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9257B1 - 금융 자동화 기기 - Google Patents

금융 자동화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9257B1
KR102639257B1 KR1020190030456A KR20190030456A KR102639257B1 KR 102639257 B1 KR102639257 B1 KR 102639257B1 KR 1020190030456 A KR1020190030456 A KR 1020190030456A KR 20190030456 A KR20190030456 A KR 20190030456A KR 102639257 B1 KR102639257 B1 KR 102639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media
deposit
clamping lever
customer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1307A (ko
Inventor
김석원
김경수
이승수
오혜빈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0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257B1/ko
Publication of KR20200111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2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3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with internal means for handling valuable pa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26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금융 자동화 기기가 소개된다.
이 금융 자동화 기기는 매체의 투입 및 수취가 가능한 접객부와 매체의 분리 및 집적이 수행되는 입출금부를 제공하는 본체와, 입출금부 및 접객부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매체를 이송하는 트레이를 포함하고, 트레이는 접객부 및 입출금부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트레이 바디와, 트레이 바디에 투입되는 매체를 클램핑하기 위해, 트레이 바디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램핑 플레이트와, 클램핑 플레이트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클램핑 레버를 포함하며, 본체는 레크 앤 피니언 방식을 통해 클램핑 레버를 접객부에서 작동시키는 승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융 자동화 기기{AUTOMATIC TELLER MACHINE}
본 발명은 금융 자동화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 자동화 기기(ATM, Automated Teller Machine)는 금융 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 카드나 통장을 이용하여 현금 및 수표의 입출금과 같은 금융 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금융 자동화 기기는 입출금 여부에 따라 출금기, 입금기 및 입출금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금융 자동화 기기는 현금의 입출금은 물론 수표의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금융 자동화 기기는 현금, 수표와 같은 매체를 투입받는 방식에 따라 크게 두 가지 타입으로 나뉘는데, 하나는 포켓 타입으로서 입출금부가 포켓 형상으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매체를 포켓 내부로 투입하도록 하는 타입이고, 다른 하나는 프리젠트 타입으로서 입출금부에 형성된 슬롯을 통해 지폐가 투입 및 인출되는 타입이다.
이 중, 포켓 타입의 경우 사용자가 입금을 하기 위해 매체를 입출금부로 투입하기 위해서는 손을 포켓 내부까지 넣어야 하는데, 사용자가 소속된 문화권에 따라서는 이렇게 기계 내부로 신체의 일부를 넣는 것 자체를 꺼려하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포켓 타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사용자가 손을 입출금부에 넣지 않고도 매체를 입출금할 수 있는 프리젠트 타입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프리젠트 타입은 보안에 다소 취약하고, 한번에 입출금할 수 있는 매체 수량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한번에 많은 금액을 입출금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두 가지 타입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포켓 타입과 프리젠트 타입을 융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으나, 구조가 복잡해지고 실용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실제 적용까지는 아직 요원한 실정이다.
이에, 포켓 타입과 프리젠트 타입의 문제점들을 보완할 수 있는 획기적인 구조를 갖는 금융 자동화 기기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특허등록공보 10-1094499 (2011.12.08)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포켓 타입과 프리젠트 타입 각각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면서도, 레크 앤 피니언 방식을 통해 클램핑 플레이트의 효율적인 승강 작동이 가능한 금융 자동화 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는, 매체의 투입 및 수취가 가능한 접객부와 상기 매체의 분리 및 집적이 수행되는 입출금부를 제공하는 본체; 및 상기 입출금부 및 상기 접객부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매체를 이송하는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접객부 및 상기 입출금부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트레이 바디; 상기 트레이 바디에 투입되는 매체를 클램핑하기 위해, 상기 트레이 바디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램핑 플레이트; 및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클램핑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레크 앤 피니언 방식을 통해 상기 클램핑 레버를 상기 접객부에서 작동시키는 승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 수단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클램핑 레버를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에 제공되는 링크 부재; 상기 링크 부재가 승강 이동되는 경사면을 제공하고, 상기 본체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레크편; 및 상기 레크편을 이동시키기 위한 피니언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트레이를 이송하도록 상기 승강 수단의 상측 공간에 마련되는 구동 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는 상기 클램핑 레버에 의해 상승되도록 측부에 돌출 형성되는 승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 레버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승강 돌기를 구속하도록 상기 트레이 바디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 레버는 상기 링크 부재에 의해 지지되도록 측부에 돌출 형성되는 레버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종래의 포켓 타입의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장치 내부로 유입될 것이 요구된다는 문제점과 프리젠트 타입의 취약한 보안과 한번에 입출할 수 있는 매체 수량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으면서도, 구조가 간소하여 실용화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레크 앤 피니언 작동을 통해, 클램핑 플레이트의 간결한 승강 작동이 이루어짐으로써, 트레이 바디에 투입된 매체를 효율적으로 클램핑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트레이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트레이에서, 클램핑 플레이트가 클램핑 레버에 의해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에서, 레크 앤 피니언 방식에 의해 링크 부재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트레이에서, 클램핑 플레이트가 클램핑 레버에 의해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에서, 레크 앤 피니언 방식에 의해 링크 부재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트레이에 매체가 클램핑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트레이가 매체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입출금부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금융 자동화 기기(1)는, 본체(10) 및 트레이(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는 금융 자동화 기기(1)의 외관을 구성하며, 전방측에 접객부(40)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접객부(40)는 접객구(11)를 통해 지폐나 수표와 같은 매체를 투입 또는 수취하기 위해 마련되는 접객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접객부(40), 입출금부(20) 및 트레이(3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들 입출금부(20)와 접객부(40) 사이에는 트레이(30)가 왕복 이동이 가능한 이동 경로(L)가 마련될 수 있다.
접객부(40)는 사용자에 의한 입금 또는 출금이 용이하도록 본체(10)의 전방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접객부(40)에서는 매체가 금융 자동화 기기(1)의 내부로 투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접객부(40)는 개폐하기 위한 입출금 셔터(41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금부(20)는 입출금을 위한 매체의 분리 및 집적을 수행하기 위해, 본체(10)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입출금부(20)는 하우징(210), 분리 집적 모듈(220) 및 리프팅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210)은 본체(1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고,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분리 집적 모듈(220)이 배치될 수 있다. 분리 집적 모듈(220)은 분리 롤러(222) 및 집적 롤러(224)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 롤러(222)는 트레이(30)에 의해 이송된 매체를 분리할 수 있고, 집적 롤러(224)는 분리 롤러(222)에서 분리된 매체 중 리젝트권 또는 출금을 위해 반송되는 매체를 트레이(30)에 집적할 수 있다.
그리고 리프팅 모듈(230)은 하우징(210) 내에 제공될 수 있고, 트레이(30)를 상하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리프팅 모듈(230)의 상하 방향 이동에 의해, 트레이(30)에 집적되어 있던 매체는 본체(10) 내부의 반송로를 통해 반송될 수 있다. 또한, 리프팅 모듈(230)의 의해, 본체(10) 내에 있던 매체는 트레이(30)로 집적될 수 있는 위치에 놓여질 수 있다.
트레이(30)는 입출금부(20)와 접객부(40)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매체를 본체(10) 내에서 이송할 수 있다. 이 트레이(30)는 접객부(40)에서 고객으로부터 매체를 공급받아 입출금부(20)로 이동할 수 있고, 분리롤러(222)에 의해 낱장 분리된 매체를 금융자동화기기(1) 내 별도의 저장부(미도시)에 이송 저장되도록 할 수 있고, 입출금부(20)에서 출금 대상인 매체를 공급받아 접객부(40)로 이송하여 매체를 고객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30)는 트레이 바디(300), 클램핑 플레이트(360) 및 클램핑 레버(37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 바디(300)는 본체(10)의 이동 경로(L)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트레이 바디(300)의 저면에는 매체의 집적을 위한 저판(110)이 마련될 수 있다.
클램핑 플레이트(360)는 트레이 바디(300)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클램핑 플레이트(360)는 트레이 바디(300)의 저부에 마련된 저판(110)과 대향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클램핑 플레이트(360)에는 클램핑 레버(370)에 의해 지지되는 승강 돌기(36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플레이트(360)에는 클램핑 레버(370)에 의해 지지되는 승강 돌기(36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램핑 플레이트(360)의 승강 돌기(361)가 클램핑 레버(370)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서, 클램핑 레버(370)가 승강 수단(80)의 링크 부재(810)에 의해 상방향 회전(도 3의 반시계 방향)되면, 클램핑 플레이트(360)는 트레이 바디(300)의 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클램핑 플레이트(360)와 저판(110) 사이의 공간에는 매체의 집적을 위한 매체 집적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아울러, 매체가 매체 집적공간(S)에 집적된 경우, 승강 수단(80)의 링크 부재(810)가 하방향 회전(도 5의 시계 방향)되고, 클램핑 레버(370)가 하방향 회전(도 5의 시계 방향)되면, 클램핑 플레이트(360)는 클램핑 레버(370)의 회전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매체 집적공간(S)에 집적된 매체를 클램핑할 수 있다.
클램핑 레버(370)는 클램핑 플레이트(360)의 승강 돌기(361)를 구속할 수 있는 스패너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클램핑 레버(370)의 일단은 트레이 바디(300)에 힌지 연결될 수 있고, 클램핑 레버(370)의 타단은 스패너 형태로 제공되어, 클램핑 플레이트(360)의 승강 돌기(361)를 구속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클램핑 레버(370)의 측단부에는 승강 수단(80)의 링크 부재(810)에 의해 지지되도록 돌출되는 레버 돌기(371)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램핑 레버(370)의 타단이 클램핑 플레이트(360)의 승강 돌기(361)를 구속한 상태, 다시 말해, 클램핑 플레이트(360)의 승강 돌기(361)가 클램핑 레버(370)의 타단에 인입된 상태에서, 클램핑 레버(370)가 도 3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클램핑 플레이트(360)는 트레이 바디(300)의 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아울러, 클램핑 레버(370)의 타단이 클램핑 플레이트(360)의 승강 돌기(361)를 구속한 상태, 다시 말해, 클램핑 플레이트(360)의 승강 돌기(361)가 클램핑 레버(370)의 타단에 인입된 상태에서, 클램핑 레버(370)가 도 5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클램핑 플레이트(360)는 트레이 바디(300)의 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램핑 레버(370)의 작동은 승강 수단(80)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승강 수단(80)은 클램핑 레버(370)를 지지하도록 본체(10)에 제공되는 링크 부재(810)와, 링크 부재(810)가 승강 가능한 경사면을 제공하는 레크편(820)과, 레크편(820)을 본체(10)의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니언기어(830)와, 피니언기어(83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링크 부재(810)는 복수의 링크편이 링크 연결되는 4절 링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링크 부재(810)의 적어도 일부는 클램핑 레버(370)의 승강 돌기(361)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링크 부재(810)에는 레크편(820)에 의해 지지 가능한 링크 돌기(8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레크편(820)은 본체(100)의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레크편(820)의 상면에는 피니언기어(830)에 맞물리는 레크 나사산(8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레크편(820)은 피니언기어(830)의 회전에 의해 도 4 및 도 6의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피니언기어(830)는 액츄에이터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액츄에이터는 피니언기어(83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로, 피니언기어(830)와 벨트(미도시)를 통해 구동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크편(820)이 피니언기어(830)의 회전에 의해 도 4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 링크 부재(810)의 링크 돌기(811)는 레크편(820)의 경사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링크 부재(810)는 상방향 이동하게 된다. 이때, 클램핑 레버(370)는 링크 부재(810)의 상방향 이동에 의해, 클램핑 플레이트(36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면에, 레크편(820)이 피니언기어(830)의 회전에 의해 도 6의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 링크 부재(810)의 링크 돌기(811)는 레크편(820)의 경사면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링크 부재(810)는 하방향 이동하게 된다. 이때, 클램핑 레버(370)는 링크 부재(810)의 하방향 이동에 의해, 클램핑 플레이트(36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체(10)에는 트레이(30)를 이송하기 위한 구동 벨트(14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구동 벨트(140)는 승강 수단(80)의 상측에 형성된 잉여 공간, 보다 자세하게는, 레크편(820) 및 피니언기어(830)의 상측 공간에 위치됨으로써, 본체(10) 내 부품 간 공간 집약적인 배치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금융 자동화 기기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에서 보듯이, 트레이(30)가 접객부(40)로 이동되면, 접객구(11)를 통한 매체의 입금을 위해, 트레이(30)의 트레이 바디(300)는 매체 집적공간(S)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트레이(30)가 접객구(11)로 이동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피니언기어(830)가 회전되면, 레크편(820)은 피니언기어(830)의 회전에 의해 도 4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링크 부재(810)는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클램핑 레버(370)는 링크 부재(810)의 상방향 이동에 의해, 클램핑 플레이트(36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 2와 같이, 클램핑 플레이트(360)와 저판(110) 사이의 공간에는 매체의 집적을 위한 매체 집적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도 7에서 보듯이, 트레이 바디(300)의 매체 집적공간(S)에 매체가 투입되면, 매체 집적공간(S)에 투입된 매체는 클램핑 플레이트(360)에 의해 클램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체가 매체 집적공간(S)에 투입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피니언기어(830)가 회전되면, 레크편(820)은 피니언기어(830)의 회전에 의해 도 6의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링크 부재(810)는 하방향 이동하게 된다. 이때, 클램핑 레버(370)는 링크 부재(810)의 하방향 이동에 의해, 클램핑 플레이트(36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 7과 같이, 클램핑 플레이트(360)와 저판(110) 사이의 공간에 매체를 클램핑할 수 있다.
매체 집적공간(S)에 집적된 매체(M)가 클램핑 플레이트(360)에 의해 클램핑되면, 도 8에서 보듯이, 트레이 바디(300)는 본체(10)에 마련된 이동 경로(L)를 통해 입출금부(20)로 이동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 금융 자동화 기기 10: 본체
20: 입출금부 30: 트레이
40: 접객부 80: 승강 수단
300 :트레이 바디 360: 클램핑 플레이트
370 :클램핑 레버 810: 링크 부재
820 :레크편 830: 피니언 기어

Claims (6)

  1. 매체의 투입 및 수취가 가능한 접객부와 상기 매체의 분리 및 집적이 수행되는 입출금부를 제공하는 본체; 및
    상기 입출금부 및 상기 접객부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매체를 이송하는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접객부 및 상기 입출금부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트레이 바디;
    상기 트레이 바디에 투입되는 매체를 클램핑하기 위해, 상기 트레이 바디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램핑 플레이트; 및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클램핑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레크 앤 피니언 방식을 통해 상기 클램핑 레버를 상기 접객부에서 작동시키는 승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는
    상기 클램핑 레버에 의해 상승되도록 측부에 돌출 형성되는 승강 돌기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수단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클램핑 레버를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에 제공되는 링크 부재;
    상기 링크 부재가 승강 이동되는 경사면을 제공하고, 상기 본체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레크편; 및
    상기 레크편을 이동시키기 위한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트레이를 이송하도록 상기 승강 수단의 상측 공간에 마련되는 구동 벨트를 더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레버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승강 돌기를 구속하도록 상기 트레이 바디에 힌지 연결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레버는
    상기 링크 부재에 의해 지지되도록 측부에 돌출 형성되는 레버 돌기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KR1020190030456A 2019-03-18 2019-03-18 금융 자동화 기기 KR102639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456A KR102639257B1 (ko) 2019-03-18 2019-03-18 금융 자동화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456A KR102639257B1 (ko) 2019-03-18 2019-03-18 금융 자동화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307A KR20200111307A (ko) 2020-09-29
KR102639257B1 true KR102639257B1 (ko) 2024-02-21

Family

ID=72661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456A KR102639257B1 (ko) 2019-03-18 2019-03-18 금융 자동화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92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320B1 (ko) * 2010-01-13 2011-12-07 주식회사 위즈메카트로닉스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
KR101936608B1 (ko) 2017-09-22 2019-01-09 (주)현대엠아이비인터내셔널 유가증권 적재장치용 적재 트레이 이동유닛 및 이를 갖는 유가증권 적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499B1 (ko) 2010-08-03 2011-12-20 엘지엔시스(주) 금융자동화기기
KR101591826B1 (ko) * 2012-12-14 2016-02-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입출금장치 및 지폐류 입출금방법
KR102030513B1 (ko) * 2012-12-27 2019-11-18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지폐류 입출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320B1 (ko) * 2010-01-13 2011-12-07 주식회사 위즈메카트로닉스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
KR101936608B1 (ko) 2017-09-22 2019-01-09 (주)현대엠아이비인터내셔널 유가증권 적재장치용 적재 트레이 이동유닛 및 이를 갖는 유가증권 적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307A (ko) 202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5613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3172083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102312908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제어방법
KR101016245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2165719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및 금융 자동화 기기의 협지력 유지를 위한 매체 분리 방법
KR102639257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WO2014155644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20010015101A (ko) 지폐류 수납 지폐카세트 및 자동거래장치
KR102639252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KR20210081121A (ko) 금융 자동화 기기 및 금융 자동화 기기의 제어 방법
US9643785B2 (en) Bunch presentation
KR102157693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KR102157697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KR102157686B1 (ko) 트레이 록킹 구조를 갖는 금융 자동화 기기
KR101226348B1 (ko) 매체 보관함, 금융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70051989A (ko) 복수의 출금부를 구비한 금융 자동화기기
WO2013172084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101099900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2157699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KR102152899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KR101247080B1 (ko) 금융기기 및 매체 보관함
KR102621899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KR200389004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2635563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KR20160077908A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