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851B1 -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 Google Patents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851B1
KR101500851B1 KR1020130096361A KR20130096361A KR101500851B1 KR 101500851 B1 KR101500851 B1 KR 101500851B1 KR 1020130096361 A KR1020130096361 A KR 1020130096361A KR 20130096361 A KR20130096361 A KR 20130096361A KR 101500851 B1 KR101500851 B1 KR 101500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door
plate
guid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6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9451A (ko
Inventor
연제성
박세훈
최장욱
조우연
고광훈
오성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30096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851B1/ko
Publication of KR20150019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7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fire-resisting cabin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4Closure fastener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잠금 플레이트; 상기 잠금 플레이트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록킹 샤프트; 및 상기 도어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잠금 플레이트 및 상기 록킹 샤프트와 연결되어, 회전의 정도에 따라 상기 록킹 샤프트와 상기 잠금 플레이트를 차례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도어를 이동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록킹 가이드를 포함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도어를 이중으로 잠글 수 있으므로, 외부 침입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정상적인 도어의 개폐 동작에 있어서, 추가적인 동작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A door locking apparatus and a safe}
본 발명은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에 관한 것이다.
금고는 현금, 유가증권, 보석류, 귀중 서류 등을 보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금고는 내부에 구비된 대상체의 도난 방지를 위한 잠금구조를 구비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02449호에는, 보호가 필요한 대상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도어 잠금구조가 개시된다.
이러한 종래의 도어 잠금구조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도어 로킹 플레이트와, 상기 로킹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로킹 플레이트와 함께 이동되는 슬라이드 핀과, 상기 슬라이드 핀의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 조립체를 포함한다.
또한, 보안성의 향상을 위하여 상기 로킹 플레이트의 이동을 제한하는 추가 잠금 조립체를 더 포함한다. 상기 추가 잠금 조립체는, 열쇠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는 열쇠 모듈이거나, 다이얼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는 다이얼 모듈일 수 있다.
종래의 도어 잠금구조는, 상기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상기 추가 잠금 조립체를 해제하였기 때문에, 도어의 개폐에 있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안성이 뛰어나면서도 사용이 편리한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잠금 플레이트; 상기 잠금 플레이트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록킹 샤프트; 및 상기 도어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잠금 플레이트 및 상기 록킹 샤프트와 연결되어, 회전의 정도에 따라 상기 록킹 샤프트와 상기 잠금 플레이트를 차례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도어를 이동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록킹 가이드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금고는, 내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배면에 연결되어, 핸들의 회전 정도에 따라 1차 잠금 동작 및 2차 잠금 동작을 차례로 수행하거나 1차 잠금 해제 및 2차 잠금 해제 동작을 차례로 수행하는 도어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도어를 이중으로 잠글 수 있으므로, 외부 침입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정상적인 도어의 개폐 동작에 있어서, 추가적인 동작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동작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고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고(10)는,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도어(110: door)와, 상기 도어(110) 및 본체부(100)를 서로 결합하는 결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수납 공간(1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수납 공간(102)으로 물품을 입출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수납 공간(102)의 일측 내벽에는 상기 도어(110)에 구비되는 잠금 돌기(242)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돌기 삽입부(10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110)는 상기 본체부(100)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110)는 상기 결합부(120)에 의해서 상기 본체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110)의 외면에는 상기 도어(110)를 회동시키기 위한 핸들(112 : handle)과, 상기 도어(11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잠금 조작부(1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 조작부(114)는, 상기 도어(110)가 상기 본체부(100)의 개구된 부분을 차단한 상태에서 고정되게 한다. 사용자는 상기 잠금 조작부(114)를 조작하여 상기 도어(110)를 잠금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잠금 조작부(114)는 예를 들어 열쇠에 의해 작동되는 열쇠 모듈이거나, 다이얼(dial)에 의해 작동되는 다이얼 모듈일 수 있다.
상기 결합부(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힌지(hinge)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200)는, 크게 3개의 유닛(unit)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 1 유닛(20)은 상기 도어(110)에 고정되는 부분이고, 제 2 유닛(24)은 상기 도어(110)에 슬라이딩(sliding) 이동되는 부분이고, 제 3 유닛(22)은 상기 도어(1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 1 유닛(20)은 '고정 유닛(20)', 상기 제 2 유닛(24)은 '슬라이딩 유닛(24)', 상기 제 3 유닛(22)은 '회전 유닛(22)'이라고 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전 유닛(22)의 회전 각도에 따라서, 1차 해제(또는 2차 잠금) 및 2차 해제(또는 1차 잠금)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 유닛(22)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회전되면, 1차 해제 동작이 수행되고, 상기 회전 유닛(22)이 제 2 위치로부터 제 3 위치로 회전되면, 2차 해제 동작이 수행된다. 반대로, 상기 회전 유닛(22)이 제 3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회전되면, 1차 잠금 동작이 수행되고, 상기 회전 유닛(22)이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회전되면, 2차 잠금 동작이 수행된다. 구체적인 동작과정은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한 다음 도 6 및 도 7에 대한 설명과 함께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 유닛(20)은 상기 도어(110)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차단판(202)(203)과, 상기 슬라이딩 유닛(24)을 상기 도어(110)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게 하기 위한 잠금 조립체(205)와, 상기 슬라이딩 유닛(24)의 슬라이딩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 돌기(20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판(202)(203)은, 상기 슬라이딩 유닛(24)의 외측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판(202)(203)은, 상기 슬라이딩 유닛(24)의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한 제 1 차단판(203)과, 상기 슬라이딩 유닛(24)의 슬라이딩 방향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 2 차단판(2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는 직각일 수 있다. 도 2를 기준으로 배치된 방향에 따라서, 상기 제 1 차단판(203)은 수평 차단판(203)이라고 하고, 상기 제 2 차단판(202)은 수직 차단판(203)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차단판(203)에는 상기 슬라이딩 유닛(24)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243)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hole)(20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홀(204)은 상기 슬라이딩 유닛(24)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서 길게 형성되는 구멍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홀(204)은 상기 가이드 돌기(243)의 이동을 가이드하여 결과적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유닛(24)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 2 차단판(202)에는 상기 슬라이딩 유닛(24)으로부터 돌출되는 잠금 돌기(242)가 삽입되는 삽입 홀(20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 홀(202a)은 상기 잠금 돌기(242)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상기 잠금 돌기(242)를 포함한 잠금 플레이트(240)가 상기 도어(110)의 배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잠금 조립체(205)는 내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출입 가능한 걸림핀(206)을 포함한다. 상기 잠금 조립체(205)는 상기 잠금 조작부(114)와 연동된다. 상기 잠금 조작부(114)의 동작에 따라 상기 걸림핀(206)은 상기 슬라이딩 유닛(24)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상기 경사는 직각일 수 있다. 상기 걸림핀(206)은 상기 슬라이딩 유닛(24)에 형성되는 걸림부(245)에 선택적으로 걸려서 상기 슬라이딩 유닛(24)이 상기 도어(110)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유닛(24)은, 상기 도어(110)의 배면에 배치되는 잠금 플레이트(plate)(240)와,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로부터 돌출되는 잠금 돌기(242)와,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243)와,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에 천공되는 제한 홀(244)과,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에 구비되는 걸림부(2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는 상기 제 1 차단판(20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잠금 돌기(242)는 상기 도어(110)가 상기 본체부(100)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110)가 열리지 않도록 한다. 상기 도어(110)가 상기 본체부(100)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잠금 조작부(114)를 조작하면, 상기 잠금 돌기(242)는 상기 돌기 삽입부(104)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도어(110)는 회동될 수 없게 된다.
상기 잠금 돌기(242)는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의 테두리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잠금 돌기(242)는 상기 삽입 홀(202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와 함께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243)는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의 테두리부로부터 슬라이딩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경사는 직각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243)는 상기 가이드 홀(204)에 삽입되어 가이드 된다.
상기 제한 홀(244)은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 에 형성되는 구멍이다. 상기 제한 홀(244)은 상기 제한 돌기(208)를 수용하여, 상기 제한 돌기(208)의 이동 거리를 제한한다. 상기 제한 홀(244)은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의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245)는 상기 걸림핀(206)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245a)과, 상기 수용홈(245a)의 외측에 돌출되어 상기 걸림핀(206)이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돌출부(24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유닛(22)은 상기 도어(1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록킹 가이드(220: locking gui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 가이드(220)는 상기 핸들(112)과 연결되어, 상기 핸들(112)의 동작에 따라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록킹 가이드(220)는, 상기 도어(110)의 배면(또는 전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되는 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록킹 가이드(220)는 대략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형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록킹 가이드(220)는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의 배면에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록킹 가이드(220)의 위치가 위와 같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록킹 가이드(220)가 상기 도어(110) 및 잠금 플레이트(240) 사이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도어의 잠금장치(200)가 잠금 상태인 경우를 기준으로, 상기 록킹 가이드(22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먼저 1차 잠금 어셈블리가 해제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유닛(24)은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1차 잠금 어셈블리가 완전히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록킹 가이드(220)가 상기 일 방향으로 더 회전되면, 2차 잠금 어셈블리가 해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유닛(24)이 슬라이딩되어 상기 잠금 돌기(242)가 상기 돌기 삽입부(104)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상기 록킹 가이드(220)를 비롯하여, 1차 잠금 어셈블리, 2차 잠금 어셈블리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이하 도 3 내지 도 5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상기 도어의 잠금장치(200)가 완전히 잠겨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특별한 설명이 없는 이상, 각 구성요소의 배치는 상기 도어의 잠금장치(200)가 완전히 잠겨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이러한 배치는 상기 도어의 잠금장치(200)가 1차 해제 상태이거나, 2차 해제 상태일 때 달라질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 유닛(20)은, 상기 도어(110)에 구비되는 샤프트 가이더(209: shaft guid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가이더(209)에는 상기 록킹 가이드(220)와 연동되어 움직이는 록킹 샤프트(230: locking shaft)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록킹 가이드(220)는,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 및 상기 록킹 샤프트(230)와 연결되어, 회전의 정도에 따라 상기 록킹 샤프트(230)와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를 차례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도어(110)를 이동 가능한 상태로 만든다.
상기 샤프트 가이더(209)는 상기 도어(110)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가이더(209)는, 상기 록킹 샤프트(230)가 삽입되기 위한 샤프트 홀(209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가이더(209)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록킹 샤프트(230)가 삽입 또는 인출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샤프트 가이더(209)는 상기 로킹 샤프트(230)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며, 서로 이격되는 두 개 이상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샤프트 가이더(209) 중 상기 록킹 가이드(220)에 가장 인접한 샤프트 가이더(209)를 별도로 제 1 샤프트 가이더(209)라고 할 수 있다. 도 3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샤프트 가이더(209)는 상측 샤프트 가이더(209)라고 할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딩 유닛(24)은,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에 구비되는 샤프트 체결부(248)와,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에 천공되는 플레이트 슬롯(246)과, 조립체 홀(240a)과, 가이더 홀(240b)과, 체결수단 홀(240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체결부(248)에는 상기 록킹 샤프트(230)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체결부(248)는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체결부(248)는, 상기 록킹 샤프트(230)가 삽입되기 위한 샤프트 홀(248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체결부(248)는 상기 샤프트 가이더(209)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가이더(209)가 복수 개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샤프트 체결부(248)는 상기 복수 개의 샤프트 가이더(209)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슬롯(246)은, 상기 록킹 가이드(220)에 고정되는 가이드 핀(223)을 가이드 한다. 상기 플레이트 슬롯(246)은, 원의 일부(호, arc)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 1 플레이트 슬롯(246a)과, 상기 제 1 플레이트 슬롯(246a)의 단부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천공되는 제 2 플레이트 슬롯(246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 슬롯(246a)은 상기 록킹 가이드(220)의 회전 중심(O)을 기준으로 형성되는 원의 일부에 해당 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 슬롯(246a)의 일 단부와 타 단부(P)가 상기 회전 중심(O)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는, 상기 회전 중심(O)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플레이트 슬롯(246)의 타단부(P)와 후술할 가이드 핀(223)이 이루는 제 1 각도(θ1)와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플레이트 슬롯(246b)은 상기 제 1 플레이트 슬롯(246a)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슬롯에 해당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2 플레이트 슬롯(246b)의 일 단부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슬롯(246a)과 만난다. 그리고 상기 제 2 플레이트 슬롯(246b)의 타 단부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슬롯(246a)의 형상에 대응되는 원주의 형상으로부터 이탈되는 지점에 위치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회전 중심(O)으로부터 상기 제 2 플레이트 슬롯(246b)의 일 단부까지의 거리와, 상기 회전 중심(O)으로부터 상기 제 2 플레이트 슬롯(246b)의 타 단부까지의 거리는 서로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 중심(O)를 기준으로 사분면을 표현하면, 상기 제 1 플레이트 슬롯(246a) 및 제 2 플레이트 슬롯(246b)이 만나는 제 1 지점(P1)이 제 1 사분면(록킹 가이드가 도 5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또는 제 4 사분면(록킹 가이드가 도 5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위치하는 제 1 경우와, 상기 제 1 지점(P1)이 제 2 사분면(록킹 가이드가 도 5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또는 제 3 사분면(록킹 가이드가 도 5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위치하는 제 2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제 1 경우, 상기 제 2 플레이트 슬롯(246b)의 타 단부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슬롯(246a)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회전 중심(O)으로부터 상기 제 2 플레이트 슬롯(246b)의 일 단부(P1)까지의 거리보다 상기 회전 중심(O)으로부터 상기 2 플레이트 슬롯(246b)의 타 단부까지의 거리가 더 길다.
제 2 경우, 상기 제 2 플레이트 슬롯(246b)의 타 단부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슬롯(246b)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회전 중심(O)으로부터 상기 제 2 플레이트 슬롯(246b)의 일 단부(P1)까지의 거리보다 상기 회전 중심(O)으로부터 상기 2 플레이트 슬롯(246b)의 타 단부까지의 거리가 더 짧다.
본 명세서는 제 1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이하 제 1 경우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제 2 경우를 본 발명의 사상에서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립체 홀(240a)은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에 천공되는 것으로 잠금 조립체(205)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잠금 조립체(205)는 상기 조립체 홀(240a)을 통하여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의 배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조립체 홀(240a)은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가 슬라이딩 이동될 때에, 상기 잠금 조립체(205)가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더 홀(240b)은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에 천공되는 것으로 상기 샤프트 가이더(209)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샤프트 가이더(209)는 상기 가이더 홀(240b)을 통하여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의 배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더 홀(240b)은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가 슬라이딩 이동될 때에, 상기 샤프트 가이더(209)가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더 홀(240b)은 상기 샤프트 가이더(209)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더 홀(240b)이 복수 개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샤프트 체결부(248)는 상기 복수 개의 가이더 홀(24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 홀(240c)은,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에 천공되는 것으로 체결수단(250)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체결수단(250)은 상기 체결수단 홀(240c)을 통하여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의 배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 홀(240c)은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가 슬라이딩 이동될 때에, 상기 체결수단(250)이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유닛(22)은, 상기 록킹 가이드(220)에 천공되는 가이드 슬롯(221)과, 상기 가이드 슬롯(22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샤프트 핀(232)과, 상기 샤프트 핀(232)에 연결되는 록킹 샤프트(230)와, 상기 록킹 가이드(220)에 구비되는 가이드 핀(223)과, 상기 록킹 가이드(220)를 상기 도어(11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2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221)은 제 1 가이드 슬롯(221a)과, 상기 제 1 가이드 슬롯(221a)의 단부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천공되는 제 2 가이드 슬롯(22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 슬롯(221a)은 상기 록킹 가이드(220)가 회전할 때에, 상기 샤프트 핀(232)이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경사는 직각일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 슬롯(221a)은 상기 회전 중심(O)을 기준으로 천공되는 홀로써, 상기 제 1 가이드 슬롯(221a)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 1 가이드 슬롯(221a)의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회전 중심(O)에 점점 가까워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회전 중심(O)으로부터 상기 제 1 가이드 슬롯(221a)의 일측까지의 제 1 거리(L1)는, 상기 회전 중심(O)으로부터 상기 제 1 가이드 슬롯(221a)의 타측까지의 제 2 거리(L2)보다 길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상기 록킹 가이드(220)가 회전되면, 상기 샤프트 핀(232)은 상기 제 1 가이드 슬롯(221a)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가이드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록킹 샤프트(230)는 상기 샤프트 핀(232)과 함께 상하방향으로 가이드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하여 1차 해제(또는 2차 잠금)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거리(L1)와 상기 제 2 거리(L2)의 거리 차(△L)는 상기 록킹 샤프트(230)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까지 이동되기 위한 거리와 동일하거나 더 길 수 있다. 즉, 상기 거리 차(△L)는 상기 록킹 샤프트(230)가 잠금 상태일 때를 기준으로, 상기 록킹 샤프트(230)의 최하부로부터 상기 샤프트 체결부(248)의 최상부까지의 제 3 거리(L3)와 동일하거나 더 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거리(L1)와 상기 제 2 거리(L2)의 차(△L)는 상기 록킹 샤프트(230)가 상기 샤프트 체결부(248) 및 샤프트 가이더(209)를 완전히 이탈하기 위한 거리와 동일하거나 더 짧을 수 있다. 즉, 상기 거리 차(△L)는 상기 록킹 샤프트(230)가 잠금 상태일 때를 기준으로, 상기 록킹 샤프트(230)의 최하부로부터 상기 상측 샤프트 가이더(209)의 최상부까지의 제 4 거리(L4)와 동일하거나 더 짧을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거리 차(△L)는 상기 제 3 거리(L3) 이상이고, 상기 제 4 거리(L4)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 슬롯(221a)의 일측과, 타측이 상기 회전 중심(O)에 대하여 이루는 제 2 각도(θ2)는, 상기 제 1 각도(θ1)와 동일하거나 더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1차 해제 동작이 완료됨과 동시에 또는 완료된 이후에 2차 해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 2 가이드 슬롯(221b)은, 상기 제 1 가이드 슬롯(221a)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슬롯에 해당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2 가이드 슬롯(221b)의 일 단부는 상기 제 1 가이드 슬롯(221a)과 제 2 지점(P2)에서 만난다. 상기 제 2 가이드 슬롯(221b)은 상기 회전 중심(O)을 기준으로 하는 원의 일부에 해당되는 호(arc) 형상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2 가이드 슬롯(221b)의 일 단부와 타 단부는 상기 회전 중심(O)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 슬롯(221)의 형상에 따르면, 상기 록킹 가이드(220)가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되는 동안, 상기 록킹 가이드(220)는 상기 제 1 가이드 슬롯(221a)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며, 1차 해제 또는 2차 잠금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록킹 가이드(220)가 제 2 위치 및 제 3 위치 사이에서 회전되는 동안, 상기 록킹 가이드(220)는 이동되지 않고 동일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거리 차(△L)는 상기 제 3 거리(L3) 이상이고, 상기 제 4 거리(L4) 이하인 경우, 상기 록킹 가이드(220)는 상기 샤프트 체결부(248)로부터는 이탈되고 상기 상측 샤프트 가이더(209)에 삽입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핀(232)은, 상기 가이드 슬롯(221)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샤프트 핀(232)은 상기 록킹 샤프트(23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샤프트 핀(232)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 슬롯(221)의 슬롯 간격보다 작게 형성된다. 다만 상기 샤프트 핀(232)의 일 단부는 상기 샤프트 핀(232)이 상기 가이드 슬롯(22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슬롯(221)의 슬롯 간격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 샤프트(230)는 상기 샤프트 체결부(248)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2차 잠금(또는 1차 해제) 동작을 직접적으로 수행한다. 상기 록킹 샤프트(230)는 상기 샤프트 핀(232)에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 핀(232)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록킹 샤프트(230)는 상기 가이드 슬롯(221)에 의하여 가이드 되는 것으로 이해되어 질 수도 있다. 상기 록킹 샤프트(230)는 대략 기둥 형상으로 제공되어, 도 3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샤프트 체결부(248) 및/또는 상기 샤프트 가이더(209)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록킹 샤프트(230)는 자중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슬롯(221) 내에서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충분한 질량을 가지도록 제공될 필요가 있다.
상기 가이드 핀(223)은, 상기 록킹 가이드(220)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록킹 가이드(220)의 회전력을 상기 잠금 플레이트(140)에 전달하여, 상기 잠금 플레이트(140)가 슬라이딩 이동되게 한다. 즉, 상기 가이드 핀(223)은 1차 잠금(또는 2차 해제)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가이드 핀(223)은 대략 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핀(223)의 직경은 상기 플레이트 슬롯(246)의 슬롯 간격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수단(250)은, 상기 핸들(112)과 상기 록킹 가이드(220)를 고정한다. 상기 체결수단(250)에 의하여, 사용자가 상기 핸들(112)에 가하는 회전력이 상기 록킹 가이드(22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250)은 상기 도어(110) 및 잠금 플레이트(240)를 관통하는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250)은 나사 등의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핸들(112) 및 록킹 가이드(220)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는 공지의 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동작도이다.
순서대로 도 5는 상기 도어 잠금장치(200)가 완전히 잠금된 상태(2차 잠금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상기 도어 잠금장치(200)가 1차적으로 해제된 상태(1차 잠금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상기 도어 잠금장치(200)가 완전히 해제된 상태(2차 해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1차 해제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록킹 가이드(220)가 제 1 위치(도 5 참조)로부터 제 2 위치(도 6 참조)로 회전된다.
상기 록킹 샤프트(230)는 상기 제 1 가이드 슬롯(221a)에 의하여 가이드 되면서, 위쪽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 샤프트(230)는 상기 샤프트 체결부(248)로부터 이탈된다. 즉,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는 상기 록킹 샤프트(230)에 간섭받지 않고, 좌우로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가이드 핀(223)은 상기 제 1 플레이트 슬롯(246a)에 의하여 가이드 되면서, 상기 록킹 가이드(220)와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지점(P1)까지 위치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2차 해제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록킹 가이드(220)는 제 2 위치(도 6 참조)로부터 제 3 위치(도 7 참조)로 더욱 회전된다.
상기 록킹 샤프트(230)는 상기 제 2 가이드 슬롯(221b)에 의하여 가이드 되면서, 제자리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핀(223)은 상기 제 2 플레이트 슬롯(246b)에 의하여 가이드 되면서,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에 힘을 전달하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 핀(223)은 상기 제 2 플레이트 슬롯(246b)의 일측에 접촉되어 힘을 전달하여,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가 슬라이딩 이동되게 한다.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는 상기 가이드 핀(223)에 의하여 좌측(도 7 기준)으로 슬라이딩 되고, 이러한 동작에 따라서, 상기 잠금 돌기(242)는 상기 돌기 삽입부(104)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110)는 상기 잠금 돌기(242)의 간섭을 받지 않고, 회동 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록킹 가이드(220)를 제 3 위치에서 도 7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잠금 플레이트(240)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록킹 가이드(220)가 제 2 위치로 회전되어 1차 잠금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록킹 가이드를 제 2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잠금 플레이트가 제 1 위치로 회전되어 록킹 샤프트(230)가 상기 샤프트 체결부(248)를 관통하게 되어 2차 잠금이 이루어진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도어를 이중으로 잠글 수 있으므로, 외부 침입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정상적인 도어의 개폐 동작에 있어서, 추가적인 동작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도어;
    상기 도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잠금 플레이트;
    상기 잠금 플레이트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록킹 샤프트; 및
    상기 도어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잠금 플레이트 및 상기 록킹 샤프트와 연결되어, 회전의 정도에 따라 상기 록킹 샤프트와 상기 잠금 플레이트를 차례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도어를 이동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록킹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 샤프트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과, 상기 잠금 플레이트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은 서로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도어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샤프트는, 상기 록킹 가이드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회전될 때 상기 록킹 가이드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잠금 플레이트가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게 하고, 상기 잠금 플레이트는 상기 록킹 가이드가 제 2 위치로부터 제 3 위치로 회전될 때 상기 도어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도어가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게 하는 도어 잠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가이드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회전될 때, 상기 잠금 플레이트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도어의 잠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플레이트에 천공되는 플레이트 슬롯; 및
    상기 잠금 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플레이트 슬롯에 의하여 가이드 되는 가이드 핀;을 더 포함하는 도어의 잠금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슬롯은, 상기 록킹 가이드의 회전 중심(O)을 중심으로 하는 호(arc)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 1 플레이트 슬롯;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 슬롯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호(arc)에 대응되는 원주로부터 이탈되게 형성되는 제 2 플레이트 슬롯;을 포함하는 도어의 잠금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록킹 샤프트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샤프트 가이더; 및
    상기 잠금 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록킹 샤프트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샤프트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도어의 잠금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가이드에 구비되며, 상기 록킹 샤프트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슬롯;을 더 포함하는 도어의 잠금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록킹 가이드의 회전 중심(O)에 가까워지는 형태로 천공되는 도어의 잠금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록킹 가이드의 회전 중심(O)까지의 제 1 거리(L1)는, 상기 가이드 슬롯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록킹 가이드의 회전 중심(O)까지의 제 2 거리(L2)보다 먼 도어의 잠금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거리(L1) 및 제 2 거리(L2)의 거리 차(△L)는,
    상기 록킹 샤프트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까지 이동되기 위한 거리와 동일하거나 더 긴 도어의 잠금장치.
  11. 삭제
  12. 내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잠금 플레이트;
    상기 잠금 플레이트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록킹 샤프트; 및
    상기 도어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잠금 플레이트 및 상기 록킹 샤프트와 연결되어, 회전의 정도에 따라 상기 록킹 샤프트와 상기 잠금 플레이트를 차례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도어를 이동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록킹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 샤프트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과, 상기 잠금 플레이트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은 서로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금고.
KR1020130096361A 2013-08-14 2013-08-14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KR101500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361A KR101500851B1 (ko) 2013-08-14 2013-08-14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361A KR101500851B1 (ko) 2013-08-14 2013-08-14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451A KR20150019451A (ko) 2015-02-25
KR101500851B1 true KR101500851B1 (ko) 2015-03-09

Family

ID=52578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361A KR101500851B1 (ko) 2013-08-14 2013-08-14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08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757A (ko)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 선일 잠금장치 유닛을 갖는 금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4375A (ko) * 2008-10-22 2010-04-30 엘지엔시스(주) 보관 장치의 도어 잠금 구조
KR101145843B1 (ko) * 2010-03-22 2012-06-14 (주)동영산업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
KR20130031962A (ko) * 2011-09-22 2013-04-01 홍성열 2중의 잠금장치가 구비된 금고용 도어
KR101263281B1 (ko) * 2011-08-12 2013-05-10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도어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매체자동처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4375A (ko) * 2008-10-22 2010-04-30 엘지엔시스(주) 보관 장치의 도어 잠금 구조
KR101145843B1 (ko) * 2010-03-22 2012-06-14 (주)동영산업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
KR101263281B1 (ko) * 2011-08-12 2013-05-10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도어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매체자동처리기
KR20130031962A (ko) * 2011-09-22 2013-04-01 홍성열 2중의 잠금장치가 구비된 금고용 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757A (ko)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 선일 잠금장치 유닛을 갖는 금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451A (ko)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565B1 (ko) 백셋 조절이 가능한 도어 줌업 래치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
CA2783197C (en) Mechanical pushbutton locking arrangements
US9238929B2 (en) Door locking apparatus and an enclosure having the same
JP5756873B2 (ja) 開閉装置
CN103703200A (zh) 开闭部件的锁止装置
US8740319B1 (en) Recessed ganging lock and storage cabinet therewith
KR101500851B1 (ko)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US9683390B1 (en) Combination lock assembly
EP2450511B1 (en) Mechanism for closing sliding doors
KR101372371B1 (ko)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KR101740141B1 (ko)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KR101380007B1 (ko) 바닥 개폐식 서랍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투입금고
KR20140093448A (ko) 냉장고
CN110100070B (zh) 电缆密封件(变体)及密封方法(变体)
KR101305019B1 (ko)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KR20170096305A (ko)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KR101460172B1 (ko) 개량된 시건 구조를 갖는 도어록
KR101404431B1 (ko) 2단 출몰 구조를 갖는 튜블러형 래치
KR20130017791A (ko) 도어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매체자동처리기
KR101726078B1 (ko)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JP5995425B2 (ja) 施錠装置、および、キャビネット
US20130219977A1 (en) Code change blocker
KR20120101256A (ko) 도어용 잠금장치
JP3194062U (ja) 旅行かばんのファスナー用施錠装置
KR101700112B1 (ko)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