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6146B1 - 자동권취기 및 자동권취기의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자동권취기 및 자동권취기의 작동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56146B1 KR100956146B1 KR1020080007569A KR20080007569A KR100956146B1 KR 100956146 B1 KR100956146 B1 KR 100956146B1 KR 1020080007569 A KR1020080007569 A KR 1020080007569A KR 20080007569 A KR20080007569 A KR 20080007569A KR 100956146 B1 KR100956146 B1 KR 1009561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bbin
- conveying
- conveying body
- winding
- gui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22—Automatic winding machines, i.e. machines with servicing units for automatically performing end-finding, interconnecting of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controlling and fault-detecting of the running material and replacing or removing of full or empty co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65H54/54—Arrangements for supporting cores or formers at winding stations; Securing cores or formers to driving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2—Tub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4—Pulleys, rollers, or rotary bars
Landscapes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등의 이송체 이송을 안내하면서 이송 속도를 체크하여 이 이송 속도에 맞춰 회전 속도 변화되며 회전되는 보빈에 이송체를 자동 권취함으로써 수동 권취보다 권취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보빈에 감기는 이송체의 자연 낙하를 방지하여 권취 불량을 방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보빈에 최초 접하는 이송체의 단부를 클램핑하여 잡음에 따라 미권취 불량을 방지하도록 한 자동권취기 및 자동권취기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송체, 케이블, 권취기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권취기 및 자동권취기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 등의 이송체 이송을 안내하면서 이송 속도를 체크하여 이 이송 속도에 맞춰 회전 속도 변화되며 회전되는 보빈에 이송체를 자동 권취함으로써 수동 권취보다 권취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보빈에 감기는 이송체의 자연 낙하를 방지하여 권취 불량을 방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보빈에 최초 접하는 이송체의 단부를 클램핑하여 잡음에 따라 미권취 불량을 방지하도록 한 자동권취기 및 자동권취기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와이어는 회전되는 스풀의 외주면에 감겨 제품화되거나 코일 형태로 권취된다.
이와 같이 코일형태로 권취하는 방법에는 상취식(STRIPPER TYPE COILER), 횡취식(HORIZONTAL COILER), 하치식(INVERTED VERTICAL COILER) 등이 있다.
특히, 와이어는 비교적 굵을 경우 절단기에서 절단시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되고, 수작업에 의해 스풀의 외주면에 권취된다.
기존의 와이어 특히, 비교적 굵은 직경의 와이어는 절단되는 작업 등의 공정 후 이동될 경우 무거워 컨베이어 장치 등의 설비를 통해 이동함에 따라 컨베이어 장치 등의 설비 설치 공간이 별도로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기존의 와이어는 보관 또는 제품화를 위해 스풀에 권취하게 되는데, 작업자가 일일이 스풀에 와이어를 감기 때문에 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됨과 더불어 권취작업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송되는 이송체의 속도에 따라 보빈의 회전속도를 달리하며 이송체를 보빈에 견고하게 자동으로 감아 권취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보빈에 감기는 이송체의 낙하 방지를 위해 서포트함과 더불어 보빈에 최초 접하는 이송체의 단부를 클램핑함으로써 권취 불량을 방지하도록 하는 자동권취기 및 자동권취기의 작동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플렉시블한 이송체의 유 입을 안내하며 유입상태를 검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서 상기 이송체의 공급상태를 검출시 작동하면서 상기 이송체를 감는 권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권취기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와 권취부는 프레임에 형성됨으로써 이송되는 상기 이송체의 권취를 위한 설치공간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이송되는 상기 이송체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 및 상기 가이드롤러에 연결 또는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롤러의 회전을 인식하게 되고 해당 신호를 상기 권취부에 전송하는 회전감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가이드롤러를 통과한 상기 이송체의 이송을 실시간으로 감지시 상기 권취부의 작동 유지 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상기 이송체의 이송상태를 미감지시 상기 권취부의 작동 중지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이송감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이송체의 직진이송을 안내하기 위해 가이드채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권취부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회전전동부재 및 상기 회전전동부재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이송체를 둘레면에 감는 보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보빈에 완전히 감긴 후 외부 조작에 의해 낙하되는 상기 이송체의 외측 배출을 안내하기 위해 배출안내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상기 보빈은 내·외측으로 연통되도록 둘레면에 삽입홀을 통공하고, 상기 이송체는 상기 보빈에 감기는 초기에 단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며, 상기 보빈은 클램핑부를 구비하여 회전시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기 이송체를 잡아 감김을 유도함과 아울러 완전히 감긴 상기 이송체의 낙하시 상기 이송체를 놓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보빈의 내측에 형성된 리브, 상기 리브에 형성되어 외부 조작에 의해 전·후진 작동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재와 함께 전진하며 상기 삽입홀에 비스듬하게 삽입된 상기 이송체를 상기 보빈의 내측면에 접한 상태로 가압하여 클램핑하고 상기 가압부재와 함께 후진하며 상기 이송체를 놓아주는 가압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빈은 둘레면에 감긴 상기 이송체의 하향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둘레면에 완전히 감긴 상기 이송체를 하향 이탈시 간섭을 방지하도록 서포트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부는 상기 보빈의 내측면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된 하우징, 외부 조작시 상기 하우징에 출입 가능하게 형성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보빈의 내측면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샤프트의 전·후진시 상기 보빈과의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상기 이송체의 하측을 지지하거나 낙하하는 상기 이송체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서포트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이송되는 플렉시블한 이송체를 가이드부를 통해 감지함과 아울러 이송 안내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이송체 이송 감지 신호와 이송 속도를 전달받아 해당 이송 속도와 맞게 회전되는 보빈에 상기 이송체를 권취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부에서 신호 발생시까지 회전되는 상기 보빈에 상기 이송체를 권취시 서포트부를 조작하여 상기 이송체의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보빈으로부터의 상기 이송체 낙하를 방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이송체의 완전 통과로 인해 상기 가이드부에서 이송 신호 미발생과 동시에 상기 보빈의 정지시 상기 서포트부를 재조작하여 감긴 상기 이송체를 낙하 유도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행해지는 자동권취기의 작동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체를 이송 안내하는 단계와 상기 이송체를 권취하는 단계 사이에는 정지 상태인 보빈에 접하는 상기 이송체의 단부를 상기 보빈 내부로 삽입하고 나서 빠지지 않도록 클램핑하는 단계가 행해지고, 상기 가이드부의 신호 미발생시 상기 이송체를 배출하는 단계 직전에는 상기 이송체의 단부를 클램핑 해제하는 단계가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권취기 및 자동권취기의 작동방법에 따르면, 이송되는 이송체의 속도에 따라 보빈의 회전속도를 달리하며 이송체를 보빈에 견고하게 자동으로 감음으로써 권취 작업 능률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권취를 위해 이송체를 펼쳐놓아야 하는 작업공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자동권취기 및 자동권취기의 작동방법은 보빈에 감기는 이송체의 낙하 방지를 위해 서포트함과 더불어 보빈에 최초 접하는 이송체의 단부를 클램핑함으로써 권취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권취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권취기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권취기의 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권취기에 구비된 클램핑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작동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권취기에 구비된 서포트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작동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권취기의 작동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권취기는 케이블과 같은 플렉스블(flexible)한 재질의 이송체(10)를 이송시켜 권취하기 위해 가이드부(200), 권취부(300), 클램핑부(400) 및 서포트부(5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특히, 상기 가이드부(200), 권취부(300), 클램핑부(400) 및 서포트부(500)는 하나의 프레임(100)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00)은 하나 구비되어 가이드부(200), 권취부(300), 클램핑부(400) 및 서포트부(500)를 집적화하여 콤팩트화함에 따라 이송체(10)의 권취를 위한 작업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200)는 이송체(10)의 유입을 안내하며, 유입상태 특히 이송체(10)의 이송속도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히, 상기 가이드부(200)는 브라켓(210), 가이드롤러(220) 및 회전감지부재(2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210)은 프레임(10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롤러(220)는 브라켓(210)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롤러(220)는 무동력으로 외력에 의해 회전된다.
즉, 상기 이송체(10)는 가이드롤러(220) 외주면에 접하여 강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롤러(220)는 이송되는 이송체(10)에 의해 회전되면서 이송체(10)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가이드롤러(220)는 모터에 의해 강제 회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롤러(220)는 하나 구비되어 상측 외주면으로 이송되는 이송체(10)를 지지할 수도 있으나, 마주한 한 쌍으로 구비되어 그 사이로 이송체(10)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이송 안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롤러(220)는 둘레면 전체에 가이드홈(222)을 함몰 형성하여 이송 안내되는 이송체(10)의 외측 이탈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감지부재(230)는 가이드롤러(220)에 장착되거나 가이드롤러(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가이드롤러(220)의 회전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회전감지부재(230)는 가이드롤러(220)의 회전을 감지함과 동시에 가이드롤러(220)의 회전 속도를 인식, 검출하도록 하고, 해당 신호 및 검출치를 권취부(3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회전감지부재(230)는 하나의 가이드롤러(220)에 연결되어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엔코더(encorder)로 함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히, 상기 회전감지부재(230)가 가이드롤러(220)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고, 이 회전속도는 변환기(도시하지 않음)에서 이송체(10)의 이송속도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감지부재(230)는 권취부(300)에 이송체(10)의 이송속도를 신호화해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브라켓(210)은 이송감지부재(24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이송감지부재(240)는 가이드롤러(220)를 통과한 이송체(10)의 이송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며 해당 신호를 발생하고, 이 신호를 권취부(300)로 전송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권취부(300)는 이송감지부재(24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 작동 신호를 인가 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감지부재(240)는 이송체(10)의 이송상태를 미감지시 권취부(300)에 작동 중지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권취부(300)는 작동 정지되면서 이송체(10)의 권취를 중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이송감지부재(240)는 발광부에서 빛을 조사하고 이 빛을 수광부에서 인식하면 이송체(10)가 지나가지 않음을 판단하고, 이 빛을 수광부에서 인식하지 않으면 이송체(10)가 지나감을 인식하는 포토센서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라켓(210)은 이송체(10)의 직진이송을 안내하기 위해 가이드채널(212)을 구비한다.
즉, 상기 가이드채널(212)은 내측에 이송체(10)를 수용하여 직진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이송체(10)가 가이드롤러(220)의 가이드홈(222)에 정위치 수용되도록 안내하고, 가이드롤러(220)를 통과한 이송체(10)가 이송감지부재(240)를 정위치로 통과하도록 안내함과 더불어 이송감지부재(240)를 통과한 이송체(10)가 권취부(300)로 직진이송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채널(212)은 브라켓(210)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가이드롤러(220)까지 형성되고, 브라켓(210)의 가이드롤러(220)에서 이송감지부재(240)까지 형성되며, 브라켓(210)의 이송감지부재(240) 이후에 연장 형성된다.
한편, 상기 권취부(300)는 가이드부(200)에서 이송체(10)의 공급상태를 검출시 작동하면서 이송체(10)를 감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권취부(300)는 회전전동부재(310)와 보빈(32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회전전동부재(310)는 프레임(100)에 형성되어 구동력을 발생한다.
이때, 상기 회전전동부재(310)는 모터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빈(320)은 회전전동부재(310)에 연결되어 회전전동부재(31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그래서, 상기 보빈(320)은 둘레면에 이송체(10)를 감게 된다.
특히, 상기 회전전동부재(310)는 이송감지부재(240)의 이송체(10) 이송 신호를 감지하고, 이 신호의 인가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전동부재(310)는 회전감지부재(230)를 통해 이송체(10)의 이송 속도에 의해 보빈(32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체(10)는 보빈(320)의 둘레면에 견고하게 감긴다.
한편, 상기 이송체(10)는 보빈(320)에 감길 경우 보빈(320)의 둘레면에서 미끄러지며 낙하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보빈(320)은 클램핑부(400)를 구비한다.
더욱 상세히, 상기 보빈(320)은 내·외측으로 연통되도록 둘레면에 삽입홀(322)을 통공한다.
특히, 상기 보빈(320)은 둘레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의 삽입홀(322)을 통공하거나 하나의 삽입홀(322)을 통공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체(10)는 보빈(320)에 감기는 초기에 단부가 해당 삽입홀(322)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이송체(10)는 작업자에 의해 해당 삽입홀(322) 내부로 삽입 유도되거나, 직진되며 자동적으로 해당 삽입홀(322)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보빈(320)은 회전 전에 삽입된 이송체(10)의 단부를 잡아 감김을 유도하도록 클램핑부(400)를 구비한다.
특히, 상기 클램핑부(400)는 보빈(320)에 이송체(10)의 완전 감김과 더불어 회전전동부재(310)의 작동 중지시 이송체(10)의 낙하를 위해 잡고 있는 이송체(10)의 단부를 놓아주게 된다.
여기서, 상기 클램핑부(400)는 리브(410), 가압부재(420) 및 가압편(430)으로 형성된다.
상기 리브(410)는 보빈(320)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420)는 리브(410)에 연결 고정되어 외부 조작시 전·후진된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420)는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편(430)은 가압부재(420)와 함께 전진하며 삽입홀(322)에 삽입된 이송체(10)를 보빈(320)의 내측면에 접한 상태로 가압하여 클램핑하고, 가압부재(420)와 함께 후진하며 이송체(10)를 놓아주게 된다.
이때, 상기 삽입홀(322)은 이송체(10)의 전진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이송체(10)의 단부를 전진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삽입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압편(430)으로써 이송체(10)의 단부를 밀 경우, 이송체(10)의 단부가 휘어있지 않으면 삽입홀(322) 외측으로 밀려 완전히 이탈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 및 도 5는 클램프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가압부재(420)는 보빈(320)의 삽입홀(322)로 이 송체(10)의 단부 삽입과 더불어 보빈(320)의 회전에 연이어 외부 조작에 의해 전진하며 가압편(430)으로써 이송체(10)의 단부를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송체(10)는 보빈(320)의 바람직하게 감기게 된다.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가압부재(420)는 보빈(320)의 회전 정지시에 연이어 외부 조작에 의해 후진하며 이송체(10)의 단부 가압을 해제하고, 이에 따라 보빈(320)에 감긴 이송체(10)가 자연 낙하와 더불어 삽입홀(322)에 삽입된 이송체(10)의 일부는 자연적으로 빠지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체(10)가 보빈(320)의 삽입홀(322)에 삽입되기 전에 회전되면 안되기 때문에 회전감지부재(230)의 신호발생 시점과 이 신호에 의해 보빈(320)의 회전 시점까지 시차를 두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보빈(320)이 삽입홀(322)을 하나 형성할 경우, 상기 이송체(10)가 보빈(320)에 완전히 감긴 상태로 가압부재(420)가 후진시, 상기 보빈(320)은 회전되면서 삽입홀(322)이 가이드채널(212)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소정 역회전됨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는 하나의 가압부재(420)와 가압편(430)이 도시되고, 네 개의 하우징(510) 및 서포트바(530)가 도시되나, 편의상 도 4 및 도 5에서는 클램핑부(400)와 서포트부(500)를 하나씩만 도시한다.
한편, 상기 서포트부(500)는 보빈(320)에 형성되어 보빈(320)의 둘레면에 감기는 이송체(10)의 하향 자연 낙하를 방지함과 아울러 보빈(320)의 둘레면에 완전히 감긴 이송체(10)의 자연 낙하시 간섭을 부여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보빈(320)은 이송체(10)를 꽉 죄이도록 감을 경우 자연 낙하되지 않아 서포트부(500)가 필요치 않으나, 이송체(10)가 자연 낙하되도록 감기 때문에 서포트부(5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부(500)는 하우징(510), 샤프트(520) 및 서포트바(530)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510)은 보빈(320)의 내측면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520)는 외부 조작시 하우징(510)에 출입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서포트바(530)는 샤프트(520)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됨과 더불어 보빈(320)의 내측면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520)가 전진되면서 서포트바(530)의 일단을 눌러 타단을 들어올리게 된다.(도 6 참조)
그래서, 상기 서포트바(530)는 보빈(320)의 둘레면에 감기는 이송체(10)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520)가 후진되면서 서포트바(530)의 일단을 당겨 타단을 내리게 한다.(도 7 참조)
이때, 상기 서포트바(530)는 직경의 범위 내측에 위치하도록 기울어짐에 따라 이송체(10)의 낙하시 간섭을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서포트바(530)는 보빈(320)의 내측에 연결된 부위를 기준으로 시소(see-saw)운동을 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서포트바(530)의 시소운동으로 인해 상기 서포트바(530)의 일 단과 연결되는 샤프트(520)가 소정 회전각 범위 내에서 회동하게 되는데, 상기 서포트바(530)는 하우징(510)에 왕복 직진 운동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510)은 보빈(320)의 내측에 힌지 연결되어 샤프트(520)의 기울기에 따라 회동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프레임(100)은 보빈(320)에 완전히 감긴 후 서포트부(500)의 조작으로 낙하되는 이송체(10)의 외측 배출을 안내하기 위해 배출안내부재(600)를 구비한다.
상기 배출안내부재(600)는 프레임(100)의 하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낙하되는 이송체(10)를 작업자가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프레임(100)의 가장자리로 안내함과 더불어 낙하되는 이송체(10)의 높이를 최소화하여 운동에너지를 줄임으로써 낙하에 따라 이송체(10)의 변형이나 파손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구성을 갖는 자동권취기는 이송안내단계(S10), 클램핑단계(S20), 권취단계(S30), 낙하방지단계(S40), 클램핑해제단계(S50) 및 배출단계(S60)를 순서대로 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안내단계(S10)는 플렉시블한 이송체(10)를 이송하며, 이송되는 상태를 감지하는 공정이다.
특히, 이 단계(S10)는 프레임(100)에 형성된 가이드부(200)를 통해 행해진다.
더욱 상세히, 상기 가이드부(200)는 프레임(100)에 형성된 브라켓(210), 이 브라켓(2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강제 또는 자연 이송되는 이송체(10)를 이송 안내하는 가이드롤러(220), 상기 가이드롤러(220)에 연결 또는 장착되어 가이드롤러(220)의 회전과 회전속도를 감지함으로써 이 후 과정인 권취단계(S30)에 이송체(10)의 이송속도를 신호화하여 전송하는 회전감지부재(230) 및 상기 브라켓(210)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감지부재(230)를 통과한 이송체(10)의 이송여부를 감지하여 권취단계(S30)에서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도록 제어하는 이송감지부재(240)로 이루어져 이송체(10)의 이송 안내 및 이송 상태 감지를 수행한다.
상기 권취단계(S30)는 가이드부(200)에서의 이송체(10) 이송 감지 신호와 이송 속도를 전달받아 해당 이송 속도에 맞는 회전속도로 보빈(320)을 회전시키며 이송체(10)를 권취하는 공정이다.
이 단계(S30)는 프레임(100)에 형성된 권취부(300)를 통해 행해진다.
더욱 상세히, 상기 권취부(300)는 프레임(100)에 형성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회전전동부재(310) 및 상기 회전전동부재(31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이송체(10)를 감는 보빈(320)으로 이루어져 회전감지부재(230)에 의해 전송되는 이송체(10)의 이송 속도에 따라 보빈(320)의 회전 속도 조절 및 이송감지부재(240)의 이송체(10) 이송 신호 발생에 의해 회전전동부재(310)와 보빈(320)의 회전이 제어된다.
특히, 상기 권취단계(S30) 직전에는 클램핑단계(S20)가 행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클램핑단계(S20)는 초기에 보빈(320)에 접하는 이송체(10)의 단부를 보빈(320) 내부로 삽입하고 나서 빠지지 않도록 클램핑하는 공정이다.
이 단계(S20)는 보빈(320) 내측에 형성된 클램핑부(400)를 통해 행해진다.
더욱 상세히, 상기 클램핑부(400)는 보빈(320)의 내측에 형성된 리브(410), 상기 리브(410)에 형성되어 보빈(320)의 내측면 방향으로 전진과 보빈(320)의 중심방향으로 후진하는 가압부재(420) 및 상기 가압부재(420)의 끝단에 형성되어 가압부재(420)의 전진 작동으로 회전 직전의 상태인 보빈(320)의 내부로 삽입된 이송체(10)를 보빈(320) 내측면에 눌러 가압함으로써 이송체(10)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압편(430)으로 이루어져 보빈(320) 둘레면에 초기 감김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낙하방지단계(S40)는 가이드부(200)에서 신호 발생시까지 회전되는 보빈(320)에 이송체(10)를 권취시 서포트부(500)를 조작하여 이송체(10)의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보빈(320)으로부터의 이송체(10) 낙하를 방지하는 공정이다.
이 단계(S40)는 서포트부(500)를 통해 행해진다.
더욱 상세히, 상기 서포트부(500)는 보빈(320)의 내측에 힌지 가능하게 형성된 하우징(510), 외부 조작시 하우징(510)의 내·외부로 출입되는 샤프트(520) 및 상기 보빈(320)에 힌지 연결되어 이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시소운동하며 일단을 샤프트(520)에 연결되어 보빈(320)의 회전과 동시에 샤프트(520)의 전진시 타단이 들어올려지며 보빈(320)에 감기는 이송체(10)를 지지함과 아울러 보빈(320)의 회전 정지와 동시에 샤프트(520)의 후진시 타단이 내려지며 이송체(10)의 자연 낙하를 유도하는 서포트바(530)로 이루어진다.
특히, 이 단계(S40)는 서포트바(530)로써 이송체(10)의 하측을 지지하는 공 정이다.
그리고, 상기 클램핑해제단계(S50)는 가이드부(200)의 회전감지부재(230)와 이송감지부재(240)의 신호 미발생과 더불어 보빈(320)의 정지시 보빈(320)에 삽입되어 가압편(430)에 눌린 이송체(10)의 낙하를 위해 이탈되도록 클램핑부(400)의 가압부재(420)를 후진 작동하는 공정이다.
여기서, 상기 보빈(320)은 삽입된 이송체(10)가 가이드부(200)로부터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소정 역회전됨으로써 이송체(10)를 쉽게 이탈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배출단계(S60)는 이송체(10)의 완전 통과로 인해 가이드부(200)의 회전감지부재(230)와 이송감지부재(240)의 이송 신호 미발생과 동시에 보빈(320)의 정지시 서포트부(500)를 재조작하여 감긴 이송체(10)를 낙하 유도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공정이다.
특히, 이 단계(S60)는 서포트바(530)의 타단을 내려 이송체(10)의 자연 낙하를 유도하도록 하는 공정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권취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권취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권취기의 횡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권취기에 구비된 클램핑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작동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권취기에 구비된 서포트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권취기의 작동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프레임 200: 가이드부
210: 브라켓 220: 가이드롤러
230: 회전감지부재 240: 이송감지부재
300: 권취부 310: 회전전동부재
320: 보빈 400: 클램핑부
410: 리브 420: 가압부재
430: 가압편 500: 서포트부
510: 하우징 520: 샤프트
530: 서포트바 600: 배출안내부재
Claims (13)
- 플렉시블한 이송체의 유입을 안내하며, 유입상태를 검출하는 가이드부; 및상기 가이드부에서 상기 이송체의 공급상태를 검출시 작동하면서 상기 이송체를 감는 권취부를 포함하고,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권취부는 상기 이송체의 권취를 위한 설치공간을 줄이기 위해 프레임에 형성되며,상기 가이드부는,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브라켓;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이송되는 상기 이송체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 및상기 가이드롤러에 연결 또는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롤러의 회전과 회전속도를 인식하게 되고, 해당 신호를 상기 권취부에 전송하는 회전감지부재를 포함하고,상기 권취부는,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회전전동부재; 및상기 회전전동부재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이송체를 둘레면에 감는 보빈을 포함하며,상기 프레임은 상기 보빈에 완전히 감긴 후 외부 조작에 의해 낙하되는 상기 이송체의 외측 배출을 안내하기 위해 배출안내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권취기.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브라켓은 상기 가이드롤러를 통과한 상기 이송체의 이송을 실시간으로 감지시 상기 권취부의 작동 유지 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상기 이송체의 이송상태를 미감지시 상기 권취부의 작동 중지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이송감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권취기.
-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상기 브라켓은 상기 이송체의 직진이송을 안내하기 위해 가이드채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권취기.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보빈은 내·외측으로 연통되도록 둘레면에 삽입홀을 통공하고;상기 이송체는 상기 보빈에 감기는 초기에 단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며;상기 보빈은 클램핑부를 구비하여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기 이송체를 잡아 감김을 유도함과 아울러 완전히 감긴 상기 이송체의 낙하시 간섭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권취기.
- 제 8항에 있어서,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보빈의 내측에 형성된 리브;상기 리브에 형성되어 외부 조작에 의해 전·후진 작동하는 가압부재; 및상기 가압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재와 함께 전진하며 상기 삽입홀에 비스듬하게 삽입된 상기 이송체를 상기 보빈의 내측면에 접한 상태로 가압하여 클램핑하고, 상기 가압부재와 함께 후진하며 상기 이송체를 놓아주는 가압편으로 이루 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권취기.
- 제 1항, 제 8항 및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보빈은 둘레면에 감긴 상기 이송체의 하향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둘레면에 완전히 감긴 상기 이송체를 하향 이탈시 간섭을 방지하도록 서포트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권취기.
- 제 10항에 있어서,상기 서포트부는 상기 보빈의 내측면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된 하우징;외부 조작시 상기 하우징에 출입 가능하게 형성된 샤프트; 및상기 샤프트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보빈의 내측면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샤프트의 전·후진시 상기 보빈과의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상기 이송체의 하측을 지지하거나 낙하하는 상기 이송체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서포트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권취기.
- 이송되는 플렉시블한 이송체를 가이드부를 통해 감지함과 아울러 이송안내하는 단계;상기 가이드부에서의 상기 이송체 이송 감지 신호와 이송 속도를 전달받아 해당 이송 속도와 맞게 회전되는 보빈에 상기 이송체를 권취하는 단계;상기 가이드부에서 신호 발생시까지 회전되는 상기 보빈에 상기 이송체를 권취시 서포트부를 조작하여 상기 이송체의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보빈으로부터의 상기 이송체 낙하를 방지하는 단계; 및상기 이송체의 완전 통과로 인해 상기 가이드부에서 이송 신호 미발생과 동시에 상기 보빈의 정지시 상기 서포트부를 재조작하여 감긴 상기 이송체를 낙하 유도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이송체를 이송 안내하는 단계와 상기 이송체를 권취하는 단계 사이에는 정지 상태인 상기 보빈에 접하는 상기 이송체의 단부를 상기 보빈 내부로 삽입하고 나서 빠지지 않도록 클램핑하는 단계가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권취기의 작동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가이드부의 신호 미발생시 상기 이송체를 배출하는 단계 직전에는 상기 이송체의 단부를 클램핑 해제하는 단계가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권취기의 작동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7569A KR100956146B1 (ko) | 2008-01-24 | 2008-01-24 | 자동권취기 및 자동권취기의 작동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7569A KR100956146B1 (ko) | 2008-01-24 | 2008-01-24 | 자동권취기 및 자동권취기의 작동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81608A KR20090081608A (ko) | 2009-07-29 |
KR100956146B1 true KR100956146B1 (ko) | 2010-05-06 |
Family
ID=41292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07569A KR100956146B1 (ko) | 2008-01-24 | 2008-01-24 | 자동권취기 및 자동권취기의 작동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5614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6319B1 (ko) * | 2015-04-09 | 2017-01-16 | 주식회사 골드텔 | 광케이블 자동배출 권선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3050Y2 (ja) * | 1989-08-11 | 1995-05-31 | 宮崎鉄工株式会社 | 線材巻取機 |
JPH07257883A (ja) * | 1994-03-23 | 1995-10-09 | Nippon Bisoo Kk | ワインダのワイヤ抜け止め装置 |
KR20030005742A (ko) * | 2001-07-10 | 2003-01-23 | 강훈철 | 권취장치 |
-
2008
- 2008-01-24 KR KR1020080007569A patent/KR10095614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3050Y2 (ja) * | 1989-08-11 | 1995-05-31 | 宮崎鉄工株式会社 | 線材巻取機 |
JPH07257883A (ja) * | 1994-03-23 | 1995-10-09 | Nippon Bisoo Kk | ワインダのワイヤ抜け止め装置 |
KR20030005742A (ko) * | 2001-07-10 | 2003-01-23 | 강훈철 | 권취장치 |
KR100407765B1 (ko) * | 2001-07-10 | 2003-12-03 | 강훈철 | 권취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81608A (ko) | 2009-07-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800380B (zh) | 一种导线打包机 | |
CN104494893B (zh) | 一种导爆管全自动绕把机 | |
CN114212601B (zh) | 一种钢绞线自动分卷装置及钢绞线自动分卷方法 | |
CN101168419B (zh) | 预处理纱管以便在自动交叉卷绕络筒机上复绕的方法和装置 | |
EP2072440B1 (en) | Unwinding assist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unwinding assisting device | |
CN105057968B (zh) | 全自动电容包胶纸机 | |
CN109518321A (zh) | 一种细纱管自动上下料装置及其控制方法 | |
CN110281011B (zh) | 一种自动化生产设备 | |
KR100956146B1 (ko) | 자동권취기 및 자동권취기의 작동방법 | |
CN208948572U (zh) | 一种可自动抓纱的络筒机 | |
CN109399328A (zh) | 一种细纱管表面残纱自动清理装置 | |
US20090242683A1 (en) | Automatic fast winding machine | |
JP4727996B2 (ja) | ラベル貼付装置 | |
CN208948573U (zh) | 一种用于络筒机的自动抓纱装置 | |
KR20000074214A (ko) | 와이어 연속 권취장치 | |
KR20170074306A (ko) | 스트립 권취 장치 | |
JP5357201B2 (ja) | ラベル貼付装置 | |
TW201511904A (zh) | 線鋸及引線進行之工件之切斷方法 | |
CN212488214U (zh) | 一种夹层卷材成卷机器人 | |
CN109626133B (zh) | 一种水平复绕机 | |
CN204769975U (zh) | 导向管正反方位检测及调整装置 | |
EP2669229B1 (en) | Package discharging device and yarn winding machine | |
CN206383567U (zh) | 编织袋分割装置 | |
CN211045276U (zh) | 一种带检测的自动钉卷机拉箔装置 | |
CN109019171A (zh) | 一种用于络筒机的自动抓纱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