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566Y1 - 광케이블 권취기구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권취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566Y1
KR200403566Y1 KR20-2005-0027946U KR20050027946U KR200403566Y1 KR 200403566 Y1 KR200403566 Y1 KR 200403566Y1 KR 20050027946 U KR20050027946 U KR 20050027946U KR 200403566 Y1 KR200403566 Y1 KR 2004035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winding
constant velocity
motor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79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기
오수홍
정은오
Original Assignee
김상기
정은오
오수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기, 정은오, 오수홍 filed Critical 김상기
Priority to KR20-2005-00279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5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5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5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81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driving the reel or the material
    • B65H75/4486Electric mo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케이블 권취기구에 관한 것으로, ㅍ감긴 광케이블을 풀어 인출하도록 회전가능하게 고정ㆍ배치되는 권출드럼과, 상기 권출드럼을 회전시키는 권출모터를 구비한 권출기; 원기둥 형상으로 된 한 쌍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들 사이로 상기 권출기로부터 인출되는 광케이블을 끼워서 당해 회전속도에 맞춰 이송하는 압출용 롤러와, 상기 압출용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대와, 상기 압출용 롤러를 회전시키는 이송용 모터를 구비한 등속이송기; 상기 등속이송기로부터 이송되는 광케이블을 절단하는 절단기; 상기 등속이송기로부터 이송되는 광케이블을 권취하는 권취대와, 상기 권취대를 회전시키는 권취모터와, 상기 권취모터와 권취대를 자력으로서 상호 고정시키는 자성부재를 구비한 권취기; 및 상기 권출기, 등속이송기, 절단기 및 권취기가 상호 연동하면서 작동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광케이블 권취기구{OPTICAL CABLE REWINDER}
본 고안은 광케이블 권취기구에 관한 것이다.
광점퍼코드, 광섬유, 리본섬유 등과 같은 광케이블은 초고속통신 산업의 핵심인 광통신분야의 주요부품으로써 광통신 특성화 지역인 광주를 중심으로 국내의 약 80개 중소기업에서 제조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작업의 초기 과정인 권취작업에 필요한 정밀한 권취기구가 고가여서 상기 중소기업 중 5%정도만이 보유하고 있고, 그 외의 제조업체는 경제적 부담으로 인한 장비의 미보유로 수작업을 통해 상기 권취작업을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상기 권취작업은 6인 이상의 다수 인력을 기반으로 하여 수 km에 달하는 광케이블을 권취하는 단순한 반복노동으로서, 근로자들의 피로도를 가중시키고 단순작업에 의한 성취욕을 감퇴시켜 근로자로 하여금 상기 권취작업을 기피하게 하였고, 이러한 현상은 근로자들의 빈번한 이직을 부채질하는 원인이었다.
이러한 문제들은, 경제적 여건이 풍족하지 못한 중소기업의 입장에서 심각한 인력부족 현상을 초래하였으며, 더 나아가서는 광케이블의 생산량 감소를 일으키게 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수의 인원 투입이 요구되던 광케이블의 권취작업을 1인으로도 능률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정밀도 및 정확도가 요구되는 광케이블 제작을 위한 고가의 장비투입 없이도 이에 준하는 기능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경제적인 광케이블 권취기구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감긴 광케이블을 풀어 인출하도록 회전가능하게 고정ㆍ배치되는 권출드럼과, 상기 권출드럼을 회전시키는 권출모터를 구비한 권출기;
원기둥 형상으로 된 한 쌍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들 사이로 상기 권출기로부터 인출되는 광케이블을 끼워넣어 당해 회전속도에 맞춰 이송하는 압출용 롤러와, 상기 압출용 롤러는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대와, 상기 압출용 롤러를 회전시키는 이송용 모터를 구비한 등속이송기;
상기 등속이송기로부터 이송되는 광케이블을 절단하는 절단기;
상기 등속이송기로부터 이송되는 광케이블을 권취하는 권취대와, 상기 권취대를 회전시키는 권취모터와, 상기 권취모터와 권취대를 자력으로서 상호 고정시키는 자성부재를 구비한 권취기; 및
상기 권출기, 등속이송기, 절단기 및 권취기가 상호 연동하면서 작동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광케이블 권취기구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상기 광케이블 권취기구에 있어서,
이동용 바퀴를 구비한 지지부와, 상기 권출기ㆍ등속이송기ㆍ절단기 및 권취기를 집적 배치하여 일체로 연결하는 수용케이스를 구비하는 본체가 더 포함된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상기 광케이블 권취기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평판형상으로, 상기 수용케이스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면에 배치되는 상기 등속이송기로 광케이블이 안내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이 입설된 상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등속이송기가 배치되는 위치에는 한 쌍의 상기 압출용 롤러가 상기 상판을 기준으로 상하로 위치되도록 절개된 관통구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상기 광케이블 권취기구에 있어서, 상기 등속이송기는
상기 한 쌍의 압출용 롤러 중 상부에 위치하는 압출용 롤러는 상기 고정대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부에 위치한 상기 압출용 롤러를 상방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그 중심이 상기 고정대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일단은 상부에 위치한 상기 압출용 롤러의 하부를 지지하고, 타단은 상방으로 돌출된 승강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상기 광케이블 권취기구에 있어서, 상기 절단기는
상하로 이동되는 커터와, 상기 커터를 지지하면서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구조물과, 압을 받아 피스톤 운동을 하면서 상기 커터의 상하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전달하는 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상기 광케이블 권취기구에 있어서,
상기 권취대는 중심구가 더 형성되고;
상기 권취모터는 상기 중심구를 관통하는 회전축을 매개로 상기 권취대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상기 광케이블 권취기구에 있어서,
상기 권취대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감김봉이 수직으로 배치되어서, 이를 따라 광케이블이 권취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상기 광케이블 권취기구에 있어서,
상기 등속이송기는 상기 이송용 모터와 동력전달벨트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이송용 모터의 회전수를 확인하는 카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카운터로부터 확인된 이송용 모터의 회전수 또는 확인된 이송용 모터의 회전수를 연산하여 이송된 광케이블의 길이를 출력하는 카운팅 디스플레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권취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권취기구(10)는 광점퍼코드, 광섬유, 리본섬유(이하 광케이블) 등의 권출 및 권취를 일괄 진행하면서도 작업시간 효율을 높이고, 광케이블 권취 시 반드시 요구되는 안정감과 권취길이의 정밀도가 극대화 되도록, 권출기(100)와, 등속이송기(200)와, 절단기(300)와, 권취기(400)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기(500)를 포함하며, 상기 권출기(100), 등속이송기(200), 절단기(300), 권취기(400) 및 제어기(500)를 일체로 하는 본체(6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권출기(100)는 광케이블이 감겨 보관되는 권출드럼(130)과, 상기 권출드럼(130)의 회전에 요구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권출모터(110)를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권출모터(110)의 작동제어를 직접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권출모터 제어부(140)를 구비한다.
상기 권출기(100)는 상기 권취기(400)에 권취될 광케이블을 보관하면서 권취기(400)의 작동으로 인한 권취작업이 진행되면 자동 또는 수동제어를 통해 작동하여 상기 권출드럼(130)에 감긴 광케이블을 인출하게 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권출드럼(130)을 회전축(131)을 매개로 권출기 고정대(64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고, 상기 권출모터(110)는 상기 권출기 고정대(640)에 고정되어서, 권출모터(110)의 회전축(미도시됨)과 권출드럼(130)의 회전축(131)을 연결하는 동력전달벨트(120)을 통해 연동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권출모터(110)의 작동제어를 위해 인접지역으로 상기 권출모터 제어부(140)를 두어 권출모터(110)의 작동을 작업자가 신속히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권출모터 제어부(140)는 권출모터(110)의 ON/OFF는 물론 그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등속이송기(200), 절단기(300) 및 권취기(400)와의 연동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권출기(100)로부터 인출되는 광케이블은 등속이송기(200)로 안내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광케이블 권취기구는 광케이블의 빈약한 인장력과 내구성을 감안하여 권취 시 안정적인 작업진행이 가능하도록 되어야 하는 동시에, 작업의 정밀성이 요구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상기 권출기(100)로부터 인출된 광케이블의 일정한 이송이 전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등속이송기(200)는 권출기(100)로부터 인출된 광케이블을 일정한 속도로 이송하여 이후 과정인 절단 및 권취를 무난히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등속이송기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등속이송기의 일구성 요소인 제2압출용 롤러를 조작하여 모습을 개략적으로 순차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등속이송기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권출기(100)로부터 인출된 광케이블은 그 일단이 등속이송기(200)로 안내되어 일정한 속도로 이송된다. 이를 위해, 상기 등속이송기(200)는 상하로 위치되어 맞물리는 제1ㆍ2압출용 롤러(230, 240)와, 상기 제1ㆍ2압출용 롤러(230, 240)에 구동력을 가하는 이송용 모터(210)와, 상기 제1ㆍ2압출용 롤러(230, 240)을 각각 고정하는 고정대(261, 262, 280)를 포함하고, 이와 더불어 상기 이송용 모터(210)의 구동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250)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등속이송기(200)는 상기 본체(600)의 상판(630)에 안착되는데, 제2압출용 롤러(240)를 고정하는 한쌍의 고정대(261, 262) 사이에는 상하로 관통되도록 절개된 관통구(633)가 형성되어서, 상기 상판(630)을 기준으로 상부에는 제2압출용 롤러(240)가, 하부에는 제1압출용 롤러(230)가 배치되면서도 각 압출용 롤러(230, 240)의 둘레면이 상기 관통구(633)를 통해 접촉되거나 인접할 수 있도록 된다.
상기 고정대(261, 262)는 제2압출용 롤러(240)의 길이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압출용 롤러(240)의 양단에 형성된 회전축(242)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수직이동로(263, 264)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수직이동로(263, 264)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서 상기 제2압출용 롤러(240)가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는 상호 접촉하거나 인접하는 상기 제1ㆍ2압출용 롤러(230, 240) 사이를 벌려 그 사이로 광케이블을 인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압출용 롤러(240)의 승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등속이송기(200)에는 승강레버(2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승강레버(2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축(271)을 매개로 상기 고정대(261, 262) 각각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일단은 상기 제2압출용 롤러(240) 하부에 위치되고 타단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위치되어서, 작업자가 승강레버(270)의 타단을 위 아래로 조작할 수 있도록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승강레버(270)의 타단에 하방 압력을 가하면, 상기 승강레버(270)의 일단은 제2압출용 롤러(240)의 하부에 상방향 힘을 가해 상기 제2압출용 롤러(240)을 상방 이동시킨다. 물론, 제1압출용 롤러(230)와 제2압출용 롤러(24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계속해서, 상기 제1ㆍ2압출용 롤러(230, 240)는 상기 회전축(242)에 각각 구비된 제1ㆍ2기어(231, 241)가 맞물려 연동된다. 따라서, 상하로 배치된 상기 제1ㆍ2압출용 롤러(230, 240)는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압출용 롤러(230, 240) 사이로 인입되는 광케이블을 균일하게 밀어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ㆍ2압출용 롤러(230, 240)의 역방향 회전은 상기 제1ㆍ2기어(231, 241)에 한정되어 가능한 것은 아니고, 동력전달벨트를 꼬아 상기 압출용 롤러(230, 240)를 연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제1ㆍ2압출용 롤러(230, 240)의 연동은 제1ㆍ2기어(231, 24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ㆍ2압출용 롤러(230, 240)의 회전을 위한 구동원은 상기 이송용 모터(210)이다. 상기 이송용 모터(210)는 동력전달벨트(220)를 매개로 제1압출용 롤러(230)의 회전축(232)과 연동되어서 이송용 모터(210)의 회전력을 제1압출용 롤러(230)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벨트(220)의 일부분에 맞물려서 상기 제1ㆍ2압출용 롤러(230, 240)의 회전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250)가 더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동력전달벨트(220)는 카운팅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내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기가 형성된 일반적인 타이밍벨트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ㆍ2압출용 롤러(230, 240)는 광케이블(L)의 섬세한 이송을 위해 광케이블(L)로의 동력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마찰계수가 큰 합성수지재질로 되며, 제1ㆍ2압출용 롤러(230, 240) 사이로 인입되는 광케이블(L)을 상하로 눌러 그 형상이 권취에 유리한 평평한 형상이 되도록 한다.
상기 등속이송기(200)를 경유한 광케이블은 절단기(300)로 안내되어 약속된 길이에서 절단된다. 상기 절단기(300)는 커터(330)와, 이 커터(33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구조물(310)과, 상기 커터(330)의 상하 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전달하는 실린더(3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커터(330)와 안내구조물(310) 사이에 형성된 이동로(340)를 통과하는 광케이블이 일정길이만큼 이동하면 상기 실린더(320)에 유압 또는 공압이 가해지면서 상기 커터(330)가 신속하고 강력하게 하방 이동하여 광케이블을 절단한다. 이때, 상기 커터(330)는 내마모성이 우수한 성질을 가지고 검 제조에 이용되는 특수 금속인 하이스(high speed steel) 재질로 되고, 이를 이용한 케블러 절단 기능을 강화하여 절단오차를 최소화한다.
상기 실린더(320)에 유압 또는 공압을 가하는 가압부재(미도시됨)는 상기 제어기(500)에 의해 제어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권취기구의 일 구성요소인 권취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등속이송기(200)를 경유한 광케이블은 상기 권취기(400)로 이송되어 보관을 위한 권취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위한 상기 권취기(400)는 광케이블이 감기는 권취대(420)와, 이 권취대(420)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발생ㆍ전달하는 권취모터(410)를 포함하고, 권선수가 증가되면서 그 외경의 증가에 상응하여 상기 권취대(420)의 회전속을 조절하는 자성부재(450)를 구비한 회전디스크(440)를 구비한다.
상기 권취모터(410)는 회전축(411)이 관통고정되는 중심구(441)를 갖는 회전디스크(440)를 포함하며, 상기 권취대(420)는 상기 회전디스크(440)와 자성부재(450)를 매개로 자력으로 상호 고정된다. 이때, 권취대(420)에도 상기 회전축(411)이 관통하는 중심구(422)가 형성되어서 자성부재(450)에 의한 결합 시 측방력에 의해 권취대(420)가 흔들리거나 회전중심이 변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자성부재(450)를 매개로 고정된 권취대(420)는 그 회전속도가 등속이송기(200)로부터 인출되는 광케이블의 인출속도보다 빠를 경우, 광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권취대(420)의 회전이 정지되거나 느려지고, 상기 권취모터(410)는 헛바퀴를 돌게 된다. 이는 상기 권취대(420)와 권취모터(410)가 자성부재(450)를 매개로 결합되므로, 상기 자성부재(450)의 자력보다 큰 힘이 가해질 경우 자력에 의한 결합이 저항을 받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를 이루는 본 고안에 따른 권취기구(10)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자성부재(450)의 자력은 광케이블의 파손가능한 외력보다 작도록 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권취대(420)는 자력에 의한 고정방식이므로 그 하중을 조절해야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권취대(420)는 드럼형태가 아닌 다수의 감김봉(421)을 원주를 따라 배열시켜 상기 감김봉(421)들에 광케이블이 권취되도록 하였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광케이블 권취기구의 각 구성요소들과 이들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기 간의 통신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권취기구(10)는 광케이블의 일정한 권취작업 수행을 위해 상기 권출기(100), 등속이송기(200), 절단기(300) 및 권취기(400)가 규칙적으로 상호 연동되도록 제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권취기구는 상술된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기(500)를 통해 진행하고, 작업자가 임의로 셋팅된 작업 플로우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기(500)의 제어내용 중 광케이블의 권취속도 조절과 이에 필요한 상기 권출기(100), 등속이송기(200), 절단기(300) 및 권취기(400)의 상호 연동은 PLC(Programable Logic Circuit)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이, 등속이송기(200)에는 카운터(250)가 더 구비되어서, 상기 제1ㆍ2압출용롤러(230, 240)의 회전수를 카운팅하며, 상기 제1ㆍ2압출용롤러(230, 240)의 원주와 회전수에 따라 광케이블의 인출길이를 측정연산하여, 작업자가 권취된 광케이블의 길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당 사항을 카운팅 디스플레이어(503)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제어기(500)로서 제어되는 본 고안에 따른 권취기구는 실시예를 통해 확인한 결과, 에러율이 최대 0.2cm/m에 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권취기구(10)는 상기 권출기(100), 등속이송기(200), 절단기(300) 및 권취기(400) 등 다수의 구성요소들이 구비되는 바, 이들을 일체로 하여 이동의 용이성 및 작업 적용의 일관성을 유지시킴으로서 그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권취기구(10)는 상기 권출기(100), 등속이송기(200), 절단기(300) 및 권취기(400)는 물론 제어기(500)를 한데 실장할 수 있는 본체(6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600)는 권취기구(10) 전체를 지지하는 지지부(610)와, 상기 권출기(100), 절단기(300), 권취기(400) 및 제어기(500)를 일체로 수용하는 수용케이스(620)와, 상기 등속이송기(200)를 지지하고 상기 수용케이스(620)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판(630)으로 되며, 최상단에 상기 권출기(100)가 배치되도록 입설되는 권출기 고정대(6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권취기(400 ; 도 5 참조)는 수용케이스(620)에 연결되는 연결대(430)가 구비되어서 이를 매개로 상기 본체(60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610)는 권취기구(10)의 이동성을 위해 이동용 바퀴(611)가 구비되고, 작업위치가 확보되어 권취기구(10)의 정지가 필요할 경우 현 위치를 고수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61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612)의 경우 스크류방식으로 승강되는 바아(미인출됨)와, 바아의 하단에 지면과 맞물리는 받침(미인출됨)으로 구성된다.
계속해서, 상기 상판(630)은 수용케이스(620)의 내측을 개구하는 개구부(631)와, 개구부(631)를 통해 인출된 광케이블이 등속이송기(200)로 정확히 안내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라인(632)이 형성되고, 상기 등속이송기(200)의 제1ㆍ2압출용 롤러(230, 240)가 상기 상판(630)을 기준으로 위아래로 맞닿을 수 개구된 관통구(633)가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술된 구조를 이루는 본 고안에 따른 권취기구의 일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권취작업이 이루어진다.
최상단에 배치된 권출기(100)로부터 광케이블이 인출되어 수용케이스(620) 내측으로 인입된 후, 상기 상판(630)의 개구부(631)를 통해 인출되어 상기 가이드라인(632)을 따라 등속이송기(200)로 안내된다. 한편, 상기 권출기(100)로부터 인출된 광케이블은 충분한 여유 길이를 가지고 상기 등속이송기(200)에 공급된다. 이는 상기 등속이송기(200)가 일정한 속도로 광케이블을 압출하므로 권출기(100)로부터 인출되는 광케이블의 인출속도가 등속이송기(200)의 압출속도보다 늦어지거나 빨라질 경우에도 광케이블이 가능한 한 힘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등속이송기(200)로 안내된 광케이블은 등속도로 압출되면서 절단기(300)를 경유한 후 상기 권취기(400)로 이송된다. 상기 권취기(400)는 등속이송기(200)의 압출속도에 대응해서 회전하는 권취대(420)에 감겨 권취되고, 설정된 길이만큼 권취될 경우에는 상기 제어기(5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절단기(300)가 작동되어 광케이블을 절단하게 된다.
미설명된 인출부호 '502'는 조작키로, 이를 이용해 작업자가 외부에서 상기 권출기(100), 등속이송기(200), 절단기(300) 및 권취기(400)를 제어하거나 작업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미설명된 인출부호 '501'은 락으로, 제어기(500)의 내부를 개방하여 수정 및 수리할 수 있고, 제어기(500)를 무단 공개하지 않도록 개폐를 잠금 제어할 수 있다.
미설명된 인출부호 '340'은 호스로, 상기 실린더(320)에 압을 제공하기 위해 공기 또는 기름이 주입 또는 배출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실린더(320)로, 타단은 가스통(미도시됨) 또는 펌프(미도시됨)와 연통된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광점퍼코드, 광섬유, 리본섬유 제조 시 다수 인력이 육체적 단순반복 노동을 통해 작업이 이루어지는 불합리함을 개선하고, 다수 공정이 일체화된 권취기구를 통해 연속성을 유지한 채 지속적인 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시간 대비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는 한편, 권취기구의 집적화된 구조로 인해 작업공간을 최소화하여 소규모의 작업장에서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권취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등속이송기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등속이송기의 일구성 요소인 제2압출용 롤러를 조작하여 모습을 개략적으로 순차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등속이송기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권취기구의 일 구성요소인 권취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광케이블 권취기구의 각 구성요소들과 이들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기 간의 통신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 ; 권취기구 100 ; 권출기
110 ; 권출모터 130 ; 권출드럼
131 ; 회전축 140 ; 권출모터 제어부
200 ; 등속이송기 210 ; 이송용 모터
220 ; 동력전달벨트 230, 240 ; 압출용 롤러
231, 241 ; 기어 232, 242 ; 회전축
250 ; 카운터 300 ; 절단기
310 ; 안내구조물 320 ; 실린더
330 ; 커터 400 ; 권취기
410 ; 권취모터 420 ; 권취대
440 ; 회전디스크 450 ; 자성부재
500 ; 제어기 503 ; 카운팅 디스플레이어
600 ; 본체 610 ; 지지부
620 ; 수용케이스 630 ; 상판

Claims (8)

  1. 감긴 광케이블을 풀어 인출하도록 회전가능하게 고정ㆍ배치되는 권출드럼과, 상기 권출드럼을 회전시키는 권출모터를 구비한 권출기;
    원기둥 형상으로 된 한 쌍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들 사이로 상기 권출기로부터 인출되는 광케이블을 끼워서 당해 회전속도에 맞춰 이송하는 압출용 롤러와, 상기 압출용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대와, 상기 압출용 롤러를 회전시키는 이송용 모터를 구비한 등속이송기;
    상기 등속이송기로부터 이송되는 광케이블을 절단하는 절단기;
    상기 등속이송기로부터 이송되는 광케이블을 권취하는 권취대와, 상기 권취대를 회전시키는 권취모터와, 상기 권취모터와 권취대를 자력으로서 상호 고정시키는 자성부재를 구비한 권취기; 및
    상기 권출기, 등속이송기, 절단기 및 권취기가 상호 연동하면서 작동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권취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용 바퀴를 구비한 지지부와, 상기 권출기ㆍ등속이송기ㆍ절단기 및 권취기를 집적 배치하여 일체로 연결하는 수용케이스를 구비하는 본체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권취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평판형상으로, 상기 수용케이스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면에 배치되는 상기 등속이송기로 광케이블이 안내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이 입설된 상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등속이송기가 배치되는 위치에는 한 쌍의 상기 압출용 롤러가 상기 상판을 기준으로 상하로 위치되도록 절개된 관통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권취기구.
  4. 제 3 항 중에 있어서, 상기 등속이송기는
    상기 한 쌍의 압출용 롤러 중 상부에 위치하는 압출용 롤러는 상기 고정대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부에 위치한 상기 압출용 롤러를 상방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그 중심이 회동축을 매개로 상기 고정대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일단은 상부에 위치한 상기 압출용 롤러의 하부를 지지하고, 타단은 상방으로 돌출된 승강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권취기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기는
    상하로 이동되는 커터와, 상기 커터를 지지하면서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구조물과, 압을 받아 피스톤 운동을 하면서 상기 커터의 상하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전달하는 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권취기구.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대는 중심구가 더 형성되고;
    상기 권취모터는 상기 중심구를 관통하는 회전축을 매개로 상기 권취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권취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대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감김봉이 수직으로 배치되어서, 이를 따라 광케이블이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권취기구.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속이송기는 상기 이송용 모터와 동력전달벨트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이송용 모터의 회전수를 확인하는 카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카운터로부터 확인된 이송용 모터의 회전수 또는 확인된 이송용 모터의 회전수를 연산하여 이송된 광케이블의 길이를 출력하는 카운팅 디스플레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권취기구.
KR20-2005-0027946U 2005-09-29 2005-09-29 광케이블 권취기구 KR2004035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946U KR200403566Y1 (ko) 2005-09-29 2005-09-29 광케이블 권취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946U KR200403566Y1 (ko) 2005-09-29 2005-09-29 광케이블 권취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566Y1 true KR200403566Y1 (ko) 2005-12-09

Family

ID=43704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946U KR200403566Y1 (ko) 2005-09-29 2005-09-29 광케이블 권취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566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591B1 (ko) * 2012-12-27 2014-07-03 주식회사 코릴 항공기 전원공급용 케이블 릴 장치
CN105785529A (zh) * 2016-04-14 2016-07-20 苏州胜信大成光网科技有限公司 一种光纤裁缆系统
WO2016163625A1 (ko) * 2015-04-09 2016-10-13 주식회사 골드텔 광케이블 자동배출 권선시스템
KR102014767B1 (ko) * 2019-04-12 2019-08-27 탁임철 마이크 케이블 권취장치
KR102110899B1 (ko) 2019-08-08 2020-05-20 디에스전선소재 주식회사 듀얼바인드사를 이용한 광케이블 바인드사의 와인딩장치, 그 와인딩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광케이블
KR20210036005A (ko) 2019-09-25 2021-04-02 이상곤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
KR102329579B1 (ko) * 2021-01-06 2021-11-22 (주)엔에스 전선 케이블 포설장치
CN115480345A (zh) * 2021-06-16 2022-12-16 杭州光为通信技术有限公司 蝶型自承式光缆定长开剥剪钢丝机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591B1 (ko) * 2012-12-27 2014-07-03 주식회사 코릴 항공기 전원공급용 케이블 릴 장치
WO2016163625A1 (ko) * 2015-04-09 2016-10-13 주식회사 골드텔 광케이블 자동배출 권선시스템
KR20160121625A (ko) * 2015-04-09 2016-10-20 주식회사 골드텔 광케이블 자동배출 권선시스템
KR101696319B1 (ko) 2015-04-09 2017-01-16 주식회사 골드텔 광케이블 자동배출 권선시스템
CN105785529A (zh) * 2016-04-14 2016-07-20 苏州胜信大成光网科技有限公司 一种光纤裁缆系统
KR102014767B1 (ko) * 2019-04-12 2019-08-27 탁임철 마이크 케이블 권취장치
KR102110899B1 (ko) 2019-08-08 2020-05-20 디에스전선소재 주식회사 듀얼바인드사를 이용한 광케이블 바인드사의 와인딩장치, 그 와인딩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광케이블
KR20210036005A (ko) 2019-09-25 2021-04-02 이상곤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
KR102423401B1 (ko) * 2019-09-25 2022-07-20 이상곤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
KR102329579B1 (ko) * 2021-01-06 2021-11-22 (주)엔에스 전선 케이블 포설장치
CN115480345A (zh) * 2021-06-16 2022-12-16 杭州光为通信技术有限公司 蝶型自承式光缆定长开剥剪钢丝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3566Y1 (ko) 광케이블 권취기구
KR100390683B1 (ko) 저장 드럼 내에 와이어를 적재하는 장치 및 방법
CN103771188B (zh) 一种自动盘软管机
JP6100805B2 (ja) ボビン交換装置
US67359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xial feed of ribbon material
CN103303743A (zh) 光纤绕线装置
EP2116496A1 (en) Take-up device for long member and production device for long member
KR101781320B1 (ko) 케이블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권취방법
US20220145533A1 (en) System for fabricating stranded cable and control therefor
JPS61167096A (ja) 2重撚り機を用いて、撚つたストランド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IT8312636A1 (it) Dispositivo per collegare l'una all'altra due bobine di materiale in nastro
KR100339710B1 (ko) 와이어 연속 권취장치
CN208994864U (zh) 卷盘装置及收放料系统
CN204528829U (zh) 一种覆胶帘布挤出法生产线的卷取缠绕装置
KR100318186B1 (ko) 와이어 연선기의 피치 조절장치
CN114761633B (zh) 数字纱架系统
KR102160073B1 (ko) 와이어 핸들러
KR101324565B1 (ko) 케이블 레이드 그로멧 제조장치
US6726142B2 (en) Twist controlling device, rotatable nip and axial feed system
CN210260630U (zh) 一种纱线放卷装置
JPH1087165A (ja) 線状体の巻取方法と巻付方法と巻付装置
KR20200025461A (ko) 와이어 핸들러
KR100386067B1 (ko) 케이블의 정렬 권취 장치
CN216471412U (zh) 一种运用于自动换筒络纱机的排线横移结构
EP4375223A1 (en) Autonomous device for winding cable wi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