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563B1 - 금융 자동화 기기 - Google Patents

금융 자동화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563B1
KR102635563B1 KR1020180164402A KR20180164402A KR102635563B1 KR 102635563 B1 KR102635563 B1 KR 102635563B1 KR 1020180164402 A KR1020180164402 A KR 1020180164402A KR 20180164402 A KR20180164402 A KR 20180164402A KR 102635563 B1 KR102635563 B1 KR 102635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deposit
withdrawal
pinion
shutte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5993A (ko
Inventor
황진용
김경수
김석원
오혜빈
서영대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4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563B1/ko
Publication of KR20200075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26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제공되고, 매체의 분리 및 집적이 수행되는 입출금부, 상기 본체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매체의 투입 및 수취를 위해 제공되는 접객부, 및 상기 입출금부와 상기 접객부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매체를 이송하는 트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객부는, 상기 매체의 투입 및 배출을 위해 형성되는 접객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입출금 셔터, 상기 입출금 셔터에 연결되는 셔터 레버, 상기 셔터 레버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입출금 셔터를 개폐시키는 개폐 구동 모듈, 및 상기 개폐 구동 모듈에 연동되고, 상기 접객구가 상기 입출금 셔터에 의해 폐쇄되었을 때 상기 셔터 레버와의 간섭에 의해 상기 입출금 셔터의 회동을 제한하는 락킹 모듈을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융 자동화 기기{AUTOMATED TELLER MACHINE}
본 발명은 금융 자동화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 자동화 기기(ATM, Automated Teller Machine)는 금융 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 카드나 통장을 이용하여 현금 및 수표의 입출금과 같은 금융 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최근, 은행과 같은 금융 기관뿐만 아니라 편의점, 백화점 및 공공장소 등에서도 금융 자동화 기기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금융 자동화 기기는 입출금 여부에 따라 출금기, 입금기 및 입출금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최근 들어 금융 자동화 기기는 현금의 입출금은 물론 수표의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금융 자동화 기기는 현금, 수표와 같은 매체를 수납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두 가지 타입으로 나뉘는데, 하나는 포켓 타입으로서 입출금부가 포켓 형상으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매체를 포켓 내부로 투입하도록 하는 타입이고, 다른 하나는 프리젠트 타입으로서 입출금부에 형성된 슬롯을 통해 지폐가 투입 및 인출되는 타입이다. 이 중, 포켓 타입의 경우 사용자가 입금을 하기 위해 매체를 입출금부로 투입하기 위해서는 손을 포켓 내부까지 넣어야 하는데, 사용자가 소속된 문화권에 따라서는 이렇게 기계 내부로 신체의 일부를 넣는 것 자체를 꺼려하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포켓 타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사용자가 손을 입출금부에 넣지 않고도 매체를 입출금할 수 있는 프리젠트 타입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프리젠트 타입은 보안에 다소 취약하고, 한번에 입출금할 수 있는 매체 수량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한번에 많은 금액을 입출금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두 가지 타입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포켓 타입과 프리젠트 타입을 융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으나, 구조가 복잡해지고 실용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실제 적용까지는 아직 요원한 실정이다.
한편, 종래의 금융 자동화 기기의 전면에는 매체 수납 또는 반출을 위한 접객부가 제공된다. 이러한 접객부에는 사용자가 매체를 투입하거나 수취하기 위한 접객구가 형성되며, 접객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셔터가 제공된다. 이러한 셔터는 접객 대기 중일 때는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고, 접객시 접객구를 개방하도록 제어되어야 한다. 그런데, 간혹 사용자가 불순한 의도로 폐쇄된 상태의 셔터를 억지로 개방시키려는 시도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셔터가 폐쇄된 상태로 락(lock) 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셔터 락 기능을 갖는 새로운 타입의 금융 자동화 기기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포켓 타입과 프리젠트 타입 각각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면서도 구조가 간소한 입출금부를 갖는 금융 자동화 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간소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셔터 락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금융 자동화 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제공되고, 매체의 분리 및 집적이 수행되는 입출금부; 상기 본체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매체의 투입 및 수취를 위해 제공되는 접객부; 및 상기 입출금부와 상기 접객부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매체를 이송하는 트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객부는, 상기 매체의 투입 및 배출을 위해 형성되는 접객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입출금 셔터; 상기 입출금 셔터에 연결되는 셔터 레버; 상기 셔터 레버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입출금 셔터를 개폐시키는 개폐 구동 모듈; 및 상기 개폐 구동 모듈에 연동되고, 상기 접객구가 상기 입출금 셔터에 의해 폐쇄되었을 때 상기 셔터 레버와의 간섭에 의해 상기 입출금 셔터의 회동을 제한하는 락킹 모듈을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 레버는,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레버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구동 모듈은, 피니언; 상기 피니언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부재; 및 상기 피니언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이 일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셔터 레버를 가압하는 푸쉬 돌기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 레버는, 상기 푸쉬 돌기와 접촉되어 상기 피니언의 회동시 상기 푸쉬 돌기에 의해 가압되는 안내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면은 상기 셔터 레버가 상기 입출금 셔터로부터 연장되는 방향과 어긋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 모듈은, 상기 피니언과 계합되어 상기 피니언의 회동시 병진 이동되는 레크; 및 상기 레크와 연결되고, 상기 레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셔터 레버의 회동 경로상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락킹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금 셔터가 상기 접객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락킹 부재가 상기 셔터 레버의 회동 경로와 간섭되어 상기 셔터 레버의 회동을 제한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 모듈은, 상기 레크와 연결되는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 형성된 가이드 그루브에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레크의 이동시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그루브에 의해 안내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락킹 부재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 모듈은, 상기 레크와 연결되는 센싱 브라켓; 및 상기 센싱 브라켓과의 간섭에 의해 상기 레크의 위치를 센싱하는 위치 센서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 부재는 상기 레크의 일면에 연결되고, 상기 센싱 브라켓은 상기 레크의 타면에 연결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금 셔터가 상기 접객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락킹 부재와 상기 셔터 레버 사이에 갭이 형성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 레버는 상기 입출금 셔터의 연장 형성된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종래의 포켓 타입의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장치 내부로 유입될 것이 요구된다는 문제점과 프리젠트 타입의 취약한 보안과 한번에 입출할 수 있는 매체 수량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으면서도, 구조가 간소하여 실용화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소한 구조로 효과적으로 셔터 락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객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접객부 내부의 셔터 레버, 개폐 구동 모듈 및 락킹 모듈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셔터 레버가 개폐 구동 모듈에 의해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A-A 단면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금융 자동화 기기(1)는 본체(10), 입출금부(20), 트레이부(30) 및 접객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금융 자동화 기기(1)의 외관을 구성하며, 내부에 트레이부(30)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일측에는 입출금부(20)가 마련될 수 있다.
입출금부(20)는 본체(10) 내에 제공되고, 입출금을 위한 매체(M)의 분리 및 집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출금부(20)는 하우징(210), 분리 집적 모듈(220) 및 리프팅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본체(1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입출금부(20)의 구성품들을 수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10)에는 트레이부(30)가 출입할 수 있는 트레이 삽입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분리 집적 모듈(220)이 배치될 수 있다.
분리 집적 모듈(220)은 분리 롤러(222) 및 집적 롤러(224)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 롤러(222)는 트레이부(30)에 의해 이송된 매체(M)를 분리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하우징(21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분리 롤러(222)는 트레이부(30)에 수용된 매체(M)를 낱장으로 분리하여 반송로를 통해 이송시킬 수 있다. 집적 롤러(224)는 분리 롤러(222)에서 분리된 매체(M) 중 리젝트권 또는 출금을 위해 반송되는 매체(M)를 트레이부(30)에 집적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하우징(210)의 내측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리프팅 모듈(230)은 하우징(210) 내에 제공되어 트레이부(30)를 상하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상하 방향 이동에 의해, 트레이부(30)는 트레이부(30)에 집적되어 있던 매체(M)가 본체(10) 내부의 반송로를 통해 반송되거나, 본체(10) 내에 있던 매체(M)가 트레이부(30)로 집적될 수 있는 위치에 놓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트레이부(30)가 리프팅 모듈(230)에 의해 하강하는 경우 트레이부(30)가 분리 롤러(222)와 중첩되어 분리 롤러(222)의 동작에 의해 트레이부(30) 내에 집적된 매체(M)가 본체(10) 내의 반송로를 통해 분리 저장될 수 있다. 이때, 트레이부(30)가 하강하여 분리 롤러(222)와 중첩된 상태를 "분리 모드"라고 말할 수 있다.
한편, 트레이부(30)가 리프팅 모듈(230)에 의해 상승하는 경우 트레이부(30)가 집적 롤러(224)와 중첩되어 집적 롤러(224)의 동작에 의해 트레이부(30)의 내로 매체(M)가 투입되어 집적될 수 있다. 이 경우, 분리 롤러(222)에 의해 분리된 매체(M) 중 리젝트권의 반송 또는 본체(10) 내의 카세트(미도시)에 수납된 매체(M)의 출금을 위해, 매체(M)가 집적 롤러(224)를 통해 트레이부(30)로 집적될 수 있으며, 트레이부(30)가 상승하여 집적 롤러(224)와 중첩된 상태를 "집적 모드"라고 말할 수 있다.
트레이부(30)는 입출금부(20)와 접객부(40)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매체(M)를 이송하기 위해 제공된다. 즉, 트레이부(30)는 접객부(40)에서 고객으로부터 매체(M)를 공급받아 입출금부(20)로 이동하여 해당 매체(M)를 분리 저장하고, 입출금부(20)에서 출금 대상 매체(M)를 공급받아 입출금부(20)로 이송하여 매체(M)를 고객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부(30)는 하우징(21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하우징(210)에 투입되었을 때 리프팅 모듈(23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트레이부(30)는 입출금부(20)와 접객부(40) 사이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매체(M)를 이송하도록 제공된다. 이를 위해, 트레이부(30) 내에 매체(M)가 집적되는 집적공간(S)이 형성된다. 또한, 트레이부(30)는 하우징(210)에 투입되었을 때 리프팅 모듈(23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또한, 트레이부(30)에는 집적공간(S) 내에 집적된 매체(M)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클램핑 플레이트(미도시)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접객부(40)는 지폐나 수표와 같은 매체(M)를 투입 또는 수취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으며, 입금 또는 출금이 용이하도록 본체(10)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접객부(40)에는 매체(M)가 금융 자동화 기기(1)의 내부로 투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도록 전면(42)에 접객구(4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객부(40)는 입출금 셔터(410), 셔터 레버(420), 개폐 구동 모듈(430) 및 락킹 모듈(4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입출금 셔터(410)는 매체(M)의 투입 및 배출을 위해 형성되는 접객구(4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입출금 셔터(41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서, 양 면 중 접객구(44)의 바깥쪽을 향하는 일면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셔터 레버(420)에 의해 회동되어 접객구(44)를 개폐할 수 있다.
셔터 레버(420)는 입출금 셔터(410)에 연결되며, 입출금 셔터(410)의 일단으로부터 입출금 셔터(410)의 연장 형성된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셔터 레버(420)는 입출금 셔터(410)의 연장 형성된 방향, 또는 접객구(44)의 수평 폭 방향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셔터 레버(420)는 레버 힌지(422) 및 안내면(424)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 힌지(422)는 셔터 레버(420)가 본체(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본체(10)에 연결되어 셔터 레버(420)의 회전 중심을 제공한다. 또한, 안내면(424)은 후술할 개폐 구동 모듈(430)의 푸쉬 돌기(436)와 접촉되어 피니언(432)의 회동시 푸쉬 돌기(436)에 의해 가압된다. 또한, 안내면(424)은 셔터 레버(420)가 입출금 셔터(410)에 대하여 연장되는 방향과 어긋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니언(432)의 회동시 푸쉬 돌기(436)가 안내면(424)을 타고 이동하듯이 안내되면서 셔터 레버(420)의 안내면(424)을 가압할 수 있다.
개폐 구동 모듈(430)은 셔터 레버(420)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입출금 셔터(410)를 개폐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개폐 구동 모듈(430)은 피니언(432), 구동 힌지(434), 구동 부재(435) 및 푸쉬 돌기(436)를 포함할 수 있다.
피니언(432)은 구동 부재(435)와 연결되어 구동 부재(435)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서 선택적으로 회전한다. 또한, 피니언(432)의 회전 중심에는 구동 힌지(434)가 연결되고, 구동 힌지(434)는 본체(10)에 연결되어 구동 힌지(434)를 중심으로 피니언(432)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구동 부재(435)는 일 예로 모터 등의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부재로서 제공되며, 구동 부재(435)는 구동 힌지(434)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다른 미도시된 기어들을 통해 구동력이 전달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푸쉬 돌기(436)는 피니언(432)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피니언(432)이 일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셔터 레버(420)를 가압한다. 이때, 푸쉬 돌기(436)는 셔터 레버(420)의 안내면(424)에 접촉된 상태로 안내면(424)을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셔터 레버(420)는 피니언(432)의 양 면 중 푸쉬 돌기(436)가 돌출 형성된 면이 향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후술할 락킹 모듈(440)의 락킹 부재(444) 또한 피니언(432)을 중심으로 셔터 레버(420)와 동일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락킹 모듈(440)은 개폐 구동 모듈(430)연동되고, 접객구(44)가 입출금 셔터(410)에 의해 폐쇄되었을 때 셔터 레버(420)와의 간섭에 의해 입출금 셔터(410)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락킹 모듈(440)은 레크(442), 락킹 부재(444), 가이드 돌기(446), 센싱 브라켓(448) 및 위치 센서(449)를 포함할 수 있다.
레크(442)는 피니언(432)과 계합되어 피니언(432)의 회동시 병진 이동하도록 제공된다. 레크(442)의 양 면 중 일 면에는 락킹 부재(444)가 연결되며, 레크(442) 의 위치에 따라 셔터 레버(420)의 회동 경로상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입출금 셔터(410)가 접객구(44)를 폐쇄한 상태에서 락킹 부재(444)가 셔터 레버(420)의 회동 경로와 간섭되어 셔터 레버(420)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입출금 셔터(410)가 접객구(44)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락킹 부재(444)와 셔터 레버(420) 사이에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니언(432)이 회동하여 레크(442)를 셔터 레버(4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셔터 레버(420)와 락킹 부재(444) 사이의 갭에 의해 피니언(432)의 회동이 방해되지 않으면서 레크(442)가 이동하여 셔터 레버(420)가 락킹 부재(444)와 충돌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446)는 레크(442)와 연결될 수 있으며, 락킹 부재(444)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가이드 돌기(446)는 레크(442)에 연결된 락킹 부재(444)를 통해 레크(442)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돌기(446)는 본체(10)에 형성된 가이드 그루브(12)에 삽입되어 레크(442)의 이동시 가이드 돌기(446)가 가이드 그루브(12)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그루브(12)와 가이드 돌기(446)에 의해, 레크(442)의 이동이 안내됨과 동시에 이동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센싱 브라켓(448)은 레크(442)에 연결되며, 더 구체적으로는 락킹 부재(444)가 돌출 형성된 일면의 반대측 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센싱 브라켓(448)이 지나가는 경로 상에는 위치 센서(449)가 제공될 수 있다. 위치 센서(449)는 본체(10) 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센싱 브라켓(448)과의 간섭에 의해 레크(442)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센서(449)는 락킹 모듈(440)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입출금 셔터(410)가 오픈된 상태일 때 센싱 브라켓(448)을 감지하여 레크(442)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락킹 모듈(440)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일 때, 즉 입출금 셔터(410)가 클로즈된 상태일 때 위치 센서(449)가 센싱 브라켓(448)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위치 센서(449)의 센싱 동작에 의해, 금융 자동화 기기(1) 내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에서 입출금 셔터(410)의 개폐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종래의 포켓 타입과 프리젠트 타입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으면서도, 구조가 간소하여 실용화가 용이함과 동시에, 간소한 구조로 효과적으로 셔터 락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금융 자동화 기기 10: 본체
20: 입출금부 30: 트레이부
40: 접객부 410: 입출금 셔터
430: 개폐 구동 모듈 440: 락킹 모듈

Claims (10)

  1.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제공되고, 매체의 분리 및 집적이 수행되는 입출금부;
    상기 본체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매체의 투입 및 수취를 위해 제공되는 접객부; 및
    상기 입출금부와 상기 접객부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매체를 이송하는 트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객부는,
    상기 매체의 투입 및 배출을 위해 형성되는 접객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입출금 셔터;
    상기 입출금 셔터에 연결되는 셔터 레버;
    상기 셔터 레버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입출금 셔터를 개폐시키는 개폐 구동 모듈; 및
    상기 개폐 구동 모듈에 연동되고, 상기 접객구가 상기 입출금 셔터에 의해 폐쇄되었을 때 상기 셔터 레버와의 간섭에 의해 상기 입출금 셔터의 회동을 제한하는 락킹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 구동 모듈은,
    피니언;
    상기 피니언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부재; 및
    상기 피니언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이 일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셔터 레버를 가압하는 푸쉬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 레버는,
    상기 푸쉬 돌기와 접촉되어 상기 피니언의 회동시 상기 푸쉬 돌기에 의해 가압되는 안내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면은 상기 셔터 레버가 상기 입출금 셔터로부터 연장되는 방향과 어긋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레버는,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레버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구동 모듈은,
    피니언;
    상기 피니언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부재; 및
    상기 피니언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이 일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셔터 레버를 가압하는 푸쉬 돌기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3. 삭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모듈은,
    상기 피니언과 계합되어 상기 피니언의 회동시 병진 이동되는 레크; 및
    상기 레크와 연결되고, 상기 레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셔터 레버의 회동 경로상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락킹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금 셔터가 상기 접객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락킹 부재가 상기 셔터 레버의 회동 경로와 간섭되어 상기 셔터 레버의 회동을 제한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모듈은,
    상기 레크와 연결되는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 형성된 가이드 그루브에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레크의 이동시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그루브에 의해 안내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락킹 부재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
  7.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제공되고, 매체의 분리 및 집적이 수행되는 입출금부;
    상기 본체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매체의 투입 및 수취를 위해 제공되는 접객부; 및
    상기 입출금부와 상기 접객부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매체를 이송하는 트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객부는,
    상기 매체의 투입 및 배출을 위해 형성되는 접객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입출금 셔터;
    상기 입출금 셔터에 연결되는 셔터 레버;
    상기 셔터 레버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입출금 셔터를 개폐시키는 개폐 구동 모듈; 및
    상기 개폐 구동 모듈에 연동되고, 상기 접객구가 상기 입출금 셔터에 의해 폐쇄되었을 때 상기 셔터 레버와의 간섭에 의해 상기 입출금 셔터의 회동을 제한하는 락킹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 구동 모듈은 피니언을 포함하고,
    상기 락킹 모듈은,
    상기 피니언과 계합되어 상기 피니언의 회동시 병진 이동되는 레크;
    상기 레크와 연결되고, 상기 레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셔터 레버의 회동 경로상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락킹 부재;
    상기 레크와 연결되는 센싱 브라켓; 및
    상기 센싱 브라켓과의 간섭에 의해 상기 레크의 위치를 센싱하는 위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금 셔터가 상기 접객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락킹 부재가 상기 셔터 레버의 회동 경로와 간섭되어 상기 셔터 레버의 회동을 제한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부재는 상기 레크의 일면에 연결되고, 상기 센싱 브라켓은 상기 레크의 타면에 연결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
  9.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제공되고, 매체의 분리 및 집적이 수행되는 입출금부;
    상기 본체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매체의 투입 및 수취를 위해 제공되는 접객부; 및
    상기 입출금부와 상기 접객부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매체를 이송하는 트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객부는,
    상기 매체의 투입 및 배출을 위해 형성되는 접객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입출금 셔터;
    상기 입출금 셔터에 연결되는 셔터 레버;
    상기 셔터 레버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입출금 셔터를 개폐시키는 개폐 구동 모듈; 및
    상기 개폐 구동 모듈에 연동되고, 상기 접객구가 상기 입출금 셔터에 의해 폐쇄되었을 때 상기 셔터 레버와의 간섭에 의해 상기 입출금 셔터의 회동을 제한하는 락킹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 구동 모듈은 피니언을 포함하고,
    상기 락킹 모듈은,
    상기 피니언과 계합되어 상기 피니언의 회동시 병진 이동되는 레크; 및
    상기 레크와 연결되고, 상기 레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셔터 레버의 회동 경로상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락킹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금 셔터가 상기 접객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락킹 부재가 상기 셔터 레버의 회동 경로와 간섭되어 상기 셔터 레버의 회동을 제한하며 상기 락킹 부재와 상기 셔터 레버 사이에 갭이 형성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레버는 상기 입출금 셔터의 연장 형성된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
KR1020180164402A 2018-12-18 2018-12-18 금융 자동화 기기 KR102635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402A KR102635563B1 (ko) 2018-12-18 2018-12-18 금융 자동화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402A KR102635563B1 (ko) 2018-12-18 2018-12-18 금융 자동화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993A KR20200075993A (ko) 2020-06-29
KR102635563B1 true KR102635563B1 (ko) 2024-02-08

Family

ID=71400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402A KR102635563B1 (ko) 2018-12-18 2018-12-18 금융 자동화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56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70585A (ja) * 2015-03-12 2016-09-23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8845A (ja) * 1995-08-24 1997-03-04 Toshiba Corp 紙葉類処理装置
KR101557733B1 (ko) * 2012-12-27 2015-10-0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입출금장치
KR101915862B1 (ko) * 2016-12-23 2018-11-07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70585A (ja) * 2015-03-12 2016-09-23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993A (ko) 202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695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셔터 개폐장치
WO2010150627A1 (ja) 紙幣入出金機
KR101781029B1 (ko) 다기능 현금 자동 입금기
KR102635563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KR100992641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2165719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및 금융 자동화 기기의 협지력 유지를 위한 매체 분리 방법
EP3543188B1 (en) Tray unit assembly
WO2014155644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CN111275881B (zh) 带有纸币止动器的自动柜员机
KR102157693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JP4838998B2 (ja) 紙幣入出金機
KR20180117505A (ko) 지폐 입출금 장치
KR102120967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KR20200072648A (ko) 트레이 록킹 구조를 갖는 금융 자동화 기기
KR102639257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KR102621903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KR102639252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EP3675070B1 (en) Medium storage apparatus for automated teller machine
KR102152899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KR200393553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US11217069B1 (en) Automated teller machine
KR102621899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KR100526581B1 (ko) 지폐류입출금기의 출금장치
KR200374271Y1 (ko) 금융 자동화기기의 이중셔터구조
KR102160222B1 (ko) 두께 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