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1544B1 - 캐리어테이프의 릴 권취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캐리어테이프의 릴 권취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1544B1
KR100451544B1 KR10-2001-0062927A KR20010062927A KR100451544B1 KR 100451544 B1 KR100451544 B1 KR 100451544B1 KR 20010062927 A KR20010062927 A KR 20010062927A KR 100451544 B1 KR100451544 B1 KR 100451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carrier tape
tape
win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2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0675A (ko
Inventor
강영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어테크
Priority to KR10-2001-0062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1544B1/ko
Publication of KR20030030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0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1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15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21Apparatus for making assembl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package 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5Close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어테이프의 릴 권취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반도체포장기에서 제조된 캐리어테이프를 안내틀에 걸쳐놓는 것만으로 상기 캐리어테이프를 장입수단이 이동시켜 릴의 고정홈에 끼워 넣고, 상기 릴이 회전되면서 캐리어테이프를 권취하며, 상기 캐리어테이프가 권취된 릴을 배출봉으로 이송시키도록 하여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권취작업 전반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릴에 정량만큼 권취된 캐리어테이프의 끝단을 자동으로 절단하고 이 절단된 캐리어테이프의 끝단에 자동으로 테이핑을 하도록 하여 작업능률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함과 더불어, 다수개의 공릴과 릴을 장착할 수 있는 릴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공릴과 릴을 자동으로 교체하면서 사용하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며, 상기 릴케이스의 개방시에도 또 다른 릴에 대한 권취가 가능하도록 하여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캐리어테이프의 릴 권취방법 및 그 장치{A METHOD AND DEVICE OF REEL WIND FOR A SEMICONDUCTOR CARRIER TAPE}
본 발명은 캐리어테이프의 권취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캐리어테이프 생성기에서 제조된 캐리어테이프를 릴에 권취하고, 밀착 및 테이핑하며, 상기 캐리어테이프가 권취된 릴과 공릴의 교체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한 캐리어테이프의 릴 권취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는 반도체를 수용하도록 특별히 제작된 캐리어에 포장되어 출하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여기서, 상기 캐리어는 띠형상을 이룸과 더불어 소정간격을 이루고 함몰된 수용부를 형성하여 상기 반도체를 상기 수용부에 수용하고, 그 상단을 투명한 비닐 재질 등의 덮개막을 덮어 막는 것으로 그 포장을 이루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또, 상기 캐리어는 반도체가 1열로 배열되는 띠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그 운반 및 적재의 편의를 위해 한 쌍의 원판이 접하고, 그 중앙부에 중심축이 형성된 릴에 상기 캐리어테이프를 권취하여 사용하도록 된다.
따라서, 상기 캐리어의 수용홈에 반도체를 삽입하고, 상기 반도체가 수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상단면을 덮개막으로 덮어 막으며, 상기 덮개막이 덮어진캐리어테이프를 상기 릴에 권취 및 테이핑하여 상기 릴 자체를 운반, 적재 등 작업하는 것이 보편적이었다.
여기서, 종래에 캐리어테이프의 릴 권취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포장기(200)에서 캐리어의 수용홈에 각각의 반도체를 삽입함과 더불어 그 상단면에 덮개막을 접착시켜 캐리어테이프(300)를 생성하고, 이 생성된 캐리어테이프(300)를 상기 반도체포장기(200)의 끝단으로 이송시키고, 이 반도체포장기(200)의 끝단으로 이송시킨 캐리어테이프(300)를 작업자가 조작하여 릴(400)의 중심축에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선단을 접착테이프로 접착하며, 이 캐리어테이프(300)가 상기 릴의 중심축에 접착테이프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릴(400)이 거취된 거취봉이 회전되며, 상기 거취봉의 회전에 의해 상기 거취봉에 체결된 릴(400)이 회전되고, 상기 릴(4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릴(400)의 고정홈에 캐리어테이프(300)의 선단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캐리어테이프(300)가 상기 릴(400)의 중심축에 권취된다.
상기 캐리어테이프(300)가 상기 릴(400)에 소정량 권취된 후에 상기 작업자가 상기 반도체포장기(200)와 릴(400)의 작동을 정지하고, 상기 캐리어테이프(300)가 권취된 릴(400)을 거취봉에서 빼내어 적재하며, 상기 거취봉에서 릴(400)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거취봉에 공릴을 재차 장착하여 상기 또 다른 캐리어테이프(300)의 권취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또, 상기 릴(400)에 권취된 캐리어테이프(300)의 끝단이 상기 권취된 릴(400)의 외주에 밀착되도록 상기 거취대에서 상기 릴(400)을 빼내기 전에 상기작업자가 상기 캐리어테이프(300)의 끝단을 상기 릴(400)에 대해 감는 방향으로 당겨내어 상기 권취된 캐리어테이프 사이의 공극을 제거하고, 상기 캐리어테이프(300)의 끝단에 접착테이프를 접착하여 상기 권취된 캐리어테이프(300)를 고정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거취봉에 공릴을 체결한 후에 상기 반도체포장기 및 거취봉을 작동하도록 함에 따라, 작업능률이 저하됨과 더불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 기술에 따라 반도체포장기에서 제조된 캐리어테이프의 선단을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상기 릴의 중심축에 접착테이프로써 접착한 후에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권취를 이루도록 함에 따라, 작업시간이 증가됨은 물론,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상기 중심축에 캐리어테이프의 선단이 접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릴이 회전 작동되어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권취가 불가능하게 되는 등 작업의 정확도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캐리어테이프가 정해진 양만큼 릴에 권취된 후에 상기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상기 릴이 권취되어 회전 작동되는 거취봉의 회전을 멈춤과 더불어, 반도체포장기를 정지한 후에 상기 캐리어테이프가 권취된 릴을 상기 거취봉에서 빼내어야 하므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작업능률이 저하됨은 물론, 상기 캐리어테이프가 권취된 릴의 제거 시에 반도체포장기 및 거취봉 등의 장비를 정지하여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증가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에 반도체포장기에서 제조되는 캐리어테이프를 권취할 수 있는 릴이단일개로 고정되어 상기 릴의 잦은 교체로 인해 작업능률이 저하됨은 물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다수개의 공릴이 지속적으로 교체되면서 반도체포장기에서 제조된 캐리어테이프를 권취하도록 함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캐리어테이프의 릴 권취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도체포장기에서 제조되어 이송되는 캐리어테이프의 선단을 자동으로 안내 및 가압하여 릴의 고정홈에 삽입하도록 함에 따라, 작업의 정확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작업시간을 단축하도록 한 캐리어테이프의 릴 권취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캐리어테이프가 정해진 양만큼 권취된 릴이 자동으로 배출됨과 더불어, 상기 공릴이 자동으로 상기 캐리어테이프를 권취할 수 있는 위치로 체결되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상기 캐리어테이프가 권취된 릴과 공릴이 교체되는 동안에도 기 체결된 또 다른 릴에서 상기 캐리어테이프를 권취하도록 함에 따라, 작업시간의 손실을 최소화함과 더불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캐리어테이프의 릴 권취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릴에 정해진 양만큼 권취된 캐리어테이프의 끝단이 자동으로 절단됨과 더불어, 롤러 등의 가압수단을 통해 가압되면서 마감되어 상기 릴에 캐리어테이프가 보다 정확하게 권취하도록 한 캐리어테이프의 릴 권취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끝단이 절단된 캐리어테이프의 상기 끝단에 접착테이프가 접착되어 상기 릴에 권취되면서 상기 릴에 권취된 캐리어테이프를 자동으로 고정하도록 한 캐리어테이프의 릴 권취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도체포장기에서 제조되어 이송되는 캐리어테이프가 소정양만큼의 여유분을 갖으면서 상기 권취장치로 이송되어 상기 권취장치에서 캐리어테이프를 당김으로 해서 상기 반도체포장기의 작업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여유분의 캐리어테이프 양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권취장치가 정지 등 제어되도록 한 캐리어테이프의 릴 권취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테이프의 릴 권취방법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테이프의 릴 권취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릴 이송 및 체결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테이프의 절단 및 테이핑작업의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 배출의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테이프의 릴 권취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완화수단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수단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입수단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수단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릴 교환장치의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릴케이스 실린더부의 평면도.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수단의 정면도.도 15는 종래 구조로써, 종래 릴 권취수단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권취장치 200 - 반도체포장기
300 - 캐리어테이프 400 - 릴
401 - 고정홈 402 - 관찰창
500 - 접착테이프 10 - 본체
20 - 제어수단 30 - 완화수단
31 - 회동스위치 40 - 마감수단
41 - 안내틀 42 - 이송롤러
43 - 캐리어절단날 44 - 절단판
45 - 테이프절단날 46 - 테이프절단판
47 - 테이프이송롤러 48 - 테이프지지롤러
49 - 테이프걸이 50 - 장입수단
51 - 집게 52 - 집게판
53 - 클립 54 - 집게이송판
60 - 릴교환장치 61 - 원점센서
62 - 작동센서 63 - 릴센서
64 - 공릴센서 65 - 실린더센서
66 - 실린더 70 - 릴케이스
71 - 공급봉 72 - 배출봉
80 - 이송수단 81 - 이송대
82 - 지지봉 90 - 권취수단
91 - 작업판 92 - 권취봉
93 - 방향돌기 94 - 회전판
95 - 가압판 96 - 승하강판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릴케이스를 개방하여 공급봉에 다수개의 공릴을 끼워 넣은 후 상기 릴케이스를 본체에 체결하고, 상기 공릴의 장착을 인지한 이송대가 공릴의 양단에 지지봉을 삽입하여 지지한 상태에서 본체방향으로 이동하여 권취수단의 권취봉에 상기 공릴을 장착하며, 상기 공릴이 장착된 권취수단이 승강판의 작동에 의해 작업위치로 승강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전면에 부착된 테이프걸이에 접착테이프를 걸고, 반도체포장기에서 생성된 캐리어테이프의 선단부를 회동스위치의 하단을 통해 안내틀의 이송롤러에 끼워 넣으며, 상기 이송롤러의 구동에 의해 이송되는 캐리어테이프의 선단부를 집게가 잡아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한 공릴의 고정홈에 끼워 넣고, 상기 고정홈에 캐리어테이프의 선단부 장착신호를 수신한 권취수단의 회전판이 회전하면서 상기 공릴을 회전시켜 상기 캐리어테이프를 권취하며, 상기 공릴에 캐리어테이프가 정해진 양만큼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틀에 설치된 캐리어절단날이 상승하여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끝단부를 절단하고,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끝단이 절단된 후 소정시간 경과 후에 상기 안내틀에 설치된 테이프절단날이 상승하여 상기 접착테이프를 절단하며, 상기 절단된 캐리어테이프 및 접착테이프가 권취되는 릴의 내부로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가압롤러가 접하여 상기 절단된 캐리어테이프의 끝단과 접착테이프를 가압하여 상기 캐리어테이프와 접착테이프를 릴의 중심축방향으로 밀착시켜 마감하고, 상기 릴에 대한 마감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이 정지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판의 외주에 접해 형성된 가압판이 돌출되면서 상기 권취봉에 끼워진 릴을 상기 권취봉과 접하도록 릴케이스에 체결된 배출봉으로 삽입하며, 상기 배출봉에 릴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릴케이스를 개방하여 상기 캐리어테이프가 권취된 릴을 배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반도체포장기에서 이송되는 캐리어테이프의 양보다 권취장치에서 권취하는 캐리어테이프의 양이 많아 상기 반도체생성기에 연결된 캐리어테이프가 권취장치의 방향으로 당겨지는 경우 상기 회동스위치가 회동되면서 상기 권취장치의 전원 또는 일부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당김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공급봉이 체결된 릴케이스의 내면부에 장착된 센서의 공릴감지신호에 의해 이송대가 상기 공급봉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공릴의 양측단을 지지하여 상기 공급봉에서 공릴을 이탈시킴과 더불어, 상기 권취수단의작동상태신호에 의해 상기 권취수단으로의 공릴장착 또는 이송로의 소정지점에서의 대기를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권취수단이 설치된 작업판의 상태를 상기 작업판의 좌측상단과 상기 작업판의 우측하단에 위치하여 조사된 빛의 수신여부 또는 조사된 빛의 반사거리를 계측하여 상기 권취수단의 작동상태를 인지하도록 한 한 쌍의 센서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권취수단의 권취봉에 상기 이송대에서 이송한 릴이 끼워지면서 상기 권취봉의 외주에 일체로 돌출된 방향돌기를 따라 정위치에 고정하도록 함은 물론, 상기 귄취수단이 작업위치로 상승한 후에 상기 작업판의 우측상단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상기 릴에 개구된 관찰창의 정위치를 확인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릴에 권취된 캐리어테이프의 끝단을 절단한 후에, 상기 권취된 캐리어테이프의 1/4 외경과 동일한 길이로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끝단에 접착되는 접착테이프를 절단하도록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끝단을 절단한 후 소정시간의 경과 후에 상기 접착테이프를 절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릴과 공릴의 교체를 위해 릴케이스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권취수단이 지속적으로 작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릴케이스를 힌지를 축으로 회동시키는 실린더의 양단에 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릴케이스의 개방/체결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 상기 권취수단의 가압판과 이송대 등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박스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단에 체결되어 각 구성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캐리어테이프를 제조하는 캐리어생산기와 본체사이에 늘어진 캐리어테이프가 감싸지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그 하단이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상승에 따라 가압·회동되면서 상기 제어수단에 전기신호를 단속하는 완화수단; 상기 본체의 일측 정면에 캐리어테이프의 하면이 지지되도록 띠형상을 이루고 형성된 안내틀과, 상기 안내틀의 상부에 접착테이프의 일면을 마찰하여 회전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모터에 연결된 테이프이송롤러와, 상기 테이프이송롤러와 맞접해 설치된 테이프지지롤러와, 상기 테이프이송롤러 일측에 밀착되어 승하강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판형상으로 형성된 테이프절단판과, 상기 안내틀에 올려진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을 마찰하여 상기 롤러의 회전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본체에 내설된 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이송롤러와,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진행방향에 수직한 직사각형 터널형상을 이루고 형성됨과 더불어 그 상면에 상기 캐리어절단날이 관통되도록 슬릿이 형성된 절단판과, 상기 안내틀의 슬릿과 상기 절단판의 슬릿으로 관통되도록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룬 캐리어절단날과, 상기 테이프절단판의 하단 상기 안내틀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상부로 이동되도록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룬 테이프절단날로 구성된 마감수단; 상기 이송되는 반도채캐리어의 상면 및 하면에 접하도록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룬 한 쌍의 집게판으로 이루어진 집게와, 상기 집게를 상기 본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집게이동판으로 구성된 장입수단; 상기 공릴 및 캐리어테이프가 권취된 릴이 다수개 보관되도록 그 내측면에서 배출봉과, 공급봉이 형성된 릴케이스; 상기본체에 체결된 릴케이스의 공급봉 하부에서 상기 작업판에 이르도록 설치된 레일에서 이동되는 이송대와, 상기 이송대의 양측단에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체결된 지지봉으로 구성된 이송수단; 상기 릴의 중앙부에 개구된 중심구가 삽입되도록 봉형상을 이루고 형성된 권취봉과, 상기 권취봉의 외주에서 삼각형 단면형상을 이루고 축방향을 따라 돌출된 방향돌기와, 상기 권취봉이 그 중앙부에 체결됨과 더불어 모터의 모터축과 체결된 원형 판형상의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외주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링 형상을 이루고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작업판의 정면으로 돌출되도록 체결된 가압판과, 상기 회전판이 접합되면서 상기 작업판의 이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승하강되도록 설치된 승하강판으로 구성된 권취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본체의 상단 내측면에서 힌지결합된 봉을 매개로 상기 작업위치에 이른 릴의 중심축에 접할 수 있도록 돌출된 가압롤러로 구성된 가압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릴케이스의 배출봉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봉의 릴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릴센서와, 상기 공급봉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봉의 공릴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공릴센서와, 상기 권취수단의 승하강 위치와 권취수단의 릴 체결여부를 판단하도록 상기 작업판의 상단 좌측과 작업판의 하단 우측에 설치되어 조사되는 빛의 세기와 빛의 도달거리를 판단하는 작동센서 및 상기 작업위치로 상승된 권취수단에 끼워진 릴의 장입방향을 상기 릴의 관찰구를 통해 인지하는 원점센서로 이루어진 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테이프의 릴 권취방법을 나타낸 것이고,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테이프의 릴 권취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은 공릴공급단계(S10)와, 공릴장착단계(S20)와, 안내단계(S30)와, 캐리어권취단계(S40)와, 마감단계(S50)와, 릴배출단계(S60)와, 릴교환단계(S7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공릴공급단계(S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케이스개방과정(S11)과, 공급봉삽입과정(S12)과, 릴케이스체결과정(S13)과, 공릴취출과정(S14)과, 공릴이송과정(S15)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릴케이스개방과정(S11)은 작업자가 본체(10)의 제어수단(20)을 조작하거나, 상기 제어수단(20)의 신호에 의해 상기 릴케이스(70)의 상단과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걸쳐 고정된 실린더(66)를 작동하여 상기 실린더(66)의 피스톤이 외부로 돌출·인장되면서 상기 릴케이스(70)가 본체(10)와 결합된 힌지를 축으로 외측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릴케이스(70)를 개방한다.
상기 공급봉삽입과정(S12)은 개방된 상기 릴케이스(70)의 하부 내측에 상기 릴케이스(70)의 내벽면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공급봉(71)에 상기 공릴(400)의 중앙부에 관통·개구된 중심구를 끼워 상기 공급봉(71)에 다수개의 공릴(400)이 중심구로써 걸쳐지도록 한다.
상기 릴케이스체결과정(S13)은 상기 작업자의 상기 제어수단(20)에 대한 조작에 의해 상기 실린더(66)의 피스톤이 실린더(66)의 내부로 삽입·수축되면서 상기 릴케이스(70)가 힌지를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밀착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릴케이스(70)의 체결은 상기 공릴(400)이 공급봉(7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공급봉(71)이 부착된 릴케이스(70)의 내측면에 설치된 공릴센서(64)에서 그 전면부 공간에 대한 상황을 감지하고, 이 공릴센서(64)의 감지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어수단(20)에서 상기 실린더(66)를 작동하여 상기 실린더(66)의 피스톤을 수축함으로써 상기 릴케이스(70)의 본체(10)에 대한 체결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공릴취출과정(S14)은 상기 릴케이스(70)의 체결신호를 수신한 제어수단(20)에서 상기 본체(10)의 릴케이스(70)방향 일측에 장착된 작업판(91)의 전면 하단에 설치된 이송대(81)로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이송대(81)를 상기 릴케이스(70)의 공급봉(71)에 끼워진 공릴(400)의 하단부로 이동시키고, 이 공릴(400)의 하단으로 이동한 이송대(81)의 양측단에 설치된 지지봉(82)을 상기 공릴(400)의 방향으로 돌출시켜 상기 공릴(400)의 양측 외판의 사이공간으로 삽입하며, 상기 지지봉(82)이 상기 공릴(400)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대(81)를 상기 잡업판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공릴(400)이 상기 공급봉(71)에서 이탈되어 상기 이송대(81)에 안착된 상태를 이루게 한다.
상기 공릴이송과정(S15)은 상기 이송대(81)의 상단에 안착됨과 더불어 그 양측부가 지지봉(82)에 의해 지지된 공릴(400)을 상기 작업판(91)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공릴(400)을 후술하는 권취수단(90)에 결합하는 위치에 이르도록 이동한다.
이때, 상기 이송대(81)는 상기 권취수단(90)의 정위치 이동신호를 상기 제어수단(20)으로부터 수신하기 전까지 상기 권취수단(90)이 승하강될 수 있는 공간만큼 상기 작업판(91)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정지하여 상기 제어수단(20)의 신호수신을 대기한다.
상기 공릴장착단계(S20)는 권취봉삽입과정(S21)과, 권취수단승강과정(S22)과, 장입방향확인과정(S23)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권취봉삽입과정(S21)은 상기 권취수단(90)이 상기 작업대의 하방향으로 하강하고, 이 권취수단(90)의 하강정보를 인지한 제어수단(20)에서 상기 이송대(81)에 이동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작업판(91)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정지된 이송대(81)를 상기 권취수단(90)의 하단에 이르도록 이동시키고, 이 이송대(81)의 이동에 의해 상기 이송대(81)의 상단에 안착된 공릴(400)의 중심구가 상기 권취수단(90)의 권취봉(92)에 끼워진다.
이때, 상기 권취봉(92)의 외주에 방향돌기(93)가 돌출되고, 상기 공릴(400)의 중심구 외주에서 외측으로 상기 방향돌기(93)에 대응하는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권취봉(92)에 릴(400)이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권취봉(92)의 정위치 고정에 따라 상기 공릴(400)이 정위치에 고정되면서 상기 권취수단(90)에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릴(400)에 형성된 슬릿이 상기 방향돌기(93)에 끼워지면서 정위치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릴(400)에 일체로 형성된 중심축의 고정구가 정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권취수단승강과정(S22)은 상기 공릴(400)의 중심구가 권취봉(92)에 끼워진 권취수단(90)이 상기 권취수단(90)의 이면에 형성된 승하강판(96)의 상기 작업판(91) 후방에 설치된 승하강장치를 통한 상기 작업판(91) 상부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된 작업위치로 이동한다.
상기 장입방향확인과정(S23)은 상기 공릴(400)이 권취봉(92)에 끼워져 작업위치로 이동된 귄취수단을 인지한 상기 제어수단(20)에서 상기 작업판(91)의 상부우측에 체결되어 상기 권취수단(90)에 끼워진 공릴(400)의 관찰구의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원점센서(61)를 작동시켜 상기 권취수단(90)에 끼워진 공릴(400)이 작업가능한 정위치에 끼워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공릴(400)이 정위치에 끼워져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권취봉(92)이 결합된 회전판(94)을 회전시켜 상기 공릴(400)을 작업이 가능한 정위치로 회전·고정한다.
상기 안내단계(S30)는 접착테이프설치과정(S31)과, 완화분설정과정(S32)과, 안내틀삽입과정(S33)과, 집게고정과정(S34)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접착테이프설치과정(S31)은 상기 공릴(400)이 권취수단(90)에 끼워져 작업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테이프(500)를 상기 본체(10)의 상기 반도체포장기(200) 방향 일측 전면에 원통형상으로 돌출된 테이프걸이(49)에 끼워놓고, 상기 테이프의 선단을 상기 테이프걸이의 하부 상기 공릴(400)과 일직선을 이루는 지점에 설치된 안내틀(41)방향으로 인장하며, 상기 인장한 접착테이프(500)의 선단부를 테이프이송롤러(47) 및 테이프지지롤러(48)의 사이 틈을 통해 테이프절단판(46)에 이르도록 인장하여 설치한다.
상기 완화분설정과정(S32)은 상기 캐리어테이프(300)를 생산하는 반도체포장기에서 이송되는 캐리어테이프(300)를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된 안내틀(41)로 인장함과 동시에 상기 안내틀(41)의 하부에 설치된 회동스위치(31)의 하부에 걸쳐 인장한다.
이때, 상기 반도체포장기(200)에서 이송되는 캐리어테이프(300)를 회동스위치(31)의 하단을 걸쳐 안내틀(41)로 인장함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테이프(300)가 상기 회동스위치(31)의 하단에 밀착되지 않고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걸쳐서 설치한다.
상기 안내틀삽입과정(S33)은 상기 회동스위치(31)의 하단을 통해 걸쳐진 캐리어테이프(300)를 상기 안내틀(41)의 상단에 설치된 이송롤러(42)와 상기 안내틀(41)의 상면 사이에 끼워서 상기 이송롤러(42)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캐리어테이프(300)가 상기 이송롤러(42)의 하단과 절단판(44)의 하단 및 상기 테이프이송롤러(47) 및 테이프지지롤러(48)의 하단을 통해 상기 본체(10)의 중앙부에 설치된 장입수단(50)에 이르도록 이송한다.
상기 집게고정과정(S34)은 상기 이송롤러(42)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캐리어테이프(300)가 상기 안내틀(41)의 끝단부에 설치된 장입수단(50)의 집게(51) 사이로 이송되고, 이 집게(51) 사이로 이송된 상기 캐리어테이프(300)를 상기 집게(51)의 양측 집게판(52)이 상호 간격을 좁혀 고정한다.
상기 캐리어권취단계(S40)는 장입수단이동과정(S41)과, 캐리어선단삽입과정(S42)과, 회전판회전과정(S43)과, 집게개방과정(S44)과, 장입수단원위치과정(S45)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장입수단이동과정(S41)은 상기 캐리어테이프(300)를 그 중앙부에 수용함과 동시에 양측 집게판(52)을 상기 캐리어테이프(300)의 상/하면에 밀착시켜 고정한 집게(51)가 상기 집게(51)의 이면에 상기 안내틀(41)에서 상기 작업판(91)의 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집게이송판(54)이 상기 작업판(91)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함께 이동된다.
상기 캐리어선단삽입과정(S42)은 상기 캐리어테이프(300)를 고정한 집게(51)가 상기 작업판(91)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캐리어테이프(300)의 선단이 상기 작업판(91)의 전방에 위치한 공릴(400)의 중심축에 형성된 고정홈(401)에 삽입된다.
상기 회전판회전과정(S43)은 상기 캐리어테이프(300)의 선단이 고정홈(40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권취수단(90)의 회전판(94)을 회전시키고, 이 회전판(94)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판(94)의 중앙부에 체결된 권취봉(92)이 회전되고, 이 권취봉(92)의 회전에 의해 상기 권취봉(92)에 결합된 공릴(400)이 회전되며, 상기 공릴(4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공릴(400)의 중심축에 그 선단이 고정된 캐리어테이프(300)가 상기 공릴(400)의 회전방향으로 권취된다.
상기 집게개방과정(S44)은 상기 공릴(400)의 고정홈(401)에 캐리어테이프(300)의 선단을 삽입한 집게(51)는 상기 공릴(400)의 회전 이전에 상기 양측집게판(52)을 이격시켜 상기 캐리어테이프(300)의 릴(400) 귄취시 캐리어테이프(300)의 상/하면에 대한 마찰을 제거하도록 한다.
상기 장입수단원위치과정(S45)은 상기 캐리어테이프(300)의 상/하면을 고정한 양측 집게판(52)이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장입수단(50)이 집게이송판(54)의 이동에 따라 최초 안내틀(41)에 근접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마감단계(S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절단과정(S51)과, 접착테이프절단과정(S52)과, 캐리어가압과정(S53)과, 접착테이프가압과정(S54)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캐리어절단과정(S51)은 상기 권취수단(90)에 장착된 릴(4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반도체포장기(200)에서 이송됨과 더불어, 상기 안내틀(41)에 안내되어 이송된 캐리어테이프(300)가 권취되고, 상기 캐리어테이프(300)의 릴(400) 권취가 정해진 양만큼 권취된 후에 상기 제어수단(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캐리어절단기의 캐리어절단날(43)이 상기 안내틀(41)의 하부에서 스프링의 탄성력 등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캐리어테이프(300)를 절단한다.
상기 접착테이프절단과정(S52)은 상기 캐리어테이프(300)의 절단을 시행한 제어수단(20)에서 상기 접착테이프(500)의 테이프절단판(46)을 상기 테이프절단판(46)의 하단으로 이송되는 캐리어테이프(30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이동시켜 상기 절단된 캐리어테이프(300)의 끝단에 상기 접착테이프(500)를 접착시키고, 상기 캐리어절단 시로부터 소정시간의 경과 후에 상기 접착테이프(500)의 절단신호를 마감수단(40)으로 전송하여 상기 마감수단(40)의 테이프절단날(45)을 상기 안내틀(41)의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테이프절단판(46)에 맞접하도록하여 상기 접착테이프(500)를 절단한다.
상기 캐리어가압과정(S53)은 상기 절단된 캐리어테이프(300)가 상기 공릴(4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공릴(400)의 중심축방향으로 이송되지만 상기 캐리어테이프(300)의 끝단에 대한 지지력이 없어 기 권취한 캐리어테이프(300)가 상기 릴(40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캐리어테이프(300)의 절단과 동시에 상기 본체(10)의 상부 내측에서 상기 릴(400)의 중심축방향으로 가압롤러(101)가 이동되어 상기 캐리어테이프(300)의 외주를 가압하면서 상기 캐리어테이프(300)의 권취를 완료한다.
상기 접착테이프가압과정(S54)은 상기 캐리어테이프(300)의 끝단에 접착되어 상기 릴(400)의 중심축방향으로 이동되는 접착테이프(500)를 상기 캐리어테이프(300)의 끝단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상부에서 릴(400)방향으로 하강되어 가압하는 가압롤러(101)가 지속적으로 상기 릴(400)에 권취된 캐리어테이프(300)의 외주를 가압하면서 상기 접착테이프(500)의 외주를 가압하여 상기 접착테이프(500)가 상기 캐리어테이프(300)의 외부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릴배출단계(S60)는 회전판정지과정(S61)과, 배출봉확인과정(S62)과, 가압판돌출과정(S63)과, 배출봉삽입과정(S64)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회전판정지과정(S61)은 상기 캐리어테이프(300)의 절단과 접착테이프(500)의 접착과 상기 캐리어테이프(300) 및 접착테이프(500)에 대한 가압을 완료한 본체(10)의 제어수단(20)에서 상기 릴(400) 권취의 완료를 인지하고, 상기 릴(400)이 끼워져 회전되는 회전판(94)의 회전을 정지한다.
상기 배출봉확인과정(S6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94)을 정지한 제어수단(20)이 상기 릴케이스(70)의 내측면 상기 배출봉(72)이 돌출된 릴케이스(70)의 상부 중앙지점에 설치된 릴센서(63)를 작동시켜 상기 배출봉(72)에 상기 캐리어테이프(300)가 권취된 릴(400)이 수용될 수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이 판단정보를 상기 권취수단(90)으로 전송하며, 상기 배출봉(72)에 더 이상 릴(400)의 수용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제어수단(20)이 외부에 경고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배출봉(72)에 결합된 릴(400)을 제거하도록 한다.
상기 가압판돌출과정(S63)은 상기 제어수단(20)의 신호에 의해 상기 권취수단(90)의 회전판(94) 외주에 접해 설치된 가압판(95)이 상기 회전판(94)에 대해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권취봉(92)에 결합된 릴(400)을 상기 권취봉(92)에서 이탈시킨다.
상기 배출봉삽입과정(S64)은 상기 가압판(95)에 의해 상기 권취봉(92)의 끝단으로 이동되는 릴(400)은 상기 권취봉(92)과 동일한 축을 이루고 상기 릴케이스(70)의 내측면에 설치된 배출봉(72)으로 이송된다.
상기 릴교환단계(S70)는 릴케이스개방과정(S71)과, 릴배출과정(S72)과, 공릴충진과정(S73)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릴케이스개방과정(S71)은 상기 캐리어테이프(300)의 권취가 완료되어 가압판(95)에 의해 배출봉(72)으로 이송된 릴(400)을 배출하고자 상기 제어수단(20)을 조작하거나, 상기 릴센서(63)에서 배출봉(72)의 상태를 인지하여 상기 실린더(66)의 피스톤을 돌출시킴으로써 상기 본체(10)에 대해 릴케이스(70)가 힌지를 축으로 회동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릴배출과정(S72)은 상기 릴케이스(7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봉(72)에 그 중심구가 끼워진 릴(400)을 제거한다.
이때, 상기 릴케이스(70)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상기 이송대(81)에 안착되어 작업판(91)의 방향으로 이동된 여분의 공릴(400)이 상기 권취수단(90)에 재 장입되어 상기 반도체포장기(200)에서 지속적으로 이송되는 캐리어테이프(300)를 권취함은 물론이다.
상기 공릴충진과정(S73)은 상기 공릴(400)은 릴케이스(70)의 하부 공급봉(71)에 끼워져 상기 캐리어테이프(300)가 권취된 후에 상기 배출봉(72)으로 이동되어 배출되도록 됨에 따라, 상기 공급봉(71)의 공릴(400)은 그 수가 축소하게되므로, 상기 릴케이스(70)의 개방 시에 상기 공급봉(71)에 다시 다수의 공릴(400)을 중심구를 통해 상기 공급봉(71)에 끼워 충진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캐리어테이프의 릴 권취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제어수단(20)과, 완화수단(30)과, 마감수단(40)과, 장입수단(50)과, 릴교환장치(60) 및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직사각형 박스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그 전면 및 후면에 각 구성품을 장비할 수 있음은 물론, 그 내부에 각 구성품을 내설하도록 되며, 그 후방 하단에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콘덴서 등의 전원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제어수단(20)은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완화수단(30)의 회동스위치(31)와, 마감수단(40)의 롤러 및 절단날과, 장입수단(50)의 집게(51)와, 상기 릴교환장치(60) 및 감지수단의 각종 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각 구성품을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각 구성품간의 통신을 이루도록 연결된다.
상기 완화수단(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스위치(31)와 이 회동스위치(31)에 연결된 제어수단(20)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스위치(31)는 상기 본체(10)의 일측면 상기 안내틀(41)의 하단에서 상기 본체(10)의 정면에 수직으로 이루고 소정 폭 돌출되고, 이 돌출된 끝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다시 소정 폭 연장되며, 이 연장된 끝단에서 다시 수직으로 절곡되어 소정 폭 연장된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0)의 전면 내측에서 그 회전이 지지되도록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본체(10)의 내측으로 삽입된 끝단에 상기 봉의 회전에 따라 전원의 단속 또는 상기 제어수단(20)으로 상반되는 신호를 보내는 전극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마감수단(4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틀(41)과, 테이프걸이(49)와, 테이프이송롤러(47)와, 테이프지지롤러(48)와, 테이프절단판(46)과, 이송롤러(42)와, 절단판(44)과, 캐리어절단날(43) 및 테이프절단날(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내틀(41)은 상기 본체(10)의 일측 정면에 지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고 밀착됨과 더불어, 상기 캐리어테이프(300)의 하면이 이송되도록 본체(1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긴 띠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상기 캐리어절단날(43)과 테이프절단날(45)이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해당 위치에 슬릿이 형성된다.
상기 테이프걸이(49)는 상기 안내틀(41)의 상부 상기 본체(10)의 정면에 원통형상을 이루고 결합되어 상기 접착테이프(500)가 걸쳐져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테이프이송롤러(47)는 상기 테이프걸이(49)에 걸쳐진 접착테이프(500)의 일면을 마찰하여 회전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본체(10)에 내장된 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수단(20)의 제어에 의해 회전되도록 형성되며, 봉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상기 테이프지지롤러(48)는 상기 테이프걸이(49)에 걸쳐진 접착테이프(500)의 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테이프이송롤러(47)와 맞접해 설치되며, 봉형상을 이루고 형성됨과 더불어, 축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테이프절단판(46)은 상기 테이프이송롤러(47)와 테이프지지롤러(48)의 사이에서 마찰되면서 이송되는 접착테이프(500)가 그 하단에 위치되도록 상기 테이프이송롤러(47)에서 이송된 접착테이프(500)가 이송되는 방향(본 발명에서는 본체의 작업판 방향)의 상기 테이프이송롤러(47) 일측에 밀착되어 설치되며, 상기 테이프절단날(45)이 밀착되면서 상기 접착테이프(500)를 절단할 수 있도록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송되는 캐리어테이프(300)의 상면에 접착테이프(500)를 밀착시키도록 상승 및 하강되는 본체(10)에 내설된 승하강기에 체결된다.
상기 이송롤러(42)는 상기 안내틀(41)에 올려진 캐리어테이프(300)의 상면을 마찰하여 상기 롤러의 회전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안내틀(41)과 상기 캐리어테이프(300)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캐리어테이프(300)의 폭과 유사한 폭을 이루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에 내설된 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어 회전된다.
상기 절단판(44)은 상기 이송롤러(42)에서 상기 작업판(91)의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캐리어테이프(300)의 진행방향에 수직한 직사각형 터널형상을 이루고 형성되고, 그 상면에 상기 캐리어절단날(43)이 관통되도록 슬릿이 형성된다.
또, 상기 절단판(44)은 상기 안내틀(41)에 형성된 절단날의 슬릿이 형성된 상부에서 상기 안내틀(41)의 양측단에 체결된다.
상기 캐리어절단날(43)은 상기 캐리어테이프(300)의 진행방향과 수직을 이루고 상기 안내틀(41)의 슬릿과 상기 절단판(44)의 슬릿으로 관통되도록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그 측면의 하단에서 상기 안내틀(41)의 하단에 이르도록 탄발적으로 지지된 스프링 등에 의해 상기 안내틀(41)의 상부로 이동되도록 지지된다.
상기 테이프절단날(45)은 상기 테이프절단판(46)의 하단 상기 안내틀(41)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상부로 이동되도록 상기 안내틀(41)의 하단에 상기 캐리어절단날(43)과 동일한 스프링으로 지지되고, 상기 테이프절단판(46)에 상기 접착테이프(500)를 밀착시킴과 더불어 가압하여 상기 접착테이프(500)를 절단하도록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룸과 더불어 상기 접착테이프(500)의 진행방향에 수직을 이루도록 배열된다.
상기 장입수단(5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51)와,집게이송판(54)으로 구성된다.
상기 집게(51)는 상기 이송되는 반도체캐리어의 상면 및 하면에 접하도록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룬 한 쌍의 집게판(52)과 이 집게판(52)의 후면 끝단에서 상기 집게판(52)들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된 클립(53)으로 구성되며, 상기 클립(53)은 상기 제어수단(20)의 제어신호에 의해 그 간격조절을 이룬다.
상기 집게이송판(54)은 상기 집게(51)의 클립(53) 끝단에 체결되며, 상기 캐리어테이프(300)의 이동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본체(10)에 수직을 이루는 한 쌍 또는 두 쌍의 레일이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내설되어 형성된다.
상기 릴교환장치(60)는 릴케이스(70)와, 이송수단(80)과, 권취수단(90)으로 구성된다.
상기 릴케이스(70)는 상기 공릴(400) 및 캐리어테이프(300)가 권취된 릴(400)이 다수개 보관되도록 그 내측면에서 내측방향으로 배출봉(72)과 공급봉(71)이 체결되며, 상기 본체(10)의 일측면에 접하도록 그 내부가 중공된 직사각형 박스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또, 상기 릴케이스(70)는 그 하단이 개방되어 상기 이송수단(80)이 자유로이 왕복 운동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릴케이스(70)는 상기 배출봉(72)과 공급봉(71)에 끼워진 공릴(400) 및 릴(400)이 상호 구분되도록 그 내측면 중앙부에 상기 릴케이스(70)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격판이 형성된다.
또, 상기 릴케이스(70)는 상기 본체(10)와 그 일측면에 상하방향으로 배설된힌지를 매개로 결합되며, 상기 릴케이스(70)의 상단면과 상기 본체(10)의 상단면이 상기 제어수단(20)의 제어신호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수축 및 인장 작동되는 실린더(66)로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66)의 인장/수축에 의해 그 개폐를 이루도록 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66)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부가 상기 릴케이스(70)의 내측 상면 모서리에서 중앙부로 어느 한 변에 대해 45°각도를 이루고 설치되며, 상기 본체(10)의 상부 내측면의 어느 한 변에 대해서도 45°각도를 이루고 설치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66)의 양측단에는 상기 실린더(66)의 작동 또는 실린더(66)에 삽입/돌출되는 피스톤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실린더센서(65)가 장착되며, 이 실린더센서(65)는 상기 제어수단(20)에 연결되어 상기 릴케이스(70)의 개방 및 체결 등의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릴케이스(70)는 작업자가 외부에서 그 내부에 대한 관찰이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수단(80)은 이송대(81)와 지지봉(82)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대(81)는 상기 본체(10)에 체결된 릴케이스(70)의 하부 공급봉(71)에 끼워진 공릴(400)을 지지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작업판(91)에서 상기 공급봉(71)과 릴케이스(70)의 내측면이 접하는 부분에 이르도록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그 하측에 다수개의 레일 및 나사봉이 관통되며, 직사각형 박스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상기 지지봉(82)은 상기 이송대(81)의 양측단에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릴(40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봉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또, 상기 이송수단(80)은 상기 작업판(91)의 하단에 권취수단(90)이 위치하는 지의 판단여부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20)에서 상기 권취수단(90)이 이동할 수 있는 거리만큼 상기 작업판(91)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일시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권취수단(9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봉(92)과, 방향돌기(93)와, 회전판(94)과, 가압판(95) 및 승하강판(96)으로 구성된다.
상기 권취봉(92)은 상기 릴(400)의 중앙부에 개구된 중심구가 삽입되어 걸쳐지도록 봉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상기 방향돌기(93)는 상기 권취봉(92)의 외주에 상기 릴(400)의 중심구에서 다수의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3방향)으로 형성된 삼각형상의 슬릿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권취봉(92)의 축방향으로 삼각형 단면형상을 이루고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방향돌기(93)는 상기 권취봉(92)의 외주면 다수부에서 상기 릴(200)의 중심구에 형성된 슬릿에 끼워지도록 봉형상을 이루고 돌출된 다수의 봉형상돌기로 이루어 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회전판(94)은 상기 권취봉(92)이 그 중앙부에 체결되고, 그 이면에 설치된 모터의 모터축과 체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원형 판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상기 가압판(95)은 상기 권취봉(92)에 끼워져 상기 회전판(94)에 밀착된 릴(400)을 외측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94)의 외주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링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그 이면의 나사봉 등의 회전에 의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판(95)은 상기 회전판(94)과 동일한 평면상에서 위치하며, 상기 제어수단(20)의 제어에 의해 소정간격 돌출된다.
상기 승하강판(96)은 상기 회전판(94) 및 권취봉(92)이 접합되면서 상기 작업판(91)의 이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상기 본체(1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에 접합되는 돌기를 형성한다.
상기 가압수단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상단 내측면에서 봉을 매개로 상기 작업위치에 이른 권취봉(92)에 끼워진 릴(400)의 중심축에 접할 수 있도록 돌출된 가압롤러(101)로 구성된다.
또,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힌지를 축으로 체결된 봉의 회동작동에 의해 상기 릴(400)의 중심축에 접하도록 이동되며, 상기 봉의 끝단에 상기 가압롤러(101)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 자유롭게 체결된다.
상기 감지수단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릴케이스(70)의 배출봉(72)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봉(72)의 릴(400)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릴센서(63)와, 상기 공급봉(71)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봉(71)의 공릴(400)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공릴센서(64)와, 상기 권취수단(90)의 승하강 위치와 권취수단(90)의 릴(400) 체결여부를 판단하도록 상기 작업판(91)의 상단 좌측과 작업판(91)의 하단 우측에 설치되어 조사되는 빛의 세기와 빛의 도달거리를 판단하는 작동센서(62) 및 상기 작업위치로 상승된 권취수단(90)에 끼워진 릴(400)의 장입방향을 상기 릴(400)의 관찰구를 통해 인지하는 원점센서(61)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반도체포장기(200)에서 이송된 캐리어테이프(300)를 상기 회동스위치(31)의 하단을 통해 상기 안내틀(41)로 안내하고, 이 안내틀(41)로 안내된 캐리어테이프(300)를 상기 안내틀(41)의 상단에 설치된 이송롤러(42)의 하단을 통해 삽입하며, 상기 이송롤러(42)의 하단에 캐리어테이프(3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롤러(42)를 구동하여 상기 캐리어테이프(300)를 캐리어절단판(44)과 테이프이송롤러(47)의 하단을 통해 이송하고, 상기 안내틀(41)에서 이송되는 캐리어테이프(300)가 상기 제어수단(20)의 제어에 따라 간격을 좁혀 고정하는 집게(51)에 삽입하여 고정하며, 상기 집게(51)로 고정된 캐리어테이프(300)가 상기 집게이송판(54)의 이동에 의해 상기 권취수단(90)에 끼워진 릴(400)의 고정홈(401)으로 이동되고, 상기 고정홈(401)에 캐리어테이프(300)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권취수단(90)의 회전판(94)이 회전하여 상기 캐리어테이프(300)를 릴(400)에 권취한다.
이때, 상기 권취수단(90)에 끼워져 작업위치로 승강된 릴(400)의 관찰창(402)을 상기 원점센서(61)에서 인지하여 상기 릴(400)의 정위치 고정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릴(400)이 정위치가 아닐 경우, 상기 회전판(94)이 회전되면서 상기 릴(400)을 정위치로 회전시킨다.
상기 릴(400)의 회전에 의해 권취 완료된 캐리어테이프(300)의 끝단을 상기 제어수단(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캐리어절단날(43)이 승강하여 절단하고, 상기 캐리어테이프(300)의 끝단을 절단한 제어수단(20)은 상기 테이프절단판(46)의하강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테이프절단판(46)이 하강되면서 상기 테이프절단판(46)의 하단에 위치한 접착테이프(500)를 상기 릴(400)의 회전에 의해 지속적으로 이송되는 캐리어테이프(300)의 끝단에 접착하며, 이 캐리어테이프(300)의 끝단에 접착테이프(500)를 접착한 제어수단(20)은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테이프절단날(45)의 승강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테이프절단날(45)이 상기 테이프절단판(46)에 맞닿도록 하여 상기 접착테이프(500)를 절단한다.
상기 캐리어테이프(300)와 접착테이프(500)의 절단이 완료된 후에 상기 릴(400)의 지속적인 회전에 의해 상기 캐리어테이프(300)와 접착테이프(500)가 상기 릴(400)의 중심축으로 권취되고, 이때, 상기 본체(10)의 상부 내측에 설치된 가압롤러(101)가 상기 릴(400)의 중심축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릴(400)의 중심축에 권취된 캐리어테이프(300) 및 접착테이프(500)를 상기 중심축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캐리어테이프(300) 및 접착테이프(500)를 압착한다.
상기 캐리어테이프(300)의 압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94)의 회전이 정지됨과 더불어, 상기 회전판(94)의 외주부에 설치된 가압판(95)이 돌출되면서 상기 캐리어테이프(300)가 권취된 릴(400)을 상기 권취봉(92)의 외측으로 밀어낸다.
상기 권취봉(92)의 외측으로 밀려진 릴(400)은 상기 권취봉(92)과 동일한 축을 이루도록 상기 릴케이스(70)에 체결된 배출봉(72)으로 이동되어 걸쳐진다.
이때, 상기 배출봉(72) 부근에 설치된 릴센서(63)에 의해 상기 배출봉(72)에 릴(400) 수용공간이 없는 경우, 경고신호를 통해 배출봉(72)의 릴(400) 수용공간을확보한 후에 재 작동을 이룬다.
상기 배출봉(72)에 릴(400)이 정해진 수량만큼 채워진 경우, 상기 제어수단(20) 또는 작업자의 제어수단(20) 작동에 의해 상기 릴케이스(70)가 본체(10)의 일측방향으로 회동되면서 개방되고, 이 개방된 릴케이스(70)의 배출봉(72)에 걸쳐진 릴(400)을 작업자가 배출함과 더불어, 상기 릴케이스(70)의 하단에 위치한 공급봉(71)에 공릴(400)을 충진하여 작업을 지속한다.
이때, 상기 공릴과 릴의 두께 및 상기 캐리어테이프(300)의 두께에 의해 상기 공급봉(71)과 배출봉(72)에 체결되는 상기 공릴 및 릴의 개수가 정해지며, 상기 공급봉(71)과 배출봉(72)의 길이는 일반적인 두께를 갖는 릴이 3∼4개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릴케이스(70)는 상기 본체(10)의 정면 또는 상기 작업판(91)에 대해 상기 힌지축을 축으로 90°또는 180°로 회동되어 개방 및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릴케이스(70)의 개폐에 관계없이 상기 이송대(81)에 안착된 공릴(400)이 상기 권취작업을 완료하고 상기 작업판(91)의 하부로 하강된 권취수단(90)에 체결되어 지속적으로 캐리어테이프(300)의 권취작업을 이루게 된다.
상기 공급봉(71)의 부근에 설치된 공릴센서(64)의 인지에 따라 상기 공릴(400)의 하단으로 상기 이송대(81)가 이동함과 더불어, 상기 이송대(81)의 양측단에서 지지봉(82)이 돌출되어 상기 공릴(40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공릴(400)의 내측양단이 지지봉(82)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대(81)가 상기 권취수단(90)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작업판(91)에 사선을 이루고 설치된 한 쌍의 작동센서(62)에 의해 상기 권취수단(90)의 승하강위치와 작업진행의 여부가 판단되어 상기 권취수단(90)이 작업 중일 경우, 상기 이송대(81)는 상기 작업판(91)과 소정 폭 이격된 위치에 정지하여 상기 권취수단(90)이 공릴(400)을 받을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되기를 기다린다.
또, 상기 권취장치(100)의 작업속도가 반도체포장기(200)의 작업속도보다 빠르게 진행되어 상기 안내틀(41)과 이송롤러(42)에 의해 캐리어테이프(300)가 당겨지면 상기 반도체포장기(200)와 권취장치(100) 사이에 완화분으로 늘려 놓았던 캐리어테이프(300)가 줄어들면서 상기 늘어진 캐리어테이프(300)가 상승되어 상기 회동스위치(31)의 하단을 상부로 가압하게 되고, 상기 회동스위치(31)의 회동에 의해 상기 회동스위치(31)의 내측 전극이 상호 단락되면서 상기 권취장치(100)의 작동을 멈추거나, 상기 이송대(81)의 공릴(400)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캐리어테이프(300)의 완화분을 다시금 생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캐리어테이프의 릴 권취작업을 자동화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반도체포장기와 권취장치의 상이한 작업속도에 따라 귄취장치가 반도체포장기에서 작업 중인 캐리어테이프를 당기는 등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권취가 완료된 캐리어테이프의 절단 및 테이핑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절단된 캐리어테이프에 대한 권취작업이 연속으로 이루어져 상기 캐리어테이프 및 테이핑작업 동안의 작업시간 소실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절단된 캐리어테이프 및 접착테이프에 대한 가압이 이루어 상기 캐리어테이프 및 접착테이프의 접합을 보다 정확히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공릴과 캐리어테이프가 권취된 릴이 자동으로 교환됨은 물론, 상기 릴의 교체시에도 또 다른 릴에 대한 권취작업을 이루도록 하여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공릴 및 릴을 다수개 보관 및 공급할 수 있는 릴케이스를 구비하여 작업자의 잦은 릴 교체작업을 폐지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교체되는 릴 및 권취작업되는 릴에 대한 감지로 인해 작업의 오동작을 폐지함은 물론, 보다 정확한 작업이 진행되도록 하는 효과가있다.

Claims (8)

  1. 릴케이스를 개방하여 릴케이스의 내측벽면에 체결된 공급봉에 공릴을 삽입하고, 상기 릴케이스를 본체에 체결하며, 상기 릴케이스의 체결과 공릴의 공급을 확인한 이송대가 상기 공릴의 하단으로 이동하여 공릴의 내측부에 지지봉을 삽입·지지하고, 상기 공릴을 지지한 이송대가 권취수단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릴공급단계;
    상기 공릴을 지지한 이송대가 상기 권취수단의 권취봉에 상기 공릴의 중심구를 끼워 넣고, 상기 권취봉에 공릴이 끼워진 권취수단이 승하강판의 승강이동으로 작업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권취수단이 작업위치에서 캐리어테이프가 삽입될 고정홈의 방향을 확인하는 공릴장착단계;
    상기 캐리어테이프를 제조하는 반도체포장기에서 이송되는 캐리어테이프의 선단을 안내틀과 이송롤러의 사이에 끼워 넣고 상기 이송롤러를 구동시켜 상기 캐리어테이프를 상기 권취수단의 방향으로 이송하고, 상기 안내틀에서 이송된 캐리어테이프를 상기 안내틀의 측부에 설치된 집게가 고정하는 안내단계;
    상기 집게로 고정한 캐리어테이프의 선단을 상기 권취수단에 체결된 릴의 고정홈에 끼우고, 상기 릴을 권취수단의 회전판이 회전시켜 상기 캐리어테이프를 권취함과 동시에 상기 집게의 고정을 해제하는 캐리어권취단계;
    상기 릴에 권취가 완료된 캐리어의 끝단을 상기 안내틀의 하단에 설치된 캐리어절단날이 승강하여 절단하고, 상기 절단된 캐리어의 끝단에 테이프절단판이 접착테이프를 가압하여 상기 접착테이프를 접착시키며, 상기 접착테이프의 접착 후 소정시간 후에 상기 테이프절단판의 하단에 위치한 테이프절단날이 승강하여 상기 접착테이프를 절단하고, 상기 릴이 지속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끝단부를 권취함과 더불어 상기 접착테이프를 권취하여 접합시키는 마감단계;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권취와 테이핑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권취수단의 회전판이 정지하고, 상기 회전판의 외주에 체결된 가압판이 돌출되어 상기 릴을 상기 권취봉의 외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권취봉과 동일한 축을 갖도록 설치된 배출봉으로 이동시키는 릴배출단계; 및
    상기 릴케이스를 개방하고, 상기 릴케이스의 배출봉에 끼워진 릴을 배출함과 동시에 상기 공급봉에 공릴을 끼워 넣는 릴교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테이프의 릴 권취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틀의 하단부 본체에서 본체의 정면과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반도체포장기의 방향으로 절곡됨과 더불어 상기 반도체포장기와 안내틀의 사이에 늘어진 캐리어테이프가 그 하단을 감싸도록 형성된 회동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늘어진 캐리어테이프가 당겨지는 경우, 상기 회동스위치가 회동되면서 상기 본체의 작동전원을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테이프의 릴 권취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가 공릴을 지지한 후에 상기 본체의 작업판 상하단에 사선을 이루도록 설치된 작동센서에 의해 상기 권취수단의 작동 및 승하강위치의 확인여부에 따라 상기 작업판과 상기 권취수단의 승하강 작동공간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테이프의 릴 권취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귄취봉에 방향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릴의 중심구에서 방사형으로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권취봉에 릴이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슬릿에 방향돌기가 삽입되면서 상기 릴이 정위치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권취수단이 작업위치에 이르러 상기 작업위치의 작업판에 부착된 원점센서에 의해 상기 권취수단에 체결된 공릴의 고정홈이 일정방향으로 향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테이프의 릴 권취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된 캐리어테이프의 끝단부와 상기 접착테이프가 릴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권취수단에 체결된 릴의 상단에서 상기 릴의 중심축방향으로 가압되는 가압롤러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테이프의 릴 권취방법.
  6. 박스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단에 체결되어 각 구성품을 동작 제어하는 제어수단;
    캐리어테이프를 제조하는 캐리어생산기와 본체사이에 늘어진 캐리어테이프가 그 하단을 감싸도록 상기 본체의 정면에서 돌출·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상승에 따라 회동되면서 상기 제어수단에 전기신호를 단속하는 완화수단;
    상기 본체의 일측 정면에 캐리어테이프의 하면이 지지되도록 띠형상을 이루고 형성된 안내틀과, 상기 안내틀의 상부에 접착테이프의 일면을 마찰하여 회전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모터에 연결된 테이프이송롤러와, 상기 테이프이송롤러와 맞접해 설치된 테이프지지롤러와, 상기 테이프이송롤러 일측에 밀착되어 승하강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판형상으로 형성된 테이프절단판과, 상기 안내틀에 올려진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을 마찰하여 상기 롤러의 회전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본체에 내설된 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이송롤러와,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진행방향에 수직한 직사각형 터널형상을 이루고 형성됨과 더불어 그 상면에 상기 캐리어절단날이 관통되도록 슬릿이 형성된 절단판과, 상기 안내틀의 슬릿과 상기 절단판의 슬릿으로 관통되도록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룬 캐리어절단날과, 상기 테이프절단판의 하단 상기 안내틀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상부로 이동되도록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룬 테이프절단날로 구성된 마감수단;
    상기 이송되는 캐리어테이프의 상면 및 하면에 접하도록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룬 한 쌍의 집게판으로 이루어진 집게와, 상기 집게를 상기 본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집게이동판으로 구성된 장입수단;
    상기 공릴 및 캐리어테이프가 권취된 릴이 다수개 보관되도록 그 내측면에서 배출봉과, 공급봉이 형성된 릴케이스;
    상기 본체에 체결된 릴케이스의 공급봉 하부에서 상기 작업판에 이르도록 설치된 레일에서 이동되는 이송대와, 상기 이송대의 양측단에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체결된 지지봉으로 구성된 이송수단; 및
    상기 릴의 중앙부에 개구된 중심구가 삽입되도록 봉형상을 이루고 형성된 권취봉과, 상기 권취봉의 외주에서 축방향을 따라 돌출된 방향돌기와, 상기 권취봉이 그 중앙부에 체결됨과 더불어 모터의 모터축과 체결된 원형 판형상의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외주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링 형상을 이루고 형성되어 상기 작업판에 대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가압판과, 상기 회전판이 접합되면서 상기 작업판의 이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승하강되도록 설치된 승하강판으로 구성된 권취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테이프의 릴 권취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단 내측면에서 힌지로 연결된 봉을 매개로 상기 작업위치에 이른 릴의 중심축에 접할 수 있도록 회동되는 가압롤러로 구성된 가압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테이프의 릴 권취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릴케이스의 배출봉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봉의 릴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릴센서와, 상기 공급봉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봉의 공릴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공릴센서와, 상기 권취수단의 승하강 위치와 권취수단의 릴 체결여부를 판단하도록 상기 작업판의 상단 좌측과 작업판의 하단 우측에 사선으로 설치되어 조사되는 빛의 세기와 빛의 도달거리를 판단하는 작동센서 및 상기 작업위치로 상승된 권취수단에 끼워진 릴의 장입방향을 상기 릴의 관찰구를 통해 인지하는 원점센서로 이루어진 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테이프의 릴 권취장치.
KR10-2001-0062927A 2001-10-12 2001-10-12 캐리어테이프의 릴 권취방법 및 그 장치 KR100451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927A KR100451544B1 (ko) 2001-10-12 2001-10-12 캐리어테이프의 릴 권취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927A KR100451544B1 (ko) 2001-10-12 2001-10-12 캐리어테이프의 릴 권취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675A KR20030030675A (ko) 2003-04-18
KR100451544B1 true KR100451544B1 (ko) 2004-10-06

Family

ID=29564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2927A KR100451544B1 (ko) 2001-10-12 2001-10-12 캐리어테이프의 릴 권취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15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706B1 (ko) 2012-10-15 2014-02-27 주식회사 한라정밀엔지니어링 캐리어 권취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885B1 (ko) 2015-11-10 2022-12-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권취 설비의 자재 교환 장치
KR101804411B1 (ko) * 2016-04-05 2017-12-04 (주) 인텍플러스 캐리어 테이프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포장장치
CN110407006B (zh) * 2019-08-21 2024-03-01 无锡腾华电缆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阻水带用多轴自动化缠绕机的放卷装置
KR102370489B1 (ko) * 2019-12-09 2022-03-07 삼일테크(주) 반도체 패키지 자동 포장장치
CN212310171U (zh) * 2020-03-30 2021-01-08 广东利元亨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擦胶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610A (ja) * 1992-05-29 1994-02-01 Urawa Polymer Kk エンボステープのリール巻取及びリール交換装置
KR950008324A (ko) * 1993-09-07 1995-04-17 쇼지 고오메이 테이프 권취 장치 및 테이프 권취 방법
JPH07297230A (ja) * 1994-04-21 1995-11-10 Toray Eng Co Ltd Tabテープの供給側若しくは巻取側におけるリール交換方法
JPH11208947A (ja) * 1998-01-20 1999-08-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オートリールチェンジ付エンボステープ巻取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610A (ja) * 1992-05-29 1994-02-01 Urawa Polymer Kk エンボステープのリール巻取及びリール交換装置
KR950008324A (ko) * 1993-09-07 1995-04-17 쇼지 고오메이 테이프 권취 장치 및 테이프 권취 방법
JPH07297230A (ja) * 1994-04-21 1995-11-10 Toray Eng Co Ltd Tabテープの供給側若しくは巻取側におけるリール交換方法
JPH11208947A (ja) * 1998-01-20 1999-08-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オートリールチェンジ付エンボステープ巻取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706B1 (ko) 2012-10-15 2014-02-27 주식회사 한라정밀엔지니어링 캐리어 권취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675A (ko) 200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68338B (zh) 半导体芯片带全自动收料机
TWI731533B (zh) 卷盤自動更換系統
CN102673821A (zh) 屏蔽罩自动包装装置
KR100451544B1 (ko) 캐리어테이프의 릴 권취방법 및 그 장치
CN114212601A (zh) 一种钢绞线自动分卷装置及钢绞线自动分卷方法
KR20210058766A (ko) 소자핸들러
JP2005119880A (ja) テープ巻取装置
CN210366158U (zh) 一种载带的自动绕卷收料系统
JP4760145B2 (ja) 巻取チューブのラベル貼付装置および自動ワインダー
CN210024419U (zh) 一种u盘自动化生产线
KR101975597B1 (ko) 라벨부착기용 릴 이송장치
JP2013067460A (ja) 自動ワインダーの糸解舒補助装置
KR101053268B1 (ko) 웨이퍼 디테이핑 메카니즘과 그 이용방법
JP3653337B2 (ja) テープ巻取装置
KR100413638B1 (ko) 캐리어테이프 릴의 자동교환방법 및 그 장치
CN205415649U (zh) 医用移液吸头自动排列机器人
KR101581012B1 (ko) 디바이스 웨이퍼 접착제 도포방법
WO2004069706A1 (en) Auto exchanging method and device of an wind reel for semiconductor carrier tape
JPH11255430A (ja) 線材巻取ボビンの端末処理装置
CN213032868U (zh) 一种高频电子元件用浸胶装置
KR102423401B1 (ko)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
KR100719838B1 (ko) 낚시 줄 자동 권취 장치
JP2014101189A (ja) 繊維機械
CN219237664U (zh) 双头贴标机
CN115156686B (zh) 一种色带盒组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