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679B1 - 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679B1
KR100678679B1 KR1020050086983A KR20050086983A KR100678679B1 KR 100678679 B1 KR100678679 B1 KR 100678679B1 KR 1020050086983 A KR1020050086983 A KR 1020050086983A KR 20050086983 A KR20050086983 A KR 20050086983A KR 100678679 B1 KR100678679 B1 KR 100678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driving
frame
locking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6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진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050086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6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매체의 입출을 위한 통공부(22)가 구비되는 셔터프레임(20)과, 상기 통공부(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슬롯(28)이 그 이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구동부설치대(26)가 일단부에 구비되는 셔터(24)와, 상기 셔터(24)의 구동과 잠금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30)과, 상기 구동부설치대(26)의 슬롯(28)을 관통하는 적어도 2개의 설치가이드축(56,58)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구동부설치대(26) 상에서 소정 거리 이동가능한 구동프레임(50)과, 상기 구동프레임(50)과 상기 구동부설치대(26)에 각각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핀(62)에 의해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잠금링크(60) 및 연동링크(64)와; 상기 잠금링크(60)와 연동링크(64)가 연결된 부분의 위치를 설정하고 셔터(24)가 닫혔을 때 선단이 상기 잠금링크(60)와 연동링크(64)가 연결된 부분이 걸어지는 잠금안내레일(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최소의 구동원으로 셔터장치의 구동과 록킹을 수행할 수 있고, 셔터의 개폐를 방해하는 장애물에 의한 셔터장치와 장애물의 손상이 방지되어 셔터장치의 내구성과 자동화기기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자동화기기, 셔터, 개폐

Description

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Shutter apparatus for automated machine}
도 1은 일반적인 자동화기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측면구성도.
도 6 및 도 7은 셔터의 구동부설치대와 이에 설치되는 구동프레임과 관련된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잠금롤러가 잠금안내레일을 따라 안내되고 걸어지는 동작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셔터프레임 22: 통공부
24: 셔터 26: 구동부설치대
28: 슬롯 30: 구동원
34: 클러치 38: 회전축
40: 구동풀리 42: 벨트
44: 종동풀리 46: 잠금안내레일
46': 곡면부 48: 열림센서
48': 닫힘센서 50: 구동프레임
52: 벨트연결부 54: 센싱편
56: 제1설치가이드축 58: 제2설치가이드축
60: 잠금링크 62: 롤러핀
64: 연동링크 66: 힌지핀
69: 잠금롤러 70: 수취센서
72: 광학부재
본 발명은 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화기기의 내외부로 매체를 입출하기 위한 부분을 개폐하는 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화기기는 그 수행되는 기능이 모두 자동화되어 별도의 사람이 없이 동작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자동화기기의 예로서, 증명서발급기나 매체자동지급기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자동화기기로서 매체자동지급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여기서, 매체(media)는, 예를 들면 지폐, 수표, 티켓, 문서 등을 말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체자동지급기는 그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설치되어 실질적으로 매체를 입출시키는 매체입출모듈로 구성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자동화기기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자동 화기기(1)의 외관을 캐비넷(3)이 형성한다. 상기 캐비넷(3)의 전면으로는 그 내부의 매체입출모듈(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되는 통장리더유니트(5), 카드리더유니트(6) 등이 노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통장리더유니트(5)는 고객이 삽입한 통장의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고, 상기 카드리더유니트(6)는 고객이 삽입한 카드의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다. 상기 캐비넷(1)에는 또한 수표를 입출금할 수 있는 수표입출부와 지폐를 입출금할 수 있는 지폐입출부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수표입출부와 지폐입출부에는 각각 수표입출금셔터(7)와 지폐입출금셔터(9)가 설치되어 상기l 수표입출부와 지폐입출부를 각각 개폐한다. 도면부호 11은 고객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이다. 상기 입력부(11)를 통해서는 고객이 요청하는 매체의 매수 등 다양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수표입출금셔터(7)와 지폐입출금셔터(9)는 각각 수표입출금부와 지폐입출금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와 같은 셔터(7,9)는 그 구동을 위한 동력원과 잠금과 해제를 위한 동력원이 별도로 구비된다. 따라서, 자동화기기의 제조원가가 높아지고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셔터(7,9)가 열렸다가 닫힐 때, 중간에 장애물이 존재하면 상기 셔터(7,9)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원이 고장나거나, 장애물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간소한 구성을 가지는 셔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셔터의 개폐를 방해하는 장애물에 의한 셔터장치와 장애물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매체의 입출을 위한 통공부가 구비되는 셔터프레임과, 상기 셔터프레임의 통공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의 구동과 잠금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셔터로 전달하여 셔터를 이동시키고 상기 셔터가 상기 통공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셔터를 잠금시키는 구동메커니즘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셔터프레임의 일면 양단에는 상기 셔터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레일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은 상기 구동매커니즘의 양단을 따라 셔터의 이동방향으로 설치된 벨트기구를 통해 구동매커니즘으로 전달된다.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은 일정 이하의 부하에서만 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를 통해 상기 셔터 측으로 전달된다.
상기 구동매커니즘은 상기 셔터의 일측에 구비되고 셔터의 이동방향으로 형성된 슬롯을 구비하는 구동부설치대와, 적어도 2개의 설치가이드축이 상기 슬롯을 관통하여 양단이 지지되고 양단에서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프레임과, 상기 구동프레임의 설치가이드축중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에 잠금 롤러가 구비되는 잠금링크와, 일단이 상기 잠금링크와 회동가능하게 핀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셔터 측에 힌지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동링크와, 상기 셔터의 개폐동작시 잠금롤러를 안내하여 잠금링크와 연동링크가 소정의 각도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셔터가 통공부를 폐쇄할 때 상기 잠금롤러가 선단에 걸어지는 잠금안내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설치대에는 상기 구동프레임의 설치가이드축이 위치되는 슬롯이 형성되는데, 상기 슬롯은 상기 잠금안내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잠금롤러의 위치를 안내하여 셔터에 개방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때 상기 구동프레임과 구동부설치대 사이에서의 동력전달을 차단한다.
상기 구동프레임의 양단에는 상기 벨트와 연결되는 벨트연결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벨트연결부의 선단에는 셔터의 이동위치를 감지하는 센싱편이 구비되어 셔터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매체의 입출을 위한 통공부가 구비되는 셔터프레임과; 상기 셔터프레임의 통공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슬롯이 그 이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구동부설치대가 일단부에 구비되는 셔터와; 상기 셔터의 구동과 잠금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부설치대의 슬롯을 관통하는 적어도 2개의 설치가이드축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구동부설치대 상에서 소정 거리 이동가능한 구동프레임과; 상기 구동프레임과 상기 구동부설치대에 각각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핀에 의해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잠금링크 및 연동링크와; 상기 잠금링크와 연동링크가 연결된 부분의 위치를 설정하고 셔터가 닫혔을 때 선단이 상기 잠금링크와 연동링크가 연결된 부분이 걸어지는 잠금안내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셔터로 전달하는 것으로 소정값 이하의 부하조건하에서만 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가 더 구비된다.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은 상기 구동프레임의 양단을 따라 상기 셔터의 이동방향으로 설치된 벨트기구를 통해 상기 구동프레임으로 전달된다.
상기 구동프레임의 양단에는 상기 벨트기구의 벨트와 연결되는 벨트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 벨트연결부의 선단에는 셔터의 이동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센싱편이 형성된다.
상기 잠금링크와 연동링크가 연결되는 핀에는 잠금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잠금롤러는 상기 잠금안내레일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된다.
상기 구동부설치대의 슬롯은 상기 잠금롤러가 상기 잠금안내레일을 따라 이동됨에 의해 상기 설치가이드축이 그 단부에 걸리지 않도록 설계되어 셔터에 개방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때 상기 구동프레임과 구동부설치대 사이에서의 동력전달을 차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에 의하면, 최소의 구동원으로 셔터장치의 구동과 록킹을 수행할 수 있고, 셔터의 개폐를 방해하는 장애물에 의한 셔터장치와 장애물의 손상이 방지되어 셔터장치의 내구성과 자동화기기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의 요부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측면구성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6 및 도 7에는 셔터의 구동부설치대와 이에 설치되는 구동프레임과 관련된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셔터프레임(20)에는 통공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셔터프레임(20)은 자동화기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넷중 전면판넬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통공부(22)가 있는 부분이 전면판넬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통공부(22)는 실제로 매체가 입출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통공부(22)에는 통공부(22)의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가이드판(23)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판(23)은 캐비넷의 내부에 위치되어 캐비넷 내부에 설치되는 장치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통공부(22)의 입구는 셔터(24)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셔터(24)는 상기 셔터프레임(20)의 전면, 즉 상기 캐비넷의 전면판넬의 배면과 마주보는 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통공부(22)를 개폐한다. 상기 셔터(24)는 대략 사각형의 판 형상이다. 상기 셔터(24)는 상기 셔터프레임(20)의 전면 양단을 따라 연장되어 설치된 이동안내레일(25)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된다. 이를 위해 상기 셔터(24)의 양단에는 상기 이동안내레일(25)을 따라 안내되는 구성(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다.
상기 셔터(24)의 일측에는, 도 6 및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설치대(26)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설치대(26)는 상기 셔터(2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셔터(24)와 별개로 구동부설치대(26)가 제작되어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부설치대(26)는 대략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박스 형상인데, 그 양측면을 관통하여 슬롯(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롯(28)은 상기 셔터(24)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구동부설치대(26)의 양측면에 각각 소정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슬롯(28)은 상기 셔터(24)측에 힘이 가해질 때,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프레임(50)의 제2설치가이드축(58)이 단부에 걸리지 않도록 길이가 설계된다.
상기 셔터프레임(20)의 전면 일측에는 구동원(30)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원(30)은 상기 셔터(24)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구동원(30)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제1연결기어쌍(32)이 구비된다. 상기 제1연결기어쌍(32)의 한 기어는 상기 구동원(30)의 회전축에 설치된다.
클러치(34)는 상기 제1연결기어쌍(32)을 통해 상기 구동원(30)의 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클러치(34)는 상기 구동원(30)의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특히 상기 셔터(24)에 일정 이상의 부하가 걸리면 상기 구동원(30)의 구동력이 상기 셔터(24)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클러치(34)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원(30)의 구동력은 제2연결기어쌍(36)을 통해 회전축(38)으로 전달된다. 상기 제2연결기어쌍(36)의 기어중 하나는 상기 클러치(34)의 출력측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기어는 상기 회전축(38)에 동축으로 설치된다. 참고로 상기 제1 및 제2 연결기어쌍(32,36)의 기어중 상기 클러치(34)측에 구비되는 것은 각각 클러치(34)의 입력측과 출력측에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38)은 상기 셔터프레임(20)전면의 하단을 횡으로 가로질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38)에는 구동풀리(4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풀리(40)에서 소정 거리 떨어진 상기 셔터프레임(20)의 전면에는 각각 구동풀리(40)에 대응되는 종동풀리(44)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풀리(40)와 종동풀리(44)의 사이에는 벨트(42)가 걸어감아진다. 상기 벨트(42)는 타이밍벨트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벨트기구는 한쌍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벨트(42)가 연장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한쌍의 잠금안내레일(46)이 길게 연장된다. 상기 잠금안내레일(46)은 상기 벨트(42)의 사이에 각각 벨트(42)와 평행하게 상기 셔터프레임(20)의 전면에 설치된다. 상기 한쌍의 잠금안내레일(46)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잠금안내레일(46)의 일단부, 즉 상기 통공부(22)측 일단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부(46')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구동풀리(40)와 인접한 위치에는 열림센서(48)가 설치되고, 상기 종동풀리(44)와 인접한 위치에는 닫힘센서(48')가 설치된다. 상기 열림센서(48)는 상기 셔터(24)가 상기 통공부(22)를 개방한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닫힘센서(48')는 상기 셔터(24)가 상기 통공부(22)를 폐쇄한 상태를 감지한다. 상기 센서(48,48')로는 포토센서가 사용된다.
다음으로, 상기 셔터(24)의 이동과 잠금을 위한 구동메커니즘의 구성을 설명 한다. 먼저, 상기 셔터(24)의 구동부설치대(26)에는 구동프레임(50)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프레임(50)은 상기 구동부설치대(26)의 3면을 둘러싸도록 그 형상이 만들어진다. 상기 구동프레임(50)의 양단에는 벨트연결부(52)가 좌우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구동프레임(50)은 상기 한쌍의 벨트(42)의 사이에 해당되는 부분에 위치되어 그 양단의 벨트연결부(52)가 각각 상기 벨트(42)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벨트(42)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구동프레임(50)이 이동하면서 상기 셔터(24)의 개폐동작을 만들어낸다. 상기 일측 벨트연결부(52)의 선단에는 센싱편(54)이 구비된다. 상기 센싱편(54)은 셔터(24)의 위치에 따라 상기 열림센서(48)와 닫힘센서(48')에 의해 선택적으로 감지된다. 상기 센싱편(54)은 상기 벨트연결부(52)의 일단부에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구동프레임(50)은 상기 구동부설치대(26)에 고정되지 않고 어느 정도 유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구동프레임(50)의 양단에 지지되는 제1 및 제2 설치가이드축(56,58)이 상기 구동부설치대(26)의 슬롯(28)을 각각 관통하여 설치됨에 의해 상기 구동부설치대(26)에 소정 행정만큼 이동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2설치가이드축(58)은 상기 슬롯(28)중 상기 셔터(24)측 단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된다.
상기 제2설치가이드축(58)의 양단부에는 각각 잠금링크(60)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잠금링크(60)는 대략 'L'자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양측 잠금링크(60)의 선단에 양단이 지지되게 롤러핀(62)이 설치되고, 상기 롤러핀(62)에 의해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동링크(64)의 선단측이 상기 잠금링크(60) 와 연결된다. 상기 연동링크(64)는 상기 셔터프레임(20)의 전면 측에서 볼 때 'ㄷ'자 형상으로 된다. 상기 연동링크(64)는 상기 구동부설치대(26)에 힌지핀(6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잠금링크(60)와 상기 연동링크(64)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롤러핀(62)에는 잠금롤러(68)가 설치된다. 상기 잠금롤러(68)는 상기 잠금안내레일(46)을 따라 안내된다. 즉, 상기 잠금롤러(68)는 상기 잠금링크(60)와 연동링크(64)에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기 잠금안내레일(46)에 밀착되어 안내된다.
한편, 상기 통공부(22)에 사용자의 손이 들어가서 매체를 수취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수취센서(70)가 설치된다. 상기 수취센서(70)는 상기 통공부(22)에 인접한 상기 셔터프레임(20)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수취센서(70)는 어느 일측이 발광부이고 타측이 수광부이다. 상기 발광부에서 나온 광은 수광부로 전달되는데, 상기 셔터(24)의 선단 일측에는 광학부재(72)가 설치된다. 상기 광학부재(72)는 일종의 프리즘으로 상기 발광부에서 나온 광을 전달받아 상기 수광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수취센서(70)의 발광부와 수광부가 상대적으로 떨어진 위치에 있도록 함에 의해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에서 사용자의 손이나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손이나 장애물이 상기 발광부에서 나온 광이 수광부로 전달되는 경로 어느 일측에라도 있게 되면, 수취센서(70)의 발광부와 수광부사이에서 광이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의 상태는 상기 셔터(24)가 상기 통공부(22)를 차폐한 상태이다. 이때에는, 상기 통공부(22)가 차폐되어 사용자가 상기 통공부(22)로 손을 넣을 수 없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잠금롤러(68)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안내레일(46)의 선단에 형성된 곡면부(46')를 통과한 위치에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롤러(68)는 상기 잠금링크(60)와 연동링크(64)에 의해 임의로 상기 잠금안내레일(46)의 상면으로 이동될 수 없는 상태이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상기 셔터(24)를 손으로 이동시켜 열려고 하더라도, 셔터(24)가 임의로 개방되지 않는 상태이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셔터(24)를 열려고 사용자가 셔터(24)에 힘을 가하면, 상기 셔터(24)에 연결된 상기 연동링크(64)에 힘이 가해진다. 즉, 상기 연동링크(64)가 상기 셔터(24)에 연결되는 상기 힌지핀(66)에 힘 A가 가해지는 경우, 상기 힘 A는 상기 연동링크(64)를 통해 상기 롤러핀(62)으로 전달된다. 상기 롤러핀(62)에 가해지는 힘 B는 두개의 분력 B1, B2로 나누어지는데, 이들 힘에 의해 상기 잠금롤러(68)는 상기 잠금안내레일(46)의 상면으로 이동될 수 없다. 물론, 상기 셔터(24)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때, 상기 구동부설치대(26)의 슬롯(28)의 일단부에 상기 제2설치가이드축(58)이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슬롯(28), 잠금링크(60) 및 연동링크(64)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제2설치가이드축(58)을 통해서는 상기 구동프레임(50)으로 힘이 전달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셔터(24)에 사용자가 아무리 힘을 가하더라도, 셔터(24)를 개방시킬 수는 없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원(30)이 구동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구동원(30)은 그 구동력을 클러치(34), 회전축(38), 벨트(42)를 통해 셔터(24)로 전달한다. 상기 구동원(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벨트(42)가 이동되면, 상기 벨트(42)에 연결된 상기 구동프레임(50)의 벨트연결부(52)가 당겨지면서, 상기 구동프레임(50)의 제1설치가이드축(56)이 상기 슬롯(28)의 일단부에 걸어져, 상기 구동부설치대(26), 다시 말해 상기 셔터(24)를 당기게 된다.
상기 벨트연결부(52)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힘 C에 의해 당겨지면, 상기 제1설치가이드축(56)이 상기 슬롯(28)의 일단부에 닿아 힘 D를 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프레임(50)이 상기 구동부설치대(26)에 대해 이동하면서 상기 잠금링크(60)가 상기 제2설치가이드축(58)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는 상기 잠금롤러(68)에 아무런 힘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가능하다. 상기 잠금링크(60)가 회전됨과 함께 상기 구동프레임(50)과 셔터(24)가 이동하게 되면, 상기 잠금롤러(68)는 상기 잠금안내레일(46) 선단부의 곡면부(46')를 타고 이동되어 상기 잠금안내레일(46)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셔터(24)가 상기 통공부(22)를 개방한다. 상기 셔터(24)의 이동은 상기 센싱편(54)이 상기 열림센서(48)에 의해 감지될 때까지 진행된다. 상기 센싱편(54)이 상기 열림센서(48)에 감지되면, 상기 구동모터(30)를 정지하는데, 이때, 상기 셔터(24)는 상기 통공부(22)를 개방한 상태이다.
다음으로, 셔터(24)가 통공부(22)를 폐쇄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구동원(30)이 역방향으로 구동되면, 상기 클러치(34)를 통해 동력이 상기 회전축(38)으로 전달된다. 상기 회전축(38)이 회전됨에 의해 상기 벨트(42)가 구동되면서, 상기 구동프레임(50)이 상기 셔터(24)를 밀어 이동시킨다. 상기 구동프레임(50)이 이동됨에 의해 상기 잠금롤러(68)는 상기 잠금안내레일(46)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잠금롤러(68)가 상기 잠금안내레일(46)을 따라 안내됨에 의해 상기 잠금링크(60)와 상기 연동링크(64)사이에서는 상기 벨트(42)가 이동함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상기 셔터(24)로 전달되어 셔터(24)를 이동시킨다. 상기 구동원(30)의 구동력이 상기 구동프레임(50)에서 상기 셔터(24)로 전달되는 것은 상기 잠금안내레일(46)에 의해 상기 잠금롤러(68)가 안내되어 상기 잠금링크(60)와 연동링크(64)가 서로 소정의 각도로 연결되어 이들 사이에서 힘이 전달될 수 있도록 되기 때문이다.
상기 구동원(30)은 상기 센싱편(54)이 상기 닫힘센서(48')에 의해 감지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즉, 도 8b의 상태에서는 아직 상기 닫힘센서(48')의 위치에 센싱편(54)이 오지 않았으므로, 상기 구동원(30)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구동프레임(50)이 계속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잠금링크(60) 선단의 롤러핀(62)에 설치된 잠금롤러(68)가 상기 잠금안내레일(46)의 곡면부(46')를 지나 잠금안내레일(46)의 선단에 걸어지기 시작한다.
그리고, 상기 센싱편(54)이 상기 닫힘센서(48')에 감지된 상태에서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롤러(68)가 상기 잠금안내레일(46)의 선단에 걸어져 셔터(24)가 임의로 개방되지 않게 된다. 물론, 상기 닫힘센서(48')에 상기 센싱편(54)이 감지되면 상기 구동원(30)은 정지한다.
한편, 상기 수취센서(70)는 상기 셔터(24)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통공부 (22)로 사용자의 손이 들어와 매체를 수취하는 것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손이 상기 통공부(22)에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셔터(24)가 닫히지 않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 셔터(24)가 어느 정도 닫힌 후에 사용자의 손이 상기 통공부(22)에 위치되거나 상기 수취센서(70)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영역에 사용자의 손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수취센서(70)가 이를 감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셔터(24)는 상기 구동원(3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계속하여 이동하면서 통공부(22)를 닫게 되는데, 사용자의 손이나 장애물이 셔터(24)와 상기 통공부(22)의 가장자리 사이에 끼이게 된다. 하지만, 상기 클러치(34)가 일정 이상의 부하에 대해서는 동력을 전달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손이나 장애물에 손상이 갈 정도의 힘이 가해지지는 않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셔터의 개폐구동과 잠금을 하나의 구동원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되었다. 따라서, 셔터장치의 구성이 상대적으로 간소하게 되어 그 제조원가가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셔터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함에 있어 클러치를 사용하므로 셔터에 의해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아, 부주의에 의해 사용자가 손상을 입거나 장애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셔터장치의 내구성과 안전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Claims (13)

  1. 매체의 입출을 위한 통공부가 구비되는 셔터프레임과,
    상기 셔터프레임의 통공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의 구동과 잠금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셔터로 전달하여 셔터를 이동시키고 상기 셔터가 상기 통공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셔터를 잠금시키는 구동메커니즘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프레임의 일면 양단에는 상기 셔터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레일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은 상기 구동매커니즘의 양단을 따라 셔터의 이동방향으로 설치된 벨트기구를 통해 구동매커니즘으로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은 일정 이하의 부하에서만 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를 통해 상기 셔터 측으로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매커니즘은,
    상기 셔터의 일측에 구비되고 셔터의 이동방향으로 형성된 슬롯을 구비하는 구동부설치대와,
    적어도 2개의 설치가이드축이 상기 슬롯을 관통하여 양단이 지지되고 양단에서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프레임과,
    상기 구동프레임의 설치가이드축중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에 잠금롤러가 구비되는 잠금링크와,
    일단이 상기 잠금링크와 회동가능하게 핀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셔터 측에 힌지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동링크와,
    상기 셔터의 개폐동작시 잠금롤러를 안내하여 잠금링크와 연동링크가 소정의 각도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셔터가 통공부를 폐쇄할 때 상기 잠금롤러가 선단에 걸어지는 잠금안내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설치대에는 상기 구동프레임의 설치가이드축이 위치되는 슬롯이 형성되는데, 상기 슬롯은 상기 잠금안내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잠금롤러의 위치를 안내하여 셔터에 개방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때 상기 구동프레임과 구동부설치대 사이에서의 동력전달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프레임의 양단에는 상기 벨트와 연결되는 벨트연결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벨트연결부의 선단에는 셔터의 이동위치를 감지하는 센싱편이 구비되어 셔터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
  8. 매체의 입출을 위한 통공부가 구비되는 셔터프레임과;
    상기 셔터프레임의 통공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슬롯이 그 이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구동부설치대가 일단부에 구비되는 셔터와;
    상기 셔터의 구동과 잠금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부설치대의 슬롯을 관통하는 적어도 2개의 설치가이드축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구동부설치대 상에서 소정 거리 이동가능한 구동프레임과;
    상기 구동프레임과 상기 구동부설치대에 각각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핀에 의해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잠금링크 및 연동링크와;
    상기 잠금링크와 연동링크가 연결된 부분의 위치를 설정하고 셔터가 닫혔을 때 선단이 상기 잠금링크와 연동링크가 연결된 부분이 걸어지는 잠금안내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셔터로 전달하는 것으로 소정값 이하의 부하조건하에서만 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 는 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은 상기 구동프레임의 양단을 따라 상기 셔터의 이동방향으로 설치된 벨트기구를 통해 상기 구동프레임으로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프레임의 양단에는 상기 벨트기구의 벨트와 연결되는 벨트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 벨트연결부의 선단에는 셔터의 이동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센싱편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링크와 연동링크가 연결되는 핀에는 잠금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잠금롤러는 상기 잠금안내레일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설치대의 슬롯은 상기 잠금롤러가 상기 잠금안내레일을 따라 이동됨에 의해 상기 설치가이드축이 그 단부에 걸리지 않도록 설계되어 셔터에 개방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때 상기 구동프레임과 구동부설치대 사이에서의 동력전달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
KR1020050086983A 2005-09-16 2005-09-16 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 KR100678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983A KR100678679B1 (ko) 2005-09-16 2005-09-16 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983A KR100678679B1 (ko) 2005-09-16 2005-09-16 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8679B1 true KR100678679B1 (ko) 2007-02-06

Family

ID=38105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6983A KR100678679B1 (ko) 2005-09-16 2005-09-16 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86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013B1 (ko) 2007-06-29 2009-01-0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용 셔터 장치
KR101547063B1 (ko) 2014-06-16 2015-08-24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금융기기
WO2016122176A1 (ko) * 2015-01-26 2016-08-04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114A (ko) * 2002-04-02 2003-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인쇄장치
KR20030079135A (ko) * 2002-04-02 2003-10-10 주식회사 케이티아이컴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을 이용한 미팅 서비스 지원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114A (ko) * 2002-04-02 2003-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인쇄장치
KR20030079135A (ko) * 2002-04-02 2003-10-10 주식회사 케이티아이컴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을 이용한 미팅 서비스 지원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3791140000 *
2003791350000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013B1 (ko) 2007-06-29 2009-01-0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용 셔터 장치
KR101547063B1 (ko) 2014-06-16 2015-08-24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금융기기
WO2016122176A1 (ko) * 2015-01-26 2016-08-04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
CN106068529A (zh) * 2015-01-26 2016-11-02 株式会社Neoicp 媒介处理装置及利用此的媒介处理方法
CN106068529B (zh) * 2015-01-26 2018-12-07 株式会社Neo Icp 媒介处理装置及利用此的媒介处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13862C2 (ru) Устройство с заслонкой и устройство выполнения транзакций с носителями
KR20060135503A (ko) 지폐 입출금기
US20070296202A1 (en) Document handling apparatus
KR100678679B1 (ko) 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
US6991083B2 (en) Bill validator
EP1054341B1 (en) Card transporting mechanism for card reader
JP3383069B2 (ja) 取引口のシャッタ装置
JPH06131531A (ja) 紙幣識別装置
EP1717764B1 (en) Foreign object detection
KR101155188B1 (ko)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구동 및 잠금 장치
KR101117350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안전셔터장치
JP4641776B2 (ja) シャッタ機構及び自動取引装置
KR20060008843A (ko) 자동서비스기의 지폐보관장치
KR20060008842A (ko) 자동서비스기기의 지폐적재함 및 이를 이용한 지폐적재장치
KR100877013B1 (ko) 금융자동화기기용 셔터 장치
KR101272695B1 (ko) 현금자동입출금기
KR10104125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셔터 장치
EP1895481A2 (en) Bill validator
KR101388310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셔터장치
JP2005004375A (ja) 紙幣識別装置
KR101586475B1 (ko) 벨트를 사용한 구동장치, 셔터개폐장치 및 셔터개폐장치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KR101094526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안전셔터장치
KR100222675B1 (ko)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
JP2009042958A (ja) 紙葉類識別機の紙葉類引き抜き防止機構
JP6070476B2 (ja) 回動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