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1785A - 경조사 무인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경조사 무인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1785A
KR20210011785A KR1020190089106A KR20190089106A KR20210011785A KR 20210011785 A KR20210011785 A KR 20210011785A KR 1020190089106 A KR1020190089106 A KR 1020190089106A KR 20190089106 A KR20190089106 A KR 20190089106A KR 20210011785 A KR20210011785 A KR 20210011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osit
information
congratulations
condolences
m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스텍
Priority to KR1020190089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1785A/ko
Publication of KR20210011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ticket printing or like apparatus, e.g. apparatus for dispensing of printed paper tickets or payment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관리 컴퓨터(1000);
경조사 정보 - 경조사일정(경조사 시간과 경조사 날짜를 포함), 경조사장소, 및 당사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 를 저장 및 관리하는 서버(3000); 및
경조사 방문객에게 상기 경조사 정보를 표시하고, 표시한 경조사 정보에서 경조사 방문객이 경조사금을 납부할 경조사를 선택하면, 경조사 방문객이 선택한 경조사에 대한 경조사금을 투입받아 계수하며, 상기 경조사금을 투입한 경조사 방문객의 개인 정보- 이름, 전화번호, 및 서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 을 입력받을 수 있는 입금기(2000);을 포함하며, 입금기(2000)는 경조사 방문객의 개인 정보, 경조사금 입금 내역, 및 경조사금을 납부한 경조사 정보를 관리 컴퓨터(1000)에게 전송하고, 관리 컴퓨터(1000)는 입금 장치(2000)로부터 전송 받은 정보들과 내역을 저장하여 관리하는 것인, 경조사 무인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경조사 무인관리 시스템{Unmanned management system for family events}
본 발명은 경조사 무인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식장이나 장례식장과 같은 경조사에서 축의금이나 조의금과 같은 금액('경조사금')의 접수는 대부분 내방 객이 식장 입구에서 방명록에 서명하고 현금 봉투를 경조사 당사자의 지인에게 전달하는 절차가 관습화되어 혼례식이나 장례식 시간동안 지인이 식장 입구를 지켜야 하며 봉투의 분실, 도난, 또는 훼손이 종종 발생하여 경조사금의 전달이 왜곡될 우려가 있다.
한편, 입금기는 현금의 출납을 자동화한 현금 자동 입출금기(Automated Teller Machine; ATM)와 유사한 것으로, 지폐 또는 동전 등의 현금을 자동으로 수납해 보관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입금기는 일반적으로 하부에 지폐를 보관하는 지폐 보관부가 위치하고 그 상부에 지폐를 투입/반환하고 지폐를 계수하는 입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가 입금장치로 지폐를 투입하면 입금장치에서 지폐를 계수한 후 지폐 보관부의 투하구를 통해 지폐를 투하하여 보관부에 보관하였다. 그런데 입금기 관리자가 입금장치의 수리 등의 이유로 입금장치의 케이스를 열 경우 작업자가 지폐 보관부의 입구(투하구)를 통해 지폐를 만질 수 없도록 입구를 폐쇄해야 한다.
그런데 종래 입금기는 지폐 보관부의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구동모터 등으로 전자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하고, 입금장치의 케이스를 열면 구동모터가 구동하여 지폐 보관부의 입구를 폐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적 방식은 종종 에러가 날 수 있으며 에러가 나면 수납기 전체 작동이 정지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1: 한국 등록특허 제10-1781029호 (2017년 09월 18일 등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으로 경조사금을 입금받고, 식권을 발행 및 인식하며, 나아가 정산자료까지 자동으로 제공함으로써 경조사 관련된 경조사금 및 비용을 신뢰성 있고, 편리하게 정산할 수 있는 경조사 무인 관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금장치를 전방으로 인출하는 동작과 지폐 보관부의 투하구를 폐쇄하는 동작을 연결하여 기계적 방식으로 투하구를 개폐하도록 구성하여 별도의 전자적 장치 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투하구의 개폐 동작을 기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입금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컴퓨터(1000); 경조사 정보 - 경조사일정(경조사 시간과 경조사 날짜를 포함), 경조사장소, 및 당사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 를 저장 및 관리하는 서버(3000); 및 경조사 방문객에게 상기 경조사 정보를 표시하고, 표시한 경조사 정보에서 경조사 방문객이 경조사금을 납부할 경조사를 선택하면, 경조사 방문객이 선택한 경조사에 대한 경조사금을 투입받아 계수하며, 상기 경조사금을 투입한 경조사 방문객의 개인 정보- 이름, 전화번호, 및 서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 을 입력받을 수 있는 입금기(2000);을 포함하며,
입금기(2000)는 경조사 방문객의 개인 정보, 경조사금 입금 내역, 및 경조사금을 납부한 경조사 정보를 관리 컴퓨터(1000)에게 전송하고, 관리 컴퓨터(1000)는 입금 장치(2000)로부터 전송 받은 정보들과 내역을 저장하여 관리하는 것인, 경조사 무인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금기로서, 지폐를 투입받아 계수하는 입금장치; 상기 입금장치의 전방과 후방을 각각 둘러싸는 전방 케이스 및 후방 케이스; 지폐를 보관하기 위해 상기 입금장치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입금장치에서 낙하하는 지폐가 통과하는 투하구를 구비한 보관부; 상기 입금장치와 상기 보관부의 사이에 배치된 슬라이딩 프레임; 및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과 상기 보관부 사이에 배치된 블로킹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은 상기 입금장치에 결합되어 입금장치와 일체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블로킹 플레이트는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입금장치가 운전상태에 있을 때,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과 블로킹 플레이트가 각각 후방으로 후퇴함으로써 상기 투하구가 개방되고, 상기 입금장치가 비운전 상태에서 전방으로 인출될 때, 상기 블로킹 플레이트가 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투하구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금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으로 경조사금을 입금받고, 식권을 발행 및 인식하며, 나아가 정산자료까지 자동으로 제공함으로써 경조사 관련된 경조사금 및 비용을 신뢰성 있고, 편리하게 정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 식권은 물론 온라인 식권도 지원함으로써, 경조사 장소에 늦게 참석한 방문객에게도 식권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금기에서는 입금장치를 전방으로 인출하는 동작과 투하구를 폐쇄하는 동작을 기계적으로 연결하여 투하구의 개폐를 기계적 방식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고장의 염려가 없고 더 확실하게 투하구의 개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혼 무인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도1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도1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컴퓨터의 계약 등록/관리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도1의 실시예에 따른 입금기의 예식 스케쥴 안내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도1의 실시예에 따른 입금기의 축의금 납부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도1의 실시예에 따른 입금기의 납부자 확인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은 도1의 실시예에 따른 입금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권 발급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도1의 실시예에 따른 입금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권 발급 화면을 설명을 위한 도면,
도9는 도1의 실시예에 따른 정산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용 정산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0은 도1의 실시예에 따른 정산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용 정산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금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2는 상부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금기의 사시도,
도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금장치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4 및 도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대기모듈의 사시도,
도16 및 도17은 지폐 대기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18은 지폐 대기모듈의 지폐 대기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9는 지폐 대기모듈의 지폐 투하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0은 지폐 대기모듈의 지폐 반환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1 및 도22는 입금장치를 인출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23 내지 도25는 입금장치를 인출하는 동안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25 내지 도28은 입금장치를 완전히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예시적 실시예들이다.
용어의 정의
본원 명세서에서, 용어 '소프트웨어'는 컴퓨터에서 하드웨어를 움직이는 기술을 의미하고, 용어 '하드웨어'는 컴퓨터를 구성하는 유형의 장치나 기기(CPU, 메모리, 입력 장치, 출력 장치, 주변 장치 등)를 의미하고, 용어 '단계'는 소정의 목을 달성하기 위해 시계열으로 연결된 일련의 처리 또는 조작을 의미하고, 용어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처리하기에 합한 명령의 집합을 의미하고, 용어 '프로그램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실행하거나 유통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위"(또는 "아래", "오른쪽", 또는 "왼쪽")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의 위(또는 아래, 오른쪽, 또는 왼쪽)에 직접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서 구성요소들의 길이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간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부', '하부', '좌측', '우측', '전면', '후면' 등의 표현은 절대적 기준으로서의 방향이나 위치를 의미하지 않으며,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할 때 해당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상대적 표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에서, 용어 '관리'는 데이터의 '수신', '송신', '저장', '수정', 및 '삭제'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에서, 'A 단계와 B 단계는 선후가 없다'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문장은 A 단계가 B 단계보다 먼저 수행되거나, A 단계가 B 단계보다 나중에 수행되거나, 또는 A 단계와 B 단계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장치'는 컴퓨터이며, 예를 들면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또는 PDA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중앙처리장치(cpu)와 기억장치, 운영체제, 펌웨어, 응용 프로그램, 통신부, 및 기타 리소스를 포함하며, 여기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은 다른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응용프로그램(예를 들면, 관리 프로그램)을 동작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통신부는 외부와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로 이루어진 모듈을 의미한다. 또한, 컴퓨터 프로세서와 기억장치, 운영체제, 응용 프로그램, 펌웨어, 통신부, 및 기타 리소스는 서로 동작적으로(operatively) 연결되어 있다. 한편, 본원 명세서나 도면에서, 컴퓨터에, 위에서 언급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이나 그림이 없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설명의 목적을 위한 한도에서 그 설명이나 그림을 표시하기로 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컴퓨팅 리소스'라고 함은, 상술한 '컴퓨터'에 포함된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컴퓨터는 중앙처리장치, 입출력장치, 기억장치(HDD, SSD, 메모리 등), 운영체제, 펌웨어, 장치의 구동을 위한 드라이버(프로그램), 통신부, 랜카드, 그래픽카드, GPU, 응용프로그램 등과 같은 컴퓨팅 리소스들로 구성되고, 이러한 컴퓨팅 리소스들은 물리적으로 동일한 곳에 위치하거나 또는 일부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예를 들면, 인터넷이나 근거리 통신망(LAN))를 통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 'A'가 구성요소 'B'에게 정보, 내역, 및/ 또는 데이터를 전송한다고 함은 구성요소 'A'가 구성요소 'B'에게 직접 전송하거나 또는 구성요소 'A'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서 구성요소 'B'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예를 들면, 입금기(2000)이 서버(3000)에게 입금 내역 및/또는 식권 발행내역을 전송한다고 함은, 입금기(2000)이 서버(3000)에게 직접 입금 내역 및/또는 식권 발행내역을 전송하거나, 또는 입금기(2000)이 관리 컴퓨터(1000)에게 입금 내역 및/또는 식권 발행내역을 전송하고, 관리 컴퓨터가 서버(3000)에게 입금 내역 및/또는 식권 발행내역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예를 들면, 식권인식장치(4000)이 서버(3000)에게 식권 인식 내역을 전송한다고 함은 식권인식장치(4000)아 서버(3000)에게 직접 식권 인식 내역을 전송하거나 또는 식권인식장치(4000)이 관리 컴퓨터(1000)에게 식권 인식 내역을 전송하고, 관리 컴퓨터(1000)가 서버(3000)에게 식권 인식 내역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경조사'라고 함은 예를 들면 결혼 또는 장례식과 같이 전통적으로 방문객이 소정의 비용을 지원해주고 기쁨과 슬픔을 공유하는 문화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경조사 정보'는 '예식 정보' 또는 '장례식 정보'를 의미하며, '예식 정보'는 예식날짜와 예식 시간을 포함하는 개념이고, '장례식 정보'도 장례식 날짜와 장례식 시간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신랑, 신부, 신랑의 부모, 또는 신부의 부모' 또는 '상주, 상주의 4촌이내의 친척 또는 외척, 상주의 부인의 4촌 이내의 친척 또는 외척'을 '경조사 당사자' 또는 '당사자'라고 언급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경조사금'은 '축의금' 또는 '조의금'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경조사 방문객'(또는 '방문객')은 예식 축하객과 장례식 위문객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에 따른 경조사 무인관리 시스템은 결혼식장이나 장례식장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11은 결혼식장에 적용되는 경우의 경조사 무인관리 시스템(이러한 실시예를 특히 '결혼식장 무인 관리 시스템'이라고 언급하기로 한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혼식장 무인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2는 도1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혼식장 무인 관리 시스템은 관리 컴퓨터(1000), 입금기(2000), 서버(3000), 식권인식장치(4000), 및 정산기(50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관리 컴퓨터(1000), 입금기(2000), 서버(3000), 식권인식장치(4000), 및 정산기(5000)는 유선으로 직접 연결되거나 및/또는 통신망(예를 들면, 광역 통신망(WAN), 도시권 통신망(MAN), 근거리 통신망(LAN), 및/또는 개인 통신망(PAN))으로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연결된다.
한편, 관리 컴퓨터(1000)는 운영체제, 통신부, 기억장치, 관리 프로그램, 유저 입출력장치, 케이스, 기타 컴퓨팅 리소스들을 포함한다. 한편, 이들 구성요소들은 동작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운영체제, 통신부, 기억장치, 관리 프로그램, 유저 입출력장치는 컴퓨팅 리소스들의 하나이고,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컴퓨팅 리소스들에 대한 설명은 본원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포함된 컴퓨팅 리소스들에 대하여도 본원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는 한도내에서 그 설명이 생략될 것이다.
입금기(2001)는 입금장치, 인쇄장치, 통신부, 케이스, 기타 컴퓨팅 리소스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들 구성요소들은 동작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서버(3000)는 예식 정보 - 예식일정(예식 시간과 예식 날짜를 포함), 예식장소, 및 신랑과 신부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 를 저장 및 관리하며, 입금기(2000)는 예식 축하객에게 예식 정보를 표시하고, 표시한 예식 정보에서 예식 축하객이 축의금을 납부할 예식을 선택하면, 예식 축하객이 선택한 예식에 대한 예식에 대한 축의금을 투입받아 계수하며, 축의금을 투입한 예식 축하객의 개인 정보- 이름, 전화번호, 및 서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 을 입력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입금기(2000)는 예식 축하객의 개인 정보, 축의금 입금 내역, 및 축의금을 납부한 예식 정보를 관리 컴퓨터(1000)에게 전송하고, 관리 컴퓨터(1000)는 입금기(2000)으로부터 전송 받은 정보들과 내역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입금기(2000)는, 예식에 대한 축의금을 예식 시간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에만 입금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예식시간이 오후 3시라면, 설정된 시간은 오후 2시부터 오후 4시까지 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입금기(2000)는 예시 정보를 참조하여, 예식 시간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이 아닌 다른 시간에 입금을 시도할 경우, 입금이 불가함을 축하객에게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입금기(2000)는, 예식 축하객이 축하금을 납부할 예식을 선택하면, 필요한 식권수를 선택할 수 있는 식권선택화면을 예식 축하객에게 표시하고, 예식 축하객으로부터 식권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입금기(2000)는 서버(3000)에게 식권 발행 내역 - 식권 발행수를 포함 - 을 전송하며, 서버(3000)는 식권 발행 내역 - 식권 발행수를 포함 - 을 저장하여 관리한다.
본 실시예에서, 식권인식장치(4000)는 식권을 인식할 수 있는 식권인식화면을 제공하고 식권 인식 내역 - 식권 식별정보 포함 - 을 서버(3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식권선택화면은 온라인 식권과 인쇄 식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식권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식권선택화면은 온라인 식권을 전송할 연락처 -- 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전화번호 - 를 입력할 수 있는 연락처 입력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서버(3000)는 입금 내역, 식권 인식 내역, 및 비용을 반영한 정산자료를 생성하여 정산기(5000)에게 전송할 수 있고, 정산기(5000)는 비용지불자가 정산하고자 하는 예식을 선택하면, 선택한 예식에 대한 정산자료를 정산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정산화면은 입금기(2000)로 입금된 입금액, 식권비용, 및 비용 - 예식비 포함 -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서버(3000)가 수신하거나 송신하는 데이터는 관리 컴퓨터(1000)를 통해서 수신되거나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3000)는 관리 컴퓨터(1000)를 통해서 입금 장치(2000), 식권인식장치(4000), 및/또는 정산기(5000)로부터 각종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0)는 관리 컴퓨터(1000)를 통해서 입금기(2000), 식권인식장치(4000), 및/또는 정산기(5000)으로부터 각종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과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혼식장 무인 관리 시스템에 대한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관리 컴퓨터(1000)는 예식 정보를 서버(3000), 입금기(2000), 식권인식장치(4000), 및/또는 정산기(5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예식 정보를 관리 컴퓨터(1000)를 통해서 입력받은 경우를 예로 한 것이며, 만약, 예식 정보를 서버(3000)가 다른 컴퓨터(미도시)를 통해서 입력받을 경우에는, 서버(3000)가 예식 정보를 관리 컴퓨터(1000)에게 전송하고, 관리 컴퓨터(1000)가 나머지 장치들(입금기(2000), 식권인식장치(4000), 및/또는 정산기(5000))에게 전송한다. 예식 정보를 서버(1)가 다른 컴퓨터(미 도시)를 통해서 입력받을 경우는 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해서 상기 다른 컴퓨터(미 도시)가 서버(1)에 접속하여 예식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일 수 있다.
입금기(2000)는 축하객이 축의금을 입금할 수 있고, 식권을 발행받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입금기(2000)는 예식 축하객에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식에 대한 예식 정보(도 4를 참조)가 포함된 화면(이하, '예식 스케쥴 안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입금기(2000)는 예식에 대한 축의금을 예식 시간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에만 입금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예식시간이 오후 3시라면, 설정된 시간은 오후 2시부터 오후 4시까지 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입금기(2000)는 예시 정보를 참조하여, 예식 시간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이 아닌 다른 시간에 입금을 시도할 경우, 입금이 불가함을 축하객에게 표시할 수 있다.
입금기(2000)는 예식 스케쥴 안내 화면에 표시한 예식 정보에서 예식 축하객이 축의금을 납부할 예식을 선택하면, 선택한 예식에 대한 예식 정보와 납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축의금 납부 화면을 표시한다(도 5를 참조).
한편, 입금기(2000)는 예식 축하객이 선택한 예식이, 축의금을 입금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을 벗어난 경우에는 입금이 불가함을 축하객에게 표시할 수 있다.
입금기(2000)는 축의금 납부 화면에서 예식 축하객이 축의금을 납부하겠다는 선택을 하면(즉, 도 5에서 'YES' 선택을 하면), 축의금을 투입받기 위해서 지폐 투입구(12)를 개방한다. 지폐 투입구(12)에 축의금이 투입되면 지폐를 계수하여 저장한다. 지폐 투입구(12)를 포함하여, 입금기(2000)의 입금기(2001)의 구성 및 동작은 도 11 내지 2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입금기(2000)는 축의금이 투입되면 축하객 본인 또는 입금자의 개인 정보 - 이름, 전화번호, 및 서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 -를 입력 받을 수 있는 화면(이하, '납부자 확인 화면')을 제공한다.
입금기(2000)는 축하객 본인 또는 입금자의 개인 정보가 입력되면, 식권수를 선택할 수 있는 식권선택화면(도7과 도8을 참조)을 표시하고 식권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금기(2000)에 의해 표시되는 식권선택화면은 예를 들면 인쇄 식권의 식권수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화살표를 선택하여 식권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 식권은 식권 식별정보가 인쇄된 종이를 의미한다.
식권 식별정보는, 식권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를 들면 예식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식권 식별정보를 통해서 어떠한 예식에 대하여 식권이 발급되었는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입금기(2000)에 의해 표시되는 식권선택화면은 예를 들면 인쇄 식권의 식권수와 온라인 식권수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화살표를 선택하여 인쇄 식권의 식권수와 온라인 식권의 식권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입금기(2000)에 의해 표시되는 식권선택화면은 예를 들면 온라인 식권수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식권선택화면은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온라인 식권의 식권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금기(2000)는, 인쇄 식권의 식권수와 및/또는 온라인 식권의 식권수가 입력되면, 입력된 식권수 만큼 인쇄 식권을 인쇄(즉, 발행)하거나 또는 온라인 식권을 발행하여 관리 컴퓨터(1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 식권이나 온라인 식권에는 바코드나 QR 코드와 같은 형태로 식권 식별정보가 인쇄될 수 있다.
입금기(2000)는, 식권 발행 내역과 입금 내역을 관리 컴퓨터(1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권 발행 내역은 인쇄 식권의 식권수와 식권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면, 선택된 예식에 대한 예식 정보)를 포함하며, 입금 내역은 입금된 금액을 포함한다.
한편, 식권 발행 내역은, 온라인 식권 발행 내역 및/또는 인쇄 식권 발행 내역(즉, 온라인 식권 발행 내역과 인쇄 식권 발행 내역 중 적어도 하나의 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온라인 식권 발행 내역에는 온라인 식권을 전송할 연락처와 식권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컴퓨터(1000)는 식권 발행 내역과 입금 내역을 서버(3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00)는 식권 발행 내역과 입금 내역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서버(3000)는 식권 발행 내역에 온라인 식권 발행 내역이 포함된 경우, 온라인 식권 발행 내역에 포함된 연락처(스마트폰의 전화번호)로 온라인 식권을 전송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서버(3000)가 온라인 식권을 연락처로 직접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경우에는, 온라인 식권을 해당 연락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버(3000)가 온라인 식권을 직접 연락처로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는, 서버(3000)는 온라인 식권을 직접 연락처로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다른 서버(미도시)(예를 들면, 메시지를 송수신 하는 기능을 가진 서버)에게 온라인 식권 (온라인 식별정보가 포함)과 온라인 식권을 전송할 연락처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메시지를 송수신 하는 기능을 가진 서버(미 도시)는, 온라인 식권을 해당 연락처로 전송한다.
입금기(2000)는 예식 정보들을 관리 컴퓨터(1000)로부터 제공받는다. 입금기(2000)는 제공받은 예식정보들을 예식 축하객에게 표시할 수 있으며, 축의금을 입금받고, 식권을 발행할 수 있다. 입금기(2000)는 입금 내역 및 식권 발행 내역을 관리 컴퓨터(1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입금기(2000)에 포함된 입금 장치는 지폐를 입금받기 위한 것으로서, 입금 장치에 대한 예시적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기능은 도11 내지 도27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입금기(2000)의 식권 인쇄 장치는 식권을 인쇄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러한 식권 인쇄 장치는 종래 영수증 인쇄나 프린터와 같은 널리 알려진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금기(2000)에 포함된 인쇄 장치는,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20-04888170000호에 기재된 영수증 인쇄기술이나 한국특허등록번호 10-05210990000에 기재된 인쇄기술과 같은 기술들을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권 인쇄 장치는 식권을 식별시킬 수 있는 식별정보(예를 들면, 바코드나 QR 코드)가 인쇄된 식권을 종이에 인쇄하여 출력할 수 있다. 식권에 인쇄된 바코드나 QR 코드와 같은 식별정보에는 식권을 유일하게 식별시키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경조사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식별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식권인식장치(4000)는 인쇄 식권 또는 온라인 식권을 인식할 수 있고, 식권 인식 내역 - 식권 식별 정보들을 포함 -을 관리 컴퓨터(1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권인식장치(4000)는 바코드나 QR 코드와 같은 형태로 되어 있는 식권 식별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한편, 바코드나 QR 코드로 구성된 식별정보를 인식하기 위해서, 식권인식장치(4000)은 바코드 스캐너나 QR 코드 스캐너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권인식장치(4000)는 또한 식권 인식 내역 - 식권 식별 정보들을 포함 -을 관리 컴퓨터(1000)에게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미 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식권인식장치(4000)는 식권 식별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기능 및 구성을 가지며, 식권인식장치(4000)는 인식한 식권 식별정보들을 식권인식기(4001)로부터 제공받아서, 관리 컴퓨터(1000)에게 송신한다. 또한, 식권인식장치(4000)는 관리 컴퓨터(1000)로부터 예식 정보를 전송받고, 예식 정보를 식권인식장치(4000)에게 제공한다.
서버(3000)는 식권 인식 내역, 입금 내역, 및 예식 소요비용을 반영하여 정산자료를 생성하여, 관리 컴퓨터(1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정산자료는 예식장 측에 추가로 지급할 비용 또는 예식장 측으로부터 받을 비용 또는 이러한 비용을 산출할 수 있는 데이터이다.
정산기(5000)는 관리 컴퓨터(1000)로부터 전송받은 정산자료를 이용하여 비용 정산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비용 정산 화면은 예를 들면 도9 또는 도10과 같은 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정산기(5000)는 관리 컴퓨터(1000)로부터 예식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고, 이렇게 표시된 예식 정보들 중에서 정산을 위한 예식 정보를 정산자가 선택할 수 있는 화면(미 도시)을 제공할 수 있다.
정산기(5000)는 또한, 정산자가 선택한 예식 정보에 대응되는 정산자료를 화면(비용 정산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비용 정산 화면은 입금시스템을 통해서 입금된 금액(도 9에서, 기기1과 기기2에 대응되어 표시된 금액들)과, 비용(예를 들면, 예식비)과 식권비와 정산할 금액이 표시된 것일 수 있다.
정산기(5000)는 관리 컴퓨터(1000)로부터 예식 정보들과 정산자료를 동시 또는 서로 다른 시각에 제공 받을 수 있다. 정산기(5000)는 예식 정보들을 정산자에게 표시하고, 정산자가 정산을 원하는 예식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한다. 이후, 정산기(5000)는 정산자가 정산을 원하는 예식 정보를 선택하면 정산자료를 화면으로 표시한다.
이후, 정산자가 정산을 완료하면, 정산결과가 정산기(5000) 또는 관리 컴퓨터(1000)를 통해서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정산기(5000)를 통해서 정산결과가 입력되면, 정산기(5000)는 정산결과 - 정산자가 잔액을 수령하거나 또는 잔액을 납부한 결과 -를 관리 컴퓨터(1000)에게 전송한다. 이후, 관리 컴퓨터(1000)는 정산결과를 서버(3000)에게 전송하며, 서버(3000)는 정산결과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산 방법은, 정산기(5000)가 잔액을 지급할 수 있는 기능과 구성(즉, 현금 지급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잔액을 입급받을 수 있는 기능과 구성을 구비한 경우라면, 정산기(5000)를 통해서 정산자가 바로 잔액을 지급받거나 잔액을 입금할 수 있다. 이후, 정산기(5000)는 정산결과를 서버(3000)에게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정산 방법은, 정산자가 정산기(5000)가 아닌 다른 장치 또는 예식장측 관리자로부터 잔액을 지급받고, 잔액을 지급하는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정산결과는 정산기(5000)를 통해서 입력될 수 있다. 정산기(5000)는 정산결과를 서버(3000)에 전송한다.
도3은 도1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컴퓨터(1000)의 계약 등록/관리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관리 컴퓨터(1000)의 계약 등록/관리 화면은 예식일자, 시간, 예식장, 신랑, 신부, 각종 금액들을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한다. 본 화면을 통해서 입력된 예식 정보는 서버(3000)와 입금기(2000)와 정산기(50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제, 도 11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입금기의 입금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도면들에서, 식권 인쇄장치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입금기의 내부 적절한 공간이나 입금기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금기의 사시도이고, 도12는 상부 케이스(10,20)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11과 도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입금기는 상부의 케이스(10,20) 및 하부의 보관부(30), 및 케이스 내에 배치된 입금장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의 케이스는 전방 케이스(10)와 후방 케이스(20)로 구성될 수 있다. 후방 케이스(20)는 보관부(30)의 상부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전방 케이스(10)는 예컨대 힌지(15)에 의해 후방 케이스(20)에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방 케이스(10)를 위로 열어 개방할 수 있다.
전방 케이스(10)에는 예컨대 터치스크린 및/또는 다수의 버튼으로 구성된 제어 패널(11)이 설치되고, 사용자가 제어 패널(11)을 이용하여 지폐나 상품권 등의 현금(이하 "지폐"라고 통칭함)을 입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금장치(50)는 지폐 투입구(12), 지폐 배출구(13), 계수장치(90), 지폐 대기 모듈(1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폐 투입구(12)는 전방 케이스(1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도18 등에 도시한 것처럼 지폐 투입구(12)의 하부에는 투입된 지폐를 계수하는 계수장치(90)가 배치되고, 계수장치(90)의 전방에는 지폐를 반환하기 위한 지폐 배출구(13)가 설치된다. 지폐 대기 모듈(100)은 사용자의 최종 입금 명령을 받기 전까지 지폐 수용하는 모듈로서, 일 실시예에서 계수장치(9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도13 참조).
사용자가 지폐 투입구(12)를 통해 지폐를 입금장치(50)로 투입하면 지폐가 계수장치(90)로 전달되어 계수되고, 계수된 지폐는 지폐 대기 모듈(100)에 안착되어 대기된다. 입금장치(50)가 제어 패널(11)을 통해 사용자의 최종 입금 명령을 받으면 보관부(30) 상부에 형성된 투하구(35)를 통해 지폐를 보관부(3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금장치(50)는 해당 지폐가 위조지폐이거나 훼손이 심한지 등을 판단할 수 있고, 위조지폐 또는 훼손 등의 이유로 보관부(30)로 전달하기 부적절한 지폐는 지폐 배출구(13)를 통해 사용자에게 반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관부(30)는 지폐를 수용하여 보관하는 장치이며, 대략 육면체 형상의 금고 형태로 구성된 보관함(31) 및 보관함(31)의 일 측면에 설치된 도어(32)를 포함할 수 있다. 보관함(31) 상부의 상부판(33)에는 입금장치(50)에서 낙하하는 지폐가 통과할 수 있도록 투하구(35)가 형성되어 있다.
도12를 참조하면, 보관함(31)의 상부판(33)의 좌우 양쪽에 입금장치 지지판(34)이 수직으로 배치된다. 입금장치 지지판(34)의 내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바 지지 레일(37)이 지지판(34)에 결합되어 있고, 지지 레일(37)의 내측으로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바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고, 입금장치(50)가 이 슬라이딩 바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입금장치(50)가 지지판(34)과 지지 레일(37)에 의해 보관부(30) 상부에 지지되면서 전후 방향으로(전방과 후방은 도면에서 각각 좌하 및 우상 방향임)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금장치(50)와 지지판(34)의 연결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입금장치(50)의 일부만 도시하였다.
일 실시예에서 입금장치(50)는 지폐를 계수하는 계수장치(90)(도18 참조), 계수장치(90)의 하부에 배치된 지폐 대기 모듈(100), 및 계수장치(90)와 지폐 대기 모듈(100)을 둘러싸는 복수개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입금장치(50)의 지폐 대기 모듈(100)은 전방 프레임(51)과 측면 프레임(52)에 둘러싸여 있다. 전방 프레임(51)은 지폐 대기 모듈(100)의 전방에 배치되고, 측면 프레임(52)는 지폐 대기 모듈(100)의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된다.
지폐 대기 모듈(100)과 전방 프레임(51) 사이에는 지폐가 투하구(35)로 투하될 수 있는 낙하 통로(55)가 형성되며(도18 참조), 이를 위해 지폐 대기 모듈(100)과 전방 프레임(51) 사이에 통로 전방 패널(53)과 통로 후방 패널(54)이 배치되어 낙하통로(55)를 형성할 수 있다. 입금장치(50)의 운전 상태에서 낙하통로(55)는 투하구(35)의 바로 상부에 위치하도록 정렬된다.
도12와 도13을 참조하면, 보관부(30)의 상부판(33)의 좌우 양측에 입금장치 지지판(34)이 각각 하나씩 배치되고, 이 지지판(34)의 안쪽으로 슬라이딩바 지지 레일(37)이 부착되어 있다. 각각의 슬라이딩바 지지 레일(37)의 내측에는 제1 슬라이딩 바(38)가 지지 레일(37)을 따라 전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1 슬라이딩 바(38)의 내측에는 제2 슬라이딩 바(39)가 제1 슬라이딩 바(38)를 따라 전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제2 슬라이딩 바(39)는 입금장치(50)의 측면 프레임(52)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입금장치(50)가 입금장치 지지판(34)에 의해 보관부(30)의 상부에 지지되어 설치되되 제1 및 제2 슬라이딩 바(38,39)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제 도14 내지 도17을 참조하여 지폐 대기 모듈(100)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14 및 도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대기모듈을 각각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지폐 대기 모듈(100)은 수평판(101), 수직판(102), 구동모터(105), 슬라이딩판(120), 하나 이상의 돌출부(123), 및 지폐 안착부(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폐 안착부(150)는 계수장치(90)를 통과한 지폐가 놓여지는 부재이며, 일 실시예에서 계수장치(9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도13 및 도18 참조). 지폐 안착부(150)는 대략 수평의 판재 또는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진 판재로 구성될 수 있다.
수평판(101)은 지폐 안착부(150)의 하부에 배치되고, 수직판(102)은 수평판(101)의 전방 단부에서 수평판(101)에 결합되며 하방으로 뻗어 있다. 수평판(101)과 수직판(102)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각기 별개로 제작되어 부착될 수도 있다.
슬라이딩판(120)은 수직판(102)의 전방에 배치되며 수직판(10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슬라이딩판(120)은 가로로 긴 판재 형상일 수 있고, 중앙에 가로 방향의 슬롯(122)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판(120)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23)가 결합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돌출부(123)은 힌지(125)에 의해 슬라이딩판(120)에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힌지(125)에 개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돌출부(123)가 구부러지더라도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수직 방향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동모터(105)는 수평판(101)의 하부, 즉 수직판(102)의 후방측에 배치된다. 캠(108)이 슬라이딩판(120)과 수직판(102) 사이에 개재되어 배치되며, 구동모터(105)의 구동축(106)이 수직판(102)을 관통하여 캠(108)에 결합되어 있다. 캠(108)의 전방 표면에는 돌기부(109)가 돌출되어 있고, 돌기부(109)가 슬라이딩판(120)의 슬롯(122)이 끼워져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구동모터(105)의 구동에 의해 구동축(106)이 회전하면 캠(108)의 회전에 의해 돌기부(109)가 슬롯(122) 내에서 좌우로 움직이면서 슬라이딩판(120)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지폐 대기 모듈(100)은 슬라이딩판(120)의 슬라이딩 동작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가이드부(130)는 슬라이딩판(12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하나씩 부착될 수 있다. 가이드부(130)의 일 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홈(131)이 형성되고, 가이드홈(131)의 수직판(102)의 측면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가이드부(130) 및 이에 일체로 결합된 슬라이딩판(120)이 수직판(102) 수직판(102)의 측면에 의해 가이드되며 상하로 슬라이딩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16 및 도17은 지폐 대기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슬라이딩판(120)이 상승했을 때의 모습을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구동모터(105)의 구동에 의해 캠(108)이 회전하고 돌기부(109)가 슬롯(122) 사이를 움직이면서 슬라이딩판(120)이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딩판(120)의 최대 상승 및 하강 위치를 감지하여 구동모터(105)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높이 감지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높이감지 센서부는 가이드부(130)에 부착된 감지판(133) 및 수직판(102)에 부착된 상부 센서(141) 및 하부 센서(142)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센서(141)와 하부 센서(142)는 각각 슬라이딩판(120)의 최대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에 해당하는 높이에 설치된다. 센서(141,142)는 공지된 다양한 센싱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광센서가 사용되었고, 각각 가이드부(130)에 부착된 감지판(133)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컨대 제어부(도시 생략)가 구동모터(105)를 동작시켜 슬라이딩판(120)을 상승시킨 경우, 상부 센서(141)가 감지판(133)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면 제어부는 슬라이딩판(120)이 최대 상승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인식하여 구동모터(105)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마찬가지로 하부 센서(142)가 감지판(133)을 감지하면 제어부는 슬라이딩판(120)이 최대 하강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인식하여 구동모터(105)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폐 대기 모듈(100)은 지폐 대기 모드, 지폐 투하 모드, 및 지폐 반환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도18 내지 도20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우선 도18은 지폐 대기 모듈의 지폐 대기 모드를 나타낸다. 지폐 대기 모드는 사용자로부터 지폐의 입금 완료 명령을 받아서 지폐를 보관부(30)로 투하하기 전까지 지폐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모드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계수장치(90) 및 그 하부의 지폐 대기 모듈(100)이 도시되어 있고, 지폐 대기 모듈(100)의 전방(도면에서는 좌측)에 낙하 통로(55)가 위치한다. 지폐 대기 모듈(100)의 전방 상부에는 지폐를 배출할 수 있는 지폐 배출구(13)가 위치하며, 지폐 대기 모드에서 지폐 배출구(13)는 배출구 커버(17)에 의해 닫혀 있다.
지폐 대기 모드에서 슬라이딩판(120) 및 돌출부(123)가 최대 상승 위치에 위치한다. 계수 장치(90)를 통과한 지폐(B)가 돌출부(123)와 계수장치(90) 사이의 지폐 안착부(150)에 놓여진다. 이 때 지폐(B)는 안착부(150)의 바닥에 평평하게 놓여지는 것이 아니라,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비스듬히 세워져서 놓여진다. 즉 지폐(B)의 한쪽 모서리가 안착부(150)의 바닥면과 접하고 반대쪽 모서리가 돌출부(123)의 상단부에 인접한 상태로 놓여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예컨대 사용자가 제어 패널(11)을 통해 입금 완료 명령을 입력하면 도19에 도시한 것처럼 지폐 투하 모드가 되어 지폐를 낙하 통로(55)로 투하한다. 도19를 참조하면, 지폐 투하 모드에서 구동모터(105)의 구동에 의해 슬라이딩판(120)이 하강하여 최대 하강 위치까지 내려간다. 지폐(B)를 지지하던 돌출부(123)도 함께 하강하였기 때문에, 도시한 것처럼 지폐(B)가 자중에 의해 낙하 통로(55) 및 그 아래쪽의 보관부(30)의 투하구(35)로 낙하한다.
한편 도20은 지폐 대기 모듈의 지폐 반환 모드를 나타낸다. 지폐 반환 모드는 입금 취소 명령에 따라 사용자가 지폐를 회수할 때까지 지폐를 수용하는 모드이다. 이 때 입금 취소 명령은 예컨대 사용자가 입금을 취소하고자 제어 패널(11)을 통해 입금 취소 명령을 입력하였을 때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입금장치(50)가 지폐의 위조여부, 훼손 여부, 및/또는 기정의된 지폐 형식에 부합하는지 여부 등을 검사하여 검사를 통과하지 못했을 때 입금 취소 명령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입금 취소 명령을 수신한 제어부(도시 생략)는 슬라이딩판(120)을 최대 상승 위치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배출구 커버(17)를 개방한다.
지폐 대기 모드와 유사하게, 지폐 반환 모드에서도 지폐(B)가 돌출부(123)와 계수장치(90) 사이의 지폐 안착부(150)에 비스듬하게 세워져서 놓여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지폐 배출구(13)를 통해 지폐(B)를 끄집어 낼 수 있다. 이 때 돌출부(123)가 슬라이딩판(120)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돌출부(123)가 약간 구부러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지폐 인출시 돌출부(123)가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과 같이 대기 모드에서 지폐(B)가 돌출부(123)와 안착부(150) 사이에서 비스듬하게 놓여지도록 하고 투하 모드에서 돌출부(123)를 하강시키는 것만으로 지폐(B)를 투하구(35)로 투하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지폐 투하를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고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지폐의 대기 모드와 투하 모드 사이를 전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지폐를 반환할 때 단순히 배출구 커버(17)를 개방하면 되고 돌출부(123)를 힌지 결합에 의해 구부러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지폐 반환을 위해 별도의 반환 통로로 지폐를 전달할 필요가 없어 지폐 반환을 위한 구조가 간단하고 지폐 반환시 사용자의 동작도 방해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제 이하에서 도21 내지 도28을 참조하여 투하구(35)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블로킹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21 및 도22는 입금장치를 슬라이딩하여 인출(전방으로 잡아 당기는 것)하기 전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21은 측단면도이고 도22는 슬라이딩 프레임(210)과 블로킹 플레이트(220)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투하구(35)의 개방/폐쇄 동작과 직접 관련이 없는 구성요소들을 도시하지 않았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21을 참조하면, 입금장치(50)가 슬라이딩바 지지 레일(3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구조에 대해서는 도12와 도13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입금장치(50)의 후방에는 후방 수직 플레이트(21)가 설치되어 있다. 후방 수직 플레이트(21)는 후방 케이스(20)의 내측면이거나 이 내측면의 안쪽에 설치된 별도의 플레이트일 수 있다. 도21(및 도24와 도27)에서는 입금장치(50)의 인출 여부를 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후방 수직 플레이트(21)를 도시하였다.
투하구(35)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블로킹 구조는 슬라이딩 프레임(210)과 블로킹 플레이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프레임(210)과 블로킹 플레이트(220)는 입금장치(50)와 보관부(30) 사이에 배치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프레임(210)은 입금장치(50)에 결합되어 입금장치(50)와 일체로 전후방(도면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블로킹 플레이트(220)는 슬라이딩 프레임(210)의 하부에 결합된다. 블로킹 플레이트(220)는 슬라이딩 프레임(2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입금장치(50)가 비운전 상태에서 전방으로 인출될 때 블로킹 플레이트(22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투하구(35)의 상부를 폐쇄할 수 있다.
보관부(30)의 상부판(33)에는 투하구(35)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방에 받침대(36)가 설치될 수 있다. 받침대(36)는 블로킹 플레이트(220)를 지지할 수 있고, 대안적으로, 블로킹 플레이트(220)의 슬라이딩 동작을 가이드하기 위해 가이드 홈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그러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받침대(36)가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도22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프레임(210)은 표면에 전후방 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슬롯(211)을 포함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3개의 슬롯(211)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체적 실시 형태에 따라 슬롯(211)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블로킹 플레이트(220)는 슬라이딩 프레임(210)의 하부에 배치된다. 블로킹 플레이트(220)는 슬라이딩 프레임(210)의 각 슬롯(211)을 관통하되 블로킹 플레이트(220)에 일체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225)를 포함한다. 이 때 돌출부(225)의 상단부가 슬롯(211)의 폭 보다 넓도록 구성하여, 블로킹 플레이트(220)가 슬라이딩 프레임(210)에서 분리되지 않으면서 슬롯(211)을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즉 블로킹 플레이트(220)가 슬라이딩 프레임(210)의 하부에 결합되되 슬라이딩 프레임(2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이 때 블로킹 플레이트(220)가 슬라이딩할 수 있는 거리는 슬롯(211)의 길이에 의해 결정됨을 이해할 것이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블로킹 플레이트(220)의 양쪽 측면에 아래쪽으로 절곡된 측면 절곡부(221)가 형성되고, 블로킹 플레이트(220)의 후방 단부에는 아래쪽으로 절곡된 후방 절곡부(222)가 형성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측면 절곡부(221)와 후방 절곡부(222)의 하단의 높이는 투하구(35)의 상단 높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블로킹 플레이트(220)가 전방으로 계속 슬라이딩하면 후방 절곡부(222)가 투하구(35)의 상단부에 부딪혀서 블로킹 플레이트(220)가 더 이상 전방으로 진행하지 못하므로, 후방 절곡부(222)가 블로킹 플레이트(220)의 전방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투하구 개방/폐쇄 블로킹 구조는 슬라이딩 프레임(210)과 블로킹 플레이트(220)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230)를 포함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탄성부재(230)는 스프링이다. 그러나 대안적 실시예에서 고무줄 등 다른 탄성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탄성부재(230)의 일단이 슬라이딩 프레임(210)의 후방의 걸림부(213)에 결합되고 탄성부재(230)의 타단은 블로킹 플레이트(220)의 전방의 걸림부(223)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프레임(210)과 블로킹 플레이트(220)를 탄성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도21과 도22는 입금장치(50)가 전방으로 인출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슬라이딩 프레임(210)과 블로킹 플레이트(220)가 모두 최대한 후방으로 밀려나 있는 상태이며, 도21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상태에서 투하구(35)는 낙하 통로(55)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며 개방되어 있다. 또한 도22에서 알 수 있듯이 이 때 탄성부재(230)가 최대한 늘어나 있으므로 탄성부재(230)에 인장력이 가해지고 있다. 이 때 블로킹 플레이트(220)의 후단은 후방 케이스(20)의 수직 플레이트(21)에 막혀서 후방으로 움직일 수 없으므로, 이 탄성부재(230)의 인장력이 슬라이딩 프레임(210)을 전방으로 슬라이딩 하도록 힘을 가한다. 그러나 슬라이딩 프레임(210)에 일체로 결합된 입금장치(50)가 무겁기 때문에 탄성부재(230)의 인장력이 가해짐에도 불구하고 슬라이딩 프레임(210)이 움직이지 않는다.
이제 관리자가 수리 등의 이유로 입금장치(50)의 운전을 정지시키고 입금장치(50)를 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인출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관리자가 예컨대 전방 프레임(51)을 잡아당기면 입금장치(50)가 제1 및 제2 슬라이딩 바(38,39)를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며 인출된다.
입금장치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 탄성부재(230)의 인장력에 의해 슬라이딩 프레임(210)만 전방으로 움직이고 블로킹 플레이트(220)는 움직이지 않다가('제1 인출 동작'), 입금장치(50)가 더 인출되면서 슬라이딩 프레임(210)과 블로킹 플레이트(220)가 함께 전방으로 움직이면서('제2 인출 동작') 블로킹 플레이트(220)가 투하구(35)의 상부를 폐쇄하게 된다.
이하에서 도23 내지 도25를 참조하여 제1 인출동작을 설명하고 도26 내지 도28을 참조하여 제2 인출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23 내지 도25는 제1 인출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23는 사시도, 도24는 측면도, 그리고 도25는 슬라이딩 프레임(210)과 블로킹 플레이트(220)의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서 입금장치(50)의 주요 구성요소들을 생략하였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예컨대 관리자가 입금장치(50)의 전방 프레임(51)을 잡아당김에 따라 입금장치(50)에 결합된 슬라이딩 프레임(210)이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탄성부재(230)의 인장력에 의해 슬라이딩 프레임(210)을 전방으로 움직이게 하려는 힘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전방 프레임(51)을 잡아당기는 힘이 작아도 입금장치(50)가 손쉽게 전방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한편 이 때 탄성부재(230)의 인장력이 블로킹 플레이트(220)를 후방으로 움직이려고 하지만 블로킹 플레이트(220)의 후단이 수직 플레이트(21)에 막혀서 후방으로 움직일 수 없으므로, 블로킹 플레이트(220)는 후방으로 밀려나지 못하고 제자리에 그대로 위치한다. 따라서 도23 내지 도25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인출 동작시에는 슬라이딩 프레임(210)만 전방으로 움직이고 블로킹 플레이트(220)는 움직이지 않고 제자리를 유지한다.
도22와 도25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제1 인출 동작에 의해 블로킹 플레이트(220)의 돌출부(225)가 슬라이딩 프레임(210)의 슬롯(211)을 따라 슬롯의 전방에서 후방까지 이동하였고, 돌출부(225)가 슬롯(211)의 후방 끝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입금장치(50)를 더 잡아당기면 슬라이딩 프레임(210)과 블로킹 플레이트(220)가 함께 움직이는 제2 인출 동작이 시작된다.
도26 내지 도28은 제2 인출 동작에 의해 입금장치를 인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26은 사시도, 도27은 측면도, 그리고 도28은 슬라이딩 프레임(210)과 블로킹 플레이트(220)의 사시도이다.
도26 내지 도28에 도시하였듯이 입금장치(50)를 전방으로 더 잡아당기면 입금장치(50)에 결합된 슬라이딩 프레임(210)과 이에 연결된 블로킹 플레이트(220)가 함께 전방으로 슬라이딩하고, 이에 따라 블로킹 플레이트(220)가 투하구(35)의 상부를 폐쇄하게 된다. 이 때 블로킹 플레이트(220)의 후단에 하방으로 절곡된 후방 절곡부(222)가 형성되어 있고 이 후방 절곡부(222)의 하단의 높이가 투하구(35)의 상단 높이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도27 및 도28에 도시한 것처럼 후방 절곡부(222)가 투하구(35)의 상단부에 부딪히면서 블로킹 플레이트(220)가 더 이상 전방으로 진행하지 못하게 되며 이 상태가 입금장치(50)의 최대 인출 위치가 된다.
이상 상술한 투하구의 개방/폐쇄 메커니즘에 따르면 입금장치(50)를 전방으로 인출하는 동작과 투하구(35)를 폐쇄하는 동작을 연결하여 기계적 방식으로 투하구를 개방/폐쇄하기 때문에, 종래에 투하구(35)를 폐쇄하는 동작을 구동모터 등의 별도의 전자적 장치로 수행하는 구성에 비해 구조가 더 간단하면서도 고장의 염려없이 확실하게 투하구의 개방/폐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11의 도면들은 결혼식장에 적용되는 경우의 경조사 무인관리 시스템('결혼식장 무인 관리 시스템')을 설명한 것이었다. 한편, 본원 발명에 따른 경조사 무인관리 시스템이 장례식장에 적용될 경우에는, 결혼식장의 경우와 같이 그대로 적용이 되거나, 또는 일부 구성요소들이 생략되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식권인식장치(4000)는 장례식의 경우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물론, 식권 인쇄 장치는 동작되지 않거나 또는 입금기에 포함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입금기(200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즉, 입금기(2000)는 여러 장소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혼식장이나 장례식장에서 경조사금을 받은 테이블 바로 옆에 입금기(2000)가 위치될 수 있다. 이렇게 테이블 바로 옆에 위치되는 입금기(2000)는 본원 명세서에서 특히 '테이블 입금기'라고 호칭하기로 한다.
테이블 입금기는, 상술한 입금기(2000)가 가진 기능보다 추가적인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테이블 입금기는 봉투에 포함된 지폐의 금액과, 일련 번호를 봉투의 겉면에 인쇄하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입금기는 인쇄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국제특허출원 공개공보 WO 2014/133355호(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에는 봉투에 포함된 지폐의 금액을 봉투에 인쇄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성을 본원 발명의 테이블 입금기에 포함시킬 수 있다. 국제특허출원 공개공보 WO 2014/133355호(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에 기재된 모든 내용은 본원 발명과 상충되지 않는 범위에서 본원 명세서의 일부로서 결합된다. 한편, 봉투의 겉면에 인쇄되는 일련번호는, 해당 경조사에 대하여 봉투가 테이블 입금기에 입금된 순서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전방 케이스 20: 후방 케이스
30: 보관부 50: 입금장치
90: 계수장치 100: 지폐 대기 모듈
1000: 관리 컴퓨터 2000: 입금 시스템
2001: 입금기 2002: 입금기 컴퓨터
3000: 서버 4000: 식권 시스템
4001: 식권 인식기 4002: 식권 인식기 컴퓨터
5000: 정산 시스템 5001: 정산기
5002: 정산기 컴퓨터

Claims (10)

  1. 관리 컴퓨터(1000);
    경조사 정보 - 경조사일정(경조사 시간과 경조사 날짜를 포함), 경조사장소, 및 당사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 를 저장 및 관리하는 서버(3000); 및
    경조사 방문객에게 상기 경조사 정보를 표시하고, 표시한 경조사 정보에서 경조사 방문객이 경조사금을 납부할 경조사를 선택하면, 경조사 방문객이 선택한 경조사에 대한 경조사금을 투입받아 계수하며, 상기 경조사금을 투입한 경조사 방문객의 개인 정보- 이름, 전화번호, 및 서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 을 입력받을 수 있는 입금기(2000);을 포함하며,
    입금기(2000)는 경조사 방문객의 개인 정보, 경조사금 입금 내역, 및 경조사금을 납부한 경조사 정보를 관리 컴퓨터(1000)에게 전송하고, 관리 컴퓨터(1000)는 입금 장치(2000)로부터 전송 받은 정보들과 내역을 저장하여 관리하는 것인, 경조사 무인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입금기(2000)는, 경조사에 대한 경조사금을 경조사 시간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에만 입금 받는 것인, 경조사 무인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식권인식장치(4000);를 더 포함하며,
    입금기(2000)는, 상기 경조사 방문객이 경조사금을 납부할 경조사를 선택하면, 필요한 식권수를 선택할 수 있는 식권선택화면을 상기 경조사 방문객에게 표시하고, 상기 경조사 방문객으로부터 식권수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입금기(2000)는 서버(3000)에게 식권 발행 내역 - 식권 발행수를 포함 - 을 전송하며,
    서버(3000)는 식권 발행 내역 - 식권 발행수를 포함 - 을 저장하여 관리하고, 상기 식권인식장치(4000)는 인식할 수 있는 식권인식화면을 제공하고 식권 인식 내역 - 식권 식별정보 포함 - 을 서버(3000)에게 전송하는 것인, 경조사 무인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권선택화면은
    온라인 식권과 인쇄 식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식권수를 입력받을 수 있는 것인, 경조사 무인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권선택화면은 온라인 식권을 전송할 연락처를 입력할 수 있는 연락처 입력란을 포함하는 것인, 경조사 무인 관리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정산 장치(5000);를 더 포함하며,
    서버(3000)는 입금 내역, 식권 인식 내역, 및 비용을 고려하여 정산자료를 생성하여 정산기(5000)에게 전송하고,
    정산기(5000)는 비용지불자가 정산하고자 하는 경조사를 선택하면, 선택한 경조사에 대한 정산자료를 정산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정산화면은, 입금기(2000)로 입금된 입금액, 식권비용, 및 비용 - 경조사 포함 - 을 포함하는 것인, 경조사 무인 관리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에 있어서
    서버(3000)가 수신하거나 송신하는 데이터는 관리 컴퓨터(1000)를 통해서 수신되거나 송신되는 것인, 경조사 무인 관리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6항에 있어서
    입금기(2000)는 지폐를 투입받을 수 있는 무인 현금 입금기와 무인 현금 입금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서버(30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입금 컴퓨터를 포함하며,
    상기 입금 컴퓨터는 서버(30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무인 현금 입금기에게 송신하고, 무인 현금 입금기는 입금 내역이나 식권발행 내역을 상기 입금 컴퓨터에게 송신하며,
    상기 무인 현금 입금기는,
    지폐를 투입받아 계수하는 입금장치(50);
    상기 입금장치의 전방과 후방을 각각 둘러싸는 전방 케이스(10) 및 후방 케이스(20);
    지폐를 보관하기 위해 상기 입금장치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입금장치에서 낙하하는 지폐가 통과하는 투하구(35)를 구비한 보관부(30);
    상기 입금장치와 상기 보관부의 사이에 배치된 슬라이딩 프레임(210); 및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과 상기 보관부 사이에 배치된 블로킹 플레이트(220);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10)은 상기 입금장치에 결합되어 입금장치와 일체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블로킹 플레이트(220)는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입금장치가 운전상태에 있을 때,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과 블로킹 플레이트가 각각 후방으로 후퇴함으로써 상기 투하구(35)가 개방되고,
    상기 입금장치가 비운전 상태에서 전방으로 인출될 때, 상기 블로킹 플레이트가 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투하구(35)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조사 무인 관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10)은 표면에 전후방 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슬롯(211)을 포함하고,
    상기 블로킹 플레이트(220)는, 상기 슬롯(211)을 관통하되 상기 블로킹 플레이트에 일체로 연결된 돌출부(225)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슬롯(211)에 가이드되며 전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조사 무인 관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10)과 상기 블로킹 플레이트(220)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2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금장치가 운전상태에 있을 때 상기 탄성부재(230)에 소정의 인장력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조사 무인 관리 시스템.
KR1020190089106A 2019-07-23 2019-07-23 경조사 무인관리 시스템 KR20210011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106A KR20210011785A (ko) 2019-07-23 2019-07-23 경조사 무인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106A KR20210011785A (ko) 2019-07-23 2019-07-23 경조사 무인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785A true KR20210011785A (ko) 2021-02-02

Family

ID=74559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106A KR20210011785A (ko) 2019-07-23 2019-07-23 경조사 무인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178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029B1 (ko) 2016-12-29 2017-10-23 주식회사 이노스텍 다기능 현금 자동 입금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029B1 (ko) 2016-12-29 2017-10-23 주식회사 이노스텍 다기능 현금 자동 입금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2048A (en) Automated banking system for dispensing money orders, wire transfer and bill payment
US5987439A (en) Automated banking system for making change on a card or user account
US5897625A (en) Automated document cashing system
CA2382169C (en) Automated transaction machine with transport path verification
CN108140274B (zh) 具有托管装置的自动柜员机
KR100940050B1 (ko) 자동 거래 장치의 거래 축퇴 처리 방법, 그 시스템 및 그운영 서버
JPS61288265A (ja) 宿泊施設用端末装置
JP2008077680A (ja) 自動書類キャッシングシステム
US11276265B2 (en) Modular automated transaction machine system
KR100952872B1 (ko) 자동 거래 장치
JP5121607B2 (ja) 自動取引装置およびシステムならびに情報記録媒体
JP5564767B2 (ja) 自動取引装置
JP5056007B2 (ja) 自動取引装置
KR20210011785A (ko) 경조사 무인관리 시스템
KR102122286B1 (ko) 스마트 금융 시재 관리장치
KR19990037852A (ko) 동전지급이가능한은행거래처리장치및그방법
JP4248273B2 (ja) 紙葉類取扱端末
JP2003256908A (ja) 現金自動取引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983336B2 (ja) 自動取引装置
JP3252667B2 (ja) 取引方法
JPH11272911A (ja) 異物返却処理を行う自動取引装置
JPH0293760A (ja) 自動取引装置
JP2019021145A (ja) 自動販売システムおよび自動販売方法
JP2006085242A (ja) 自動取引装置現金精査システム
JPS6367698A (ja) 自動取引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