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794B1 - 차량용 도어 래치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래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794B1
KR100448794B1 KR10-2002-0017366A KR20020017366A KR100448794B1 KR 100448794 B1 KR100448794 B1 KR 100448794B1 KR 20020017366 A KR20020017366 A KR 20020017366A KR 100448794 B1 KR100448794 B1 KR 100448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coupled
rod
lev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7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8365A (ko
Inventor
김항묵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7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794B1/ko
Publication of KR20030078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8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7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12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록과 도어 래치가 샤프트에 의해 직접 연결되는 구조로, 도어 래치 내에 록 로드를 연결하고, 도어 록에 연결된 샤프트와 결합되는 벨 크랭크에 록 로드를 직접 연결 결합할 목적으로;
다수의 결합공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12)가 수직으로 결합 형성되어 있는 도어래치 바디(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 우측 상단에 수직으로 고정 결합되는 고정 플레이트(14)와; 정면단에 도어 록(17)과 연결된 샤프트(17-1)가 수평으로 결합되도록 샤프트 결합 홈(16-1)이 형성되어 있고, 후면단에 상기 고정 플레이트(14) 상부에 형성된 결합공(14-1)에 회동 가능하도록 돌기(16-2)에 의해 결합되어, 도어래치 록 설정 및 해제시 상기 도어 록(17)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동되는 벨 크랭크(16)와; 일단이 상기 벨 크랭크(16)와 클립(18)으로 결합되어 상기 볼 크랭크(16) 회동에 따라 상, 하로 회동되도록 타단에 안내장공(20-1)이 형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2) 좌측 하단으로 굴곡(┎┚)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는 록 로드(20)와; 제1 연장로드(22-1)에 형성된 가이드 봉(22-2)이 상기 록 로드(20) 안내장공(20-1)과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에 배면에 축설된 돌기(미도시)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록 로드(20)의 회동에 연동되는 록 레버(22)와; 중앙에 결합부재(24-1)로 베이스 플레이트(12)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연결로드(24-2)가 상기 록 레버(22)의 제2 연결로드(22-2)에 형성된 결합공(22-3)에 결합되며, 제2 연장로드(24-3)에 형성된 결합공(24-4)에 인사이드클립(24-5)이 결합되어 상기 록 레버(22)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는 인사이드 록 레버(24)와; 액츄에이터(미도시)가 도어래치 바디 내에 결합 구비되어 그 축이 도어래치 바디(10)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서, 그 액츄에이터 축(28)에 결합되고, 가이드 봉(26-1)이 상기 록 레버(24) 제3 연장로드(24-6)에 형성된 안내장공(26-7)에 결합되어, 상기 록 레버(24)의 회동에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미도시)를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 레버(26)로 구비되어 이루어져 있어서, 도어 록 및 언 록에 따른 동작 성능이 향상되고, 록 로드가 도어 래치 내에 굴곡 구비되어 있어 별도의 록 로드 조립이 필요치 않아 조립 공정이 축소되며, 상기 록 로드가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 차량 도난 발생여지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정비시, 도어 트림의 탈거 없이 도어 록 탈착이 가능하므로 정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래치 구조{door latch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래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록과 도어래치가 직결된 구조로 도어 록의 회전에 의해 도어래치의 벨 크랭크가 회전하여 도어래치를 해제시키는 차량용 도어래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특히 소형차에 있어서, 프론트 도어 래치(Latch)는 도어 록(Door Lock)과 도어래치(Door Latch)를 록 로드(Look Rod)로 연결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a, 도 1b는 종래 차량용 프런트 도어 래치 구조를 보인 개략도로서, 프런트 도어 섀시에 볼팅 결합되어 있는 도어 록(122)의 도어 록 레버(122-1)와 일단이 클립(122-2)으로 결합되어 그 도어 록(122)에 삽입되어 운전자의 인위적인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키(미도시)의 회전상태에 연동하여 상, 하 운동하는 록 로드(120)와; 상기 록 로드(120)의 타단에 형성된 안내장공(120-1)에 제 1 연장 로드(104-1)가 결합되어 상기 록 로드(120)의 상, 하 운동에 연동하여 상, 하로 회동하는 록 레버(104)와; 상기 록 레버(104)의 제2 연장로드(104-2)에 제1 연장로드(118-1)가 결합되어 있어, 상기 록 레버(104)의 상, 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되는 인사이드 록 레버(118)와; 상기 인사이드 록 레버(118)의 제2 연장로드(118-2)에 형성된 안내장공(118-3)에 결합되어 상기 인사이드 록 레버(118)의 상, 하 회동에 연동됨으로써, 액츄에이터(미도시)를 구동시켜 도어래치를 록 설정 또는 록 해제시키는 액츄에이터 레버(11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인사이드 록 레버(118)의 제3 연장로드(118-4)에 형성된 결합공(118-5)은 인사이드 록 헨들 레버(미도시)와 케이블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액츄에이터 레버(116)는 도어래치 바디(100) 내에 결합되어 있는 액츄에이터 축(117)에 결합공이 축설되어 있다.
상기 도어 래치 바디(100)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2)가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2)에 록 레버(104)가 결합되어 록 로드(120)의 상, 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한다.
그리고, 하단에 안내장공(110-1)이 형성된 컨트롤 레버(110)가 상기 록 레버(104)의 제3 연결로드(104-3)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컨넥션 레버(106)에 간섭이 용이하도록 절곡부(110-3)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단에는 결합부재(108)로 아웃사이드 오픈 레버(112)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에서 컨넥션 레버(106)는 그 중앙이 결합부재(106-1)로 베이스 플레이트(102)와 결합되고, 제1 연결로드(106-2)가 컨트롤 레버(110)의 절곡부(110-3)와 접촉되어 있다.
상기 아웃사이드 오픈 레버(112)는 도어래치 바디(100)와 베이스 플레이트(102) 사이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그 중앙에 결합부재(112-1)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02)와 도어래치 바디(10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에서 아웃사이드 오프레버(112)의 타단의 일부분이 인사이드 오픈레버(114)의 일단에 의해 간섭이 용이하도록 절곡되어 있다.
상기에서 인사이드 오픈 레버(114)는 그 중앙이 베이스 플레이트(102)에 결합부재(114-1)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그 타단에 형성된 결합공(114-2)에는 케이블(미도시)에 의해 아웃사이드 헨드 레버(미도시) 및 인사이드 헨드 레버(미도시)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래치가 언 록 상태에서 사용자가 아웃사이드 헨들 레버(미도시) 또는 인사이드 헨드 레버(미도시)를 조작하면, 인사이드 오프레버(114)의 타단이 아웃사이드 헨드 레버(미도시) 및 인사이드 헨드 레버(미도시) 방향으로 케이블(미도시)에 의해 당겨져, 그 일단이 상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아웃사이드 오픈 레버(112)의 타단은 상기 인사이드 오픈 레버(114)의 일단에 간섭받아 그 타단이 상향 이동되고, 그 일단은 하향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아웃사이드 오픈 레버(112)와 결합부재(108)로 결합되어 있는 컨트롤 레버(110)가 하향 이동되면서, 컨넥션 레버(106)의 제1 연결로드(106-2)를 간섭하여 하향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컨넥션 레버(106)의 제2 연결로드(106-3)에 결합된 도어 오픈 레버(미도시)를 밀어주어 도어가 열리게 된다.
하지만, 언 록(unlock) 상태의 도어래치를 사용자가 키(미도시)를 이용하여 도어 록(122)을 좌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도어 록(122)과 결합되어 있는 도어 록 레버(120)에 클립(122-2)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록 로드(120)가 상기 도어 록(122)의 회동에 따라 하(下)향 회동되고, 상기 록 로드(120)의 안내장공(120-1)에 결합되어 있는 록 레버(104)의 제1 연장로드(104-1)가 상기 록 로드(120)를 따라 하(下)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록 레버(104)의 제3 연장로드(104-3)와 결합되어 있는 컨트롤 레버(110)를 상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아웃 사이트 헨드 레버(미도시) 또는 인사이드 헨드 레버(미도시)를 작동하여도 컨넥션 레버(106)의 제1 연결로드(106-2)를 간섭하지 못하고 헛돌게됨으로써, 도어가 열리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 도어래치의 록 상태가 이루어짐에 따라 액츄에이터(미도시)가 구동되어, 상기 액츄에이터(미도시)와 연결되어 있는 다른 도어에 구비된 액츄에이터(미도시)들도 동일하게 구동됨으로써, 다른 도어에 구비된 도어래치들도 록 상태가 설정 및 해제된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차량용 도어래치 구조는 도어 록의 로터 회전에 의해 도어 록 레버가 회전하고, 상기 도어 록 레버에 클립으로 결합되어 있는 록 로드가 움직여 도어래치를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도어 록을 도어래치에 직결시키는 구조의 적용이 불가능하며, 록 로드 조립 작업시 공간 부족으로 조립 작업이 어렵고, 록 로드가 노출되어 있어 차량 도난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 록과 도어 래치가 샤프트에 의해 직접 연결되는 구조로, 도어 래치 내에 록 로드를 연결하고, 도어 록에 연결된 샤프트와 결합되는 벨 크랭크에 록 로드를 직접 연결하여 도어 록 회전시, 도어 래치가 록 해제 또는 록 설정 될 수 있는 차량용 도어래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 차량용 도어래치를 보인 결합 사시도 이고,
도 1b는 종래 차량용 도어래치에서 도어 록 부분 배면도 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 결합 사시도 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 결합 배면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에서 도어 록이 결합되는 결합 부분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의 결합 중앙 부분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의 결합 하부 부분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며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 결합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도어래치 바디 12 : 베이스 플레이트
14 : 고정 브라켓 16 : 벨 크랭크
17 : 도어 록 17 -1 : 샤프트
18 : 클립 20 : 록 로드
22 : 록 레버 24 : 인사이드 록 레버
26 : 액츄에이터 레버 28 : 액츄에이터 축
30 : 컨트롤 레버 32 : 컨넥션 레버
34 : 결합부재 36 : 아웃사이드 오픈 레버
38 : 인사이드 오픈 레버 40 : 클립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결합공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12)가 수직으로 결합 형성되어 있는 도어래치 바디(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 우측 상단에 수직으로 고정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14)와; 정면단에 도어 록(16-1)과 연결된 샤프트(16-2)가 수평으로 결합되도록 샤프트 결합 홈이 형성되어 있고, 후면단에 상기 고정 브라켓(14) 상부에 형성된 결합공(14-1)에 회동 가능하도록 돌기(16-2)에 의해 결합되어, 도어래치 해제시 상기 도어 록(16-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동되는 볼 크랭크(16)와; 일단이 상기 볼 크랭크(16)와 클립(18)으로 결합되어 상기 볼 크랭크(16) 회동에 따라 상, 하로 회동되도록 타단에 안내장공(20-1)이 형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2) 좌측 하단으로 굴곡(┎┚)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는 록 로드(20)와; 제1 연장로드(22-1)에 축설된 가이드 봉(22-2)이 상기 록 로드(20) 안내장공(20-1)과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에 배면에 축설된 돌기(미도시)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록 로드(20)의 회동에 연동되는 록 레버(22)와; 중앙에 결합부재(24-1)로 베이스 플레이트(12)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연결로드(24-2)가 상기 록 레버(22)의 제2 연결로드(22-2)에 형성된 결합공(22-3)에 결합되며, 제2 연장로드(24-3)에 형성된 결합공(24-4)에 인사이드 클립(24-5)이 결합되어 상기 록 레버(22)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는 인사이드 록 레버(24)와; 액츄에이터(미도시)가 도어래치 바디 내에 결합 구비되어 그 축이 도어래치 바디(10)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서, 그 액츄에이터 축(28)에 축설되고, 가이드 봉(26-1)이 상기 록 레버(24) 제3 연장로드(24-6)에 형성된 안내장공(26-7)에 결합되어, 상기 록 레버(24)의 회동에 따라 상, 하로 연동 하므로 상기 액츄에이터(미도시)를 구동시켜 도어래치를 록 설정 또는 록 해제시키는 액츄에이터 레버(26)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 결합 사시도 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 결합 배면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에서 도어 록이 결합되는 결합 부분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의 결합 중앙 부분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의 결합 하부 부분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며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 결합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는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결합공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12)가 수직으로 결합 형성되어 있는 도어래치 바디(10)를 구비한 다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 우측 상단에 수직으로 고정 브라켓(14)이 결합된다.
상기에서, 고정 브라켓(14)은 도 2b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하단에 형성된 결합 홈(14-1)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 우측 상단에 형성된 결합 홈(12-1)에 결합부재(예 : 리벳)로 고정 결합된다.
벨 크랭크(16)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2) 우측 상단에 결합된 고정 브라켓(14) 정면단에 도어 록(17)과 연결된 샤프트(17-1)가 수평으로 결합되도록 샤프트 결합 홈(16-1)이 형성되어 있고, 후면단에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브라켓(14) 상부에 형성된 결합공(14-1)에 회동 가능하도록 돌기(16-2)가 결합되어, 도어래치 록 해제 또는 록 설정시 상기 도어 록(17)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동되도록 결합된다.
이어서, 도 2a에 도시되어 있듯이 록 로드(20)는 상기 벨 크랭크(16)에 일단이 클립(18)으로 결합되며, 상기 벨 크랭크(16) 회동에 따라 상, 하로 회동되도록 타단에 안내장공(20-1)이 형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2) 좌측 하단으로 굴곡을 이루어 록 레버(22)와 결합된다.
상기에서 록 레버(2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바와 같이 제1 연장로드(22-1)에 형성된 가이드 봉(22-2)이 상기 록 로드(20) 안내장공(20-1)과 결합되고,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에 배면에 축설된 돌기(미도시)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록 로드(20)의 회동에 연동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록 레버(22)에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사이드 록 레버(24)가 결합되는데, 상기 인사이드 록 레버(24)는 그 중앙에 결합부재(24-1)로 베이스 플레이트(12)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연결로드(24-2)가 상기 록 레버(22)의 제2 연결로드(22-2)에 형성된 결합공(22-3)에 결합되며, 제2 연장로드(24-3)에 형성된 결합공(24-4)에 인사이드 클립(24-5)이 결합되어, 상기 록 레버(22)의 회동에 따라 연동된다.
상기 인사이드 록 레버(24)의 제3 연장로드(24-6)에 형성된 안내장공(24-7)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가이드 봉(26-1)으로 결합되는 액츄에이터레버(26)가 도어래치 바디(10)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액츄에이터 축(28)에 축설되어 있어, 상기 록 레버(24)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액츄에이터 축(28)을 회동시킨다.
상기 액츄에이터 축(28)은 도어래치 바디(10) 내측에 결합 구비되는 액츄에이터(미도시)와 직결되어 있어, 상기 액츄에이터 레버(26)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어 도어래치를 록 설정 또는 록 해제시킨다.
또한, 상기 인사이드 록 레버(24)의 제2 연장로드(24-3)에 형성된 결합공(24-4)에 결합되는 인사이드 클립(24-5)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차량 실내측 도어에 구비된 인사이드 록 헨들 레버(미도시)와 케이블(미도시)로 연결되며, 상기 인사이드 록 헨들 레버(미도시)의 회동에 따라 상기 인사이드 록 레버(24)가 연동되어 액츄에이터 레버(26)를 회동시켜, 액츄에이터(미도시)를 회동시켜 도어래치 록 해제 및 록 설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록 레버(22)의 제3 연결로드(22-3)에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하단에 안내장공(30-1)이 형성된 컨트롤 레버(30)가 수직으로 결합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컨넥션 레버(32)로 간섭이 용이하도록 절곡부(30-2)가 내접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단에는 결합부재(34)로 아웃사이드 오픈 레버(36)의 일단이 결합된다.
상기에서 컨넥션 레버(32)는 그 중앙이 결합부재(30-1)로 베이스 플레이트(12)와 결합되고, 컨넥션 레버(32)의 제1 연결로드(32-2)가 컨트롤 레버(30)의 절곡부(30-2)와 접촉된다.
상기 아웃사이드 오픈 레버(36)는 도어래치 바디(10)와 베이스 플레이트(12) 사이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그 중앙에 결합부재(36-1)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2)와 도어래치 바디(1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에서 아웃사이드 오프 레버(36)의 타단(36-2)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인사이드 오픈 레버(38)의 일단에 의해 간섭이 용이하도록 절곡되어 있다.
상기에서 인사이드 오픈 레버(38)는 그 중앙이 베이스 플레이트(12)에 결합부재(38-1)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그 타단에 형성된 결합공(38-2)에는 클립(40)이 결합되어 있어 상기 클립(40)에 케이블(미도시)이 연결되어 아웃사이드 헨드 레버(미도시) 및 인사이드 헨드 레버(미도시)와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차량용 도어래치 구조의 동작관계를 설명하면, 언 록(unlock) 상태의 도어래치를 사용자가 키(미도시)를 이용하여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도어 록(17)을 좌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도어 록(17)과 샤프트(17-1)로 연결 결합되어 있는 벨 크랭크(16)가 좌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벨 크랭크(16)에 클립(18)으로 결합되어 있는 록 로드(20)가 상향으로 수평 이동된다.
상기에서 록 로드(20)가 수평 이동됨에 따라, 상기 록 로드(20)의 하단에 형성된 안내장공(20-1)에 결합되어 있는 록 레버(22)의 제1 연장로드(22-1)가 상기 록 로드(20)를 따라 상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록 레버(22)의 제3 연장로드(22-3)와 결합되어 있는 컨트롤 레버(30)를 상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아웃 사이트 헨드 레버(미도시) 또는 인사이드 헨드 레버(미도시)를 작동하여도 컨넥션 레버(32)의 제1 연결로드(32-2)를 간섭하지 못하고 헛돌게됨으로써, 도어래치가 록이 설정되어 도어가 열리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록 레버(22)의 제1 연장로드(22-1)가 상기 록 로드(20)를 따라 상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제2 연장로드(22-1)가 하향 이동하여 인사이드 록 레버(24)의 제1 연결로드(24-2)를 하향 이동시킨다.
상기에서 인사이드 록 레버(24)의 제1 연결로드(24-2)가 하향 이동됨에 따라, 상기 인사이드 록 레버(24)의 제3 연결로드(24-4)에 결합되는 액츄에이터 레버(26)가 상기 인사이드 록 레버(24)의 제3 연결로드(24-4)를 따라 상향으로 이동되면서, 액츄에이터(미도시)를 구동시킨다.
따라서, 상기에서 액츄에이터(미도시)가 액츄에이터 레버(26)의 회동에 따라 구동됨으로써, 상기 액츄에이터(미도시)와 결합되어 있는 다른 도어에 구비된 액츄에이터(미도시)들도 구동되어 도어래치를 록 상태로 설정한다.
상기와 같이 도어래치의 록 상태가 설정된 상태를 해제하는 방법은 운전자의 키 조작에 따른 도어 록이 우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도어래치 록 설정상태와 반대로 모든 작동요소들이 반대로 이동되어 도어래치의 록 상태가 언 록 상태로 해제된다.
따라서, 도어래치가 언 록 상태에서 사용자가 아웃사이드 헨드 레버(미도시) 또는 인사이드 헨드 레버(미도시)를 조작하면, 인사이드 오프레버(38)의 타단이 아웃사이드 헨드 레버(미도시) 및 인사이드 헨드 레버(미도시) 방향으로 케이블(미도시)에 의해 당겨져, 그 일단이 상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아웃사이드 오픈 레버(36)의 절곡된 타단은 상기 인사이드 오픈레버(38)의 일단에 간섭받아 그 타단이 상향 이동되고, 그 일단은 하향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아웃사이드 오픈 레버(36)와 결합부재(34)로 결합되어 있는 컨트롤 레버(30)가 하향 이동되면서, 그 중앙에 절곡된 절곡부(30-2)가 컨넥션 레버(32)의 제1 연결로드(32-2)를 간섭하여 하향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컨넥션 레버(32)의 제2 연결로드(32-3)에 결합된 도어 오픈 레버(미도시)를 밀어주어 도어가 열리게 된다.
이로써, 도어 록과 도어 래치가 직접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도어 록 및 언 록에 따른 동작 성능이 향상되고, 록 로드가 도어 래치 내에 굴곡 구비되어 있어 별도의 록 로드 조립이 필요치 않아 조립 공정이 축소되며, 상기 록 로드가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 차량 도난 발생여지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정비시, 도어 트림의 탈거 없이 도어 록 탈착이 가능하므로 정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 록과 도어 래치가 샤프트에 의해 직접 연결되는 구조로, 도어 래치 내에 록 로드를 연결하고, 도어 록에 연결된 샤프트와 결합되는 벨 크랭크에 록 로드를 직접 연결 결합됨으로써, 도어 록 및 언 록에 따른 동작 성능이 향상되고, 록 로드가 도어 래치 내에 굴곡 구비되어 있어 별도의 록 로드 조립이 필요치 않아 조립 공정이 축소되며, 상기 록 로드가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 차량 도난 발생여지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정비시, 도어 트림의 탈거 없이 도어 록 탈착이 가능하므로 정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2)

  1. 다수의 결합공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12)가 수직으로 결합 형성되어 있는 도어래치 바디(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 우측 상단에 수직으로 고정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14)와; 정면단에 도어 록(17)과 연결된 샤프트(17-1)가 수평으로 결합되도록 샤프트 결합 홈(16-1)이 형성되어 있고, 후면단에 상기 고정 브라켓(14) 상부에 형성된 결합공(14-1)에 회동 가능하도록 돌기(16-2)에 의해 결합되어, 도어래치 록 설정 및 해제시 상기 도어 록(17)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동되는 벨 크랭크(16)와; 일단이 상기 벨 크랭크(16)와 클립(18)으로 결합되어 상기 볼 크랭크(16) 회동에 따라 상, 하로 회동되도록 타단에 안내장공(20-1)이 형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2) 좌측 하단으로 굴곡(┎┚)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는 록 로드(20)와; 제1 연장로드(22-1)에 형성된 가이드 봉(22-2)이 상기 록 로드(20) 안내장공(20-1)과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에 배면에 축설된 돌기(미도시)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록 로드(20)의 회동에 연동되는 록 레버(22)와; 중앙에 결합부재(24-1)로 베이스 플레이트(12)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연결로드(24-2)가 상기 록 레버(22)의 제2 연결로드(22-2)에 형성된 결합공(22-3)에 결합되며, 제2 연장로드(24-3)에 형성된 결합공(24-4)에 인사이드 클립(24-5)이 결합되어 상기 록 레버(22)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는 인사이드 록 레버(24)와; 액츄에이터(미도시)가 도어래치 바디 내에 결합 구비되어 그 축이 도어래치 바디(10)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서, 그 액츄에이터 축(28)에 결합되고, 가이드 봉(26-1)이 상기 록 레버(24) 제3 연장로드(24-6)에 형성된 안내장공(26-7)에 결합되어, 상기 록 레버(24)의 회동에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 레버(26)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래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고정 브라켓(14)은, 하단에 형성된 결합 홈(14-1)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 우측 상단에 형성된 결합 홈(12-1)에 결합부재로 압착 고정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래치 구조.
KR10-2002-0017366A 2002-03-29 2002-03-29 차량용 도어 래치 구조 KR100448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366A KR100448794B1 (ko) 2002-03-29 2002-03-29 차량용 도어 래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366A KR100448794B1 (ko) 2002-03-29 2002-03-29 차량용 도어 래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365A KR20030078365A (ko) 2003-10-08
KR100448794B1 true KR100448794B1 (ko) 2004-09-16

Family

ID=32377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7366A KR100448794B1 (ko) 2002-03-29 2002-03-29 차량용 도어 래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7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593B1 (ko) * 2005-09-14 2006-1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테일 게이트 래치 도난작동방지장치
KR100656600B1 (ko) * 2005-10-11 2006-12-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키 샤프트와 키 레버의 연결구조
KR100728417B1 (ko) * 2006-02-15 2007-06-13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잼 방지용 프론트 도어래치
KR100853908B1 (ko) * 2006-12-28 2008-08-25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인터럽팅 기능을 갖는 파워 클로징 도어 래치
CN103276957A (zh) * 2013-06-09 2013-09-04 无锡忻润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车门锁连杆旋转可调式接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3329A (ja) * 1992-12-24 1994-07-12 Mazda Motor Corp 車両のドアハンドル装置
JPH08266350A (ja) * 1995-03-31 1996-10-15 Okamura Corp キャビネットのロック装置
US5619874A (en) * 1994-09-07 1997-04-15 Fort Lock Corporation Handle lock for safe doors and the like
WO2000006859A1 (en) * 1998-07-29 2000-02-10 Atoma International Corp. Vehicle door lock with improved anti-theft features
JP2001262901A (ja) * 2000-03-15 2001-09-26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用ドアの施錠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3329A (ja) * 1992-12-24 1994-07-12 Mazda Motor Corp 車両のドアハンドル装置
US5619874A (en) * 1994-09-07 1997-04-15 Fort Lock Corporation Handle lock for safe doors and the like
JPH08266350A (ja) * 1995-03-31 1996-10-15 Okamura Corp キャビネットのロック装置
WO2000006859A1 (en) * 1998-07-29 2000-02-10 Atoma International Corp. Vehicle door lock with improved anti-theft features
JP2001262901A (ja) * 2000-03-15 2001-09-26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用ドアの施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365A (ko) 200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2929B1 (en) Multipoint mortise lock
JP4196617B2 (ja) ドアロック装置
US7243960B2 (en) Double action mechanism of vehicle door latch device
JPH02104879A (ja) 車両のドアロック装置
JP2000345751A (ja) ブロック式アンチセフト機構付車両ドアラッチ装置
KR20010101465A (ko) 모르티스 록크용 레버 핸들 제어기
KR100448794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구조
JP3438095B2 (ja) 自動車用のテールゲートロッキング装置
KR100569859B1 (ko) 레버형 도어록
JP3301003B2 (ja) 車両用ドアのハンドル装置
KR19990078921A (ko) 자동차용 도어래치 어셈블리
US3582120A (en) Cargo door latching mechanism
KR200263875Y1 (ko) 도어래치 연결장치
JP3035252B2 (ja) 引き出し回転型クレモンロック装置
CA2139991A1 (en) Panic exit door mechanism
CN217841248U (zh) 锁扣装置
KR101962436B1 (ko) 클러치 구조를 갖는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
JP4961622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CN220319335U (zh) 一种房车锁的内开总成
KR100466239B1 (ko) 일체형의 테일게이트 및 플립업 글래스 연결구조
CN220226543U (zh) 一种小巧且便于操作的电子房车锁
JP3954814B2 (ja) 車両ドアロック装置
CN220691337U (zh) 一种具有锁扣机构的机箱
JP3310962B2 (ja) ブロック式アンチセフト機構付車両ドアラッチ装置
CN103899162B (zh) 门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