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141B1 -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 Google Patents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141B1
KR101740141B1 KR1020150134287A KR20150134287A KR101740141B1 KR 101740141 B1 KR101740141 B1 KR 101740141B1 KR 1020150134287 A KR1020150134287 A KR 1020150134287A KR 20150134287 A KR20150134287 A KR 20150134287A KR 101740141 B1 KR101740141 B1 KR 101740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means
frame
coupled
b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5454A (ko
Inventor
이상구
연제성
조우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50134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141B1/ko
Publication of KR20170035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4Closure faste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7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fire-resisting cabin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26Closure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는, 수용부를 갖는 금고의 케이스에 결합되는 도어;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록킹 프레임; 및 상기 도어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록킹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를 상기 금고의 케이스에 구속시키도록 형성되는 잠금바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바와 상기 록킹 프레임의 잠금 해제 시 상기 도어는 상기 케이스에서 분리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케이스에 대해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다.

Description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Door locking apparatus and safe}
본 발명은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에 관한 것이다.
금고는 현금, 유가증권, 보석류, 귀중 서류 등을 보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금고는 내부에 구비된 대상체의 도난 방지를 위한 잠금구조를 구비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02449호에는, 보호가 필요한 대상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도어 잠금구조가 개시된다.
이러한 종래의 도어 잠금구조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도어 로킹 플레이트와, 상기 로킹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로킹 플레이트와 함께 이동되는 슬라이드 핀과, 상기 슬라이드 핀의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 조립체를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금고를 개폐하는 도어는, 금고의 전면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되므로, 도어의 회동 영역이 과도하게 넓은 단점이 있다. 즉, 도어의 열림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또는 다른 물품 등에 도어가 걸리게 되므로, 금고에 인접 영역은 활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금고의 개폐 방법을 개선할 수 있는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는, 수용부를 갖는 금고의 케이스에 결합되는 도어;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록킹 프레임; 및 상기 도어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록킹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를 상기 금고의 케이스에 구속시키도록 형성되는 잠금바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바와 상기 록킹 프레임의 잠금 해제 시 상기 도어는 상기 케이스에서 분리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케이스에 대해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다.
다른 측면에 따른 금고는, 외면 상에 내부를 향해 함몰되는 바스켓 수용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바스켓 수용부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의 전면에 결합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레버; 상기 도어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레버의 회동에 따라 회동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커넥터의 회동에 따라 이동되는 가동 프레임; 및 상기 가동 프레임의 가장자리 중 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동 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상기 도어를 이동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잠금수단을 포함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도어와 바스켓을 케이스의 내부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기에서 금고가 열렸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와 바스켓의 결합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회전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잠금수단이 케이스의 내측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잠금수단을 확대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결합부에 제 2 잠금수단이 끼워지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잠금수단이 케이스의 내측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고가 열렸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와 바스켓의 결합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를 구비한 수납함은 일 예로 금고(100)일 수 있다.
상기 금고(100)는, 도어(210)와, 상기 도어(210)의 내측에 결합되어 케이스(101)의 내, 외부로 인출입되는 바스켓(201)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1)의 내부에는, 전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상기 바스켓(201)이 수용되는 바스켓 수용부(1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스켓(201)이 상기 바스켓 수용부(120)에 수용되어, 상기 케이스(101)에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바스켓(201)은, 예를 들어 매체가 저장되는 카세트(110)를 수용할 수 있는 보관함(20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스켓(201)의 전면에는 상기 바스켓 수용부(120)를 차폐하는 도어(210)가 결합된다.
일 예로서 상기 바스켓(201)에 수용될 수 있는 상기 카세트(110)는, 입금부(미도시)를 통해 상기 금고(100)의 내부로 입금된 매체가 저장되는 매체 보관부일 수 있다. 상기 카세트(110)는 매체의 종류가 구분되도록 복수의 카세트로 구비되어 상기 바스켓(201)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201)은 서랍식으로 인출/입 가능하도록 상기 바스켓 수용부(120)에 장착되며, 이를 위해 상기 바스켓(201)의 측면에는 슬라이드 레일(25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바스켓 수용부(120)의 벽면에도 상기 슬라이드 레일(250)이 슬라이드 이동 하기 위한, 레일 가이드(107)가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드 레일(250)와 상기 레일 가이드(107)는 상호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어, 서로 맞물리는 위치에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레일(250)이 복수로 구비될 경우, 상기 복수의 슬라이드 레일(250)에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250)의 거리를 유지시키기 위한 유지장치(252)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스켓(201)의 슬라이드 레일(250)은 상기 레일 가이드(107)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 됨으로써, 상기 바스켓(201)이 상기 케이스(101)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상기 바스켓 수용부(120)를 향해 인입될 수 있다.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기 슬라이드 레일(250)의 하측에는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롤러는 상기 레일 가이드(107) 상에서 회전을 통해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는 보다 적은 힘으로 상기 바스켓(201)을 인출/입 시킬 수 있다.
상기 바스켓(201)의 전면에는 도어(210)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210)의 후측에 상기 바스켓(201)이 결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바스켓(201)은 상기 케이스(101)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상기 케이스(101)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210)는 상기 바스켓(201)이 수납된 상기 바스켓 수용부(120)를 차폐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금고(100)의 전면을 형성한다. 상기 도어(210)의 전면에는 레버(220), 다이얼키(230), 열쇠 투입구(240)가 구비된다.
상기 레버(220)는 상기 도어(210)의 외부에서 상기 도어(210)를 열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후술할 도어 잠금장치를 작동시킨다. 즉, 상기 바스켓(201)이 상기 케이스(101)에 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220)를 회동시키면 상기 바스켓(201)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다이얼키(230)는, 상기 도어(21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거나, 해제 상태를 잠그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즉, 상기 다이얼키(230)는 상기 레버(220)가 제 3 자의 의해 조작되지 않도록 상기 레버(220)의 동작 상태를 잠금시켜, 제 3 자가 무단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다이얼키(230)는 회전에 의해 상기 바스켓(201)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는 방식 외에도, 비밀 번호를 입력하는 구성으로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열쇠 투입구(240)는 상기 다이얼키(230)를 보충하는 2 차 도난 방지 수단으로서, 내부에 홈이 형성되어 열쇠가 투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스켓(201)은 상기 다이얼키(230) 외에도, 열쇠 방식의 잠금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비정상적인 도어의 열림을 방지하여 금고 내부에 수용된 물건 등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바스켓(201)의 인출/입을 위해 상기 도어(210)를 개폐하는 도어 잠금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회전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에는 도어 잠금장치와 금고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도어 잠금장치와 금고의 잠금 상태가 도시된다.
도 3 및 도 4에서 점선은 금고(101) 내부에 구비되는 록킹 프레임(locking frame: 102)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210)의 내측에는 도어 잠금장치(211)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 잠금장치(211)는 상기 레버(220)의 회동에 따라 회동되는 커넥터(310), 상기 커넥터의 이동에 따라 움직이는 가동 프레임(320) 및 가동 프레임(320)의 이동에 따라서 케이스(101) 내부에 구비되는 록킹 프레임(102)에 결합되는 잠금 수단(330, 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 프레임(320)은 상기 커넥터(31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 1 프레임(322)과 제 2 프레임(3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 수단(330, 340)은 상기 가동 프레임(320)의 가장자리 중 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잠금수단(330, 340)은 일 예로 상기 가동 프레임(320)의 좌우 양측에 결합되는 제 1 잠금수단(340)과, 상기 가동 프레임(320)의 상, 하측에 결합되는 제 2 잠금수단(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잠금장치(21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상기 도어(210)의 배면에 부가적인 구성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상기 도어(210)의 배면 중 전면에 구비된 상기 다이얼키(230)가 형성되는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는, 상기 다이얼키(230)와 연결된 제 1 잠금 어셈블리(360)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잠금 어셈블리(360)는 상기 다이얼키(230)의 조작을 통해 연동되며, 상기 도어 잠금장치(211)의 동작을 잠금 또는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210)의 배면 중 전면에 구비된 상기 열쇠 투입구(240)가 형성되는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는, 상기 열쇠 투입구(240)와 연결되는 제 2 잠금 어셈블리(370)가 구비된다. 상기 제 2 잠금 어셈블리(360)는 열쇠가 상기 열쇠 투입구(240)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조작을 통해 연동되며, 마찬가지로 상기 도어 잠금장치(211)의 동작을 잠금 또는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 잠금장치(211) 중 상기 커넥터(310)는, 상기 도어(210)의 배면 중 전면에 구비된 상기 레버(220)가 구비되는 영역에 대응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310)는 상기 레버(220)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도어(210)의 배면에서 회동된다.
이를 위해, 상기 레버(220)의 회동 중심을 연결하는 회전축이 상기 도어(210)의 전, 후면을 관통하여, 일단은 상기 레버(220)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레버(220)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고, 타단은 상기 커넥터(310)의 중앙부(312)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커넥터(310)의 회전 중심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310)의 중심을 형성하는 상기 중앙부(312)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커넥터(310)는 상기 레버(220)의 회동에 따라 함께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310)는 상기 중앙부(312)와, 상기 중앙부(312)의 양측에서 길이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프레임 결합부(314, 3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결합부(314)는 상기 가동 프레임(320)과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커넥터(310)의 일단을 형성하는 제 1 프레임 결합부(314)와, 상기 커넥터(310)의 타단을 형성하는 제 2 프레임 결합부(3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 프레임(320)은 금속 재질의 판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도어(210)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동 프레임(320)과 상기 도어(210)의 결합은, 상기 가동 프레임(320) 상에 하나 이상의 결합홀(328)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홀(328)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210)의 배면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329)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홀(328)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가동 프레임(320)의 이동을 위해 상기 나사(329)가 상기 결합홀(328) 내에서 상기 가동 프레임(320)의 이동에 따라 상대 이동되도록, 상기 가동 프레임(320)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 프레임(320)은, 상기 제 1 프레임 결합부(314)에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310)의 회동에 따라 함께 이동 되는 제 1 프레임(322)과, 상기 제 2 프레임 결합부(316)에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310)의 회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는 제 2 프레임(3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프레임 결합부(314)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 및 상기 제 1 프레임(322)의 결합면(324)을 관통하는 나사(315)를 통해 상기 제1프레임 결합부(314)가 상기 제 1 프레임(322)과 결합된다. 상기 제 2 프레임 결합부(316)에도 마찬가지로 홀을 형성하여, 상기 홀 및 상기 제 2 프레임(321)의 결합면(326)을 관통하는 나사(317)를 통해 상기 제2프레임(321)과 결합된다. 상기 결합면(324, 326)은, 일부가 상기 프레임(320)의 몸체 상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결합부(314, 316)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커넥터(31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 1 프레임(322)과 상기 제 2 프레임(321)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임(322)과 상기 제 2 프레임(321)은 상기 도어(210)의 배면에 볼 때 서로 좌, 우 또는 상, 하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상기 제 1 프레임(322)과 상기 제 2 프레임(321)이 좌, 우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도시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프레임(322)과 상기 제 2 프레임(321)은 상기 커넥터(310)에 회동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310)의 회동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90도 정도가 회동될 수 있고, 상기 커넥터(310)의 회동과 함께, 상기 제 1 프레임(322)과 상기 제 2 프레임(321)은 서로 멀어지도록 가장자리를 향해 이동되거나, 서로 가까워지도록 중심을 향해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도 5참조).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커넥터(310)가 회동 시, 상기 제 1 프레임(322)과 상기 제 2 프레임(321)은 상기 도어(210)의 양측으로 이동되거나, 양측에서 중심으로 이동되는 것을 예로 들고 있다.
도 5는 도 4의 A-A’를 보인 단면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잠금수단이 케이스의 내측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잠금수단(340)은 상기 가동 프레임(320)의 좌, 우측 또는 상,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상기 제 1 잠금수단(340)이 상기 가동 프레임(320)의 좌, 우측에 결합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록킹 프레임(102)은 상기 제1잠금수단(340)이 결합되기 위한 제1결합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잠금수단(340)은 상기 케이스(101) 의 측면(150)에 구비된 상기 제 1 결합부(152)에 선택적으로 끼워짐으로써, 상기 도어(210)를 잠금 또는 해제시킬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도어(210)의 후측에서 상기 도어(210) 배면을 바라볼 때, 상기 제 1 잠금수단(340)은 상기 제 1 프레임(322)의 좌측과, 상기 제 2 프레임(321)의 우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31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 1 프레임(322)과 상기 제 2 프레임(321)이 각각 좌측, 우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1 잠금수단(340)도 연동되어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잠금수단(340)은, 상기 제 1 프레임(322)의 좌측과, 상기 제 2 프레임(320)의 우측에서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잠금수단(340)이 복수로 구비될 경우, 길이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가동 프레임(320)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부(152)는 돌출면으로부터 내부로 함몰되는 결합홈(154)을 구비하여, 상기 제 1 잠금수단(340)의 일부가 끼워진다. 여기서, 상기 결합홈(154)에 끼워지는 상기 제 1 잠금수단(340)의 단부를 수용부(342)라고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커넥터(310)의 회전 시, 복수의 제 1 및2 프레임(322, 321)이 각각 좌, 우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가동 프레임(320)의 좌, 우측에 결합되는 상기 제 1 잠금수단(340)도 함께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잠금수단(340)의 일부가 상기 바스켓 수용부(120)의 내면에 구비되는 상기 제 1 결합부(152)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도어(210)는 잠금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제 1 잠금수단(340)이 상기 제 1 결합부(152)에 끼워지므로, 상기 바스켓(201)은 상기 바스켓 수용부(120)에 수용된 상태 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잠금수단을 확대한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결합부에 제 2 잠금수단이 끼워지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잠금수단이 케이스의 내측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다.
도 3, 도 4,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잠금수단(330)은 상기 가동프레임(320)의 상, 하측 또는 좌, 우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잠금수단(340)이 상기 가동 프레임(320)에 좌, 우측에 결합될 경우, 상기 제 2 잠금수단(330)의 위치는 상기 가동 프레임(320)의 상,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상기 제 2 잠금수단(330)이 상기 가동 프레임(320)의 상, 하측에 결합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록킹 프레임(102)은 상기 케이스(101)의 상하면(160)에 구비되는 제2결합부(1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잠금수단(330)은 상기 제 1 잠금수단(34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결합부(162)에 선택적으로 끼워짐으로써, 상기 도어(210)를 잠금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도어(210)의 후측에서 상기 도어(210) 배면을 바라볼 때, 상기 제 2 잠금수단(330)은 상기 제 1 프레임(322)의 상, 하측과, 상기 제 2 프레임(321)의 상, 하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잠금수단(330)은 상기 제 1 프레임(322)의 상, 하측에 결합되는 제 2 잠금수단 우측부(331)와, 상기 제 2 프레임(321)의 상, 하측에 결합되는 제 2 잠금수단 좌측부(332)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프레임(322)과 상기 제 2 프레임(321)이 상기 커넥터(310)의 이동에 따라,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2 잠금수단(330)도 각각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에 구비되는 제 2 결합부(162)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 2 결합부(162)는 상기 바스켓 수용부(120)의 하면(160)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2 결합부(162)는 상기 제 2 잠금수단(330)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상기 바스켓 수용부(120)의 상, 하면(160)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는 좌측부와, 우측부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상기 바스켓 수용부(120)의 좌측부는 상기 제 2 잠금수단 좌측부(332)와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바스켓 수용부(120)의 우측부는 상기 제 2 잠금수단 우측부(331)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잠금수단(330)에는 외면 중 일부가 내부를 향해 함몰되는 결합홈(335)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335)은 상기 제 2 잠금수단(3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바스켓 수용부(120)의 제 2 결합부(162)에 삽입 또는 이탈됨으로써, 상기 도어(210)를 잠금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도어(210)의 잠금 상태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결합홈(335)에 상기 제 2 결합부(162)가 끼워질 경우, 상기 도어(210)와 상기 제 2 결합부(162)의 걸림에 의해 상기 바스켓 수용부(120)의 외부로 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커넥터(310)의 회전 시, 상기 가동 프레임(320)의 상,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잠금수단(330)은 각각 좌,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잠금수단(330)의 결합홈(335)에 상기 제 2 결합부(162)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도어(210)는 잠금 상태가 된다. 그리고, 해제를 위해 상기 커넥터(310)가 반대로 회전되면, 상기 제 2 잠금수단(330)의 이동과 함께 상기 제 2 결합부(162)이 상기 결합홈(335)에서 이탈되며, 상기 도어(210)는 상기 바스켓 수용부(12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레버 조작을 통해 상기 가동 프레임(320)을 이동시키고, 상기 가동 프레임(3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잠금수단(340)과 상기 제 2 잠금수단(330)이 선택적으로 상기 바스켓 수용부(120)의 내면에 걸림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바스켓(201)를 안전하게 상기 금고(100)의 내부에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스켓(201)을 상기 바스켓 수용부(12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도어(210)가 상기 금고(100)의 전방으로 인출되므로, 상기 바스켓(201)의 인출 또는 인입에 따라 어느 일 계원의 업무 공간을 방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계원의 업무 효율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도어에 레버 및 잠금수단이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잠금수단 및 레버가 금고에 구비되어, 잠금수단이 도어의 4면에 각각 결합되어 잠금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가동 프레임과 잠금수단을 통칭하여 잠금바라 이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 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케이스에 결합되도록 도어의 내측에 구비되는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외부에 마련된 레버와 연동되어 회동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의 회동에 따라 이동되는 가동프레임;
    상기 가동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프레임에는, 상기 커넥터의 회동에 따라 이격거리가 변동되도록, 상기 커넥터를 중심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잠금수단에는, 상기 도어의 양측면으로 돌출되는 제 1 잠금수단과, 상기 도어의 상하면으로 돌출되는 제 2 잠금수단이 포함되는 도어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 1 잠금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잠금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상하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잠금수단에는, 상기 도어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마련된 제 2 잠금수단 우측부와 제 2 잠금수단 좌측부가 포함되고,
    제 2 잠금수단 우측부와 제 2 잠금수단 좌측부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잠금수단 우측부는 상기 제 1 프레임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 2 잠금수단 좌측부는 상기 제 2 프레임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의 이격거리가 변동됨에 따라, 상기 제 2 잠금수단 우측부와 상기 제 2 잠금수단 좌측부의 이격거리가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잠금수단은, 상기 도어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연장되어 측면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 1 잠금수단과 결합되도록 마련된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잠금수단과 결합되도록 마련된 제 2 결합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잠금수단은 상기 제 1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잠금수단에 형성된 결합홈에 상기 제 2 결합부가 수용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프레임은 상기 커넥터를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이 상기 도어의 양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 1 잠금수단이 상기 도어의 양측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잠금수단이 상기 도어의 양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8. 외면 상에 내부를 향해 함몰되는 바스켓 수용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바스켓 수용부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의 전면에 결합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레버;
    상기 도어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레버의 회동에 따라 상기 바스켓을 상기 바스켓 수용부에 고정시키는 도어 잠금장치;
    상기 도어 잠금장치와 결합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된 록킹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잠금장치와 상기 록킹 프레임은 상기 도어의 상하좌우면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상기 바스켓 수용부 상에서, 전/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의 양 측면에는 슬라이드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바스켓 수용부의 벽면에는 레일 가이드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 레일이 상기 레일 가이드 상을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KR1020150134287A 2015-09-23 2015-09-23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KR101740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287A KR101740141B1 (ko) 2015-09-23 2015-09-23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287A KR101740141B1 (ko) 2015-09-23 2015-09-23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454A KR20170035454A (ko) 2017-03-31
KR101740141B1 true KR101740141B1 (ko) 2017-06-08

Family

ID=58500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287A KR101740141B1 (ko) 2015-09-23 2015-09-23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1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909Y1 (ko) * 2005-04-25 2005-07-29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고잠금장치
KR101380007B1 (ko) * 2012-11-01 2014-04-0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바닥 개폐식 서랍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투입금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909Y1 (ko) * 2005-04-25 2005-07-29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고잠금장치
KR101380007B1 (ko) * 2012-11-01 2014-04-0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바닥 개폐식 서랍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투입금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454A (ko) 2017-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2566B2 (en) Lock box with sliding lid
US10113337B2 (en) Lockset
US9238929B2 (en) Door locking apparatus and an enclosure having the same
US20070214850A1 (en) Lock assembly
US7984630B2 (en) Locker lock
EP2675724A1 (en) Portable lockable enclosure
CN104755684A (zh) 用于贮藏容器的锁定系统
US20090151402A1 (en) Combination padlock with a chamber
KR101740141B1 (ko)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KR101795210B1 (ko)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US8596729B2 (en) Releasable tenon for locking system
JP2019177077A (ja) 収容ボックス
KR101372371B1 (ko)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KR101500851B1 (ko)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CN209939400U (zh) 容器
KR101305019B1 (ko)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KR102588288B1 (ko)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KR101627918B1 (ko) 금고 도어의 잠금 장치
KR102588302B1 (ko)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US20130219977A1 (en) Code change blocker
JP2015045149A (ja) オートロック機構及び媒体処理装置
KR101248230B1 (ko)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KR102588264B1 (ko)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KR101700112B1 (ko)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KR200302436Y1 (ko) 지폐류 저장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