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265A - 벨트를 사용한 구동장치, 셔터개폐장치 및 셔터개폐장치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 Google Patents

벨트를 사용한 구동장치, 셔터개폐장치 및 셔터개폐장치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265A
KR20160002265A KR1020140081373A KR20140081373A KR20160002265A KR 20160002265 A KR20160002265 A KR 20160002265A KR 1020140081373 A KR1020140081373 A KR 1020140081373A KR 20140081373 A KR20140081373 A KR 20140081373A KR 20160002265 A KR20160002265 A KR 20160002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belt
shutter
fixture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6475B1 (ko
Inventor
김도완
구건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40081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475B1/ko
Publication of KR20160002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를 사용한 구동장치, 셔터개폐장치 및 셔터개폐장치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구동벨트(40)가 특정한 위치에서 고정되어 있도록 하기 위해 고정구(62)와 직접 구동벨트(40)가 결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벨트(40)에는 제1결합요철(4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62)에는 제2결합요철(64)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벨트(40)와 고정구(62)의 결합을 위해서는 상기 구동벨트(40)의 동작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16)의 구동력으로 동작되는 연동캠(56)이 사용된다. 상기 연동캠(56)의 정점부(58)가 상기 구동벨트(40)의 일측을 상기 고정구(62)쪽으로 밀어 상기 제1 및 제2 결합요철(62,64)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여 구동벨트(40)의 동작을 차단한다. 상기 구동벨트(40)에 의해서 이동되는 구동대상물로는 셔터(14)가 있다. 상기 셔터(14)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에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을 개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대상물인 셔터(14)가 개방된 상태나 폐쇄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벨트를 사용한 구동장치, 셔터개폐장치 및 셔터개폐장치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Driving apparatus having belt, opening/closing apparatus of shutter and automated teller machi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매체발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매체를 하나의 발급장치에서 발급할 수 있도록 하는 매체발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동원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풀리에 벨트를 걸어감아서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장치에서는 상기 대상물을 특정한 위치에 이동시킨 상태에서, 대상물이 이동되지 않도록 구속할 필요가 있다.
상기 대상물로서 도어나 셔터를 사용하여 소정의 공간을 외부에 대해 자동적으로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지폐나 수표 등을 입출하는 공간을 셔터를 사용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셔터의 개방상태나 폐쇄상태를 확실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필요한데,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된 특허로는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190376호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037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10806호
본 발명의 목적은 벨트를 사용하여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경우에 대상물을 이동된 특정한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나 셔터를 벨트를 사용하여 개폐하도록 하면서 도어나 셔터의 개폐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셔터를 사용하여 매체가 입출되는 공간을 개폐하도록 하고, 개방 또는 폐쇄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서, 본 발명의 셔터구동장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를 통해 전달된 구동력으로 동작되는 구동벨트와, 상기 구동벨트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고정구와, 상기 동력전달부를 통해 전달된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사용하여 상기 구동벨트와 상기 고정구가 서로 결합과 분리되도록 하는 연동기구와, 상기 구동벨트에 의해 이동되면서 소정의 공간을 개폐하는 셔터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동력전달부를 통해 전달된 구동력으로 동작되는 캠벨트에 의해 구동된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고정구와 구동벨트는 상기 연동기구에 의해 결합되는데, 상기 고정구와 구동벨트중 적어도 어느 일측이 이동되어 서로 결합되고 분리된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연동기구는 일측에 회전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다른 부분보다 먼 정점부를 구비하는 연동캠이 사용된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구동벨트에는 제1결합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에는 상기 제1결합요철과 결합되는 제2결합요철이 형성된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동력전달부에는 토크리미터가 더 구비되어 상기 셔터의 이동을 방해하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 구동원의 구동력 전달을 차단한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연동기구와 구동벨트로 동력을 분지하여 보내는데, 상기 구동벨트로의 동력전달을 단속하는 클러치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 본 발명의 금융자동화기기는 일측에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의 구동을 위한 구동원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를 통해 전달된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으로 동작되는 구동벨트와, 상기 구동벨트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고정구와, 상기 동력전달부를 통해 전달된 구동력을 사용하여 상기 구동벨트와 상기 고정구가 서로 결합과 분리되도록 하는 연동기구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상기 고정구와 캠벨트는 상기 연동기구에 의해 결합되는데, 상기 고정구와 캠벨트중 적어도 어느 일측이 이동되어 서로 결합되고 분리된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연동기구는 정점부를 가지는 연동캠이 사용되는데, 상기 연동캠의 정점부가 상기 구동벨트의 일측을 상기 고정구쪽으로 밀어서 상기 구동벨트와 상기 고정구가 결합된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구동벨트에는 제1결합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에는 상기 제1결합요철과 결합되는 제2결합요철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 본 발명의 벨트를 사용한 구동장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를 통해 전달된 구동력으로 동작되어 구동대상물을 구동시키는 구동벨트와, 상기 구동벨트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고정구와, 상기 동력전달부를 통해 전달된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사용하여 상기 구동벨트와 상기 고정구가 서로 결합과 분리되도록 하는 연동기구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상기 고정구와 구동벨트는 상기 연동기구에 의해 결합되는데, 상기 고정구와 구동벨트중 적어도 어느 일측이 이동되어 서로 결합되고 분리된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연동기구는 일측에 회전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다른 부분보다 먼 정점부를 구비하는 연동캠이 사용된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구동벨트에는 제1결합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에는 상기 제1결합요철과 결합되는 제2결합요철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벨트를 사용하여 특정한 대상물, 도어 또는 셔터를 이동시키고, 이들을 그 특정한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대상물, 도어 또는 셔터의 기능이 확실하게 수행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대상물, 도어 또는 셔터를 이동시키는 벨트에 고정구가 직접 결합되어 벨트의 이동을 차단하므로 대상물, 도어 또는 셔터의 고정이 오차없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도어 또는 셔터에 의해 공간의 차폐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되어 잠금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벨트와 별개인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여 벨트의 잠금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벨트를 직접 사용하여 잠금을 수행하므로 대상물, 도어 또는 셔터의 인위적인 이동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벨트와 별개인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벨트와 고정구가 직접 결합되어 잠금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므로 조립공차나 부품공차가 최소화되어 장치의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셔터개폐장치의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을 동력전달부를 중심으로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셔터가 닫히고 고정구와 구동벨트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셔터가 열리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에에서 셔터가 열렸다가 다시 닫히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벨트를 사용한 구동장치와 셔터개폐장치 및 셔터개폐장치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인데, 셔터개폐장치를 위주로 설명하고, 벨트를 사용한 구동장치와 금융자동화기기는 셔터개폐장치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셔터개폐장치는 셔터(14)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구동원(16)이 제공하고, 상기 구동원(16)의 구동력을 동력전달부(20)를 통해 벨트(40)로 전달하여 셔터(14)가 이동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원(16)의 구동력을 동력전달부(20)의 다른 경로를 통해 전달하여 상기 벨트(40)와 고정구(62)가 서로 결합되어 벨트(40)의 동작을 차단함으로써 셔터(14)가 고정되어 있게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셔터개폐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프레임(10)은 전체 장치의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는 소정의 내부공간(12)이 만들어진다. 상기 내부공간(12)에는 셔터(14)에 의해 차폐되는 구성이 위치된다. 상기 내부공간(12)에 위치되는 구성으로는 금융자동화기기에서는 지폐나 수표 등이 입출되는 것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셔터(14)는 상기 내부공간(12)을 개방하고 차폐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는 가이드부(도시되지 않음)를 따라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셔터(14)는 상기 내부공간(12)의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는 크기와 모양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는 구동원(16)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원(16)은 상기 셔터(14)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구동원(16)의 예로서는 스텝모터가 있다. 상기 구동원(16)의 구동력은 구동축(18)을 통해 외부로 전달된다.
상기 구동원(16)에서 나오는 구동력은 동력전달부(20)를 통해 상기 셔터(14)와 아래에서 설명될 연동캠(56)으로 전달된다. 상기 동력전달부(20)는 다수개의 기어로 만들어진다. 상기 동력전달부(20)에는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차단하는 토크리미터(28)와 동력전달을 단속하는 클러치(36)도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20)의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구동원(16)의 구동축(18)에는 구동기어(22)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기어(22)와 맞물려 회전되도록 제1연동축(24)에는 제1연동기어(26)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기어(2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연동기어(26)가 회전되어 상기 제1연동축(24)이 회전된다.
상기 제1연동축(24)의 일단부에는 토크리미터(28)가 설치되는데, 상기 토크리미터(28)는 제2연동축(30)과도 연결된다. 즉, 상기 토크리미터(28)는 제1연동축(24)과 제2연동축(30)을 연결하여 설치되어, 상기 셔터(14)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큰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제1연동축(24)과 제2연동축(30) 사이를 차단하여 구동원(16)에 과부하가 작용하지 못하게 한다.
상기 제2연동축(30)에는 제2연동기어(32)가 설치된다. 상기 제2연동기어(32)와 맞물려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분지기어(50)가 설치된다. 상기 제2연동축(30)과 동축으로 제3연동기어(34)가 있는데, 상기 제3연동기어(34)는 상기 제2연동축(30)에 설치된 클러치(36)를 통해 상기 제2연동기어(32)와 연결 또는 분리된다. 상기 제3연동기어(34)에 연결되어서는 클러치(36)가 설치되어, 상기 제3연동기어(34)를 통해서 아래에서 설명될 벨트기어(37)로 동력이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즉, 상기 클러치(36)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원(16)의 동력이 분지기어(50)로만 전달되거나 분지기어(50)와 벨트기어(37) 모두로 전달된다.
상기 제3연동기어(34)에 맞물려서는 벨트기어(37)가 설치된다. 상기 벨트기어(37)에는 구동풀리(38)가 일체로 있다. 따라서, 상기 벨트기어(37)가 회전함에 의해 상기 구동풀리(38)가 함께 회전한다. 상기 구동풀리(38)에는 구동벨트(40)가 걸어감아진다. 그리고 상기 구동풀리(38)의 반대쪽, 즉 상기 셔터(14) 이동방향의 반대쪽에는 구동벨트(40)의 반대쪽이 걸어감아지는 구동풀리(38')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동풀리(38,38')의 쌍은 상기 프레임(10)의 반대쪽에도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10)에 양단부가 지지되는 연결축(39,39')의 양단에 각각 동일하게 구동풀리(38,38')가 설치되어 셔터(14)의 반대쪽에서도 구동벨트(40)가 셔터(14)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구동벨트(40)가 반드시 양쪽에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동벨트(40)에는 제1결합요철(42)이 소정 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결합요철(42)은 상기 구동벨트(40)의 전체 구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참고로, 구동벨트(40)를 통한 동력의 전달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구동풀리(38,38')에도 상기 제1결합요철(42)과 맞물릴 수 있는 결합요철의 구성을 둘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제1결합요철(42)이 구동풀리(38,38')와의 연동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구(62)의 제2결합요철(64)의 결합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구동벨트(40)의 이동에 따른 셔터(14)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10)에는 제1벨트센서(44)와 제2벨트센서(46)가 설치된다. 상기 제1벨트센서(44)는 셔터(14)가 닫힌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고, 상기 제2벨트센서(46)는 상기 셔터(14)가 개방된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다. 상기 제1 및 제2벨트센서(44,46)는 아래에서 설명될 셔터연결구(48)가 통과하는 것을 검출하여 구동벨트(40)의 위치를 검출하여 셔터(14)의 개폐동작 완료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상기 구동벨트(40)와 상기 셔터(14)를 서로 결합시켜 상기 구동벨트(40)의 동작에 의해 셔터(14)가 이동되게 하는 셔터연결구(48)가 상기 셔터(14)와 상기 구동벨트(40)에 동시에 결합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셔터연결구(48)가 상기 셔터(14)의 양측에 있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부(20)에서는 동력이 나누어져 전달된다. 즉, 상기 제2연동기어(32)와 맞물려서 분지기어(50)가 있다. 상기 분지기어(50)에는 캠풀리(52)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캠풀리(52)에는 캠벨트(54)가 걸어감아진다. 상기 캠벨트(54)의 반대쪽에도 캠풀리(52')가 있어서, 상기 캠벨트(54)의 반대쪽 단부가 걸어감아지게 된다. 일측 캠풀리(5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캠벨트(54)가 동작되면서 반대쪽 캠풀리(52')가 회전된다.
상기 캠풀리(52')에는 연동캠(56)이 일체로 회전되게 설치된다. 상기 연동캠(56)은 회전중심에서 가장자리까지의 거리가 달리 된 캠이다. 상기 연동캠(56)에서 가장 돌출된 부분은 정점부(58)이다. 상기 정점부(58)가 상기 구동벨트(40)에 인접하게 되면 상기 구동벨트(40)의 일측을 밀어주어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구(62)에 구동벨트(40)의 제1결합요철(42)이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연동캠(56)의 회전위치를 검출하기 위해서 캠센서(60)가 설치된다. 상기 캠센서(60)로는 인터럽트 센서가 사용된다.
상기 구동벨트(40)의 일측을 사이에 두고 상기 연동캠(56)의 반대쪽에는 고정구(62)가 있다. 상기 고정구(62)는 상기 구동벨트(40)의 제1결합요철(42)과 결합되는 제2결합요철(64)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연동캠(56)에 의해 상기 구동벨트(40)의 일측이 상기 고정구(62)쪽으로 밀어지면 상기 제1결합요철(42)과 제2결합요철(64)과 서로 결합되어 구동벨트(40)가 동작되는 것이 차단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고정구(62)가 상기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연동캠(56)의 정점부(58)에 의해 상기 구동벨트(40)의 일측이 상기 고정구(62) 쪽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결합요철(42)과 제2결합요철(64)이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 고정구(62)와 구동벨트(40)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벨트(40)는 정해진 경로로만 이동되게 하고, 상기 구동벨트(40)로 상기 고정구(62)가 근접하게 이동하여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고정구(62)를 상기 연동캠(56)이 이동되도록 한다. 하지만, 이때, 상기 구동벨트(40)는 어느 정도의 탄성변형이 가능하므로 구동벨트(40)의 탄성변형을 막아주는 스토퍼가 상기 고정구(62)의 반대쪽에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고정구(62)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도록 하기 위한 탄성부재와 같은 구성도 필요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벨트(40)와 고정구(62)가 모두 이동되어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구동벨트(4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과 상기 고정구(62)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 모두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연동캠(56)을 상기 구동벨트(40)의 이동을 위한 것과 상기 고정구(62)의 이동을 위한 것 각각을 두면 되고, 고정구(62)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된 셔터개폐장치가 금융자동화기기에 채용된 것을 설명한다. 금융자동화기기(100)의 외관과 골격을 본체(101)가 형성한다. 상기 본체(101)의 구성은 도시된 것 외에도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본체(101)에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조작을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110)가 있고, 상기 입력부(110)의 후단에 정면으로 보이는 부분에는 지폐출입부(112)와 수표출입부(114)가 있는데, 상기 지폐출입부(112)와 수표출입부(114)를 셔터(14)가 각각 개폐하게 된다. 즉, 위에서 설명된 셔터개폐장치가 이에 적용되어 셔터(14)가 동작되어 상기 지폐출입부(112)와 수표출입부(114)를 개폐한다.
상기 지폐출입부(112)와 수표출입부(114)의 상부에는 카드출입부(116)와 통장출입부(118)가 있다. 상기 카드출입부(116)는 신용카드 등이 출입되는 부분이고, 상기 통장출입부(118)는 통장이 출입되는 부분이다.
물론,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00)의 외부 구성과 배치가 반드시 위와 같이 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과 다양한 배치가 가능하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벨트를 사용한 구동장치는 상기 셔터(14) 대신에 구동대상물을 두고, 상기 구동대상물을 특정한 위치로 이동시키고, 이동된 구동대상물을 그 특정한 위치에서 고정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위에서 설명된 셔터개폐장치의 구성을 원용하여 만들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셔터개폐장치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를 참고하여 상기 셔터(14)가 상기 내부공간(12)을 닫은 상태를 설명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셔터(14)가 상기 내부공간(12)의 입구에 위치되어 상기 내부공간(12)을 차폐한다. 이때, 상기 연동캠(56)의 정점부(58)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벨트(40)의 일측을 들어올려 상기 고정구(62)의 제2결합요철(64)과 상기 구동벨트(40)의 제1결합요철(42)이 서로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정구(62)와 구동벨트(40)가 서로 결합되어 있음으로 해서, 상기 구동벨트(40)는 이동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셔터(14)를 개방하려는 외력이 직접 셔터(14)에 작용하더라도 상기 구동벨트(40)가 고정되어 있어 셔터(14)가 임의로 움직일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구동벨트(40)가 잠금상태에 있다는 것은 상기 캠센서(60)에 의해 감지된다. 상기 셔터(14)가 완전하게 닫혀 있음을 상기 제1벨트센서(44)에 의해 감지하였으나, 상기 캠센서(60)에 의해 구동벨트(40)가 잠금상태에 있지 않다는 것을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클러치(36)를 사용하여 상기 구동벨트(40)로 가는 동력을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캠벨트(54)를 상기 구동원(16)의 구동력으로 동작시켜 상기 캠센서(60)에 의해 감지가 이루어질 때까지 상기 연동캠(56)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상기 캠센서(60)에 의해 감지가 이루어지면 상기 연동캠(56)이 고정구(52)와 구동벨트(40)가 서로 결합된 상태가 확인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벨트센서(44)가 상기 셔터(14)가 닫힌 것을 감지하면, 상기 클러치(36)를 오프시켜 상기 구동벨트(40)로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역으로 상기 셔터(14)에 외력이 가해짐에 의해 동력이 구동벨트(40)를 통해 역으로 전달되면서 상기 제2연동축(30)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만약 상기 제2연동축(30)으로 동력이 역으로 전달되면 상기 캠벨트(54)가 동작되면서 상기 연동캠(56)을 회전시켜 상기 고정구(62)와 구동벨트(40) 사이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상기 셔터(14)를 개방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셔터(14)를 개방하기 전에 상기 클러치(36)는 오프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상기 구동원(16)이 구동하여 상기 캠벨트(54)를 구동시킨다. 상기 캠벨트(54)가 동작함에 의해 상기 연동캠(56)이 회전하여 상기 정점부(58)가 상기 구동벨트(40)에서 분리되어 더 이상 상기 고정구(62)와 구동벨트(40)가 물림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정점부(58)가 상기 구동벨트(40)에서 분리되면 상기 구동벨트(4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62)에서 상기 구동벨트(40)가 분리되기 때문이다.
상기 캠벨트(54)의 동작에 의한 상기 연동캠(56)의 회전으로 상기 캠센서(60)가 오프되면, 이때부터 상기 클러치(36)를 온시키고, 상기 구동원(16)의 구동력을 동력전달부(20)를 통해 상기 구동벨트(40)로 전달한다. 상기 구동벨트(40)의 동작이 시작되면 상기 셔터(14)가 움직이기 시작한다. 이와 같은 동작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제2벨트센서(46)가 온될 때까지 진행된다. 참고로, 상기 연동캠(56)의 회전량은 상기 제1벨트센서(44)의 감지상태에서 제2벨트센서(46)의 감지상태까지 셔터(14)가 움직일 동안 1회전이하이다. 이와 같은 회전량은 동력전달부(20)에 있는 기어들의 감속비를 조정함에 의해 만들어진다.
한편, 상기 셔터(14)가 개방되어 있다가, 다시 상기 내부공간(12)을 폐쇄하는 것을 설명한다. 이때에는 먼저, 상기 캠센서(60)의 상태를 확인한다. 상기 캠센서(60)가 온되어 있으면, 이미 구동벨트(40)와 고정구(62)가 결합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이 상태라면 상기 클러치(36)를 오프한 상태로 구동원(16)을 구동시켜 상기 연동캠(56)을 회전시킨 후에 상기 셔터(14)를 구동시킨다. 일단, 상기 캠센서(60)가 오프 상태임이 확인되면, 상기 클러치(36)를 온시켜 상기 구동원(16)의 구동력을 동력전달부(20)를 통해 상기 구동벨트(40)와 캠벨트(54)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벨트(40)의 구동에 의해서는 상기 셔터(14)가 이동되는데, 상기 셔터(14)의 이동은 상기 제1벨트센서(44)가 온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상기 캠벨트(54)로 상기 구동원(16)의 구동력에 의해 동작되는데, 상기 캠벨트(54)의 동작은 상기 연동캠(56)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연동캠(56)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정점부(58)가 상기 구동벨트(40)의 일측을 밀어올리게 되면 상기 고정구(62)와 상기 구동벨트(40)가 서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서 상기 구동벨트(40)의 동작이 정지된다. 물론, 상기 구동벨트(40)의 동작이 정지되는 시점과 상기 구동벨트(40)와 고정구(62) 사이가 결합되는 시점은 거의 일치하도록 된다.
한편, 상기 셔터(14)가 닫히는 동작중에 사용자가 상기 셔터(14)를 손으로 잡거나 상기 셔터(14)의 닫힘을 방해하도록 물건을 내부공간(12)의 입구에 넣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벨트(40)로는 계속하여 구동력이 전달되는데, 상기 셔터(14)가 이동하지 않게 된다. 이 때에는 상기 토크리미터(28)에 의해 상기 제1연동축(24)과 제2연동축(30) 사이의 동력전달이 차단되면서 상기 구동원(16)에서 나오는 동력이 전달되지 상기 구동벨트(40)와 캠벨트(54)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구(62)와 구동벨트(40)의 결합을 위해서 연동캠(56)이 사용되었으나, 위에서도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62)와 구동벨트(40)의 결합을 위해서는 다양한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동캠(56)의 경우도 반드시 캠의 형태가 아니고 캠풀리(52')에 구비되는 링크기구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반드시 상기 연동캠(56)이 아닌 연동기구에 의해 상기 구동벨트(40)와 고정구(62)의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비록 본 명세서에서는 셔터(14)라는 단어를 사용했으나, 상기 셔터(14)는 내부공간(12)을 개폐하는 것으로, 소정의 공간을 개폐하는 일종의 도어로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캠(56)이나 연동기구의 구동을 위한 동력은 캠벨트(54)에 의해 전달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상기 캠벨트(54) 외에도 기어나 링크기구 등 다양한 구성을 통해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10: 프레임 12: 내부공간
14: 셔터 16: 구동원
18: 구동축 20: 동력전달부
22: 구동기어 24: 제1연동축
26: 제1연동기어 28: 토크리미터
30: 제2연동축 32: 제2연동기어
34: 제3연동기어 36: 클러치
37: 벨트기어 38,38': 구동풀리
40: 구동벨트 42: 제1결합요철
44: 제1벨트센서 46: 제2벨트센서
48: 셔터연결구 50: 분지기어
52,52': 캠풀리 54: 캠벨트
56: 연동캠 58: 정점부
60: 캠센서 62: 고정구
64: 제2결합요철

Claims (15)

  1.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를 통해 전달된 구동력으로 동작되는 구동벨트와,
    상기 구동벨트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고정구와,
    상기 동력전달부를 통해 전달된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사용하여 상기 구동벨트와 상기 고정구가 서로 결합과 분리되도록 하는 연동기구와,
    상기 구동벨트에 의해 이동되면서 소정의 공간을 개폐하는 셔터를 포함하는 셔터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동력전달부를 통해 전달된 구동력으로 동작되는 캠벨트에 의해 구동되는 셔터구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와 구동벨트는 상기 연동기구에 의해 결합되는데, 상기 고정구와 구동벨트중 적어도 어느 일측이 이동되어 서로 결합되고 분리되는 셔터구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는 일측에 회전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다른 부분보다 먼 정점부를 구비하는 연동캠이 사용되는 셔터구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벨트에는 제1결합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에는 상기 제1결합요철과 결합되는 제2결합요철이 형성되는 셔터구동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에는 토크리미터가 더 구비되어 상기 셔터의 이동을 방해하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 구동원의 구동력 전달을 차단하는 셔터구동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연동기구와 구동벨트로 동력을 분지하여 보내는데, 상기 구동벨트로의 동력전달을 단속하는 클러치가 더 구비되는 셔터구동장치.
  8. 일측에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의 구동을 위한 구동원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를 통해 전달된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으로 동작되는 구동벨트와,
    상기 구동벨트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고정구와,
    상기 동력전달부를 통해 전달된 구동력을 사용하여 상기 구동벨트와 상기 고정구가 서로 결합과 분리되도록 하는 연동기구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와 캠벨트는 상기 연동기구에 의해 결합되는데, 상기 고정구와 캠벨트중 적어도 어느 일측이 이동되어 서로 결합되고 분리되는 금융자동화기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는 정점부를 가지는 연동캠이 사용되는데, 상기 연동캠의 정점부가 상기 구동벨트의 일측을 상기 고정구쪽으로 밀어서 상기 구동벨트와 상기 고정구가 결합되는 금융자동화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벨트에는 제1결합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에는 상기 제1결합요철과 결합되는 제2결합요철이 형성되는 금융자동화기기.
  12.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를 통해 전달된 구동력으로 동작되어 구동대상물을 구동시키는 구동벨트와,
    상기 구동벨트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고정구와,
    상기 동력전달부를 통해 전달된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사용하여 상기 구동벨트와 상기 고정구가 서로 결합과 분리되도록 하는 연동기구를 포함하는 벨트를 사용한 구동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와 구동벨트는 상기 연동기구에 의해 결합되는데, 상기 고정구와 구동벨트중 적어도 어느 일측이 이동되어 서로 결합되고 분리되는 벨트를 사용한 구동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는 일측에 회전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다른 부분보다 먼 정점부를 구비하는 연동캠이 사용되는 벨트를 사용한 구동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벨트에는 제1결합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에는 상기 제1결합요철과 결합되는 제2결합요철이 형성되는 벨트를 사용한 구동장치.
KR1020140081373A 2014-06-30 2014-06-30 벨트를 사용한 구동장치, 셔터개폐장치 및 셔터개폐장치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KR101586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373A KR101586475B1 (ko) 2014-06-30 2014-06-30 벨트를 사용한 구동장치, 셔터개폐장치 및 셔터개폐장치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373A KR101586475B1 (ko) 2014-06-30 2014-06-30 벨트를 사용한 구동장치, 셔터개폐장치 및 셔터개폐장치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265A true KR20160002265A (ko) 2016-01-07
KR101586475B1 KR101586475B1 (ko) 2016-01-18

Family

ID=55168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373A KR101586475B1 (ko) 2014-06-30 2014-06-30 벨트를 사용한 구동장치, 셔터개폐장치 및 셔터개폐장치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4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696A (ko) * 2015-01-26 2016-08-03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080Y1 (ko) * 2004-04-29 2004-07-14 (주)금보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도어의 록킹장치
KR100610806B1 (ko) 2004-06-29 2006-08-0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셔터 개폐장치
KR101190376B1 (ko) 2010-12-24 2012-10-11 엘지엔시스(주) 셔터 개폐장치 및 금융자동화기기
KR20130040465A (ko) * 2011-10-14 2013-04-24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현금자동입출금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080Y1 (ko) * 2004-04-29 2004-07-14 (주)금보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도어의 록킹장치
KR100610806B1 (ko) 2004-06-29 2006-08-0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셔터 개폐장치
KR101190376B1 (ko) 2010-12-24 2012-10-11 엘지엔시스(주) 셔터 개폐장치 및 금융자동화기기
KR20130040465A (ko) * 2011-10-14 2013-04-24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현금자동입출금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696A (ko) * 2015-01-26 2016-08-03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6475B1 (ko) 2016-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376B1 (ko) 셔터 개폐장치 및 금융자동화기기
CN102289862A (zh) 闸门机构
KR101586475B1 (ko) 벨트를 사용한 구동장치, 셔터개폐장치 및 셔터개폐장치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CN203733197U (zh) 一种纸币处理机及其纸币对中装置
JP3383069B2 (ja) 取引口のシャッタ装置
KR101915862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
KR101449888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KR101155188B1 (ko)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구동 및 잠금 장치
US9561875B2 (en) Binding medium clamping mechanism and banknote binding machine containing same
CN106920324B (zh) 传动装置、钞门结构及自动存取款机
KR100678679B1 (ko) 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
US8919524B2 (en) Object processing apparatus and financial apparatus
KR100877013B1 (ko) 금융자동화기기용 셔터 장치
RU2747016C1 (ru) Затворный механизм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ема и выдачи банкнот
TWI687900B (zh) 不正當行為偵測機構、紙張搬運裝置、以及紙張操作裝置
JP2008267101A (ja) 扉又はゲートの開閉装置
KR10104125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셔터 장치
KR101272695B1 (ko) 현금자동입출금기
US11151830B2 (en) Banknote temporary storage mechanism and banknote processing device
US20160075531A1 (en) Paper stock processing device
KR20110132543A (ko) 매체카세트의 매체집적장치
KR102552847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셔터 잠금 장치
TWI824507B (zh) 不正當行為防止機構、紙張搬運裝置、及紙張操作裝置
CN109544776A (zh) 一种金融设备进出钞口闸门
KR101776394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방법, 금융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