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230B1 -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230B1
KR101248230B1 KR1020110138367A KR20110138367A KR101248230B1 KR 101248230 B1 KR101248230 B1 KR 101248230B1 KR 1020110138367 A KR1020110138367 A KR 1020110138367A KR 20110138367 A KR20110138367 A KR 20110138367A KR 101248230 B1 KR101248230 B1 KR 101248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door
lock
hole
extern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8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우연
박세훈
연제성
최장욱
고광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10138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230B1/ko
Priority to DE102012024864.4A priority patent/DE102012024864B4/de
Priority to US13/722,284 priority patent/US9238929B2/en
Priority to CN201210559891.5A priority patent/CN103174327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84Means to prevent forced opening by attack, tampering or jimm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Landscapes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사용한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어 잠금 장치가 본체 프레임(10)을 개폐하는 도어(30)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10)에 형성된 잠금공(11)에 삽입 및 삽입 해제 가능하게 상기 도어(30)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30)를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고, 상기 잠금공(11) 측 가장자리 영역이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형 가능하게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잠금부(60a,60b)와, 상기 도어(30)에 설치되어 상기 잠금부(60a,60b)가 상기 잠금공(11)에 삽입 및 삽입 해제되도록 조작되는 조작부(5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 프레임(10)과 도어(30) 사이의 틈으로 탈취자가 공구를 삽입하여 잠금공(11)에 삽입된 잠금부(60a,60b)로 삽입 해제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더라도 해당 외력에 의해 잠금부(60a,60b)의 가장자리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형되어 잠금공(11)에 보다 타이트하게 또는 잠금공(11)의 내측에 걸리도록 하여 잠금 상태가 보다 견고해져 탈취자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Door locking apparatus and keep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회사 등에서 지폐나 유가 증권, 귀금속과 같은 귀중품을 보관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보관 장치가 금고이다. 또한, 매체 자동 처리기의 경우에도 출납되는 지폐나 유가 증권을 그 내부에 보관하는 보관 장치의 하나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금고나 매체 자동 처리기와 같은 보관 장치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본체 프레임이 그 외관을 형성하고, 수용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설치된다. 여기서, 금고나 매체 자동 처리기와 같은 보관 장치의 특성상 내부에 보관된 귀중품의 분실을 차단하기 위해, 도어는 탈취자의 공격으로부터 안전하게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금고나 매체 자동 처리기와 같은 보관 장치의 도어에는 키이(Key)에 의해서만 잠금 및 잠금 해제되는 키뭉치가 설치되고, 키뭉치 외에도 별도로 도어를 본체 측에 결합시키는 구성을 두고 있다.
예를 들어, 키이를 통해 도어를 잠금 해제 상태로 두고 도어에 설치된 손잡이 형태의 조작부를 회전시키게 되면, 본체 프레임에 형성된 잠금공에 삽입되어 있던 잠금부가 삽입 해제되어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어의 실질적인 잠금 상태는 잠금공에 삽입된 잠금부가 유지시키고, 잠금부의 삽입 해제를 위한 조작부의 조작을 키이 조작이 허용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런데, 탈취자 들은 각종 도구를 이용하여 도어와 본체 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공격하거나, 해머를 이용한 강한 외력으로 도어가 본체 프레임을 잠그는 구성을 훼손시켜 도어를 강제로 개방하려는 시도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일 예로, 도어와 본체 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이용하여 잠금공에 삽입된 잠금부를 삽입 해제 방향으로 각각 도구를 이용하여 충격을 가하거나, 해머를 이용한 강한 외력을 보관 장치의 외부에서 가하여 잠금부를 강제적으로 삽입 해제시키는 방법으로 보관 장치를 개방하려는 시도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금고나 매체 자동 처리기 등과 같은 보관 장치에 있어서, 도어와 본체 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통해 잠금부로 외력을 가하거나, 해머를 이용한 강한 외력으로 도어를 강제 개방시킬 수 없도록 하는 기술이 금고나 매체 자동 처리기와 같은 보관 장치 분야에서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 프레임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가 본체 프레임에 잠금되어 있는 상태를 외부에서 훼손하려는 시도가 발생하더라도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도어 잠금 장치는 본체 프레임을 개폐하는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에 형성된 잠금공에 삽입 및 삽입 해제 가능하게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고, 상기 잠금공 측 가장자리 영역이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형 가능하게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잠금부와,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잠금부가 상기 잠금공에 삽입 및 삽입 해제되도록 조작되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잠금공에 삽입 및 삽입 해제되고, 상기 잠금공 측 가장자리 영역에 결합부가 형성된 잠금 본체와, 상기 결합부가 삽입 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하는 변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변형 부재가 상기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형되도록 상기 결합부의 외경과 상기 변형 부재의 내경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변형 부재가 상기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상기 결합부 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부의 단부와 상기 변형 부재의 내측벽은 이격된 상태로 결합된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변형 부재의 외경은 상기 잠금 본체의 외경보다 작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잠금공에 삽입 및 삽입 해제되고, 상기 잠금공 측 가장자리 영역에 상기 삽입 해제 방향으로 결합홀이 형성된 잠금 본체와, 상기 결합홀에 상기 삽입 해제 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홀의 외경이 상기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형되도록 상기 결합홀의 내경과 상기 가압 부재의 외경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가압 부재가 상기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상기 결합홀 내부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압 부재의 단부와 상기 결합홀의 내측벽이 이격된 상태로 결합된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삽입 해제 방향으로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외력이 발생하는 경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형 가능하게 마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서, 보관 장치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기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 프레임에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는 상기 도어 잠금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본체 프레임과 도어 사이의 틈으로 탈취자가 공구를 삽입하여 잠금공에 삽입된 잠금부로 삽입 해제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더라도 해당 외력에 의해 잠금부의 가장자리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형되어 잠금공에 보다 타이트하게 또는 잠금공의 내측에 걸리도록 하여 잠금 상태가 보다 견고해져 탈취자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가 설치된 도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가 설치된 도어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의 잠금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의 잠금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가 설치된 도어(3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가 설치된 도어(30)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보관 장치(1)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고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으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등의 현금 자동 입출금기나 자동 금융 거래 단말기와 같은 매체 자동 처리기와 같이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도어(30)에 의해 개폐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에 의해 도어(30)가 잠금 및 잠금 해제되는 다른 형태의 보관 장치(1)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1)는 내부에 수용 공간(미도시)이 형성된 본체 프레임(10)과, 본체 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 프레임(10)의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30)와, 도어(30)를 본체 프레임(10)에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는 도어 잠금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어(30)는 일 예로 본체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첩(31)과 같은 힌지 구조에 의해 본체 프레임(10)과 결합된다.
도어 잠금 장치는 도어(30)에 설치되어 도어(30)가 본체 프레임(10)을 폐쇄한 상태에서 도어(30)를 본체 프레임(10)에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부(60a)와, 조작부(52)를 포함한다.
잠금부(60a)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0)에 형성된 잠금공(11, 도 4 및 도 5 참조)에 삽입 및 삽입 해제 가능하게 도어(30)의 내측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잠금부(60a)가 잠금공(11)에 삽입되는 경우 도어(30)가 본체 프레임(10)을 잠그는 잠금 상태가 되고, 잠금부(60a)가 잠금공(11)으로부터 삽입 해제되는 경우 도어(30)가 본체 프레임(10)을 잠금 해제하는 잠금 해제 상태가 된다.
조작부(52)는 도어(30)의 외측에 설치되어 잠금부(60a)가 잠금공(11)에 삽입 및 삽입 해제되도록 조작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조작부(52)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에 파지하여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손잡이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일 방향으로 잠금부(60a)를 회전시키면 잠금부(60a)가 잠금공(11)에 삽입되고, 반대로 사용자가 반대 방향으로 잠금부(60a)를 회전시키면 잠금부(60a)가 잠금공(11)으로부터 삽입 해제되어, 도어(30)가 본체 프레임(10)을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게 된다.
여기서, 조작부(52)의 정역 회전 운동을 잠금부(60a)의 삽입 방향 및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어(30)의 외측에 설치된 조작부(52)가 도어(30)를 관통하는 회전축부를 통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작동 레버(53)와 연결되어, 조작부(52)의 정역 회전 운동이 작동 레버(53)의 적영 회전 운동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 레버(53)의 일측이 잠금부(60a)에 형성된 걸림턱부(66)에 삽입되어, 작동 레버(53)의 정역 회전 운동이 잠금부(60a)의 왕복 운동으로 전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잠금부(60a)가 마련되고, 한 쌍의 잠금부(60a) 사이에 배치된 잠금부(60a)에 걸림턱부(66)가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고 있다.
그리고, 걸림턱부(66)가 형성된 잠금부(60a)와 나머지 한 쌍의 잠금부(60a)는 잠금 플레이트(51)에 고정되어 걸림턱부(66)가 형성된 잠금부(60a)의 왕복 이동이 잠금 플레이트(51)를 통해 나머지 한 쌍의 잠금부(60a)로 전달됨으로써, 조작부(52)의 정역 회전 운동이 3개의 잠금부(60a)의 왕복 운동으로 전환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잠금부(60a)와 잠금 플레이트(5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의 내측에 설치된 가이드 플레이트(54)에 의해 왕복 이동이 안정적으로 안내되는 상태로 도어(30)의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조작부(52)의 조작, 예컨대 정역 회전 운동이 복수의 잠금부(60a)의 삽입 방향 및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으로 전환되는데, 상술한 조작부(52)와 복수의 잠금부(60a) 간의 연결 구조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기 구성에 국한되지 않으며, 기 공지된 다양한 연결 구조의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60a)는 잠금공(11) 측 가장자리 영역이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형 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60a)에 F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잠금부(60a)의 가장자리 영역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형됨으로써, 잠금부(60a)의 가장자리 영역의 외경의 크기가 적어도 일 영역에서는 커지게 되며, 도어(30)의 잠금 상태를 위해 잠금공(11)에 삽입된 잠금부(60a)의 가장자리 영역의 외경의 증가로 인해 잠금부(60a)가 잠금공(11)의 내벽에 견고하게 밀착되거나, 잠금공(11)의 내벽에 걸려(도 4의 (c) 및 도 5의 (c) 참조) 잠금부(60a)가 삽입 해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저지된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 잠금부(60a)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형을 야기시키는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은 탈취자 들은 각종 도구 등을 이용하여 도어(30)와 본체 프레임(10) 사이의 틈새를 공격하거나, 해머 등을 이용한 강력한 외력으로 잠금부(60a)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삽입 해제 방향으로 가하는 강제적인 외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되며, 정상적인 잠금 해제 동작을 위해 조작부(52)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외력은 포함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된다.
그리고, 잠금부(60a)는 삽입 해제 방향으로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외력이 발생하는 경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상적인 잠금 해제 동작을 위해 조작부(52)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서는 잠금부(60a)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마련됨으로써, 정상적인 잠금 및 잠금 해제 동작을 보다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탈취자가 각종 도구를 이용하여 도어(30)와 본체 프레임(10) 사이의 틈새를 공격하거나, 해머 등을 이용한 강한 외력을 잠금부(60a) 측에 전달하여 잠금부(60a)를 삽입 해제 방향으로 강제로 움직이도록 외력을 가할 때, 잠금부(60a)의 가장자리 영역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형되어 잠금공(11)에 보다 견고하게 밀착 또는 걸림으로써, 도어(30)를 강제로 잠금 해제시키려는 시도를 저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잠금부(60a)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60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본체(61a)와 가압 부재(63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a)는 잠금부(60a)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의 (b) 및 (c)는 도 4의 (a)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로 잠금부(60a)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잠금 본체(61a)는 조작부(52)의 조작에 따라 잠금공(11)에 삽입 및 삽입 해제된다. 여기서, 조작부(52)의 조작에 따라 잠금 본체(61a)가 삽입 방향 및 삽입 해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구성은 상술한 예와 같으며, 도 4에서는 걸림턱부(66)가 형성된 잠금부(60a)를 예로 하여 설명하는 바, 잠금 본체(61a)에 상술한 걸림턱부(66)가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
그리고, 잠금 본체(61a)의 가장자리 영역 중, 잠금공(11) 측 가장자리 영역, 즉 잠금공(11)에 삽입되는 가장자리 영역에는 삽입 해제 방향으로 결합홀(62a)이 형성된다. 그리고, 가압 부재(63a)는 결합홀(62a)에 삽입 해제 방향으로 삽입되어 잠금 본체(61a)와 결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결합홀(62a)의 내경과 가압 부재(63a)의 외경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적어도 일 영역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결합홀(62a)의 내경과 가압 부재(63a)의 외경에 상호 대향한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따라, 결합홀(62a)과 가압 부재(63a)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부재(63a)가 결합홀(62a)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을 유지하다가 삽입 해제 방향(F 방향)으로의 외력이 발생하는 경우, 가압 부재(63a)가 내부의 경사면을 따라 삽입 해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가압 부재(63a)의 외경과 결합홀(62a)의 내경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부재(63a)가 결합홀(62a)의 내경을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밀어 결합홀(62a)의 외경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형되어 본체 프레임(10)의 잠금공(11)에 걸림으로써, 잠금부(60a) 전체가 잠금공(11)으로부터 삽입 해제되어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가압 부재(63a)가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결합홀(62a)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부재(63a)의 단부와 결합홀(62a)의 내측벽이 이격된 상태(65a)로 결합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이를 통해,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이 가압 부재(63a)에 가해졌을 때, 가압 부재(63a)가 결합홀(62a)에 대해 독립적으로 일정 간격 이동하면서 결합홀(62a)의 내벽면을 가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60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본체(61b)와 변형 부재(63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a)는 잠금부(60b)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의 (b) 및 (c)는 도 5의 (a)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로 잠금부(60b)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잠금 본체(61b)는 조작부(52)의 조작에 따라 잠금공(11)에 삽입 및 삽입 해제된다. 여기서, 조작부(52)의 조작에 따라 잠금 본체(61b)가 삽입 방향 및 삽입 해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구성은 상술한 예와 같으며, 도 5에서는 걸림턱부(66)가 형성된 잠금부(60b)를 예로 하여 설명하는 바, 잠금 본체(61b)에 상술한 걸림턱부(66)가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
그리고, 잠금 본체(61b)의 가장자리 영역 중, 잠금공(11) 측 가장자리 영역, 즉 잠금공(11)에 삽입되는 가장자리 영역에는 결합부(62b)가 형성된다. 그리고, 변형 부재(63b)는 결합부(62b)가 삽입 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일측이 개방된 통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결합부(62b)의 외경과 변형 부재(63b)의 내경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적어도 일 영역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결합부(62b)의 외경과 변형 부재(63b)의 외경에 상호 대향한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따라, 결합부(62b)와 변형 부재(63b)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삽입 해제 방향(F 방향)으로의 외력이 발생하는 경우, 변형 부재(63b)가 내부의 경사면을 따라 삽입 해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변형 부내의 내경과 결합부(62b)의 외경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 부재(63b)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형되어 본체 프레임(10)의 잠금공(11)에 걸림으로써, 잠금부(60b) 전체가 잠금공(11)으로부터 삽입 해제되어 이탈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변형 부재(63b)가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결합부(62b) 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62b)의 단부와 변형 부재(63b)의 내측벽이 이격된 상태(65b)로 결합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이를 통해,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이 변형 부재(63b)에 가해졌을 때, 변형 부재(63b)가 결합부(62b)에 대해 독립적으로 일정 간격 이동하면서 변형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도 5의 (b)의 확대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 부재(63b)의 외경이 잠금 본체(61b)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이에 따라, 통상적인 잠금 및 잠금 해제 동작을 위해 잠금부(60b)가 잠금공(11)에 삽입 및 삽입 해제될 때, 변형 부재(63b)가 잠금공(11)에 걸려 잠금 본체(61b)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보관 장치 10 : 본체 프레임
30 : 도어 31 : 경첩
51 : 잠금 플레이트 52 : 조작부
53 : 작동 레버 54 : 가이드 플레이트
60a,60b : 잠금부 61a,61b : 잠금 본체
62a : 결합홀 62b : 결합부
63a : 가압 부재 63b : 변형 부재
66 : 걸림턱부

Claims (8)

  1. 본체 프레임을 개폐하는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잠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에 형성된 잠금공에 삽입 및 삽입 해제 가능하게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고, 상기 잠금공 측 가장자리 영역이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형 가능하게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잠금부와,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잠금부가 상기 잠금공에 삽입 및 삽입 해제되도록 조작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잠금공에 삽입 및 삽입 해제되고, 상기 잠금공 측 가장자리 영역에 결합부가 형성된 잠금 본체와,
    상기 결합부가 삽입 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하는 변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변형 부재가 상기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형되도록 상기 결합부의 외경과 상기 변형 부재의 내경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부재가 상기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상기 결합부 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부의 단부와 상기 변형 부재의 내측벽은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부재의 외경은 상기 잠금 본체의 외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잠금공에 삽입 및 삽입 해제되고, 상기 잠금공 측 가장자리 영역에 상기 삽입 해제 방향으로 결합홀이 형성된 잠금 본체와,
    상기 결합홀에 상기 삽입 해제 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홀의 외경이 상기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형되도록 상기 결합홀의 내경과 상기 가압 부재의 외경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가 상기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상기 결합홀 내부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압 부재의 단부와 상기 결합홀의 내측벽이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삽입 해제 방향으로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외력이 발생하는 경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형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도어 잠금 장치.
  8.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기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 프레임에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장치.
KR1020110138367A 2011-12-20 2011-12-20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KR101248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367A KR101248230B1 (ko) 2011-12-20 2011-12-20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DE102012024864.4A DE102012024864B4 (de) 2011-12-20 2012-12-19 Türverriegelungsvorrichtung
US13/722,284 US9238929B2 (en) 2011-12-20 2012-12-20 Door locking apparatus and an enclosure having the same
CN201210559891.5A CN103174327B (zh) 2011-12-20 2012-12-20 门锁装置及具有门锁装置的封闭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367A KR101248230B1 (ko) 2011-12-20 2011-12-20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8230B1 true KR101248230B1 (ko) 2013-03-27

Family

ID=48182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8367A KR101248230B1 (ko) 2011-12-20 2011-12-20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2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005A (ko) * 2014-06-30 2016-01-07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금고 도어의 잠금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5745A (ja) 1999-03-16 2000-09-26 Kongo Co Ltd 収納庫
JP2000274410A (ja) 1999-03-24 2000-10-03 Sanjo Kinzoku Kk 棒・線状体固定具、棒・線状体挟持固定具
JP2008142109A (ja) 2006-12-06 2008-06-26 Takebayashi Hidetoshi 施錠装置
JP2009019380A (ja) 2007-07-11 2009-01-29 Oki Electric Ind Co Ltd 金庫筐体の閂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5745A (ja) 1999-03-16 2000-09-26 Kongo Co Ltd 収納庫
JP2000274410A (ja) 1999-03-24 2000-10-03 Sanjo Kinzoku Kk 棒・線状体固定具、棒・線状体挟持固定具
JP2008142109A (ja) 2006-12-06 2008-06-26 Takebayashi Hidetoshi 施錠装置
JP2009019380A (ja) 2007-07-11 2009-01-29 Oki Electric Ind Co Ltd 金庫筐体の閂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005A (ko) * 2014-06-30 2016-01-07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금고 도어의 잠금 장치
KR101627918B1 (ko) * 2014-06-30 2016-06-07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금고 도어의 잠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8929B2 (en) Door locking apparatus and an enclosure having the same
US7722094B2 (en) Locking device for door
EP2963625B1 (en) Medium processing apparatus
KR20120072831A (ko) 셔터 개폐장치 및 금융자동화기기
EP1854946A2 (en) Door lock structure
KR101248230B1 (ko)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RU2596940C1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носителей
KR101795210B1 (ko)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KR101372371B1 (ko)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KR101305019B1 (ko)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KR101263281B1 (ko) 도어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매체자동처리기
KR20180033695A (ko) 카세트 모듈
KR101283306B1 (ko) 개폐 장치 및 금융기기
KR101159484B1 (ko) 카세트의 도어잠금장치
JP5297984B2 (ja) 錠前のこじ開け防止装置
KR101627918B1 (ko) 금고 도어의 잠금 장치
KR200302436Y1 (ko) 지폐류 저장박스
CN217538336U (zh) 保管箱
KR101740141B1 (ko)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KR101667101B1 (ko) 금고 도어의 잠금 장치
KR101700112B1 (ko)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EP2171184A1 (en) Lock for reinforced doors and the like
KR200381484Y1 (ko) 금고용 도어 잠금장치
KR200374671Y1 (ko)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의 도어 잠금장치
WO2024038242A1 (en) Lock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