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9859B1 - 레버형 도어록 - Google Patents

레버형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9859B1
KR100569859B1 KR1020030088008A KR20030088008A KR100569859B1 KR 100569859 B1 KR100569859 B1 KR 100569859B1 KR 1020030088008 A KR1020030088008 A KR 1020030088008A KR 20030088008 A KR20030088008 A KR 20030088008A KR 100569859 B1 KR100569859 B1 KR 100569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lever
ratchet
dead bolt
typ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8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7762A (ko
Inventor
김종수
박경숙
Original Assignee
김종수
박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수, 박경숙 filed Critical 김종수
Priority to KR1020030088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9859B1/ko
Publication of KR20030097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7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05B15/102Bolts having movab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Abstract

본 발명은 레버(Lever)나 노브(Knob) 또는 그립(Grip) 등과 같은 각종 래칫작동수단의 조작에 의한 승강슬라이더의 승강작동에 따라 래칫을 수평방향으로 출몰시킬 수 있도록 한 레버형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슬라이더의 승강작동에 따라 힌지식으로 각운동하는 회전링크를 원호상의 연결링크에 의하여 래칫이 결합되는 슬라이드판과 연결시킴으로서, 래칫작동수단의 최소 조작반경내에서 래칫이 요구되는 슬라이드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개폐장치를 이루는 부품과 그 결합구조를 더욱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레버형 도어록의 부품제작 및 그 조립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단축시켜 제조단가를 큰 폭으로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레버형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키홀을 구비하는 데드볼트 캠의 선단에는 영구자석인 마그네트 핀을 일체로 돌출 형성시켜 상기 마그네트 핀이 데드볼트의 슬라이드판에 형성된 "ㅅ"자 형태의 조작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공을 따라 그 회전이동 및 자력에 의한 위치고정이 가능하도록 한 잠금장치를 상기 개폐장치와 함께 설치함으로서, 도어의 잠금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별도의 스프링수단이나 지지수단을 부가적으로 설치하지 않더라도 잠금장치에 의한 도어의 잠금상태를 마그네트 핀만으로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레버형 도어록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다 더 단순화시킴과 동시에 그 조립의 편의성을 극대화시켜 레버형 도어록의 제조단가 절감에 보다 더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레버형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레버형 도어록, 데드볼트, 래칫, 잠금장치, 개폐장치

Description

레버형 도어록{Lever type door-rock}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레버형 도어록의 잠금장치 작동상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레버형 도어록의 개폐장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레버형 도어록의 잠금장치 작동상태도.
도 7a 및 도 7b는 도 5에 도시된 레버형 도어록의 개폐장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레버형 도어록 2 : 도어록 케이스 3 : 케이스 플레이트
4,32b : 슬라이드공 5 : 캠공 6 : 삽입공
7 : 절개부 8 : 레버 8a : 작동캠
9 : 푸싱플레이트 10,30 : 잠금장치 11,31 : 데드볼트
12,22,32 : 슬라이드판 13,33 : 데드볼트 핀 14,34 : 데드볼트 캠
15,35 : 키홀 16,16' : 지지핀 17,27 : 토션스프링
18,38 : 스페이서 20 : 개폐장치 21 : 래칫
23 : 래칫핀 24 : 승강슬라이더 24a : 가이드공
24b : 바닥판 25 : 회전링크 25a : 힌지핀
25b : 경사안내턱 26 : 연결링크 26a : 연결핀
26b : 링크핀 32a : 조작공 36 : 캠레버
37 : 마그네트 핀 39 : 가이드핀
본 발명은 레버(Lever)나 노브(Knob) 또는 그립(Grip) 등과 같은 각종 래칫작동수단의 조작에 의한 승강슬라이더의 승강작동에 따라 래칫을 수평방향으로 출몰시킬 수 있도록 한 레버형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슬라이더의 승강작동에 따라 힌지식으로 각운동하는 회전링크를 원호상의 연결링크에 의하여 래칫이 결합되는 슬라이드판과 연결시킴으로서, 래칫작동수단의 최소 조작반경내에서 래칫이 요구되는 슬라이드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개폐장치를 이루는 부품과 그 결합구조를 더욱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레버형 도어록의 부품제작 및 그 조립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단축시켜 제조단가를 큰 폭으로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레버형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키홀을 구비하는 데드볼트 캠의 선단에는 영구자석인 마그네트 핀을 일체로 돌출 형성시켜 상기 마그네트 핀이 데드볼트의 슬라이드판에 형성된 "ㅅ"자 형태의 조작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공을 따라 그 회전이동 및 자력에 의한 위치고정이 가능하도록 한 잠금장치를 상기 개폐장치와 함께 설치함으로서, 도어의 잠금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별도의 스프링수단이나 지지수단을 부가적으로 설치하지 않더라도 잠금장치에 의한 도어의 잠금상태를 마그네트 핀만으로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레버형 도어록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다 더 단순화시킴과 동시에 그 조립의 편의성을 극대화시켜 레버형 도어록의 제조단가 절감에 보다 더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레버형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선실도어나 아파트의 현관문과 같은 각종 도어에 설치되는 레버형 도어록은 열쇠를 이용하여 데드볼트를 출몰시킴으로서 도어의 잠금상태를 선택적으로 조작하는 도어의 잠금장치와, 도어가 잠겨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레버나 노브 또는 그립 등과 같은 각종 래칫작동수단을 이용하여 래칫을 출몰시킴으로서 도어를 통한 상시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개폐장치가 사각형태로 이루어지는 도어록 케이스의 내부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레버형 도어록의 개폐장치는 래칫을 출몰시키기 위한 구조에 따라 크게 2가지의 메카니즘으로 분류되는 데, 그 중 하나는 래칫작동수단의 회전축에 래칫의 슬라이드판과 직접 연결되는 구동레버가 설치되어 래칫작동수단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구동레버가 회전하면서 그 회전방향으로 래칫을 수평 이동시키도록 한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래칫작동수단의 조작에 따라 승강슬라이더가 상부로 밀려남과 동시에 승강슬라이더의 일측에 연결된 경사형 캠부가 래칫이 결합된 슬라이드판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래칫 개폐장치 중 후자에 해당하는 개폐장치의 경우 레버나 노브 또는 그립과 같은 래칫작동수단의 조작에 의하여 승강슬라이더가 상부로 경사지게 밀려남으로서, 승강슬라이더를 상부로 밀어주는 조작지점에 따라 래칫작동수단에 의한 승강슬라이더의 승강범위, 다시 말해서 래칫의 수평이동범위가 달라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래칫작동수단의 설치위치 및 그 작동에 따른 스토퍼의 위치설정이 매우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레버형 도어록의 설치나 그 사용중에 래칫작동수단의 위치가 조금이라도 어긋나게 될 경우에는 래칫이 요구되는 슬라이드 작동을 수행하지 못하여 도어의 개폐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래칫작동수단을 무리하게 회전시킬 경우에는 개폐장치 및 도어록에 쉽게 손상이 가기 때문에 도어록의 내구성에도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게 됨은 물론 사용자에게도 불쾌감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승강슬라이더의 중앙에 래칫작동수단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개구형 캠부를 형성시킴과 동시에 승강슬라이더의 상부 일측에는 S자형 링크의 머리부가 걸리는 캠부가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S자형 링크는 그 머리부가 도어록 케이스에 고정되는 축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그 하단부에 래칫의 슬라이드판에 결합된 가이드 부시가 걸리도록 하며, 상기 가이드부시의 양단부가 도어록 케이스에 형성된 가이드공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서, 래칫작동수단의 회전에 따라 승강슬라이더가 수직방향으로 상승됨과 동시에 S형 링크가 축핀을 중심으로 힌지식으로 회전하면서 슬라이드판의 가이드 부시를 밀어내게 되고, 이로 인하여 래칫이 결합된 슬라이드 판이 가이드공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 되도록 한 도어록용 래칫작동장치가 1997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45668호(출원일자 1997년 12월 29일)로 출원되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래칫작동장치는 레버나 노브 또는 그립 등과 같은 각종 래칫작동수단의 회전에 따라 승강슬라이더가 수직방향으로 밀려남으로서 승강슬라이더의 어느 지점을 밀어올리더라도 래칫이 요구되는 슬라이드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장점은 있으나, 래칫작동수단의 회전축이 잠금장치의 데드볼트 캠과 상관없이 회전할 수 있도록 승강슬라이더의 중앙에 개구형 캠부를 형성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승강슬라이더의 승강작동을 래칫의 수평이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S형 링크를 사용함으로서, 래칫작동장치를 이루는 부품이 복잡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그 부품의 제작에 따른 시간과 비용의 상승으로 레버형 도어록의 전체적인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레버형 도어록의 조립시에도 S형 링크의 머리부가 축핀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그 머리부가 승강슬라이더의 상단 캠부에 걸리도록 함과 동시에 그 하단부가 래칫의 슬라이드판 하측에 설치된 가이드 부시에 걸리도록 선조립한 다음, 그 상부를 통하여 데드볼트의 슬라이드판과 데드볼트캠을 적층식으로 포개어 놓고 해당 위치에 토션스프링을 연결하는 작업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래칫작동장치와 함께 잠금장치를 설치하는 레버형 도어록의 전체적인 조립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레버형 도어록의 제조에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게 됨으로서 레버형 도어록의 단가상승을 더욱 부추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레버형 도어록은 승강슬라이더의 승강작동에 따라 힌지식으로 각운동하는 회전링크를 원호상의 연결링크에 의하여 래칫이 결합되는 슬라이드판과 연결시킴으로서, 래칫작동수단의 최소 조작반경내에서 래칫이 요구되는 슬라이드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개폐장치를 이루는 부품과 그 결합구조를 더욱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레버형 도어록의 부품제작 및 그 조립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단축시켜 제조단가를 큰 폭으로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버형 도어록은 키홀을 구비하는 데드볼트 캠의 선단에는 영구자석인 마그네트 핀을 일체로 돌출 형성시켜 상기 마그네트 핀이 데드볼트의 슬라이드판에 형성된 "ㅅ"자 형태의 조작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공을 따라 그 회전이동 및 자력에 의한 위치고정이 가능하도록 한 잠금장치를 상기 개폐장치와 함께 설치함으로서, 도어의 잠금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별도의 스프링수단이나 지지수단을 부가적으로 설치하지 않더라도 잠금장치에 의한 도어의 잠금상태를 마그네트 핀만으로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레버형 도어록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다 더 단순화시킴과 동시에 그 조립의 편의성을 극대화시켜 레버형 도어록의 제조단가 절감에 보다 더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록 케이스의 전방면에는 케이스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록 케이스의 내부에는 키홀이 형성된 데드볼트 캠의 회전에 따라 케이스 플레이트를 통하여 데드볼트를 출몰시키는 도어의 잠금장치와, 래칫작동수단의 조작에 따른 승강슬라이더의 상하이동으로 케이스 플레이트를 통하여 래칫을 출몰시키는 도어의 개폐장치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데드볼트 캠의 머리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공이 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도어록 케이스의 하측 절개부를 통하여 노출되는 바닥판이 절곡 형성되는 승강슬라이더와, 상기 승강슬라이더의 바닥판 상부에 위치하는 몸체의 후방측에 경사안내턱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경사안내턱이 형성된 몸체측에 도어록 케이스를 통하여 삽입되는 힌지핀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상부로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링크와, 상기 회전링크의 경사안내턱에 그 일단이 지지되고, 그 타단이 도어록 케이스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회전링크의 힌지식 회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토션스프링과, 상기 승강슬라이더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래칫이 결합되는 슬라이드판을 상기 회전링크와 연결시키기 위한 원호상의 연결링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잠금장치는 그 몸체의 선단에 데드볼트가 결합되는 슬라이드판의 중앙에 승강슬라이더의 이동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삽입되고, 슬라이드판의 몸체 후방에는 "ㅅ"자 형태의 조작공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슬라이더의 가이드공에 그 머리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데드볼트 캠의 캠레버 선단에는 상기 슬라이드판의 조작공을 통하여 삽입되는 마그네트 핀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레버형 도어록의 잠금장치 작동상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레버형 도어록의 개폐장치 작동상태도로서,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중 미설명된 부호 14a는 데드볼트 캠의 걸림홈, 17a 및 27a는 토션스프링의 지지핀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각 형태의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도어록 케이스(2)의 전방면에는 케이스 플레이트(3)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록 케이스(2)의 내부에는 열쇠에 의하여 도어의 잠금상태를 선택적으로 조작시키기 위한 도어의 잠금장치(10)와, 레버나 노브 또는 그립과 같은 각종 래칫작동수단에 의하여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장치(20)가 상하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잠금장치(10)는 레버형 도어록(1)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것으로서, 케이스 플레이트(3)를 통하여 출몰되는 데드볼트(11)가 데드볼트 핀(13)에 의하여 슬라이드판(12)의 선단에 결합되어 있고, 그 슬라이드 판(12)의 후방측에는 데드볼트 캠(14)의 회전을 단속하는 한 쌍의 지지핀(16)(16')이 슬라이드판(12)과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데드볼트 캠(14)의 회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그 일단이 데드볼트 캠(14)의 몸체 선단부와 연결되고 그 타단이 도어록 케이스(2)의 지지핀(17a)과 연결되는 토션스프링(1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데드볼트 캠(14)은 열쇠의 키홀(15)을 구비하는 머리부가 도어록 케이스(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그 상부로 연장되는 몸체가 상기 한 쌍의 지지핀(16)(16') 사이로 삽입되어 데드볼트 캠(14)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판(12)이 지지핀(16)(16')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데드볼트 캠(14)의 몸체 선단부에는 토션스프링(17)과 함께 도어의 잠금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걸림홈(14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부를 이루는 상기 개폐장치(20)는 케이스 플레이트(3)를 통하여 출몰되는 래칫(21)이 래칫핀(23)에 의하여 슬라이드판(22)의 선단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판(22)의 후방측에는 데드볼트 캠(14)의 머리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장공 형태의 가이드공(24a)이 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도어록 케이스(2)의 하측을 통하여 노출되는 바닥판(24b)이 절곡 형성되는 승강슬라이더(24)가 슬라이드판(22)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슬라이더(24)의 상단부가 데드볼트(11)의 슬라이드판(12) 하측을 통하여 삽입될 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데드볼트(11)의 슬라이드판(12) 중앙부에는 간격유지구의 역할을 하는 스페이서(Spacer)(18)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강슬라이더(24)의 바닥판(24b) 상면에는 삼각 형태의 몸체를 가지는 회전링크(25)가 위치하는 데, 상기 회전링크(25)는 그 몸체의 후방측에 경사안내턱(25b)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그 경사안내턱(25b)이 돌출되는 몸체의 후방 꼭지점 부분에 도어록 케이스(2)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핀(25a)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링크(25)가 힌지핀(25a)을 중심으로 도면상 상부로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링크(25)의 힌지식 회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그 일단이 회전링크(25)의 경사안내턱(25b)에 지지되고 그 타단이 도어록 케이스(2)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토션스프링(27)이 도어록 케이스(2)에 고정된 지지핀(27a)에 삽입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링크(25)의 상단 꼭지점 부분과 래칫(21)이 결합되는 상기 슬라이드판(22)의 후단부 사이에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링크(26)가 설치되는 데, 상기 연결링크(26)는 슬라이드판(22)의 상면으로 겹쳐지는 그 선단부가 연결핀(26a)에 의하여 슬라이드판(22)과 연결되고, 회전링크(25)의 상면으로 겹쳐지는 그 후단부가 링크핀(26b)에 의하여 회전링크(25)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핀(26a)은 그 하단부가 연결링크(26)와 슬라이드판(22)을 관통하여 도어록 케이스(2)에 형성된 장공 형태의 슬라이드 공(4)으로 삽입되고, 상기 링크핀(26b)은 연결링크(26)와 회전링크(25)만을 그 상대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최초 도 1에 도시되어 있던 도어의 잠금해제 상태에서 데드볼트 캠(14)의 키홀(15)을 통하여 열쇠를 삽입시킨 다음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열쇠를 회전시키게 되면,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데드볼트 캠(14)이 그 머리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데드볼트 캠(14)의 몸체가 전방측의 지지핀(16')을 밀어냄과 동시에 슬라이드판(12)이 데드볼트(11)와 함께 전방으로 밀려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방측 지지핀(16')이 데드볼트 캠(14)의 선단 걸림홈(14a)에 걸림과 동시에 데드볼트(11)가 케이스 플레이트(3)를 통하여 완전히 돌출되는 도어의 잠금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도어의 잠금상태는 지지핀(16')를 전방으로 밀고 있는 토션스프링(17)의 탄성력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이와 같은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데드볼트 캠(14)의 키홀(15)에 열쇠를 다시 삽입하여 잠금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열쇠를 회전시키게 되면, 도 2b에 도시된 상태에서 데드볼트 캠(14)이 토션스프링(17)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데드볼트 캠(14)의 몸체가 후방측의 지지핀(16)을 밀어냄으로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데드볼트(11)가 슬라이드판(12)과 함께 도어록 케이스(2)의 내부로 완전히 들어간 잠김해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잠금장치(10)의 작동과정에서 데드볼트 캠(14)의 머리부가 승강슬라이더(24)의 가이드공(24a)을 통하여 도어록 케이스(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데드볼트(11)의 슬라이드판(12) 또한 스페이서(18)에 의하여 승강슬라이더(24)와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요부를 이루는 개폐장치(20)와 상관없이 잠금장치(10)의 작동이 가능하게 되며,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라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잠금장치(10) 이 외에도 레버형 도어록에 적용되는 다른 여러 가지 형태의 잠금장치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요부를 이루는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최초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도어의 닫힘상태에서 레버(8)를 하부로 누르게 되면,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레버(8)의 회전축에 설치된 작동캠(8a)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어의 내부에 설치된 푸싱플레이트(9)를 상승시키게 되고 이 로 인하여 푸싱플레이트(9)가 승강슬라이더(24)의 바닥판(24b)을 상부로 밀어내게 되는 데, 이 경우 데드볼트 캠(14)의 머리부가 승강슬라이더(24)의 가이드핀 역할을 하게 될 뿐만 아니라, 스페이서(18)에 의하여 데드볼트(11)의 슬라이드판(12) 하측에 승강슬라이더(24)의 승강작동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어 있으므로, 레버(8)의 회전에 따라 승강슬라이더(24)가 그 가이드공(24a)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상승된다.
이와 동시에, 승강슬라이더(24)의 바닥판(24b)에 설치된 회전링크(25)가 힌지핀(25a)을 중심으로 상부로 각운동하면서 원호상의 연결링크(26)를 후방측으로 당기게 되는 데, 상기 회전링크(25)가 링크핀(26b)에 의하여 연결링크(26)와의 상대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회전링크(25)의 힌지식 회전이 원호상의 연결링크(26)에 의하여 그 선단 연결핀(26a)에 접선방향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연결핀(26a)에 의하여 연결링크(26)와 연결된 래칫(21)의 슬라이드판(22)이 연결링크(26)와 함께 가이드공(4)을 따라 후방측으로 수평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레버(8)의 회전에 따른 승강슬라이더(24)의 승강작동, 즉 레버(8)에 의한 래칫(21)의 슬라이딩 작동이 계속되면,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결링크(26)의 후방측이 회전링크(25)의 경사안내턱(25b) 상부로 안내되어 연결링크(26)가 후방측으로 최대한 당겨지게 됨과 동시에 래칫(21)이 케이스 플레이트(3)의 내부로 완전히 들어가게 됨으로서 도어를 열 수 있는 개방상태가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를 닫고 레버(8)를 놓게 되면, 회전링크(25)를 누르고 있는 토션스프링(27)의 탄성력에 의하여 회전링크(25)와 연결링크(26) 및 래칫(21) 이 결합된 슬라이드판(22)이 도 3b와 도 3a에 도시된 상태를 거쳐 도 1에 도시된 최초의 상태로 복원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은 래칫(21)의 개폐장치(20)를 이루는 승강슬라이더(24)가 데드볼트 캠(14)의 머리부를 따라 항상 수직방향으로 상승하게 됨으로서, 승강슬라이더(24)의 바닥판(24b) 어느 지점으로 승강슬라이더(24)를 밀어올리더라도 래칫(21)이 요구되는 슬라이드 작동을 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레버(8)나 노브 또는 그립 등과 같은 각종 래칫작동수단에 의한 도어의 개폐작동을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냄과 동시에 도어록의 내구성과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폐장치(20)를 이루는 승강슬라이더(24)와 회전링크(25) 및 연결링크(26)가 비교적 단순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각 부품의 제조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됨으로서 레버형 도어록(1)의 제조단가 절감에 1차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승강슬라이더(24)의 상단부를 데드볼트(11)의 슬라이드판(12) 하측으로 삽입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잠금장치(10)와 개폐장치(20)의 조립이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됨과 동시에 승강슬라이더(24)의 바닥판(24b)에 회전링크(25)를 올려 놓은 다음, 회전링크(25)와 래칫(21)의 슬라이드판(22)을 연결링크(26)에 의하여 연결시키기만 하면 개폐장치(20)의 조립이 간단하게 완료됨으로서, 레버형 도어록(1)의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시켜 레버형 도어록(1)의 제조단가를 큰 폭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레버형 도어록의 잠금장치 작동상태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도 5에 도시된 레버형 도어록의 개폐장치 작동상태도이며,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 중 미설명 된 부호 3a 및 3b는 데드볼트와 래칫의 출몰공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은 그 잠금장치의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폐장치(20)와 함께 설치되는 잠금장치를 중심으로 그 구성 및 작용관계를 설명하기로 하며,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폐장치(20)의 구성이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난 것에 비하여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폐장치(20)의 설명중 도 1 내지 도 3에서 누락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잠금장치는 도 4 및 도 5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록 케이스(2)의 전방면에 설치된 케이스 플레이트(3)의 출몰공(3a)을 통하여 출몰되는 데드볼트(31)가 데드볼트 핀(33)에 의하여 슬라이드판(32)의 선단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판(32)의 몸체 후방측에는 "ㅅ"자 형태를 가지는 조작공(32a)과 장공 형태의 슬라이드공(32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판(32)의 몸체 중앙부에는 도어록 케이스(2)의 내부에서 슬라이드판(32)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승강슬라이더(24)의 이동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스페이서(38)가 양측으로 끼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공(32b)에는 도어록 케이스(2)에 설치된 가이드핀(39)이 삽입되어 상기 스페이서(38)와 함께 슬라이드판(32)의 전후방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조작공(32a)은 데드볼트 캠(36)의 작동에 의하여 데드볼트(31)를 출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데드볼트 캠(3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키홀(35)을 구비하는 머리부가 승강슬라이더(24)의 가이드공(24a)을 통하여 도어록 케이스(2)에 형성된 캠공(5)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으며, 그 머리부의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캠레버(36)의 일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드판(32)의 조작공(32a)을 통하여 삽입되는 영구자석으로서의 마그네트 핀(37)이 데드볼트 캠(34)과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장치(2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설명되어진 것과 마찬가지로 래칫(21)이 결합되는 슬라이드판(22)과 승강슬라이더(24)의 바닥판(24b)에 위치하는 회전링크(25)가 연결링크(26)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데, 도 4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승강슬라이더(24)의 가이드공(24a)이 도어록 케이스(2)의 캠공(5)과 연통되어 데드볼트 캠(34)의 머리부가 가이드공(24a)과 캠공(5)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데, 승강슬라이더(24)가 도어록 케이스(2)와 밀착될 경우 장공 형태의 가이드공(24a) 상부와 캠공(5)의 하부가 서로 겹쳐지면서 데드볼트 캠(34)의 머리부가 삽입 및 지지될 수 있는 원형의 구멍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승강슬라이더(24)의 바닥판(24b)은 도어록 케이스(2)의 하측에 형성된 절개부(7)로 삽입됨으로서 도어록 케이스(2)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다.
또한, 래칫(21)의 슬라이드판(22)과 회전링크(26)의 연결부는 상기 슬라이드판(22)이 도어록 케이스(2)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스페이서의 역할을 하는 연결핀(26a)이 삽입된 상태에서 그 연결핀(26a)의 선단부에 상기 연결링크(26)의 전방측 연결구멍이 삽입되는 것이고, 상기 연결링크(26)와 회전링크(25)의 연결부 또한 연결링크(26)의 후방측 연결구멍과 회전링크(25)의 상단 꼭지점에 형성된 연결구멍이 서로 연통되어 각각의 연결구멍으로 링크핀(26b)이 삽입됨으로서 연결링크(26)와 회전링크(25)가 상대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링크(25)가 힌지핀(25a)을 중심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은, 경사안내턱(25b)이 돌출된 회전링크(25)의 후방 꼭지점 부분에 한 쌍의 힌지핀(25a)이 양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핀(25a)이 도어록 케이스(2)에 형성된 삽입공(6)을 통하여 삽입됨으로서, 상기 회전링크(25)가 그 힌지핀(25a)을 중심으로 상부로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회전링크(25)의 힌지식 회전이 경사안내턱(25b)에 그 일단이 지지되는 상기 토션스프링(27)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잠금장치(30)에 대한 작용관계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최초 데드볼트 캠(34)의 선단에 돌출 형성된 영구자석으로서의 마그네트 핀(37)이 그 자력에 의하여 슬라이드판(32)에 형성된 "ㅅ"자 형태의 조작공(32a) 후방측에 걸림 고정됨으로서 데드볼트(31)가 케이스 플레이트(3)를 통하여 도어록 케이스(2)의 내부로 들어간 잠금해제 상태에서는, 마그네트 핀(37)으로부터 발생하는 자력에 의하여 마그네트 핀(37)이 조작공(32a)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드판(32)상에 부착 고정되기 때문에, 데드볼트 캠(34)을 인위적으로 회전시키지 않는다는 조건하에서는 마그네트 핀(37)이 조작공(32a)에 걸림 고정된 잠금해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잠금해제 상태에서 데드볼트 캠(34)의 키홀(35)을 통하여 열쇠를 삽입시킨 다음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열쇠를 회전시키게 되면, 도 6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데드볼트 캠(34)이 그 머리부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데드볼트 캠(34)의 상단 마그네트 핀(37)이 슬라이드판(32)에 형성된 "ㅅ"자 형태의 조작공(32a)을 따라 상부측으로 회전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판(32)이 가이드핀(39)을 따라 데드볼트(31)와 함께 전방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열쇠의 조작에 따른 데드볼트 캠(34)의 회전작동, 다시 말해서 데드볼트(31)에 의한 도어의 잠금조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게 되면,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데드볼트 캠(34)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완전히 회전됨과 동시에, 그 선단에 돌출 형성된 영구자석으로서의 마그네트 핀(37)이 슬라이드판(32)의 조작공(32a) 전방측에 걸림 고정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슬라이드판(32)이 데드볼트(31)와 함께 가이드핀(39)을 따라 전방측으로 최대한 밀려나게 됨으로서 데드볼트(31)가 케이스 플레이트(3)를 통하여 도어록 케이스(2)의 외부로 완전하게 돌출되는 도어의 잠금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도어의 잠금상태는 영구자석으로서의 마그네트 핀(37)이 그 자체의 자력에 의하여 슬라이드판(32)의 조작공(32a) 전방측에 부착되는 식으로 걸림 고정되기 때문에 열쇠에 의하여 데드볼트 캠(34)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는 한 도어의 잠금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이와 같은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6b에 도시된 도어의 잠금상태에서 데드볼트 캠(34)의 키홀(35)을 통하여 열쇠를 삽입시킨 다음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열쇠를 회전시키게 되면, 데드볼트 캠(34)이 열쇠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서, 도 6b 및 도 6a에 도시된 상태를 거쳐 도 5에 도시된 잠금해제 상태로 복원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7a 및 도 7b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에 설치되는 개폐장치(20)의 작동상태를 도시하였나, 개폐장치(20) 자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작용관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이미 상세하게 기재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의 개폐장치에 대한 작용관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은 키홀(35)을 구비하는 데드볼트 캠(34)의 선단부에 영구자석인 마그네트 핀(37)을 일체로 돌출 형성시켜 상기 마그네트 핀(37)이 데드볼트(31)의 슬라이드판(32)에 형성된 "ㅅ"자형 조작공(32a)을 따라 그 회전이동 및 자력에 의한 위치고정이 가능하도록 한 잠금장치(30)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폐장치(20)와 함께 설치함으로서, 도어의 잠금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별도의 스프링수단이나 지지수단을 부가적으로 설치하지 않더라도 잠금장치(30)에 의한 도어의 잠금상태를 마그네트 핀(37)만으로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레버형 도어록의 전체적인 구조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것보다 더욱 단순하게 이루어 낼 수 있게 됨과 동시에 그 조립의 편의성 또한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됨으로서 레버형 도어록의 제조단가 절감에 보다 더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은, 승강슬라이더의 승강작동에 따라 힌지식으로 각운동하는 회전링크를 원호상의 연결링크에 의하여 래칫이 결합되는 슬라이드판과 연결시킴으로서, 래칫작동수단의 최소 조작반경내에서 래칫이 요구되는 슬라이드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록의 내구성과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개폐장치를 이루는 부품과 그 결합구조를 더욱 단순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레버형 도어록의 부품제작 및 그 조립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단축시켜 제조단가를 큰 폭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키홀을 구비하는 데드볼트 캠의 선단부에 영구자석인 마그네트 핀을 일체로 돌출 형성시켜 상기 마그네트 핀이 데드볼트의 슬라이드판에 형성된 "ㅅ"자 형태의 조작공을 따라 그 회전이동 및 자력에 의한 위치고정이 가능하도록 한 잠금장치를 상기 개폐장치와 함께 설치함으로서, 도어의 잠금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별도의 스프링수단이나 지지수단을 부가적으로 설치하지 않더라도 잠금장치에 의한 도어의 잠금상태를 마그네트 핀만으로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하여 레버형 도어록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다 더 단순화시킴과 동시에 그 조립의 편의성을 극대화시켜 레버형 도어록의 제조단가 절감에 보다 더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도어록 케이스(2)의 전방면에는 케이스 플레이트(3)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록 케이스(2)의 내부에는 키홀이 형성된 데드볼트 캠의 회전에 따라 케이스 플레이트(3)를 통하여 데드볼트를 출몰시키는 도어의 잠금장치와, 래칫작동수단의 조작에 따른 승강슬라이더의 상하이동으로 케이스 플레이트(3)를 통하여 래칫을 출몰시키는 도어의 개폐장치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20)는 데드볼트 캠의 머리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공(24a)이 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도어록 케이스(2)의 하측 절개부(7)를 통하여 노출되는 바닥판(24b)이 절곡 형성되는 승강슬라이더(24)와,
    상기 승강슬라이더(24)의 바닥판(24b) 상부에 위치하는 몸체의 후방측에 경사안내턱(25b)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경사안내턱(25b)이 형성된 몸체측에 도어록 케이스(2)를 통하여 삽입되는 힌지핀(25a)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힌지핀(25a)을 중심으로 상부로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링크(25)와,
    상기 회전링크(25)의 경사안내턱(25b)에 그 일단이 지지되고, 그 타단이 도어록 케이스(2)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회전링크(25)의 힌지식 회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토션스프링(27)과,
    상기 승강슬라이더(24)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래칫(21)이 결합되는 슬라이드판(22)을 상기 회전링크(25)와 연결시키기 위한 원호상의 연결링크(2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형 도어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20)와 함께 설치되는 잠금장치(30)는 그 몸체의 선단에 데드볼트(31)가 결합되는 슬라이드판(32)의 중앙에 승강슬라이더(24)의 이동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스페이서(38)가 삽입되고, 슬라이드판(32)의 몸체 후방에는 "ㅅ" 형태의 조작공(32a)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슬라이더(24)의 가이드공(24a)에 그 머리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데드볼트 캠(34)의 캠레버(36) 선단에는 상기 슬라이드판(32)의 조작공(32a)을 통하여 삽입되는 마그네트 핀(37)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형 도어록.
KR1020030088008A 2003-12-05 2003-12-05 레버형 도어록 KR100569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008A KR100569859B1 (ko) 2003-12-05 2003-12-05 레버형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008A KR100569859B1 (ko) 2003-12-05 2003-12-05 레버형 도어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762A KR20030097762A (ko) 2003-12-31
KR100569859B1 true KR100569859B1 (ko) 2006-04-11

Family

ID=32389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8008A KR100569859B1 (ko) 2003-12-05 2003-12-05 레버형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98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5493A (zh) * 2018-07-28 2018-12-18 陈亚南 一种防盗式门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916B1 (ko) * 2007-01-02 2008-03-31 김종수 디지털 도어록 잠금 및 해제 장치
KR100846009B1 (ko) * 2007-03-16 2008-07-11 조현식 도어 잠금장치
KR100929435B1 (ko) * 2009-08-17 2009-12-03 (주)엔담 디지털 도어록
KR101145843B1 (ko) * 2010-03-22 2012-06-14 (주)동영산업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
KR101433093B1 (ko) * 2013-04-30 2014-08-25 주식회사 아이레보 래치볼트 고정구조체
CN114501904A (zh) * 2021-11-29 2022-05-13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机载电子设备的安装平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5493A (zh) * 2018-07-28 2018-12-18 陈亚南 一种防盗式门锁
CN109025493B (zh) * 2018-07-28 2020-03-27 宁波大拇指锁具有限公司 一种防盗式门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762A (ko) 200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6261A (en) Auxiliary computer panel to cover a disk drive access side of a computer casing
US7257973B2 (en) Chassis for a lock set
KR101012497B1 (ko) 창문 자동잠금장치
EP1797259B1 (en) Rotary pawl latch
KR20060119874A (ko) 로크다운 패들을 구비한 회전 폴 래치
CN1940244B (zh) 用于车辆的门锁装置
KR100569859B1 (ko) 레버형 도어록
KR20140148049A (ko) 모티스의 양방향 작동구조체
KR101895216B1 (ko) 도어록용 모티스
US6588810B1 (en) Closing device with selective locking
KR101467285B1 (ko) 래치볼트의 고정구조체
KR100432522B1 (ko) 볼밸브의 핸들잠금장치
JP4092770B2 (ja) 車両用ドアクローザ装置
JP4171089B2 (ja) 錠装置
KR100544963B1 (ko) 도어락 장치의 백셋
KR100404748B1 (ko) 레버형 도어록
JP4566225B2 (ja) ドア錠
KR100638082B1 (ko) 로드 플로어 래치
KR200180200Y1 (ko) 도어록용 래치작동장치
KR100699557B1 (ko) 선박 휠하우스의 슬라이드식 도어용 도어록의 잠금장치
KR100922504B1 (ko) 도어락 장치의 백셋
KR100542647B1 (ko) 모티스록 잠금장치
JP3112427U (ja) 固定具及び該固定具を用いたゲート
KR100542641B1 (ko) 모티스록 잠금장치
WO2001079638A1 (en) Compression la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