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8170A - 링크 개폐식 빌 스토퍼를 구비한 금융 자동화 기기 - Google Patents

링크 개폐식 빌 스토퍼를 구비한 금융 자동화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8170A
KR20200068170A KR1020180154779A KR20180154779A KR20200068170A KR 20200068170 A KR20200068170 A KR 20200068170A KR 1020180154779 A KR1020180154779 A KR 1020180154779A KR 20180154779 A KR20180154779 A KR 20180154779A KR 20200068170 A KR20200068170 A KR 20200068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 stopper
deposit
link
gear
withdraw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2898B1 (ko
Inventor
황진용
김경수
김석원
이승수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4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898B1/ko
Priority to US16/413,787 priority patent/US10885750B2/en
Priority to EP19209680.8A priority patent/EP3664051B1/en
Priority to CN201911211424.1A priority patent/CN111275881B/zh
Publication of KR20200068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2Depositing operations within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3Dispensing operations within AT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링크 개폐식 빌 스토퍼를 구비한 금융 자동화 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제공되며, 매체의 분리 및 집적을 수행하는 입출금부; 상기 본체의 전방에 배치되며, 매체를 사용자로부터 수취하기 위해 제공되는 접객부; 및 상기 입출금부와 상기 접객부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매체를 이송하는 트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출금부는, 상기 트레이부가 출입하는 상기 입출금부의 입구를 개폐하기 위해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빌 스토퍼; 및 상기 빌 스토퍼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빌 스토퍼를 개폐하는 링크 유닛을 포함하는 링크 개폐식 빌 스토퍼를 구비한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링크 개폐식 빌 스토퍼를 구비한 금융 자동화 기기{AUTOMATED TELLER MACHINE HAVING BILL STOPPER}
본 발명은 링크 개폐식 빌 스토퍼를 구비한 금융 자동화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 자동화 기기(ATM, Automated Teller Machine)는 금융 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 카드나 통장을 이용하여 현금 및 수표의 입출금과 같은 금융 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최근, 은행과 같은 금융 기관뿐만 아니라 편의점, 백화점 및 공공장소 등에서도 금융 자동화 기기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금융 자동화 기기는 입출금 여부에 따라 출금기, 입금기 및 입출금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최근 들어 금융 자동화 기기는 현금의 입출금은 물론 수표의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금융 자동화 기기는 현금, 수표와 같은 매체를 투입받는 방식에 따라 크게 두 가지 타입으로 나뉘는데, 하나는 포켓 타입으로서 입출금부가 포켓 형상으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매체를 포켓 내부로 투입하도록 하는 타입이고, 다른 하나는 프리젠트 타입으로서 입출금부에 형성된 슬롯을 통해 지폐가 투입 및 인출되는 타입이다. 이 중, 포켓 타입의 경우 사용자가 입금을 하기 위해 매체를 입출금부로 투입하기 위해서는 손을 포켓 내부까지 넣어야 하는데, 사용자가 소속된 문화권에 따라서는 이렇게 기계 내부로 신체의 일부를 넣는 것 자체를 꺼려하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포켓 타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사용자가 손을 입출금부에 넣지 않고도 매체를 입출금할 수 있는 프리젠트 타입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프리젠트 타입은 보안에 다소 취약하고, 한번에 입출금할 수 있는 매체 수량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한번에 많은 금액을 입출금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두 가지 타입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포켓 타입과 프리젠트 타입을 융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으나, 구조가 복잡해지고 실용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실제 적용까지는 아직 요원한 실정이다. 이에, 포켓 타입과 프리젠트 타입의 문제점들을 보완할 수 있는 획기적인 구조를 갖는 입출금부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77439호 (2014. 06. 24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포켓 타입과 프리젠트 타입 각각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한 입출금부를 제공하기 위하여 링크 개폐식 빌 스토퍼를 구비한 금융 자동화 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제공되며, 매체의 분리 및 집적을 수행하는 입출금부; 상기 본체의 전방에 배치되며, 매체를 사용자로부터 수취하기 위해 제공되는 접객부; 및 상기 입출금부와 상기 접객부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매체를 이송하는 트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출금부는, 상기 트레이부가 출입하는 상기 입출금부의 입구를 개폐하기 위해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빌 스토퍼; 및 상기 빌 스토퍼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빌 스토퍼를 개폐하는 링크 유닛을 포함하는 링크 개폐식 빌 스토퍼를 구비한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 유닛은,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구동 휠; 일단이 상기 빌 스토퍼의 일단과 고정 결합되어 상기 빌 스토퍼와 일체로 회동되는 고정 프레임; 및 일단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타단과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구동 휠의 가장 자리에 힌지 연결되는 가동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 유닛은, 상기 입출금부의 입구가 상기 빌 스토퍼의 회동에 의해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상기 가동 링크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 및 상기 구동 휠의 회전 중심점이 일직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 유닛은, 상기 입출금부의 입구가 상기 빌 스토퍼의 회동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었을 때, 상기 가동 링크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 및 상기 구동 휠의 회전 중심점이 일직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빌 스토퍼는 그 사이 각도가 예각이 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 유닛은, 상기 구동 휠과 치합되어 회전력을 상기 구동 휠에 전달하는 중계 기어; 상기 중계 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중계 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원동 기어; 및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원동 기어와 동력 연결되어 상기 원동 기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 기어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며, 동일한 회전 중심 상에 일체로 형성된 제1 기어 및 제2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원동 기어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원동 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제2 기어는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구동 휠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구동 휠과 치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빌 스토퍼는, 상기 트레이부로 투입되는 매체와 충돌하도록 상기 입출금부의 입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상기 트레이부가 퇴피하도록 상기 입출금부의 입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의 포켓 타입에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장치 내부로 유입될 것이 요구된다는 문제점과 프리젠트 타입의 취약한 보안과 한번에 입출할 수 있는 매체 수량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고, 빌 스토퍼가 간단한 링크 구조에 의하여 간편하게 개폐되면서 별도의 록킹 수단 없이도 임의로 닫히거나 열리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빌 스토퍼 및 링크 유닛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빌 스토퍼 및 링크 유닛의 작용 상태를 나타낸 작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링크 유닛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세부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링크 유닛의 각 기어별 기어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개폐식 빌 스토퍼를 구비한 금융 자동화 기기(1)는 본체(10), 입출금부(20), 접객부(30) 및 트레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금융 자동화 기기(1)의 외관을 구성하며, 내부에 리프팅 모듈(50)과 트레이부(40)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입출금부(20)는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제공되고, 입출금을 위한 매체의 분리 및 집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출금부(20)는 하우징(21), 분리 집적 모듈(60) 및 리프팅 모듈(5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은 본체(1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입출금부(20)의 구성들을 수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1)에는 후술할 트레이부(40)가 출입할 수 있는 트레이용 입구(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1)의 내부에는 분리 집적 모듈(60)이 배치될 수 있다.
분리 집적 모듈(60)은 분리 롤러(61) 및 집적 롤러(62)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 롤러(61)는 트레이부(40)에 의해 이송된 매체(M)를 분리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하우징(21)의 내측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분리 롤러(61)는 트레이부(40)에 수용된 매체(M)를 낱장으로 분리하여 반송로를 통해 이송시킬 수 있다. 집적 롤러(62)는 분리 롤러(61)에서 분리된 매체 중 리젝트권 또는 출금을 위해 반송되는 매체(M)를 트레이부(40)에 집적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하우징(21)의 내측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리프팅 모듈(50)은 하우징(21) 내에 제공되어 트레이부(40)를 상하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상하 방향 이동에 의해, 트레이부(40)에 집적되어 있던 매체가 본체(10) 내부의 반송로를 통해 반송되거나, 본체(10) 내에 있던 매체가 트레이부(40)로 집적될 수 있는 위치에 놓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트레이부(40)가 리프팅 모듈(50)에 의해 하강하는 경우 트레이부(40)가 분리 롤러(61)와 중첩되어 분리 롤러(61)의 동작에 의해 트레이부(40) 내에 집적된 매체가 본체(10) 내의 반송로를 통해 분리 저장될 수 있다. 이때, 트레이부(40)가 하강하여 분리 롤러(61)와 중첩된 상태를 "분리 모드"라고 말할 수 있다.
한편, 트레이부(40)가 리프팅 모듈(50)에 의해 상승하는 경우 트레이부(40)가 집적 롤러(62)의 동작에 의해 트레이부(40)의 내부로 매체가 투입되어 집적될 수 있다. 이 경우, 분리 롤러(61)에 의해 분리된 매체 중 리젝트권의 반송 또는 본체(10) 내의 카세트(미도시)에 수납된 매체의 출금을 위해, 매체가 집적 롤러(62)를 통해 트레이부(40)로 집적될 수 있으며, 트레이부(40)가 상승하여 집적 롤러(62)에 의해 트레이부(40)의 내부로 매체가 투입되는 상태를 "집적 모드"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접객부(30)는 지폐나 수표와 같은 매체를 투입 또는 수취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으며, 입금 또는 출금이 용이하도록 본체(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접객부(30)에는 매체가 금융 자동화 기기(1)의 내부로 투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도록 입출금 셔터(3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입출금 셔터(31)는 별도의 제어 신호에 의해 개폐 될 수 있다.
한편, 트레이부(40)는 접객부(30)로부터 입출금부(20)의 내부까지 왕복 이동하면서 내부에 저장된 매체를 입출금부(20) 또는 접객부(30)로 이송하기 위해 제공된다. 즉, 트레이부(40)는 접객부(30)에서 고객으로부터 매체를 공급받아 입출금부(20)로 이동하여 해당 매체를 분리 저장하고, 입출금부(20)에서 출금 대상 매체를 공급받아 접객부(30)로 이송하여 매체를 고객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레이부(40)는 입출금부(20)의 입구(22)를 통해 하우징(21)의 내, 외부로 출입할 수 있고, 트레이부(40)가 하우징(21)에 투입되면 리프팅 모듈(5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트레이부(40)의 출입시 입출금부(20)의 입구(22)를 개폐하기 위해 입출금부(20)는 빌 스토퍼(100) 및 링크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빌 스토퍼(100)는 입출금부(20)의 하우징(21)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입출금부(20)의 입구(22)를 필요에 따라 개폐할 수 있다. 즉, 빌 스토퍼(100)는 트레이부(40)가 입출금부(20)에서 인출된 경우에는 개방되고, 트레이부(40)가 입출금부(20)의 내부로 투입된 경우에는 폐쇄되어 집적 롤러(62)의 동작에 의해 트레이부(40)의 내부로 매체가 투입되어 집적될 때 매체가 닫힌 빌 스토퍼(100)의 내측면과 충돌한 후 트레이부(40)에 스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빌 스토퍼(100)는 집적 모드시 트레이부(40)로 투입되는 매체와 충돌하도록 상기 입출금부(20)의 입구(22)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예컨대, 도 2의 위치)와, 트레이부(40)가 왕복 이동 경로 상에서 접객부(30) 쪽으로 퇴피하도록 상기 입출금부(20)의 입구(22)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예컨대, 도 4) 사이에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링크 유닛(200)은 빌 스토퍼(100)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빌 스토퍼(100)를 개폐할 수 있다. 링크 유닛(200)은 빌 스토퍼(100)의 회전 중심부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입출금부(20)로부터 트레이부(40)가 인출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빌 스토퍼(100)를 개방하고, 트레이부(40)가 입출금부(20)의 내부에 투입된 경우에는 빌 스토퍼(100)를 닫아 매체의 스택 기능을 보조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링크 유닛(200)은 구동 휠(210), 고정 프레임(220) 및 가동 링크(2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구동 휠(210)은 빌 스토퍼(100)를 개폐하기 위해 하우징(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동 휠(210)은 소정의 직경을 갖는 기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구성으로부터 외력을 제공받아 구동될 수 있다.
또한 고정 프레임(220)은 빌 스토퍼(100)에 일체로 결합되어 빌 스토퍼(100)와 한 몸으로 움직일 수 있다. 고정 프레임(220)의 일단은 빌 스토퍼(100)의 회전 중심부에 고정 결합되며, 고정 프레임(220)은 이 회전 중심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고정 프레임(220)과 빌 스토퍼(100)는 그 사이 각도가 예각이되도록 결합되며, 고정 프레임(220)과 빌 스토퍼(100)의 사잇각은 고정 프레임(220) 및 빌 스토퍼(100)의 움직임에 의해서 변하지 않고 항상 동일하게 유지된다.
여기서 고정 프레임(220)과 빌 스토퍼(100)의 회전 중심부에는 연결 부재(221)가 제공될 수 있다. 연결 부재(221)의 단면 형상은 원의 외주 일부가 직선형으로 절삭된 형상으로서 고정 프레임(220)에서 빌 스토퍼(100)로 회전력이 전달될 때 그 절삭면에 의하여 미끄러짐(슬립)이 발생하지 않고 힘이 전달되어 고정 프레임(220)의 회전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빌 스토퍼(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가동 링크(230)는 구동 휠(210)의 회전력을 고정 프레임(220)에 전달하여 빌 스토퍼(100)를 개폐하는 구성으로서, 가동 링크(230)의 일단부는 제1 힌지부(231)를 통해 고정 프레임(220)이 타단과 힌지 연결된다.
또한, 가동 링크(230)의 타단부는 제2 힌지부(232)를 통해 구동 휠(210)과 힌지 연결되는데, 구동 휠(210)의 회전력이 가동 링크(230)에 직선 운동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제2 힌지부(232)는 구동 휠(210)의 가장 자리 중 어느 한 지점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휠(210)이 회전되면 구동 휠(210)의 회전력이 제2 힌지부(232)를 통해 가동 링크(230)에 전달되어 가동 링크(230)는 직선 운동을 하게 되고, 가동 링크(230)의 직선 운동은 다시 제1 힌지부(231)를 통해 고정 프레임(220)에 전달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220)은 가동 링크(230)로부터 외력을 제공받으면 빌 스토퍼(100)의 회전 중심부에 설치된 연결 부재(221)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고정 프레임(220)의 회전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빌 스토퍼(100)를 회전시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빌 스토퍼(100)가 개방될 수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빌 스토퍼(100)가 개방되면 트레이부(40)는 입출금부(20)의 밖으로 인출되어 접객부(30)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유닛(200)은 빌 스토퍼(100)가 완전히 닫히거나(도 2 참조), 빌 스토퍼(100)가 완전히 열렸을 때(도 4 참조) 제1 힌지부(231)와 제2 힌지부(232) 및 구동 휠(210)의 회전 중심점(211)은 항상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빌 스토퍼(100)에 가해지는 임의의 외력에 의해 빌 스토퍼(100)가 개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빌 스토퍼(100)는 구동 휠(210)의 회전에 의해서만 개방되거나 폐쇄되어야 하는데, 빌 스토퍼(100)가 도 2와 같이 완전히 닫혀 있거나 도 4와 같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제1 힌지부(231)와 제2 힌지부(232) 및 구동 휠(210)의 회전 중심점(211)이 일직선 상에 위치하게 되면 빌 스토퍼(10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그 힘이 구동 휠(210)을 회전시키기 위한 힘으로 작용하지 못하고 가동 링크(230)를 통해 구동 휠(210)의 법선 방향으로 구동 휠(210)을 당기거나 미는 힘으로만 작용하기 때문에 구동 휠(210)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와 같이 빌 스토퍼(100)가 닫힌 상태에서 트레이부(40)에 스택되는 매체는 계속해서 빌 스토퍼(100)에 충돌하는바, 빌 스토퍼(100)에 충돌하는 충격 에너지는 빌 스토퍼(10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모멘트를 발생시켜 가동 링크(230)를 통해 구동 휠(210)을 잡아당기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지만, 제1 힌지부(231)가 구동 휠(210)의 회전 중심점(211) 및 제2 힌지부(232)와 일직선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구동 휠(210)을 구동 휠(210)의 법선 방향으로 잡아당기기만 할 뿐 구동 휠(210)을 회전시키지 못하므로 빌 스토퍼(100)는 개방되지 않는다.
또한, 도 4와 같이 빌 스토퍼(100)가 열린 상태에서는 빌 스토퍼(100)의 자중에 의해 빌 스토퍼(100)가 닫히는 방향으로 모멘트가 발생하고, 이 모멘트는 가동 링크(230)를 통해 구동 휠(210)을 미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지만, 제2 힌지부(232), 제1 힌지부(231) 및 구동 휠(210)의 회전 중심선이 일직선 상에 위치하므로 제1 힌지부(231)가 구동 휠(210)을 구동 휠(210)의 법선 방향으로 밀기만 할뿐 구동 휠(210)을 회전시키기 못해 빌 스토퍼(100)는 닫히는 않는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링크 유닛(200)은 구동 휠(210)을 회전시키기 위해 중계 기어(240), 원동 기어(250) 및 구동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계 기어(240)는 구동 휠(210)과 기어 결합되어 회전력을 구동 휠(210)에 전달하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원동 기어(250)는 중계 기어(240)와 기어 결합되어 중계 기어(24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구동부(26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원동 기어(250)와 동력 연결되어 원동 기어(25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260)는 정, 역회전이 모두 가능한 양 방향 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260)가 작동하면 원동 기어(250)가 회전되면서 그 회전력을 중계 기어(240)를 통해 구동 휠(210)에 전달하여 빌 스토퍼(100)를 개폐할 수 있다.
이때, 원동 기어(250)의 작은 힘으로 구동 휠(210)을 회전시키기 위해 중계 기어(240)는 기어 감속 구조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중계 기어(240)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며, 동일한 회전 중심축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기어(241)와 제2 기어(242)를 포함하는 이중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어(241)는 기어 감속을 위해 원동 기어(250)보다 큰 직경을 이루며 원동 기어(250)와 기어 결합된다. 또한, 제2 기어(242)는 제1 기어(241) 및 구동 휠(2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이루며 구동 휠(210)과 기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1 : 금융 자동화 기기
10 : 본체 20 : 입출금부
21 : 하우징 22 : 입출금부의 입구
30 : 접객부 40 : 트레이부
50 : 리프팅 모듈 60 : 분리 집적 모듈
61 : 분리 롤러 62 : 집적 롤러
100 : 빌 스토퍼 200 : 링크 유닛
210 : 구동 휠 211 : 구동 휠의 회전 중심점
220 : 고정 프레임 221 : 연결 부재
230 : 가동 링크 231 : 제1 힌지부
232 : 제2 힌지부 240 : 중계 기어
241 : 제1 기어 242 : 제2 기어
250 : 원동 기어 260 : 구동부

Claims (8)

  1.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제공되며, 매체의 분리 및 집적을 수행하는 입출금부;
    상기 본체의 전방에 배치되며, 매체를 사용자로부터 수취하기 위해 제공되는 접객부; 및
    상기 입출금부와 상기 접객부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매체를 이송하는 트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출금부는,
    상기 트레이부가 출입하는 상기 입출금부의 입구를 개폐하기 위해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빌 스토퍼; 및
    상기 빌 스토퍼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빌 스토퍼를 개폐하는 링크 유닛을 포함하는,
    링크 개폐식 빌 스토퍼를 구비한 금융 자동화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유닛은,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구동 휠;
    일단이 상기 빌 스토퍼의 일단과 고정 결합되어 상기 빌 스토퍼와 일체로 회동되는 고정 프레임; 및
    일단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타단과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구동 휠의 가장 자리에 힌지 연결되는 가동 링크;
    를 포함하는, 링크 개폐식 빌 스토퍼를 구비한 금융 자동화 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유닛은,
    상기 입출금부의 입구가 상기 빌 스토퍼의 회동에 의해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상기 가동 링크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 및 상기 구동 휠의 회전 중심점이 일직선 상에 위치되는, 링크 개폐식 빌 스토퍼를 구비한 금융 자동화 기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유닛은,
    상기 입출금부의 입구가 상기 빌 스토퍼의 회동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었을 때, 상기 가동 링크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 및 상기 구동 휠의 회전 중심점이 일직선 상에 위치되는, 링크 개폐식 빌 스토퍼를 구비한 금융 자동화 기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빌 스토퍼는 그 사이 각도가 예각이 되도록 결합되는, 링크 개폐식 빌 스토퍼를 구비한 금융 자동화 기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유닛은,
    상기 구동 휠과 치합되어 회전력을 상기 구동 휠에 전달하는 중계 기어;
    상기 중계 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중계 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원동 기어; 및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원동 기어와 동력 연결되어 상기 원동 기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를 더 포함하는, 링크 개폐식 빌 스토퍼를 구비한 금융 자동화 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기어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며, 동일한 회전 중심 상에 일체로 형성된 제1 기어 및 제2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원동 기어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원동 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제2 기어는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구동 휠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구동 휠과 치합되는, 링크 개폐식 빌 스토퍼를 구비한 금융 자동화 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빌 스토퍼는,
    상기 트레이부로 투입되는 매체와 충돌하도록 상기 입출금부의 입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상기 트레이부가 퇴피하도록 상기 입출금부의 입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개폐식 빌 스토퍼를 구비한 금융 자동화 기기.
KR1020180154779A 2018-12-04 2018-12-04 링크 개폐식 빌 스토퍼를 구비한 금융 자동화 기기 KR102152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779A KR102152898B1 (ko) 2018-12-04 2018-12-04 링크 개폐식 빌 스토퍼를 구비한 금융 자동화 기기
US16/413,787 US10885750B2 (en) 2018-12-04 2019-05-16 Automated teller machine having bill stopper
EP19209680.8A EP3664051B1 (en) 2018-12-04 2019-11-18 Automated teller machine having bill stopper
CN201911211424.1A CN111275881B (zh) 2018-12-04 2019-12-02 带有纸币止动器的自动柜员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779A KR102152898B1 (ko) 2018-12-04 2018-12-04 링크 개폐식 빌 스토퍼를 구비한 금융 자동화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170A true KR20200068170A (ko) 2020-06-15
KR102152898B1 KR102152898B1 (ko) 2020-09-08

Family

ID=68609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779A KR102152898B1 (ko) 2018-12-04 2018-12-04 링크 개폐식 빌 스토퍼를 구비한 금융 자동화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85750B2 (ko)
EP (1) EP3664051B1 (ko)
KR (1) KR102152898B1 (ko)
CN (1) CN1112758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5211B1 (ko) * 2020-12-23 2023-01-06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지폐류 입출금 제어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2665A (ko) * 2007-12-28 2009-07-0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JP2012048751A (ja) * 2011-11-24 2012-03-08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幣入出金装置
KR20140077439A (ko) 2012-12-14 2014-06-2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입출금장치
KR20140081144A (ko) * 2012-12-21 2014-07-0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캐리지
JP5632092B2 (ja) * 2011-10-27 2014-11-26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搬送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7519B2 (ja) * 1990-03-23 1997-03-05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幣出金機のリジェクト機構
US7946477B1 (en) * 2004-03-31 2011-05-24 Diebold Self-Service Systems Division Of Diebold, Incorporated Automated banking machine with noncontact reading of card data
US6864990B1 (en) * 1999-09-22 2005-03-08 Continental Express Money Order Company, Inc. Method and machine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documents
GB2364591A (en) * 2000-07-07 2002-01-30 Ncr Int Inc Self service terminal with an escrow unit
KR100425867B1 (ko) * 2001-12-29 2004-04-01 엘지엔시스(주) 현금자동 인출기의 고객 수취장치
KR100425866B1 (ko) * 2001-12-29 2004-04-01 엘지엔시스(주) 현금자동 인출기의 도어 잠금장치
GB0411095D0 (en) * 2004-05-19 2004-06-23 Ncr Int Inc Self-service terminal
KR20060112461A (ko) * 2005-04-27 2006-11-0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셔터 장치
US7240829B2 (en) * 2005-07-01 2007-07-10 Diebold Self-Service Systems, A Division Of Diebold, Incorporated ATM with stack transporter for bulk note deposit
US8281986B1 (en) * 2008-06-27 2012-10-09 Diebold Self-Service Systems Automated banking system controlled responsive to data bearing records
JP5564915B2 (ja) * 2009-11-30 2014-08-0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ITMI20131901A1 (it) 2013-11-15 2015-05-16 M I B S R L Distributore automatico di banconote con verifica zona di prelievo banconote
IT201700032227A1 (it) 2017-03-23 2018-09-23 M I B S R L Bancomat, atm e simile comprendente un dispositivo di controllo presentazione banconot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2665A (ko) * 2007-12-28 2009-07-0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JP5632092B2 (ja) * 2011-10-27 2014-11-26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搬送機構
JP2012048751A (ja) * 2011-11-24 2012-03-08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幣入出金装置
KR20140077439A (ko) 2012-12-14 2014-06-2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입출금장치
KR20140081144A (ko) * 2012-12-21 2014-07-0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캐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75881A (zh) 2020-06-12
US20200175824A1 (en) 2020-06-04
EP3664051A1 (en) 2020-06-10
KR102152898B1 (ko) 2020-09-08
US10885750B2 (en) 2021-01-05
EP3664051B1 (en) 2021-12-01
CN111275881B (zh) 202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5238B2 (ja) 紙幣入出金機
JP5724717B2 (ja)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JP2002163704A (ja) 紙幣取扱装置
JP5795990B2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2016081289A (ja) 搬送方向切替装置、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WO2014155645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4325886B2 (ja) 紙幣入出金機
JP5153530B2 (ja) 紙幣入出金機
KR102152898B1 (ko) 링크 개폐식 빌 스토퍼를 구비한 금융 자동화 기기
JP5683864B2 (ja) 貨幣処理装置
WO2014155644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20050013265A (ko) 입금기
JP2008171451A (ja) 紙幣入出金機
JP4292180B2 (ja) 自動取引装置
JP5789562B2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4292232B2 (ja) 紙幣入出金機
KR101761011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 기기
KR20200072648A (ko) 트레이 록킹 구조를 갖는 금융 자동화 기기
JP5498549B2 (ja) 紙幣入出金機
JP5498516B2 (ja) 紙幣入出金機
KR101932190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200374271Y1 (ko) 금융 자동화기기의 이중셔터구조
KR20120098280A (ko) 현금입출금기의 반송로에 사용되는 일방향 동력전달장치
JP7132737B2 (ja) 紙幣取扱装置
KR102635563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