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900B1 - 자동 케이크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케이크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900B1
KR102092900B1 KR1020190076750A KR20190076750A KR102092900B1 KR 102092900 B1 KR102092900 B1 KR 102092900B1 KR 1020190076750 A KR1020190076750 A KR 1020190076750A KR 20190076750 A KR20190076750 A KR 20190076750A KR 102092900 B1 KR102092900 B1 KR 102092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dough
cooking container
path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김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진 filed Critical 김동진
Priority to KR1020190076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9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7/00Baking plants
    • A21B7/005Baking plants in combination with mixing or knea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21B1/02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3/0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 A21C3/02Dough-sheeters; Rolling-machines; Rolling-pi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21C9/08Depositing, arranging and conveying apparatus for handling pieces, e.g. sheets of dough
    • A21C9/081Charging of baking tins or forms with dough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21C9/08Depositing, arranging and conveying apparatus for handling pieces, e.g. sheets of dough
    • A21C9/083Manipulating tins, pans etc., e.g. charging or discharging conveyors, trolleys or ove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40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type, form or use
    • A21D13/44Pancakes or crêp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케이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크레이프 케이크(Crepe Cake)를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자동 케이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케이크 제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요리 용기부(Cooking Vessel Part), 상기 요리 용기부를 요리경로(Cooking Path) 상에서 이동시키는 이동부(Shifting Part), 상기 요리경로 상의 제 1 위치(First Position)에서 상기 요리 용기부에 요리재료를 혼합하여 제조한 반죽을 공급하는 반죽 공급부(Paste Supply Part), 상기 요리경로 상의 상기 제 1 위치 이후의 제 2 위치(Second Position)에서 상기 요리 용기부에 공급된 상기 반죽을 펴는 펼침부(Spreading Part) 및 상기 요리 용기부에 공급된 상기 반죽에 열을 가해 익히는 베이킹부(Baking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케이크 제조 장치{AUTOMATIC MANUFACTURING APPARATUS FOR CAKE}
본 발명은 자동 케이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크레이프 케이크(Crepe Cake)를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자동 케이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크(Cake)는 각종 기념일, 행사 등의 축하를 위해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으로 그 수요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케이크 중 크레이프(Crepe, 크레페)를 여러 장 쌓는 방식으로 제조하는 크레이프 케이크가 인기를 끌고 있다.
크레이프는 얇게 구운 팬케이크의 일종으로 곡물가루, 달걀, 우유, 버터, 소금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아울러, 크레이프는 뜨겁게 달궈진 프라이팬이나 납작하고 둥근 판 위에서 반죽을 얇게 구워내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크레이프 케이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크레이프 시트가 필요하다. 따라서 작업자가 일일이 한 장씩 크레이프 시트를 굽는 경우에는 크레이프 케이크를 제조하기 위해 소모되는 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져서 대량 생산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크레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장치의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3654호[문헌 1]에서는 원통 형상으로 회전하는 가열통체의 외주면에 반죽을 흡착시키고, 가열통체의 내부에 설치된 가열히터를 이용하여 가열통체의 외주면에 흡착된 반죽을 구워내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문헌 1에 따른 제조 장치에서는 가열통체의 외주면에 반죽을 흡착시키기 때문에 크레이프 시트의 형태를 균일하게 제조하기 어렵고, 크레이프 시트의 두께를 얇게 제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크레이프는 아니지만, 크레이프와 유사한 전병을 제조하기 제조 장치의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4763호[문헌 2]에서는 컨베이어 벨트 형태의 이송벨트의 표면에 반죽을 배치하고, 배치한 반죽에 열을 가해 구워내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문헌 2에 따른 제조 장치에서는 움직이는 이송벨트의 표면에 반죽을 배치하기 때문에 전병(크레이프에 대응)의 형태를 균일하게 하기 어렵고, 전병의 두께를 얇게 제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3654호 [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4763호
본 발명은 크레이프 케이크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크레이프 시트를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자동 케이크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케이크 제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요리 용기부(Cooking Vessel Part), 상기 요리 용기부를 요리경로(Cooking Path) 상에서 이동시키는 이동부(Shifting Part), 상기 요리경로 상의 제 1 위치(First Position)에서 상기 요리 용기부에 요리재료를 혼합하여 제조한 반죽을 공급하는 반죽 공급부(Paste Supply Part), 상기 요리경로 상의 상기 제 1 위치 이후의 제 2 위치(Second Position)에서 상기 요리 용기부에 공급된 상기 반죽을 펴는 펼침부(Spreading Part) 및 상기 요리 용기부에 공급된 상기 반죽에 열을 가해 익히는 베이킹부(Baking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요리경로 상에서 상기 요리 용기부를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이동시키는 제 1 이동부(First Shifting Part), 상기 요리경로 상에서 상기 요리 용기부를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으로 이동시키는 제 2 이동부(Second Shifting Part), 상기 요리경로 상에서 상기 요리 용기부를 상기 제 2 방향과 교차하는 제 3 방향(Third Direction)으로 이동시키는 제 3 이동부(Third Shifting Part) 및 상기 요리경로 상에서 상기 요리 용기부를 상기 제 3 방향과 교차하는 제 4 방향(Fourth Direction)으로 이동시키는 제 4 이동부(Fourth Shifting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펼침부는 상기 요리 용기부의 상부에서 상기 요리 용기부에 공급된 상기 반죽을 향해 공기(Air)를 분출하여 상기 반죽을 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펼침부는 상기 요리 용기부의 상부에 상기 요리 용기부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회전하면서 상기 요리 용기부를 향해 에어를 분출하는 에어 파이프부(Air Pipe Part), 상기 에어 파이프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Air Supplying Part) 및 상기 에어 파이프부를 회전시키는 파이프 회전부(Pipe Rotat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파이프부는 상기 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입구부(Entrance Part) 및 하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 분출구(Air Ventilation Hol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킹부는 상기 요리경로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요리 용기부를 덮는 터널부(Tunnel Part) 및 상기 터널부 내에서 상기 요리 용기부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Heating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리 용기부는 상기 요리경로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판(Base Plate) 및 상기 베이스판에 배치되는 요리판(Cooking Plate)을 포함하고, 상기 반죽은 상기 요리판의 상부에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크레이프 케이크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크레이프 시트를 균일한 사이즈, 두께를 갖도록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균일한 크레이프 시트를 대량 생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케이크 제조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은 요리 용기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프레임부와 이동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반죽 공급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펼침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5는 베이킹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케이크 제조 장치를 이용한 케이크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이동부의 동작 타이밍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케이크 제조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케이크 제조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케이크 제조 장치(100A, 이하에서는 '제조장치'라 칭할 수 있다)는 크레이프 케이크(Crepe Cake)를 위한 크레이프 시트(Crepe Sheet)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요리 용기부(Cooking Vessel Part, 10A), 이동부(Shifting Part, 20A), 반죽 공급부(Paste Supply Part, 30A), 펼침부(Spreading Part, 40A) 및 베이킹부(Baking Part, 50A)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조 장치(100A)는 프레임부(Frame Part, 6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60A)는 다른 부품들, 예컨대 요리 용기부(10A), 이동부(20A) 등을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프레임부(60A)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반죽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Pump),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Motor) 등을 탑재할 수 있다. 펌프, 모터 등의 기능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충분히 유추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요리 용기부(10A)는 요리재료를 혼합하여 제조한 반죽을 담을 수 있다. 아울러, 요리 용기부(10A)는 크레이프 시트를 구워내는 그릇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부(20A)는 적어도 하나의 요리 용기부(10A)를 요리경로(Cooking Path, CP)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반죽 공급부(30A)는 요리경로(CP) 상의 제 1 위치(First Position, P1)에서 요리 용기부(10A)에 요리재료를 혼합하여 제조한 반죽을 공급할 수 있다.
펼침부(40A)는 요리경로(CP) 상의 제 1 위치(P1) 이후의 제 2 위치(Second Position, P2)에서 요리 용기부(10A)에 공급된 반죽을 펼 수 있다.
베이킹부(50A)는 요리 용기부(10A)에 공급된 반죽에 열을 가해 익힐 수 있다.
도 1에서 설명하지 않은 식별부호 300은 반죽을 담는 반죽통(Paste Container)에 대응되고, 식별부호 500은 터널부(Tunnel Part)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제조 장치(100A)의 각각의 부분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2 내지 도 3은 요리 용기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를 살펴보면, 요리 용기부(10A)는 베이스판(Base Plate, 110) 및 요리판(Cooking Plate, 100)을 포함할 수 있다.
요리판(100)은 베이스판(110)에 배치될 수 있다.
크레이프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 반죽은 요리판(100)의 상부에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요리판(100)은 반죽을 담을 수 있는 오목한 부분(Concave Part, 10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요리판(100)은 쟁반 혹은 접시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요리판(100)은 크레이프 시트를 구워내기 위해 내열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요리판(100)은 금속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판(110)은 프레임부(60A) 상에 마련되는 요리경로(C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판(110)은 요리판(10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Housing Part, 111)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판(110)에 요리판(100)이 배치된 상태에서는 요리판(100)의 오목한 부분(101)이 반죽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상부를 향할 수 있다.
베이스판(110)에 요리판(100)을 배치한 상태의 일례가 도 2의 (B)에 나타나 있다.
베이스판(110)에 요리판(100)을 용이하게 배치하고 베이스판(110)에 배치된 요리판(100)을 용이하게 탈착시키기 위해서 베이스판(110)의 수용공간(111)의 가장자리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Hollow Part, 112)가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홈부(112)를 통해 베이스판(110)에 배치된 요리판(100)을 용이하게 잡아서 탈착시킬 수 있다.
도 2에서는 베이스판(110)과 요리판(100)을 별도로 구성한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베이스판(110)과 요리판(100)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게시된 바와 같이, 요리 용기부(10A)는 베이스부(Base Part, 120)를 포함하고, 베이스부(120)에는 반죽을 수용할 수 있는 오목부(Concave Part, 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요리 용기부(10A)가 배치되는 요리경로(CP)를 마련하는 프레임부(60A)와 요리경로(CP) 상에서 요리 용기부(10A)를 이동시키는 이동부(20A)에 대해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프레임부와 이동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의 (A), (B)를 살펴보면, 프레임부(60A)는 외곽 가이드(Outer Guide Part, 600)와 중앙 가이드부(Central Guide Part, 610)를 포함할 수 있다.
외곽 가이드부(600)와 중앙 가이드부(610)는 프레임부(60A) 상에서 요리가 수행될 수 있는 요리 공간(Cooking Space, CS)을 구획할 수 있다.
여기서, 요리 공간(CS)은 요리 용기부(10A)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외곽 가이드부(600)와 중앙 가이드부(610)의 사이 공간에서 요리 용기부(10A)가 이동하면서 크레이프 시트를 구워낼 수 있다.
요리 공간(CS)에서는 요리 용기부(10A)가 이동하는 경로인 요리경로(CP)를 설정할 수 있다. 요리경로(CP)는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의 (B)에는 요리경로(CP)가 점선과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도 4의 (B)에 나타나 있는 DR1은 제 1 방향(First Direction)을 의미하고, DR2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을 의미하고, DR3은 제 3 방향(Third Direction)을 의미하고, DR4는 제 4 방향(Fourth Direction)을 의미할 수 있다.
요리공간(CS)의 입장에서 보면, 요리공간(CS)은 제 1 영역(First Area, AR1), 제 1 영역(Second Area, AR2), 제 3 영역(Third Area, AR3) 및 제 4 영역(Fourth Area, AR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영역(AR1)에서는 요리 용기부(10A)가 제 1 방향(DR1)으로 이동하고, 제 2 영역(AR2)에서는 요리 용기부(10A)가 제 2 방향(DR2)으로 이동하고, 제 3 영역(AR3)에서는 요리 용기부(10A)가 제 3 방향(DR3)으로 이동하고, 제 4 영역(AR4)에서는 요리 용기부(10A)가 제 4 방향(DR4)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에는 요리 공간(CS) 내에서 요리경로(CP)를 따라 요리 용기부(10A)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20A)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이동부(20A)는 제 1 이동부(First Shifting Part, 200), 제 2 이동부(Second Shifting Part, 210), 제 3 이동부(Third Shifting Part, 220) 및 제 4 이동부(Fourth Shifting Part, 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이동부(200)는 요리경로(CP) 상에서 요리 용기부(10A)를 제 1 방향(DR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 6의 (A), (B)에 게시된 바와 같이, 제 1 이동부(200)는 제 1 레일(First Rail, 201)을 따라 이동하면서 요리 용기부(10A)를 제 1 방향(DR1)으로 밀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제 2 이동부(210)는 요리경로(CP) 상에서 요리 용기부(10A)를 제 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 2 방향(DR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 3 이동부(220)는 요리경로(CP) 상에서 요리 용기부(10A)를 제 2 방향(DR2)과 교차하는 제 3 방향(DR3)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 4 이동부(230)는 요리경로(CP) 상에서 요리 용기부(10A)를 제 3 방향(DR3)과 교차하는 제 4 방향(DR4)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하지 않은 식별부호 211은 제 2 이동부(210)가 이동할 수 있는 제 2 레일(Second Rail, 211)이고, 식별부호 221은 제 3 이동부(220)가 이동할 수 있는 제 3 레일(Third Rail, 221)이고, 식별부호 231은 제 4 이동부(230)가 이동할 수 있는 제 4 레일(Fourth Rail, 231)이다.
이하에서는 요리 용기부(10A)에 반죽을 공급하기 위한 반죽 공급부(30A)에 대해 첨부된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8은 반죽 공급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살펴보면, 반죽 공급부(30A)는 지지부(Supporting Part, 310), 공급관(301) 및 반죽통(30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10)는 공급관(301)을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부(310)는 프레임부(60A)에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지지부(310)는 터널부(500)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310)는 공급관(301)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311)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관(301)의 일단은 지지부(310)의 고정홀(311)에 대응되고, 공급관(301)의 타단은 반죽(PT)을 공급하기 위한 반죽통(300)에 대응될 수 있다.
반죽통(300)은 크레이프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반죽을 담을 수 있다. 아울러, 반죽통(300)은 반죽을 휘저어 반죽이 굳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죽 공급부(30A)는 반죽(PT)을 방출하기 위한 노즐(Nozzle, 302)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302)은 요리 용기부(10A)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반죽 공급부(30A)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반죽(PT)을 공급하거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Valve), 반죽(PT)을 공급하기 위한 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펌프(Pump), 반죽(PT)을 휘젓기 위한 믹서(Mixer)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밸브, 펌프, 믹서의 기능 및 동작은 충분히 예상될 수 있기 때문에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요리 용기부(10A)에 공급된 반죽을 펴는 펼침부(40A)에 대해 첨부된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3은 펼침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펼침부(40A)는 요리 용기부(10A)의 상부에서 요리 용기부(10A)에 공급된 반죽을 향해 공기(Air)를 분출하여 반죽을 펴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펼침부(40A)는 도 9에 게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Body Part, 400), 회전축(Rotating Axis, 420) 및 에어 파이프부(Air Pipe Part, 4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400)는, 도 10에 게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Controller, 401), 파이프 회전부(Pipe Rotating Part, 402) 및 공기 공급부(Air Supplying Part, 4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1)는 펼침부(40A)의 전반적인 기능 및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401)는 펼침부(40A)의 에어 공급 및/또는 차단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401)는 에어 파이프부(410)의 회전(예컨대, 회전속도)을 제어할 수 있다.
파이프 회전부(402)는 제어부(401)의 제어에 따라 에어 파이프부(4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파이프 회전부(402)는 모터(Motor)일 수 있다.
공기 공급부(403)는 제어부(401)의 제어에 따라 에어 파이프부(410)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회전축(420)은 파이프 회전부(402)가 제공하는 회전력을 에어 파이프부(410)에 전달할 수 있다.
에어 파이프부(410)는 요리 용기부(10A)의 상부에 배치되고, 요리 용기부(10A)의 상부에 회전하면서 요리 용기부(10A)를 향해(반죽을 향해) 에어를 분출할 수 있다.
에어 파이프부(410)가 회전하면서 분출하는 에어에 의해 요리 용기부(10A)에 담긴 반죽이 넓고 얇게 펴질 수 있다.
이러한 에어 파이프부(410)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을 도 11의 (A)에 게시하였다.
도 11의 (A)에 게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에어 파이프부(410)는 공급 공급부(403)로부터 공기를 공급받기 위한 입구부(Entrance Part, 411)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파이프부(410)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을 도 11의 (B)에 게시하였다.
도 11의 (B)에 게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에어 파이프부(410)는 하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 분출구(Air Ventilation Hole, 412)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파이프부(410)에 고르게 분포된 에어 분출구(412)를 통해 에어가 분출됨으로써, 반죽을 더욱 고르게 펼 수 있다.
도 11의 (A), (B)에는 에어 파이프부(410)의 회전방향을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도 11에 게시된 바와 같이, 에어 파이프부(410)는 나선형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를 살펴보면, 에어 파이프부(410)는 요리 용기부(10A)의 상부에 요리 용기부(10A)와 소정 거리(d1) 이격되어 배치되고, 요기 용기부(10A)와 이격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에어를 방출할 수 있다.
아울러, 반죽을 보다 고르게 펴기 위해 에어 파이프부(410)의 직경(R2)은 요기 용기부(10A)의 요리판(100)의 직경(R1)보다 더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에어 파이프부(410)의 형태가 나선형 형태를 갖는 경우만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에어 파이프부(410)는 도 13의 (A)와 같이 직선 형태를 갖거나, 도 13의 (B)와 같이 십자 형태를 갖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요리 용기부(10A)에 공급된 반죽에 열을 가해 익히는 베이킹부(50A)에 대해 첨부된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 내지 도 15는 베이킹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5를 살펴보면, 베이킹부(50A)는 터널부(Tunnel Part, 500) 및 가열부(Heating Part, 510, 520)를 포함할 수 있다.
터널부(500)는 요리경로(CP)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요리 용기부(10A)를 덮을 수 있다.
이러한 터널부(500)는 요리 용기부(10A)에 담긴 반죽을 익히는 과정에서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열부(510, 520)는 터널부(500) 내에서 요리 용기부(10A)에 열을 가할 수 있다.
도 15의 (A)를 살펴보면, 가열부(510)는 터널부(5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부(510)의 터널부(500)의 내부에서 요리 용기부(10A)의 상부에서 반죽에 열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가열부(510)는 열선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도 15의 (B)와 같이, 가열부(520)는 요리 용기부(10A)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부(520)는 버너(Burner) 타입으로, 요리 용기부(10A)의 하부를 가열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제조 장치(100A)를 이용한 케이크 제조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케이크 제조 장치를 이용한 케이크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6을 살펴보면, 밀가루, 달걀, 우유, 버터, 소금 등의 재료를 투입(S100)할 수 있다.
이후, 믹서를 이용하여 투입한 재료를 믹싱(S110)하여 크레이프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반죽(PT)을 제조할 수 있다.
이후, 제조한 반죽(PT)을 반죽통(300)으로 투입할 수 있다(S120).
여기서, 반죽(PT)을 별도로 제조하고, 제조한 반죽(PT)을 반죽통(300)으로 투입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죽통(300)에 직접 밀가루, 달걀, 우유 등의 재료를 투입하고, 반죽통(300)에서 재료를 믹싱하여 반죽(PT)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후, 제조한 반죽(PT)을 요리 용기부(10A)에 투입할 수 있다(S130).
예를 들면, 도 17의 (A)와 같이, 요리경로(CP) 상의 제 1 위치(P1)에서 미리 설정된 양의 반죽(PT)을 반죽통(300)으로부터 요리 용기부(10A)의 요리판(100)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요리 용기부(10A)로 공급되는 반죽(PT)의 양은 크레이프 시트의 두께, 넓이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후, 반죽(PT)을 공급받은 요리 용기부(10A)를 다음 단계로 이동시킬 수 있다(S140).
예를 들면, 제 1 이동부(200)가 요리 용기부(10A)를 제 1 방향(DR1)으로 밀어 반죽(PT)을 공급받은 요리 용기부(10A)를 펼침부(40A)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요리 용기부(10A)에 투입된 반죽(PT)을 고르게 펼 수 있다(S150).
예를 들면, 도 17의 (B)와 같이, 요리경로(CP) 상의 제 2 위치(P2)에서 펼침부(40A)가 요리 용기부(10A)에 투입된 반죽(PT)에 공기를 분출하여 반죽(PT)을 고르고 얇게 펼 수 있다.
도 17의 (B)를 살펴보면, 요리 용기부(10A)에 담긴 반죽(PT)이 도 17의 (A)와 비교하여 넓게 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요리 용기부(10A)에 담긴 반죽(PT)을 고르게 편 이후에, 요리 용기부(10A)를 다음 단계, 즉 베이킹부(50A)에 대응되는 위치(혹은 터널부(500)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S160).
예를 들면, 제 1 이동부(200)가 요리 용기부(10A)를 제 1 방향(DR1)으로 밀어 반죽(PT)을 공급받은 요리 용기부(10A)를 제 2 이동부(210)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제 2 이동부(210)는, 도 17의 (C)와 같이, 요리 용기부(10A)를 제 2 방향(DR2)으로 밀어서 제 3 이동부(220)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제 3 이동부(220)는, 도 18의 (A)와 같이, 요리 용기부(10A)를 제 3 방향(DR3)으로 밀어서 베이킹부(50A)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요리 용기부(10A)에 담긴 반죽(PT)에 열을 가해 구울 수 있다(S170). 즉, 요리 용기부(10A)에 담긴 반죽(PT)을 익힐 수 있다.
이후, 요리 용기부(10A)에 담긴 반죽(PT)을 익힌 이후에, 요리 용기부(10A)를 다음 단계로 이동시킬 수 있다(S180).
예를 들면, 제 3 이동부(220)는 요리 용기부(10A)를 제 3 방향(DR3)으로 밀어서 터널부(500)를 벗어나서 제 4 이동부(230)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제 4 이동부(230)는, 도 18의 (B)와 같이, 요리 용기부(10A)를 제 4 방향(DR4)으로 밀어서 요리경로(CP) 상의 제 3 위치(Third Position, P3)로 이동시킬 수 있다.
요리경로(CP) 상의 제 3 위치(P3)에서 요리 용기부(10A)로부터 익힌 반죽, 즉 크레이프 시트(CPS)를 분리할 수 있다(S190).
이후, 크레이프 시트(CPS)를 분리한 요리 용기부(10A)를, 도 18의 (C)와 같이, 요리경로(CP) 상의 제 4 위치(Fourth Position, P4)로 이동시키고, 제 4 위치(P4)에서 요리 용기부(10A)를 세척하고, 요리 용기부(10A)의 요리판(100)에 오일(Oil)을 바를 수 있다(S200).
이상에서 설명한 제 1 위치(P1), 제 2 위치(P2), 제 3 위치(P3) 및 제 4 위치(P4)는 요리경로(CP) 상에서 요리 용기부(10A)의 이동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아울러, 크레이프 시트(CPS)의 제조순서에 따라 제 1 위치(P1), 제 2 위치(P2), 제 3 위치(P3) 및 제 4 위치(P4)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요리 용기부(10A)에 반죽을 공급하는 단계를 제조공정의 시작이라고 가정하고, 요리 용기부(10A)에 반죽을 공급하는 위치를 제 1 위치(P1)로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크레이프 케이크를 제조하기 위한 크레이프 시트(CPS)를 빠른 시간 내에 대량으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요리 용기부(10A)의 요리판(100)에 반죽을 담고, 요리판(100)에 담긴 반죽을 에어를 이용하여 넓고 얇게 펼침으로써, 균일한 사이즈, 두께를 갖는 크레이프 시트(CPS)를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9는 이동부의 동작 타이밍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동부(20A)가 제 1 이동부(200), 제 2 이동부(210), 제 3 이동부(220) 및 제 4 이동부(230)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아울러, 이동부(20A)는 t1시점부터 동작을 시작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9를 살펴보면, t1시점부터 t2시점까지의 제 1 기간(First Period, PD1)에서는 제 1 이동부(200)와 제 3 이동부(220)가 동작(Active)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 기간(PD1)에서 제 1 이동부(200)가 요리 용기부(10A)를 제 1 방향(DR1)으로 밀어서 이동시키고, 제 3 이동부(220)가 요리 용기부(10A)를 제 3 방향(DR3)으로 밀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제 1 기간(PD1) 동안에는 제 2 이동부(210)와 제 4 이동부(230)는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Non-Active).
제 1 기간(PD1) 이후의 t2시점부터 t3시점까지의 제 2 기간(Second Period, PD2)에서는 제 2 이동부(210)와 제 4 이동부(230)가 동작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2 기간(PD2)에서 제 2 이동부(210)가 요리 용기부(10A)를 제 2 방향(DR2)으로 밀어서 이동시키고, 제 4 이동부(230)가 요리 용기부(10A)를 제 4 방향(DR4)으로 밀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제 2 기간(PD2) 동안에는 제 1 이동부(200)와 제 3 이동부(220)는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제 1 이동부(200)의 동작기간과 제 3 이동부(220)의 동작기간은 서로 중첩(Overlap)되고, 제 2 이동부(210)의 동작기간과 제 4 이동부(230)의 동작기간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요리 용기부(10A)를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목적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 2 기간(PD2) 및/또는 제 4 기간(PD4)에서, 제 2 이동부(210) 및/또는 제 4 이동부(230)가 요리 용기부(10A)를 제 2 방향(DR2) 또는 제 4 방향(DR4)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는 요리 용기부(10A)가 제 1 방향(DR1) 및 제 3 방향(DR3)으로는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제 1 기간(PD1) 및/또는 제 3 기간(PD3)에서, 제 1 이동부(200) 및/또는 제 3 이동부(220)가 요리 용기부(10A)를 제 1 방향(DR1) 또는 제 3 방향(DR3)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는 요리 용기부(10A)가 제 2 방향(DR2) 및 제 4 방향(DR4)으로는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앞선 도 4의 (B)와 결부하여 살펴보면, 제 1 영역(AR1) 및/또는 제 3 영역(AR3)에서 요리 용기부(10A)가 이동하는 제 1 기간(PD1) 및/또는 제 3 기간(PD3)에서는 제 2 영역(AR2) 및 제 4 영역(AR4)에서는 요리 용기부(10A)가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반해, 제 2 영역(AR2) 및/또는 제 4 영역(AR4)에서 요리 용기부(10A)가 이동하는 제 2 기간(PD2) 및/또는 제 4 기간(PD4)에서는 제 1 영역(AR1) 및 제 3 영역(AR3)에서는 요리 용기부(10A)가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제 2 기간(PD2) 및/또는 제 4 기간(PD4)에서는 반죽 공급부(30A)가 요리경로(CP) 상의 제 1 위치(P1)에서 요리 용기부(10A)에 반죽을 공급하고, 펼침부(40A)가 요리경로(CP) 상의 제 2 위치(P2)에서 요리 용기부(10A)에 공급된 반죽을 에어를 이용하여 펼 수 있다.
이처럼, 제 2 기간(PD2) 및/또는 제 4 기간(PD4)에서 반죽의 공급과 반죽의 펼침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적어도 하나의 요리 용기부(Cooking Vessel Part);
    상기 요리 용기부를 요리경로(Cooking Path) 상에서 이동시키는 이동부(Shifting Part);
    상기 요리경로 상의 제 1 위치(First Position)에서 상기 요리 용기부에 요리재료를 혼합하여 제조한 반죽을 공급하는 반죽 공급부(Paste Supply Part);
    상기 요리경로 상의 상기 제 1 위치 이후의 제 2 위치(Second Position)에서 상기 요리 용기부에 공급된 상기 반죽을 펴는 펼침부(Spreading Part); 및
    상기 요리 용기부에 공급된 상기 반죽에 열을 가해 익히는 베이킹부(Baking Part);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킹부는
    상기 요리경로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요리 용기부를 덮는 터널부(Tunnel Part); 및
    상기 터널부 내에서 상기 요리 용기부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Heating Part);
    를 포함하고,
    상기 반죽 공급부는
    상기 반죽을 담는 반죽통;
    상기 터널부에 연결되고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형성되는 고정홀을 포함하는 지지부(Supporting Part); 및
    일단은 상기 고정홀에 대응되고 타단은 상기 반죽통에 연결되어 상기 반죽통에 담긴 상기 반죽을 상기 요리 용기부에 공급하는 공급관;
    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요리경로 상의 제 1 영역(First Area)에서 상기 요리 용기부를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 중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이동시키는 제 1 이동부(First Shifting Part);
    상기 요리경로 상의 제 2 영역(Second Area)에서 상기 요리 용기부를 상기 수평방향 중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으로 이동시키는 제 2 이동부(Second Shifting Part);
    상기 요리경로 상의 제 3 영역(Third Area)에서 상기 요리 용기부를 상기 수평방향 중 상기 제 2 방향과 교차하는 제 3 방향(Third Direction)으로 이동시키는 제 3 이동부(Third Shifting Part); 및
    상기 요리경로 상의 제 4 영역(Fourth Area)에서 상기 요리 용기부를 상기 수평방향 중 상기 제 3 방향과 교차하는 제 4 방향(Fourth Direction)으로 이동시키는 제 4 이동부(Fourth Shifting Part);
    를 포함하고,
    상기 반죽 공급부와 상기 펼침부는 상기 제 1 영역에 대응되고,
    상기 터널부는 상기 제 3 영역에 대응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터널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자동 케이크 제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리 용기부는
    상기 요리경로 상에 배치되며 단면이 사각형 형태를 갖는 베이스판(Base Plate); 및
    상기 베이스판에 배치되며 단면이 원 형태를 갖는 요리판(Cooking Plate);
    을 포함하고,
    상기 반죽은 상기 요리판의 상부에 공급되고,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요리판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판의 코너(Corner)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Hollow Part);
    를 포함하는 자동 케이크 제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부는
    상기 요리 용기부의 상부에서 상기 요리 용기부에 공급된 상기 반죽을 향해 공기(Air)를 분출하여 상기 반죽을 펴고,
    상기 펼침부는
    상기 요리 용기부의 상부에 상기 요리 용기부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회전하면서 상기 요리 용기부를 향해 에어를 분출하는 에어 파이프부(Air Pipe Part);
    상기 에어 파이프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Air Supplying Part); 및
    상기 에어 파이프부를 회전시키는 파이프 회전부(Pipe Rotating Part);
    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파이프부는
    상기 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입구부(Entrance Part); 및
    하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 분출구(Air Ventilation Hole);
    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파이프부가 상기 요리 용기부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방향으로 상기 에어 파이프부의 직경은 상기 요리판의 직경보다 더 큰 자동 케이크 제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 공급부는
    상기 공급관의 상기 일단에 대응되며 상기 반죽을 방출하는 노즐(Nozzle)을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수직방향으로 상기 요리 용기부와 상기 지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자동 케이크 제조 장치.
  6. 삭제
KR1020190076750A 2019-06-27 2019-06-27 자동 케이크 제조 장치 KR102092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750A KR102092900B1 (ko) 2019-06-27 2019-06-27 자동 케이크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750A KR102092900B1 (ko) 2019-06-27 2019-06-27 자동 케이크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2900B1 true KR102092900B1 (ko) 2020-04-24

Family

ID=70466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750A KR102092900B1 (ko) 2019-06-27 2019-06-27 자동 케이크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90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9544A (ko) * 1996-07-25 2000-05-25 카트챠도우리안 푸잔트 피자제조장치및피자의제조방법
KR20000068789A (ko) * 1997-08-19 2000-11-25 도메니코 피오베사나 피자 제조 방법 및 장치
KR200354763Y1 (ko) 2004-04-16 2004-07-05 (주)푸드벤처코리아 전병제조장치
KR20090126267A (ko) * 2007-02-22 2009-12-08 케이 앤 지 엔터프라이즈, 엘엘씨 자동 피자 준비 및 벤딩 시스템
KR20100133654A (ko) 2009-06-12 2010-12-22 서울향료주식회사 크레페 제조장치
KR101571540B1 (ko) * 2014-12-11 2015-11-24 박동우 반죽시트 형성 노즐유닛 및 이를 구비한 제과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9544A (ko) * 1996-07-25 2000-05-25 카트챠도우리안 푸잔트 피자제조장치및피자의제조방법
KR20000068789A (ko) * 1997-08-19 2000-11-25 도메니코 피오베사나 피자 제조 방법 및 장치
KR200354763Y1 (ko) 2004-04-16 2004-07-05 (주)푸드벤처코리아 전병제조장치
KR20090126267A (ko) * 2007-02-22 2009-12-08 케이 앤 지 엔터프라이즈, 엘엘씨 자동 피자 준비 및 벤딩 시스템
KR20100133654A (ko) 2009-06-12 2010-12-22 서울향료주식회사 크레페 제조장치
KR101571540B1 (ko) * 2014-12-11 2015-11-24 박동우 반죽시트 형성 노즐유닛 및 이를 구비한 제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22733B (zh) 用于烹饪食物的自动化设备及其相应的方法
EP3038504B1 (en) Cooking machine
KR20140129198A (ko) 컨베이어 오븐
EP0373446A2 (en) Improved commercial hot air impingement cooking apparatus and stacked dual module commercial hot air impingement cooking oven
AU2014284697B2 (en) Forced moisture evacuation for rapid baking
JPH10191876A (ja) 加熱調理方法、ベーキングパン、ベーキングオーブン、ベーキングパンキット、及び、同キットを用いる加熱調理方法
CN1968609A (zh) 传送式炉
US10986844B2 (en) Machines and methods for making flatbreads
US5568802A (en) Vertical oven
KR102092900B1 (ko) 자동 케이크 제조 장치
US6242026B1 (en) Illustration applicator for food products
KR102092901B1 (ko) 대량 생산 및 배송 판매를 위한 케이크 제조 방법
RU2605193C2 (ru) Тестомесительн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евого теста
US5878655A (en) Automatic baking apparatus
JP3129639U (ja) ガトー・ピレネーの自動製造装置
US1899335A (en) Rotatable pan for bread baking
KR101453215B1 (ko) 도넛 제조용 시럽 도포장치
JP3731285B2 (ja) ホットプレート
RU2725905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панигаччи
JP4258002B2 (ja) ガトー・ピレネーの製造方法及びその自動製造装置
MXPA06013167A (es) Sistema para transportar aire para convexion u hornos estaticos a traves de cilindros y/o intersticio y sistema de ventilacion opuesta vertical.
US7063008B2 (en) Injera manufacturing system
RU35954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тепловой обработки материалов
KR200287622Y1 (ko) 크레페용 전병 자동 제조장치
JP4182382B2 (ja) 焼菓子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