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4480B1 -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의 매체수용모듈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의 매체수용모듈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4480B1
KR101094480B1 KR1020100090585A KR20100090585A KR101094480B1 KR 101094480 B1 KR101094480 B1 KR 101094480B1 KR 1020100090585 A KR1020100090585 A KR 1020100090585A KR 20100090585 A KR20100090585 A KR 20100090585A KR 101094480 B1 KR101094480 B1 KR 101094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odule
unit
medium
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승민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100090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4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수용모듈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매체수용모듈 고정장치는, 매체가 수용될 수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도어고정유닛을 가지는 매체수용모듈; 상기 매체수용모듈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매체수용모듈의 고정을 위한 모듈고정유닛; 및 상기 모듈고정유닛 및 상기 도어고정유닛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위한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의 매체수용모듈 고정장치{Automated teller machine and a fixing device of medium storing module thereof}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는, 고객이 원하는 금융 업무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기기이다.
상기 금융자동화기기는 매체(예를 들면, 지폐, 수표 등)을 입출금하거나 매체를 자동으로 이체한다. 상기 금융자동화기기는, 일반적으로 지폐를 출입금하기 위한 지폐출입부와, 통장을 출입하기 위한 통장출입부와, 카드를 출입하기 위한 카드출입부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금융자동화기기는, 출금을 위한 매체 또는 입금된 매체가 수용되는 다수의 매체수용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매체수용모듈은 장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매체수용모듈은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장치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장치는 구동부에 의해서 작동된다.
상기 매체수용모듈은 하우징과 도어와, 상기 도어가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개방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장치는 구동부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매체수용모듈의 고정을 위한 고정장치 용 구동부와, 상기 도어의 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장치 용 구동부가 각각 사용됨에 따라, 비용이 증가되고, 구조가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의 구동부에 의해서 매체수용모듈의 고정 및 매체수용모듈의 도어의 개방이 방지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의 매체수용모듈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수용모듈 고정장치는, 매체가 수용될 수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도어고정유닛을 가지는 매체수용모듈; 상기 매체수용모듈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된 상기 매체수용모듈의 고정을 위한 모듈고정유닛; 및 상기 장착부에 구비되며, 상기 모듈고정유닛 및 상기 도어고정유닛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위한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는, 매체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한 접객부; 상기 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반송부; 상기 이송되는 매체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부; 상기 인식된 매체를 수용하고, 도어를 구비하여 상기 도어를 통하여 상기 매체가 인입 및 인출될 수 있고, 상기 도어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도어고정유닛을 가지는 매체수용모듈; 상기 매체수용모듈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 및 하나의 구동부를 이용하여 상기 매체수용모듈이 상기 장착부에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도어고정유닛이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도록 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의 구동부에 의해서 모듈고정유닛 및 도어고정유닛의 잠금 및 잠금해제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매체수용모듈 고정장치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비용이 저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일의 구동부를 작동시키면 되므로, 구동부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간단해질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수용모듈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잠금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매체수용모듈의 도어고정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매체수용모듈이 장착부에서 분리 가능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모듈고정유닛의 잠금을 위하여 잠금장치가 작동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도어잠금부재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8의 (a)는 도어고정유닛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8의 (b)는 도어고정유닛이 잠금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수용모듈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수용모듈 고정장치(1)는, 매체가 수용되는 매체수용모듈(10)과, 상기 매체수용모듈(10)이 장착되는 장착부(30)를 포함한다.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매체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한 접객부와, 상기 매체를 이송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롤러로 구성될 수 있는 반송부와, 상기 이송되는 매체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객부, 반송부, 및 인식부는 공지의 구조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매체수용모듈(10)은 상기 인식부에 의해서 인식된 매체를 수용한다.
상기 매체수용모듈(10)은 매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housing: 110)과, 상기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door: 15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도어(150)를 열기 위한 키(Key: 미도시)가 결합되는 키 결합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키를 상기 키 결합부(112)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키를 회전시키면, 상기 도어(150)의 개방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매체수용모듈(10)이 상기 장착부(3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150)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0)는 상기 매체수용모듈(10)을 지지 및 보호하는 바디(310)와, 상기 매체수용모듈(10)이 상기 장착부(3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모듈고정유닛(330: module fixing unit)과, 상기 매체수용모듈(10)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조작하는 조작부(320)와, 상기 조작부(320)의 조작력을 상기 모듈고정유닛(330)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322)를 포함한다.
상기 모듈고정유닛(330)은, 상기 바디(3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shaft: 331)와, 상기 샤프트(331)에 고정되고 상기 매체수용모듈(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부(332)와, 상기 샤프트(331)에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320)의 조작력을 상기 샤프트(331)로 전달하는 연결부(334)와, 상기 샤프트(331)에 연결되는 스토퍼(336: stopper)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332), 연결부(334) 및 스토퍼(336)는 상기 샤프트(331)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조작부(320)는 상기 바디(3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부가 상기 바디(310)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전달부(322)는 상기 바디(310)에 직선 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바디(310)에는 상기 전달부(322)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guide part: 312)가 형성되고, 상기 전달부(322)에는 상기 가이드부(312)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guide hole: 323)이 형성된다. 상기 전달부(322)의 일단은 상기 조작부(320)와 접촉될 수 있고, 타단은 상기 연결부(334)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332)는 상기 매체수용모듈(10)에 걸리기 위한 후크(333: hook)를 포함한다. 상기 매체수용모듈(10)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후크(333)가 걸리기 위한 후크 걸림부가 형성된다. 도 3에는 일 례로, 상기 후크(333)가 상기 매체수용모듈(10)에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다.
상기 장착부(30)는 상기 모듈고정유닛(330)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잠금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잠금장치는, 구동부(350)와, 상기 구동부(350)에 의해서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336)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모듈잠금부재(360: module locking member)와, 후술할 도어고정유닛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도어잠금부재(door locking member)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스토퍼(336)의 회전이 방지되는 것은 상기 샤프트(331)의 회전 및 상기 결합부(332)의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세히, 상기 구동부(350)는 상기 바디(310)에 형성되는 설치부(312)에 장착되고, 상기 모듈잠금부재(360)는 상기 설치부(312)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350)는 일 례로 솔레노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50)는 이동부재(352)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재(352)는 직선 운동할 수 있다. 상기 모듈잠금부재(360)는 상기 이동부재(352)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352)가 이동되면, 상기 모듈잠금부재(360)는 상기 이동부재(352)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에서 볼 때, 상기 모듈잠금부재(360)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잠금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매체수용모듈의 도어고정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에는 도어고정유닛에 의해서 도어의 개방이 방지된 상태가 도시된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모듈잠금부재(360)는 상기 샤프트(331)의 하방에 위치된다. 상기 스토퍼(336)는 상기 샤프트(331)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모듈잠금부재(360)에는 상기 스토퍼(336)가 관통하기 위한 홀(361: hole)이 형성된다. 상기 모듈잠금부재(360)는 상기 스토퍼(336)가 상기 홀(361)을 관통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홀(361)은, 제1홀(362)과, 상기 제1홀(362)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도 4에서 볼 때, 상기 제1홀(362)의 전후 길이(크기)보다 짧게 형성되는 제2홀(363)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1홀(362)의 전후 길이(크기)는 상기 스토퍼(336)가 회전할 때, 상기 스토퍼(336)와 간섭되지 않을 정도로 설정된다. 반면, 상기 제2홀(363)의 전후 길이는 상기 제1홀(362)의 전후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336)가 회전할 때, 상기 스토퍼(336)와 상기 잠금부재(360)가 간섭된다. 즉, 상기 제2홀(363)은 상기 스토퍼(336)가 회전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지 못하므로, 상기 스토퍼(336)는 상기 제2홀(363)에 위치한 상태에서 일정 각도 회전된 후에는 더이상 회전하지 못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모듈잠금부재(360)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스토퍼(336)가 제1홀(362) 또는 제2홀(363)에 위치될 수 있다. 도 4에는 일 례로 상기 스토퍼(336)가 제1홀(363)에 위치한 것이 도시된다. 일 례로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작동 중에는 상기 모듈잠금부재(360)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스토퍼(336)가 상기 제2홀(363)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설치부(312)에는 상기 모듈잠금부재(36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313)가 형성되고, 상기 모듈잠금부재(360)에는 상기 가이드부(313)가 관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홀(364)이 형성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도어고정유닛은, 키 결합부(112)에 연결되어 상기 키의 회전 시 함께 회전되는 회전부재(113)와, 상기 회전부재(113)의 회전에 의해서 움직일 수 있는 고정부재(12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120)는 상기 하우징(11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고정부재(12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118)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20)에는 상기 가이드부(118)가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홀(121)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120)에는 상기 도어(150)에 형성된 후크(152: hook)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부(122)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22)는 좌우 폭에 비하여 상하 길이가 크게 형성된다. 상기 후크(152)가 상기 개구부(122)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120)가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122)의 상하 길이는 상기 후크(152)의 상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120)는 스토퍼(stopper: 124)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124)는 선택적으로 상기 도어잠금부재(370)에 걸릴 수 있다.
한편, 상기 잠금 장치를 구성하는 도어잠금부재(370)는, 상기 하우징(110)에 도 5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도어잠금부재(370)는 상기 모듈잠금부재(360)의 움직임에 의해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도어잠금부재와 상기 모듈잠금부재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도어잠금부재(37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140)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잠금부재(370)에는 상기 가이드부(140)가 관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홀(372)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잠금부재(370)는 선택적으로 상기 스토퍼(124)의 상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잠금부재(370)는 선택적으로 상기 스토퍼(124)의 수직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도어잠금부재(370)가 상기 스토퍼(124)의 수직 하방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고정부재(120)는 상기 도어잠금부재(370)에 의해서 더이상 하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매체수용모듈 고정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매체수용모듈이 장착부에서 분리 가능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매체수용모듈(10)이 상기 장착부(30)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에서는 상기 모듈고정장치의 스토퍼(336)는 상기 모듈잠금부재(360)의 제1홀(362)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매체수용모듈(10)을 장착부(3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조작부(320)를 사용자 측으로 당긴다. 즉, 상기 조작부(320)를 도 6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조작부(320)가 상기 전달부(322)를 밀게 되어 상기 전달부(322)가 후방(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전달부(322)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전달부(322)는 상기 연결부(334)를 밀게 되어 상기 연결부(334)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334)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샤프트(331) 및 상기 결합부(33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최종적으로 상기 결합부(332)의 후크(333)가 상기 매체수용모듈(10)에서 빠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매체수용모듈(10)을 상기 장착부(3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7은 모듈고정유닛의 잠금을 위하여 잠금장치가 작동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모듈고정유닛의 잠금, 즉, 상기 매체수용모듈(10)이 상기 장착부(3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잠금장치가 작동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잠금장치의 작동은, 잠금을 위한 작동과 잠금의 해제를 위한 작동을 포함하며, 이하에서의 잠금장치의 작동은 잠금을 위한 작동을 의미한다. 본 실시 예에서, 일 례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금융자동화기기가 작동되는 중 또는 사용되는 중에 작동할 수 있다.
상세히,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350)가 작동하면, 상기 모듈고정부재(360)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1홀(361)에 위치한 스토퍼(336)가 상기 제2홀(363)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매체수용모듈(10)을 상기 장착부(30)에서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조작부(320)를 조작하면, 상기 샤프트(331) 및 상기 스토퍼(336)가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스토퍼(336)가 일정 각도 회전되면, 상기 스토퍼(336)는 상기 모듈잠금부재(360)와 간섭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일정 각도는 상기 결합부(332)의 후크(333)가 상기 매체수용모듈(10)에서 빠지기 위하여 필요한 필요 각도 보다 작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스토퍼(336)가 상기 모듈잠금부재(360)에 의해서 필요 각도 만큼 회전되지 못하므로, 상기 매체수용모듈(10)이 상기 장착부(30)에서 분리될 수 없다.
도 8은 본 발명의 도어잠금부재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8의 (a)는 도어고정유닛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8의 (b)는 도어고정유닛이 잠금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잠금부재(370)의 일단부에는 상기 모듈잠금부재(360)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365)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365)는 상기 도어잠금부재(370)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접촉부(376)와, 상기 제1접촉부(376)에서 상기 고정부재(120)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접촉부(377)를 포함한다.
상기 모듈잠금부재(360)는 상기 도어잠금부재(370)로 힘을 전달하기 위한 롤러(366)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336)는 상기 모듈잠금부재(360)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수평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접촉부(377)는 상기 제1접촉부(376)에서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제2접촉부(377)와 상기 제1접촉부(376)의 경사각도는 90도 미만이다. 이는 상기 모듈잠금부재(36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도어잠금부재(360)가 전방(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8의 (a)와 같이 도어고정유닛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롤러(366)는 상기 제2접촉부(377)에 접촉하거나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잠금부재(370)가 스토퍼(124)의 이동 경로(P)에서 벗어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키를 상기 키 삽입부(112)에 삽입한 상태에서 키를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부재(113)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고정부재(120)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부재(120)에서 상기 도어의 후크(152)가 빠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도 8의 (a)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고정유닛의 잠금을 위하여 상기 모듈잠금부재(130)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롤러(366)는 상기 제2접촉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고, 상기 롤러(366)에 의해서 상기 도어잠금부재(37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도 8의 (b)와 같이 상기 도어잠금부재(370)가 상기 고정부재(120)의 스토퍼(124)이 이동 경로(P) 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스토퍼(124)가 상기 도어잠금부재(370)에 의해서 하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재(120)가 하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므로, 상기 도어의 후크(152)가 상기 고정부재(120)에서 빠질 수 없게 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의 구동부에 의해서 모듈고정유닛 및 도어고정유닛의 잠금 및 잠금해제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매체수용모듈 고정장치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비용이 저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일의 구동부를 작동시키면 되므로, 구동부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간단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매체수용모듈 30: 장착부

Claims (9)

  1. 매체가 수용될 수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도어고정유닛을 가지는 매체수용모듈;
    상기 매체수용모듈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된 상기 매체수용모듈의 고정을 위한 모듈고정유닛; 및
    상기 장착부에 구비되며, 상기 모듈고정유닛 및 상기 도어고정유닛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위한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수용모듈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구동부와,
    상기 모듈고정유닛의 잠금을 위한 모듈잠금부재와,
    상기 도어고정유닛의 잠금을 위한 도어잠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모듈잠금부재와 상기 도어잠금부재가 함께 작동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수용모듈 고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고정유닛은, 상기 장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며, 상기 매체수용모듈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잠금부재는 상기 스토퍼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수용모듈 고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제1홀과 상기 제1홀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제2홀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잠금부재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홀 또는 제2홀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모듈고정유닛의 잠금상태에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홀에 위치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수용모듈 고정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고정유닛은, 키(Key)의 회전에 의해서 함께 회전될 수 있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에 의해서 이동할 수 있으며, 스토퍼가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후크는 상기 고정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도어잠금부재는 상기 스토퍼의 이동 경로 상에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수용모듈 고정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잠금부재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모듈잠금부재가 상기 구동부에 의해서 구동되면, 상기 모듈잠금부재는 상기 도어잠금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도어잠금부재를 이동시키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수용모듈 고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잠금부재는 상기 도어잠금부재와 접촉할 수 있는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잠금부재는 상기 롤러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는, 제1접촉부와, 상기 제1접촉부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잠금부재가 모듈고정유닛의 잠금을 위하여 일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롤러는 상기 제2접촉부와 접촉한 후에 상기 제1접촉부와 접촉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수용모듈 고정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수용모듈 고정장치.
  9. 매체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한 접객부;
    상기 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반송부;
    상기 이송되는 매체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부;
    상기 인식된 매체를 수용하고, 도어를 구비하여 상기 도어를 통하여 상기 매체가 인입 및 인출될 수 있고, 상기 도어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도어고정유닛을 가지는 매체수용모듈;
    상기 매체수용모듈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 및
    하나의 구동부를 이용하여 상기 매체수용모듈이 상기 장착부에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도어고정유닛이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도록 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
KR1020100090585A 2010-09-15 2010-09-15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의 매체수용모듈 고정장치 KR101094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585A KR101094480B1 (ko) 2010-09-15 2010-09-15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의 매체수용모듈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585A KR101094480B1 (ko) 2010-09-15 2010-09-15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의 매체수용모듈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4480B1 true KR101094480B1 (ko) 2011-12-19

Family

ID=45506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585A KR101094480B1 (ko) 2010-09-15 2010-09-15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의 매체수용모듈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44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046Y1 (ko) 2005-05-10 2005-08-1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카세트 잠금장치
KR200399009Y1 (ko) * 2005-07-29 2005-10-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카세트프레임 도어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046Y1 (ko) 2005-05-10 2005-08-1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카세트 잠금장치
KR200399009Y1 (ko) * 2005-07-29 2005-10-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카세트프레임 도어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376B1 (ko) 셔터 개폐장치 및 금융자동화기기
KR101590714B1 (ko) 금융기기
EA009271B1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банкнот
KR102165828B1 (ko)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
KR101094480B1 (ko)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의 매체수용모듈 고정장치
JP2006309681A (ja) 紙幣識別収納装置
KR101310466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 구조
KR101181587B1 (ko) 보충회수박스 잠금 장치
KR101310422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 구조
JP2005267130A (ja) 現金自動取引装置
JP6891924B2 (ja) 媒体処理装置
KR101283306B1 (ko) 개폐 장치 및 금융기기
KR101468139B1 (ko) 매체관리장치
JP5638290B2 (ja) 棒金収納庫
KR20100073458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저장장치
KR100981776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KR101764508B1 (ko)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JP4387209B2 (ja) 紙幣識別装置
JP3575330B2 (ja) 紙葉類収納装置
JP6554939B2 (ja) 媒体処理装置
KR20140148139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장치
KR10107729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저장장치
JP7402678B2 (ja) 紙葉類収納装置及び紙葉類処理装置
KR102563412B1 (ko) 매체저장장치
JP2017090986A (ja) 紙葉類収納カセット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