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8302B1 -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 Google Patents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8302B1
KR102588302B1 KR1020210124347A KR20210124347A KR102588302B1 KR 102588302 B1 KR102588302 B1 KR 102588302B1 KR 1020210124347 A KR1020210124347 A KR 1020210124347A KR 20210124347 A KR20210124347 A KR 20210124347A KR 102588302 B1 KR102588302 B1 KR 102588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main support
support part
safe
shaf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4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0803A (ko
Inventor
오상규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4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302B1/ko
Priority to PCT/KR2022/013729 priority patent/WO2023043192A1/ko
Publication of KR20230040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4Closure faste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4Arrangement of several locks or locks with several bolts, e.g. arranged one behind the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7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fire-resisting cabin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 E05Y2900/208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for metal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돌출된 잠금 상태 및 상기 잠금 상태로부터 이탈된 개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일 수 있는 락킹부; 상기 락킹부를 지지하고, 상기 바디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메인지지부; 및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회전축을 가지며, 타측은 상기 메인지지부에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지지부는, 상기 락킹부가 상기 잠금 상태 및 상기 개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부터 다른 하나의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커넥터에 대응하여 상기 전후방향과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금고도어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DOOR FOR SAFE AND SAF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금고는 현금, 유가증권, 보석류, 귀중 서류 등의 귀중품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귀중품의 소유자 이외의 제3자가 금고를 개방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귀중품을 무단으로 가져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금고는 제3자가 귀중품을 무단으로 가져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잠금장치를 통하여 도어를 개폐한다. 즉, 평소에는 귀중품을 보관하기 위하여 케이스에 대하여 닫힌 후 잠금장치에 의해 도어는 잠기지만, 사용자가 귀중품을 케이스 내부에 넣거나 뺄 경우에는 잠금장치가 해제되고 도어는 열릴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금고 관련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불법적으로 금고를 열기 위한 기술도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어의 잠금장치를 파손하거나 도어에 미세한 구멍을 뚫어, 잠금장치의 락킹을 해제하는 경우 있다.
따라서, 금고의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고, 제3자에 의해 금고가 개방되더라도 경찰이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을 때까지 금고의 개방을 최대한 늦출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금고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금고도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금고의 개방을 최대한 늦출 수 있는 금고도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디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돌출된 잠금 상태 및 상기 잠금 상태로부터 이탈된 개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일 수 있는 락킹부; 상기 락킹부를 지지하고, 상기 바디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메인지지부; 및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회전축을 가지며, 타측은 상기 메인지지부에 연결되는 커넥터; 및 보조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지지부는, 상기 락킹부가 상기 잠금 상태 및 상기 개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부터 다른 하나의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커넥터에 대응하여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락킹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제1 락킹샤프트;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락킹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락킹샤프트 중 어느 일부는 다른 일부보다 길이가 길도록 연장되며, 상기 메인지지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제1 락킹샤프트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락킹샤프트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측 가장자리부에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메인가이드가 형성되고, 하측 가장자리부에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메인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지지부는, 상기 메인지지부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지지되며, 상기 어느 일부의 제1 락킹샤프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제2 락킹샤프트 중 어느 일부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측 가장자리부에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연장 형성되는 제1 보조가이드가 형성되는 제1 보조지지체; 및 상기 메인지지부의 하측 가장자리부에 지지되며, 상기 메인지지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제2 락킹샤프트 중 또 다른 일부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하측 가장자리부에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연장 형성되는 제2 보조가이드가 형성되는 제2 보조지지체를 포함하는 금고도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부는, 상기 바디부의 둘레를 따라 서로 간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락킹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지지부는, 상기 복수 개의 락킹샤프트 중 어느 일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복수 개의 락킹샤프트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금고도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지지부에는 상기 락킹부와 맞물리며, 상기 락킹부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메인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가이드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 개의 락킹샤프트는, 상기 다른 일부의 락킹샤프트가 상기 메인가이드를 따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금고도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락킹샤프트 중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어느 일부의 락킹샤프트에 지지되는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지지부는, 상기 어느 일부의 락킹샤프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락킹샤프트 중 다른 일부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금고도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지지부에 지지되며, 상기 메인지지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락킹샤프트 중 어느 일부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금고도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락킹샤프트 중 일부는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양측 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놓이며, 상기 메인지지부는, 상기 일부의 락킹샤프트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금고도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지지부는 상기 락킹부 보다 후방측에서 상기 락킹부를 지지하는, 금고도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메인지지부 보다 후방측에서 상기 메인지지부에 지지되는, 금고도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바디를 포함하는, 금고도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금고케이스; 및 상기 금고케이스 내부의 공간을 외부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금고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금고도어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돌출된 잠금 상태 및 상기 잠금 상태로부터 이탈된 개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일 수 있는 락킹부; 상기 락킹부를 지지하고, 상기 바디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메인지지부;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회전축을 가지며, 타측은 상기 메인지지부에 연결되는 커넥터; 및 보조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지지부는, 상기 락킹부가 상기 잠금 상태 및 상기 개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부터 다른 하나의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커넥터에 대응하여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락킹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제1 락킹샤프트;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제2 락킹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락킹샤프트 중 어느 일부는 다른 일부보다 길이가 길도록 연장되며, 상기 메인지지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제1 락킹샤프트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락킹샤프트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측 가장자리부에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메인가이드가 형성되고, 하측 가장자리부에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메인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지지부는, 상기 메인지지부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지지되며, 상기 어느 일부의 제1 락킹샤프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제2 락킹샤프트 중 어느 일부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측 가장자리부에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연장 형성되는 제1 보조가이드가 형성되는 제1 보조지지체; 및 상기 메인지지부의 하측 가장자리부에 지지되며, 상기 메인지지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제2 락킹샤프트 중 또 다른 일부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하측 가장자리부에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연장 형성되는 제2 보조가이드가 형성되는 제2 보조지지체를 포함하는, 금고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금고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금고의 개방을 최대한 늦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고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금고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태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금고도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금고도어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락킹부가 잠금 상태에 놓였을 때의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의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전후 방향 등의 방향에 대한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한편, 본 명세서의 전후 방향은 도 1, 도 2 및, 도 4 및 도 5에서 x축 방향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방향은 도 1, 도 2 및, 도 4 및 도 5에서 y축 방향일 수 있으며, 제2 방향은 z축 방향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고(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고(1)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사용자의 귀중품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고(1)는 사용자의 현금, 유가증권, 보석류, 귀중 서류 등의 귀중품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금고(1)는 보관된 귀중품이 사용자가 아닌 제3자에 의해 무단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금고(1)는 금고케이스(10) 및 금고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금고케이스(10)는 내부에 귀중품을 보관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금고케이스(10)는 금고도어(20)에 의해 외부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금고케이스(10)는 외력에 의해 쉽게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금고케이스(10)는 드릴과 같은 도구로 쉽게 뚫리지 않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금고도어(20)는 금고케이스(10) 내부의 공간을 외부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고도어(20)는 힌지를 통하여 금고케이스(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금고도어(20)는 후술할 락킹부(300)가 개방 상태에 놓이면 금고케이스(10)를 개폐하기 위하여 금고케이스(10)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또한, 금고도어(20)는 금고케이스(10)의 입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락킹부(300)가 잠금 상태에 놓이면 금고케이스(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락킹부(300)의 잠금 상태 해제 없이는 금고케이스(10) 내부를 개방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금고도어(20)는 바디부(100), 커넥터(200), 락킹부(300), 메인지지부(400), 보조지지부(500), 핸들(600), 베이스부(700) 및 잠금유닛(8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바디부(100)는 바디부(100), 커넥터(200), 락킹부(300), 메인지지부(400), 보조지지부(500), 핸들(600) 및 베이스부(7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바디부(100)는 일 예로, 힌지를 통하여 금고케이스(10)에 연결될 수 있으며, 금고케이스(1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00)는 금고케이스(10) 내부를 외부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바디부(100)의 전방측 외주면에는 핸들(600)이 배치될 수 있으며, 바디부(100)는 핸들(600)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핸들(600)을 당기면 바디부(100)는 핸들(600)을 지지한 채로 금고케이스(1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바디부(100)는 복수 개의 바디(110, 120, 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바디(110, 120, 130)는 제1 바디(110), 제2 바디(120) 및 제3 바디(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10)는 제2 바디(120) 및 제3 바디(130) 보다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바디(110)는 금고케이스(10)의 내부 공간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바디(120)는 제1 바디(110)와 제3 바디(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바디(130)는 외부와 대향하도록 제1 바디(110) 및 제2 바디(120) 보다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바디(110), 제2 바디(120) 및 제3 바디(130)는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서로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후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바디(110)의 적어도 일부는 제2 바디(120) 및 제3 바디(130)와 중첩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바디(110), 제2 바디(120) 및 제3 바디(130)가 3겹의 구조로 배치됨으로써 최외측의 제3 바디(130)가 침입자에 의해 훼된된다 하더라도 제1 바디(110) 및 제2 바디(120)에 의해 금고케이스(10) 내부는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침입자에 의해 금고(1)가 개방되더라도 침입자가 제1 바디(110), 제2 바디(120) 및 제3 바디(130) 모두를 뚫는데 걸리는 시간을 최대한 늦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커넥터(200)는 핸들(600)의 회전운동을 메인지지부(40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200)는 일측이 핸들(600)과 연결되고, 타측이 메인지지부(4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200)는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회전축을 가질 수 있으며,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의 회전축은 핸들(600)의 회전축과 나란할 수 있으며, 동축(coaxial)을 이룰 수 있다. 이로 인해, 핸들(600)이 사용자에 의해 회전할 경우 커넥터(200)는 핸들(600)에 대응하여 일측을 중심으로 타측이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터(200)의 타측에 연결된 메인지지부(400)도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200)에는 후술할 걸림구(420)와 맞물릴 수 있는 맞물림구(21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물림구(210)는 걸림구(420)가 삽입될 수 있는 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맞물림구(210)는 홀 형상을 가지는 걸림구(420)에 맞물릴 수 있는 돌기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맞물림구(2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으며, 걸림구(420)는 맞물림구(210)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커넥터(200)가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면 커넥터(200)의 타측의 회전에 의해 메인지지부(400)는 직선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200)는 메인지지부(400)보다 후방측에서 메인지지부(400)에 지지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락킹부(300)는 금고도어(20)를 금고케이스(10)에 대하여 락킹할 수 있다. 이러한 락킹부(300)는 잠금 상태 및 개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락킹부(300)는 잠금 상태에 놓일 때, 바디부(100)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돌출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즉, 락킹부(300)가 바디부(100)로부터 돌출되어 락킹부(30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바디부(100)의 외측을 향하여 노출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락킹부(300)는 개방 상태에 놓일 때, 잠금 상태로부터 이탈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즉, 락킹부(30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바디부(100)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지 않도록 바디부(100)로 인입된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락킹부(300)는 메인지지부(400)에 지지되며, 메인지지부(400)의 이동에 의해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락킹부(300)는 메인지지부(400)가 제1 방향 일측(예를 들어, 도 4의 좌측)으로 이동하면 개방 상태에 놓일 수 있다. 또한, 락킹부(300)는 메인지지부(400)가 제1 방향 타측(예를 들어, 도 5의 우측)으로 이동하면 잠금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락킹부(300)는 제1 락킹샤프트(310) 및 제2 락킹샤프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락킹샤프트(310)는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메인지지부(40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락킹샤프트(310)는 메인지지부(400)의 제1 방향 이동에 의해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태가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제1 락킹샤프트(31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제1 락킹샤프트(310)는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간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1 락킹샤프트(310) 중 제2 방향에 있어서 최외측에 배치된 일부는 바디부(100)의 제2 방향 양측 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제1 락킹샤프트(310) 중 어느 일부는 다른 일부보다 제1 방향에 있어서 길이가 더 길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제1 락킹샤프트(310) 중 어느 일부는 제1 방향에 있어서 일측 단부가 베이스부(700)의 상측 또는 하측에 놓이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제1 락킹샤프트(310) 중 어느 일부에는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홀에는 후술할 제1 진퇴부재(811) 및 제2 진퇴부재(821)가 삽입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진퇴부재(811) 및 제2 진퇴부재(821)가 제1 락킹샤프트(310)에 삽입되면, 제1 락킹샤프트(310)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제2 락킹샤프트(320)는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보조지지부(50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락킹샤프트(320)는 보조지지부(500)의 제1 방향 이동에 의해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태가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제2 락킹샤프트(32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제2 락킹샤프트(320)는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간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2 락킹샤프트(320) 중 어느 일부는 바디부(10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방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2 락킹샤프트(320) 중 다른 일부는 바디부(100)의 하측에 배치되어 하방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메인지지부(400)는 락킹부(300)를 지지하며, 바디부(1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인지지부(400)는 커넥터(200)의 회전에 의해 제1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지지부(400)는 락킹부(300)가 잠금 상태 및 개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부터 다른 하나의 상태로 전환되도록 커넥터(200)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1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지지부(400)는 락킹부(300)보다 후방측에서 락킹부(3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메인지지부(400)는 제2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제1 락킹샤프트(310)를 지지하기 위하여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방향에 있어서 메인지지부(400)의 양측 단부는 제2 방향에 있어서 바디부(100)의 양측 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한편, 메인지지부(400)에는 메인가이드(410), 걸림구(420) 및 관통홀(430)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가이드(410)는 제2 락킹샤프트(320)와 맞물리며, 제2 락킹샤프트(32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가이드(410)는 제1 메인가이드(411) 및 제2 메인가이드(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인가이드(411)는 메인지지부(400)의 상측에 형성되며, 메인지지부(400)를 관통하는 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메인가이드(411)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 예로 상방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2 메인가이드(412)는 메인지지부(400)의 하측에 형성되며, 메인지지부(400)를 관통하는 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메인가이드(412)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 예로 하방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걸림구(420)는 커넥터(200)의 맞물림구(210)와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걸림구(420)는 메인지지부(400)로부터 후방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구(420)는 커넥터(200)가 회전할 때, 커넥터(200)의 회전 동력을 메인지지부(400)로 전달할 수 있다.
관통홀(430)은 핸들(600)의 회전축이 관통할 수 있도록 메인지지부(40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430)을 통하여 핸들(600)은 커넥터(200)와 연결될 수 있다.
보조지지부(500)는 제2 락킹샤프트(320)와 맞물리며, 제2 락킹샤프트(32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지지부(500)는 제1 보조지지체(510) 및 제2 보조지지체(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지지체(510)는 복수 개의 제1 락킹샤프트(310) 중 어느 일부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보조지지체(510)에는 제2 락킹샤프트(320)가 맞물릴 수 있는 제1 보조가이드(5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보조가이드(511)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방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보조지지체(510)는 제1 락킹샤프트(310)에 대응하여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2 락킹샤프트(320)를 제2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보조지지체(520)는 메인지지부(40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보조지지체(520)에는 제2 락킹샤프트(320)가 맞물릴 수 있는 제2 보조가이드(5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보조가이드(512)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하방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처럼, 제2 보조가이드(512)는 메인지지부(400)에 대응하여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2 락킹샤프트(320)를 제2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핸들(600)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핸들(600)은 바디부(100)에 지지되며, 적어도 일부가 바디부(1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핸들(600)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 및 커넥터(200)와 연결되는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700)는 잠금유닛(80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700)는 바디부(100)에 지지되며, 바디부(100)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700)는 제2 방향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제1 락킹샤프트(310) 중 어느 일부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잠금유닛(800)은 사용자의 입력이 인가되면 락킹부(300)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잠금유닛(800)은 제1 잠금유닛(810) 및 제2 잠금유닛(8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잠금유닛(810)은 복수 개의 제1 락킹샤프트(310) 중 어느 하나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잠금유닛(810)은 열쇠(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으며, 열쇠의 회전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잠금유닛(810)은 잠금 위치 또는 허용 위치로 이동하는 제1 진퇴부재(8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진퇴부재(811)는 잠금 위치에 놓이면 제1 락킹샤프트(310)에 삽입될 수 있으며, 허용 위치에 놓이면 제1 락킹샤프트(31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2 잠금유닛(820)은 복수 개의 제1 락킹샤프트(310) 중 다른 하나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잠금유닛(820)은 패드부(미도시)를 가지며,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인가 받을 수 있다. 또한, 제2 잠금유닛(820)은 잠금 위치 또는 허용 위치로 이동하는 제2 진퇴부재(8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진퇴부재(821)는 잠금 위치에 놓이면 제1 락킹샤프트(310)에 삽입될 수 있으며, 허용 위치에 놓이면 제1 락킹샤프트(31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고도어(20)는 커넥터, 락킹부(300), 메인지지부(400) 및 보조지지부(500)의 구성에 의해 용이하게 금고도어(20)를 잠그거나 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디부(100)를 복수 개의 바디(110, 120, 130)로 구성하여, 침입자가 쉽게 바디부(100)를 뚫지 못하고, 금고(1)를 개방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최대로 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인지지부(400)가 제2 방향에 있어서 바디부(100)의 양측 단부와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크기를 늘림으로써 금고도어(20)의 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금고
10: 금고케이스 20: 금고도어
100: 바디부 110: 제1 바디
120: 제2 바디 130: 제3 바디
200: 커넥터 210: 맞물림구
300: 락킹부 310: 제1 락킹샤프트
320: 제2 락킹샤프트 400: 메인지지부
410: 메인가이드 411: 제1 메인가이드
412: 제2 메인가이드 420: 걸림구
430: 관통홀 500: 보조지지부
510: 제1 보조지지체 511: 제1 보조가이드
520: 제2 보조지지체 521: 제2 보조가이드
600: 핸들 700: 베이스부
800: 잠금유닛 810: 제1 잠금유닛
811: 제1 진퇴부재 820: 제2 잠금유닛
821: 제2 진퇴부재

Claims (10)

  1. 바디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돌출된 잠금 상태 및 상기 잠금 상태로부터 이탈된 개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일 수 있는 락킹부;
    상기 락킹부를 지지하고, 상기 바디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메인지지부; 및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회전축을 가지며, 타측은 상기 메인지지부에 연결되는 커넥터; 및
    보조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지지부는,
    상기 락킹부가 상기 잠금 상태 및 상기 개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부터 다른 하나의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커넥터에 대응하여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락킹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제1 락킹샤프트;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락킹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락킹샤프트 중 어느 일부는 다른 일부보다 길이가 길도록 연장되며,
    상기 메인지지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제1 락킹샤프트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락킹샤프트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측 가장자리부에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메인가이드가 형성되고, 하측 가장자리부에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메인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지지부는,
    상기 메인지지부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지지되며, 상기 어느 일부의 제1 락킹샤프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제2 락킹샤프트 중 어느 일부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측 가장자리부에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연장 형성되는 제1 보조가이드가 형성되는 제1 보조지지체; 및
    상기 메인지지부의 하측 가장자리부에 지지되며, 상기 메인지지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제2 락킹샤프트 중 또 다른 일부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하측 가장자리부에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연장 형성되는 제2 보조가이드가 형성되는 제2 보조지지체를 포함하는,
    금고도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지지부에는 상기 락킹부와 맞물리며, 상기 락킹부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메인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가이드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 락킹샤프트 중 다른 일부는, 상기 메인가이드를 따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금고도어.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지지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락킹샤프트 중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양측 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놓인 제1 락킹샤프트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금고도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지지부는 상기 락킹부 보다 후방측에서 상기 락킹부를 지지하는,
    금고도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메인지지부 보다 후방측에서 상기 메인지지부에 지지되는,
    금고도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바디를 포함하는,
    금고도어.
  10.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금고케이스; 및
    상기 금고케이스 내부의 공간을 외부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금고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금고도어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돌출된 잠금 상태 및 상기 잠금 상태로부터 이탈된 개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일 수 있는 락킹부;
    상기 락킹부를 지지하고, 상기 바디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메인지지부;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회전축을 가지며, 타측은 상기 메인지지부에 연결되는 커넥터; 및
    보조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지지부는,
    상기 락킹부가 상기 잠금 상태 및 상기 개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부터 다른 하나의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커넥터에 대응하여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락킹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제1 락킹샤프트;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제2 락킹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락킹샤프트 중 어느 일부는 다른 일부보다 길이가 길도록 연장되며,
    상기 메인지지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제1 락킹샤프트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락킹샤프트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측 가장자리부에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메인가이드가 형성되고, 하측 가장자리부에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메인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지지부는,
    상기 메인지지부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지지되며, 상기 어느 일부의 제1 락킹샤프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제2 락킹샤프트 중 어느 일부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측 가장자리부에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연장 형성되는 제1 보조가이드가 형성되는 제1 보조지지체; 및
    상기 메인지지부의 하측 가장자리부에 지지되며, 상기 메인지지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제2 락킹샤프트 중 또 다른 일부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하측 가장자리부에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연장 형성되는 제2 보조가이드가 형성되는 제2 보조지지체를 포함하는,
    금고.
KR1020210124347A 2021-09-16 2021-09-16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KR102588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347A KR102588302B1 (ko) 2021-09-16 2021-09-16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PCT/KR2022/013729 WO2023043192A1 (ko) 2021-09-16 2022-09-14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347A KR102588302B1 (ko) 2021-09-16 2021-09-16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803A KR20230040803A (ko) 2023-03-23
KR102588302B1 true KR102588302B1 (ko) 2023-10-11

Family

ID=85603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4347A KR102588302B1 (ko) 2021-09-16 2021-09-16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88302B1 (ko)
WO (1) WO202304319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902B1 (ko) * 2012-05-03 2013-09-1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도어용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6216A (ja) * 2000-10-03 2002-04-10 Itoki Crebio Corp 金庫等における扉の非常ロック装置
KR20060112280A (ko) * 2005-04-25 2006-10-3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고잠금장치
KR100953706B1 (ko) * 2008-06-26 2010-04-19 김영숙 캠 방식의 자동 잠금장치를 갖춘 전자식 금고
KR20130035505A (ko) * 2011-09-30 2013-04-09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도어용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902B1 (ko) * 2012-05-03 2013-09-1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도어용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803A (ko) 2023-03-23
WO2023043192A1 (ko)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1314B2 (en) Padlock
TWM520561U (zh) 鎖具
US7984630B2 (en) Locker lock
US20130298808A1 (en) Security safe and self-service terminal provided with same
IL175231A (en) Padlock hasp assembly
KR102588302B1 (ko)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US20070261450A1 (en) Door lock structure
KR102588264B1 (ko)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KR102588288B1 (ko)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JP4446751B2 (ja) 鍵穴保護装置
US9810002B2 (en) Rotary cable latch
JP2008104578A5 (ko)
KR20130113111A (ko) 도어용 잠금장치
KR20230041301A (ko)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KR101372371B1 (ko)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KR20120101256A (ko) 도어용 잠금장치
KR100869609B1 (ko) 도어 잠금구조
KR101726078B1 (ko)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KR200496455Y1 (ko) 비상 해제부를 구비한 전자락 입력부를 포함하는 금고
JP2006274548A (ja) 錠装置
KR200420902Y1 (ko) 금고함의 도어록킹장치
KR101740141B1 (ko)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KR102580801B1 (ko) 디지털 도어락
JP2021038583A (ja) ロック装置
JP4928153B2 (ja) シリンダーキーを用いた開閉扉の施錠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