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5843B1 -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5843B1
KR101145843B1 KR1020100025426A KR20100025426A KR101145843B1 KR 101145843 B1 KR101145843 B1 KR 101145843B1 KR 1020100025426 A KR1020100025426 A KR 1020100025426A KR 20100025426 A KR20100025426 A KR 20100025426A KR 101145843 B1 KR101145843 B1 KR 101145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locking
fire door
double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6168A (ko
Inventor
조현식
Original Assignee
(주)동영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영산업 filed Critical (주)동영산업
Priority to KR1020100025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843B1/ko
Publication of KR20110106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중 잠금장치를 방화도어에 설치하는 고정 플레이트가 개구된 일면에 구비되며, 고정축에 의해 손잡이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 결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내장 장착되어 슬라이딩축의 단부에 구비된 제1락킹부에 의해 방화도어를 문틀로부터 개폐시키는 락킹수단;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내장 장착되되 상기 락킹수단의 하부에 장착되어 링크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제1링크장공이 형성되며, 방화도어와 문틀이 완전히 밀착되게 닫히도록 문틀에 삽입되는 제2락킹부가 형성된는 이중 잠금부재; 상기 케이스에 링크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회전링크, 이 제1회전링크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2회전링크 및 제2회전링크와 상기 이중 잠금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가이드축을 포함하는 링크 어셈블리; 상기 고정축에 고정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각각 상기 락킹수단과 링크 어셈블리와 연결되고, 손잡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락킹수단을 작동시키는 작동판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링크 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링크 작동부가 하부 양측에 복수개 형성된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Dual-Locking Devices For Fireproofing Door}
본 발명은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방화도어의 잠금장치를 이중 잠금장치로 구성함으로써, 방화도어의 개폐 작동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고온의 열 및 강풍에도 견디도록 제작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도어는 화재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구비된 대피소 등에 설치되는 도어로서, 평상시에는 사람의 입출입이 가능한 통상의 도어의 기능을 유지하고, 화재시에는 불길이나, 화재에 의한 유독가스 혹은 열풍 등이 대피소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평상시에도 외부의 강풍에 의해 도어가 열리게 되면 외부의 먼지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며 실내의 냉난방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기 때문에, 사람의 입출입은 자유롭게 가능하지만 강풍에 의해 강제적으로 문이 열리는 것을 방지할 필요성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방화도어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방화도어용 잠금장치는 상하 양측에는 제1힌지편(112)이 돌설되며, 고정을 위한 나사공(114)이 형성된 고정판, 일측 양단에 제1힌지편(112)에 연설되는 제2힌지편(122)이 돌설되며, 타측에는 가압에 의해 내부로 수용되며 가압이 해제되면 외부로 돌출되며, 코일 스프링(142)이 구비된 슬라이더(140)가 내설된 설치구(130)가 형성된 회동판(120) 및 고정판(110)의 제1힌지편(112)과 회동판(120)의 제2힌지편(122)에 결합되는 결합핀(160)에 설치되어, 소정압력 이상의 회동력이 가해지면 회동판(120)을 회동시키고 회동력이 해제되면 회동판(120)을 원위치시키는 탄성편(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방화도어용 잠금장치는 방화도어에 별도로 설치해야 함으로써, 방화도어의 제작 비용을 상승시키고 있음은 물론, 잠금장치의 결속력이 외부 강풍에도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평상시의 방화도어 사용시에도 별도로 잠금장치를 작동시켜야 함으로써, 도어 개폐의 작동성이 현저하게 떨어짐은 물론, 그 구성이 단조로워 내구성이 매우 떨어져 제품의 신뢰성이 낮을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화도어의 잠금장치를 이중 잠금장치로 구성함으로써, 방화도어의 개폐 작동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고온의 열 및 강풍에도 견디도록 제작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 잠금수단에 의해 방화도어와 문틀의 유격을 최소화하도록 방화도어가 문틀에 완전히 밀착되게 닫힐 수 있도록 이중 잠금장치의 결속력을 극대화함으로써, 방화시 대피소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불길, 유독가스 및 고온의 열을 동반한 강풍이 대피소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중 잠금장치를 방화도어에 설치하는 고정 플레이트가 개구된 일면에 구비되며, 고정축에 의해 손잡이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 결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내장 장착되어 슬라이딩축의 단부에 구비된 제1락킹부에 의해 방화도어를 문틀로부터 개폐시키는 락킹수단;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내장 장착되되 상기 락킹수단의 하부에 장착되어 링크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제1링크장공이 형성되며, 방화도어와 문틀이 완전히 밀착되게 닫히도록 문틀에 삽입되는 제2락킹부가 형성된는 이중 잠금부재; 상기 케이스에 링크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회전링크, 이 제1회전링크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2회전링크 및 제2회전링크와 상기 이중 잠금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가이드축을 포함하는 링크 어셈블리; 상기 고정축에 고정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각각 상기 락킹수단과 링크 어셈블리와 연결되고, 손잡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락킹수단을 작동시키는 작동판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링크 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링크 작동부가 하부 양측에 복수개 형성된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중 잠금장치에는 상기 문틀에 고정되며, 상기 락킹수단의 제1락킹부가 삽입되는 락킹홈과, 상기 이중 잠금부재의 제2락킹부가 수용되고 링크 작동에 의해 삽입되어 방화도어와 문틀이 완전 밀착되게 하는 밀착홈이 형성된 락킹패널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밀착홈에는 상기 제2락킹부가 접촉되어 하향 이동하면서 방화도어를 문틀측으로 더욱 밀착시키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밀착 유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의 작동판은 작동수단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락킹수단이 작동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락킹수단은 방화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작동수단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축; 상기 문틀에 수용되어 방화도어를 잠금설정하는 제1락킹부; 상기 슬라이딩축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락킹수단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및 상기 작동수단의 작동에 따라 슬라이딩축을 작동시키고, 락킹수단의 슬라이딩 거리를 한정시키는 스톱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중 잠금부재의 제2락킹부는 문틀에 수용되어 방화도어를 문틀측으로 밀착시키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제1회전링크에는 상기 작동수단의 링크 작동부와 접촉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동 샤프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2회전링크에는 상기 이중 잠금부재의 제1링크장공과 연통되는 제2링크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축에 의해 이중 잠금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락킹수단의 슬라이딩 가능한 범위를 한정하는 스토퍼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작동수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설치공과, 이 설치공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링크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링크 작동홀과, 상기 이중 잠금부재 및 링크 어셈블리의 링크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장공의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홀 및 상기 설치공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락킹수단이 삽입되는 요홈이 형성되어 이 락킹수단의 슬라이딩을 지지하는 지지패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방화도어의 잠금장치를 이중 잠금장치로 구성함으로써, 방화도어의 개폐 작동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고온의 열 및 강풍에도 견디도록 제작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이익창출에 이바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중 잠금수단에 의해 방화도어와 문틀의 유격을 최소화하도록 방화도어가 문틀에 완전히 밀착되게 닫힐 수 있도록 이중 잠금장치의 결속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방화시 대피소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불길, 유독가스 및 고온의 열을 동반한 강풍이 대피소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방화도어용 잠금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의 락킹패널을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의 락킹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는 내부에 이중 잠금장치가 작동되도록 내장 장착되는 케이스(110), 방화도어가 개폐되도록 하는 락킹수단(120), 방화도어가 문틀에 완전 밀착되도록 하는 이중 잠금부재(130), 손잡이(180)와 연결되어 이 손잡이(180)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락킹수단(120) 또는 이중 잠금부재(130)를 작동시키는 작동수단(140), 작동수단(140)의 작동에 따라 링크작동에 의해 이중 잠금부재(130)를 회전시키는 링크 어셈블리(150) 및 문틀에 구성되어 락킹수단(120) 및 이중 잠금부재(130)가 수용되어 방화도어가 완전히 문틀에 고정되도록 하는 락킹패널(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110)는 일측면 및 상부가 각각 개구되며 그 내부에 이중 잠금장치가 장착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으로서, 개구된 상부를 밀폐시키키기 위해 스크류 등을 통해 케이스(110)에 형성된 체결부(118)와 체결되는 밀폐 커버(112)와, 개구된 일측면에 결합되어 락킹수단(120) 및 이중 잠금부재(130)가 손잡이(180)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문틀에 고정된 락킹패널(170)에 수용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본 발명의 이중 잠금장치를 방화도어에 고정 설치하는 고정 플레이트(116)가 구비된다.
아울러, 케이스(110)의 개구된 일면에는 고정 플레이트(116)가 고정되도록 고정 플랜지(114)가 형성되어 있어서, 스크류 등을 통해 케이스(110)와 고정 플레이트(116)를 고정시킴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케이스(110)와 밀폐 커버(112)에는 손잡이(180) 및 이 손잡이(180)와 결합되는 작동수단(140)이 회전 가능하게 케이스(110)에 내장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설치공(212)이 형성된다. 또한, 이 설치공(212)의 하부에 형성되어 링크 어셈블리(150)가 링크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링크 작동홀(214)이 형성된다.
또한, 이중 잠금부재(130)가 링크 어셈블리(150)와 가이드축(160)을 매개로 연결되어 링크 어셈블리(150)의 작동에 따라 후술할 이중 잠금부재(130)의 제2락킹부(132)가 작동되도록 장공의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홀(216)이 형성된다. 아울러, 이 가이드홀(216) 역시 케이스(110)와 밀폐 커버(112)에 서로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이중 잠금부재(130) 및 링크 어셈블리(150)가 보다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설치공(212)의 상측으로 후술할 락킹수단(120)의 슬라이딩축(122)이 삽입되는 요홈이 형성되어 이 슬라이딩축(122)이 락킹수단(120)의 작동에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패널(215)이 돌출 형성되고, 슬라이딩축(122)의 슬라이딩 가능한 범위를 제공하여 락킹수단(120)의 작동 범위를 한정하는 스토퍼(218)가 형성된다.
락킹수단(120)은 이중 잠금장치의 상부에 형성되어 평상시 방화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락킹수단으로서, 작동수단(140)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축(122)과, 문틀에 고정된 락킹패널(170)에 수용되어 방화도어를 잠금설정하는 제1락킹부(124)와, 슬라이딩축(12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락킹수단(12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126) 및 작동수단(140)과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이 작동수단(140)의 작동에 따라 슬라이딩축(122)을 슬라이딩시키며, 스토퍼(218)에 의해 락킹수단(120)의 슬라이딩 거리를 한정시키는 스톱패널(12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락킹수단(120)은 슬라이딩축(122)의 단부에 형성된 스톱패널(128)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이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평상시 방화도어의 잠금상태를 설정 또는 해제하는 것으로서, 손잡이(18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만 방화도어가 열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중 잠금부재(130)는 화재시 대피소에 설치된 방화도어와 문틀 사이의 틈과 같은 유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으로서, 문틀에 고정된 락킹패널(170)에 선택적으로 수용되어 방화도어와 문틀이 완전히 밀착되게 닫힐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중 잠금부재(130)는 방화도어가 문틀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는 제2락킹부(132)와, 이중 잠금부재(130)가 케이스(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회동홀(134) 및 링크 어셈블리(150)와 링크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제1링크장공(136)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2락킹부(132)는 이중 잠금부재(130)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직진성을 가지는 직진부(132b)와, 이 직진부(132b)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며 문틀에 고정되는 락킹패널(170)의 밀착홈(174)에 수용되어 방화도어를 문틀측으로 밀착되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32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작동수단(140)은 손잡이(180)와 고정축(182)에 의해 결합되어 손잡이(180)의 회전시 이 손잡이(18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선택적으로 락킹수단(120) 및 이중 잠금부재(130)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작동수단(140)은 고정축(182)이 삽입되는 사각 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작동수단(140)의 회전시, 락킹수단(120)과 접촉하여 이 락킹수단(120)을 작동시키는 작동판(142), 작동수단(140)의 하부 양측에 각각 복수개로 형성되어 링크 어셈블리(150)의 제1회전링크(152)를 작동시키는 링크 작동부(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작동판(142)은 작동수단(140)에 형성된 고정돌기(244)에 고정되는 고정홈(242)이 형성되고, 작동수단(140)에 형성된 고정축(182)이 삽입되는 사각 형상의 홈과 동일축 선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작동판(142)의 일면에는 작동수단(140)의 회전시, 락킹수단(120)의 스톱패널(128)과 접촉하여 이 스톱패널(128)을 가압함으로써, 락킹수단(120)이 작동되도록 하는 가압돌기(246)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링크 작동부(144)는 작동수단(140)의 하부 양측에 소정의 간격을 지닌채로 각각 형성되되 작동수단(140)과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후술할 링크 어셈블리(150)의 구동 샤프트(252)를 작동수단(140)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가압하여 작동수단(140)의 회전력을 링크 어셈블리(150)로 전달하도록 한다.
링크 어셈블리(150)는 케이스(110)에 형성된 링크 작동홀(214)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회전링크(152), 제1회전링크(152)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2회전링크(154), 제2회전링크(154)와 이중 잠금부재(13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가이드축(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회전링크(152)는 케이스(110)에 형성된 링크 작동홀(214)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일단이 작동수단(140)의 링크 작동부(144)가 접촉되어 이 작동수단(14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회전링크(152)를 회전시키는 구동 샤프트(252)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1회전링크(152)는 구동 샤프트(252)의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에 각각 연결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 구비된다. 즉, 제2회전링크(154)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링크 작동부(144)가 이격된 상태의 제1회전링크(152)의 내측으로 수용되면서 구동 샤프트(252)와 접촉하여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된다.
제2회전링크(154)는 그 일단이 제1회전링크(152)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이 제1회전링크(152)의 타단 즉, 구동 샤프트(252)로부터 대응되는 위치이며 케이스(110)의 링크 작동홀(214)과 동축선상에 구비되어 제1회전링크(152)와 결합된다.
이러한 제2회전링크(154)의 타단에는 이중 잠금부재(130)에 형성된 제1링크장공(136)과 연통되는 제2링크장공(156)이 형성되고, 이 제1링크장공(136) 및 제2링크장공(156)을 연결하는 가이드축(16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링크 어셈블리(150)는 작동수단(140)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 작동되는 것으로서, 이 작동수단(140)이 회전하면서 구동 샤프트(252)와 접촉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면, 링크 어셈블리(150)의 제1회전링크(152)가 회전하면서 제2회전링크(154)를 링크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제2회전링크(154)의 일단에 가이드축(160)에 의해 연결된 이중 잠금부재(130)가 링크 작동되면서 케이스(110)의 외측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문틀에 고정된 락킹패널(170)의 밀착홈(174)에 수용되어 방화도어와 문틀이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고, 더불어 방화도어를 이중으로 잠금설정토록 한다.
한편, 가이드축(160)은 제2회전링크(154)와 이중 잠금부재(130)를 연결하는 매개체로서, 그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에는 케이스(110)와 밀폐 커버(112)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홀(216)에 삽입되어 제2회전링크(154)와 이중 잠금부재(130)가 이 가이드홀(216)을 따라 작동되도록 하는 가이드 돌기(162)가 돌출 형성된다.
아울러, 제2회전링크(154)의 일측 단부에는 복원돌기(256)가 형성되고, 이 복원돌기(256)에 의해 압축되는 복원 스프링(190)이 제2회전링크(154)의 일측에 구비되되, 케이스(110)에 고정되어 있어서, 링크 작동시 복원 스프링(190)의 복원력을 통해 제2회전링크(154)의 작동을 보조함으로써,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도 이중 잠금부재(13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락킹패널(170)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에 방화도어가 완전히 밀착되게 밀폐되도록 이중 잠금장치의 락킹수단(120) 및 이중 잠금부재(130)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중 잠금장치의 락킹수단(120)에 구비된 제1락킹부(124)가 수용되어 방화도어가 잠금 상태률 유지하도록 하는 락킹홈(172) 및 이중 잠금부재(130)의 제2락킹부(132)가 수용되며, 방화도어와 문틀 사이의 틈이 발생되지 않게 이 방화도어가 문틀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홈(174)이 형성된다.
여기서, 밀착홈(174)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잠금부재(130)의 제2락킹부(132)에 형성된 경사부(132a)와 동일한 경사로 이루어진 밀착 유도부(274)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중 잠금부재(130)가 작동할 때, 이 밀착 유도부(274)의 경사각을 따라 이동하면서 방화도어를 문틀측으로 더욱 밀착시켜 방화도어와 문틀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즉, 제2락킹부(132)가 밀착홈(174)에 수용되면서 제2락킹부(132)에 형성된 경사부(132a)와 밀착홈(174)에 형성된 밀착 유도부(274)가 최초로 접촉하게 되고, 이후, 제2락킹부(132)는 링크 작동이 계속 진행되면서 경사부(132a)가 밀착 유도부(274)를 따라 하향 이동하면서 밀착홈(174)에 더욱 깊숙하게 삽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방화도어는 제2락킹부(132)에 형성된 경사부(132a)의 직경의 변화, 다시말해 밀착홈(174)의 밀착 유도부(274)에 최초 접촉했을 때 경사부(132a)의 직경보다 제2락킹부(132)가 밀착홈(174)에 더 삽입이 이루어지면서 하향 이동할 때 경사부(132a)의 직경이 더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 제2락킹부(132)가 밀착 유도부(274)를 따라 하향 이동하면서 방화도어를 문틀측으로 잡아 당기면서 문틀과 방화도어 사이에 발생된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8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손잡이(180)와 고정축(182)을 통해 연결된 작동수단(140)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작동수단(140)의 상부에 구성된 작동판(142)의 가압돌기(246)가 락킹수단(120)의 스톱패널(128)을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락킹수단(120)의 제1락킹부(124)가 케이스(110)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방화도어의 잠금설정이 해제되는 것이다.
한편, 손잡이(180)의 시계방향 회전시, 작동수단(140)의 회전력이 이중 잠금부재(130)으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이중 잠금부재(130)는 해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2회전링크(154)와 이중 잠금부재(130)를 연결하는 가이드축(160)이 가이드홀(216)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손잡이(180)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수단(140)의 링크 작동부(144)와 제1회전링크(152)에 구성된 구동 샤프트(252)가 서로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수단(140)의 회전력이 구동 샤프트(252)로 전달되어 제1회전링크(152), 제2회전링크(154) 및 이중 잠금부재(130)가 순차적으로 링크 작동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 이중 잠금부재(130)의 제2락킹부(132)는 그 경사부(132a)가 락킹패널(170)의 밀착홈(174)에 형성된 밀착 유도부(272)와 접촉하면서 밀착홈(174)의 하측으로 하향 이동하면서 방화도어를 문틀측으로 밀착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제2회전링크(154)에 돌출 형성되는 복원돌기(256)가 복원 스프링(190)을 가압하면서 이 복원 스프링(190)을 압축시키게 된다.
또한, 손잡이(180)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80)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완전히 회전되면, 가이드축(160)이 가이드홀(216)의 최상단으로 이동하면서 제1회전링크(152), 제2회전링크(154) 및 이중 잠금부재(130)가 순차적으로 링크 작동이 일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이중 잠금부재(130)의 제2락킹부(132)가 락킹패널(170)에 형성된 밀착홈(174)에 완전히 삽입되는 것이다.
이때, 복원 스프링(190)의 복원력에 의해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도 이중 잠금부재(130)를 작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방화도어의 잠금장치를 이중 잠금장치로 구성함으로써, 방화도어의 개폐 작동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고온의 열 및 강풍에도 견디도록 제작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중 잠금부재(130)에 의해 방화도어와 문틀의 유격을 최소화하도록 방화도어가 문틀에 완전히 밀착되게 닫힐 수 있도록 이중 잠금장치의 결속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방화시 대피소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불길, 유독가스 및 고온의 열을 동반한 강풍이 대피소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케이스 112: 밀폐 커버
116: 고정 플레이트 120: 락킹수단
122: 슬라이딩축 124: 제1락킹부
126: 탄성체 128: 스톱패널
130: 이중 잠금수단 132: 제2락킹부
136: 제1링크장공 140: 작동수단
142: 작동판 144: 링크 작동부
150: 링크 어셈블리 152: 제1회전링크
154: 제2회전링크 156: 제2링크장공
160: 가이드축 170: 락킹패널
172: 밀착홈 180: 손잡이
182: 고정축 190: 복원 스프링

Claims (10)

  1. 이중 잠금장치를 방화도어에 설치하는 고정 플레이트(116)가 개구된 일면에 구비되며, 고정축(182)에 의해 손잡이(18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 결합된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내장 장착되어 슬라이딩축(122)의 단부에 구비된 제1락킹부(124)에 의해 방화도어를 문틀로부터 개폐시키는 락킹수단(120);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내장 장착되고, 링크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축(160)에 의해 링크 어셈블리(150)와 연결되는 제1링크장공(136)이 형성되며, 방화도어와 문틀이 완전히 밀착되게 닫히도록 문틀에 삽입되는 제2락킹부(132)가 형성된 이중 잠금부재(130);
    상기 케이스(110)의 링크 작동홀(214)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회전링크(152), 이 제1회전링크(152)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2회전링크(154) 및 제2회전링크(154)와 상기 이중 잠금부재(1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가이드축(160)을 포함하는 링크 어셈블리(150);
    상기 고정축(182)에 고정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각각 상기 락킹수단(120)과 링크 어셈블리(150)의 제1회전링크(152)와 연결되고, 손잡이(18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락킹수단(120)을 작동시키는 작동판(142)이 상부에 형성되고, 이 작동판(142)의 하부에 구성되어 상기 손잡이(18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회전링크(152)와 접촉하여 회전력을 링크 어셈블리(150)로 전달하는 링크 작동부(144)가 하부 양측에 복수개 형성된 작동수단(1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잠금장치에는 상기 문틀에 고정되며, 상기 락킹수단(120)의 제1락킹부(124)가 삽입되는 락킹홈(172)과, 상기 이중 잠금부재(130)의 제2락킹부(132)가 수용되고 링크 작동에 의해 삽입되어 방화도어와 문틀이 완전 밀착되게 하는 밀착홈(174)이 형성된 락킹패널(170)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잠금부재(130)의 제2락킹부(132)는 문틀에 수용되어 방화도어를 문틀측으로 밀착시키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경사부(132a)가 형성되고, 상기 밀착홈(174)에는 경사부(132a)가 형성된 제2락킹부(132)가 접촉되어 하향 이동하면서 방화도어를 문틀측으로 더욱 밀착시키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밀착 유도부(27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140)의 작동판(142)은 작동수단(140)에 형성된 고정돌기(244)에 고정되는 고정홈(242)이 형성되며, 상기 락킹수단(120)이 작동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돌기(24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링크(154)의 일측 단부에는 복원돌기(256)가 형성되고, 이 복원돌기(256)에 의해 압축되는 복원 스프링(190)이 케이스(110)에 고정되어 상기 제2회전링크(154)의 작동에 따라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 스프링(190)에 의해 제2회전링크(154)의 작동을 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수단(120)은
    방화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작동수단(140)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축(122);
    상기 문틀에 수용되어 방화도어를 잠금설정하는 제1락킹부(124);
    상기 슬라이딩축(122)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락킹수단(12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126); 및
    상기 작동수단(140)의 작동에 따라 슬라이딩축(122)을 작동시키고, 락킹수단(120)의 슬라이딩 거리를 한정하기 위해 케이스(110)에 형성된 스토퍼(218)와 접촉하는 스톱패널(128)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어셈블리(150)의 제1회전링크(152)에는 상기 작동수단(140)의 링크 작동부(144)와 접촉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동 샤프트(252)가 형성되고, 상기 제2회전링크(154)에는 상기 이중 잠금부재(130)의 제1링크장공(136)과 연통되는 제2링크장공(156)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축(160)에 의해 이중 잠금부재(13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에는 상기 작동수단(14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설치공(212)과, 이 설치공(212)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링크 어셈블리(150)가 설치되는 링크 작동홀(214)과, 상기 이중 잠금부재(130) 및 링크 어셈블리(150)의 링크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장공의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홀(216) 및 상기 설치공(212)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락킹수단(120)이 삽입되는 요홈이 형성되어 이 락킹수단(120)의 슬라이딩을 지지하는 지지패널(215)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
KR1020100025426A 2010-03-22 2010-03-22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 KR101145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426A KR101145843B1 (ko) 2010-03-22 2010-03-22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426A KR101145843B1 (ko) 2010-03-22 2010-03-22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168A KR20110106168A (ko) 2011-09-28
KR101145843B1 true KR101145843B1 (ko) 2012-06-14

Family

ID=45426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426A KR101145843B1 (ko) 2010-03-22 2010-03-22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58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093B1 (ko) 2013-04-30 2014-08-25 주식회사 아이레보 래치볼트 고정구조체
KR101500851B1 (ko) * 2013-08-14 2015-03-09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2104A (zh) * 2019-06-26 2019-09-17 广东汇泰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猫眼启动时可上锁的智能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2520A (ja) * 1995-02-28 1996-09-10 Goal Co Ltd 防火扉用錠
KR200225310Y1 (ko) 2000-12-27 2001-05-15 주식회사베스트메탈라인 출입문용 이중자물쇠
KR20030097762A (ko) * 2003-12-05 2003-12-31 김종수 레버형 도어록
KR100846009B1 (ko) 2007-03-16 2008-07-11 조현식 도어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2520A (ja) * 1995-02-28 1996-09-10 Goal Co Ltd 防火扉用錠
KR200225310Y1 (ko) 2000-12-27 2001-05-15 주식회사베스트메탈라인 출입문용 이중자물쇠
KR20030097762A (ko) * 2003-12-05 2003-12-31 김종수 레버형 도어록
KR100846009B1 (ko) 2007-03-16 2008-07-11 조현식 도어 잠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093B1 (ko) 2013-04-30 2014-08-25 주식회사 아이레보 래치볼트 고정구조체
KR101500851B1 (ko) * 2013-08-14 2015-03-09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168A (ko)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5185Y1 (ko) 손잡이 연동식 미닫이문용 열림장치
CN104514449A (zh) 锁装置
KR101145843B1 (ko)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
US20070033880A1 (en) Hidden window screen
CN209670607U (zh) 一种可任意开启角度的防火窗
KR200479683Y1 (ko) 초기 개폐 기능을 갖는 미닫이문용 잠금장치
KR101829937B1 (ko) 개폐가능한 고정창을 갖는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
WO2008036037A1 (en) A locking device, a locking arrangement, and a locking system
KR200452139Y1 (ko) 미닫이창문용 잠금장치
KR200452186Y1 (ko) 매립형 창문 잠금장치
KR200436141Y1 (ko) 창문용 자동잠금장치
US10087665B2 (en) Door assembly
JP3113235U (ja) トイレ用等のドアの指挟み防止装置
KR101163161B1 (ko) 롤방충망용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롤방충망 장치
CN107860112B (zh) 空调机壳及空调器
KR200464986Y1 (ko)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용 손잡이
JP2013049977A (ja) 引き違い窓の安全装置
KR100929813B1 (ko) 루버 및 그 개폐구조
CN220869136U (zh) 一种用于移门装置的加载组件
JP7075457B2 (ja) ドア装置及びドア機構
KR102186592B1 (ko) 잠금 환기형 슬라이딩 창호
KR101401653B1 (ko) 창호용 잠금장치
JP4375936B2 (ja) 高層建物の非常侵入口扉の施錠装置
CN220184836U (zh) 拉手式门锁
CN211115193U (zh) 一种防误操作传动装置及具有其的门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