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401B1 -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401B1
KR102423401B1 KR1020190117885A KR20190117885A KR102423401B1 KR 102423401 B1 KR102423401 B1 KR 102423401B1 KR 1020190117885 A KR1020190117885 A KR 1020190117885A KR 20190117885 A KR20190117885 A KR 20190117885A KR 102423401 B1 KR102423401 B1 KR 102423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winding
length
roll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6005A (ko
Inventor
이상곤
Original Assignee
이상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곤 filed Critical 이상곤
Priority to KR1020190117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401B1/ko
Publication of KR20210036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57Bobbins; Re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ilamentary Materials, Packages, And Safety Devic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대형릴에 권취된 광케이블을 설정된 속도로 공급하는 권출롤러와, 상기 권출롤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광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여 상기 광케이블이 이송되는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장력조절부와, 상기 장력조절부에 의해 장력이 조절되어 이송되는 상기 광케이블의 길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길이측정부와, 상기 길이측정부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광케이블을 소형릴에 설정된 길이만큼 권취하는 권취부와, 상기 권취부에 권취되는 상기 광케이블이 설정된 길이만큼 공급되면 상기 광케이블을 절단시키는 절단부와, 상기 권출롤러, 상기 장력조절부, 상기 길이측정부, 상기 권취부, 상기 절단부에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Optical cable winding device for reducing cutting length error}
본 발명은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대량으로 권취되어 있는 광케이블을 설정 길이만큼 배출시킨 후 절단시켜 소포장할 수 있는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은 전기신호를 강한 빛과 약한 빛으로 변화시켜 전송하는 통신방식인 광통신에 쓰이도록 가느다란 유리섬유를 여러 가닥 묶어서 통신용으로 쓸 수 있도록 외피를 입힌 것을 말한다.
이러한 광케이블은 초고속통신 산업의 핵심인 광통신분야의 주요부품으로써 수 km로 권취된 광케이블을 1차 공급업체로부터 공급받으면 필요한 공정 또는 필요한 업체에 맞게 광케이블을 절단 및 재권취하여 소포장한 후 출하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절단 및 권취작업의 경우 대부분 중소기업에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광케이블을 설정된 길이만큼 배출한 후 절단해야 하는데 광케이블이 받는 장력에 따라 이송속도가 변화되고 이로 인해 보빈에 권취되는 광케이블의 길이가 설정된 길이보다 더 길어지거나 적게 권취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권취작업의 경우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오차가 많이 발생되고 작업자의 피로가 극대화되어 작업능률도 감소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03566호는 광케이블 권취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케이블을 자동으로 권취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소규모의 작은 길이만 권취시킬 수 있고 한 번의 공정이 끝나면 여전히 작업자가 권취된 광케이블을 회수하고 보빈을 교체 및 광케이블을 보빈에 인계해야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길이를 정밀하게 측정하기가 어려우며 보빈을 교체한 후 광케이블을 보빈에 인계할 때 인계되는 길이는 측정되지 않아 설정된 길이를 맞추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0356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권취된 수 km의 광케이블을 설정된 길이만큼 절단시켜 권취함으로써 소포장할 수 있는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 km로 권취된 광케이블을 설치하면 모두 소진될 까지 자동을 광케이블을 절단 및 권취하여 배출할 수 있는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케이블이 이송될 때 발생하는 장력 또는 이송속도를 제어함으로써 권취되는 광케이블의 길이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는 대형릴에 권취된 광케이블을 설정된 속도로 공급하는 권출롤러와, 상기 권출롤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광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여 상기 광케이블이 이송되는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장력조절부와, 상기 장력조절부에 의해 장력이 조절되어 이송되는 상기 광케이블의 길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길이측정부와, 상기 길이측정부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광케이블을 소형릴에 설정된 길이만큼 권취하는 권취부와, 상기 권취부에 권취되는 상기 광케이블이 설정된 길이만큼 공급되면 상기 광케이블을 절단시키는 절단부와, 상기 권출롤러, 상기 장력조절부, 상기 길이측정부, 상기 권취부, 상기 절단부에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의 상기 절단부는 상기 광케이블이 관통하여 통과될 수 있도록 전면과 후면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광케이블이 절단되도록 실린더에 의해 동작되는 칼날이 형성되어 있어 설정된 길이만큼 통과되면 상기 광케이블을 절단하는 절단기와, 상기 절단기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광케이블이 인입되면 상기 광케이블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광케이블을 상기 절단기 내부로 이동시키는 인입대와, 상기 절단기의 후면에 형성되며 배출되는 상기 광케이블이 상기 권취부로 인입되도록 이송위치를 제어하는 배출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의 상기 권취부는 회전에 의해 상기 광케이블을 소형릴에 권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권취롤러와, 상기 권취롤러에 형성되며 상기 절단부로부터 절단된 후 처음 인입되는 상기 광케이블의 일단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고정지그와, 상기 절단부와 상기 고정지그 사이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광케이블이 절단된 후 처음으로 인입되는 상기 광케이블의 일단을 가압 고정하여 상기 고정지그로 인계하는 이송지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의 상기 권취부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소형릴을 회전 및 수평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광케이블이 권취될 때 수평 방면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광케이블이 상기 권취부의 권취롤러에 차례대로 감기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의 상기 권취부는 복수 개의 권취롤러가 형성되고 각각 상기 소형릴이 장착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기 권취롤러는 회전에 의해 권취위치로 이송되어 상기 절단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광케이블이 상기 소형릴에 권취되도록 하고, 권취가 완료된 상기 소형릴이 장착된 상기 권취롤러는 배출위치로 이송되어 작업자가 상기 소형릴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의 상기 길이측정부는 상기 광케이블이 외면에 감긴 후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측정롤러와, 상기 측정롤러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측정롤러의 표면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광케이블의 길이를 측정하는 측정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정센서는 상기 광케이블의 표면에 형성된 마커의 간격을 인식하여 상기 광케이블의 늘어짐 또는 슬립발생에 따른 길이 측정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에 의하면, 권취된 수 km의 광케이블을 설정된 길이만큼 절단시켜 권취함으로써 소포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에 의하면, 수 km로 권취된 광케이블을 설치하면 모두 소진될 까지 자동을 광케이블을 절단 및 권취하여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에 의하면, 광케이블이 이송될 때 발생하는 장력 또는 이송속도를 제어함으로써 권취되는 광케이블의 길이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인 광케이블 권취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가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의 절단부 및 권취부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대량으로 권취되어 있는 광케이블을 설정 길이만큼 배출시킨 후 절단시켜 소포장할 수 있는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가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의 절단부 및 권취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는 대형릴(101)에 권취된 광케이블(C)을 설정된 속도로 공급하는 권출롤러(100)와, 권출롤러(100)로부터 공급되는 광케이블(C)의 장력을 조절하여 광케이블(C)이 이송되는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장력조절부(200)와, 장력조절부(200)에 의해 장력이 조절되어 이송되는 광케이블(C)의 길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길이측정부(300)와, 길이측정부(300)를 통해 공급되는 광케이블(C)을 소형릴(511)에 설정된 길이만큼 권취하는 권취부(500)와, 권취부(500)에 권취되는 광케이블(C)이 설정된 길이만큼 공급되면 광케이블(C)을 절단시키는 절단부(400)와, 권출롤러(100), 장력조절부(200), 길이측정부(300), 권취부(500), 절단부(400)에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권출롤러(100)는 수 km의 광케이블(C)이 권취되어 있는 대형릴(101)이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권출롤러(100)는 대형릴(101)을 설정된 속도로 회전시켜 대형릴(101)에 권취되어 있는 광케이블(C)이 풀려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권출롤러(100)에서 배출되는 광케이블(C)은 장력조절부(200), 길이측정부(300), 절단부(400)를 거쳐 최종적으로 권취부(500)로 진입하게 되며, 권취부(500)는 권취롤러(510)에 소형릴(511)이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광케이블(C)이 소형릴(511)에 권취될 수 있게 된다.
장력조절부(200)는 권출롤러(100)로부터 공급되는 광케이블(C)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이송되는 광케이블(C)을 지지하면서 자유회전되는 다수 개의 지지롤러(210)와, 지지롤러(210)와는 다른 방향으로 지지대(230)를 통해 구동부(600)와 연결되어 상하로 승강되면서 광케이블(C)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지지롤러(210)는 광케이블(C)의 하부에 위치되어 광케이블(C)을 지지하게 되고, 승강롤러(220)는 광케이블(C)의 상부에 위치되며 지지대(230)가 하강되면 승강롤러(220)가 광케이블(C)을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장력을 높이고, 지지대(230)가 승강되면 승강롤러(220)가 광케이블(C)에 가압하는 힘이 약해지면서 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지지대(230)는 구동부(600)의 실린더와 연결되어 있으며 실린더는 내부 압력이 설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광케이블(C)의 장력에 따라 승강롤러(220)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권출롤러(100)에서 광케이블(C)이 과도하게 풀리면 광케이블(C)의 장력이 감소되므로 승강롤러(220)가 하강하여 광케이블(C)의 장력을 증가시키게 되고, 권출롤러(100)에서 광케이블(C)이 부하가 배출되는 속도가 저하되면 광케이블(C)의 장력이 증가되므로 승강롤러(220)가 상승되어 광케이블(C)에 장력이 감소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력조절부(200)는 길이측정부(300)로 공급되는 광케이블(C)을 지지하기 위해 광케이블(C)의 상부에서 자유회전되는 보조롤러(21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보조롤러(211)를 통해 길이측정부(300)의 상부로 인입되는 광케이블(C)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승강롤러(220)에는 광케이블(C)과 접촉되었을 때 장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텐션센서(24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텐션센서(240)을 이용하여 장력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길이측정부(300)는 광케이블(C)이 외면에 감긴 후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측정롤러(310)와, 측정롤러(310)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어 측정롤러(310)의 표면을 따라 이송되는 광케이블(C)의 길이를 측정하는 측정센서(320)로 이루어지며, 측정센서(320)는 광케이블(C)의 표면에 형성된 마커의 간격을 인식하여 광케이블(C)의 늘어짐 또는 슬립발생에 따른 길이 측정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측정롤러(310)는 구동부(600)에 의해 설정된 속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공급된 광케이블(C)은 측정롤러(310)의 외면을 한 바퀴 감겨진 후 절단부(400)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측정롤러(310)는 구동부(600)에 의해 설정된 속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권출롤러(100), 권취롤러(510)와 동기화되어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센서(320)는 측정롤러(310)에 감겨 절단부(400)로 공급되는 광케이블(C)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센서(3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정센서(320)는 광케이블(C)의 표면에 형성된 마커를 이용하여 광케이블(C)의 장력 상태에 관계없이 광케이블(C)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마커는 광케이블(C)의 표면에 설정된 간격으로 별도로 인쇄시켜 측정센서(320)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광케이블(C) 표면에 인쇄된 정보를 마커로 활용할 수도 있게 된다.
마커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광케이블(C)에 가해지는 장력에 따라 광케이블(C)의 피복이 늘어나는 현상이 발생되더라도 측정센서(320)가 마커의 개수를 이용하여 길이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밀하게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절단부(400)는 광케이블(C)이 관통하여 통과될 수 있도록 전면과 후면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광케이블(C)이 절단되도록 실린더에 의해 동작되는 칼날이 형성되어 있어 설정된 길이만큼 통과되면 광케이블(C)을 절단하는 절단기(420)와, 절단기(420)의 전면에 형성되며 광케이블(C)이 인입되면 광케이블(C)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고 광케이블(C)을 절단기(420) 내부로 이동시키는 인입대(410)와, 절단기(420)의 후면에 형성되며 배출되는 광케이블(C)이 권취부(500)로 인입되도록 이송위치를 제어하는 배출대(4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절단기(420)는 전면과 후면에 광케이블(C)이 통과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광케이블(C)이 설정된 길이만큼 권취부(500)에 권취되면 광케이블(C)을 절단시키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는 광케이블(C)을 절단하기 위한 칼날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칼날을 가압시켜 광케이블(C)이 절단될 수 있도록 하중을 가하는 절단실린더(421)가 형성되어 있다.
칼날은 절단실린더(421)에 의해 하강되어 관통홀을 통과하는 광케이블(C)을 완전히 통과하여 광케이블(C)을 절단시킬 수 있게 되며, 광케이블(C)이 통과하는 관통홀에는 칼날이 관통될 수 있도록 칼날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케이블(C)이 절단기(420)에 의해 절단될 때는 권출롤러(100), 권취롤러(510), 측정롤러(310)의 회전이 정지되어 절단기(420)에 인입된 광케이블(C)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단기(420)의 전면에는 인입되는 광케이블(C)을 지지하고 고정시켜주는 인입대(410)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면에는 절단기(420)를 통과하는 광케이블(C)을 지지하고 진행방향을 가이드하는 배출대(430)가 형성되어 있다.
인입대(410)는 인입되는 광케이블(C)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반구형으로 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홈에는 다수 개의 가압롤러(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어 구동부(600)에 의해 가압롤러(도시되지 않음)가 돌출되어 광케이블(C)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절단기(420)에 인입된 광케이블(C)이 절단되었을 때 인입대(410)에 위치된 광케이블(C)의 장력이 풀리면서 인입대(4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절단기(420)의 동작과 연동될 수 있으며 절단기(420)가 동작될 때 인입대(410)에 위치된 광케이블(C)은 인입대(410)에 의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입대(410)에 형성된 가압롤러(도시되지 않음)는 광케이블(C)이 절단된 후 권출롤러(100), 측정롤러(310), 권취롤러(510)의 이송속도에 맞춰 광케이블(C)을 절단기(420) 내부로 인입시키기 위해 광케이블(C)을 가압한 상태에서 절단기(420)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게 된다.
즉, 광케이블(C)이 절단되어 소형릴(511)에 권취가 완료된 후 배출되면 다시 장착되는 소형릴(511)에 광케이블(C)이 권취될 수 있도록 광케이블(C)을 절단기(420) 및 권취부(500)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배출대(430)는 절단기(420)를 통과한 광케이블(C)이 권취부(500)에 형성된 소형릴(511)을 향해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며, 소형릴(511)의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Y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즉, 배출대(430)를 통과하는 광케이블(C)은 소형릴(511)의 위치에 따라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절단기(420) 내부에는 광케이블(C)의 길이를 2차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감지센서(440)가 형성되어 있으며, 감지센서(440)는 측정센서(320)와 동일하게 광케이블(C)의 표면에 형성된 마커를 인식하여 실질적으로 절단된 위치까지의 광케이블(C) 길이를 측정하게 된다.
이때 측정센서(320)와 감지센서(440)가 각각 측정한 길이가 상이한 경우 측정된 길이가 동기화될 수 있도록 구동부(600)는 권출롤러(100), 측정롤러(310), 권취롤러(510)의 속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측정센서(320)와 감지센서(440)에서 측정된 길이가 오차범위 내에 속하도록 보정할 수 있게 된다.
권취부(500)는 회전에 의해 광케이블(C)을 소형릴(511)에 권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권취롤러(510)와, 권취릴에 형성되며 절단부(400)로부터 절단된 후 처음 인입되는 광케이블(C)의 일단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고정지그(520)와, 절단부(400)와 고정지그(520) 사이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광케이블(C)이 절단된 후 처음으로 인입되는 광케이블(C)의 일단을 가압 고정하여 고정지그(520)로 인계하는 이송지그(5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권취롤러(510)는 소형릴(511)이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부(600)에 의해 설정된 속도로 회전되게 되면 소형릴(511)이 함께 회전되어 광케이블(C)을 권취시킬 수 있게 된다.
소형릴(511)에는 절단된 광케이블(C)을 권취할 때 절단된 광케이블(C)을 끝단을 소형릴(511)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지그(520)가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지그(520)는 광케이블(C)이 인입되면 광케이블(C)의 외면을 가압하여 소형릴(511)로부터 광케이블(C)이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고정지그(520)에 광케이블(C)이 고정되면 소형릴(511)은 권취롤러(510)에 의해 회전되어 광케이블(C)을 권취하게 되고 광케이블(C)은 절단기(420)에 의해 광케이블(C)이 절단될 때까지 소형릴(511)에 설정된 길이만큼 차례대로 권취되게 된다.
또한 광케이블(C)이 설정된 길이만큼 절단기(420)를 통과하면 절단기(420)가 동작하여 광케이블(C)을 절단시키게 되고, 절단된 후 배출대(430)에 위치된 광케이블(C)은 소형릴(511)에 의해 권취되게 된다.
이때 소형릴(511)에는 절단된 광케이블(C)을 고정할 수 있도록 마감지그(도시되지 않음)가 더 추가될 수 있으며 마감지그는 절단된 광케이블(C)을 고정시켜 소형릴(511)이 권취롤러(510)에서 분리되거나 이송될 때 광케이블(C)이 풀리거나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송지그(530)는 광케이블(C)이 절단기(420)에 의해 절단된 후 인입대(410)에 위치된 광케이블(C)을 비어있는 소형릴(511)에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배출대(430)와 소형릴(511) 사이를 구동부(600)에 의해 수평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이송지그(530)는 배출대(430)에 위치되어 광케이블(C)이 배출대(430)로 유입되었을 때 광케이블(C)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된 홀 내측면에는 광케이블(C)의 외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돌출되거나 삽입될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송지그(530)는 광케이블(C)이 통과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형성되어 있으며, 광케이블(C)이 통과되면 돌기가 돌출되어 광케이블(C)의 외면을 가압한 후 구동부(600)에 의해 소형릴(511)의 고정지그(520)를 향해 이송되게 된다.
이때 이송지그(530)는 광케이블(C)이 통과된 후 설정된 시간 이후에 돌기가 가압하여 이송지그(530)의 후면으로 광케이블(C)이 돌출된 상태가 되도록 하며, 이송지그(530)가 고정지그(520)를 향해 이송되는 속도는 권출롤러(100), 측정롤러(310)의 속도와 동기화되어 광케이블(C)의 장력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지그(530)에 안착된 광케이블(C)은 이송지그(530)에 의해 소형릴(511)에 형성된 고정지그(520) 전면으로 이송되게 되고, 이송지그(530)가 고정지그(520) 전면에 위치되면 이송지그(530)의 후면으로 돌출된 광케이블(C)이 고정지그(520)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송지그(530)는 고정지그(520)로 광케이블(C)이 인계되면 돌기가 광케이블(C)을 가압하지 않도록 내측으로 삽입되게 되고, 광케이블(C)은 이송지그(530)를 통과하여 소형릴(511)에 권취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광케이블(C)은 이송지그(530)에 의해 절단부(400)와 권취부(500) 사이의 빈 공간에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절단기(420)가 동작되면 이송지그(530)의 돌기가 돌출되어 광케이블(C)이 낙하되지 않도록 고정시킨 후 소형릴(511)에 권취되도록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권취가 완료되면 이송지그(530)에 고정된 절단된 광케이블(C)의 끝단은 마감지그(도시되지 않음)의 후면으로 이송되며 마감지그(도시되지 않음)는 절단된 광케이블(C)을 고정시킴으로써 소형릴(511)에서 광케이블(C)이 풀리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지그(520) 및 마감지그(도시되지 않음)의 구조는 이송지그(530)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어 광케이블(C)이 인입하는 것을 감지한 후 이송지그(530) 또는 마감지그(도시되지 않음)에 형성된 돌기가 광케이블(C)의 외면을 가압하여 광케이블(C)을 고정시키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권취부(500)는 구동부(600)에 의해 소형릴(511)을 회전 및 수평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광케이블(C)이 권취될 때 수평 방면으로 이송되면서 광케이블(C)이 권취부(500)의 권취롤러(510)에 차례대로 감기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권취롤러(510)는 구동부(600)에 의해 회전되거나 수평으로 이송될 수 있게 되는데, 소형릴(511)이 권취롤러(510)에 의해 이송되면서 광케이블(C)은 절단부(400)로부터 일직선으로 유입될 수 있게 되고, 소형릴(511)은 좌우로 이송되면서 광케이블(C)이 소형릴(511)에 차례대로 감겨질 수 있게 된다.
이때 권취부(500)에는 소형릴(511)의 상부에 형성되어 권취되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도시되지 않음)는 실시간으로 소형릴(511)에 권취되는 광케이블(C)을 촬영하여 권취롤러(51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는 광케이블(C)을 기준으로 양측 간격을 파악할 수 있게 되며, 감겨져있는 광케이블(C)과의 경계선을 파악하여 권취롤러(510)를 좌우로 이송시켜 차례대로 감겨지도록 제어된다.
또한 권취부(500)는 복수 개의 권취롤러(510)가 형성되고 각각 소형릴(511)이 장착되어 있으며, 각각의 권취롤러(510)는 회전에 의해 권취위치로 이송되어 절단부(400)로부터 공급되는 광케이블(C)이 소형릴(511)에 권취되도록 하고, 권취가 완료된 소형릴(511)이 장착된 권취롤러(510)는 배출위치로 이송되어 작업자가 소형릴(511)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권취부(500)에는 다수 개의 권취롤러(510)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권취롤러(510)에는 소형릴(511)이 장착되고, 구동부(600)는 각각의 권취롤러(510)를 권취위치, 대기위치, 배출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즉, 권출위치에 위치된 권취롤러(510)는 소형릴(511)에 광케이블(C)이 권취되게 되고, 권취가 완료되면 구동부(600)가 각각의 권취롤러(510)의 위치가 변화되도록 회전시켜 소형릴(511)이 비어있는 권취롤러(510)를 권취위치로 위치시켜 광케이블(C)이 연속적으로 소형릴(511)에 권취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권취가 완료된 소형릴(511)은 배출위치로 이송되어 작업자가 소형릴(511)을 권취롤러(510)로부터 분리시켜 배출할 수 있게 되며, 배출이 완료된 권취롤러(510)에는 비어있는 소형릴(511)을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구동부(600)는 비어있는 소형릴(511)이 장착된 권취롤러(510)를 배출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되며, 대기위치에 위치된 권취롤러(510)는 권취위치에 위치된 소형릴(511)에 권취가 완료되면 권취위치로 이동되어 작업을 연속적으로 진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에 의하면, 권취된 수 km의 광케이블을 설정된 길이만큼 절단시켜 권취함으로써 소포장할 수 있고, 수 km로 권취된 광케이블을 설치하면 모두 소진될 까지 자동을 광케이블을 절단 및 권취하여 배출할 수 있으며, 광케이블이 이송될 때 발생하는 장력 또는 이송속도를 제어함으로써 권취되는 광케이블의 길이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C : 광케이블
100 : 권출롤러
101 : 대형릴
200 : 장력조절부
210 : 지지롤러
211 : 보조롤러
220 : 승강롤러
230 : 지지대
240 : 텐션센서
300 : 길이측정부
310 : 측정롤러
320 : 측정센서
400 : 절단부
410 : 인입대
420 : 절단기
421 : 절단실린더
430 : 배출대
440 : 감지센서
500 : 권취부
510 : 권취롤러
511 : 소형릴
520 : 고정지그
530 : 이송지그
600 : 구동부

Claims (6)

  1. 대형릴에 권취된 광케이블을 설정된 속도로 공급하는 권출롤러와;
    상기 권출롤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광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여 상기 광케이블이 이송되는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장력조절부와;
    상기 장력조절부에 의해 장력이 조절되어 이송되는 상기 광케이블의 길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길이측정부와;
    상기 길이측정부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광케이블을 소형릴에 설정된 길이만큼 권취하는 권취부와;
    상기 권취부에 권취되는 상기 광케이블이 설정된 길이만큼 공급되면 상기 광케이블을 절단시키는 절단부와;
    상기 권출롤러, 상기 장력조절부, 상기 길이측정부, 상기 권취부, 상기 절단부에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부는
    회전에 의해 상기 광케이블을 소형릴에 권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권취롤러와;
    상기 권취롤러에 형성되며 상기 절단부로부터 절단된 후 처음 인입되는 상기 광케이블의 일단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고정지그와;
    상기 절단부와 상기 고정지그 사이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광케이블이 절단된 후 처음으로 인입되는 상기 광케이블의 일단을 가압 고정하여 상기 고정지그로 인계하는 이송지그와;
    상기 소형릴에 형성되며 상기 이송지그에 의해 절단되어 이송되는 상기 광케이블의 타단을 고정시켜 상기 소형릴에서 상기 광케이블이 풀리지 않도록 방지하는 마감지그;로 이루어지며,
    상기 길이측정부는
    상기 광케이블이 외면에 감긴 후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측정롤러와;
    상기 측정롤러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측정롤러의 표면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광케이블의 길이를 측정하는 측정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정센서는 상기 광케이블의 표면에 형성된 마커의 간격을 인식하여 상기 광케이블의 늘어짐 또는 슬립발생에 따른 길이 측정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이송지그, 상기 고정지그, 상기 마감지그는 상기 광케이블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 홀이 형성되어 있고, 개구된 홀 내측면에는 상기 광케이블의 외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돌출되거나 삽입되는 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권취부에는 상기 소형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소형릴에 권취되는 상기 광케이블을 촬영하여 상기 광케이블이 상기 소형릴에 차례대로 감겨지도록 상기 권취롤러의 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권취부는 복수 개의 권취롤러가 형성되고 각각 상기 소형릴이 장착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기 권취롤러는 회전에 의해 권취위치로 이송되어 상기 절단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광케이블이 상기 소형릴에 권취되도록 하고, 권취가 완료된 상기 소형릴이 장착된 상기 권취롤러는 배출위치로 이송되어 작업자가 상기 소형릴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
  2. 대형릴에 권취된 광케이블을 설정된 속도로 공급하는 권출롤러와;
    상기 권출롤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광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여 상기 광케이블이 이송되는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장력조절부와;
    상기 장력조절부에 의해 장력이 조절되어 이송되는 상기 광케이블의 길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길이측정부와;
    상기 길이측정부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광케이블을 소형릴에 설정된 길이만큼 권취하는 권취부와;
    상기 권취부에 권취되는 상기 광케이블이 설정된 길이만큼 공급되면 상기 광케이블을 절단시키는 절단부와;
    상기 권출롤러, 상기 장력조절부, 상기 길이측정부, 상기 권취부, 상기 절단부에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부는
    회전에 의해 상기 광케이블을 소형릴에 권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권취롤러와;
    상기 권취롤러에 형성되며 상기 절단부로부터 절단된 후 처음 인입되는 상기 광케이블의 일단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고정지그와;
    상기 절단부와 상기 고정지그 사이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광케이블이 절단된 후 처음으로 인입되는 상기 광케이블의 일단을 가압 고정하여 상기 고정지그로 인계하는 이송지그와;
    상기 소형릴에 형성되며 상기 이송지그에 의해 절단되어 이송되는 상기 광케이블의 타단을 고정시켜 상기 소형릴에서 상기 광케이블이 풀리지 않도록 방지하는 마감지그;로 이루어지며,
    상기 길이측정부는
    상기 광케이블이 외면에 감긴 후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측정롤러와;
    상기 측정롤러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측정롤러의 표면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광케이블의 길이를 측정하는 측정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정센서는 상기 광케이블의 표면에 형성된 마커의 간격을 인식하여 상기 광케이블의 늘어짐 또는 슬립발생에 따른 길이 측정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이송지그, 상기 고정지그, 상기 마감지그는 상기 광케이블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 홀이 형성되어 있고, 개구된 홀 내측면에는 상기 광케이블의 외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돌출되거나 삽입되는 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권취부에는 상기 소형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소형릴에 권취되는 상기 광케이블을 촬영하여 상기 광케이블이 상기 소형릴에 차례대로 감겨지도록 상기 권취롤러의 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광케이블이 관통하여 통과될 수 있도록 전면과 후면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광케이블이 절단되도록 실린더에 의해 동작되는 칼날이 형성되어 있어 설정된 길이만큼 통과되면 상기 광케이블을 절단하는 절단기와;
    상기 절단기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광케이블이 인입되면 상기 광케이블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광케이블을 상기 절단기 내부로 이동시키는 인입대와;
    상기 절단기의 후면에 형성되며 배출되는 상기 광케이블이 상기 권취부로 인입되도록 이송위치를 제어하는 배출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
  3. 삭제
  4. 대형릴에 권취된 광케이블을 설정된 속도로 공급하는 권출롤러와;
    상기 권출롤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광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여 상기 광케이블이 이송되는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장력조절부와;
    상기 장력조절부에 의해 장력이 조절되어 이송되는 상기 광케이블의 길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길이측정부와;
    상기 길이측정부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광케이블을 소형릴에 설정된 길이만큼 권취하는 권취부와;
    상기 권취부에 권취되는 상기 광케이블이 설정된 길이만큼 공급되면 상기 광케이블을 절단시키는 절단부와;
    상기 권출롤러, 상기 장력조절부, 상기 길이측정부, 상기 권취부, 상기 절단부에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부는
    회전에 의해 상기 광케이블을 소형릴에 권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권취롤러와;
    상기 권취롤러에 형성되며 상기 절단부로부터 절단된 후 처음 인입되는 상기 광케이블의 일단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고정지그와;
    상기 절단부와 상기 고정지그 사이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광케이블이 절단된 후 처음으로 인입되는 상기 광케이블의 일단을 가압 고정하여 상기 고정지그로 인계하는 이송지그와;
    상기 소형릴에 형성되며 상기 이송지그에 의해 절단되어 이송되는 상기 광케이블의 타단을 고정시켜 상기 소형릴에서 상기 광케이블이 풀리지 않도록 방지하는 마감지그;로 이루어지며,
    상기 길이측정부는
    상기 광케이블이 외면에 감긴 후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측정롤러와;
    상기 측정롤러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측정롤러의 표면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광케이블의 길이를 측정하는 측정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정센서는 상기 광케이블의 표면에 형성된 마커의 간격을 인식하여 상기 광케이블의 늘어짐 또는 슬립발생에 따른 길이 측정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이송지그, 상기 고정지그, 상기 마감지그는 상기 광케이블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 홀이 형성되어 있고, 개구된 홀 내측면에는 상기 광케이블의 외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돌출되거나 삽입되는 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권취부에는 상기 소형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소형릴에 권취되는 상기 광케이블을 촬영하여 상기 광케이블이 상기 소형릴에 차례대로 감겨지도록 상기 권취롤러의 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권취부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소형릴을 회전 및 수평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광케이블이 권취될 때 수평 방면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광케이블이 상기 권취부의 권취롤러에 차례대로 감기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90117885A 2019-09-25 2019-09-25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 KR102423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885A KR102423401B1 (ko) 2019-09-25 2019-09-25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885A KR102423401B1 (ko) 2019-09-25 2019-09-25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005A KR20210036005A (ko) 2021-04-02
KR102423401B1 true KR102423401B1 (ko) 2022-07-20

Family

ID=75466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885A KR102423401B1 (ko) 2019-09-25 2019-09-25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34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566Y1 (ko) * 2005-09-29 2005-12-09 김상기 광케이블 권취기구
KR102022797B1 (ko) * 2018-05-15 2019-09-18 전호병 스트립을 이용한 붐 길이 측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5196A (ko) * 2003-06-05 2004-12-14 유조석 선재 권취장치
KR101696319B1 (ko) * 2015-04-09 2017-01-16 주식회사 골드텔 광케이블 자동배출 권선시스템
KR101819828B1 (ko) * 2016-06-28 2018-01-18 이명수 자동 전선권취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566Y1 (ko) * 2005-09-29 2005-12-09 김상기 광케이블 권취기구
KR102022797B1 (ko) * 2018-05-15 2019-09-18 전호병 스트립을 이용한 붐 길이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005A (ko) 202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4829B1 (ko) 전자칩 캐리어테이프 권취장치
CN107310177B (zh) 贴胶片材的形成方法以及装置
CN109158324A (zh) 一种自动检测及分拣装置
EP1286903B1 (en) Supply device for supplying rubber material to a cutting device
KR100635023B1 (ko) 그린타이어의 벨트 보강용 스트립 공급장치
US20220355957A1 (en) Machine for unwinding and rewinding a covering tape intended for the stabilisation of palletised loads
US9051146B2 (en) Method and device for winding of fiber webs, especially of partial paper and board webs
KR102423401B1 (ko)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
US4177410A (en) Stretchable material rewinding machine
KR100635031B1 (ko) 성형기 재료의 공급 센터링장치
ITUB20154986A1 (it) Punto di incannatura con un dispositivo di allineamento per una spola
CN116829461A (zh) 一种用于拉伸缠绕机的薄膜自由端控制装置和方法
CN208944610U (zh) 一种自动检测及分拣装置
CN213651371U (zh) 一种卷料放卷系统
US20050056719A1 (en) Splicing vehicle
FI3665112T3 (fi) Aukirullausasema
KR100451544B1 (ko) 캐리어테이프의 릴 권취방법 및 그 장치
CN108069290B (zh) 用于操作卷绕单元的方法和绕线机
EP2669229B1 (en) Package discharging device and yarn winding machine
CN108341291B (zh) 直线式卷纸包装机及其控制方法
US8650837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ackaging product rolls
CA2314291C (en) Unwinding apparatus
KR102464659B1 (ko) 인터널 로빙 형태의 유리섬유 자동 장력 제어 장치
EP4086211B1 (en) A film rewinder machine comprising a misalignment detector and misalignment detection method in a film rewinder machine
KR200321828Y1 (ko) 원단롤의 띠지 밴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