포함하여 액체가 짜여진 튜브를 통과하지 못하게 효과적으로 막는다. 펌프가 작동할 때, 미리 정해진 양의 소스가 빵조각 144'의 위애 분배된다.
연동운동을 하는 펌프는 반복적으로 짜내며 유연한 튜브 804를 풀어주는 다수의 롤러 802를 포함한다. 튜브 804의 첫 번째 끝은 소스 저장소 808의 출구와 유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빵조각 144'를 받치고 있는 판 794는 판 자체의 축 810에 대해서 회전하고 정지된 튜브 804의 두 번째 끝 812이 소스를 파이위로 떨어뜨리는 동안 직선으로 이동한다(즉, 방사상의 바깥쪽으로). 더구나, 나선형의 소스가 빵조각 144의 위에 생성된다. 물론, 원하는 경우에는 소스는 판 794가 방사상 안쪽으로 움직이거나 양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분배될 수도 있다. 이런 형태의 분배계는 소스가 고르게 분배되도록 하고 소스가 뭉치는 것을 상당히 제거한다.
소스를 담고 있는 저장소 808은 바람직하게는 바닥이 깔대기 모양이어서, 소스가 출구 814를 통과하여 튜브 804의 첫 번째 입구 806으로 빠져 나가게 한다. 교반기 816은 소스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저장소 808의 내부에 위치한다. 저장소 808의 꼭대기에는 다수의 소스 콘테이너 818이 있으며, 각각은 저장소 808을 연결하는 콘테이너 어댑터(adapter) 820을 갖고 있다. 저장소 808은 따라서 소스 콘테이너 818로부터 떨어져 있다. 그러므로, 분배기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스 콘테이너 818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테이너 818은 저장소 808에 연결되어 있고, 일단 콘테이너가 비워지면 제거되어 새로운 꽉 찬 콘테이너 818로 교체되어 분배기를 채우고 계가 깨끗하고 효율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 23 및 24를 참조할 때, 스테이션 III에 있는 치즈 강판 306이 도시되어 있다. 치즈 강판은 기어 변형 단위 310을 통해 회전가능한 산출 축 312에 연결된 고정 전동기 308을 포함한다. 축 312는 원판 314에 고정되어 연결되어 있다. 원뿔형의 구멍 뚫린 강판 316은 원판 314에 고정되어 연결되어 있다. 강판 316은 바깥 표면에 전통적인 치즈 강판의 바깥의 융기와 유사한 다수의 볼록한 융기 318를 갖고 있다. U자 모양의 슬리브 320는 강판 316의 하부 및 측부에 있다. 고정된 통 322는 강판 316의 위에 위치한다. 통 322는 슬리브 320의 먼 다리 부분 사이에 위치한다. 치즈 324의 사각형 슬리브는 통 322안에 있다. 치즈는 예를 들어, 모짜렐라, 로마노(romano), 파멘산(parmensan) 등 고객의 입맛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게다가, 중량 326은 치즈 324의 슬리브 위에 있어서, 치즈가 미리 정해진 최소의 압력으로 강판에 적용되도록 한다.
미리 정해진 양의 치즈가 치즈 강판의 320의 출구 아래에 있는 피자 빵조각의 위에 분배되도록 하기 위해서, 전동기 308이 작동되어 강판 316이 회전하도록 한다. 중량 326은 치즈 324에 압력을 가하여 치즈가 회전하는 강판 316과 접촉하도록 해준다. 치즈는 그러므로 신선하게 갈리고, 도 22에 도시된 나선형으로 피자빵조각 위에 얹어진다. 원한다면 치즈는 또한 빵조각 144가 신장된 방사상의 바깥쪽 위치에서 원래의 방사상의 내부 위치로 되돌아 오는 동안 피자에 뿌려질 수 있다. 그러므로, 여분의 치즈가 피자 빵조각에 얹어진다. 마찬가지로, 소스를 포함한 어떠한 토핑도 방사상 안쪽 및 바깥쪽으로 움직이는 동안 여유분이 피자 빵조각에 더해질 수 있다.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이 작동되어 피자 빵조각이 다음 분배 스테이션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원한다면, 두 개의 분배 330, 331는 각각의 분배 스테이션에 장치한다. 예를 들어 분배기 330의 바깥 출구는 판 222, 224, 226 중의 하나가 방사상 안쪽 위치에 있을 때 피자 빵조각의 중앙의 위에 위치한다; 반면에 분배기 332는 판 222, 224, 226 중의 하나가 방사상 안쪽 위치에 있을 때 피자 빵조각의 방사상 바깥쪽의 위치한다. 그러므로, 분배기 330, 332는 판이 방사상 안쪽 위치에서 방사상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동안 동시에 토핑을 피자위에 분배할 수 있다. 게다가 각각의 분배기 330, 332는 각 스테이션에 있는 다수의 토핑 통을 가지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분배기 330, 332는 네 개의 분배 저장소 가지고 있다. 통은 각각의 분배기의 중앙축 334, 336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그러므로, 토핑이 추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반대로, 저장소는 예를 들어 다른 종류의 치즈와 같은 다른 토핑을 가질 수 있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종류를 선택하여 피자에 적용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도 67 및 68을 참조하면, 버섯 분배기 822가 도시되어 있다. 버섯 분배기 822는 버섯 826 및 바닥 하우징 828로 채워진 저장소 824를 포함한다. 저장소 824및 하우징 828는 분리될 수 있다. 저장소는 바람직하게는 버섯 콘테이너이므로, 새로운 버섯 배치(batch)가 필요할 때는 이전 저장소는 제거될 수 있고 새로운 것으로 교환될 수 있다.
바닥 하우징 828은 버섯이 분배기로부터 떨어지도록 하는 차단기 832가 달린 주요한 하우징 판 83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일정 속도로 회전하는 교반기 암은 버섯 826을 차단기 오프닝 832을 통해 밀어낸다. 교반기 암 834는 바람직하게는 네 개의 암을 가지고 있으며, 암 836은 나머지 세 개보다 길어서 버섯을 저장소 824의 내부 원통형 벽으로부터 밀어낼 있게 한다. 게다가, 필요시에는 두 번째 셋트의 암을 첫 번째 셋트의 암 위에 두어 저장소내에서 높은 속도로 버섯을 교반할 수 있게 해준다.
덮개 838은 교반 암 824의 위에 위치한다. 덮개 838은 아래의 차단 구멍 832를 덮고 있는 얇은 조각이다. 교반기 834 암이 회전할 때, 버섯은 원심력에 의해서 저장소 834의 벽쪽으로 밀린다. 밀개 840은 덮개 838 위에 있다. 밀개 840은 덮개 위에 있는 버섯을 밀어준다. 교반기 암 834 및 밀개 840은 드라이브 전동기 844에 연결된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한 축 842에 연결되어 있다. 도어(도시하지 않음)는 차단기 832의 아래에 위치한다. 이 도어는 분배기가 작동할 때에 열리고 분배기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닫힌다. 이 도어는 관형 코일에 의해 작동되거나 본 기술의 숙련자들이 하는 방식에 의해 인덱스 판의 아래에 연결되어 있다. 물론, 버섯의 크기에 따라서, 차단 구멍은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잘 달라 붙는 성질의 버섯이 벽에 붙지 말고 쉬게 떨어져야 하기 때문에, 저장소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점성이 없는 물질로 만들어 졌거나 코팅되어 있다. 필요시에는 통을 전부 덮고 있는 밀개 암이 버섯을 벽으로부터 떼어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치즈 분배기는 버섯 분배기와 동일하다. 이 치즈 분배기는 바람직하게는 과립상의 치즈를 사용한다. 각각의 치즈 과립은 입방체 모양이며, 약 1/8의 1/8의 1/8inch의 크기이다. 각각의 과립은 재빨리 동결시킨다. 신선하게 갈린 치즈와 달린 과립상 치즈는 훨씬 다루기가 쉽다. 과립은 파이 아래로 똑바로 떨어지나, 갈린 치즈는 빵조각의 옆쪽의 바깥에 때때로 떨어질 수도 있다. 게다가, 과립상의 치즈를 사용할 때에는 치즈 강판의 바퀴를 주기적으로 청소할 필요가 없다.
과립상 치즈의 또다른 장점은 분배 또는 분산이 훨씬 균일하다는 점이다. 파이는 한군데 집중되지 않고 치즈가 균일하게 덮인다. 교반 암은 단지 하나의 전동기를 필요로 하므로, 이전 치즈 강판 분배기의 치즈를 미는 전동기는 제거할 수 있다. 더구나, 두 개의 동일한 분배기를 두는 것이 두 개의 서로 다른 분배기를 두는 것에 비해서 제조 비용 측면에 있어서 훨씬 경제적이다. 이 두 번째 실시예의 분배기의 전체 크기는 이전 분배기보다 작아서, 기계가 조합될 때 더 큰 유연성을 가질 수 있게 한다. 물론, 버섯 분배기 822는 예를 들어 야채와 같은 다른 재료(즉, 후추, 브로콜리(broccoli) 등)를 분배하는 데에 사용될 수도 있다.
페페로니 분배기
도 69 내지 75를 참조하면, 페페로니 분배기 846이 도시되어 있다. 페페로니 분배기 846은 미리 정해진 양의 막대형 페페로니를 수직으로 저장하고 있다가 얇은 조각으로 자르고 페페로니 분배기 846의 아래에 위치하는 빵조각 144의 위에 페페로니 조각을 떨어뜨린다. 분배기 846은 막대형 페페로니 인덱스서(indexer) 848, 절단 블레이드 850, 블레이드 하우징 852, 편심의 드라이브 원판 854, 막대형 페페로니 밀개 854 및 페페로니 적하기 858을 포함하고 있다.
막대형 페페로니 인덱서 848은 미리 정해진 양의 원형 차단기를 갖고 있는 튜브걸이 판 860을 포함한다. 튜브걸이 판 860은 베벨 기어 866에 고정된 축 864의 중앙에 대해 회전한다. 베벨 기어 866은 전동기에 연결된 베벨 기어 868과 맞물려 있다(도시하지 않음).
처음에는 모든 튜브는 바람직하게는 막대형 페페로니 870'로 채워져 있다. 절단 스테이션에서, 각각의 막대는 막대의 끝까지 얇은 조각으로 잘린다. 이 때, 감지장치(도시하지 않음)는 인덱서 848에 신호를 보내 한번 회전하도록하여(즉, 미리 정해진 각만큼 회전하여), 신선한 새로운 막대가 절단 스테이션에 위치하게 된다. 튜브걸이 862는 인덱싱(indexing)하고 전단하는 동안 막대형 페페로니 870을 인도하는 역할을 한다.
블레이드 850 및 블레이드 하우징 852는 도 70, 71, 72, 75 및 75에서 가장 잘 나타나 있다. 블레이드 850은 바람직하게는 원형의 부드러운 형이고 톱니가 없다. 블레이드 850은 바람직하게는 모난 끝부분을 가지고 있어, 접촉시 매우 날카로운 부분이 닿게 된다. 블레이드 850은 중앙축에 대해 회전하고 정지된 페페로니 막대 870 방향으로 전진하여 절편을 만들고 그 다음 다시 순환하기 위해 원위치로 온다.
블레이드 조합은 블레이드 하우징 852에 연결되어 있으며, 고정된 안내 막대 874를 따라 네 개의 선형 베어링 872에 안착되어 있다. 블레이드 850은 하우징 852 아래에 위치하고, 반대로 페페로니 막대 870은 블레이드 하우징 852의 위에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의 배치로 인하여, 블레이드 850 및 하우징 852가 페페로니 막대 870을 향하여 전진할 때, 블레이드 850이 막대 870과 접촉하여 막대를 자를 때까지, 막대 870은 하우징위에 있게 된다. 이 때, 블레이드 850은 막대 870은 지지하고 있는다. 블레이드 및 하우징의 왕복운동은 매우 빨라서 이동시 페페로니 막대 870이 약간의 높이 변화에 의해서 영향 받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의 배열 때문에, 각각의 페페로니 조각은 일정한 두께로 잘리게 된다.
편심의 원판 854는 블레이드 및 블레이드 하우징 852가 페페로니 막대 870에 대해서 왕복운동을 하도록 한다. 도 71 및 72를 참조하면, 원판 854는 연결 막대 878에 고정된 분지 구멍 876을 가지고 있으며, 막대 878은 다시 그 반대 끝 880이 블레이드 하우징 852에 연결되어 있다. 원판 854의 회전은 원판의 회전식 움직임을 블레이드 하우징 852의 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킨다. 선형 베어링 872 및 안내 막대 874는 블레이드 하우징 852를 선형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물론, 원판 854의 편심거리는 블레이드 850이 페페로니 막대를 자르는 절단의 세기를 결정한다.
블레이드 850의 왕복운동이 매우 빠르기 때문에(즉, 약 초당 하나의 조각을자를 수 있도록 충분히 빠르다), 페페로니 막대 추진기 856은 페페로니 막대 870이 블레이드 850에 의해 조각으로 잘리기 전에 블레이드 하우징 852의 표면에 있어야 한다. 도 73을 참조할 때, 연결된 회전하는 나사식 너트(nut) 878에 의해 움직여서 막대 876을 선형으로 신장하거나 후퇴하도록 하는 나사식 막대 876이 도시되어 있다. 나사식 막대 876의 하부 끝에는 스프링이 달린 추진기판 880이 페페로니 막대 870과 접촉하고 있다. 스프링 882는 핀 852와 페페로니 막대 870 사이에서 일정한 힘을 유지하고, 밀기를 멈추었을 때 드라이브계에 신호를 보내도록 하는데 필요하다.
플런저(plunger) 막대 884는 추진기판 880에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 882는 판을 아래로 밀고, 일단 접촉하면 판 880은 나사식 막대가 아래로 움직임에 따라 위로 움직인다. 나사식 막대 876은 페페로니 막대 870과 접촉하고 있는 추진기판 880에 연결된 플런저 막대 884가 올라가고 나사식 막대가 멈추도록 신호를 보내는 스위치를 작동시킬 때 전진을 멈추게 된다.
페페로니 조각이 막대 870으로부터 잘릴 때, 조각은 바람직하게는 빵조각 144 위에 고르게 떨어진다. 페페로니 조각은 둥글고 얇은 모양이므로, 빵조각에 떨어져 뒤집히거나, 심지어 수직으로 떨어지고 빵조각 밖으로 튕겨져 나갈 수 있다. 그러므로, 페페로니 적하 기구 858은 페페로니 조각이 파이에 고르게 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페페로니 적하기 858을 도 76에 잘 도시되어 있다. 페페로니 적하기 858은 절단 블레이드 850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여, 잘린 조각을 잡을 수 있다. 적하기858은 중앙점 892에 대해 회전하는 두 개의 암 888, 890을 포함한다. 암의 끝은 블레이드 하우징 판 852에 고정되어 있어, 블레이드 하우징 판 852이 전후로 왕복운동할 때, 암이 중앙 892에 대해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한다. 암의 끝은 노모양으로 확장되어 있어서, 절단되는 동안 페펠로니의 잘린 조각을 잡을 수 있다(암은 잡는 위치에서는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원위치에서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암은 각각의 끝으로부터 떨어져 좌우 이동을 하여 서서히 잘린 페페로니 조각을 유리하므로, 빵조각 144위에 균등하게 떨어뜨린다.
모든 토핑이 피자 빵조각위에 놓여진 다음,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이 피자 빵조각을 스테이션 VI으로 회전시킨다. 이 스테이션에서 피자는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 20으로부터 승강 스테이션 22으로 운송될 준비가 된다. 승강 스테이션 22은 피자를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로부터 아래에 놓인 오븐으로 이동시킨다.
요리되지 않은 피자 빵조각 144는 방사상 가장 안쪽 위치의 스테이션 VI으로 이동된다. 그 다음, 회전하는 판 222, 224, 226은 도 25 및 도 4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 가장 바깥쪽 위치로 이동된다. 틀 200은 한 벌의 초승달 모양의 조각 342, 344를 포함한다. 각각의 조각 342, 344는 판이 스테이션 VI 및 방사상 외부 위치에 있을 대, 판 222, 224, 226 중의 하나의 외부 테두리와 상응하는 모양을 갖는 내부 주변의 표면 346, 348을 갖고 있다. 초승달 모양의 판 350은 암 352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다. 암 352 및 초승달 모양의 판 350을 첫 번째 원위치에서 두 번째 신장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체인 354에 암 352는 고정되어 연결되어있다. 원위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고 도 25에서는 위치 A이다. 완전히 신장된 위치는 도 25에 위치 C에 도시되어 있다. 암 352 및 초승달 모양의 판 350을 위치 A에서 위치 C로 이동시키기 위해 첫 번째 방향으로 회전하며, 위치 C에서 위치 A로 이동시키기 위해 암 및 판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전환가능한 전동기 356에 의해 체인 354는 구동된다. 초승달 모양의 판 350의 앞표면 부분 358은 활모양이어서 피자 빵조각 144의 바깥 테두리와 상응한다. 그러므로, 초승달 모양의 판 350이 위치 A에서 위치 C로 이동하는 동안, 표면 358은 피자 빵조각 144의 바깥 테두리 표면의 일부분과 맞물려 있고, 피자를 판 222, 224, 226으로부터 승강 스테이션 22에 위치한 승강판 360으로 이동시킨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 352 및 판 350은 요리되지 않은 피자 144를 승강판 360으로 부분적으로 이동시킨다.
도 34a, 34b, 35a를 참조하면, 인덱스 판 스테이션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간략히, 다른 인덱스 스테이션의 부분만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지 두 개의 판 510만을 사용한다. 판 510은 바람직하게는 서로로부터 180°떨어져 위치한다. 게다가, 각 판 510은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의 중앙축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각 판 510은 가장 안쪽의 방사상 위치와 가장 바깥쪽의 방사상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각 판 510은 중앙축을 갖고 있으며, 가장 안쪽의 방사상 위치와 가장 바깥쪽의 방사상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는 동안 중앙축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판의 축 515는 판 510에 딱 맞는다. 안내 블록(block) 520, 기어 550 및 마이터(miter) 기어 545는 도 34a 및 3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515에 놓여 있다. 안내 블록 520은 암 525내에 미끄러지며 들어간다. 랙 565는 암 525의 아랫쪽 부분에 고정되어 연결되어 있다.
전동기 535는 안내 블록 520에 장착된 전동기 브래킷 530에 장착되어 있다. 마이터 기어 540은 전동기 535의 축에 고정되어 있다. 마이터 기어 540은 판 축 515에 고정되어 연결된 마이터 기어 545와 맞물려 있다. 그러므로, 판 510은 전동기 535가 회전하는 속도와 같은 속도로 회전한다.
기어 550은 판 축 515에 고정되어 있으며 기어 555와 맞물려 있다. 기어 60은 기어 555에 직접 고정되어 있다. 기어 555, 560이 모두 숄더 스크루 570에 의해 블록 520을 안내하도록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기어 555, 560은 같은 속도로 회전한다. 기어 560은 랙 565와 맞물려 있어, 모든 조합(즉, 판 510, 축 515, 안내 블록 520, 전동기 브래킷 530, 전동기 535, 마이터 기어 540, 마이터 기어 545, 기어 550, 기어 555, 기어 560, 슈드 스크루 570)이 가장 안쪽의 방사상 위치와 가장 바깥쪽의 방사상 위치 사이에서 선형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조절 장치로부터 신호를 받으며, 전동기 535는 축 515를 마이터 기어 540 및 545를 통하여 회전하도록 한다. 이 회전은 다시 기어 555, 560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기어 550을 회전하도록 한다. 기어 560은 랙 565와 맞물려 모든 조합을 선형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회전 인덱스 스테이션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에서 기술한 실시예와 동일한다.
도 36a를 참조할 때, 슬립 링 239가 회전가능한 중앙축 236에 대해 위치하고 있는 그림이 도시되어 있다. 슬립 링 239는 테이블이 회전할 때 전동기의 전선이인덱스 테이블 주위를 싸고 있지 않으면서 볼트가 두 개의 인덱스 판 전동기 237, 535에 들어가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슬립 링 239는 여섯 개의 전선, 즉, 두 개의 전력선 및 네 개의 신호선을 가지고 있다. 하나의 전력선은 각각의 전동기에 연결되어 있으며, 네 개의 전선은 전동기의 회로판에 연결되어 있다.
승강 스테이션
도 1, 4 및 26 내지 30을 참조할 때, 승강 스테이션 22가 도시되어 있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스테이션은 첫 번째 판 360 및 두 번째 판 362를 포함한다. 각각의 판 360, 362는 회전핀 368, 370에 대해 각각 수직으로 왕복운동하는 판 364, 316에 회전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판 360, 362와 연관된 구조적 요소를 설명할 때, 판 362에 대한 같은 요소를 프라임(prime)을 붙인 같은 참조번호로 기술하였다. 예를 들어, 막대 402는 판 360과 연관되고, 막대 402'는 판 362와 연관된다.
판 364, 366은 각각 체인 372, 374에 고정되어 장착되어 있다. 각 체인 372, 374는 각각 첫 번째 드라이브 도르래 378 및 두 번째 드라이브 도르래 380을 경유하여 전환하는 전동기 376에 의해 구동된다(참조: 도 26). 세 개의 도르래 382, 384, 386은 체인 372의 이동을 안내한다. 마찬가지로 세 개의 도르래 388, 390, 392는 체인 374의 이동을 안내한다.
도 26 및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364는 L자 모양이 브래킥 392에 축 394에 의해서 고정되어 장착되어 있다. L자형 브래킷 392는 판 364에 고정된 회전판368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한 벌의 슬리브 398, 400은 판 360 아랫면에 고정되어 장착되어 있다. 막대 402는 L자형 브래키 392에 있는 관통 구멍 404 내에 미끄러져 들어온다(참조: 도 28). 막대 402의 첫 번째 끝은 회전판 406을 경유하여 판 36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핀 406은 판 362의 아래 표면에 고정되어 연결된 한 벌의 아래로 향한 브래킷 408을 경유하여 판 360에 장착되어 있다.
도 28을 참조할 때, 판 362에 연결된 부위가 도시되어 이싸. 막대 402'는 브래킷 408'을 경유해서 판 362에 연결되어 있다. 막대 402'의 다른 쪽 끝은 회전축 394에 의해 판 386에 장착된 회전축 394에 의해 판 386에 장착된 L자형 브래킷 392'의 구멍 404에 들어간다. 막대 402'는 두 번째 끝에 인접한 U자형 노취(notch) 410'을 포함한다. 노취 410'은 L자형 브래킷 392' 내의 두 번째 구멍 414'에 미끌어져 들어가는 판 412'를 담을 수 있도록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구멍 404' 및 412'는 바람직하게는 서로에 대해 90°각도로 놓여 있다. 핀 412'의 첫 번째 끝은 U자형 노취 410'내에 선택적으로 맞물려 있다. 핀 412'의 반대쪽 끝은 레버 416'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레버 416'은 회전핀 418'을 통해 L자형 브래킷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웨이트(weight) 420'은 레버 416'의 먼끝에 놓여 있다. 웨이트 420'은 보통 도 28의 화살표 C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레버 416을 이동시킨다. 고정핀 412'가 U자형 노취 410'에 들어올 때, 판 362는 수직 위치에 고정된다.
도 27을 참조할 때, 판 360은 가장 위쪽에 있고, 판 362는 아래에 위치한다.판 360은 요리되지 않은 피자를 받아 아래로 낮아져 요래되지 않은 피자가 오븐으로 이동한다. 아래에서 판 362의 웨이트 420'은 고정핀 412'를 막대 402'의 U자형 노취 410'으로부터 들어올리는 정지 볼트 422'와 맞물려 있다(도 28). 그러므로, 막대 402'는 L자형 브래킷 392'에 대해 자유롭게 미끄러진다. 그러나, 판 362의 먼 끝 424(참조: 도 3)는 안으로 돌출된 L자형 브래킷 426에 의해 수직으로 지지되며, L자형 브래킷 426은 장치의 오븐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선반 362는 핀 396'에 대해 회전할 수가 없다.
판 360, 362는 각각 위와 아래에 고정된 위치로 유지된다(즉, 전동기 376은 구동화되지 않는다). 동력기 92'에 의해 구동되는 추진기 428은 아래에 위치한 판의 옆에 붙어 있다(참조: 도 3 및 27). 추진기 428은 앞의 요리되지 않은 피자 140'의 외부 원형의 볼록한 부분과 상응하는 모양의 오목한 표면 430을 갖고 있다. 기구 92'가 동력화되면, 추진기 428은 도 3의 화살표 D로 지시된 방향으로, 원위치에서 신장된 위치로 이동하여, 요리되지 않은 피자를 트레이(tray) 362(아래에 위치함)로부터 오븐 24의 오프닝 432를 통하여 밀어낸다. 피자가 오븐으로 이동한 다음, 또다른 요리되지 않은 피자는 위에 위치한 선반 360에 놓여지고, 전동기 376은 그 다음에 첫 번째 방향(즉,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으로 구동되어 체인 372, 374가 움직이게 하고, 이 움직임은 다시 판 366은 위로, 판 364는 아래로 움직이게 한다. 판 366의 미리 정해진 양의 위로의 움직임이 끝나면, 판 362는 L자형 브래킷 426'의 끝을 깨끗이 하여, 판 362가 핀 370'에 대해 자유롭게 아래로 회전하게 된다. 판 362는 도 27에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떨어져, 아래로움직이는 수직으로 고정된 판 360이 상부 제한 위치에서 하부 제한 위치로 움직이도록 한다.
도 29는 상부 제한 위치와 하부 제한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의, 그리고 위로 이동하는 판 366 및 판 362를 도시하고 있다. 판 362가 위로 접근해 감에 따라서, 판 362 아래 표면에 고정되어 연결된 캠 팔로워(follower) 표면 434는 고정된 캠 롤러 436에 맞물려 있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366은 계속 위로 움직이고 고정된 캠 롤러 430 및 캠 팔로워 표면 434의 연결은 판 362'를 도 30에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30에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 움직임 동안, 고정핀 412'이 막대 402' 내의 U자형 노취 410'에 맞물려서 판 362'가 수직으로 고정될 때까지, 막대 402'는 L자형 하우징 392'에 대해 미끄러진다.
전동기 376은 정지하고 판 362'는 가장 위쪽에 위치하여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 20에 있는 스테이션 VI로부터 다음의 요리되지 않은 피자를 받을 준비가 된다. 판 360은 가장 낮은 쪽에 위치하고, 추진기 428이 구동되어 요리되지 않은 피자 144가 오븐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다음의 요리되지 않은 피자가 판 362'위에 오면, 전동기 376은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어(즉,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판 362'가 수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부 제한 위치에서 하부 제한 위치로 이동하도록 한다. 판 360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판 362'이 원위치로 되돌아 오는 방법과 같은 방식으로 하부 제한 위치로부터 상부 제한 위치로 이동한다. 도 26a 및 27a를 참조하면, 승강 스테이션의 또다른 실시예가 기술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오직 하나의 승강판 362'만을 사요한다. 그러므로, 하나의 판을 원위치로 되돌리는 회전기구는 본 실시예에서 필요하지 않다. 본 실시예에서 판 362'는 L자형 브래킷 367에 의해 한 쌍의 레일(rail) 트랙 363, 365에 장착된다. 판 362'는 첫 번째 드라이브 풀리(pulley) 380' 및 세 개의 안내 풀리 388', 390', 392'를 경유해 전환할 수 있는 전동기 376'에 의해 구동되는 체인 드라이브 374'에 의해 상부 위치와 하부 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한다.
작동시, 판 362'는 상부 위치에 있고,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 20으로부터 다음의 요리되지 않은 피자를 받을 준비가 되어 있다. 요리되지 않은 피자가 판 362'에 올려지면, 전동기 376'은 첫 번째 방향(즉, 도 2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구동되어, 판 362'을 수직으로 유지하면서 상부 제한 위치에서 하부 제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판 362'가 하부 제한 위치에 도달하면, 전동기 376'은 정지하고 추진기 378은 피자를 유입 오프닝 432를 통해 오븐 24로 밀어 넣는데 사용될 수 있다. 피자가 오븐으로 이동되고 추진기 378이 제자리로 돌아온 다음, 전동기 376은 반대방향(즉, 도 2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되어, 판 362'을 상부 제한 위치에서 하부 제한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다음의 요리되지 않은 피자를 받을 준비가 된다.
오븐 스테이션
도 31 내지 33을 참조하여, 오븐 스테이션 24를 설명하고자 한다. 오븐 24는 벨트나 체인 드라이브 442에 의해 운행되는 컨베이어 벨트 440을 포함하고 있다. 체인 442는 오븐 방 바깥, 오븐 틀의 바닥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는 전동기 444에 의해 운행된다. 그러므로, 유입구 432를 통해 오븐으로 들어온 요리되지 않은 피자가 유입구 432로부터 출구 446으로 운반된다. 이 오븐은 적되선 발열 램프로 구성된 448, 450, 452, 454, 456, 458의 여섯 뱅크 구조부를 포함하고 있다. 448, 450의 두 뭉치는 피자 빵조각의 밑면이 아주 좋은 황갈색의 질감을 갖게 요리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컨베이어 벨트의 밑에 잘 위치해 있다. 그리고, 452, 454, 456, 458 적외선 라이트의 네 뭉치는 컨베이어 벨트의 위에 위치해 있다. 448, 450, 452, 454, 456, 458의 발열 뭉치는 컨베이어 벨트가 요리 대기중인 피자로 충분히 채워지면 모두 한 번에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만약 단지 하나 또는 두 개의 피자만 오븐을 통과할 때에는 적은 개수의 방열 뭉치만 사용될 것이다. 예를 들어, 오븐이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피자를 요리하고 있다면, 452, 454, 458, 450 뭉치만 작동할 것이다.
오븐 내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오븐 안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462 모터와 원심성 펌프 464를 포함하는 공기 순환 시스템 460도 오븐에 포함되어 있다. 모터 462와 펌프 464는 오븐방 밖에 위치해 있다. 공기 순환 시스템은 도 31 및 32에 화살표로 표시된 것 처럼 유입구와 출구를 포함하고 있다. 갓 구워진 피자는 컨베이어 벨트 440를 나와서 오븐 446 출구에 위치한 포장 시스템으로 피자를 안내하는 슈트(chute) 466위로 옮겨진다. 포장 시스템은 오븐 438로부터 나온 요리된 피자를 받는 개방 상자 468을 포함하고 있다(참조: 도 38). 요리된 피자는 이제 들어올려져 고객의 입속으로 들어 갈 준비가 완료되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램프와 발열 구조부는 변형화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단파장 적외선 램프 발열기는 오븐 컨베이어의 운동 방향과 직각 방향이다(참조: 도 77 내지 79). 게다가, 오븐 컨베이어의 입구와 출구는 모두 오븐의 요리강 바깥에 위치해 있다. 파이 추진기 894는 승강판에서 오븐 896 컨베이어로 파이를 이동시킨다. 오븐 컨베이어 896은 요리 시간을 늘리거나 단축시키기 위해 일정하게 혹은 가변적인 속도로 움직일 수 있다.
강력한 팬 898은 오븐강의 위에 위치해 있다(참조: 도 78). 오븐강의 중간에서 흡입이 발생하고, 뜨거운 공기는 팬으로 보내진다. 팬의 날 배치는 뜨거운 공기는 밖으로 회전시켜 빼내고, 오븐강의 안쪽에 하나씩 배치된 두 개의 관 900, 902는 오븐강의 안으로 공기를 다시 보내는 구멍 904를 각각 가지고 있음으로써, 강제로 강제로 형성된 대류 타입의 요리 오븐을 생성시킨다. 관 900, 902와 오븐강은 절연체로 잘 덮여 있으며, 오븐의 바깥 외곽은 정사각형이다.
본 바람직한 실시에에서, 일곱개의 적외선 램프 906이 반사각 908과 함께 사용되고 있다. 이 램프 중 네 개는 컨베이어 896위에 위치해 있고, 셋은 밑에 위치해 있다. 요리의 초기에 깊고 강한 요리가 이루어지도록 요리 과정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보다 덜 강한 강도로 요리될 수 있도록 램프의 볼트는 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램프의 배치는 도 78에서 보듯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븐의 출구에는 또다른 운반 암이 포장 시스템의 일부로 사용되고 있다(하기에 설명됨).
포장 시스템
도 78 내지 82를 참조하면, 포장 시스템 910이 도시되어 있다. 포장 시스템 910은 상자 구분자, 상자 젖힘자 912, 파이 운반 암 914, 상자 출구 컨베이어 916을 포함하고 있다.
파이 운반 암 914는 상기에서 설명한 승강 운반 암 428과 유사하다. 운반 추진기 암 714는 체인으로 작동되는 추적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다. 운반 암 914는 오븐 컨베이어 출구의 원점 916과 상자 컨베이어 끝의 확장점 918의 두 점 사이를 움직인다(참조: 도 79).
운반 암 914는 원점 916에서 요리된 파이가 오븐 24를 빠져 나오기를 기다린다. 빠져 나오자마자, 운반 암은 상자 920의 열린 끝으로 파이를 진행시켜 밀어 넣기 시작하라는 신호를 받는다. 요리된 파이가 상자안에 위치하게 되면, 운반 암 914는 원점으로 되돌아간다.
운반 암이 상자안에 요리된 파이를 옮겨 놓기 전에, 상자는 파이를 받아들이기 위해 조립(즉, 개방)되어야 한다. 막스 분리자 기구 922는 상자 층적 924로부터 상자 920을 분리해내고 가장 위에 있는 상자 920은 구부림 축 926에 위치시킨다.
처음에는 접은 파이 상자 924를 싣고 상자 지지 판 928의 맨 위에 쌓는다. 이 판은 선형 베어링 930 및 판 928의 아래에 장착된 스프링 하우징 932을 가지고 있다. 선형 베어링 930은 안내 막대 934위에 있어, 상자 지지판 928이 위와 아래로 움직일 때 맞물려 있도록 한다. 각각의 스프링 하우징 932는 스프링 936의 한쪽끝을 잡고 있으며 스프링의 다른 끝은 고정된 상부판 938에 걸려 있다. 이 스프링은 장력을 유지하여 상자 지지판 928이 상승하며 층적 924의 상부 상자와 상자 분리 벨트 940 사이에 압력이 적용되도록 한다.
필요시에는, 하나씩 맨 위의 상자를 층적으로부터 분리해 낸다. 상자 지지판 928은 스프링 장력으로 인해 상승한다. 감지장치(도시하지 않음)는 상자 지지판이 일정 위치에 올라갔다는 것을 지시하여 더 많은 상자가 층적 924에 올려지도록한다.
소비자의 새로운 주문이 생길 때마다, 새로운 상자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자 분리기는 층적으로부터 상부 상자를 제거한다. 상자 분리 벨트 940은 바람직하게는 고무 벨팅(belting) 물질로 만들어져서, 벨트가 쉽게 상부 파이 상자의 위를 잡을 수 있도록 한다. 벨트 940은 상부 상자를 잡고, 상자를 층적으로부터 빼내어 상부 상자를 상자 구부림 스테이션 942로 이동시키며, 여기서는 상부 상자를 상자 출구 컨베이어 944위에 놓는다.
상자 구부림 기구 946은 업은 파이 상자를 상자 부리 스테이션으로부터 받아 상자를 개방되도록 구부려서, 상자가 요리된 피자 파이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상자 구부림 기구는 두 부분의 기구로, 도 80 내지 82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으며 상자판 948 및 상자 구부림 각은 950을 포함한다.
판 948 및 상자 구부림 각 950은 한 벌의 맞물린 베벨 기어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모두 직렬로 움직인다. 도 82에서, 두 부분은 상자의 접는 위치를 따라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즉, 접은 상자는 접혀져 있지 않고 개방되어 있다). 점선은 박스 구부림 스테이션이 접은 상부 박스를 받았을 때 두 부분의 위치를 나타낸다.
상자판 948은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다: 1) 파이 상자의 판 954를 내려 놓아 상자로 들어가는 파이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며(참조: 도 81); 또한, 2)파이가 파이 이동 암 914에 의해서 개방된 상자 920 방향으로 전진할 때, 미끌어지는 표면으로 작용하도록 한다.
상자 구부림 각 950은 각진 모형으로 인해 접은 상자의 측면 956을 구석에 밀어 넣고, 각이 축 958에 대해 회전하는 동안 상자가 접혀서 각을 채우도록 한다(참조: 도 80). 각 950의 반대 상자의 부분은 고정된 하우징 벽에 의해 지지되어, 각 950에 의해 개방되는 동안 상자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한다. 각 950의 회전이 끝나면, 상자는 완전히 개방된다. 동시에, 상자판 948은 상자 954를 아래로 누른다. 파이 이동 암 914는 파이를 개방된 상자 920쪽으로 밀기 시작한다.
일단 파이가 개방된 상자 920으로 밀리면, 이동 암은 914를 원위치로 되돌리고, 상자판 948 및 상자 구부림 각 950을 각각의 해당하는 원위치로 되돌린다. 신선한 따뜻한 피자 파이는 이제 개방된 상자에 놓이고 상자 출구 컨베이어 944에 넣인다. 상자 출구 컨베이어 944가 포장된 피자를 소비자에게 전달한다. 컨베이어 944는 포장된 파이를 소비자가 집어서 먹을 수 있는 위치인 오프닝 기구로 이동 시키는 단순한 고무 벨트 타입의 컨베이어이다.
본 발명과 부합되는 피자제조장치 및 방법에 대한 현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하였으므로, 다른 수정, 변환 및 변화가 실시예에서 제시된 기술에서 보았을때 당 기술에 대한 숙련자에게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모든 수정, 변환 및 변화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규정되어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하게 된다.

Claims (20)

  1. 각각의 판 222, 224, 226이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20의 전환가능한 전동기 356 상의 중앙축에 대해 회전가능하고, 전기 각각의 판 222, 224, 226은 전기 중앙축에서 뻗어져나온 암 238을 따라 전기 중앙축으로부터의 근위부와 원위부 사이에서 움직이며, 또한 전기 각각의 판 222, 224, 226이 전기 중앙축에서 뻗어져나온 암 238을 따라 전기 중앙축으로부터의 근위부와 원위부 사이에서 움직일 때 각각 갖고 있는 중앙축 228에 대하여 회전하는 전기 각각의 판 222, 224, 226이 구비된,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 20을 포함하는, 피자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전기 판 222, 224, 226은 피자 빵조각을 나르며,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 20으로부터 피자 빵조각을 받는 오븐 스테이션 24를 추가로 포함하는
    피자제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전기 오븐 스테이션 24로부터 요리된 피자를 받는 포장 스테이션 910을 추가로 포함하는
    피자제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전기 판 222, 224, 226은 피자 빵조각을 나르며,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 20의 전기 판 222, 224, 226으로부터 피자 빵조각을 받는 승강 스테이션 22를 추가로 포함하는
    피자제조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전기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 20과 전기 오븐 스테이션 24 사이에 위치하여,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 20으로부터 피자 빵조각을 받고 전기 오븐 스테이션 24로 피자 빵조각을 운송하는 승강 스테이션 22를 추가로 포함하는
    피자제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전기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 20으로 운반되는 피자 빵조각을 만들기 위한 신선한 반죽을 포함하는, 여러 개의 통 26을 추가로 포함하는
    피자제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부 제한 위치 및 하부 제한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면서 전기 다수의 통 26 중 하나로부터의 반죽 조각을 자르는, 전기 통 26 중 하나에 인접되도록 부착된 절단 블레이드 102를 추가로 포함하는
    피자제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전기 통 26 중 하나와 전기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 20 사이에 위치하며, 서로 맞물려 선택적으로 움직이는 첫 번째 판 140과 두 번째 판 142를 포함하고 있어 판 사이에 반죽 조각을 미리 가열할 수 있는 내부 체임버를 갖고 있는 압력판 18을 추가로 포함하는
    피자제조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전기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 20은 하나 내지 스무 개의 토핑 분배기를 포함하는
    피자제조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판 222, 224, 226이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 20의 전환가능한 전동기 356 상의 중앙축에서 뻗어져나온 암 238을 따라 전기 중앙축으로부터의 근위부와 원위부 사이에서 움직이면서 각각 갖고 있는 중앙축 228에 대하여 회전할 때, 전기 토핑 분배기는 전기 판 222, 224, 226 중 하나의 판 위에 위치하여 토핑이 나선형으로 분배되도록 하는
    피자제조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전기 토핑 분배기는 소스 분배기 272를 포함하는
    피자제조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전기 토핑 분배기는 치즈 강판기 306을 포함하는
    피자제조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전기 토핑 분배기는 2 내지 4개의 분배 저장소를 포함하는 회전저장선반 330, 332를 포함하는
    피자제조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2 내지 4개의 회전저장선반 330, 332는 선택적으로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 20의 판 222, 224, 226 중 하나의 판 위에 위치하는
    피자제조장치.
  15. 하우징 200;
    신선한 반죽을 포함하며 하우징 200에 위치하는 여러 개의 통 26';
    상부 제한 위치와 하부 제한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어 여러 개의 통 26' 중 하나로부터의 반죽 조각을 자르는, 하우징 200에 위치하는 절단 블레이드 102; 및,
    서로 맞물려 선택적으로 움직이는 첫 번째 판 140'과 두 번째 판 142'을 포함하고 있어 판 사이에 반죽 조각을 미리 가열할 수 있는 내부 체임버를 포함하며, 하우징 200에 위치하고 전기 반죽 조각을 받는 압력판 18'을 포함하는
    피자제조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첫 번째 판 140'과 두 번째 판 142'은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피자제조장치.
  17. 신선한 반죽을 포함하는 여러 개의 통 26을 하우징 200에 위치시키는 단계;
    전기 여러 개의 통 26 중 하나로부터 반죽 조각을 절단하는 단계;
    전기 반죽 조각을 미리 가열하는 단계;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 20의 전환가능한 전동기 356 상의 중앙축에 대해 회전가능한 다수의 판 222, 224, 226을 포함하는, 전기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20을 제공하는 단계;
    전기 판 222, 224, 226 중 하나 위에 미리 가열된 반죽 조각을 위치시키는 단계;
    전기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20의 전환가능한 전동기 356 상의 중앙축에 대해 각각의 판 222, 224, 226이 회전하는 단계; 및,
    토핑을 얹는 동안, 전기 중앙축으로부터 뻗어져나온 암 238을 따라 전기 중앙축으로부터의 근위부와 원위부 사이에서 전기 판 222, 224, 226이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자의 제조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전기 중앙축으로부터 뻗어져나온 암 238을 따라 전기 중앙축으로부터의 근위부와 원위부 사이에서 전기 판 222, 224, 226이 이동하는 동안, 동시에 각각의 판 222, 224, 226의 중앙축 228에 대해서 각각의 판 222, 224, 226이 회전하는 단계; 및,
    전기 판 222, 224, 226이 전기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 20의 전환가능한 전동기 356 상의 중앙축으로부터 뻗어져나온 암 238을 따라 전기 중앙축으로부터의 근위부와 원위부 사이에서 이동할 때, 최소한 하나의 토핑이 판에 분배되어 토핑이 나선형으로 분배되도록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피자의 제조방법.
  19. 피자 빵조각을 잡고 있는 동안,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20의 전환가능한 전동기 356 상의 중앙축에 대해 판 222, 224, 226이 회전하는 단계; 및,
    전기 판 222, 224, 226이 전기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 20의 전환가능한 전동기 356 상의 중앙축으로부터 뻗어져나온 암 238을 따라 전기 중앙축으로부터의 근위부와 원위부 사이에서 이동하면서, 동시에 피자 빵조각 위에 토핑을 분배하는 동안 각 판 222, 224, 226의 중앙축 228에 대해서 각각의 판 222, 224, 226이 회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러 개의 판 222, 224, 226이 구비된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20이 구비된 하우징 내에서의, 피자의 제조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전기 판 222, 224, 226이 전기 회전식 인덱스 테이블 스테이션 20의 전환가능한 전동기 356 상의 중앙축으로부터 뻗어져나온 암 238을 따라 전기 중앙축으로부터의 근위부와 원위부 사이에서 움직일 때, 최소한 하나의 토핑을 전기 판 222, 224, 226에 분배하여, 전기 토핑이 나선형으로 분배되도록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피자의 제조방법.
KR10-1999-7000602A 1996-07-25 1997-07-25 피자제조장치 및 피자의 제조방법 KR1004524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260396P 1996-07-25 1996-07-25
US60/022,603 1996-07-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544A KR20000029544A (ko) 2000-05-25
KR100452406B1 true KR100452406B1 (ko) 2004-10-12

Family

ID=21810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0602A KR100452406B1 (ko) 1996-07-25 1997-07-25 피자제조장치 및 피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3) US5921170A (ko)
EP (1) EP0914045B1 (ko)
JP (1) JP3786709B2 (ko)
KR (1) KR100452406B1 (ko)
AT (1) ATE284615T1 (ko)
AU (1) AU731130B2 (ko)
BR (1) BR9711101A (ko)
CA (1) CA2261878C (ko)
DE (1) DE69731953T2 (ko)
ES (1) ES2235245T3 (ko)
IL (1) IL128228A (ko)
WO (1) WO199800413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000B1 (ko) * 2017-06-16 2018-07-05 전해명 강황을 주원료로 하는 피자용 도우 제조장치
KR101875010B1 (ko) * 2017-06-16 2018-07-05 전해명 웰빙 보리도우 제조장치
KR101875003B1 (ko) * 2017-06-16 2018-08-02 전해명 피자용 도우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6658A (en) * 1994-06-30 1998-02-10 Dadco Diversified, Inc. Process of forming dough on a corrugated paperboard preform
US5921170A (en) * 1996-07-25 1999-07-13 Puzant Khatchadourian Apparatus for making and dispensing pizza
US5997924A (en) * 1997-02-04 1999-12-07 Lmo Consultants, Inc. Automated process for making pizza
IT1296382B1 (it) 1997-08-19 1999-06-25 Waltzing Limited Liability Com Procedimento ed attrezzatura per la produzione di pizze.
US6915734B2 (en) * 1997-08-19 2005-07-12 Arios, S.A. Pizza making method and system
EP1264543A1 (de) * 2001-06-05 2002-12-11 Artos S.A. Verteiler von flüssigen oder cremeartigen Komponenten für das Garnieren von Lebensmitteln
EP0904696B1 (en) * 1997-09-29 2003-05-07 Leonardo Grieco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dough disk
WO1999051135A1 (en) * 1998-04-03 1999-10-14 Ayhan Babacan Integrated cooking and cutting instrument for fast food doner kebab and method therefor
US6365210B1 (en) * 1998-09-10 2002-04-02 M & M Holdings, Inc. Pizza crust and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IT1306999B1 (it) * 1999-01-22 2001-10-11 Stefano Tomatis Apparecchio per la preparazione meccanizzata di pizze.
US6026738A (en) * 1999-09-03 2000-02-22 Doc Machines Works, Inc. Self-contained crust factory
US6626996B1 (en) * 2000-03-14 2003-09-30 Pizza Hut, Inc. Pizza sauce dispensing devices and methods
AU2001255362A1 (en) * 2000-08-07 2002-02-18 J.E. Grote Company, Inc. Fluent material applicator
KR20020065768A (ko) * 2001-02-07 2002-08-14 박봉근 양념이 가미된 치즈 크러스트 피자 치즈 제조방법
US6863429B2 (en) * 2002-01-07 2005-03-08 Artos, S.A. Dough mixer with metering device
US6592364B2 (en) 2001-11-30 2003-07-15 David Zapata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independently controlling airflow in a conveyor oven
US6892629B2 (en) * 2002-02-08 2005-05-17 Automatic Bar Controls, Inc. System for pumping and dispensing sauce
US7074277B2 (en) * 2002-02-08 2006-07-11 Automatic Bar Controls, Inc. Rotary sauce dispensing apparatus
CZ301036B6 (cs) * 2002-10-18 2009-10-21 Rheon Automatic Machinery Co., Ltd. Zarízení a zpusob výroby chleba
DE10304462B4 (de) * 2003-02-04 2007-03-29 Weiss Gmbh Sondermaschinentechnik Rundschalttisch
US7266423B2 (en) * 2003-02-27 2007-09-04 David Odell Simmons Facilitating vending of customer-configured pizza preparation kits
US7303093B2 (en) * 2003-03-24 2007-12-04 Abudanza Inc. Hot food vending machine
US20070093933A1 (en) * 2004-01-02 2007-04-26 Simmons David O Facilitating vending of customer-configured pizza preparation kits
US7530303B2 (en) * 2004-03-30 2009-05-12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Cheese wheel cutter
DE102004026387B4 (de) * 2004-05-29 2013-04-11 Neuenkirchener Maschinenfabrik Emil Kemper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ormung eines backfertigen, schlusslosen Teigrings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Ringgebäcks aus einem derart vorgeformten Teigring
ITPI20040091A1 (it) * 2004-12-07 2005-03-07 Marco Bianchi Distributore per prodotto alimentare caldo
US7858130B2 (en) * 2005-05-17 2010-12-28 Nestec S.A. Automated system for handling food products
DE102005034510B3 (de) * 2005-07-20 2006-09-21 Till Westber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it verschiedenen Belägen belegten Teiggebäcks sowie Teiggebäck
US8989893B2 (en) * 2006-01-31 2015-03-24 Robofus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frozen confectionery
US20080089987A1 (en) * 2006-10-12 2008-04-17 Horn Darrell C Continuous Intermeshing Agitator Food Cooker
AU2008218241A1 (en) * 2007-02-22 2008-08-28 K & G Enterprises, Llc Automated pizza preparation and vending system
US20080295705A1 (en) * 2007-05-31 2008-12-04 Chung Jing-Yau Making baked spring rolls device and methods
US8342367B2 (en) * 2008-10-16 2013-01-01 Automatic Bar Controls, Inc. Cassette and vat supply source for an on-demand mixing and distributing of a food product
US20100095887A1 (en) * 2008-10-16 2010-04-22 Automatic Bar Controls, Inc. Electronic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a Food Product Over a Turntable
US7993049B2 (en) * 2008-10-16 2011-08-09 Automatic Bar Controls, Inc. Turntable for on-demand mixing and distributing of a food product
US20100097881A1 (en) * 2008-10-16 2010-04-22 Automatic Bar Controls Apparatus and Method for Mixing and Distributing a Food Product
ITTO20080144U1 (it) * 2008-10-30 2010-04-30 Cmt Costruzioni Mecc E Tecnologia S P A Apparato meccanizzato per la preparazione di pizze
US9974314B2 (en) 2010-02-26 2018-05-22 Little Caesar Enterprises, Inc. Automated pizza assembly system
CA2791135C (en) 2010-02-26 2018-05-22 Little Caesar Enterprises, Inc. Automated pizza assembly system
US20120185086A1 (en) 2011-01-18 2012-07-19 K & G Enterprises, Llc automated pizza preparation apparatus
WO2013033586A1 (en) * 2011-08-31 2013-03-07 Little Caesar Enterprises, Inc. Automated pizza assembly system
US20150150269A1 (en) * 2012-08-01 2015-06-04 Frito-Lay North America, Inc. Continuous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a pita chip
US20140087048A1 (en) * 2012-09-26 2014-03-27 Ez Topping Systems, Llc Pizza pie preparation device and related methods
US9292889B2 (en) * 2013-06-18 2016-03-22 Zume Pizza, Inc. Systems and methods of preparing food products
AT515751B1 (de) * 2014-04-30 2017-12-15 Haas Food Equipment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osierten Abgabe pumpfähiger Massen
WO2016126836A1 (en) * 2015-02-05 2016-08-11 Frito-Lay North America, Inc. An improved continuous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a pita chip
DE102015005166B4 (de) 2015-04-23 2019-01-10 Eismann Innovations GmbH Fahrzeug mit einer Einrichtung zur Bearbeitung von Nahrungsmitteln
FR3047149B1 (fr) 2016-02-03 2018-09-14 Ekim Automate pour la confection de pizzas
FR3047158B1 (fr) * 2016-02-03 2018-09-14 Ekim Systeme de conservation et de dosage d'ingredients et methode de conservation et de dosage mettant en oeuvre un tel systeme
FR3047150B1 (fr) * 2016-02-03 2018-02-16 Ekim Dispositif de formage d'une pate abaissee a partir d'un paton par pressage
CN105685151B (zh) * 2016-03-30 2018-01-23 南通大学 三明治自动包装机
WO2017177041A2 (en) * 2016-04-08 2017-10-12 Zume Pizza, Inc. On-demand robotic food assembly and related systems, devices and methods
KR101694110B1 (ko) * 2016-10-25 2017-01-17 서한교 파이 또는 타르트용 크러스트 스마트 위생 자동 성형기
US10503363B2 (en) 2016-11-02 2019-12-10 Zume, Inc. Lazy Susan menu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0892459A (zh) 2017-07-11 2020-03-17 祖美股份有限公司 使用售卖亭和自主递送车辆的多模式配送系统和方法
TW201909065A (zh) * 2017-07-14 2019-03-01 美商促美股份有限公司 以販賣亭為根據之販賣及或準備物品,例如,準備食物,之系統及方法
USD900862S1 (en) 2018-03-20 2020-11-03 Zume Pizza,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1982597B1 (ko) 2018-10-02 2019-05-27 강삼태 피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9619639B (zh) * 2018-12-29 2020-10-13 南京信息职业技术学院 四季发财包辅助加工设备
CA3127675A1 (en) * 2019-02-01 2020-08-06 Lab2Fab, Llc Beverage dispensing and monitoring system
KR102092900B1 (ko) * 2019-06-27 2020-04-24 김동진 자동 케이크 제조 장치
KR102092901B1 (ko) * 2019-07-01 2020-03-24 김동진 대량 생산 및 배송 판매를 위한 케이크 제조 방법
CN111011418B (zh) * 2019-12-17 2021-11-12 厦门理工学院 一种多功能包子机
US11178879B2 (en) * 2020-03-12 2021-11-23 James R. Kesler Automated pizza-making system
US11166469B1 (en) * 2020-05-08 2021-11-09 Crunch Food,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n edible multilayer food carrier
US11247891B1 (en) 2020-08-14 2022-02-15 Lab2Fab Llc Connected and automated liquid dispensing attachment
US20230329310A1 (en) * 2020-09-18 2023-10-19 Picnic Works, Inc. Apparatus for the association of liquid and foodstuff onto a base
CN113367562B (zh) * 2021-07-30 2023-08-18 海底捞控股私人有限公司 一种集成锅具配置及锅底配置的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85035A (en) * 1931-09-16 1932-12-22 Laurence Seymour Harber Improve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king tart cases and the like
US2190483A (en) * 1939-02-27 1940-02-13 Pacilio Salvatore Machine for making italian pizza
US3358618A (en) * 1965-02-19 1967-12-19 Mario J Vetta Dispensing device
US3602154A (en) * 1969-05-15 1971-08-31 Autoprod Inc Food dispensing apparatus
US3648596A (en) * 1969-11-28 1972-03-14 Fairmont Foods Co Pizza-topping apparatus
US3631818A (en) * 1969-11-28 1972-01-04 Fairmont Foods Co Pizza sauce apparatus
US3763764A (en) * 1971-11-17 1973-10-09 F Schy Taco cooking apparatus
US3892868A (en) * 1973-04-27 1975-07-01 Josef F Klingler Pizza pi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3892171A (en) * 1973-09-07 1975-07-01 Clifford E Fitch Apparatus for making pizzas or the like
US4702926A (en) * 1982-05-10 1987-10-27 Frito-Lay, Inc. Process for producing two-component dough products
FI98118C (fi) * 1987-08-04 1997-04-25 Unilever Nv Menetelmä valmistaa pyöreähköjä pinnoitettuja ruokatuotekappaleita
GB8727971D0 (en) * 1987-11-30 1988-01-06 Unilever Plc Dough product
CA1260318A (en) * 1988-06-30 1989-09-26 Amos Fehr Food 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food
US5121677A (en) * 1989-05-03 1992-06-16 Edible Technology, Inc. Pizza making and baking machine
WO1992006600A1 (en) * 1990-10-10 1992-04-30 Black Gary W Sr Apparatus for heating and dispensing food products
US5117749A (en) * 1990-11-28 1992-06-02 Rykaart, Inc. Machine for the automated preparation of pizzas
US5458055A (en) * 1993-11-18 1995-10-17 Fitch, Jr.; Clifford E. Method and apparatus for portioning food
US5417149A (en) * 1994-01-24 1995-05-23 Proprocess Corporation Pizza press with interchangeable upper mold
US5921170A (en) * 1996-07-25 1999-07-13 Puzant Khatchadourian Apparatus for making and dispensing pizza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000B1 (ko) * 2017-06-16 2018-07-05 전해명 강황을 주원료로 하는 피자용 도우 제조장치
KR101875010B1 (ko) * 2017-06-16 2018-07-05 전해명 웰빙 보리도우 제조장치
KR101875003B1 (ko) * 2017-06-16 2018-08-02 전해명 피자용 도우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544A (ko) 2000-05-25
US5921170A (en) 1999-07-13
IL128228A0 (en) 1999-11-30
JP2000515764A (ja) 2000-11-28
ATE284615T1 (de) 2005-01-15
US6086934A (en) 2000-07-11
CA2261878A1 (en) 1998-02-05
BR9711101A (pt) 2000-01-11
IL128228A (en) 2002-09-12
EP0914045A1 (en) 1999-05-12
US6526874B1 (en) 2003-03-04
DE69731953D1 (de) 2005-01-20
JP3786709B2 (ja) 2006-06-14
CA2261878C (en) 2005-04-12
DE69731953T2 (de) 2005-12-08
WO1998004137A1 (en) 1998-02-05
ES2235245T3 (es) 2005-07-01
EP0914045A4 (en) 1999-08-04
AU3982597A (en) 1998-02-20
EP0914045B1 (en) 2004-12-15
AU731130B2 (en) 2001-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2406B1 (ko) 피자제조장치 및 피자의 제조방법
US6546847B2 (en) Device for producing pizza
US6915734B2 (en) Pizza making method and system
US5272961A (en) Apparatus for providing french fried potatoes
JPH0327273A (ja) ピザ製造/焼き機
US3602154A (en) Food dispensing apparatus
KR101986251B1 (ko) 햄버거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209814930U (zh) 一种蛋挞运输装置及包含其的蛋挞自动制作装置
AU7635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pizza
JPH11514267A (ja) 食品分与機械
CA2206425A1 (en) Grilling unit for grillable foodstuffs
US5301847A (en) Paste pump with an adjustable stroke piston
WO2002100176A9 (en) A pizza making method and system
CN111476944B (zh) 一种烤包子自动制作和烤制的售卖机
MXPA9900093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pizza
CN210019029U (zh) 一种烤盘进出装置及包含其的蛋挞自动制作装置
CN210329131U (zh) 一种黄油添加机构及包含其的蛋挞自动制作装置
CN210383661U (zh) 一种烤箱自动开门装置及包含其的蛋挞自动制作装置
CN210094484U (zh) 一种蛋挞液制作装置及包含其的蛋挞自动制作装置
MXPA99003644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pizza
WO2020170016A1 (en) A system for preparing and processing fo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