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1029B1 - 다기능 현금 자동 입금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현금 자동 입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1029B1
KR101781029B1 KR1020160182417A KR20160182417A KR101781029B1 KR 101781029 B1 KR101781029 B1 KR 101781029B1 KR 1020160182417 A KR1020160182417 A KR 1020160182417A KR 20160182417 A KR20160182417 A KR 20160182417A KR 101781029 B1 KR101781029 B1 KR 101781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sh
fastening
driving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스텍
Priority to KR1020160182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0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2Depositing operations within ATMs
    • G07D11/0018
    • G07D11/0039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009Depositing devices
    • G07D11/0096Accepting paper currency or other valuables in containers, e.g. in code-marked envelop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금의 카운팅, 밀봉 및 보관을 하나의 장치로 구현한 다기능 현금 자동 입금기에 관한 것으로, 현금을 투입받아 카운팅 한 후 전달하기 위한 입금부; 상기 입금부의 하부에 장착 설치되며, 카운팅 된 현금을 전달받아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 및 상기 입금부의 하부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밀봉부로부터 전달되는 밀봉된 현금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기능 현금 자동 입금기{Multi Functional Automatic Cash Inputting Machine}
본 발명은 다기능 현금 자동 입금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금의 카운팅, 밀봉 및 보관을 하나의 장치로 구현한 다기능 현금 자동 입금기에 관한 것이다.
입금기는 현금의 출납을 자동화하는 현금 자동 입출금기(Automated Teller Machine; ATM)와 유사한 것으로, 지폐 또는 동전 등의 현금을 자동으로 수납해 보관할 수 있다.
현금 자동 입출금기는 카드 또는 통장을 이용하여 지폐 및 수표의 입출금이 가능하도록 현금과 수표 입출금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현금 자동 입출금기는 카드 또는 통장을 이용하여 계좌이체, 잔액조회 및 지로수납 등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은행 등의 금융기관에 널리 설치되어 모든 창구업무가 무인 자동화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금융기관에서 널리 활용하고 있는 현금 자동 입출금기는 현금 및 수표 등과 같은 공식적인 통화(이하 '현금')에 대한 입출금을 위해 제작된 것이므로, 기업체에서 마케팅 또는 영업 등을 목적으로 발행한 쿠폰 또는 할인권(이하 '물표') 등에 대한 수납은 이루어질 수 없었다. 또한, 공식적인 현금이라도 훼손이 심하거나 위폐감식기의 오류로 정상적인 입금이 어려울 경우엔,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활용하지 못하고 창구에서 직접 입금하거나 입금 자체를 포기해야 했다.
한편, 백화점, 시장, 대형 마트 등과 같이 다양한 점포를 갖추고, 각 점포의 하루 매출에 대한 입금을 진행하는 유통업의 경우, 상기 입금을 위한 별도의 수납부서가 요구되었다. 즉, 각 점포를 운영하는 책임자(입금자)는 하루의 매출을 보고하면서 현금을 입금해야 하는데, 이러한 입금과정을 수행할 수납부서가 필요한 것이다. 그런데, 입금자 수가 많을 경우엔 상기 수납부서는 입금처리의 신속화를 위해 많은 인력을 갖추어야 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62335호(2010.06.01.)는 다양하게 발행된 물표를 현금처럼 자동으로 입금할 수 있어서, 입금 대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수납과정에서 요구되는 인력수를 줄일 수 있으며, 수납 및 정산과정에서의 오차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한편, 오차발생시 책임소재에 대한 명확한 확인이 가능하도록 된 금고형 입금기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삽입구, 입금구 및 수납구가 각각 개구 형성된 케이스; 삽입구를 개폐하도록 케이스에 고정되는 도어; 상면이 개구돼 현금인입구를 형성하고 삽입구에 삽탈되는 현금박스와, 현금박스를 개폐하는 현금개폐도어와, 현금인입구를 개폐하는 입금도어를 구비한 현금카세트; 상면이 개구돼 봉투인입구를 형성하고 삽입구에 삽탈되는 봉투박스와, 봉투박스를 개폐하는 봉투개폐도어를 구비한 봉투카세트; 입금구로 삽입된 현금을 강제 이송시켜서 현금카세트의 현금인입구로 안내하고, 입금도어의 개폐를 조작하는 입금수단; 입금 관련정보를 입출력하고 케이스에 설치되며, 제어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입금 관련정보 및 입금 영수 내용을 지면으로 출력하는 프린터를 포함하되, 상기 프린터는 제어수단이 전송한 인식코드를 라벨에 기록해 출력하도록 된 입출력수단; 입출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입금 관련정보를 처리해서 입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하고, 입금 관련정보에 따라 입금수단의 구동을 제어해서 현금 및 봉투의 수납을 처리하는 제어수단; 및 수납구로 삽입된 봉투 라벨의 인식코드를 읽어서 인가 여부를 확인하는 라벨리더기와, 봉투와 접하는 롤러의 회전방향을 제어해서 수납구로 삽입된 봉투의 입출을 강제하되 롤러의 회전방향은 라벨리더기의 신호에 따라 제어하는 이송기를 포함하면서, 수납구로 삽입된 봉투를 강제 이송시켜 봉투카세트의 봉투인입구로 안내하도록 제어수단의 제어를 받는 수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물표 또는 수납이 거부되는 현금에 대한 입금이 가능하므로 입금 및 정산에 대한 자동화가 가능해서 수납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수납 및 정산과정에서의 오차 발생시 입금자 또는 수납자의 과실 여부와 책임소재를 명확히 구분해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정산과정에서의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72695호(2013.06.03.)는 현금자동입출금기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셔터부와 케이싱 간에 끼이는 경우, 구동부에서 셔터부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벨트부가 제1 풀리부 또는 제2 풀리부에 대하여 미끄러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가락에 큰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 현금자동입출금기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적어도 일면이 개방되되 내부에 현금이 배치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일면을 개폐하는 셔터부; 상기 셔터부와 이격되어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는 구동부 및 상기 셔터부와 상기 구동부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셔터부에 전달하는 벨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부는,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일면에 위치하는 셔터; 상기 셔터 상에 형성되는 렉기어; 상기 렉기어와 상응되어 작동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축부 및 상기 축부에 연장 설치되되 상기 벨트부가 걸리도록 구성되는 제1 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입출금기는, 해당 장치에 투입한 현금 또는 수표 등을 카운팅 한 후 사용자가 수작업을 통해 카운팅 된 현금 또는 수표 등을 별도로 구비된 밀봉 장치로 옮긴 후 구비된 봉투를 이용하여 밀봉을 하며, 해당 밀봉된 현금 또는 수표 등을 또다시 수작업을 통해 금고 등의 보관창고에 넣어 분실에 대비하여야 했는바, 보관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보관 과정에서 절도 등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62335호 한국등록특허 제10-1272695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현금의 카운팅, 밀봉 및 보관을 하나의 장치로 구현한 다기능 현금 자동 입금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현금을 투입받아 카운팅 한 후 전달하기 위한 입금부; 상기 입금부의 하부에 장착 설치되며, 카운팅 된 현금을 전달받아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 및 상기 입금부의 하부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밀봉부로부터 전달되는 밀봉된 현금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현금 자동 입금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입금부는, 사용자로부터 현금을 투입받아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팅부재; 및 상기 카운팅부재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카운팅부재에서 카운팅 된 현금을 상기 밀봉부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밀봉보루 형성되는 통로의 개방된 부분을 덮어주며, 상하 방향으로 구동되기 위한 보호덮개수단; 상기 보호덮개수단의 양측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보호덮개수단이 상측 방향으로 구동 시 걸림을 감지하기 위한 두 개의 걸림감지수단; 및 상기 걸림감지수단을 각각 체결하며, 상기 보호덮개수단을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켜 주기 위한 보호덮개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호덮개구동수단은, 구동력을 생성시켜 공급해 주기 위한 구동력발생부; 상기 구동력발생부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구동력발생부로부터 구동력을 공급받아 전달해 주기 위한 구동력전달부; 상기 구동력전달부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구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일측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보호덮개수단을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켜 주기 위한 상하구동부; 및 상기 상하구동부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감지수단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걸림감지수단은, 상기 보호덮개수단의 양측에 장착 설치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의 내부 상부에서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홈부; 내측이 상기 삽입홈부의 하부에 삽입되며, 외측이 상기 체결홈부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 상기 삽입홈부의 상부에 삽입되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체결부를 하측 방향으로 눌러주기 위한 누름부; 및 상기 삽입홈부의 하측에 연장 형성된 공간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보호덮개수단의 걸림이 없을 시 상기 체결부의 하부에 의해 상부가 눌리며, 상기 보호덮개수단의 걸림을 감지하기 위한 걸림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걸림감지부는, 상기 보호덮개수단의 상측 방향 구동 시 걸림이 발생할 경우, 상기 체결부가 상기 누름부의 탄성력을 이기고 상기 삽입홉부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상부의 압력 변경을 감지하여 걸림을 감지하여 걸림감지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보호덮개구동수단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호덮개구동수단은, 상기 걸림감지부로부터 걸림감지신호를 전달받을 시 상기 보호덮개수단을 하측 방향으로 구동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밀봉부는, 본체부재의 일측에 장착 설치되며, 발열하여 봉투를 밀봉하기 위한 발열밀봉부재; 상기 발열밀봉부재의 상부에 형성되며, 봉투의 상부 일측을 체결하기 위한 제1체결부재; 상기 본체부재의 다른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발열밀봉부재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기 위한 슬라이딩밀봉부재; 상기 슬라이딩밀봉부재의 상부에 형성되며, 봉투의 상부 다른 일측을 체결하기 위한 제2체결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밀봉부재에 연결 설치되며,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슬라이딩밀봉부재를 상기 발열밀봉부재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주기 위한 슬라이딩구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체결부재는, 하부가 상기 슬라이딩밀봉부재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며, 상부가 회동하여 봉투의 상부 다른 일측을 덮어 주기 위한 덮개수단; 상기 슬라이딩밀봉부재의 상부에 각각 장착 설치되며, 구동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봉투의 상부 다른 일측을 각각 체결하기 위한 다수 개의 체결수단; 및 상기 체결수단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며,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체결수단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상하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입금부는, 상기 밀봉부의 상부에 장착 설치되며, 카운팅 된 현금이 상기 밀봉부로 전달되는 통로를 개폐시켜 주기 위한 게이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현금의 카운팅, 밀봉 및 보관을 하나의 장치로 구현한 다기능 현금 자동 입금기를 제공함으로써, 장치에 투입한 현금 또는 수표 등을 카운팅 한 후 사용자의 별도의 수작업 없이 카운팅 된 현금 또는 수표 등을 별도로 구비된 밀봉 장치로 옮긴 후 구비된 봉투를 이용하여 밀봉을 하며, 해당 밀봉된 현금 또는 수표 등을 자동으로 금고 등의 보관창고에 보관하도록 하여, 보관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이 단순하고 간편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보관 과정에서 절도 등에 노출되는 것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현금 자동 입금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입금부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전달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있는 보호덮개구동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있는 걸림감지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밀봉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있는 제2체결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1에 있는 입금부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현금 자동 입금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현금 자동 입금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기능 현금 자동 입금기는, 입금부(100), 밀봉부(200) 및 보관부(300)를 포함한다.
입금부(100)는, 현금을 투입받아 카운팅 한 후 해당 카운팅 한 현금을 밀봉부(20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입금부(100)는, 카운팅 한 현금에 대응하여 카운팅정보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카운팅정보를 카운팅 정보 등을 활용할 수 있는 제어시스템으로 전달할 수 있다.
밀봉부(200)는, 입금부(100)의 하부에 장착 설치되며, 입금부(100)롭투 카운팅 된 현금을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카운팅 된 현금을 밀봉하며, 해당 밀봉한 현금을 보관부(300)로 전달한다.
보관부(300)는, 입금부(100)의 하부에 장착 설치되며, 밀봉부(200)로부터 밀봉된 현금을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밀봉된 현금을 보관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보관부(300)는, 입금부(100)의 하부에 입금부(100)와 결합에 의해 체결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금부(100)의 하부에 입금부(100)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있으며, 밀봉된 현금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기능 현금 자동 입금기는, 제3자의 임의 개봉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보안 케이스 등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경우에는, 해당 보안 케이스에 의해 덮여 있는 것이며, 도 3 내지 도 10은, 보안 케이스가 분리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기능 현금 자동 입금기는, 입금부(100)에 의한 현금의 카운팅, 밀봉부(200)에 의한 밀봉 및 보관부(300)에 의한 보관을 하나의 장치로 구현함으로써, 장치에 투입한 현금 또는 수표 등을 카운팅 한 후 사용자의 별도의 수작업 없이 카운팅 된 현금 또는 수표 등을 별도로 구비된 밀봉 장치로 옮긴 후 구비된 봉투를 이용하여 밀봉을 하며, 해당 밀봉된 현금 또는 수표 등을 자동으로 금고 등의 보관창고에 보관하도록 하여, 보관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이 단순하고 간편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보관 과정에서 절도 등에 노출되는 것을 해결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입금부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입금부(100)는, 카운팅부재(110) 및 전달부재(12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입금부(100)를 보호하고 있는 보안 케이스의 앞 부분을 개방한 도면으로서, 해당 케이스를 개방하기 위해서 열쇄, 비밀번호 또는 지문인식 등의 절차를 통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카운팅부재(110)는, 사용자로부터 현금을 투입받아 카운팅하며, 해당 카운팅 한 현금을 전달부재(12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카운팅부재(110)는, 카운팅할 수 있는 지폐에 현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표 또는 어음 등의 유가증권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운팅부재(110)는, 현금을 카운팅 하면서 위조지폐를 판단할 수 있으며, 해당 판단된 위조지폐를 전달부재(120)로 전달하는 대신 별도로 형성된 위조지폐 출구를 통해 사용자에게 반환되도록 할 수 있다.
전달부재(120)는, 카운팅부재(11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며, 카운팅부재(110)에서 카운팅 된 현금을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카운팅 된 현금을 밀봉부(200)로 전달한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전달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달부재(120)는, 보호덮개수단(121), 걸림감지수단(122) 및 보호덮개구동수단(123)을 포함한다.
보호덮개수단(121)은, 밀봉부(200)로 형성되는 통로(124)의 개방된 부분을 덮어주며, 상하 방향으로 구동된다. 즉, 보호덮개수단(121)은, 상측 방향으로 구동되어 밀봉부(200)로 형성되는 통로(124)의 개방된 부분을 덮어주거나, 하측 방향으로 구동되어 해당 통로(124)를 개방되도록 한다. 도 2의 경우에는 밀봉부(200)로 형성되는 통로(124)의 개방된 부분이 개방된 실시예이며, 도 3의 경우에는 밀봉부(200)로 형성되는 통로(124)의 개방된 부분이 보호덮개수단(121)에 의해 덮여 있는 실시예이다.
일 실시 예에서, 보호덮개수단(121)은, 현금이 보관될 수 있는 밀봉부(200)로 타인이 밀봉부(200)로부터 해당 현금을 가져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걸림감지수단(122)은, 보호덮개수단(121)의 양측에 장착 설치되며, 보호덮개수단(121)이 상측 방향으로 구동 시 걸림을 감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걸림감지수단(122)은, 보호덮개구동수단(123)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구동되면서 이에 대응하여 보호덮개수단(121)를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호덮개수단(121)은, 상측 방향으로 구동 시 밀봉부(200)로 형성되는 통로(124)로 타인 등의 손이 들어 있어 통로(124) 입구를 전부 덮지 못 하여 구동이 완료되지 못 함을 감지할 수 있다. 해당 감지는 도 5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보호덮개구동수단(123)은, 걸림감지수단(122)을 각각 체결하며, 보호덮개수단(121)을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켜 준다.
도 4는 도 3에 있는 보호덮개구동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보호덮개구동수단(123)은, 구동력발생부(1231), 구동력전달부(1232), 상하구동부(1233) 및 체결홈부(1234)를 포함한다.
구동력발생부(1231)는, 구동력을 생성시키며, 해당 새성시킨 구동력을 구동력전달부(1232)로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서, 구동력발생부(1231)는, 일방향 모터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하여 기계 오작동 등의 불량으로부터 본 발명의 내구성 향상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구동력전달부(1232)는, 구동력발생부(1231)에 연결 설치되며, 구동력발생부(1231)로부터 구동력을 공급받으며, 해당 공급받은 구동력을 상하구동부(1233)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구동력전달부(1232)는, 복수 개의 기어로 형성되어 구동력발생부(1231)로부터 공급되는 구동력을 일방향 회전력으로 상하구동부(1233)로 전달할 수 있다.
상하구동부(1233)는, 일측이 체결홈부(1234)이 형성되며, 구동력전달부(1232)에 연결 설치되며, 구동력전달부(1232)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일측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보호덮개수단(121)을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상하구동부(1233)는, 걸림감지수단(122)을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켜 줌으로써, 걸림감지수단(122)이 장착 설치된 보호덮개수단(121)을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켜 줄 수 있다.
체결홈부(1234)는, 상하구동부(1233)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걸림감지수단(122)을 체결한다.
도 5는 도 3에 있는 걸림감지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걸림감지수단(122)은, 장착부(1221), 삽입홈부(1222), 체결부(1223), 누름부(1224) 및 걸림감지부(1225)를 포함한다.
장착부(1221)는, 보호덮개수단(121)의 양측에 장착 설치된다.
삽입홈부(1222)는, 장착부(1221)의 내부 상부에서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해당 공간 상부에 누름부(1224)가 삽입되고, 해당 공간 하부에 체결부(1223)가 삽입되며, 하측에 연장 형성된 공간에 걸림감지부(1225)가 장착 설치된다.
체결부(1223)는, 내측이 삽입홈부(1222)의 하부에 삽입되어 누름부(1224)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눌림으로써 걸림감지부(1225)의 상부를 눌러 주며, 외측이 체결홈부(1234)에 체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부(1223)는, 상하구동부(1233)가 상하 방향으로 구동함에 대응하여 체결홈부(1234)에서 슬라이딩 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구동됨으로써 상하구동부(1233)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누름부(1224)는, 삽입홈부(1222)의 상부에 삽입되며, 탄성력에 의해 체결부(1223)를 하측 방향으로 눌러준다.
일 실시 예에서, 누름부(1224)는, 탄성을 가지는 용수철 또는 탄성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감지부(1225)는, 삽입홈부(1222)의 하측에 연장 형성된 공간에 장착 설치되며, 보호덮개수단(121)의 걸림이 없을 시 체결부(1223)의 하부에 의해 상부가 눌리며, 보호덮개수단(121)의 걸림을 감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걸림감지부(1225)는, 보호덮개수단(121)의 상측 방향 구동 시 걸림이 발생할 경우, 체결부(1223)가 누름부(1224)의 탄성력을 이기고 삽입홉부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상부의 압력 변경을 감지하여 걸림을 감지하여 걸림감지신호를 생성시키며, 해당 생성시킨 걸림감지신호로 보호덮개구동수단(123)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호덮개구동수단(123)은, 걸림감지부(1225)로부터 걸림감지신호를 전달받을 시 해당 전달받은 걸림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상측 방향으로 구동되고 있던 보호덮개수단(121)을 하측 방향으로 구동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걸림감지수단(122)은, 밀봉부로 연결된 통로(124)에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어 있는 경우 등에도 보호덮개구동수단(123)이 상측 방향으로의 구동이 완료되어 사용자의 손이 끼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또는 장치고장의 발생 등을 예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있는 밀봉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밀봉부(200)는, 발열밀봉부재(210), 제1체결부재(220), 슬라이딩밀봉부재(230), 제2체결부재(240) 및 슬라이딩구동부재(250)를 포함한다.
발열밀봉부재(210)는, 본체부재의 일측에 장착 설치되며, 발열하여 봉투를 밀봉한다.
제1체결부재(220)는, 발열밀봉부재(210)의 상부에 형성되며, 봉투의 상부 일측을 체결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체결부재(220)는, 제2체결부재(240)의 체결수단(242)과 같이 발열밀봉부재(210)의 상부에 각각 장착 설치되 일측을 각각 체결하기 위한 다수 개의 체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체결부재(220)는, 자성을 띄는 구성을 구비하여, 발열밀봉부재(210)의 상부에 체결되어 구동 시에 불필요하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밀봉부재(230)는, 본체부재의 다른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슬라이딩구동부재(250)로부터 공급되는 구동력에 의해 발열밀봉부재(210)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제2체결부재(240)는, 슬라이딩밀봉부재(230)의 상부에 형성되며, 봉투의 상부 다른 일측을 체결한다.
슬라이딩구동부재(250)는, 슬라이딩밀봉부재(230)에 연결 설치되며, 구동력을 발생시켜 슬라이딩밀봉부재(230)를 발열밀봉부재(210)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준다.
도 7은 도 6에 있는 제2체결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체결부재(240)는, 덮개수단(241), 다수 개의 체결수단(242) 및 상하구동수단(243)을 포함한다.
덮개수단(241)은, 하부가 슬라이딩밀봉부재(230)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며, 상부가 회동하여 봉투의 상부 다른 일측을 덮어 준다. 도 7의 경우에는, 덮개수단(241)이 개방된 것이다.
체결수단(242)은, 슬라이딩밀봉부재(230)의 상부에 각각 장착 설치되며,하부에 상하구동수단(243)이 연결 설치되며, 상하구동수단(243)로부터 공급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봉투의 상부 다른 일측을 각각 체결한다.
상하구동수단(243)은, 체결수단(242)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며, 구동력을 발생시켜 체결수단(242)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상하구동수단(243)은, 일방향 모터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하여 기계 오작동 등의 불량으로부터 본 발명의 내구성 향상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1에 있는 입금부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입금부(100)는, 카운팅부재(110), 전달부재(120) 및 게이트부재(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카운팅부재(110) 및 전달부재(120)는,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게이트부재(130)는, 밀봉부(200)의 상부에 장착 설치되며, 카운팅 된 현금이 밀봉부(200)로 전달되는 통로(124)를 개폐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게이트부재(130)는, 개폐수단(131) 및 개폐구동수단(132)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수단(131)은, 카운팅 된 현금이 밀봉부(200)로 전달되는 통로(124)를 막기 위해 판형(plate type)으로 형성되며, 개폐구동수단(132)에 연결 설치되며, 개폐구동수단(132)의 구동에 의해 현금이 밀봉부(200)로 전달되는 통로(124)를 개폐시켜 줄 수 있다.
개폐구동수단(132)은, 밀봉부(200)의 상부에 장착 설치되며, 개폐수단(131)을 연결 설치하며,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해당 발생시킨 구동력으로 개폐수단(131)을 구동시켜 현금이 밀봉부(200)로 전달되는 통로(124)를 개폐시키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게이트부재(130)는, 전달부재(120)로부터 밀봉부(200)로 카운팅 된 현금이 전달되는 경우에는 통로(124)를 열어주며, 전달부재(120)로부터 밀봉부(200)로 카운팅 된 현금의 전달이 완료되면 통로(124)를 닫아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게이트부재(130)는, 제3자의 임의개방을 방지하기 위해 개방제어신호 등의 내부 제어 외에는 임의개방이 되지 못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입금부(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부재(120)로부터 밀봉부(200)로 카운팅 된 현금의 전달이 완료되면 통로(124)를 닫아 현금이 밀봉부(200)로 전달되는 통로(124)로 제3자가 손을 집어넣어 밀봉부(200)에 계류하고 있는 현금 또는 수표 또는 보관부(300)에 보관 중이 현금 또는 수표 등을 꺼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200)로 전달되는 통로(124)를 개방시켜 전달부재(120)로부터 밀봉부(200)로 카운팅 된 현금의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입금부
110: 카운팅부재
120: 전달부재
121: 보호덮개수단
122: 걸림감지수단
1221: 장착부
1222: 삽입홈부
1223: 체결부
1224: 누름부
1225: 걸림감지부
123: 보호덮개구동수단
1231: 구동력발생부
1232: 구동력전달부
1233: 상하구동부
1234: 체결홈부
124: 통로
130: 게이트부재
131: 개폐수단
132: 개폐구동수단
200: 밀봉부
210: 발열밀봉부재
220: 제1체결부재
230: 슬라이딩밀봉부재
240: 제2체결부재
241: 덮개수단
242: 체결수단
243: 상하구동수단
250: 슬라이딩구동부재
300: 보관부

Claims (10)

  1. 현금을 투입받아 카운팅 한 후 전달하기 위한 입금부;
    상기 입금부의 하부에 장착 설치되며, 카운팅 된 현금을 전달받아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 및
    상기 입금부의 하부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밀봉부로부터 전달되는 밀봉된 현금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금부는, 사용자로부터 현금을 투입받아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팅부재; 및 상기 카운팅부재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카운팅부재에서 카운팅 된 현금을 상기 밀봉부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밀봉부로 형성되는 통로의 개방된 부분을 덮어주며, 상하 방향으로 구동되기 위한 보호덮개수단; 상기 보호덮개수단의 양측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보호덮개수단이 상측 방향으로 구동 시 걸림을 감지하기 위한 두 개의 걸림감지수단; 및 상기 걸림감지수단을 각각 체결하며, 상기 보호덮개수단을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켜 주기 위한 보호덮개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덮개구동수단은, 구동력을 생성시켜 공급해 주기 위한 구동력발생부; 상기 구동력발생부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구동력발생부로부터 구동력을 공급받아 전달해 주기 위한 구동력전달부; 상기 구동력전달부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구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일측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보호덮개수단을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켜 주기 위한 상하구동부; 및 상기 상하구동부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감지수단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감지수단은, 상기 보호덮개수단의 양측에 장착 설치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의 내부 상부에서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홈부; 내측이 상기 삽입홈부의 하부에 삽입되며, 외측이 상기 체결홈부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 상기 삽입홈부의 상부에 삽입되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체결부를 하측 방향으로 눌러주기 위한 누름부; 및 상기 삽입홈부의 하측에 연장 형성된 공간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보호덮개수단의 걸림이 없을 시 상기 체결부의 하부에 의해 상부가 눌리며, 상기 보호덮개수단의 걸림을 감지하기 위한 걸림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상하구동부가 상하 방향으로 구동함에 대응하여 상기 체결홈부에서 슬라이딩 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구동되며,
    상기 걸림감지부는, 상기 보호덮개수단의 상측 방향 구동 시 걸림이 발생할 경우, 상기 체결부가 상기 누름부의 탄성력을 이기고 상기 삽입홈부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상부의 압력 변경을 감지하여 걸림을 감지하여 걸림감지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보호덮개구동수단으로 전달하는 다기능 현금 자동 입금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덮개구동수단은,
    상기 걸림감지부로부터 걸림감지신호를 전달받을 시 상기 보호덮개수단을 하측 방향으로 구동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현금 자동 입금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본체부재의 일측에 장착 설치되며, 발열하여 봉투를 밀봉하기 위한 발열밀봉부재;
    상기 발열밀봉부재의 상부에 형성되며, 봉투의 상부 일측을 체결하기 위한 제1체결부재;
    상기 본체부재의 다른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발열밀봉부재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기 위한 슬라이딩밀봉부재;
    상기 슬라이딩밀봉부재의 상부에 형성되며, 봉투의 상부 다른 일측을 체결하기 위한 제2체결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밀봉부재에 연결 설치되며,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슬라이딩밀봉부재를 상기 발열밀봉부재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주기 위한 슬라이딩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현금 자동 입금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부재는,
    하부가 상기 슬라이딩밀봉부재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며, 상부가 회동하여 봉투의 상부 다른 일측을 덮어 주기 위한 덮개수단;
    상기 슬라이딩밀봉부재의 상부에 각각 장착 설치되며, 구동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봉투의 상부 다른 일측을 각각 체결하기 위한 다수 개의 체결수단; 및
    상기 체결수단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며,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체결수단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상하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현금 자동 입금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금부는,
    상기 밀봉부의 상부에 장착 설치되며, 카운팅 된 현금이 상기 밀봉부로 전달되는 통로를 개폐시켜 주기 위한 게이트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현금 자동 입금기.
KR1020160182417A 2016-12-29 2016-12-29 다기능 현금 자동 입금기 KR101781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417A KR101781029B1 (ko) 2016-12-29 2016-12-29 다기능 현금 자동 입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417A KR101781029B1 (ko) 2016-12-29 2016-12-29 다기능 현금 자동 입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1029B1 true KR101781029B1 (ko) 2017-10-23

Family

ID=60298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417A KR101781029B1 (ko) 2016-12-29 2016-12-29 다기능 현금 자동 입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102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670A (ko) * 2018-03-15 2019-09-25 (주)한틀시스템 개량된 지폐수거함을 구비한 지폐입금기
US10497221B1 (en) 2018-09-07 2019-12-03 Innostec Co., Ltd. Automated cash receiving apparatus
WO2020050446A1 (ko) * 2018-09-07 2020-03-12 주식회사 이노스텍 무인 현금 수납기
KR20200095256A (ko)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이노스텍 무인 현금 수납기
KR20210011785A (ko) 2019-07-23 2021-02-02 주식회사 이노스텍 경조사 무인관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9403A (ja) * 2008-08-20 2010-03-04 Saxa Inc 非接触型ic媒体処理装置におけるシャッタ開閉構造
KR100962335B1 (ko) * 2009-12-04 2010-06-10 (주)일우아이티에스 금고형 입금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9403A (ja) * 2008-08-20 2010-03-04 Saxa Inc 非接触型ic媒体処理装置におけるシャッタ開閉構造
KR100962335B1 (ko) * 2009-12-04 2010-06-10 (주)일우아이티에스 금고형 입금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670A (ko) * 2018-03-15 2019-09-25 (주)한틀시스템 개량된 지폐수거함을 구비한 지폐입금기
KR102074355B1 (ko) * 2018-03-15 2020-02-06 (주)한틀시스템 개량된 지폐수거함을 구비한 지폐입금기
US10497221B1 (en) 2018-09-07 2019-12-03 Innostec Co., Ltd. Automated cash receiving apparatus
WO2020050446A1 (ko) * 2018-09-07 2020-03-12 주식회사 이노스텍 무인 현금 수납기
KR20200028692A (ko) 2018-09-07 2020-03-17 주식회사 이노스텍 무인 현금 수납기
KR102117091B1 (ko) * 2018-09-07 2020-05-29 주식회사 이노스텍 무인 현금 수납기
KR20200095256A (ko)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이노스텍 무인 현금 수납기
KR102162452B1 (ko) 2019-01-31 2020-10-07 주식회사 이노스텍 무인 현금 수납기
KR20210011785A (ko) 2019-07-23 2021-02-02 주식회사 이노스텍 경조사 무인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1029B1 (ko) 다기능 현금 자동 입금기
US10290189B2 (en) Automated banking system controlled responsive to data bearing records
EP1913505B1 (en) Atm with stack transporter for bulk note deposit
KR101923700B1 (ko) 연결식 지폐 수용기-프리젠터를 구비한 자동 금융거래 단말기
US6315194B1 (en) Automated transaction machine with transport path verification
JP4866021B2 (ja) 現金自動取引装置
JP5795990B2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EP3284706B1 (en) System controlled by data bearing records including automated banking
WO2014065305A1 (ja) 紙幣取扱装置および紙幣検出方法
WO2014155644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US7934642B2 (en) Method of operating banking system responsive to data bearing records
JP5789562B2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US20080128489A1 (en) Method of reading coded records including magnetic indicia on checks deposited in an automated banking machine
US7837096B2 (en) Banking machine apparatus controlled responsive to data bearing records
US7971781B2 (en) System controlled responsive to data bearing records
KR200374271Y1 (ko) 금융 자동화기기의 이중셔터구조
CN209746720U (zh) 一种金融自助设备
JP2774213B2 (ja) 可搬型紙葉計数取り込み装置
KR101932189B1 (ko) 매체 입금장치 및 금융기기
JPS60123991A (ja) 硬貨処理装置
JP5807581B2 (ja) 媒体回収庫及び媒体取引装置
KR20060042593A (ko) 금융 자동화기기의 이중셔터구조
JPH06215235A (ja) 紙幣自動取引装置
JPS59197963A (ja) 通貨自動取引装置
JPS63269282A (ja) 自動取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