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0376B1 - 셔터 개폐장치 및 금융자동화기기 - Google Patents

셔터 개폐장치 및 금융자동화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0376B1
KR101190376B1 KR1020100134737A KR20100134737A KR101190376B1 KR 101190376 B1 KR101190376 B1 KR 101190376B1 KR 1020100134737 A KR1020100134737 A KR 1020100134737A KR 20100134737 A KR20100134737 A KR 20100134737A KR 101190376 B1 KR101190376 B1 KR 101190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locking
power
unit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4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2831A (ko
Inventor
노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100134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0376B1/ko
Publication of KR20120072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는, 매체가 입출될 수 있는 공간을 커버하는 셔터; 상기 셔터의 작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셔터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를 구비하는 구동장치;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셔터가 닫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잠금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가 작동하면, 상기 구동부의 동력이 상기 잠금 장치로 전달되어 상기 잠금 장치의 잠금이 해제되고, 상기 잠금 장치가 해제된 후에 상기 구동부의 동력이 상기 셔터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셔터 개폐장치 및 금융자동화기기{A shutte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and automated teller machine}
본 발명은 셔터 개폐장치 및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는, 고객이 원하는 금융 업무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기기이다.
상기 금융자동화기기는, 매체(예를 들면, 지폐, 수표 등)를 입금 또는 출금하거나, 매체를 이체할 수 있다.
상기 금융자동화기기는, 매체의 출입부를 위한 매체출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매체출입부는, 매체의 입출을 위한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셔터(Shutter)와, 상기 셔터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셔터와 잠금장치는 각각 별도의 구동부에 의해서 작동한다.
이와 같이 상기 셔터와 잠금장치가 별도의 구동부에서 작동되는 경우, 각각의 구동부가 위치하는 공간이 요구되고, 다수의 구동부를 사용함에 따라 비용이 증가되며, 각 구동부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가 추가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의 구동부에 의해서 셔터와 잠금장치가 작동할 수 있는 셔터 개폐장치 및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는, 매체가 입출될 수 있는 공간을 커버하는 셔터; 상기 셔터의 작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셔터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를 구비하는 구동장치;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셔터가 닫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잠금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가 작동하면, 상기 구동부의 동력이 상기 잠금 장치로 전달되어 상기 잠금 장치의 잠금이 해제되고, 상기 잠금 장치가 해제된 후에 상기 구동부의 동력이 상기 셔터로 전달되며,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셔터에 연결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는 걸림부와, 상기 셔터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가 걸리는 걸림핀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회전축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걸림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셔터 개폐장치는, 특정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셔터; 상기 셔터의 작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셔터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를 구비하는 구동장치;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셔터가 닫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잠금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가 작동하면, 상기 구동부의 동력이 상기 잠금 장치로 전달되어 상기 잠금 장치의 잠금이 해제되고, 상기 잠금 장치가 해제된 후에 상기 구동부의 동력이 상기 셔터로 전달되며,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셔터에 연결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는 걸림부와, 상기 셔터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가 걸리는 걸림핀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회전축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걸림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구동장치의 구동력이 잠금 장치로 전달되어 상기 셔터의 움직임과 함께 잠금 장치가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잠금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별도의 구동장치가 불필요하므로, 공간 제약이 줄어들며, 비용이 줄어들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셔터가 열리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상기 외력이 걸림부의 회전축에 전달됨에 따라, 상기 셔터가 외력의 의해서 개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금융자동화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셔텨, 구동장치 및 잠금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셔텨가 열리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셔터가 닫히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금융자동화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1)는,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사용자가 금융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입력부(11)와, 수표를 출입금하기 위한 수표출입부(12)와, 지폐를 출입금하기 위한 지폐출입부(13)와, 통장을 출입하기 위한 통장 출입부(14)와, 금융처리를 위한 IC 카드(Integrated Circuit Card)를 출입하기 위한 카드출입부(15)를 포함한다.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의 기본 구조는 공지의 구조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매체(medium)는, 지폐, 수표, 상품권 등과 같은 유가증권을 포함한다.
상기 수표출입부(12) 및 상기 지폐출입부(13)는 각각 셔터(121, 131: shutter)를 포함한다. 상기 셔터(121, 131)는 수표 또는 지폐의 입출을 위한 공간을 커버한다.
상기 셔터(121, 131)는 각각 후술할 구동장치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각 셔텨(121, 131)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의 구조는 동일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지폐출입부(13)의 셔터(131)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셔텨 개폐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셔터 개폐장치는, 셔터(131)와, 상기 셔터(131)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20)와, 상기 셔텨(13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셔터(131)를 잠그기 위한 잠금 장치(30)와, 상기 셔터(131)를 지지하는 플레이트(plate: 4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장치(2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210: 일 례로 모터(motor))와, 상기 구동부(210)의 동력을 상기 셔터(131)로 전달하기 동력 전달부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구동부(210)에 결합되는 제1기어(gear: 220)와, 상기 제1기어(220)와 맞물리는 제2기어(230)와, 상기 제2기어(230)에 둘러지는 벨트(belt: 240)와, 상기 제2기어(230)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벨트(240)가 둘러지는 풀리(250)와, 상기 벨트(240)에 연결되어 상기 벨트(240)와 함께 이동되는 이동부재(260)와, 상기 이동부재(260)에 연결되는 연결부재(280)와, 상기 셔텨(131)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280)와 연결되는 결합부재(290)를 포함한다. 상기 제2기어(230)의 동력이 상기 벨트(240)로 안정적으로 전달되기 위하여 상기 벨트(240)는 타이밍 벨트(timing belt)일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30)는, 상기 결합부재(290)에 회전축(294)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걸림부(310)와, 상기 걸림부(310)가 선택적으로 걸리기 위한 걸림핀(pin: 320)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핀(320)은 상기 플레이트(40)에 형성된다. 상기 셔텨(13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310)는 상기 걸림핀(320)에 걸려 상기 셔텨(131)가 외력에 의해서 열리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플레이트(40)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바(guide bar: 410)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바(410)에는 상기 이동부재(260)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재(260)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더(420: guider)와, 상기 셔터(131)에 연결된 가이드 플레이트(guide plate: 296)와 연결되는 제2가이더(430)가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 바(410)는 상기 제1가이더(420) 및 상기 제2가이더(430)를 관통한다. 상기 이동부재(260)가 상기 제1가이더(4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하므로, 상기 이동부재(260)의 이동 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80)의 일측은 제1샤프트(shaft: 262)에 의해서 상기 이동부재(26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280)의 타측은 제2샤프트(264)에 의해서 상기 결합부재(290)에 연결된다.
상기 결합부재(290)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샤프트(264)가 관통하며 상기 제2샤프트(264)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2샤프트(264)는 상기 안내홀에서 전후 방향(도 2에서 A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310)에는 상기 제2샤프트(264)가 관통하며 상기 제2샤프트(264)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안내홀(312)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홀(312)은 상기 회전축(294)에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31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걸림부(310)와 상기 제2샤프트(264)의 간섭이 방지되기 위하여 상기 안내홀(312)의 크기는 상기 제2샤프트(264)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2샤프트(264)는 상기 셔터(131)의 개방 시 상기 걸림부(310)를 당기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샤프트(264)가 상기 회전축(194)과 이격되므로, 상기 제2샤프트(264)가 상기 걸림부(310)를 당기면, 상기 걸림부(310)가 상기 회전축(19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회전축(194)에는 탄성부재(일 례로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가 구비된다.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걸림부(310)와 연결되어 상기 걸림부(310)가 도 2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상기 걸림부(310)로 가한다. 즉,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걸림부(310)가 상기 걸림핀(320)에 걸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력을 상기 걸림부(310)로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셔터의 열림 및 닫힘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셔텨가 열리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는 셔터가 닫혀있는 상태가 도시되고, 도 4에는 상기 셔터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걸림부가 회전되어 상기 걸림부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셔터(131)의 열림을 위하여 상기 구동부(210)가 작동하면, 상기 제1기어(22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기어(23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벨트(24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벨트(24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벨트(240)에 연결된 이동부재(260)가 도 3에서 B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260)가 B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부재(260)가 상기 제2샤프트(264)를 당겨, 상기 걸림부(310)가 상기 회전축(294)을 중심으로 도 4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걸림부(3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걸림부(310)와 상기 걸림핀(320)의 걸림 해제된다. 상기 걸림부(310)와 상기 걸림핀(320)의 걸림이 해제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샤프트(264)는 상기 결합부재(290)의 안내홀(미도시)에서 B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샤프트(264)가 상기 결합부재(290)의 안내홀에서 B방향으로 완전하게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2샤프트(264)가 상기 결합부재(290)를 당겨, 상기 결합부재(290)와 연결된 상기 셔터(131)가 B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셔터가 닫히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는 셔터가 열린 상태가 도시되고, 도 6에는 걸림부가 걸림핀에 걸리기 전 상태가 도시되고, 도 7에는 셔터가 닫혀 걸림부가 걸림핀에 걸린 상태가 도시된다.
도 2,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셔터(131)를 닫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210)가 작동하면, 상기 제1기어(22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기어(23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벨트(24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벨트(24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벨트(240)에 연결된 이동부재(260)가 도 5에서 C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260)가 C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부재(260)가 상기 제2샤프트(264)를 밀게 되어 상기 걸림부(310)와 함께 상기 결합부재(290)가 C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걸림부(310)가 C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310)가 걸림핀(320)과 접촉하게 되면, 상기 걸림핀(320)에 의해서 상기 걸림부(310)가 일정 각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320)가 C방향으로 더 이동하게 되면, 상기 걸림부(310)는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걸림부(310)가 상기 걸림핀(320)에 걸리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셔터(131)에 결합된 결합부재(290)에 상기 걸림부(310)의 회전축(294)이 구비되므로, 상기 셔텨(131)가 열리는 방향으로 상기 셔텨(131)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외력이 상기 회전축(294)으로 가해진다. 상기 회전축(294)으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걸림부(310)의 회전 모멘트는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걸림부(310)가 회전하지 않고, 상기 걸림핀(320)에 걸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기어, 제2기어, 벨트, 및 이동부재를 제1동력전달부라 이름하고, 상기 결합부재를 제3동력전달부라 하고,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는 제2동력전달부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셔터 개폐장치의 작동을 정리하면, 상기 셔터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가 작동하면, 상기 구동부의 동력이 상기 잠금 장치(걸림부)로 전달되어 상기 잠금 장치의 잠금이 해제되고, 상기 잠금 장치가 해제된 후에 상기 구동부의 동력이 상기 셔터로 전달되어 상기 셔터가 개방된다.
반면, 상기 셔터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셔터를 닫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가 작동하면, 상기 구동부의 동력이 상기 셔터로 전달되어 상기 셔터가 닫힌다. 이 때, 상기 셔터가 완전하게 닫히는 위치로 상기 셔터가 도달할 때,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핀에 의해서 회전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잠금 장치의 잠금이 수행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력이 상기 잠금 장치로 전달되어 상기 셔터의 움직임과 함께 상기 잠금 장치가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잠금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별도의 구동장치가 불필요하므로, 공간 제약이 줄어들며, 비용이 줄어들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셔터가 열리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상기 외력이 상기 걸림부의 회전축에 전달됨에 따라, 상기 셔터가 외력의 의해서 개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동력전달부의 구조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구동부의 동력이 셔터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부로 구동부의 동력이 전달될 수 있는 경우라면, 상기 동력전달부의 구조에는 제한이 없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셔터 개폐장치가 금융자동화기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셔터 개폐장치가 적용되는 대상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셔터 개폐장치가 금융자동화기기 외의 다른 대상에 구비되는 경우, 셔터는 특정 공간을 개폐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본체 20: 구동장치
30: 잠금장치

Claims (10)

  1. 매체가 입출될 수 있는 공간을 커버하는 셔터;
    상기 셔터의 작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셔터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를 구비하는 구동장치;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셔터가 닫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잠금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가 작동하면, 상기 구동부의 동력이 상기 잠금 장치로 전달되어 상기 잠금 장치의 잠금이 해제되고, 상기 잠금 장치가 해제된 후에 상기 구동부의 동력이 상기 셔터로 전달되며,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셔터에 연결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는 걸림부와, 상기 셔터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가 걸리는 걸림핀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회전축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걸림부에 연결되는 금융자동화기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제1동력전달부와,
    상기 셔터와 연결되는 제3동력전달부와,
    상기 제1동력전달부와 상기 제3동력전달부를 연결하는 제2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제1샤프트에 의해서 상기 제1동력전달부와 연결되고, 제2샤프트에 의해서 상기 제3동력전달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샤프트는 상기 걸림부를 관통하는 금융자동화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회전축에 의해서 상기 제3동력전달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걸림부의 상기 회전축과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제2샤프트가 관통하기 위한 안내홀이 형성되는 금융자동화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핀에 걸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력을 상기 걸림부로 제공하는 탄성 부재가 구비되는 금융자동화기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2동력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전달하는 금융자동화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상기 셔터의 개폐 시 상기 셔터와 함께 이동하는 금융자동화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셔터를 닫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가 작동하면, 상기 구동부의 동력이 상기 셔터로 전달되어 상기 셔터가 닫히고, 상기 셔터가 완전하게 닫히는 위치로 상기 셔터가 도달할 때, 상기 잠금 장치의 잠금이 수행되는 금융자동화기기.
  10. 특정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셔터;
    상기 셔터의 작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셔터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를 구비하는 구동장치;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셔터가 닫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잠금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가 작동하면, 상기 구동부의 동력이 상기 잠금 장치로 전달되어 상기 잠금 장치의 잠금이 해제되고, 상기 잠금 장치가 해제된 후에 상기 구동부의 동력이 상기 셔터로 전달되며,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셔터에 연결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는 걸림부와, 상기 셔터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가 걸리는 걸림핀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회전축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걸림부에 연결되는 셔터 개폐장치.
KR1020100134737A 2010-12-24 2010-12-24 셔터 개폐장치 및 금융자동화기기 KR101190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737A KR101190376B1 (ko) 2010-12-24 2010-12-24 셔터 개폐장치 및 금융자동화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737A KR101190376B1 (ko) 2010-12-24 2010-12-24 셔터 개폐장치 및 금융자동화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831A KR20120072831A (ko) 2012-07-04
KR101190376B1 true KR101190376B1 (ko) 2012-10-11

Family

ID=46707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737A KR101190376B1 (ko) 2010-12-24 2010-12-24 셔터 개폐장치 및 금융자동화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03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265A (ko) 2014-06-30 2016-01-07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벨트를 사용한 구동장치, 셔터개폐장치 및 셔터개폐장치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KR101915862B1 (ko) * 2016-12-23 2018-11-07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47193B (zh) * 2018-01-20 2019-09-24 南安市好运来雨具有限公司 一种改进型金融柜员机装置
KR20200068788A (ko) 2018-12-05 2020-06-16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 기기
KR102621841B1 (ko) 2018-12-11 2024-01-05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 기기
KR102157698B1 (ko) 2018-12-19 2020-09-21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 기기
KR102621903B1 (ko) 2018-12-28 2024-01-05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 기기
KR20210064469A (ko) 2019-11-25 2021-06-03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 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64489A (ko) 2019-11-25 2021-06-03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 기기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459B1 (ko) 2006-06-20 2007-07-3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셔터 작동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459B1 (ko) 2006-06-20 2007-07-3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셔터 작동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265A (ko) 2014-06-30 2016-01-07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벨트를 사용한 구동장치, 셔터개폐장치 및 셔터개폐장치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KR101915862B1 (ko) * 2016-12-23 2018-11-07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831A (ko)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376B1 (ko) 셔터 개폐장치 및 금융자동화기기
RU2613862C2 (ru) Устройство с заслонкой и устройство выполнения транзакций с носителями
US7722094B2 (en) Locking device for door
US9238929B2 (en) Door locking apparatus and an enclosure having the same
US10127756B2 (en) Medium process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EP1854946A2 (en) Door lock structure
KR101155188B1 (ko)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구동 및 잠금 장치
KR101310466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 구조
KR101283306B1 (ko) 개폐 장치 및 금융기기
KR100877013B1 (ko) 금융자동화기기용 셔터 장치
KR101305019B1 (ko)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KR101246981B1 (ko) 매체 출입 장치 및 금융기기
KR101310422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 구조
EP2541516B1 (en) Cassette for automated teller machine
KR101159484B1 (ko) 카세트의 도어잠금장치
KR10104125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셔터 장치
JP2005267130A (ja) 現金自動取引装置
KR101272695B1 (ko) 현금자동입출금기
KR101372371B1 (ko)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KR101094480B1 (ko)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의 매체수용모듈 고정장치
KR20140148139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장치
JP7040984B2 (ja) 紙幣処理装置
KR101776394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방법, 금융 기기
KR101764508B1 (ko)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JP4765786B2 (ja) ロッ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