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918B1 - 금고 도어의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금고 도어의 잠금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7918B1 KR101627918B1 KR1020140080638A KR20140080638A KR101627918B1 KR 101627918 B1 KR101627918 B1 KR 101627918B1 KR 1020140080638 A KR1020140080638 A KR 1020140080638A KR 20140080638 A KR20140080638 A KR 20140080638A KR 101627918 B1 KR101627918 B1 KR 1016279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ing
- pin
- door
- locking bar
- b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4—Closure fasten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drawers
Landscapes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부를 갖는 금고 본체에 결합되는 도어와, 록킹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금고 본체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록킹 프레임 및, 상기 도어 내측에서 상기 도어와 결합되고, 선단부가 상기 록킹 홈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에 도어를 구속시키도록, 상기 록킹 홈 방향으로 회전하며 직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록킹 바를 포함하는 금고 도어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고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공격에 대비하여 금고가 개방되는 시간을 최대한 늦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고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공격에 대비하여 금고가 개방되는 시간을 최대한 늦출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금고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공격에 대비하여 금고를 보호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금고 도어의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귀중한 물건 등을 보관하기 위한 금고, 또는 지페나 동전 등의 현금을 입출금하기 위한 금융자동화기기에 설치되는 금고는 개폐의 권한이 있는 사용자 외의 제3자가 무단으로 개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금고의 보안 기술 발전과 더불어 무단으로 금고를 여는 기술도 나날이 진보하고 있으므로, 금고 개방 시도에 대한 보안의 필요성은 계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금고 보안의 최선책은 제3자가 다양한 장치와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금고를 개방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나, 드릴 등의 절삭공구나 용접기로 금고의 일부를 파손한 후에 해머 등으로 큰 충격을 가해서 메인 록킹 바를 파괴하는 경우가 상당히 발생하고 있으므로, 이와 같은 공격시도가 있더라도 금고가 개방되는 시간을 최대한늦추는 것이 현실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금고 도어의 잠금 장치는, 수용부를 갖는 금고 본체; 상기 금고 본체를 여닫을 수 있도록 상기 금고 본체에 결합되며,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록킹 바 가이드가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도어; 록킹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금고 본체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록킹 프레임; 및 표면에는 상기 가이드 슬롯에 끼워지는 가이드 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록킹 바 가이드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록킹 홈에 선단부가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도어를 록킹할 수 있는 록킹 바;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바의 선단부를 누르는 방향의 외력에 의하여 상기 록킹 바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는 잠금핀이 상기 록킹 바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금고 도어의 잠금 장치는, 수용부를 갖는 금고 본체에 결합되는 도어; 록킹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금고 본체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록킹 프레임; 및 상기 도어 내측에서 상기 도어와 결합되고, 선단부가 상기 록킹 홈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에 도어를 구속시키도록, 상기 록킹 홈 방향으로 회전하며 직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록킹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금고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공격에 대비하여 금고가 개방되는 시간을 최대한 늦출 수 있는 금고 도어의 잠금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고 도어의 잠금 장치가 설치된 금고의 사시도로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도어가 록킹되어 있는 금고의 사시도로서, 도어 본체를 제외한 구성들을 나타낸다.
도 3은 언록킹 상태의 도어를 내측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4는 닫힌 상태의 도어의 내측에서 바라본 록킹 바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록킹 바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록킹 바의 선단부의 종단면도로서 누름 버튼이 눌리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록킹 바의 선단부의 종단면도로서 누름 버튼이 눌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록킹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록킹 바의 잠금핀이 내측 록킹 프레임의 제1 록킹 홈을 통과한 직후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은 록킹 바의 잠금핀이 외측 록킹 프레임의 제2 록킹 홈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은 록킹 바의 잠금핀이 돌출되어 제2 록킹 홈의 핀 수용부에 구속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도어가 록킹되어 있는 금고의 사시도로서, 도어 본체를 제외한 구성들을 나타낸다.
도 3은 언록킹 상태의 도어를 내측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4는 닫힌 상태의 도어의 내측에서 바라본 록킹 바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록킹 바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록킹 바의 선단부의 종단면도로서 누름 버튼이 눌리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록킹 바의 선단부의 종단면도로서 누름 버튼이 눌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록킹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록킹 바의 잠금핀이 내측 록킹 프레임의 제1 록킹 홈을 통과한 직후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은 록킹 바의 잠금핀이 외측 록킹 프레임의 제2 록킹 홈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은 록킹 바의 잠금핀이 돌출되어 제2 록킹 홈의 핀 수용부에 구속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고 도어의 잠금 장치가 설치된 금고의 사시도로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고, 도 2는 도어가 록킹되어 있는 금고의 사시도로서 도어 본체를 제외한 구성들을 나타내며, 도 3은 언록킹 상태의 도어를 내측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금고 도어의 잠금 장치(이하, '잠금 장치'라고 한다)는 수용부(2)를 갖는 금고 본체(1)를 여닫을 수 있도록 금고 본체(1)에 결합되는 도어(20)와, 록킹 홈(13)이 형성되어 있으며 금고 본체(1)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록킹 프레임(10)과, 록킹 홈(13)에 선단부가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도어(20)를 록킹할 수 있는 록킹 바(30)를 포함할 수 있다.
금고 본체(1)의 수용부(2)에는 보관 대상 물품 등이 보관되며, 이 수용부(2)는 넓은 하나의 공간으로 이루어지거나, 여러 물품을 가지런히 보관할 수 있도록 칸막이 등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다.
도어(20)는 통상적으로 경첩에 의하여 금고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미닫이 방식으로 금고 본체(1)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어(20)가 금고 본체(1)를 열거나 닫는다는 것은 경첩에 의한 결합 방식과 미닫이 결합 방식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되는 것이다.
도어(20)는 외측에 위치한 도어 베이스(21)와, 내측에 위치하는 도어 플레이트(22)와, 도어(20)를 닫았을 때 금고 본체(1)의 개구부의 내측 가장자리를 마주보는 도어 프레임(23)을 갖는다. 도어 프레임(23)은 도어 베이스(21)에 고정되고, 도어 플레이트(22)는 도어 베이스(21)에 대하여 왕복 운동 가능하게 도어 베이스(21)에 설치된다.
도어(20)를 록킹 또는 언록킹 하기 위한 조작 핸들은 핸들 회전축(26)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도어 베이스(21)에 결합되고, 핸들 브라켓(24)은 조작 핸들과 함께 회전하며, 도어 플레이트(22)에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 핀(25)은 핸들 브라켓(24)에 끼워진다. 도 2를 기준으로 조작 핸들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핸들 브라켓(24)의 선단부도 조작 핸들과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 때 핸들 브라켓(24)은 플레이트 핀(25)을 우측으로 밀게 된다. 핸들 회전축(26)은 장공(27)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도어 플레이트(22)는 장공(27)을 따라 평행 이동할 수 있고, 핸들 브라켓(24)이 우측 방향으로 플레이트 핀(25)에 가하는 힘에 의하여 도어 플레이트(22)가 우측으로 평행 이동하여 도 3의 상태가 된다.
반대로, 도 3을 기준으로 조작 핸들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핸들 브라켓(24)이 플레이트 핀(25)을 좌측으로 밀게 되고, 이 힘에 의하여 도어 플레이트(22)가 장공(27)을 따라 좌측으로 평행 이동하여 도 2의 상태가 된다.
도 4는 닫힌 상태의 도어의 내측에서 바라본 록킹 바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록킹 바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어(20)의 내측에는 록킹 바 가이드(29)가 형성되어 있는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록킹 바 가이드(29)는 도어 베이스(21)와 상대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도어(20)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고, 록킹 바 가이드(29)에는 가이드 슬롯(29C)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 슬롯(29C)은, 록킹 바(3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직선 구간(29A)과, 이 직선 구간(29A)과 연결되어 있는 사선 구간(29B)으로 이루어 진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록킹 바(30)의 표면에는 가이드 슬롯(29C)에 끼워지는 가이드 핀(32)이 형성되어 있고, 록킹 바(30)는, 록킹 바 가이드(29)에 끼워진 상태에서 가이드 핀(32)이 가이드 슬롯(29C)을 따라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록킹 홈(13)에 선단부가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도 5를 기준으로 했을 때, 록킹 바(30)의 선단부는 왼쪽 단부이고, 후단부는 오른쪽 단부이다.
한편, 가이드 슬롯(29C)의 사선 구간(29B)은 직선 구간(29A)에 비하여 록킹 바(30)의 선단부에 더 가까이 위치하고 있다.
록킹 바(30)의 후단부에는 단턱부(38)가 형성될 수 있는데, 잠금 유닛(40)은 단턱부(38)에 걸릴 수 있는 잠금 블록(42)을 이용하여, 단턱부(38)를 구속하고 이를 통해 록킹 바(3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도어(20)의 외측에서 파지할 수 있는 조작 핸들을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도어(20)를 록킹 및 언록킹 할 수 있는데, 잠금 유닛(40)은 도어(20)가 록킹된 상태에서 무단으로 조작 핸들을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록킹 바(30)가 언록킹 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어(20)의 외측면에는 잠금 유닛(40)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조작부로는 예컨대 기계적, 전자적 자물쇠가 사용될 수 있다.
록킹 바(30)는 선단부와 후단부의 사이 구역에, 도어 브라켓(28)과 체결되는 부위인 회전 체결부(31)를 가지며, 도어 브라켓(28)은 도어 플레이트(22)에 상대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한편, 록킹 바 가이드(29)와 록킹 바(30)는 서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록킹 바 가이드(29)는 관상(管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록킹 바(30)의 회전 체결부(31)가 도어 브라켓(28)에 체결되어 있으므로 록킹 바(30)는 도어 플레이트(22)와 함께 이동할 수 있고, 록킹 바(30)는 가이드 핀(32)이 가이드 슬롯(29C)을 따라 움직이면서 록킹 바 가이드(29)에 대하여 상대 운동을 할 수 있다. 가이드 핀(32)이 가이드 슬롯(29C)의 직선 구간(29A)을 따라 움직일 때 록킹 바(30)는 단순히 직선 운동을 하지만, 가이드 핀(32)이 가이드 슬롯(29C)의 사선 구간(29B)을 따라 움직일 때 록킹 바(30)는 회전하면서 직선 운동을 한다.
록킹 바(30)의 선단부에는, 록킹 바(30)의 선단부를 누르는 방향의 외력에 의하여 록킹 바(3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는 잠금핀(3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록킹 바(30)는, 록킹 바(30)의 선단부를 누르는 방향의 외력에 의하여 눌리는 누름 버튼(36)을 갖는다.
도 6은 록킹 바의 선단부의 종단면도로서 누름 버튼이 눌리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도 7은 록킹 바의 선단부의 종단면도로서 누름 버튼이 눌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잠금핀(34)은 누름 버튼(36)의 눌림에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누름 버튼(36)과 접촉하는 면이 경사면(34A)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록킹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며, 이는 금고 본체의 수용부 측에서 록킹 프레임을 바라본 것에 해당한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록킹 프레임(10)은 록킹 바(30)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배치된 내측 록킹 프레임(11)과, 외측 록킹 프레임(12)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록킹 홈(13)은, 상기 록킹 바(13)가 회전하며 직선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선단부가 상기 록킹 홈(13)에 삽입 또는 이탈시, 상기 잠금핀(34)이 상기 록킹 홈(13)에 삽입 또는 이탈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록킹 바(13)가 회전하지 않고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록킹 프레임에서 이탈시, 상기 잠금핀(13)이 상기 록킹 프레임(10)에 구속되어 상기 록킹 바(13)의 이동이 제한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내측 록킹 프레임(11)에는 제1 록킹 홈(13A)이 형성되고, 외측 록킹 프레임(12)에는 제2 록킹 홈(13B)이 형성되는데, 제1 록킹 홈(13A)과 제2 록킹 홈(13B)은 서로 겹쳐져서 록킹 홈(13)을 이룬다.
제1 록킹 홈(13A)은 잠금핀(34)이 상기 록킹 홈(13A)에 삽입시 상기 록킹 바(30)를 자른 단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제2 록킹 홈(13B)은 제1 록킹 홈(13A)과 제1록킹 홈(13A)를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한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록킹 바아(30)를 자른 단면이랑 록킹 바(3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평면으로 록킹 바(30)를 자른 단면을 지칭한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제2 록킹 홈(13B)은, 록킹 바(3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을 향하여 이동한 잠금핀(34)을 수용할 수 있는 핀 수용부(14)를 가질 수 있다.
도 9는 록킹 바(30)의 잠금핀(34)이 내측 록킹 프레임(11)의 제1 록킹 홈(13A)을 통과한 직후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은 록킹 바(30)의 잠금핀(34)이 외측 록킹 프레임(12)의 제2 록킹 홈(13B)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며, 도 11은 록킹 바(30)의 잠금핀(34)이 돌출되어 제2 록킹 홈(13B)의 핀 수용부(14)에 구속된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금고 도어의 잠금 장치는, 금융기기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금융 기기는 매체를 투입하는 매체 입출부와, 상기 매체 입출부를 통해 투입된 매체를 인식하는 감별부와, 인식된 지폐를 임시 집적하는 임시 집적부와, 입금 처리된 지폐를 보관하는 매체 보관부 및 상기 매체 보관부를 수용하고, 전술한 금고 도어의 잠금장치가 장착된 금고부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금융 기기는, 사용자로부터 금융 거래를 위한 메뉴 선택 및 조작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통장 또는 카드를 판독하는 고객정보 획득부를 포함하는 금융거래유닛 및 상기 금융거래 유닛의 하부에 구비되어 매체 입출금부를 통해 입출금되는 매체를 수용하는 매체 보관부를 수용하고, 전술한 금고 도어의 장치가 장착된 금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 도 9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록킹 바(30)가 록킹 홈(13)에 삽입되는 각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과 같이 록킹 바(30)가 후퇴(후단부 쪽을 향하여 이동)하면 도어(20)가 언록킹 되는데, 이 상태로부터 록킹 바(30)가 전진(선단부 쪽을 향하여 이동하여)하여 가이드 핀(32)이 직선 구간(29A)의 선단부까지 이동하는 과정 중에 잠금핀(34)은 내측 록킹 프레임(11)의 제1 록킹 홈(13A)을 통과하여 외측 록킹 프레임(12)의 제2 록킹 홈(13B)에 진입하게 된다(도 9 참조). 즉, 가이드 핀(32)이 직선 구간(29A)의 후단부로부터 직선 구간(29A)의 선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록킹 바(30)의 선단부는 제1 록킹 홈(13A)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제1 록킹 홈(13A)을 지날 수 있다.
가이드 핀(32)이 직선 구간(29A)과 사선 구간(29B)의 경계로부터 사선 구간(29B)의 선단부까지 이동하는 과정 중에 잠금핀(34)은 제2 록킹 홈(13B) 내에서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록킹 바(30)는 제2 록킹 홈(13B)에 더욱 깊숙하게 끼워진다.
즉, 가이드 핀(32)이 사선 구간(29B)을 따라 이동할 때, 록킹 바(30)는 전진 또는 후퇴하고, 잠금핀(34)은 록킹 바(30)의 축을 중심으로 제2 록킹 홈(13B)에서 회전한다. 도 10은 록킹 바(30)가 최대로 전진한 상태에 해당한다.
만약, 도어(20)가 록킹된 상태에서 해머 등으로 록킹 바(30)를 타격하여 후퇴시키려는 시도가 발생하면, 해머 등의 타격력이 록킹 바(30)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누름 버튼(36)을 타격하여 누름 버튼(36)이 눌리게 되며, 눌린 잠금 버튼이 잠금핀(34)에 형성된 경사면(34A)을 밀게 되어 잠금핀(34)이 록킹 바(3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을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정상적인 잠금 상태는 도 6 및 도 10에 해당하며, 해머 등으로 록킹 바(30)를 가격한 상태는 도 7 및 도 11에 해당한다.
록킹 바(30)가 가격당하지 않은 상태일 때 잠금핀(34)은 핀 수용부(14)에 끼워지지 않아서 록킹 바(30)의 선단부가 제2 록킹 홈(13B)을 통하여 빠져나갈 수 있으나, 록킹 바(30)가 가격당하여 잠금핀(34)이 돌출되면 잠금핀(34)은 핀 수용부(14)에 끼워지기 때문에 록킹 바(30)의 선단부가 제2 록킹 홈(13B)을 통하여 빠져나갈 수 없게 된다.
종래기술의 경우, 록킹 바가 록킹 홈에 끼워져 있더라도, 무단으로 금고 본체와 도어 사이를 벌리는 공격에 대하여 오로지 금고 본체와 도어의 강성으로만 버티는 구조를 갖고 있었다. 따라서, 록킹 바가 록킹 홈으로부터 빠질 때까지 금고 본체와 도어 사이를 벌리면 쉽게 금고가 개방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금고 본체와 도어 사이의 틈새가 크게 벌어질 수 있는 구조였기 때문에, 이 틈새에 절단기나 용접기 등을 삽입하여 록킹 바를 파손하는 것도 용이하였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의 경우, 제2 록킹 홈(13B)이 제1 록킹 홈(13A)을 특정 각도만큼 회전한 형상을 가지며, 가이드 핀(32)이 사선 구간(29B)을 통과할 때 록킹 바(30)는 회전 하면서 전후진 하기 때문에, 금고 도어(20)가 록킹된 상태에서는 록킹 바(30)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잠금핀(34)이 내측 록킹 프레임(11)에 걸릴 수 있게 배치된다.
따라서, 금고 본체(1)와 도어(20) 사이를 벌리는 공격이 외부로부터 가해지더라도 잠금핀(34)은 내측 록킹 프레임(11)에 걸린 상태로 유지되고, 록킹 바(30)의 선단부가 제1 록킹 홈(13A)을 빠져 나갈 수 없으며, 이로 인해 금고 본체(1)와 도어(20) 사이를 벌리는 공격에 대하여 충분히 저항할 수 있다.
만약 록킹 바(3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록킹 바(30)의 선단부를 억지로 타격하여 밀어 넣으려는 시도가 있더라도, 이와 같은 시도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돌출되는 잠금핀(34)이 핀 수용부(14)에 끼워지는 것에 의하여 오히려 도어(20)의 록킹을 더욱 강화하는 결과(도 7 및 도 11 참조)를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는 금고에 대한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금고가 개방되는 시간을 훨씬 늦출 수 있고, 이를 통해 금고의 보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금고 본체 2 : 수용부
10 : 록킹 프레임 11 : 내측 록킹 프레임
12 : 외측 록킹 프레임 13 : 록킹 홈
13A : 제1 록킹 홈 13B : 제2 록킹 홈
14 : 핀 수용부 20 : 도어
21 : 도어 베이스 22 : 도어 플레이트
23 : 도어 프레임 24 : 핸들 브라켓
25 : 플레이트 핀 26 : 핸들 회전축
27 : 장공 28 : 도어 브라켓
29 : 록킹 바 가이드 29A : 직선 구간
29B : 사선 구간 29C : 가이드 슬롯
30 : 록킹 바 31 : 회전 체결부
32 : 가이드 핀 34 : 잠금핀
36 : 누름 버튼 38 : 단턱부
40 : 잠금 유닛 42 : 잠금 블록
10 : 록킹 프레임 11 : 내측 록킹 프레임
12 : 외측 록킹 프레임 13 : 록킹 홈
13A : 제1 록킹 홈 13B : 제2 록킹 홈
14 : 핀 수용부 20 : 도어
21 : 도어 베이스 22 : 도어 플레이트
23 : 도어 프레임 24 : 핸들 브라켓
25 : 플레이트 핀 26 : 핸들 회전축
27 : 장공 28 : 도어 브라켓
29 : 록킹 바 가이드 29A : 직선 구간
29B : 사선 구간 29C : 가이드 슬롯
30 : 록킹 바 31 : 회전 체결부
32 : 가이드 핀 34 : 잠금핀
36 : 누름 버튼 38 : 단턱부
40 : 잠금 유닛 42 : 잠금 블록
Claims (12)
- 수용부를 갖는 금고 본체에 결합되는 도어;
록킹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금고 본체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록킹 프레임; 및
상기 도어 내측에서 상기 도어와 결합되고, 선단부가 상기 록킹 홈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에 도어를 구속시키도록, 상기 록킹 홈 방향으로 회전하며 직선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록킹 바;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 바는,
상기 선단부가 상기 록킹 홈에 삽입시 상기 록킹바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선단부에 일측으로 돌출된 잠금핀과, 상기 록킹 바의 선단부를 누르는 방향의 외력에 의하여 눌리는 누름 버튼을 가지며,
상기 잠금핀은 상기 누름 버튼의 눌림에 연동하여 돌출된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록킹 홈은 외력에 의해 상기 누름 버튼이 가압되어 상기 잠금핀이 이동시, 이동된 상기 잠금핀을 수용하도록 핀 수용부를 포함하는 금고 도어의 잠금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홈은,
상기 록킹 바가 회전하며 직선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선단부가 상기 록킹 홈에 삽입 또는 이탈시, 상기 잠금핀이 상기 록킹 홈에 삽입 또는 이탈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록킹 바가 회전하지 않고 상기 록킹 프레임에서 이탈하는 직선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잠금핀이 상기 록킹 프레임에 구속되어 상기 록킹 바의 이동이 제한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금고 도어의 잠금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바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 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 핸들에 의한 상기 록킹바의 이동의 경우 상기 잠금핀이 상기 형상이 다르게 형성된 록킹홈에서 정상적으로 해체되고,
상기 조작 핸들에 의한 상기 록킹바의 이동이 아닐 경우 상기 잠금핀이 상기 형상이 다르게 형성된 록킹홈에 구속되어 해체되지 않도록 상기 록킹홈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도어의 잠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측에 구비되는 록킹 바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록킹 바 가이드는,
상기 록킹 바가 회전하며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록킹 바에서 일측으로 돌출된 가이드 핀이 삽입되는 가이드 슬롯을 포함하는 금고 도어의 잠금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은,
상기 록킹 바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직선 구간과, 상기 직선 구간과 연결되고 사선 구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도어의 잠금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핀은 상기 누름 버튼의 눌림에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누름 버튼과 접촉하는 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도어의 잠금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프레임은,
상기 록킹 바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배치된 내측 록킹 프레임과, 외측 록킹 프레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도어의 잠금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홈은,
상기 잠금핀이 형성된 상기 록킹 바의 선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내측 록킹 프레임에 형성되는 제1 록킹 홈; 및
제1 록킹 홈 형상과 제1 록킹 홈을 설정된 각도 회전한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록킹 프레임에 형성되는 제2 록킹 홈;을 포함하는 금고 도어의 잠금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록킹 홈은,
상기 핀 수용부를 포함하는 금고 도어의 잠금 장치. - 매체를 투입하는 매체 입출부;
상기 매체 입출부를 통해 투입된 매체를 인식하는 감별부;
인식된 지폐를 임시 집적하는 임시 집적부;
입금 처리된 지폐를 보관하는 매체 보관부; 및
상기 매체 보관부를 수용하고, 제1항 및 제3항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의 금고 도어의 잠금장치가 장착된 금고부;를 포함하는 금융기기. - 사용자로부터 금융 거래를 위한 메뉴 선택 및 조작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통장 또는 카드를 판독하는 고객정보 획득부를 포함하는 금융거래유닛; 및
상기 금융거래 유닛의 하부에 구비되어 매체 입출금부를 통해 입출금되는 매체를 수용하는 매체 보관부를 수용하고,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1O항 중 어느 한 항의 금고도어의 장치가 장착된 금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금융자동화기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0638A KR101627918B1 (ko) | 2014-06-30 | 2014-06-30 | 금고 도어의 잠금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0638A KR101627918B1 (ko) | 2014-06-30 | 2014-06-30 | 금고 도어의 잠금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2005A KR20160002005A (ko) | 2016-01-07 |
KR101627918B1 true KR101627918B1 (ko) | 2016-06-07 |
Family
ID=55168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80638A KR101627918B1 (ko) | 2014-06-30 | 2014-06-30 | 금고 도어의 잠금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791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85184B1 (ko) * | 2021-02-25 | 2023-01-06 |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 지폐 처리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969790B2 (ja) * | 2004-03-29 | 2012-07-04 | イナルファ・ルーフ・システムズ・グループ・ベーフェー | ロック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開放式屋根構造体 |
KR101248230B1 (ko) * | 2011-12-20 | 2013-03-27 |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41805A (ko) * | 2009-10-16 | 2011-04-22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금융자동화기기 |
KR101272388B1 (ko) * | 2011-01-05 | 2013-06-07 |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 금융자동화기기 |
-
2014
- 2014-06-30 KR KR1020140080638A patent/KR10162791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969790B2 (ja) * | 2004-03-29 | 2012-07-04 | イナルファ・ルーフ・システムズ・グループ・ベーフェー | ロック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開放式屋根構造体 |
KR101248230B1 (ko) * | 2011-12-20 | 2013-03-27 |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2005A (ko) | 2016-01-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38929B2 (en) | Door locking apparatus and an enclosure having the same | |
US9290983B2 (en) | Tamper evident storage device for items of value | |
KR101590714B1 (ko) | 금융기기 | |
EP1854946A2 (en) | Door lock structure | |
KR101627918B1 (ko) | 금고 도어의 잠금 장치 | |
JP5831010B2 (ja) | ロック装置及び現金自動取引装置 | |
US9915084B1 (en) | Locking mechanism for safe and other secure storage apparatus | |
KR101795210B1 (ko) |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 |
KR101263281B1 (ko) | 도어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매체자동처리기 | |
KR101181587B1 (ko) | 보충회수박스 잠금 장치 | |
US20020078722A1 (en) | Lock protector for dispensing machines | |
KR200387672Y1 (ko) | 금고용 이중도어 | |
KR20180033695A (ko) | 카세트 모듈 | |
KR101667101B1 (ko) | 금고 도어의 잠금 장치 | |
JP2003006703A (ja) | 紙幣識別装置 | |
KR101623639B1 (ko) | 충격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금고 | |
JP5298818B2 (ja) | 施錠機構 | |
KR101248230B1 (ko) |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 |
KR101268178B1 (ko) | 안전강화구조 | |
JP4150226B2 (ja) | リジェクトカード回収庫のシャッタロック機構 | |
KR20120101256A (ko) | 도어용 잠금장치 | |
EP3361025A1 (en) | Mechanical system for blocking and opening in a lock that can be actuated via a key with a linear movement, without rotation | |
KR101740141B1 (ko) |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 |
KR200302436Y1 (ko) | 지폐류 저장박스 | |
KR101127336B1 (ko) | 매체자동지급기의 안전강화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