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078B1 -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 Google Patents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078B1
KR101726078B1 KR1020150166302A KR20150166302A KR101726078B1 KR 101726078 B1 KR101726078 B1 KR 101726078B1 KR 1020150166302 A KR1020150166302 A KR 1020150166302A KR 20150166302 A KR20150166302 A KR 20150166302A KR 101726078 B1 KR101726078 B1 KR 101726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door
unit
passwor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장욱
고광훈
박세훈
오성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50166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0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7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fire-resisting cabin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4Closure faste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s, e.g. cabinets
    • E05Y2900/208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s, e.g. cabinets for metal cabinet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는 제1도어; 상기 제1도어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잠금유닛; 상기 제1잠금유닛의 작동을 제한하는 제1잠금부; 제2도어; 상기 제2도어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잠금유닛; 상기 제2잠금유닛의 작동을 제한하는 제2잠금부; 입력부; 및 상기 제1잠금부 및 상기 제2잠금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기 설정된 제1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제1잠금부를 잠금 해제하고, 상기 제2잠금부는 동작불가능한 상태이며,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기 설정된 제2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 1잠금부를 잠금해제하고 상기 제 2잠금부는 동작가능한 상태로 변경된다.

Description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DOOR LOCKING APPARATUS AND CASH BOX}
본 발명은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열쇠를 이용한 잠금 장치의 경우 분실, 복제, 휴대의 불편함 등 보안상, 편의상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최근에는 대부분 금고, 출입문 등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비밀번호 혹은 지문등의 생체인식을 바탕으로 하는 디지털방식의 전자락이 많이 보급되고 있다. 일례로 은행에서 VIP고객을 대상으로 제공되고 있는 대여금고의 경우에 대부분 지문인식 방식을 이용한 전자식 금고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개별 금고의 장금 장치 역시 전자락이 사용되고 있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락의 여러 행태 중에 하나로서 도어를 열고 닫을 때 종래 열쇠대신 핸들 손잡이를 제공하고 지문 혹은 비밀번호 인증 후에 정상 사용자로 확인이 되었을 때에만 상기 핸들 손잡이가 회전되게 함으로써 금고의 도어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고안된 전자락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핸들 손잡이를 잠김 상태로 돌리려고 할 때 실수 혹은 사용 미숙으로 완전하게 잠금 상태가 이루어지도록 충분히 회전시키지 못할 경우 해당 도어가 정상적으로 잠금 상태를 유지하지 못해 타인에 의해 열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 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6616호에는 "2단계 잠금 상태를 제공하는 전자식 잠금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측 도어의 비밀번호에 차등을 두어 접근 권한 별로 내측 도어의 개폐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는, 제1수용공간을 개폐하는 제1도어; 상기 제1도어에 움직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도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1잠금유닛; 상기 제1잠금유닛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1잠금부; 상기 제1수용공간에 구비되는 보관함을 개폐하는 제2도어; 상기 제2도어에 움직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2도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2잠금유닛; 상기 제2잠금유닛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2잠금부; 상기 제1도어에 구비되며,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제1잠금부 및 상기 제2잠금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기 설정된 제1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제1잠금부를 잠금 해제하고, 상기 제2잠금부는 동작불가능한 상태이며,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기 설정된 제2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 1잠금부를 잠금해제하고 상기 제 2잠금부는 동작가능한 상태로 변경된다.
일 측면에 따른 금고는, 내부에 제1수용공간을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상기 제1수용공간을 개폐하는 제1도어; 상기 제1도어에 움직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도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1잠금유닛; 상기 제1잠금유닛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1잠금부; 상기 제1수용공간에 구비되며, 내부에 제2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보관함; 상기 보관함에 구비되며, 상기 제2수용공간을 개폐하는 제2도어; 상기 제2도어에 움직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2도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2잠금유닛; 상기 제2잠금유닛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2잠금부; 상기 제1도어에 구비되며,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제1잠금부 및 상기 제2잠금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기 설정된 제1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잠금부를 작동시켜 상기 제1잠금유닛이 작동 가능한 상태로 만들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기 설정된 제2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잠금부 및 상기 제2잠금부를 작동시켜 상기 제1잠금유닛과 상기 제2잠금유닛이 작동 가능한 상태로 만든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도어에 의해 수용공간이 복수개로 구획되고, 각 수용공간에 접근가능한 비밀번호를 각각 별도로 설정함으로써, 접근 권한에 따른 비밀번호를 달리 설정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 측면에서 효율적이며, 금고의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잠금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제1잠금유닛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제1도어 및 제2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잠금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제2잠금유닛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잠금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고(1)는 캐비닛(2) 및 제1도어(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10)는 상기 캐비닛(2)의 전면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2)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잠금장치(1) 상기 캐비닛(2)의 내부에 수용되는 보관함(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관함(3)은 제2도어(20)에 의해 개폐가능하며, 상기 제2도어(20)에는 열쇠 삽입부(210)가 구비된다. 상기 제2도어(20)에 관련된 내용은 도 6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보관함(3)의 일측에는 제1수용공간(4, 5)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수용공간(4, 5)은 상기 보관함(3)의 상측 또는 우측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금고(1)는 상기 제1수용공간(4, 5)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보관함(3)과 상기 캐비닛(2) 사이의 간격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관함(3)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상기 캐비닛(2)에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관함(3)의 우측이 상기 캐비닛(2)의 내벽과 이격됨에 따라 상기 보관함(3)의 도어를 개폐하기 용이하다.
상기 제1도어(10)에는 핸들(12) 및 상기 제1도어(10)의 잠금상태를 결정하는 제1잠금유닛(1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12)은 상기 제1도어(10)의 전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핸들(12)를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핸들(12)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도어(10)가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제1잠금유닛(100)은 상기 제1도어(10)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입력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상기 제1도어(10)의 잠금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10)의 배면부(14)에는 상기 제1잠금유닛(100)을 커버하기 위한 제1커버(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잠금유닛(100)은 제1록킹 가이드(120), 제1잠금 플레이트(130), 제2잠금 플레이트(140), 제1잠금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록킹 가이드(120)은 상기 제1도어(10)의 배면부(1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록킹 가이드(120)은 도시된 것과 같이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와 같은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록킹 가이드(120)은 상기 핸들(12)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록킹 가이드(120)은 상기 핸들(12)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핸들(12)과 상기 제1록킹 가이드(120)은 제1축(10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축(102)는 상기 제1도어(1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핸들(12) 및 상기 제1록킹 가이드(120)은 상기 제1축(102)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핸들(12) 및 상기 제1록킹 가이드(120)은 상기 제1축(10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록킹 가이드(120)에는 상기 제1잠금 플레이트(130) 및 상기 제2잠금 플레이트(140)가 연결되며, 상기 제1잠금 플레이트(130) 및 상기 제2잠금 플레이트(140)는 상기 제1록킹 가이드(120)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제1잠금 플레이트(130) 및 상기 제2잠금 플레이트(140)는 각각 상기 캐비닛(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도어(10)를 상기 캐비닛(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도어(10)가 상기 캐비닛(2)을 폐쇄하게 된다.
상기 제1록킹 가이드(120)에는 상기 제1잠금 플레이트(130)의 제1삽입돌기(133)가 삽입되는 제1삽입부(123) 및 상기 제2잠금 플레이트(140)의 제2삽입돌기(143)가 삽입되는 제2삽입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부(123) 및 상기 제2삽입부(124)는 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삽입부(123) 및 상기 제2삽입부(124)는 상기 제1록킹 가이드(120)의 일부가 절개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삽입부(123)는 곡선 형상을 이루며, 일측은 상기 제1록킹 가이드(120)의 외주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타측은 일측보다 상기 제1축(10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삽입부(124)는 상기 제1축(102)을 중심으로 상기 제1삽입부(123)와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잠금 플레이트(130)에는 상기 제1삽입부(123)에 삽입되는 제1삽입돌기(1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잠금 플레이트(130)에는 상기 제1잠금 플레이트(13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홀(1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잠금 플레이트(140)에는 상기 제2잠금 플레이트(14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홀(14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10)의 배면부(14)에는 상기 제1가이드홀(135)에 삽입되는 제1가이드부(103) 및 상기 제2가이드홀(145)에 삽입되는 제2가이드부(104)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잠금 플레이트(130) 및 상기 제2잠금 플레이트(140)의 상하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제1잠금부(150)는 상기 제1도어(10)의 배면부(14)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잠금부(150)는 상기 제1잠금 플레이트(13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잠금부(150)는 제1록킹 샤프트(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록킹 샤프트(153)는 상기 제1잠금 플레이트(13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잠금 플레이트(13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1잠금 플레이트(130)의 움직임이 제한되면, 상기 제1록킹 가이드(120)의 회전도 제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핸들(12)의 회전 역시 제한되므로 상기 제1도어(10)의 개방이 제한된다.
상기 제1잠금부(150)는 상기 입력부(110)와 연결되며,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비밀번호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4 및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제1잠금유닛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기 설정된 비밀번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제1잠금부(150)는 상기 제1록킹 샤프트(153)가 후퇴하도록 제어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록킹 샤프트(153)와 상기 제1잠금 플레이트(130) 간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제1잠금 플레이트(130)의 상하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해진다.
상기 핸들(12)이 회전하면, 상기 제1록킹 가이드(120)도 함께 회전한다(도 4 참조).
상기 제1록킹 가이드(12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잠금 플레이트(130)의 제1돌출부는 상기 제1삽입부(123)의 일측(123a)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1삽입부(123)의 타측 끝단(123b)으로 상기 삽입부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잠금 플레이트(140)의 제2돌출부는 상기 제2삽입부(124)의 일측(124a)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2삽입부(124)의 타측 끝단(124b)으로 상기 제2삽입부(124)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잠금 플레이트(130) 및 제2잠금 플레이트(140)는 각각 상기 제1록킹 가이드(120)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잠금 플레이트(130)는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잠금 플레이트(140)는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잠금 플레이트(130) 및 상기 제2잠금 플레이트(140)가 상기 제1록킹 가이드(120)의 중심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도어(10)와 상기 캐비닛(2) 간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제1도어(10)의 개방이 가능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제1도어 및 제2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잠금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보관함(2)은 현금 등 귀중품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6) 및 상기 수용공간(6)을 개폐하는 제2도어(20)를 포함한다.
상기 제2수용공간(6)은 하부 플레이트(7), 상부 플레이트(8) 및 측면 플레이트(9)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2도어(20)에는 제2잠금유닛(200)이 구비된다. 상기 제2잠금유닛(200)은 상기 제2도어(20)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열쇠 삽입부(도 2의 210 참조)를 포함한다.
상기 제2도어(20)의 배면부(24)에는 상기 제2잠금유닛(200)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2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잠금유닛(200)은 제2록킹 가이드(220), 제3잠금 플레이트(230), 제4잠금 플레이트(240), 제5잠금 플레이트(250) 및 제2잠금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록킹 가이드(220)은 상기 제2도어(20)의 배면부(2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록킹 가이드(220)은 상기 제1잠금유닛(100)의 제1록킹 가이드(120)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잇다.
상기 제1록킹 가이드(120)은 상기 열쇠 삽입부(210)와 연결되어 상기 열쇠 삽입부(21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열쇠 삽입부(210)는 열쇠가 삽입되어야 회전 가능하므로, 상기 제1록킹 가이드(120)은 상기 열쇠 삽입부(210)에 열쇠가 삽입되어 회전하는 경우에만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열쇠 삽입부(210)와 상기 제2록킹 가이드(220)은 제2축(20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축(202)는 상기 제2도어(2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열쇠 삽입부(210)와 상기 제2록킹 가이드(220)은 상기 제2축(20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록킹 가이드(220)에는 상기 제3잠금 플레이트(230), 상기 제4잠금 플레이트(240) 및 상기 제5잠금 플레이트(250)가 연결된다.
상기 제3잠금 플레이트(230) 및 상기 제4잠금 플레이트(240)는 상기 제2록킹 가이드(220)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5잠금 플레이트(250)는 상기 제2록킹 가이드(2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3잠금 플레이트(230)는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부 플레이트(7)에 삽입되고, 상기 제4잠금 플레이트(240)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8)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도어(20)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7)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8)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2수용공간(6)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제2록킹 가이드(220)이 시계방향으로 최대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5잠금 플레이트(250)는 상기 캐비닛(2)에 구비된 홈(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고, 상기 제2록킹 가이드(220)이 반시계방향으로 최대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5잠금 플레이트(250)는 상기 홈(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인출된다.
상기 제2록킹 가이드(220)에는 상기 제3잠금 플레이트(230)의 제1삽입돌기(233)가 삽입되는 제1삽입부(223) 및 상기 제4잠금 플레이트(240)의 제2삽입돌기(243)가 삽입되는 제2삽입부(2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록킹 가이드(2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3잠금 플레이트(230) 및 상기 제4잠금 플레이트(240)가 움직이는 형태는 상기 제1잠금유닛(100)의 제1잠금 플레이트(130) 및 제2잠금 플레이트(14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2잠금부(260)는 상기 제2록킹 가이드(220)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2록킹 가이드(22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2잠금부(260)는 프레임(261), 솔레노이드(263), 탄성부재(265), 제2록킹 샤프트(26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61)은 상기 제2도어(20)의 배면부(24)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61)에는 상기 솔레노이드(263)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2록킹 샤프트(267)는 상기 프레임(26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록킹 샤프트(267)는 상기 프레임(261)에 구비된 회전축(268)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록킹 샤프트(267)는 상기 제2록킹 가이드(220)의 일측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록킹 가이드(22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2록킹 샤프트(267)의 타측은 상기 상기 솔레노이드(263)의 연결부(269)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263)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솔레노이드(263)의 연결부(269)는 상기 솔레노이드(263)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록킹 샤프트(267)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록킹 샤프트(267)와 상기 제2록킹 가이드(220)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고, 상기 제2록킹 가이드(220)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탄성부재(265)는 상기 솔레노이드(267)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265)의 일측은 상기 솔레노이드(267)의 연결부(269)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부재(265)의 타측은 상기 프레임(261)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265)는 상기 솔레노이드(267)의 연결부(269)가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제2록킹 샤프트(267)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제2잠금유닛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열쇠 삽입부(210)에 열쇠가 삽입되어 회전하면, 상기 제2록킹 가이드(220)도 함께 회전한다.
상기 제2록킹 가이드(22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3잠금 플레이트(230) 및 상기 제4잠금 플레이트(240)는 상기 제2록킹 가이드(220)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잠금 플레이트(230)는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4잠금 플레이트(240)는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3잠금 플레이트(230) 및 상기 제4잠금 플레이트(240)가 상기 제2록킹 가이드(220)의 중심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2도어(20)의 개방이 가능해진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1)는 제어부(5)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5)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1잠금부(150) 및 상기 제2잠금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5)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비밀번호의 일치여부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잠금장치(1)는 비밀번호가 저장되는 메모리(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51)에는 복수의 비밀번호가 등록될 수 있다. 사용자가 직접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복수의 비밀번호는 상기 제1잠금부(150)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2잠금부(260)는 작동하지 않도록 하는 제1비밀번호와, 상기 제1잠금부(150) 및 상기 제2잠금부(260) 모두를 작동시키는 제2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비밀번호에 따라 두가지 방법에 의해 상기 제1잠금부(150) 및 상기 제2잠금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제1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기 설정된 제1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5)는 상기 제1잠금부(150)가 잠금해제 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5)는 상기 제1잠금부(150)의 제1록킹 샤프트(153)가 후퇴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록킹 샤프트(153)와 상기 제1잠금유닛(100)의 제1잠금 플레이트(130)의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며, 상기 제1잠금 플레이트(130)의 움직임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 제1잠금부(150)가 잠금해제 되면, 사용자는 상기 핸들(12)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도어(10)를 개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제1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잠금부(260)는 잠금해제되지 않는다.
상기 제2잠금부(160)는 계속하여 상기 제2잠금유닛(200)의 제2록킹 가이드(220)의 회전을 제한하므로, 사용자가 열쇠를 상기 열쇠 삽입부(210)에 삽입하더라도 상기 제2도어(20)를 개방할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입력부(110)에 제1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제1수용공간(4, 5)에는 접근 가능하나, 상기 제2수용공간(6)에는 접근 불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제2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기 설정된 제2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5)는 상기 제1잠금부(150) 및 상기 제2잠금부(160)가 잠금해제 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5)는 상기 제1잠금부(150)의 제1록킹 샤프트(153)가 후퇴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록킹 샤프트(153)와 상기 제1잠금유닛(100)의 제1잠금 플레이트(130)의 결합이 해제되며, 상기 제1잠금 플레이트(130)의 움직임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 제1잠금부(150)가 잠금해제 되면, 사용자는 상기 핸들(12)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도어(10)를 개방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제어부(5)는 상기 제2잠금부(260)의 솔레노이드(263)에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제2록킹 샤프트(267)가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록킹 샤프트(267)와 상기 제2록킹 가이드(220)의 결합이 해제되며, 상기 제2록킹 가이드(220)의 움직임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 제2잠금부(260)가 잠금해제 되면, 사용자는 상기 열쇠 삽입부(210)에 열쇠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도어(20)를 개방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부(110)에 제2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제1도어(10) 및 상기 제2도어(20)를 모두 개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수용공간(4, 5) 및 상기 제2수용공간(6)에 모두 접근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도어(2)에 열쇠 삽입부(210) 대신 핸들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2잠금부(260)가 잠금 해제된 경우에는 열쇠 없이도 상기 제2도어(2)를 개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 잠금장치(1)에 두개의 도어 및 두개의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도어 잠금장치(1)는 다수개의 도어 및 다수개의 도어 내측에 구비되는 각각의 수용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비밀번호가 다수개로 설정될 수 있으며, 각 비밀번호에 따라 잠금 해제되는 도어의 개수가 상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1)는 복수의 도어에 의해 수용공간이 복수개로 구획되고, 각 수용공간에 접근가능한 비밀번호를 각각 별도로 설정함으로써, 접근 권한에 따른 비밀번호를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도어 잠금장치(1)의 내부 공간을 접근 권한 별로 나누어 복수의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 측면에서 효율적이며, 도어 잠금장치(1)의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도어 잠금장치 10: 제1도어
20: 제2도어 100: 제1잠금유닛
200: 제2잠금유닛

Claims (10)

  1. 제1수용공간을 개폐하는 제1도어;
    상기 제1도어에 장착되며, 상기 제1도어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잠금유닛;
    상기 제1잠금유닛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1잠금부;
    상기 제1수용공간에 구비되는 보관함을 개폐하는 제2도어;
    상기 제2도어에 장착되며, 상기 제2도어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잠금유닛;
    상기 제2잠금유닛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2잠금부;
    상기 제1도어에 구비되며,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제1잠금부 및 상기 제2잠금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기 설정된 제1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제1잠금부를 잠금 해제하고, 상기 제2잠금부는 동작불가능한 상태이며,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기 설정된 제2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 1잠금부를 잠금해제하고 상기 제 2잠금부는 동작가능한 상태로 변경되는 도어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부 또는 상기 제2잠금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비밀번호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비밀번호는,
    상기 제1잠금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1비밀번호와,
    상기 제1잠금부 및 상기 제2잠금부를 모두 작동시키기 위한 제2비밀번호를 포함하는 도어 잠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유닛은,
    상기 제1도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도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1 및 제2잠금 플레이트와,
    상기 제1도어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잠금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회전의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잠금 플레이트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제1도어를 이동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제1록킹 가이드를 포함하는 도어 잠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부는 상기 제1잠금 플레이트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제1록킹 샤프트를 포함하는 도어 잠금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록킹 가이드와 연결되는 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이 회전하면, 상기 제1록킹 가이드는 상기 핸들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1도어를 이동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도어 잠금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잠금유닛은,
    상기 제2도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도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1 및 제2잠금 플레이트와,
    상기 제2도어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잠금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회전의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잠금 플레이트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제2도어를 이동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제2록킹 가이드를 포함하는 도어 잠금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잠금부는 상기 제2록킹 가이드에 선택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2록킹 가이드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2록킹 샤프트를 포함하는 도어 잠금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잠금부는,
    상기 제2도어의 배면에 장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제2록킹 샤프트과 연결되는 솔레노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록킹 샤프트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솔레노이드는 상기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2록킹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도어 잠금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제2록킹 가이드와 연결되는 열쇠 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쇠 삽입부에 열쇠가 삽입되어 회전하면, 상기 제2록킹 가이드는 상기 열쇠 삽입부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2도어를 이동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도어 잠금장치.
  10. 내부에 제1수용공간을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상기 제1수용공간을 개폐하는 제1도어;
    상기 제1도어에 움직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도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1잠금유닛;
    상기 제1잠금유닛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1잠금부;
    상기 제1수용공간에 구비되며, 내부에 제2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보관함;
    상기 보관함에 구비되며, 상기 제2수용공간을 개폐하는 제2도어;
    상기 제2도어에 움직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2도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2잠금유닛;
    상기 제2잠금유닛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2잠금부;
    상기 제1도어에 구비되며,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제1잠금부 및 상기 제2잠금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기 설정된 제1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잠금부를 작동시켜 상기 제1잠금유닛이 작동 가능한 상태로 만들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기 설정된 제2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잠금부 및 상기 제2잠금부를 작동시켜 상기 제1잠금유닛과 상기 제2잠금유닛이 작동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금고.

KR1020150166302A 2015-11-26 2015-11-26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KR101726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302A KR101726078B1 (ko) 2015-11-26 2015-11-26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302A KR101726078B1 (ko) 2015-11-26 2015-11-26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6078B1 true KR101726078B1 (ko) 2017-04-11

Family

ID=58580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302A KR101726078B1 (ko) 2015-11-26 2015-11-26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0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7908B1 (ko) 2020-09-22 2021-07-16 김근현 원터치 도어 록킹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825Y1 (ko) * 2006-05-02 2006-09-20 박장호 다기능 디지털 도어
JP2011063997A (ja) * 2009-09-17 2011-03-31 Sumitomo Mitsui Banking Corp 金庫室の管理システム、金庫室の管理方法及び金庫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825Y1 (ko) * 2006-05-02 2006-09-20 박장호 다기능 디지털 도어
JP2011063997A (ja) * 2009-09-17 2011-03-31 Sumitomo Mitsui Banking Corp 金庫室の管理システム、金庫室の管理方法及び金庫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7908B1 (ko) 2020-09-22 2021-07-16 김근현 원터치 도어 록킹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9174B2 (ja) ロック可能格納装置
KR200227883Y1 (ko) 보안 파일 케비넷 도어의 시건장치
CZ61997A3 (en) Electronic safety system
US10337206B2 (en) Hidden-lock door panel and containing device having the same
KR101726078B1 (ko)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KR101104867B1 (ko) 대여금고 시스템 및 이의 사용 방법
CN114423920B (zh) 无源电子锁及其使用方法
JP5174710B2 (ja) 貸金庫システム
WO2008069210A1 (ja) 鍵付保管庫
KR20110005371U (ko) 사생활 보호를 위한 대여 금고
JP2009133063A (ja) 電子錠式キャビネット
KR102319726B1 (ko) 시간설정을 이용한 스마트 이중금고
KR102440481B1 (ko) 캐비닛용 잠금 장치
KR102098177B1 (ko) 지문모듈을 이용한 스마트 이중금고
KR200217975Y1 (ko) 비밀문건 보관용 보안 용기의 개폐 제어장치
KR101099758B1 (ko) 대여금고용 도어 잠금장치
KR102588288B1 (ko)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US8794420B1 (en) Secure storage apparatus
KR102588302B1 (ko)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CN208502597U (zh) 一种入户门和入户系统
KR102118177B1 (ko) 해제수단의 은폐가 가능한 후면 배치형 캐비닛용 도어락 장치
KR100559108B1 (ko) 디지털 도어락 개폐장치
KR20020027284A (ko) 보안 파일 케비넷 도어의 시건장치
TW202118930A (zh) 具雙重鎖機制之容置櫃
KR20120058084A (ko) 보관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