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5256A - 무인 현금 수납기 - Google Patents

무인 현금 수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5256A
KR20200095256A KR1020190013116A KR20190013116A KR20200095256A KR 20200095256 A KR20200095256 A KR 20200095256A KR 1020190013116 A KR1020190013116 A KR 1020190013116A KR 20190013116 A KR20190013116 A KR 20190013116A KR 20200095256 A KR20200095256 A KR 20200095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
plate
sliding
bills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2452B1 (ko
Inventor
전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스텍
Priority to KR1020190013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452B1/ko
Publication of KR20200095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 현금 수납기로서, 지폐를 투입받아 계수하는 계수장치, 계수장치의 전방에 배치된 지폐 배출구, 및 계수장치의 하단에 배치되며 계수장치를 통과한 지폐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지폐 대기모듈을 구비한 입금장치; 상기 입금장치의 전방과 후방을 각각 둘러싸는 전방 케이스 및 후방 케이스; 및 지폐를 보관하기 위해 상기 입금장치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입금장치에서 낙하하는 지폐가 통과하는 투하구를 구비한 보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현금 수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인 현금 수납기 {Automated cash receiving apparatus}
본 발명은 무인 현금 수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폐 보관함의 입구를 개방/폐쇄하기 위한 개선된 구조의 개방/폐쇄 메커니즘을 갖는 무인 현금 수납기에 관한 것이다.
무인 현금 수납기는 현금의 출납을 자동화한 현금 자동 입출금기(Automated Teller Machine; ATM)와 유사한 것으로, 지폐 또는 동전 등의 현금을 자동으로 수납해 보관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무인 현금 수납기는 일반적으로 하부에 지폐를 보관하는 지폐 보관부가 위치하고 그 상부에 지폐를 투입/반환하고 지폐를 계수하는 입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가 입금장치로 지폐를 투입하면 입금장치에서 지폐를 계수한 후 지폐 보관부의 투하구를 통해 지폐를 투하하여 보관부에 보관하였다. 그런데 현금 수납기 관리자가 입금장치의 수리 등의 이유로 입금장치의 케이스를 열 경우 작업자가 지폐 보관부의 입구(투하구)를 통해 지폐를 만질 수 없도록 입구를 폐쇄해야 한다.
그런데 종래 현금 수납기는 지폐 보관부의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구동모터 등으로 전자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하고, 입금장치의 케이스를 열면 구동모터가 구동하여 지폐 보관부의 입구를 폐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적 방식은 종종 에러가 날 수 있으며 에러가 나면 수납기 전체 작동이 정지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1: 한국 등록특허 제10-1781029호 (2017년 09월 18일 등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금장치를 전방으로 인출하는 동작과 지폐 보관부의 투하구를 폐쇄하는 동작을 연결하여 기계적 방식으로 투하구를 개폐하도록 구성하여 별도의 전자적 장치 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투하구의 개폐 동작을 기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무인 현금 수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금 수납기 내에서 계수장치를 통과한 지폐를 지폐 보관부의 투하구로 투하할 때, 지폐가 장치 구조물에 걸려서 투하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무인 현금 수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 현금 수납기로서, 지폐를 투입받아 계수하는 계수장치, 계수장치의 전방에 배치된 지폐 배출구, 및 계수장치의 하단에 배치되며 계수장치를 통과한 지폐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지폐 대기모듈을 구비한 입금장치; 상기 입금장치의 전방과 후방을 각각 둘러싸는 전방 케이스 및 후방 케이스; 및 지폐를 보관하기 위해 상기 입금장치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입금장치에서 낙하하는 지폐가 통과하는 투하구를 구비한 보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현금 수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금장치를 전방으로 인출하는 동작과 투하구를 폐쇄하는 동작을 기계적으로 연결하여 투하구의 개폐를 기계적 방식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고장의 염려가 없고 더 확실하게 투하구의 개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계수장치를 통과한 지폐가 안착되는 지폐 안착부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지폐를 지폐 보관부로 투하하고자 할 때 지폐 안착부를 회동시켜 지폐를 투하구로 확실히 투하할 수 있으므로 지폐가 장치 구조물에 걸려서 투하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현금 수납기의 사시도,
도2는 상부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금 수납기의 사시도,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금장치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 및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대기모듈의 사시도,
도6 및 도7은 지폐 대기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8은 지폐 대기모듈의 지폐 대기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9는 지폐 대기모듈의 지폐 투하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0은 지폐 대기모듈의 지폐 반환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1 및 도12는 입금장치를 인출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3 내지 도15는 입금장치를 인출하는 동안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6 내지 도18은 입금장치를 완전히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예시적 실시예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위"(또는 "아래", "오른쪽", 또는 "왼쪽")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의 위(또는 아래, 오른쪽, 또는 왼쪽)에 직접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서 구성요소들의 길이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간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부', '하부', '좌측', '우측', '전면', '후면' 등의 표현은 절대적 기준으로서의 방향이나 위치를 의미하지 않으며,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할 때 해당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상대적 표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현금 수납기의 사시도이고, 도2는 상부 케이스(10,20)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현금 수납기는 상부의 케이스(10,20) 및 하부의 보관부(30), 및 케이스 내에 배치된 입금장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의 케이스는 전방 케이스(10)와 후방 케이스(20)로 구성될 수 있다. 후방 케이스(20)는 보관부(30)의 상부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전방 케이스(10)는 예컨대 힌지(15)에 의해 후방 케이스(20)에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방 케이스(10)를 위로 열어 개방할 수 있다.
전방 케이스(10)에는 예컨대 터치스크린 및/또는 다수의 버튼으로 구성된 제어 패널(11)이 설치되고, 사용자가 제어 패널(11)을 이용하여 지폐나 상품권 등의 현금(이하 "지폐"라고 통칭함)을 입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금장치(50)는 지폐 투입구(12), 지폐 배출구(13), 계수장치(90), 지폐 대기 모듈(1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폐 투입구(12)는 전방 케이스(1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도8 등에 도시한 것처럼 지폐 투입구(12)의 하부에는 투입된 지폐를 계수하는 계수장치(90)가 배치되고, 계수장치(90)의 전방에는 지폐를 반환하기 위한 지폐 배출구(13)가 설치된다. 지폐 대기 모듈(100)은 사용자의 최종 입금 명령을 받기 전까지 지폐 수용하는 모듈로서, 일 실시예에서 계수장치(9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도3 참조).
사용자가 지폐 투입구(12)를 통해 지폐를 입금장치(50)로 투입하면 지폐가 계수장치(90)로 전달되어 계수되고, 계수된 지폐는 지폐 대기 모듈(100)에 안착되어 대기된다. 입금장치(50)가 제어 패널(11)을 통해 사용자의 최종 입금 명령을 받으면 보관부(30) 상부에 형성된 투하구(35)를 통해 지폐를 보관부(3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금장치(50)는 해당 지폐가 위조지폐이거나 훼손이 심한지 등을 판단할 수 있고, 위조지폐 또는 훼손 등의 이유로 보관부(30)로 전달하기 부적절한 지폐는 지폐 배출구(13)를 통해 사용자에게 반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관부(30)는 지폐를 수용하여 보관하는 장치이며, 대략 육면체 형상의 금고 형태로 구성된 보관함(31) 및 보관함(31)의 일 측면에 설치된 도어(32)를 포함할 수 있다. 보관함(31) 상부의 상부판(33)에는 입금장치(50)에서 낙하하는 지폐가 통과할 수 있도록 투하구(35)가 형성되어 있다.
도2를 참조하면, 보관함(31)의 상부판(33)의 좌우 양쪽에 입금장치 지지판(34)이 수직으로 배치된다. 입금장치 지지판(34)의 내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바 지지 레일(37)이 지지판(34)에 결합되어 있고, 지지 레일(37)의 내측으로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바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고, 입금장치(50)가 이 슬라이딩 바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입금장치(50)가 지지판(34)과 지지 레일(37)에 의해 보관부(30) 상부에 지지되면서 전후 방향으로(전방과 후방은 도면에서 각각 좌하 및 우상 방향임)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금장치(50)와 지지판(34)의 연결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입금장치(50)의 일부만 도시하였다.
일 실시예에서 입금장치(50)는 지폐를 계수하는 계수장치(90)(도8 참조), 계수장치(90)의 하부에 배치된 지폐 대기 모듈(100), 및 계수장치(90)와 지폐 대기 모듈(100)을 둘러싸는 복수개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입금장치(50)의 지폐 대기 모듈(100)은 전방 프레임(51)과 측면 프레임(52)에 둘러싸여 있다. 전방 프레임(51)은 지폐 대기 모듈(100)의 전방에 배치되고, 측면 프레임(52)는 지폐 대기 모듈(100)의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된다.
지폐 대기 모듈(100)과 전방 프레임(51) 사이에는 지폐가 투하구(35)로 투하될 수 있는 낙하 통로(55)가 형성되며(도8 참조), 이를 위해 지폐 대기 모듈(100)과 전방 프레임(51) 사이에 통로 전방 패널(53)과 통로 후방 패널(54)이 배치되어 낙하통로(55)를 형성할 수 있다. 입금장치(50)의 운전 상태에서 낙하통로(55)는 투하구(35)의 바로 상부에 위치하도록 정렬된다.
도2와 도3을 참조하면, 보관부(30)의 상부판(33)의 좌우 양측에 입금장치 지지판(34)이 각각 하나씩 배치되고, 이 지지판(34)의 안쪽으로 슬라이딩바 지지 레일(37)이 부착되어 있다. 각각의 슬라이딩바 지지 레일(37)의 내측에는 제1 슬라이딩 바(38)가 지지 레일(37)을 따라 전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1 슬라이딩 바(38)의 내측에는 제2 슬라이딩 바(39)가 제1 슬라이딩 바(38)를 따라 전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제2 슬라이딩 바(39)는 입금장치(50)의 측면 프레임(52)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입금장치(50)가 입금장치 지지판(34)에 의해 보관부(30)의 상부에 지지되어 설치되되 제1 및 제2 슬라이딩 바(38,39)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제 도4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지폐 대기 모듈(100)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4 및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대기모듈을 각각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지폐 대기 모듈(100)은 수평판(101), 수직판(102), 구동모터(105), 슬라이딩판(120), 하나 이상의 돌출부(123), 지폐 안착부(127), 및 안착부 걸림판(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판(101)은 계수장치(90)의 하부에 배치되고, 수직판(102)은 수평판(101)의 전방 단부에서 수평판(101)에 결합되며 하방으로 뻗어 있다. 수평판(101)과 수직판(102)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각기 별개로 제작되어 부착될 수도 있다.
슬라이딩판(120)은 수직판(102)의 전방에 배치되며 수직판(10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슬라이딩판(120)은 가로로 긴 판재 형상일 수 있고, 중앙에 가로 방향의 슬롯(122)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판(120)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23)가 결합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돌출부(123)는 제1 힌지(125)에 의해 슬라이딩판(120)에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제1 힌지(125)에 개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돌출부(123)가 구부러지더라도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수직 방향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지폐 안착부(127)는 돌출부(123)에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지폐 안착부(127)는 제2 힌지(128)에 의해 돌출부(123)에 결합되고, 장치의 후방을 향해 뻗어있다. 예를 들어, 도시한 것과 같이 지폐 안착부(127)는 계수장치(90)측을 향해 뒤쪽 상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뻗어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지폐 안착부(127)는 돌출부(123)의 길이보다 길고 지폐 안착부(127)의 선단부는 상방향을 향해 소정 각도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도시 생략)가 제2 힌지(128)에 개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지폐 안착부(127)가 돌출부(123)를 향해 장치 전방쪽으로 회동하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후방쪽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계수장치(90)를 통과한 지폐가 지폐 안착부(127)에 안착될 수 있다. 즉 돌출부(123)와 지폐 안착부(127) 사이의 공간에 지폐가 놓여질 수 있다.
슬라이딩판(120)의 상부에는 안착부 걸림판(150)이 배치된다. 안착부 걸림판(150)은 돌출부(123)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구(151)를 구비한 판재 형상의 부재이며, 예컨대 수평판(101)이나 수직편(102)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다. 돌출부(123)는 관통구(151)을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뻗어 있고, 지폐 안착부(127)는 이 관통구(151)의 위쪽에서 돌출부(123)의 제2 힌지(128)에 결합되어 있다.
구동모터(105)는 수평판(101)의 하부, 즉 수직판(102)의 후방측에 배치된다. 캠(108)이 슬라이딩판(120)과 수직판(102) 사이에 개재되어 배치되며, 구동모터(105)의 구동축(106)이 수직판(102)을 관통하여 캠(108)에 결합되어 있다. 캠(108)의 전방 표면에는 돌기부(109)가 돌출되어 있고, 돌기부(109)가 슬라이딩판(120)의 슬롯(122)이 끼워져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구동모터(105)의 구동에 의해 구동축(106)이 회전하면 캠(108)의 회전에 의해 돌기부(109)가 슬롯(122) 내에서 좌우로 움직이면서 슬라이딩판(120)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지폐 대기 모듈(100)은 슬라이딩판(120)의 슬라이딩 동작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가이드부(130)는 슬라이딩판(12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하나씩 부착될 수 있다. 가이드부(130)의 일 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홈(131)이 형성되고, 가이드홈(131)의 수직판(102)의 측면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가이드부(130) 및 이에 일체로 결합된 슬라이딩판(120)이 수직판(102) 수직판(102)의 측면에 의해 가이드되며 상하로 슬라이딩 할 수 있다.
도6 및 도7은 지폐 대기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슬라이딩판(120)이 하강했을 때의 모습을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구동모터(105)의 구동에 의해 캠(108)이 회전하고 돌기부(109)가 슬롯(122) 사이를 움직이면서 슬라이딩판(120)이 하강하였음을 알 수 있다.
슬라이딩판(120) 및 이에 결합된 돌출부(123)가 하강할 때, 지폐 안착부(127)가 안착부 걸림판(150)의 관통구(151)의 모서리에 닿게 되고, 슬라이딩판(120)과 돌출부(123)가 더 하강하면 지폐 안착부(127)가 제2 힌지(128)를 회전축으로 하여 전방으로(즉 돌출부(123)를 향해) 회동한다. 이에 따라, 도6과 도7에 도시한 것처럼 지폐 안착부(127)가 돌출부(123)와 접촉하거나 거의 접촉할 정도로 가까워지고, 돌출부(123)와 지폐 안착부(127) 사이에 놓여있던 지폐(도시 생략)이 아래로 투하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딩판(120)의 최대 상승 및 하강 위치를 감지하여 구동모터(105)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높이 감지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높이감지 센서부는 가이드부(130)에 부착된 감지판(133) 및 수직판(102)에 부착된 상부 센서(141) 및 하부 센서(142)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센서(141)와 하부 센서(142)는 각각 슬라이딩판(120)의 최대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에 해당하는 높이에 설치된다. 센서(141,142)는 공지된 다양한 센싱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광센서가 사용되었고, 각각 가이드부(130)에 부착된 감지판(133)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컨대 제어부(도시 생략)가 구동모터(105)를 동작시켜 슬라이딩판(120)을 상승시킨 경우, 상부 센서(141)가 감지판(133)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면 제어부는 슬라이딩판(120)이 최대 상승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인식하여 구동모터(105)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마찬가지로 하부 센서(142)가 감지판(133)을 감지하면 제어부는 슬라이딩판(120)이 최대 하강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인식하여 구동모터(105)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폐 대기 모듈(100)은 지폐 대기 모드, 지폐 투하 모드, 및 지폐 반환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도8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우선 도8은 지폐 대기 모듈의 지폐 대기 모드를 나타낸다. 지폐 대기 모드는 사용자로부터 지폐의 입금 완료 명령을 받아서 지폐를 보관부(30)로 투하하기 전까지 지폐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모드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계수장치(90) 및 그 하부의 지폐 대기 모듈(100)이 도시되어 있고, 지폐 대기 모듈(100)의 전방(도면에서는 좌측)에 낙하 통로(55)가 위치한다. 지폐 대기 모듈(100)의 전방 상부에는 지폐를 배출할 수 있는 지폐 배출구(13)가 위치하며, 지폐 대기 모드에서 지폐 배출구(13)는 배출구 커버(17)에 의해 닫혀 있다.
지폐 대기 모드에서 슬라이딩판(120) 및 돌출부(123)가 최대 상승 위치에 위치한다. 계수 장치(90)를 통과한 지폐(B)가 돌출부(123)와 지폐 안착부(127) 사이의 공간에 놓여진다. 이 때 지폐(B)는 지폐 안착부(127)의 바닥에 평평하게 놓여질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돌출부(123)쪽으로 비스듬히 세워져서 놓여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예컨대 사용자가 제어 패널(11)을 통해 입금 완료 명령을 입력하면 도9에 도시한 것처럼 지폐 투하 모드가 되어 지폐를 낙하 통로(55)로 투하한다. 도9를 참조하면, 지폐 투하 모드에서 구동모터(105)의 구동에 의해 슬라이딩판(120)이 하강한다. 지폐(B)를 지지하던 돌출부(123)가 슬라이딩판(120)과 함께 하강하고, 지폐 안착부(127)는 걸림판(150)의 걸리면서 돌출부(123)쪽을 향해(즉, 도9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에 따라, 지폐 안착부(127)의 선단부가 돌출부(123)와 지폐 안착부(127) 사이에 놓여있던 지폐(B)를 낙하 통로(55)로 밀게 되고, 지폐(B)가 자중에 의해 낙하 통로(55) 및 그 아래쪽의 보관부(30)의 투하구(35)로 낙하한다.
한편 도10은 지폐 대기 모듈의 지폐 반환 모드를 나타낸다. 지폐 반환 모드는 입금 취소 명령에 따라 사용자가 지폐를 회수할 때까지 지폐를 수용하는 모드이다. 이 때 입금 취소 명령은 예컨대 사용자가 입금을 취소하고자 제어 패널(11)을 통해 입금 취소 명령을 입력하였을 때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입금장치(50)가 지폐의 위조여부, 훼손 여부, 및/또는 기정의된 지폐 형식에 부합하는지 여부 등을 검사하여 검사를 통과하지 못했을 때 입금 취소 명령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입금 취소 명령을 수신한 제어부(도시 생략)는 슬라이딩판(120)을 최대 상승 위치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배출구 커버(17)를 개방한다.
지폐 대기 모드와 유사하게, 지폐 반환 모드에서도 지폐(B)가 돌출부(123)와 지폐 안착부(127) 사이의 공간에 놓여져 있고, 사용자가 지폐 배출구(13)를 통해 지폐(B)를 끄집어 낼 수 있다. 이 때 돌출부(123)가 슬라이딩판(120)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돌출부(123)가 약간 구부러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지폐 인출시 돌출부(123)가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과 같이 대기 모드에서 지폐(B)가 돌출부(123) 및 돌출부(12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지폐 안착부(127) 사이의 공간에 놓여지도록 하고 투하 모드에서 돌출부(123)를 하강시키고 지폐 안착부(127)를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지폐(B)를 투하구(35)로 투하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지폐 투하를 위한 별도의 장치나 구동수단이 필요 없고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지폐의 대기 모드와 투하 모드 사이를 전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지폐를 반환할 때 단순히 배출구 커버(17)를 개방하면 되고 돌출부(123)를 힌지 결합에 의해 구부러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지폐 반환을 위해 별도의 반환 통로로 지폐를 전달할 필요가 없어 지폐 반환을 위한 구조가 간단하고 지폐 반환시 사용자의 동작도 방해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제 이하에서 도11 내지 도18을 참조하여 투하구(35)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블로킹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11 및 도12는 입금장치를 슬라이딩하여 인출(전방으로 잡아 당기는 것)하기 전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11은 측단면도이고 도12는 슬라이딩 프레임(210)과 블로킹 플레이트(220)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투하구(35)의 개방/폐쇄 동작과 직접 관련이 없는 구성요소들을 도시하지 않았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11을 참조하면, 입금장치(50)가 슬라이딩바 지지 레일(3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구조에 대해서는 도2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입금장치(50)의 후방에는 후방 수직 플레이트(21)가 설치되어 있다. 후방 수직 플레이트(21)는 후방 케이스(20)의 내측면이거나 이 내측면의 안쪽에 설치된 별도의 플레이트일 수 있다. 도11(및 도14와 도17)에서는 입금장치(50)의 인출 여부를 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후방 수직 플레이트(21)를 도시하였다.
투하구(35)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블로킹 구조는 슬라이딩 프레임(210)과 블로킹 플레이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프레임(210)과 블로킹 플레이트(220)는 입금장치(50)와 보관부(30) 사이에 배치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프레임(210)은 입금장치(50)에 결합되어 입금장치(50)와 일체로 전후방(도면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블로킹 플레이트(220)는 슬라이딩 프레임(210)의 하부에 결합된다. 블로킹 플레이트(220)는 슬라이딩 프레임(2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입금장치(50)가 비운전 상태에서 전방으로 인출될 때 블로킹 플레이트(22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투하구(35)의 상부를 폐쇄할 수 있다.
보관부(30)의 상부판(33)에는 투하구(35)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방에 받침대(36)가 설치될 수 있다. 받침대(36)는 블로킹 플레이트(220)를 지지할 수 있고, 대안적으로, 블로킹 플레이트(220)의 슬라이딩 동작을 가이드하기 위해 가이드 홈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그러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받침대(36)가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도12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프레임(210)은 표면에 전후방 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슬롯(211)을 포함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3개의 슬롯(211)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체적 실시 형태에 따라 슬롯(211)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블로킹 플레이트(220)는 슬라이딩 프레임(210)의 하부에 배치된다. 블로킹 플레이트(220)는 슬라이딩 프레임(210)의 각 슬롯(211)을 관통하되 블로킹 플레이트(220)에 일체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225)를 포함한다. 이 때 돌출부(225)의 상단부가 슬롯(211)의 폭 보다 넓도록 구성하여, 블로킹 플레이트(220)가 슬라이딩 프레임(210)에서 분리되지 않으면서 슬롯(211)을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즉 블로킹 플레이트(220)가 슬라이딩 프레임(210)의 하부에 결합되되 슬라이딩 프레임(2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이 때 블로킹 플레이트(220)가 슬라이딩할 수 있는 거리는 슬롯(211)의 길이에 의해 결정됨을 이해할 것이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블로킹 플레이트(220)의 양쪽 측면에 아래쪽으로 절곡된 측면 절곡부(221)가 형성되고, 블로킹 플레이트(220)의 후방 단부에는 아래쪽으로 절곡된 후방 절곡부(222)가 형성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측면 절곡부(221)와 후방 절곡부(222)의 하단의 높이는 투하구(35)의 상단 높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블로킹 플레이트(220)가 전방으로 계속 슬라이딩하면 후방 절곡부(222)가 투하구(35)의 상단부에 부딪혀서 블로킹 플레이트(220)가 더 이상 전방으로 진행하지 못하므로, 후방 절곡부(222)가 블로킹 플레이트(220)의 전방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투하구 개방/폐쇄 블로킹 구조는 슬라이딩 프레임(210)과 블로킹 플레이트(220)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230)를 포함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탄성부재(230)는 스프링이다. 그러나 대안적 실시예에서 고무줄 등 다른 탄성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탄성부재(230)의 일단이 슬라이딩 프레임(210)의 후방의 걸림부(213)에 결합되고 탄성부재(230)의 타단은 블로킹 플레이트(220)의 전방의 걸림부(223)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프레임(210)과 블로킹 플레이트(220)를 탄성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도11과 도12는 입금장치(50)가 전방으로 인출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슬라이딩 프레임(210)과 블로킹 플레이트(220)가 모두 최대한 후방으로 밀려나 있는 상태이며, 도11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상태에서 투하구(35)는 낙하 통로(55)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며 개방되어 있다. 또한 도12에서 알 수 있듯이 이 때 탄성부재(230)가 최대한 늘어나 있으므로 탄성부재(230)에 인장력이 가해지고 있다. 이 때 블로킹 플레이트(220)의 후단은 후방 케이스(20)의 수직 플레이트(21)에 막혀서 후방으로 움직일 수 없으므로, 이 탄성부재(230)의 인장력이 슬라이딩 프레임(210)을 전방으로 슬라이딩 하도록 힘을 가한다. 그러나 슬라이딩 프레임(210)에 일체로 결합된 입금장치(50)가 무겁기 때문에 탄성부재(230)의 인장력이 가해짐에도 불구하고 슬라이딩 프레임(210)이 움직이지 않는다.
이제 관리자가 수리 등의 이유로 입금장치(50)의 운전을 정지시키고 입금장치(50)를 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인출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관리자가 예컨대 전방 프레임(51)을 잡아당기면 입금장치(50)가 제1 및 제2 슬라이딩 바(38,39)를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며 인출된다.
입금장치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 탄성부재(230)의 인장력에 의해 슬라이딩 프레임(210)만 전방으로 움직이고 블로킹 플레이트(220)는 움직이지 않다가("제1 인출 동작"), 입금장치(50)가 더 인출되면서 슬라이딩 프레임(210)과 블로킹 플레이트(220)가 함께 전방으로 움직이면서("제2 인출 동작") 블로킹 플레이트(220)가 투하구(35)의 상부를 폐쇄하게 된다.
이하에서 도13 내지 도15를 참조하여 제1 인출동작을 설명하고 도16 내지 도18을 참조하여 제2 인출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13 내지 도15는 제1 인출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13은 사시도, 도14는 측면도, 그리고 도15는 슬라이딩 프레임(210)과 블로킹 플레이트(220)의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서 입금장치(50)의 주요 구성요소들을 생략하였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예컨대 관리자가 입금장치(50)의 전방 프레임(51)을 잡아당김에 따라 입금장치(50)에 결합된 슬라이딩 프레임(210)이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탄성부재(230)의 인장력에 의해 슬라이딩 프레임(210)을 전방으로 움직이게 하려는 힘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전방 프레임(51)을 잡아당기는 힘이 작아도 입금장치(50)가 손쉽게 전방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한편 이 때 탄성부재(230)의 인장력이 블로킹 플레이트(220)를 후방으로 움직이려고 하지만 블로킹 플레이트(220)의 후단이 수직 플레이트(21)에 막혀서 후방으로 움직일 수 없으므로, 블로킹 플레이트(220)는 후방으로 밀려나지 못하고 제자리에 그대로 위치한다. 따라서 도13 내지 도15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인출 동작시에는 슬라이딩 프레임(210)만 전방으로 움직이고 블로킹 플레이트(220)는 움직이지 않고 제자리를 유지한다.
도12와 도15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제1 인출 동작에 의해 블로킹 플레이트(220)의 돌출부(225)가 슬라이딩 프레임(210)의 슬롯(211)을 따라 슬롯의 전방에서 후방까지 이동하였고, 돌출부(225)가 슬롯(211)의 후방 끝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입금장치(50)를 더 잡아당기면 슬라이딩 프레임(210)과 블로킹 플레이트(220)가 함께 움직이는 제2 인출 동작이 시작된다.
도16 내지 도18은 제2 인출 동작에 의해 입금장치를 인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16은 사시도, 도17은 측면도, 그리고 도18은 슬라이딩 프레임(210)과 블로킹 플레이트(220)의 사시도이다.
도16 내지 도18에 도시하였듯이 입금장치(50)를 전방으로 더 잡아당기면 입금장치(50)에 결합된 슬라이딩 프레임(210)과 이에 연결된 블로킹 플레이트(220)가 함께 전방으로 슬라이딩하고, 이에 따라 블로킹 플레이트(220)가 투하구(35)의 상부를 폐쇄하게 된다. 이 때 블로킹 플레이트(220)의 후단에 하방으로 절곡된 후방 절곡부(222)가 형성되어 있고 이 후방 절곡부(222)의 하단의 높이가 투하구(35)의 상단 높이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도17 및 도18에 도시한 것처럼 후방 절곡부(222)가 투하구(35)의 상단부에 부딪히면서 블로킹 플레이트(220)가 더 이상 전방으로 진행하지 못하게 되며 이 상태가 입금장치(50)의 최대 인출 위치가 된다.
이상 상술한 투하구의 개방/폐쇄 메커니즘에 따르면 입금장치(50)를 전방으로 인출하는 동작과 투하구(35)를 폐쇄하는 동작을 연결하여 기계적 방식으로 투하구를 개방/폐쇄하기 때문에, 종래에 투하구(35)를 폐쇄하는 동작을 구동모터 등의 별도의 전자적 장치로 수행하는 구성에 비해 구조가 더 간단하면서도 고장의 염려없이 확실하게 투하구의 개방/폐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전방 케이스
20: 후방 케이스
30: 보관부
50: 입금장치
90: 계수장치
100: 지폐 대기 모듈

Claims (13)

  1. 무인 현금 수납기로서,
    지폐를 투입받아 계수하는 계수장치(90), 계수장치의 전방에 배치된 지폐 배출구(13), 및 계수장치의 하단에 배치되며 계수장치를 통과한 지폐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지폐 대기모듈(100)을 구비한 입금장치(50);
    상기 입금장치의 전방과 후방을 각각 둘러싸는 전방 케이스(10) 및 후방 케이스(20); 및
    지폐를 보관하기 위해 상기 입금장치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입금장치에서 낙하하는 지폐가 통과하는 투하구(35)를 구비한 보관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현금 수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대기모듈(100)은,
    상기 지폐 배출구와 계수장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된 슬라이딩판(120); 및
    상기 슬라이딩판(120)의 상부의 제1 힌지 결합부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상방향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123);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돌출부(123)는, 이 돌출부의 제2 힌지 결합부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상기 계수장치를 향해 뻗어 있는 지폐 안착부(127)를 구비하고,
    상기 계수장치를 통과한 지폐가 상기 지폐 안착부(127)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현금 수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판(120) 및 이에 결합된 돌출부(123)가 하강할 때, 상기 지폐 안착부(127)의 선단부가 상기 제2 힌지 결합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돌출부를 향해 회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현금 수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대기모듈(100)은,
    사용자로부터 지폐의 입금 완료 명령을 받기 전까지 지폐를 수용하는 지폐 대기 모드;
    사용자로부터 입금 완료 명령을 받은 후 지폐를 상기 투하구(35) 측으로 투하하는 지폐 투하 모드; 및
    입금 취소 명령에 따라 사용자가 지폐를 회수할 때까지 지폐를 수용하는 지폐 반환 모드; 중 하나의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현금 수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투하 모드에서,
    상기 슬라이딩판(120)과 돌출부(123)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지폐 안착부(127)가 회동하면서 지폐 안착부(127)에 안착되어 있던 지폐를 상기 투하구 측으로 투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현금 수납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대기모듈(100)이,
    상기 슬라이딩판(120)에 가로로 형성된 슬롯(122);
    구동모터(105);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된 캠(108); 및
    상기 캠에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슬롯(122)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슬롯(122)에 연결된 돌기부(109);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돌기부(109)가 슬롯(122)을 따라 움직이면서 상기 슬라이딩판(120)을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현금 수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금장치와 상기 보관부의 사이에 배치된 슬라이딩 프레임(210); 및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과 상기 보관부 사이에 배치된 블로킹 플레이트(220);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10)은 상기 입금장치에 결합되어 입금장치와 일체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블로킹 플레이트(220)는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입금장치가 운전상태에 있을 때,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과 블로킹 플레이트가 각각 후방으로 후퇴함으로써 상기 투하구(35)가 개방되고,
    상기 입금장치가 비운전 상태에서 전방으로 인출될 때, 상기 블로킹 플레이트가 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투하구(35)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현금 수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10)은 표면에 전후방 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슬롯(211)을 포함하고,
    상기 블로킹 플레이트(220)는, 상기 슬롯(211)을 관통하되 상기 블로킹 플레이트에 일체로 연결된 돌출부(225)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슬롯(211)에 가이드되며 전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현금 수납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10)과 상기 블로킹 플레이트(220)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2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금장치가 운전상태에 있을 때 상기 탄성부재(230)에 소정의 인장력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현금 수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230)의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10)의 후방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230)의 타단이 상기 블로킹 플레이트(220)의 전방 단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현금 수납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입금장치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
    상기 탄성부재(230)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10)이 전방으로 움직이고 상기 블로킹 플레이트(220)는 움직이지 않는 제1 인출동작, 및 상기 제1 인출동작 이후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10)과 블로킹 플레이트(220)가 함께 전방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투하구(35)의 상부를 폐쇄하는 제2 인출동작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현금 수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 플레이트(220)의 후단에 하방으로 절곡된 후면 절곡부(222)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 절곡부(222)의 하단의 높이가 상기 투하구(35)의 상단 높이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현금 수납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의 상부판의 좌우 양쪽에 수직으로 배치된 입금장치 지지판(34);
    상기 입금장치 지지판에 각각 부착된 슬라이딩바 지지 레일(37);
    각각의 상기 슬라이딩바 지지 레일(37)에 전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1 슬라이딩 바(38);
    각각의 상기 제1 슬라이딩 바(38)에 전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 슬라이딩 바(39);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금장치(50)가 상기 제2 슬라이딩 바(39)에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현금 수납기.
KR1020190013116A 2019-01-31 2019-01-31 무인 현금 수납기 KR102162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116A KR102162452B1 (ko) 2019-01-31 2019-01-31 무인 현금 수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116A KR102162452B1 (ko) 2019-01-31 2019-01-31 무인 현금 수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256A true KR20200095256A (ko) 2020-08-10
KR102162452B1 KR102162452B1 (ko) 2020-10-07

Family

ID=72049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116A KR102162452B1 (ko) 2019-01-31 2019-01-31 무인 현금 수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4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855B1 (ko) * 2023-04-19 2023-07-04 하나시스 주식회사 무인용 자동 담배 판매장치
KR102613761B1 (ko) 2023-09-21 2023-12-14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팜 의약품 유통 판매를 위한 재고 관리 및 주문 처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2072B2 (ja) * 1986-12-15 1996-05-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紙葉類の放出、回収装置
JP2003281597A (ja) * 2002-03-27 2003-10-03 Oki Electric Ind Co Ltd 紙幣入金機
KR20120084315A (ko) * 2009-11-05 2012-07-27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지폐 입금 장치
KR101781029B1 (ko) 2016-12-29 2017-10-23 주식회사 이노스텍 다기능 현금 자동 입금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2072B2 (ja) * 1986-12-15 1996-05-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紙葉類の放出、回収装置
JP2003281597A (ja) * 2002-03-27 2003-10-03 Oki Electric Ind Co Ltd 紙幣入金機
KR20120084315A (ko) * 2009-11-05 2012-07-27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지폐 입금 장치
KR101781029B1 (ko) 2016-12-29 2017-10-23 주식회사 이노스텍 다기능 현금 자동 입금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855B1 (ko) * 2023-04-19 2023-07-04 하나시스 주식회사 무인용 자동 담배 판매장치
KR102613761B1 (ko) 2023-09-21 2023-12-14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팜 의약품 유통 판매를 위한 재고 관리 및 주문 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452B1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217B1 (ko) 지폐수납기구
JP5600804B2 (ja) 紙幣収納庫および紙幣取扱装置
KR100802288B1 (ko) 지폐입출금장치
JP4973166B2 (ja) 紙幣入出金口機構
US9315355B2 (en)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KR101157741B1 (ko) 지엽 취급 장치
EP3032506B1 (en) Teller cash recycler
JP6483281B2 (ja) 自動取引装置
KR102162452B1 (ko) 무인 현금 수납기
JP5268687B2 (ja) 自動取引装置
KR101165517B1 (ko) 지엽 취급 장치
US9950890B2 (en) Medium stacking apparatus, method for stacking a medium, and financial device
JP2012074068A (ja) 紙幣入出金装置および紙幣入出金装置制御方法
KR102117091B1 (ko) 무인 현금 수납기
JP5335877B2 (ja) 紙幣入出金装置制御方法
US10497221B1 (en) Automated cash receiving apparatus
KR101485818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
KR101732825B1 (ko) 금융기기 및 매체집적장치
JP4838998B2 (ja) 紙幣入出金機
WO2020158974A1 (ko) 무인 현금 수납기
US20070001378A1 (en) Dispensing of currency
US10540836B2 (en) Coin deposit and dispensing machin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coins from a coin deposit and dispensing machine
KR100610998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입금기의 입금제어장치 및 그 방법
EP1739637A2 (en) Dispensing of currency
KR100600400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입금기의 셔터걸림 감지장치 및 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