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188B1 -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구동 및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구동 및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188B1
KR101155188B1 KR1020100140188A KR20100140188A KR101155188B1 KR 101155188 B1 KR101155188 B1 KR 101155188B1 KR 1020100140188 A KR1020100140188 A KR 1020100140188A KR 20100140188 A KR20100140188 A KR 20100140188A KR 101155188 B1 KR101155188 B1 KR 101155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slide
rack gear
lock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40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진용
김경수
박종성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40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1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개폐와 잠금 기능을 하나의 모터 구동에 의해 구현함으로써 구동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구동 및 잠금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전후방 이동되어 지폐입출금부를 개폐하는 셔터;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셔터에 전달하는 제1랙기어; 및 상기 제1랙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셔터가 닫히는 과정에서는 선회 가능하며 상기 셔터가 닫힌 상태에서는 선회가 제한되어 상기 제1랙기어의 전후방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상기 셔터의 열림을 방지하는 셔터잠금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구동 및 잠금 장치{Apparatus for shutter driving and locking of bill receiving and dispensing part}
본 발명은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구동 및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모터를 사용하여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개폐의 구동 및 셔터가 닫힌 상태에서 셔터의 잠금 기능 구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지폐입출금부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구동 및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는 금융거래를 비롯하여 각종 정보조회 등을 무인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24시간 무인 영업 등 고객을 위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여, 노동력의 절약과 그 유효성을 증대시킨 장치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금융자동화기기의 외관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금융자동화기기 본체(10)에는 지폐의 투입과 수취가 이루어지는 지폐입출금부(20), 금융거래 및 정보요청을 위해 고객이 조작하는 조작모듈(30), 금융거래계좌 및 거래당사자의 신원확인을 위한 통장/카드인식모듈(40), 수표를 입출금하는 수표입출금모듈(50), 거래내역을 표시하는 모니터(60) 등이 구비된다.
상기 지폐입출금부(20)의 상부에는 전후방으로 슬라이드되어, 입금시 고객이 지폐를 입금공간으로 투입하거나, 출금시 출금공간에 집적된 지폐를 고객이 수취할 수 있도록 지폐입출금부(20)를 개방하고, 입금완료 후나 출금지폐의 집적과정에서는 지폐입출금부(20)를 폐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폐입출금부(20)에는 그 입출금 단계에 따라 지폐입출금부(20)의 개폐를 위해 셔터(21)를 전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구동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셔터(21)가 닫힌 상태에서 외부의 외력에 의해 셔터(21)를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셔터(21)의 잠금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셔터(21)의 개폐와 잠금 기능을 구현하는 구동 수단이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2개 이상의 구동 모터와 그 모터의 동력을 셔터(21)와 잠금 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많은 수의 부품이 설치됨에 따라서 구동 구조가 복잡해지고 좁은 공간에 많은 부품이 설치됨에 따라 기기의 점검이나 고장 발생시 사후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개폐와 잠금 기능을 하나의 모터 구동에 의해 구현함으로써 구동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구동 및 잠금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구동 및 잠금 장치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전후방 이동되어 지폐입출금부를 개폐하는 셔터;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셔터에 전달하는 제1랙기어; 및 상기 제1랙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셔터가 닫히는 과정에서는 선회 가능하며 상기 셔터가 닫힌 상태에서는 선회가 제한되어 상기 제1랙기어의 전후방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상기 셔터의 열림을 방지하는 셔터잠금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셔터의 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셔터와 함께 전후방 이동되고 상기 제1랙기어를 구비하는 제1슬라이드부재; 상기 셔터가 닫혀 상기 제1랙기어에 상기 모터의 동력 전달이 차단되는 위치에서 상기 셔터잠금부재와 치합이 시작되도록 위치하는 제2랙기어를 구비하는 제2슬라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잠금부재는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와 제2슬라이드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제1랙기어와 제2랙기어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잠금부재는, 상기 제1랙기어와 제2랙기어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며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축과 동축으로 결합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상하 양측으로 연장된 제1링크와 제2링크, 상기 제1링크의 단부와 제2링크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에 형성된 제1슬라이드홈과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에 형성된 제2슬라이드홈에 각각 삽입되는 제1슬라이드봉과 제2슬라이드봉이 구비된 링크레버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슬라이드홈의 후단에는 상기 셔터가 닫히는 위치에서 상기 제1슬라이드봉이 걸려 상기 제1링크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의 진행방향으로 선회시키는 걸림벽이 구비되어 상기 걸림벽과 상기 제1슬라이드홈의 하단 사이에 스토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슬라이드홈의 후단에는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의 이동중에는 상기 제2슬라이드봉이 수용되어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제1슬라이드봉이 상기 스토퍼홈에 걸리는 과정에서 상기 제2슬라이드봉을 상기 제2슬라이드홈으로 안내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셔터잠금부재의 제1링크에 구비된 제1슬라이드봉은 상기 제1링크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되면서 상기 스토퍼홈에 걸려 상기 셔터는 잠금 상태가 됨과 동시에 상기 제1랙기어와 피니언기어 간의 치합이 해제되고, 상기 셔터잠금부재의 제2링크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되면서 상기 수용홈에 걸린 제2슬라이드봉에 의해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가 후방으로 밀림과 동시에 상기 제2랙기어와 피니언기어 간에 치합이 시작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잠금부재에는 상기 셔터의 개방시 상기 스토퍼홈에 걸려 있던 제1슬라이드봉이 상기 제1슬라이드홈에 위치하도록 상기 셔터잠금부재를 선회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결합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구동 및 잠금 장치에 의하면,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개폐와 셔터의 잠금 기능을 하나의 모터를 사용하여 구현함으로써 구동 구조의 단순화 및 부품수 절감이 가능하게 되어, 기기의 점검이나 고장 발생시 사후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금융자동화기기의 외관 사시도,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구동장치에서 셔터가 개방된 모습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셔터잠금부재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구동장치에서 셔터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구동장치에서 셔터가 닫힌 직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구동장치에서 셔터가 닫힌 후에 잠금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셔터가 닫히면서 잠금 상태가 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구동장치에서 셔터가 개방된 모습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2a는 셔터가 금융자동화기기에 설치되는 상태의 모습, 도 2b는 셔터의 내부 구조를 보기 쉽도록 도 2a의 상하 위치가 전도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셔터잠금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구동 및 잠금 장치는, 지폐입출금부의 상부를 개폐하는 셔터(100), 상기 셔터(100)의 전후방 이동 및 잠금 기능의 구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200), 상기 모터(200)의 동력을 셔터(100)에 전달하는 제1랙기어(310)를 포함하는 제1슬라이드부재(300), 상기 제1랙기어(310)에 치합되어 상기 모터(200)의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셔터(100)가 닫히면 그에 연동하여 선회되어 상기 셔터(100)의 전후방 이동을 규제하는 셔터잠금부재(6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셔터(100)가 닫혀 상기 제1랙기어(310)에 모터(200)의 동력 전달이 차단되는 위치에서 상기 셔터잠금부재(600)와 치합이 시작되도록 위치하는 제2랙기어(410)를 구비하는 제2슬라이드부재(400)와,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300)와 제2슬라이드부재(400)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레일(500)이 구비된다.
셔터(100)의 개폐 과정에서, 모터(200)의 동력은 모터축(210)과 중계기어(220) 및 전달기어(230)를 통해 동력전달축(250)으로 전달되고, 상기 동력전달축(250)의 양측에 구비된 제1풀리(240)와 셔터잠금부재(600)의 제2풀리(640) 사이에는 벨트(270)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며, 상기 셔터잠금부재(600)에 전달된 모터(200)의 동력은 제1슬라이드부재(300)로 전달되어,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300)의 전후방 이동에 의해 이와 결합된 셔터(100)가 함께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260은 상기 벨트(270)를 가압하여 적정한 텐션을 부여하기 위한 텐션롤러를 나타낸다.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300)는 셔터(100)의 양측에 구비되어 모터(200)의 동력에 의해 셔터(100)와 함께 전후방 이동되고, 상기 셔터잠금부재(600)의 제2풀리(640)와 동축상에 결합된 피니언기어(620, 도 3 참조)에 치합되는 치형을 갖는 제1랙기어(310)를 포함한다.
셔터(100)가 개방된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가 되는 과정에서, 상기 피니언기어(620)는 제1랙기어(310)에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모터(200)의 구동에 따라 벨트(270)에 연결된 피니언기어(62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피니언기어(620)의 회전운동은 제1랙기어(310)의 수평운동으로 변환되어 상기 제1랙기어(310)에 양단이 결합된 셔터(100)가 닫히는 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
상기 셔터잠금부재(600)는 제1슬라이드부재(300)와 제2슬라이드부재(40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랙기어(310)와 제2랙기어(410)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400)는 셔터(100)가 닫혀 상기 제1랙기어(310)에 모터(200)의 동력 전달이 차단되는 위치에서 상기 셔터잠금부재(600)와 치합이 시작되도록 위치하는 제2랙기어(4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셔터(100)의 양측에는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300)와 제2슬라이드부재(400)가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슬라이드레일(500)이 구비된다.
상기 셔터잠금부재(6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풀리(640)와 피니언기어(620) 및 링크레버(630)가 회전축(610)에 동축으로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모터(200)의 동력이 벨트(270)를 통해 전달되어 제2풀리(64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2풀리(640)와 동축으로 결합된 피니언기어(620)는 상기 제1랙기어(310)와 제2랙기어(410)에 선택적으로 치합된다.
상기 링크레버(630)는 상기 회전축(610)에 결합된 몸체부(631), 상기 몸체부(631)의 외측면으로부터 상하 양측으로 연장된 제1링크(632)와 제2링크(634), 상기 제1링크(632)의 단부와 제2링크(634)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300)에 형성된 제1슬라이드홈(320, 도 7 참조)과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400)에 형성된 제2슬라이드홈(420)에 각각 삽입되는 제1슬라이드봉(633)과 제2슬라이드봉(635)으로 구성된다.
이하, 모터(200)의 동력에 의해 셔터(100)가 닫히고, 셔터(100)가 닫히면서 셔터(100)가 잠금 상태가 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구동장치에서 셔터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구동장치에서 셔터가 닫힌 직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구동장치에서 셔터가 닫힌 후에 잠금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셔터(10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슬라이드부재(300)는 후방(도면상 우측)에 위치하고, 제2슬라이드부재(400)는 전방(도면상 좌측)에 위치하게 되며, 이때 상기 셔터잠금부재(600)의 피니언기어(620)는 제1슬라이드부재(300)의 제1랙기어(310)에 치합된 상태에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200)의 회전력이 중계기어(220)와 전달기어(230) 및 벨트(270)를 통해 셔터잠금부재(600)에 전달되면, 셔터잠금부재(600)의 피니언기어(620)가 회전하면서 이에 맞물린 제1랙기어(310)를 포함하는 제1슬라이드부재(300)는 셔터(100)가 닫히는 전방을 향해 수평 이동하게 된다.
제1슬라이드부재(300)가 전방측 끝단에 근접한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모터(200)의 동력이 계속 전달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잠금부재(600)는 회전축(61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는 셔터(100)는 잠금 상태가 된다. 이때 셔터잠금부재(600)와 제1슬라이드부재(300) 간의 동력 전달은 차단되고, 셔터잠금부재(600)와 제2슬라이드부재(400) 간에 치합이 시작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셔터잠금부재(600)의 제1링크(632)에는 셔터잠금부재(600)가 선회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힘을 작용하는 탄성부재(650)가 결합되어 있어, 셔터(100)가 다시 개방되는 경우 상기 셔터잠금부재(600)는 탄성부재(65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셔터(100)가 닫히는 과정에서 셔터(100)가 잠금 상태가 되는 과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셔터가 닫히면서 잠금 상태가 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서 셔터잠금부재(600)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셔터(100)가 개방된 위치에서 셔터잠금부재(600)의 피니언기어(620)는 제1슬라이드부재(300)의 제1랙기어(310)에 치합되어 있고, 제2슬라이드부재(400)의 제2랙기어(420)와는 분리된 상태에 있다.
그리고 상기 셔터잠금부재(600)의 제1슬라이드봉(633)은 제1슬라이드부재(300)의 제1슬라이드홈(320)에 삽입된 위치에 있고, 제2슬라이드봉(635)은 제2슬라이드부재(400)의 제2슬라이드홈(420)의 후단에서 하향으로 절곡된 수용홈(422)에 삽입되어 제2슬라이드부재(400)의 전후방 이동이 제한된다.
모터(200)의 동력이 전달되어 피니언기어(620)가 회전하면서 제1랙기어(310)를 전방으로 밀게 되면, 제1슬라이드부재(30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셔터(100)가 닫히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슬라이드홈(320)에 삽입된 제1슬라이드봉(633)은 제1슬라이드부재(300)의 전방 이동에 의해 제1슬라이드홈(320)의 후단에 측방으로 돌출된 걸림벽(633)에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모터(200)의 동력이 계속 전달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슬라이드부재(300)가 전방으로 더 이동되면서 상기 걸림벽(321)에 걸린 제1슬라이드봉(633)에 연결된 셔터잠금부재(600)는 회전축(61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게 된다.
그리고 제1슬라이드부재(300)가 전방 끝단까지 이동되어 셔터(100)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벽(321)에 걸린 제1슬라이드봉(633)이 제1슬라이드부재(300)의 이동방향으로 끌려가게 되어 셔터잠금부재(600)는 더욱 선회되고, 제1슬라이드봉(633)은 제1슬라이드홈(320)의 후단에 걸림벽(321)을 타고 하향 이동되어 걸림벽(321)과 제1슬라이드홈(320)의 하단 사이에 형성된 스토퍼홈(322)에 끼워져 제1슬라이드부재(300)의 전후방 이동이 제한되고, 이로써 셔터(100)는 잠금 상태가 된다. 여기서 셔터(100)의 잠금 상태란 지폐입출금부의 외부에서 셔터(100)를 잡고 외력을 가하더라도 셔터(100)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셔터(100)가 잠기는 동시에, 셔터잠금부재(600)의 피니언기어(620)와 제1랙기어(310)는 서로 분리되고, 상기 셔터잠금부재(600)가 선회되는 과정에서 수용홈(422)에 삽입되어 있던 제2슬라이드봉(635)이 제2슬라이드부재(400)를 후방으로 밀게 되어 피니언기어(620)와 제2랙기어(410) 간의 치합이 시작되고, 이때 상기 수용홈(422)에 삽입되어 있던 제2슬라이드봉(635)은 셔터잠금부재(600)가 선회됨에 따라 상향 이동되어 제2슬라이드홈(420)에 위치하게 되어 제2슬라이드부재(400)의 전후방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에서는 모터(200)가 일방향으로 구동되어 셔터(100)가 초기 개방된 상태로부터 시작하여,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잠금 상태가 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모터(100)의 회전방향이 역전되어 셔터(10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 후, 셔터(100)가 개방되는 과정은 상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동일한 원리에 의해 수행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모터(100)의 동력을 이용하여 셔터(100)의 개폐와 잠금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어 입출금부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고, 셔터(100)의 이동과 잠금을 위해 구비되는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장비 점검이나 부품의 교체시 사후 관리가 용이해진다.
10 : 본체 20 : 지폐입출금부
30 : 조작모듈 40 : 통장/카드인식모듈
50 : 수표입출금모듈 60 : 모니터
21,100 : 셔터 200 : 모터
210 : 모터기어 220 : 중계기어
230 : 전달기어 240 : 제1풀리
250 : 동력전달축 260 : 텐션기어
270 : 벨트 300 : 제1슬라이드부재
310 : 제1랙기어 320 : 제1슬라이드홈
321 : 걸림벽 322 : 스토퍼홈
400 : 제2슬라이드부재 410 : 제2랙기어
420 : 제2슬라이드홈 422 : 수용홈
500 : 슬라이드레일 600 : 셔터잠금부재
610 : 회전축 620 : 피니언기어
630 : 링크레버 631 : 몸체부
632 : 제1링크 633 : 제1슬라이드봉
634 : 제2링크 635 : 제2슬라이드봉
640 : 제2풀리 650 : 탄성부재

Claims (7)

  1. 삭제
  2.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전후방 이동되어 지폐입출금부를 개폐하는 셔터;
    상기 셔터의 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셔터와 함께 전후방 이동되고,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셔터에 전달하는 제1랙기어를 구비하는 제1슬라이드부재;
    상기 제1랙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셔터가 닫히는 과정에서는 선회 가능하며 상기 셔터가 닫힌 상태에서는 선회가 제한되어 상기 제1랙기어의 전후방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상기 셔터의 열림을 방지하는 셔터잠금부재; 및
    상기 셔터가 닫혀 상기 제1랙기어에 상기 모터의 동력 전달이 차단되는 위치에서 상기 셔터잠금부재와 치합이 시작되도록 위치하는 제2랙기어를 구비하는 제2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구동 및 잠금 장치.
  3. 제2항에 있어어,
    상기 셔터잠금부재는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와 제2슬라이드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제1랙기어와 제2랙기어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구동 및 잠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잠금부재는,
    상기 제1랙기어와 제2랙기어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며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축과 동축으로 결합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상하 양측으로 연장된 제1링크와 제2링크, 상기 제1링크의 단부와 제2링크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에 형성된 제1슬라이드홈과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에 형성된 제2슬라이드홈에 각각 삽입되는 제1슬라이드봉과 제2슬라이드봉이 구비된 링크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구동 및 잠금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드홈의 후단에는 상기 셔터가 닫히는 위치에서 상기 제1슬라이드봉이 걸려 상기 제1링크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의 진행방향으로 선회시키는 걸림벽이 구비되어 상기 걸림벽과 상기 제1슬라이드홈의 하단 사이에 스토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슬라이드홈의 후단에는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의 이동중에는 상기 제2슬라이드봉이 수용되어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제1슬라이드봉이 상기 스토퍼홈에 걸리는 과정에서 상기 제2슬라이드봉을 상기 제2슬라이드홈으로 안내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구동 및 잠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셔터잠금부재의 제1링크에 구비된 제1슬라이드봉은 상기 제1링크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되면서 상기 스토퍼홈에 걸려 상기 셔터는 잠금 상태가 됨과 동시에 상기 제1랙기어와 피니언기어 간의 치합이 해제되고,
    상기 셔터잠금부재의 제2링크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되면서 상기 수용홈에 걸린 제2슬라이드봉에 의해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가 후방으로 밀림과 동시에 상기 제2랙기어와 피니언기어 간에 치합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구동 및 잠금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잠금부재에는 상기 셔터의 개방시 상기 스토퍼홈에 걸려 있던 제1슬라이드봉이 상기 제1슬라이드홈에 위치하도록 상기 셔터잠금부재를 선회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구동 및 잠금 장치.
KR1020100140188A 2010-12-31 2010-12-31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구동 및 잠금 장치 KR101155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188A KR101155188B1 (ko) 2010-12-31 2010-12-31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구동 및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188A KR101155188B1 (ko) 2010-12-31 2010-12-31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구동 및 잠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5188B1 true KR101155188B1 (ko) 2012-06-13

Family

ID=46607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40188A KR101155188B1 (ko) 2010-12-31 2010-12-31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구동 및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518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51185A (zh) * 2015-05-28 2015-08-19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闸门装置
KR20160091696A (ko) * 2015-01-26 2016-08-03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
CN108877106A (zh) * 2018-09-11 2018-11-23 中电金融设备系统(深圳)有限公司 闸门装置和自动存取款机
CN113606849A (zh) * 2017-04-05 2021-11-05 Lg电子株式会社 冰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771A (ko) * 2004-06-29 2006-01-06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셔터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771A (ko) * 2004-06-29 2006-01-06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셔터 개폐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696A (ko) * 2015-01-26 2016-08-03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
KR101654291B1 (ko) 2015-01-26 2016-09-22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
CN104851185A (zh) * 2015-05-28 2015-08-19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闸门装置
US10013838B2 (en) 2015-05-28 2018-07-03 Grg Banking Equipment Co., Ltd. Gate device
CN113606849A (zh) * 2017-04-05 2021-11-05 Lg电子株式会社 冰箱
CN113606849B (zh) * 2017-04-05 2023-04-18 Lg电子株式会社 冰箱
CN108877106A (zh) * 2018-09-11 2018-11-23 中电金融设备系统(深圳)有限公司 闸门装置和自动存取款机
CN108877106B (zh) * 2018-09-11 2024-03-12 中电金融设备系统(深圳)有限公司 闸门装置和自动存取款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69247C2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носителей
JP5724717B2 (ja)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KR101162622B1 (ko) 지폐 입출금기
US8939449B2 (en) Sheet transport apparatus facilitating establishing a continuous sheet transport path
US7900916B2 (en) Paper sheet transport mechanism and paper handling device
KR101155188B1 (ko) 지폐입출금부의 셔터 구동 및 잠금 장치
KR101190376B1 (ko) 셔터 개폐장치 및 금융자동화기기
EP2151805A1 (en) Bank bill handling apparatus
US9611117B2 (en) Medium processing device and medium transaction device
JP2015014968A (ja) 紙幣取扱装置
US10127757B2 (en) Path switching structure and medium storage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having the same
JP2002260057A (ja) 紙幣入出金機
JP2008021140A (ja) 紙葉類取扱装置
US20220207948A1 (en) Banknote Conveying Module and Banknote Adding Machine Thereof
JP3383069B2 (ja) 取引口のシャッタ装置
KR101155230B1 (ko) 지폐입출금부의 셔터와 집적공간 조절가이드의 구동장치
KR100987838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입출금부에서 셔터잠금장치
KR100526583B1 (ko) 지폐류입출금기의 입금장치
JP3560516B2 (ja) 紙幣入出金装置
KR101272695B1 (ko) 현금자동입출금기
US8540143B2 (en) Cassette for automated teller machine
KR100678679B1 (ko) 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
US11900752B2 (en) Medium processing device and medium transaction device
KR101283306B1 (ko) 개폐 장치 및 금융기기
KR20200068170A (ko) 링크 개폐식 빌 스토퍼를 구비한 금융 자동화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