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763Y1 - 전병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전병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763Y1
KR200354763Y1 KR20-2004-0010563U KR20040010563U KR200354763Y1 KR 200354763 Y1 KR200354763 Y1 KR 200354763Y1 KR 20040010563 U KR20040010563 U KR 20040010563U KR 200354763 Y1 KR200354763 Y1 KR 2003547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dough
belt
discharg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05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주)푸드벤처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푸드벤처코리아 filed Critical (주)푸드벤처코리아
Priority to KR20-2004-00105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7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7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7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0236Shaping of liquid, paste, powder; Manufacture of moulded articles, e.g. modelling, moulding, calender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0236Shaping of liquid, paste, powder; Manufacture of moulded articles, e.g. modelling, moulding, calendering
    • A23G3/0252Apparatus in which the material is shaped at least partially in a mould, in the hollows of a surface, a drum, an endless band, or by a drop-by-drop casting or dispensing of the material on a surface, e.g. injection moulding, transfer moulding
    • A23G3/0257Apparatus for laying down material in moulds or drop-by-drop on a surface, optionally with the associated heating, cooling, portioning, cutting cast-tail, anti-drip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병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배출구와 유입구가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된 반죽통과, 배출모터와 상기 반죽통의 내부에서 상기 반죽통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플런저와 상기 배출모터의 회전운동을 상기 플런저의 승강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기구부와 상기 플런저의 승강직선운동에 따라 상기 반죽통에 저장된 반죽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반복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갖는 반죽배출부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반죽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반죽통의 하부에 설치된 폐루프상의 이송벨트와 상기 이송벨트를 회전 구동하는 벨트모터를 가지고 상기 이송벨트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벨트의 내부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벨트상의 반죽을 가열하는 열판과, 상기 배출모터의 1회전동작을 검출하는 회전검출부를 가지고 상기 회전검출부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벨트모터가 정지하는 동안 상기 배출모터를 1회전시키고 상기 배출모터가 정지하는 동안 상기 벨트모터를 회전시키는 모터구동부를 갖는 전병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판은 상기 이송벨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구획된 고온열판영역과 저온열판영역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전병을 태우지 않고 내부까지 충분히 익힐 수 있다.

Description

전병제조장치{Pan cake Cooking Device}
본 고안은 전병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밀가루나 쌀가루등을 포함하는 반죽물을 납작하게 구워 전병(煎餠)을 만드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병은 그대로 취식하거나, 기호에 따라 전병으로 계란 후라이, 햄, 육류 등을 말아 김밥처럼 취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병을 자동으로 제조하는 장치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0은 종래의 전병제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11은 도10의 개폐부 및 모터구동부 영역의 정면도이며, 도12는 도10의 열판의 분해사시도이며, 도13은 도10의 열판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전병제조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110)와, 지지체(110)에 각각 설치된 반죽통(120), 반죽배출부(130), 이송부(150), 열판(160), 모터구동부(170) 및 고르개(166)를 갖고 있다.
반죽통(120)은 유입구(120a)와 배출구(120b)가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반죽통(120)의 유입구(120a)는 반원형의 덮개판(123)으로 차폐되어 있다. 덮개판(123)은 중앙영역에 가이드홈(123a)이 두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반죽배출부(130)는 반죽통(120)의 상부에 위치하는 배출모터(131)와, 배출모터(131)에 감속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결합된 원동판(133)과, 원동판(133)의 편심축(133a)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크랭크(135)와, 크랭크(135)와 반죽통(120)의 배출구(120b)사이에 개재하는 개폐부(140)를 갖고 있다.
개폐부(140)는 원동판(133)의 회전운동을 직선승강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135)를 통해 원동판(133)이 1회전하는 동안 1회씩 반죽통(120)의 배출구(120b)를 통해 반죽을 자유 낙하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개폐부(140)는 2002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7294호(고안의 명칭 : 크레페용 전병자동제조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개폐부(140)의 직선승강운동은 덮개판(123)의 가이드홈(123a)에 의해 안내된다.
이송부(150)는 반죽통(120)의 하부에 설치된 폐루프상의 이송벨트(151)와, 이송벨트(151)의 내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벨트롤러(152a, 152b)와, 우측에 위치하는 벨트롤러(152b)를 회전 구동하는 벨트모터(153)를 갖고 있다.
이송벨트(151)는 반죽통(120)의 배출구(120b)를 통해 낙하하는 반죽을 수령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열판(160)은 알루미늄 재질의 상부커버(161) 및 하부커버(162)와, 상부커버(161)와 하부커버(162)사이에 개재하는 전열선판(163)을 갖고 있다.
상부커버(161)와 하부커버(162)는 둘레연부에 형성된 플랜지를 통해 나사결합되어 있다.
전열선판(163)은 세라믹재질의 기판(163a)과, 기판(163a)에 몰딩(Molding)된 단일의 전열선(163b)을 갖고 있다.
전열선(163b)은 2열로 배치되어 있으며 각 열의 전열선은 동일 진동주기를 갖는 파동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전열선(163b)은 열판전원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가열전압공급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열판(160)에는 열판동작전압생성부(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열판(160)은 상부커버(161)의 상면이 이송벨트(151)의 내측에서 이송벨트(151)의 상부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모터구동부(170)는 원동판(133)의 연부에 결합된 원호상의 가압편(173)과, 원동판(133)의 상부에 설치된 제1리미트전원스위치(171) 및 제2리미트전원스위치(172)를 갖고 있다.
제1리미트전원스위치(171)와 제2리미트전원스위치(172)는 가압편(173)과 상호 동작하는 회동레버(171a, 172a)를 각각 가지고, 가압편(173)의 가압동작에 대응하여 온오프된다.
즉, 제1리미트전원스위치(171)는 가압편(173)에 의해 회동레버(171a)가 가압될 때 오프되고, 제2리미트전원스위치(172)는 가압편(173)에 의해 회동레버(172a)가 가압될 때 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압편(173)과 제1리미트전원스위치(171)는 회전검출부를 구성한다.
제1리미트전원스위치(171)는 배출모터(131)와 배출모터동작전압생성부(도시되지 않음)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제2리미트전원스위치(172)는 벨트모터(153)와 벨트모터동작전압생성부(도시되지 않음)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고르개(166)는 대략 디귿자형상으로 형성되고, 반죽통(120)의 배출구(120b)에 대향하는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서 이송벨트(151)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설치되어 있다. 고르개(166)는 이송벨트(151)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고르개(166)와 이송벨트(151)의 상부면사이의 이격거리는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종래의 전병제조장치는 배출모터동작전압생성부(도시되지 않음), 벨트모터동작전압생성부(도시되지 않음) 및 열판동작전압공급부(도시되지 않음)와 전압전원(도시되지 않음)사이를 각각 온오프하는 메인전원스위치(도시되지 않음)와, 메인전원스위치와 열판동작전압생성부(도시되지 않음)사이, 메인전원스위치와 배출모터동작전압생성부(도시되지 않음)사이를 온오프하는 배출모터전원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전병제조장치를 사용하여 전병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인전원스위치는 온상태에 있고, 제1리미트전원스위치(171)의 회동레버(171a)와 제2리미트전원스위치(172)의 회동레버(172a)는 가압편(173)에 접촉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에 따라 열판(160)에 전압이 공급되어 가열되고 이송벨트(151)가 이동한다(제1리미트전원스위치(171)는 오프상태이고 제2리미트전원스위치(172)는 온상태임).
다음에 배출모터전원스위치를 온상태로 조작한다. 이에 따라 배출모터(131)에 동작전압이 공급되고 원동판(133)이 회전한다.
원동판(133)의 회전이 진행되어 제1리미트전원스위치(171)의 회동레버(171a)가 가압편(173)으로부터 벗어나면 배출모터전원스위치를 오프상태로 조작한다. 배출모터전원스위치가 오프상태일 때 배출모터(131)에는 제1리미트전원스위치(171)를 통해 동작전압이 공급되므로 배출모터(131)의 회전동작은 계속된다. 그리고 원동판(133)의 회전이 더 진행되어 제2리미트전원스위치(172)의 회동레버(172a)가가압편(173)으로부터 이탈하면, 제2리미트전원스위치(172)를 통해 벨트모터(153)에 공급되던 동작전압이 차단되어 이송벨트(151)는 정지한다.
원동판(133)이 1회전하는 동안 개폐부(140)에 의해 반죽통(120)의 배출구(120b)를 통해 반죽이 이송벨트(151)의 상부면으로 자유 낙하한다.
원동판(133)이 1회전하여 가압편(173)이 제1리미트전원스위치(171)의 회동레버(171a)를 가압하게 되면 제1리미트전원스위치(171)를 통해 배출모터(131)에 공급되던 동작전압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개폐부(140)의 반죽배출동작의 1싸이클이 종료된다.
그리고 원동판(133)이 1회전하여 가압편(173)이 제2리미트전원스위치(172)의 회동레버(172a)를 가압하게 되면, 제2리미트전원스위치(172)를 통해 벨트모터(153)에 동작전압이 공급되고 이송벨트(151)는 이동한다.
이송벨트(151)가 이동함에 따라 이송벨트(151)상의 반죽은 열판(160)에 의해 가열되면서 수거통(이송벨트의 우측에 설치되어 있음)으로 떨어진다. 여기서 이송벨트(151)상의 반죽은 고르개(166)를 통과하는 동안 두께가 균일하게 된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하나의 전병이 만들어 진다.
전병이 수거통으로 떨어지는 것을 확인한 다음 다시 배출모터전원스위치를 온상태로 조작한 후 제1리미트전원스위치(171)의 회동레버(171a)가 가압편(173)으로부터 벗어날 때 오프상태로 조작함으로써, 전술한 단계를 거쳐 다른 하나의 전병이 만들어 진다.
그런데 종래의 전병제조장치에 따르면, 열판(160)은 전 영역에 걸쳐 온도가거의 균일하기 때문에 전병의 재료나 두께에 따라서는 전병이 타거나(온도가 높은 경우) 내부가 충분히 익지 않을 염려(온도가 낮은 경우)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열온도를 달리하여 전병을 익힐 수 있도록 한 전병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병제조장치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반죽통 영역의 상세도,
도3은 도1의 반죽개폐부의 요부사시도,
도4는 도1의 반죽개폐부의 분해사시도,
도5a, 5b, 5c, 5d, 5e, 5f는 도1의 반죽개폐부의 동작상태도,
도6은 도1의 열판의 분해사시도,
도7은 도1의 열판의 단면도,
도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병제조장치의 회전검출부 영역을 도시한 요부사시도,
도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병제조장치의 모터구동부의 기능별 블록도,
도10은 종래의 전병제조장치의 사시도,
도11은 도10의 개폐부 및 모터구동부 영역의 정면도,
도12는 도10의 열판의 분해사시도,
도13은 도10의 열판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10 : 지지체 20, 120 : 반죽통
21 : 본체 22 : 캡
30, 130 : 반죽배출부 31, 131 : 배출모터
33, 133 : 원동판 34 : 크랭크기구부
40, 140 : 개폐부 41 : 분산판
42 : 배출가압부 43 : 지지판
44 : 개폐판 50 : 플런저
51 : 바디부 52 : 축부
53 : 둘레가압부 60 : 배출량조절부
61 : 결합부 62 : 가압판
70, 150 : 이송부 71, 151 : 이송벨트
72a, 72b, 152a, 152b : 벨트롤러
73, 153 : 벨트모터 80, 160 : 열판
81, 161 : 상부커버 82, 162 : 하부커버
84, 163 : 전열선판 90, 170 : 모터구동부
91 : 회전검출부 92 : 제어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배출구와 유입구가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된 반죽통과, 배출모터와 상기 반죽통의 내부에서 상기 반죽통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플런저와 상기 배출모터의 회전운동을 상기 플런저의 승강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기구부와 상기 플런저의 승강직선운동에 따라 상기 반죽통에 저장된 반죽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반복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갖는 반죽배출부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반죽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반죽통의 하부에 설치된 폐루프상의 이송벨트와 상기 이송벨트를 회전 구동하는 벨트모터를 가지고 상기 이송벨트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벨트의 내부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벨트상의 반죽을 가열하는 열판과, 상기 배출모터의 1회전동작을 검출하는 회전검출부를 가지고 상기 회전검출부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벨트모터가 정지하는 동안 상기 배출모터를 1회전시키고 상기 배출모터가 정지하는 동안 상기 벨트모터를 회전시키는 모터구동부를 갖는 전병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판은 상기 이송벨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구획된 고온열판영역과 저온열판영역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병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열판전압생성부과 전열선을 하나로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열판은 상호 협조하여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와, 기판과 권선간 이격거리를 달리하여 상기 기판을 둘러싸는 고온전열선 및 저온전열선을 갖는 전열선판과, 상기 전열선판과 상기 상부커버사이에 개재하는 상부절연판과, 상기 전열선판과 상기 하부커버사이에 개재하는 하부절연판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병제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반죽통 영역의 상세도이며, 도3은 도1의 반죽개폐부의 요부사시도이며, 도4는 도1의 반죽개폐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5a 내지 도5f는 도1의 반죽개폐부의 동작상태도이며, 도6은 도1의 열판의 분해사시도이며, 도7은 도1의 열판의 단면도이며, 도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병제조장치의 회전검출부 영역을 도시한 요부사시도이며, 도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병제조장치의 모터구동부의 기능별 블록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병제조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패널(11)을 갖는 테이블 형태의 지지체(10)와, 지지체(10)에 설치된 반죽통(20), 반죽배출부(30), 이송부(70), 열판(80), 고르개(86) 및 모터구동부(90)를 갖고 있다.
지지체(10)의 전면패널(11)에는 좌측으로부터 메인전원스위치(12), 열판전원스위치(13), 정지시간타이머(14), 이동시간타이머(15), 배출모터기동스위치(16) 및 벨트모터기동스위치(17)가 형성되어 있다.
반죽통(20)은 유입구(21a)와 안내구(21b)가 대향하도록 형성된 본체(21)와, 본체(21)의 하단에 결합된 캡(22)과, 본체(21)의 유입구(21a)를 부분적으로 가리도록 본체(21)의 상단에 설치된 덮개판(23)을 갖고 있다.
캡(22)은 바닥면 중앙영역에 안내구(21b)보다 작은 크기의 배출구(22a)가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니은자 형상의 걸림홈(22b)이 분산 형성되어 있다. 캡(22)은 걸림홈(22b)을 통해 배출구(22a)가 안내구(21b)에 연통하도록 본체(21)에 결합된다.
덮개판(23)은 중앙영역에 가이드홈(23a)이 두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반죽배출부(30)는 반죽통(20)의 상부에 위치하는 배출모터(31)와, 배출모터(31)에 감속부(32)를 통해 결합된 원동판(33)과, 원동판(33)에 결합된 크랭크기구부(35)와, 크랭크기구부(35)와 반죽통(20)의 배출구(22a)사이에 개재하는 개폐부(40)를 갖고 있다.
배출모터(31)는 배출모터전압생성부(37a)와 배출모터스위칭부(37b)를 갖는 배출모터전압공급부(37)에 연결되어 있다. 배출모터전압생성부(37a)는 메인전원스위치(12)를 통해 전원전압에 연결되어 있다.
크랭크기구부(35)는 원동판(33)의 편심축(33a)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직선상의 상부레버(35a)와, 상부레버(35a)의 하단에 결합된 디귿자형상의하부레버(35b)를 갖고 있다.
개폐부(40)는 하부레버(35b)의 하단에 결합된 플런저(50)와, 플런저(50)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분산판(41) 및 배출가압부(42)와, 본체(21)의 하단과 캡(22)사이에 장착되는 지지판(43)과, 본체(21)의 하단과 지지판(43)사이에 개재하는 개폐판(44)을 갖고 있다.
플런저(50)는 장방형상의 바디부(51)와, 바디부(51)의 하단에 결합된 축부(52)와, 축부(52)에 높이차를 두고 결합된 둘레가압부(53) 및 배출량조절부(60)를 갖고 있다.
바디부(51)의 전면 중앙영역에는 삽입홈(51a)이 형성되어 있다.
축부(52)의 상부영역에는 수나사부(52a)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량조절부(60)는 직선상의 결합부(61)와, 결합부(61)의 하단에 결합된 가압판(62)을 갖고 있다.
결합부(61)와 가압판(62)은 중앙영역에 결합부(61)의 길이방향을 따라 축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다. 축삽입공의 내표면 상부영역에는 축부(52)의 수나사부(52a)에 대응하는 암나사부(61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배출량조절부(60)는 결합부(61)와 축부(52)의 나사부(52a, 61a)를 통해 축부(52)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둘레가압부(53)는 원형의 띠형태로 형성되고, 세 개의 연결봉(54)을 통해 축부(52)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플런저(50)는 바디부(51)의 삽입홈(51a)에하부레버(35b)의 하단을 삽입함으로써, 크랭크기구부(35)에 결합되어 있다.
분산판(41)은 축부(52)의 하부영역에 결합된 고정핀(45)과 둘레가압부(53)의 사이영역에서 축부(52)에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배출가압부(42)는 세 개의 지지기둥(42a)과, 지지기둥(42a)의 상단 및 하부영역에 상호 나란하도록 결합된 상판(42b) 및 하판(42c)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배출가압부(42)는 상판(42b)과 하판(42c)의 중앙영역에 형성된 홀을 통해 배출량조절부(60)와 둘레가압부(53)의 사이영역에서 축부(52)에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배출가압부(42)가 축부(52)에 결합된 상태에서 각 지지기둥(42a)의 하단은 연결봉(54)의 사이영역에서 연결봉(54)보다 하부에 위치한다.
지지판(43)은 중앙영역에 지지공(43a)이 캡(22)의 배출구(22a)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폐판(44)은 중앙영역에 개폐절취선(44a)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개폐부(40)의 동작을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반죽통(20)의 내부에는 반죽이 들어있고, 원동판(33)은 편심축(33a)이 최고점(最高點)에 위치하도록 즉, 플런저(50)가 상승점에 위치하도록 회전되어 있다고 가정한다(도5a 참조).
배출모터(31)에 동작전압이 공급되어 원동판(33)이 회전되면, 플런저(50)는 크랭크기구부(35)의 운동변환동작에 의해 하강한다. 플런저(50)의 하강동작은 원동판(33)이 반바퀴 회전할 때까지 계속된다. 여기서 플런저(50)의 하강동작은 덮개판(23)의 가이드홈(23a)에 의해 안내된다.
플런저(50)의 하강 초기단계에서 둘레가압부(53)에 가압동작에 의해 하방향의 압력이 개폐판(44)의 중앙영역에 가해진다. 이러한 둘레가압부(53)에 의한 가압동작은 배출량조절부(60)의 가압판(62)이 배출가압부(42)의 상판(42b)에 접촉할 때까지 계속된다(도5b 참조).
배출량조절부(60)의 가압판(62)이 배출가압부(42)의 상판(42b)에 접촉하면, 플런저(50)와 함께 배출가압부(42)도 하강하게 된다.
배출가압부(42)가 하강하게 되면, 하판(42c)의 가압동작에 의해 하판(42c)과 분산판(41)사이에 개재된 반죽은 분산판(41)의 판면방향을 따라 이동한 후, 둘레가압부(53)의 가압동작에 의해 개폐판(44)을 향해 하강하게 된다(도5c 참조).
하판(42c)과 분산판(41)사이에 개재된 반죽이 개폐판(44)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개폐판(44)의 상면 개폐절취선(44a)이 형성된 영역은 개방되고, 반죽은 지지판(43)의 지지공(43a)과 캡(22)의 배출구(22a)를 통해 이송벨트(71)로 자유낙하하게 된다(도5d 참조). 이 때 개폐판(44)의 개폐절취선(44a)이 형성된 영역의 개방동작은 지지판(43)의 지지공(43a)에 의해 촉진된다.
개폐판(44)을 통한 반죽의 낙하동작은 배출량조절부(60)의 가압판(62)이 배출가압부(42)의 상판(42b)에 접촉할 때부터 플런저(50)가 하강점에 도달할 때까지 즉, 원동판(33)이 반바퀴 회전할 때까지 계속된다.
원동판(33)이 반바퀴를 넘어 회전하게 되면, 플런저(50)는 크랭크기구부(35)의 운동변환동작에 의해 상승한다. 플런저(50)의 상승 동작은 원동판(33)이 한바퀴 회전할 때까지 계속된다. 여기서 플런저(50)의 상승동작은 덮개판(23)의 가이드홈(23a)에 의해 안내된다.
플런저(50)의 상승동작이 개시되면, 둘레가압부(53)에 의한 가압동작과 배출가압부(42)의 하판(42c)에 의한 가압동작은 해제된다. 이에 따라 개폐판(44)의 상면 개폐절취선(44a)이 형성된 영역은 폐쇄된다.
플런저(50)가 상승함에 따라 둘레가압부(53)의 하부에는 진공영역이 발생하고, 이 진공영역에는 반죽통(20)의 상부로부터 반죽이 유입된다(도5e 참조). 이러한 둘레가압부(53)의 하부에 발생된 진공영역에 반죽이 유입되는 동작은 플런저(50)가 상승점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
한편 플런저(50)의 상승이 진행되어 연결봉(54)이 배출가압부(42)의 하판(42c)에 접촉하면, 플런저(50)와 함께 배출가압부(42)도 상승하게 된다.
배출가압부(42)가 상승함에 따라 배출가압부(42)의 하판(42c)과 분산판(41)사이에는 진공영역이 형성되고, 이 진공영역으로 반죽통(20)의 상부로부터 반죽이 유입된다(도5f). 이러한 둘레가압부(53)의 하부에 발생된 진공영역에 반죽이 유입되는 동작은 플런저(50)가 상승점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
한편 배출량조절부(60)의 축부(52)에 대한 상대위치 즉, 배출가압부(42)의 상판(42b)과 배출량조절부(60)의 가압판(62)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반죽통(20)으로부터 이송벨트(71)로 자유낙하되는 반죽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가압판(62)과 상판(42b)사이의 이격거리를 증가시키면, 배출가압부(42)의 승강 및 하강 스트로크(Stroke)가 짧아지기 때문에 하판(42c)에 의한 반죽가압시간이 짧아지고 배출가압부(42)의 하판(42c)과 분산판(41)사이에 형성되는 진공영역의 용적이 작아진다. 이에 따라 반죽통(20)으로부터 이송벨트(71)로 자유 낙하되는 반죽의 양은 감소하게 된다.
이송부(70)는 반죽통(20)의 하부에 설치된 폐루프상의 이송벨트(71)와, 이송벨트(71)의 내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벨트롤러(72a, 72b)와, 우측에 위치하는 벨트롤러(72b)에 결합된 벨트모터(73)를 갖고 있다.
이송벨트(71)는 반죽통(20)의 배출구(22a)를 통해 낙하하는 반죽을 수령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벨트모터(73)는 벨트모터전압생성부(74a)와 벨트모터스위칭부(74b)를 갖는 벨트모터전압공급부(74)에 연결되어 있다. 벨트모터전압생성부(74a)는 메인전원스위치(12)를 통해 전원전압에 연결되어 있다.
열판(80)은 스테인레스 재질의 상부커버(81) 및 하부커버(82)와, 상부커버(81)와 하부커버(82)의 사이영역에서 하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된 하부절연판(83), 전열선판(84) 및 상부절연판(85)을 갖고 있다.
상부커버(81)와 하부커버(82)는 둘레연부에 형성된 플랜지를 통해 나사결합되어 있다.
전열선판(84)은 운모재질의 기판(84a)과, 기판(84a)을 둘러싸고 있는 고온 전열선(84b) 및 저온전열선(84c)을 갖고 있다.
고온전열선(84b)의 권선간 이격거리는 저온전열선(84c)의 그것보다 작다. 이에 따라 열판(80)은 고온열판영역과 저온열판영역이 형성된다.
고온전열선(84b)과 저온전열선(84c)은 열판전원스위치(13)를 통해 열판전압생성부(87)에 연결되어 있다. 열판전압생성부(87)는 메인전원스위치(12)를 통해 전원전압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열판(80)은 상부커버(81)의 상면이 이송벨트(71)의 내측에서 이송벨트(71)의 상부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열판(80)은 반죽통(20)의 배출구(22a)에 대향하는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송벨트(71)에는 비가열영역이 형성된다.
고르개(86)는 대략 디귿자형상으로 형성되고, 반죽통(20)의 배출구(22a)에 대향하는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이송벨트(71)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설치되어 있다. 고르개(86)는 이송벨트(71)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고르개(86)와 이송벨트(71)의 상부면사이의 이격거리는 조절이 가능하다.
모터구동부(90)는 배출모터(31)의 인접영역에 설치된 회전검출부(91)와, 회전검출부(91), 정지시간타이머(14), 이동시간타이머(15), 배출모터기동스위치(16) 및 벨트모터기동스위치(17)로부터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배출모터(31)와 벨트모터(73)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92)와, 제어부(92)에 연결된 메모리(93)를 갖고 있다.
회전검출부(91)는 감속기(32)의 축에 길이방향에 가로로 형성된 가압돌기(91b)와, 가압돌기(91b)의 가압동작에 대응하여 탄성적으로 회동하는 회동레버(91c)를 갖는 리미트스위치(91a)를 포함하고 있다.
리미트스위치(91a)는 회동레버(34a)가 가압돌기(31b)에 의해 가압될 때 온상태가 된다.
제어부(92)의 출력단에는 벨트모터전압공급부(74)와 배출모터전압공급부(37)가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93)에는 배출모터(31)에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시각(이하 "배출모터구동시각"이라고 함)이 저장되어 있다. 이 배출모터구동시각은 이송벨트(71)의 정지시간의 종료점으로부터 얼마 정도의 시간간격 이전(예를 들면, 정지시간 종료 3초전)이라는 형태로 저장되어 있고, 프로그램적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병제조장치를 사용하여 전병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인전원스위치(12)가 온 상태로 조작되어 있고, 리미트스위치(91a)의 회동레버(34a)는 가압돌기(31b)에 접촉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에 따라 배출모터전압생성부(37a)와 벨트모터전압생성부(74a)에는 전원전압이 인가되고, 리미트스위치(91a)로부터 오프신호가 제어부(92)로 입력된다.
먼저 정지시간타이머(14)와 이동시간타이머(15)를 각각 조작하여 이송벨트(71)의 정지시간과 이동시간을 설정한다. 이 때 설정된 정지시간 및 이동시간은 메모리(93)에 저장된다. 여기서 이송벨트(71)의 이동시간은 이송벨트(71)의 비가열영역에 있는 반죽이 저온열판영역에 도달하도록 설정된다. 이하 정지시간은 10초, 이동시간은 6초, 배출모터구동시각은 정지시간 종료전 3초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열판전원스위치(13)를 온상태로 조작하여 열판(80)에 동작전압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고온전열선(84b) 및 저온전열선(84c)에 전류가 흘러 열판(80)은 가열된다. 여기서 고온전열선(84b)의 권선간 이격거리가 저온전열선(84c)의 그것보다 작기 때문에 고온전열선(84b)에 대응하는 열판영역이 저온전열선(84c)에 대응하는 열판영역보다 높은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에 벨트모터기동스위치(17)와 배출모터기동스위치(16)를 순차적으로 온상태로 조작한다.
벨트모터기동스위치(17)가 온되면, 제어부(92)는 벨트모터(73)에 동작전압이 공급되도록 벨트모터스위칭부(74b)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벨트롤러(72a, 72b)는 회전구동하고 이송벨트(71)는 이동하게 된다.
제어부(92)는 벨트모터(73)에 이동시간 6초 동안 동작전압이 공급되면, 벨트모터(73)에의 동작전압이 정지시간 10초 동안 차단되도록 벨트모터스위칭부(74b)를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92)는 정지시간 10초가 종료되기 3초전에 배출모터(31)에 동작전압이 공급되도록 배출모터스위칭부(37b)를 제어한다.
배출모터(31)에 동작전압이 공급되면, 원동판(33)이 회전한다.
원동판(33)이 1회전하여 가압돌기(31b)가 리미트스위치(91a)의 회동레버(34a)를 가압하게 되면, 리미트스위치(91a)로부터 오프신호가 제어부(92)로 입력된다.
리미트스위치(91a)로부터 오프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92)는 배출모터(31)에의 동작전압이 차단되도록 배출모터스위칭부(37b)를 제어한다.
한편 원동판(33)이 1회전하는 동안 개폐부(40)에 의해 반죽통(20)의 배출구(22a)를 통해 반죽이 이송벨트(71)의 비가열영역(열판으로부터 벗어난 영역)으로 자유 낙하한다. 이에 따라 개폐부(40)의 반죽배출동작의 1싸이클이 종료된다.
제어부(92)는 벨트모터(73)에 동작전압이 차단된 후 정지시간 10초가 경과하면, 다시 벨트모터(73)에 동작전압이 공급되도록 벨트모터스위칭부(74b)를 제어한다.
벨트모터(73)에 동작전압이 공급되면 이송벨트(71)는 이동하고, 이에 따라 이송벨트(71)의 비가열영역에 있는 반죽은 이송벨트(71)와 함께 이동한다. 반죽은 이송벨트(71)와 함께 이동하면서 열판(80)의 고온열판영역으로부터의 열기에 의해 가열된다.
이송벨트(71)와 함께 이동한 반죽은 열판(80)의 저온열판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정지한 후, 정지시간 10초 동안 열판(80)의 고온열판영역으로부터의 열기에 의해 가열된다.
제어부(92)는 벨트모터(73)에 이동시간 6초 동안 동작전압이 공급되면, 벨트모터(73)에의 동작전압이 정지시간 10초 동안 차단되도록 벨트모터스위칭부(74b)를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92)는 정지시간 10초가 종료되기 3초전에 배출모터(31)에 동작전압이 공급되도록 배출모터스위칭부(37b)를 제어한다.
배출모터(31)에 동작전압이 공급되면, 원동판(33)이 회전한다.
원동판(33)이 1회전하여 가압돌기(31b)가 리미트스위치(91a)의 회동레버(34a)를 가압하게 되면, 리미트스위치(91a)로부터 오프신호가 제어부(92)로 입력된다.
리미트스위치(91a)로부터 오프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92)는 배출모터(31)에의 동작전압이 차단되도록 배출모터스위칭부(37b)를 제어한다.
한편 원동판(33)이 1회전하는 동안 개폐부(40)에 의해 반죽통(20)의 배출구(22a)를 통해 반죽이 이송벨트(71)의 비가열영역(열판으로부터 벗어난 영역)으로 자유 낙하한다. 이에 따라 개폐부(40)의 반죽배출동작의 1싸이클이 종료된다.
제어부(92)는 벨트모터(73)에 동작전압이 차단된 후 정지시간 10초가 경과하면, 다시 벨트모터(73)에 동작전압이 공급되도록 벨트모터스위칭부(74b)를 제어한다.
벨트모터(73)에 동작전압이 공급되면 이송벨트(71)는 이동하고, 이에 따라 이송벨트(71)의 비가열영역에 있는 반죽은 이송벨트(71)와 함께 이동한다. 한편 열판(80)의 저온열판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반죽은 하나의 전병으로 완성되어 수거통(67)으로 낙하한다. 여기서 이송벨트(71)의 비가열영역에 있는 반죽은 고르개(86)를 통과하는 동안 두께가 균일하게 된다.
이상의 단계를 거쳐 하나의 전병이 제작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열판(80)을 고온열판영역과 저온열판영역으로 구분하여 형성함으로써, 전병을 태우지 않고 내부까지 충분히 익힐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열판(80)의 고온열판영역과 저온열판영역을 권선간의 이격거리를 달리하여 구현하고 있으나, 전열선의 굵기나 열판전압을 달리하여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권선간의 이격거리를 달리하여 고온열판영역과 저온열판영역을 구현하는 경우 열판전압생성부과 전열선을 하나로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에서는 열판(80)의 고온열판영역과 저온열판영역의 최고온도를 제한하고 있지 아니하나, 고온열판영역과 저온열판영역 중 적어도 일방에 온도센서를 장착하여 열판의 온도상승을 제한하여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배출모터(31)를 구동하기 전에 이송벨트(71)를 일정시간동안 정지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이송벨트가 연속적으로 이동되도록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열판을 고온열판영역과 저온열판영역으로 구분하여 형성함으로써, 전병을 태우지 않고 내부까지 충분히 익힐 수 있다.

Claims (2)

  1. 배출구와 유입구가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된 반죽통과, 배출모터와 상기 반죽통의 내부에서 상기 반죽통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플런저와 상기 배출모터의 회전운동을 상기 플런저의 승강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기구부와 상기 플런저의 승강직선운동에 따라 상기 반죽통에 저장된 반죽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반복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갖는 반죽배출부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반죽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반죽통의 하부에 설치된 폐루프상의 이송벨트와 상기 이송벨트를 회전 구동하는 벨트모터를 가지고 상기 이송벨트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벨트의 내부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벨트상의 반죽을 가열하는 열판과, 상기 배출모터의 1회전동작을 검출하는 회전검출부를 가지고 상기 회전검출부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벨트모터가 정지하는 동안 상기 배출모터를 1회전시키고 상기 배출모터가 정지하는 동안 상기 벨트모터를 회전시키는 모터구동부를 갖는 전병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판은 상기 이송벨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구획된 고온열판영역과 저온열판영역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병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판은 상호 협조하여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와, 기판과 권선간 이격거리를 달리하여 상기 기판을 둘러싸는 고온전열선 및 저온전열선을 갖는 전열선판과, 상기 전열선판과 상기 상부커버사이에 개재하는 상부절연판과, 상기 전열선판과 상기 하부커버사이에 개재하는 하부절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병제조장치.
KR20-2004-0010563U 2004-04-16 2004-04-16 전병제조장치 KR2003547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563U KR200354763Y1 (ko) 2004-04-16 2004-04-16 전병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563U KR200354763Y1 (ko) 2004-04-16 2004-04-16 전병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763Y1 true KR200354763Y1 (ko) 2004-07-05

Family

ID=49432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563U KR200354763Y1 (ko) 2004-04-16 2004-04-16 전병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76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6024B2 (en) 2006-11-24 2010-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LCD module and liquid crystal imaging means using the same
KR102092901B1 (ko) 2019-07-01 2020-03-24 김동진 대량 생산 및 배송 판매를 위한 케이크 제조 방법
KR102092900B1 (ko) 2019-06-27 2020-04-24 김동진 자동 케이크 제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6024B2 (en) 2006-11-24 2010-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LCD module and liquid crystal imaging means using the same
KR102092900B1 (ko) 2019-06-27 2020-04-24 김동진 자동 케이크 제조 장치
KR102092901B1 (ko) 2019-07-01 2020-03-24 김동진 대량 생산 및 배송 판매를 위한 케이크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0849B1 (ko) 식품 성형 방법 및 장치
JP5750350B2 (ja) 包被食品の製造方法及び装置
CN101422332B (zh) 用于烹调食物的电烤箱
EP0949456A2 (en) Oven with automatically movable shelf
SG174634A1 (en) Compact appliance for making flat edibles
KR100574374B1 (ko) 전병제조장치
JP2017113020A (ja) 襞成形ユニット及び襞成形ユニットを備えた襞形成形装置
KR200354763Y1 (ko) 전병제조장치
KR101062940B1 (ko) 컵 성형장치
HU229614B1 (en) Automatic machine for making fried dough foods, especially provided with a dough dispenser
CN211511518U (zh) 一种烤牛排机
US20160324165A1 (en) Baking device and feeding unit thereof
JP3421658B2 (ja) 食品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1046242A (ja) 家庭用オーブン、調理方法および調理装置
CN206507750U (zh) 烹饪器具
KR101266213B1 (ko) 호떡 자동 구이장치
JP2009125516A (ja) 自動製パン器
EP0273760A2 (en) An apparatus for shaping a dough product
JP4045313B2 (ja) 食品成形装置
KR102262021B1 (ko) 누룽지 과자 제조장치
JP7515393B2 (ja) 玉子焼き製造装置及び玉子焼き製造方法
KR100274843B1 (ko) 제빵기
JPH06319654A (ja) ロータリ式フライヤ
KR200357460Y1 (ko) 전병제조장치
CN216961285U (zh) 冲压烙饼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