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1989A - 복수의 출금부를 구비한 금융 자동화기기 - Google Patents

복수의 출금부를 구비한 금융 자동화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1989A
KR20070051989A KR1020050109482A KR20050109482A KR20070051989A KR 20070051989 A KR20070051989 A KR 20070051989A KR 1020050109482 A KR1020050109482 A KR 1020050109482A KR 20050109482 A KR20050109482 A KR 20050109482A KR 20070051989 A KR20070051989 A KR 20070051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cash
unit
withdrawal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9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식
이원준
한중혁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9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1989A/ko
Publication of KR20070051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19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3Dispensing operations within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2/00Electronic funds transfer
    • Y10S902/08Terminal* with means permitting deposit or withdrawal, e.g. ATM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의 장치 활용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증진시킨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융자동화기기에 복수의 출금부를 구성하며, 그 내부에 저장된 현금을 상기 출금부 중 하나로 이송하는 장치를 구비한 복수의 출금부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출금부를 설치하여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비교적 구조가 간단한 이송 수단이 구비되어 빠르게 사용자가 사용하는 출금부로 현금을 이송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의 대기 시간이 줄어 들며 금융자동화기기의 구성 요소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한다.
지폐 적재, 출금부, 지폐 출금, 금융 자동화기기

Description

복수의 출금부를 구비한 금융 자동화기기 {CASH TRANSACTION MACHINE HAVING TWO OR MORE BILL DRAWING PARTS}
도 1은 종래의 금융자동화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금융 자동화기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금융 자동화 기기의 전면에 위치한 출금부로 지폐를 이송하는 모습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금융 자동화 기기의 후면에 위치한 출금부로 지폐를 이송하는 모습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면에 위치한 출금부로 지폐를 이송하는 모습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후면에 위치한 출금부로 지폐를 이송하는 모습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금융자동화기기 100: 출금장치
110, 210: 저장고 120, 220: 제1 이송장치
130: 일시스택부 160: 제2 이송장치
170, 270: 제1 출금부 180, 280: 제2 출금부
300: 전환수단 310: 제1 출금부 이송수단
320: 제2 출금부 이송수단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융 자동화기기의 전면부뿐만 아니라, 후면부에도 출금부를 설치하여 장치의 활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한대의 금융 자동화기기를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어서, 이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부에 관한 것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장소 및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보조할 수 있는 무인 자동화 장치이다. 이러한, 금융자동화기기는 입출금 여부에 따라 지폐출금기와 지폐입출금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금융자동화기기는 지폐 입출금은 물론 수표(Check) 입출금, 통장 정리, 티켓 발매 등 기타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출금 기능에 있어서, 금융자동화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인증과정에 따 른 인증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인증과정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액수만큼 정해진 종류 및 갯수의 지폐를 지폐 출금부로 이송하게 된다. 이 때, 금융 자동화기기는 지폐 출금부로부터 배출되는 지폐를 소정의 적재 공간에 적재하며, 사용자가 입력한 액수만큼의 개수를 적재하게 되면 비로소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지폐 출금부는 금융 자동화기기의 일면에 배치되고, 사용자는 금융 자동화기기의 전면에 서서 지폐 출금부를 마주 본 상태로 작동하게 된다. 즉, 금융 자동화기기의 전면에는 지폐 출금부 등 사용에 필요한 인터페이스가 장착되고, 그 후면은 벽등에 밀착되어 전혀 활용되고 있지 못하다. 보다 자세한 설명을 위해 도 1 및 도 2를 제시한다.
도 1은 종래의 금융자동화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금융자동화기기는 현금 또는 수표를 입출금하기 위한 장비로서, 하나의 하우징 내에는 마그네틱 카드 리딩 모듈, 통장 정리 모듈,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지폐 입출금 모듈 등과 같이 기능 단위로 구별되는 여러 개의 모듈이 설치되어 있다.
금융자동화기기에서 마그네틱 카드 리딩 모듈은 카드 투입부(10)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은 디스플레이화면(20)이나 키입력부(25)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지폐 출금 모듈은 현금 방출부(3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도 1에 도시된 현금 방출부(30)는 직접 배출 방식에 따른 것으로서, 지폐 출 금 모듈 내에서 이미 요청된 금액의 현금이 준비된 후, 현금이 현금 방출부(30)에서 스택(stack) 단위로 제공된다. 하지만, 현금을 보관하고 있는 저장고(cash cassette)에서는 현금을 낱장 단위로만 제공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지폐 출금 모듈 내에서 현금을 스택 단위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현금을 일시로 적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지폐 출금 모듈은 일시스택부(temporary stacking section)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금융 자동화기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출금 모듈은 저장고(40), 이송부(50), 현금검지센서(60), 회수부(70) 및 일시스택부(80)를 포함한다. 현금은 저장고(40)로부터 배출되어 이송부(50)를 따라 이동하며, 일시스택부(80)에서 소정의 금액만큼 적재된 후 정상 거래 인증에 따라 출금부(30)로 이송된다.
저장고(40)로부터 현금이 1장씩 인출되며, 인출된 현금은 이송부(50)를 따라 일시스택부(80)로 이송된다. 일시스택부(80)로 이송되는 동안 현금은 현금검지센서(60)를 통과하게 되고, 현금검지센서(60)는 통과하는 현금의 이매(double sheet) 여부, 지폐의 훼손, 지폐의 권종 진위, 위조 여부 등을 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과하는 매체가 정상적인 거래를 할 수 없는 경우에는 회수편(72)이 작동하여 현금의 이송 경로를 전환시킬 수 있으며, 전환된 현금은 회수부(70)로 보관되어 일시스택부(80)로 진입할 수가 없다.
고객(customer)이 요청한 금액의 현금이 일시스택부(80)에 적재되면, 이송부(50)는 반대로 동작하여 일시스택부(80)에 적재된 현금을 한번에 출금부(30)로 이 송할 수가 있으며, 고객은 출금부(30)를 통해서 노출된 금액을 수령할 수가 있다. 하지만, 출금부(30)는 금융 자동화기기의 전면 일측에만 구비되어 있으며, 금융 자동화기기의 후면은 벽 등에 밀착되어 전혀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금융 자동화기기의 전면만을 이용하여 1대의 금융 자동화기기를 1명의 사용자만이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대기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장치의 활용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금융 자동화기기의 전면부뿐만 아니라, 후면부에도 출금부를 설치하여 장치의 활용 효율성을 높이는 금융 자동화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대의 금융 자동화기기를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이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금융 자동화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출금부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현금을 출납하는 제1 출금부와, 상기 제1 출금부와 대향되는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후면에 설치되며 현금을 출납하는 제2 출금부와, 상기 금융자동화기기 내부에서 현금을 보관하는 저장고현금 카세트와, 상기 저장고로부터 상기 제1 출금부까지 현금을 이송하기 위한 제1 이송 경로 및 상기 저장고로부터 상기 제2 출금부까지 현 금을 이송하기 위한 제2 이송 경로를 제공하는 이송수단, 및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이송 경로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 2 이송 경로는 상기 저장고로부터 일정 지점까지 공통되는 공통 경로 및 일정 지점에서 분기되는 제 1 및 2 분기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공통 경로를 따라 현금을 이송하는 제 1 이송부와, 상기 공통 경로의 말단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 경로 이외의 위치에서 현금을 임시로 적재하는 일시스택부와, 상기 일시스택부를 이송하여 상기 제1 및 제 2 분기 경로의 입구로 이송하는 스택이송부, 및 상기 분기 경로의 입구에 위치한 현금 스택을 제1 또는 제2 분기 경로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여 이송하는 2 이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저장고로부터 이송된 현금을 일시 적재하였다가 상기 이송수단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 이송경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원하는 상기 출금부로 이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현금을 보관하는 저장고와, 상기 저장고의 현금이 이송되어 일시 적재되는 일시스택부와, 상기 저장고로부터 상기 일시스택부까지 현금을 이송하는 일시스택부 이송수단과, 상기 저장고를 내장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외부에 복수로 노출 형성된 출금부와, 상기 일시스택부를 이동시키는 스택이송부, 및 상기 스택이송부에 의해 이동된 상기 일시스택부로부터 상기 출금부 중 하나로 현금을 이송하는 출금부 이송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내부에 저장된 현금을 제1 출금부로 이송하는 제1 이송경로를 제공하는 제1 출금부 이송수단과, 상기 제1 이송경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1 출금부와 다른 제2 출금부로 상기 현금을 이송하는 제2 이송경로를 제공하는 제2 출금부 이송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이송경로가 분기되는 지점에 상기 현금의 이송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전환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전환수단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제1 출금부 및 상기 제2 출금부 중 하나로 현금을 이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금융자동화기기의 전후면에 각각 설치되어 사용자가 현금을 출납할 수 있는 출금부와,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현금을 보관하는 저장고와, 현금이 일시 적재되는 일시스택부와, 상기 저장고에서 상기 일시스택부까지 현금을 이송하기 위한 일시스택부 이송수단, 및 상기 일시스택부에서 상기 출금부까지 현금을 이송하되, 그 회전 방향을 달리함에 따라 서로 다른 상기 출금부로 현금을 이송할 수 있는 출금부 이송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일시스택부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일시스택부의 상측면으로 돌출 및 수납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저장고로부터 이송된 현금을 상기 일시스택부의 상측면에 적재되는 것이 좋다. 상기 출금부 이송수단은 순환하는 벨트로써, 상기 일시스택부에 현금이 적재되는 동안에는 이격되어 있다가 현금의 적재 완료후 상기 일시스택부와 밀착되어 현금을 이송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출금장치(100)는 저장고(110), 제1 이송장치(120), 일시스택부(130), 제2 이송장치(160) 및 복수의 출금부(170, 180)를 포함한다.
상기 출금장치(100)는 2개의 저장고(110)를 포함하며, 2개의 저장고(110)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필요한 만큼의 현금을 인출할 수가 있다. 저장고(110)로부터 낱장 단위로 인출된 현금은 제1 이송장치(120)에 의해서 이송되며, 일시스택부(130)에서 낱장 단위로 적재된다. 일시스택부(130)에 소정의 현금이 적재되면, 일시스택부(130)가 제2 이송장치(160)으로 이동하게 되며, 현금 스택은 제2 이송장치(160)의 의해서 정의되는 이송경로 상에 위치하여 복수의 출금부(170, 180)로 선택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10)는 현금카세트일 수 있으며, 그 개수 및 모양은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출금장치(100)에는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저장고(110)가 적재되며, 픽업롤러(112)의 회전에 대응하여 적재된 현금이 한 장씩 배출될 수 있다. 출금장치(100)로부터 배출된 현금은 제1 이송장치(120)에 의해서 일시스택부(130)로 이송되지만, 이매로 판단되거나 위조 지폐 등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일시스택부(130)로 이송되지 못하고, 회수함(140)에서 별도로 보관될 수가 있다. 이때 회수함(140)에 인접하게 회수편(142)이 장착되며, 회수편(142)은 솔레노이드 등의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여 현금의 이송경로를 전환할 수가 있다. 보다 자세히 말하면, 회수편(142)이 회동하면서 제1 이송장치(120)의 경로를 차단, 회수함(140)으로 경로를 변경시켜 보관하게 된다.
일시스택부(130)의 스택 지지대 상에는 저장고(110)로부터 이송되는 현금이 한 장씩 쌓인다. 소정의 금액이 적재되면 제1 이송장치(120)의 현금의 이송을 중지할 수 있으며, 현금 스택을 지지하고 있는 일시스택부(130)는 스택이송부(미도시)에 의해서 제2 이송장치(160)로 이송된다. 본 금융자동화기기에는 회로부품 및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이송 경로를 선택하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운전된다.
상기 복수의 출금부(170, 180)는 각각 금융 자동화 기기(1)의 전면 및 후면에 장착되며, 도시하지 않은 제어 수단에 의하여 벨트의 방향을 조절하여 본 출금장치(100)는 전면에 위치한 제1 출금부(170) 혹은 후면에 위치한 제2 출금부(180)로 선택적으로 지폐 등을 이송할 수 있다. 그 자세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4 및 도 5를 제시한다.
도 4는 금융 자동화 기기의 전면에 위치한 출금부로 지폐를 이송하는 모습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5는 금융 자동화 기기의 후면에 위치한 출금부로 지폐를 이송하는 모습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시스택부(130)는 스택 지지대의 상면이 제2 이송장치(160)의 이송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이동하여, 제2 이송장치(160)에 의해서 정의되는 이송경로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도 4에 같이, 일시스택부(130)가 제2 이송장치(160)로 이송된 후, 제2 이송장치(160)가 작동을 시작하여 일시스택부(130) 상에 있는 현금 스택을 제1 출금부(170)로 이송한다. 제2 이송장치(160)에서는 현금이 스택 단위로 이송되며, 제1 출금부(170)에서도 현금 스택은 부분적으로 제2 이송장치(160)에 홀딩된 상태를 유지한다. 현금 스택이 제1 출금부(170)로부터 노출되면 고객은 요청한 금액을 수령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출금부(170)로의 이송 경로는 도면 부호 161로 나타낸다.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송장치(160)는 이송경로를 중심으로 상하로 배치되는 제2 순환이송벨트(162~166)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부에 위치한 제2 순환이송벨트(164, 166) 사이는 대략 일시스택부(130)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일시스택부(130)가 진입할 수가 있다.
만약, 고객이 제2 출금부(180)에서 현금을 수령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제2 이송장치(160)는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제2 출금부(180)로 현금 스택을 이송할 수 있다. 반대 방향으로 동작하는 것은 전술한대로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가 사용자의 명령을 받아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출금부로 현금을 이송하도록 이송장치를 제어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제2 출금부(180)로의 이송 경로를 도면 부호 167로 표시한다. 이처럼, 금융 자동화 기기(1)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각각 출금부를 설치하여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서,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이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전면부 및 후면부에 설치하여 장치의 활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제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금장치(200)는 2개의 저장고(210)를 포함하며, 2개의 저장고(210)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필요한 만큼의 현금을 인출할 수가 있다. 저장고(210)로부터 낱장 단위로 인출된 현금은 제1 이송장치(220)에 의해서 이송된다.
제1 이송장치(220)에 의해 이송된 현금은 그 이송로 상에 설치되며, 솔레노이드 등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에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전환수단(300)에 의해 이송로가 선택된다. 즉, 제1 출금부(170)로 이송되는 제1 출금부 이송수단(310)와 제2 출금부(180)로 이송되는 제2 출금부 이송수단(320) 중에서 회동에 의하여 이송로를 선택할 수 있다.
출금장치(200)에는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저장고(210)가 적재되며, 픽업롤러(212)의 회전에 대응하여 적재된 현금이 한 장씩 배출될 수 있다. 출금장치(200)로부터 배출된 현금은 제1 이송장치(220)에 의해서 전환수단(300)으로 이송되지만, 이매로 판단되거나 위조 지폐 등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1 회수함(240)에서 별도로 보관될 수가 있음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때 제1 회수함(240)에 인접하게 회수편(242)이 장착되며, 회수편(242)은 솔레노이드 등의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여 현금의 이송경로를 전환할 수가 있다. 미설명 부호 305는 제1 출금부 이송수단(310)으로 현금을 이송하는 롤러이다. 또한,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지만 이송경로를 중심으로 상하로 배치되는 순환이송벨트나 롤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출금부(270, 280)는 각각 금융 자동화 기기의 전면 및 후면에 장착되며, 본 출금장치(200)는 전면에 위치한 제1 출금부(270) 혹은 후면에 위치한 제2 출금부(280)로 선택적으로 지폐 등을 이송할 수 있다. 그 자세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7 및 도 8을 제시한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면에 위치한 출금부로 지폐를 이송하는 모습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8은 후면에 위치한 출금부로 지폐를 이송하는 모습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에 같이, 전환수단(300)이 회동하여 제1 이송장치(220)에 의해 이송된 현금이 제1 출금부 이송수단(310)를 통해 제1 출금부(270)로 출금되도록 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전환수단(300)이 솔레노이드 등의 구동 장치로 회동하여 제1 이송장치(220)에서 이송된 현금이 전환수단(300)의 외측면을 타고 제1 출금부 이송수단(310)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롤러(305)는 제1 출금부 이송수단(310)으로 현금이 진입하도록 도와주게 된다. 현금은 제1 출금부(270)로부터 노출되면 고객은 요청한 금액을 수령할 수 있다.
만약, 고객이 제2 출금부(280)에서 현금을 수령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전환수단(300)은 회동하여 제1 이송장치(220)에서 이송된 현금이 제2 출금부 이송수단(320)을 통해 후면부에 위치한 제2 출금부(280)로 이송하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전환수단이 회동하지 않아서 제1 이송장치(220)의 경로 상에서 이송되는 현금을 간섭하지 않으면 제2 출금부 이송수단(320)을 따라 제2 출금부(280)로 이송되게 되어 있으며, 만약, 전환수단(300)이 회동하여 현금의 진행 방향을 간섭하여 제1 출금부 이송수단(310)으로 방향을 선회하게 한다면, 현금은 제1 출금부(270)로 이송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환수단(300)의 간섭이 없으면 제1 출금부(270)로 송부하고 전환수단의 회동에 의한 현금의 진행 방향 간섭시에는 제2 출금부(280)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전면부 및 후면부에 설치하여 장치의 활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융 자동화 기기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각각 출금부를 설치하여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서,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융 자동화기기는 금융 자동화기기의 전면부뿐만 아니라, 후면부에도 출금부를 설치하여 장치의 활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대의 금융 자동화기기를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이용의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금융자동화기기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현금을 출납하는 제1 출금부;
    상기 제1 출금부와 대향되는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후면에 설치되며 현금을 출납하는 제2 출금부;
    상기 금융자동화기기 내부에서 현금을 보관하는 저장고현금 카세트;
    상기 저장고로부터 상기 제1 출금부까지 현금을 이송하기 위한 제1 이송 경로 및 상기 저장고로부터 상기 제2 출금부까지 현금을 이송하기 위한 제2 이송 경로를 제공하는 이송수단; 및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이송 경로를 선택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복수의 출금부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 2 이송 경로는 상기 저장고로부터 일정 지점까지 공통되는 공통 경로 및 일정 지점에서 분기되는 제 1 및 2 분기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공통 경로를 따라 현금을 이송하는 제 1 이송부;
    상기 공통 경로의 말단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 경로 이외의 위치에서 현금을 임시로 적재하는 일시스택부;
    상기 일시스택부를 이송하여 상기 제1 및 제 2 분기 경로의 입구로 이송하는 스택이송부; 및
    상기 분기 경로의 입구에 위치한 현금 스택을 제1 또는 제2 분기 경로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여 이송하는 2 이송부;
    를 포함하는 복수의 출금부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 2 이송 경로는 상기 저장고로부터 일정 지점까지 공통되는 공통 경로 및 일정 지점에서 분기되는 제 1 및 2 분기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공통 경로 및 상기 제1 분기 경로를 따라 현금을 이송하는 1 이송부;
    상기 공통 경로의 말단에서 현금을 상기 제 2 분기 경로로 전환하는 전환수단;
    상기 제 2 분기경로를 따라 현금을 이송하는 2 이송부;
    를 포함하는 복수의 출금부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저장고로부터 이송된 현금을 일시 적재하였다가 상기 이송수단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 이송경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원하는 상기 출금부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출금부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경로 및/또는 제2 이송경로에 위치하여 선택된 종이 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회수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회수수단은 상기 선택된 종이 매체의 이송경로를 전환하기 위한 회수편 및 상기 회수편에 의해서 전환된 상기 선택된 종이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6. 현금을 보관하는 저장고;
    상기 저장고의 현금이 이송되어 일시 적재되는 일시스택부;
    상기 저장고로부터 상기 일시스택부까지 현금을 이송하는 일시스택부 이송수단;
    상기 저장고를 내장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외부에 복수로 노출 형성된 출금부;
    상기 일시스택부를 이동시키는 스택이송부; 및
    상기 스택이송부에 의해 이동된 상기 일시스택부로부터 상기 출금부 중 하나로 현금을 이송하는 출금부 이송수단;
    을 포함하는 복수의 출금부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출금부 이송수단은 복수개의 순환이송벨트이며, 그 순환 방향이 변화하여 상기 복수의 출금부 중 하나로 현금을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출금부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8. 제 7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순환이송벨트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며, 이격된 간격 사이로 상기 일시스택부가 승강하여 상기 출금부 이송수단에 의해 정의되는 이송경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출금부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스택부는 순환되는 벨트로 형성되며, 상기 일시스택부가 상기 스택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될 경우 상기 일시스택부도 상기 출금부 이송수단에 의하여 정의되는 경로를 일부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출금부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스택부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일시스택부의 상측면으로 돌출 및 수납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저장고로부터 이송된 현금을 상기 일시스택부의 상측면에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출금부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11. 내부에 저장된 현금을 제1 출금부로 이송하는 제1 이송경로를 제공하는 제1 출금부 이송수단;
    상기 제1 이송경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1 출금부와 다른 제2 출금부로 상기 현금을 이송하는 제2 이송경로를 제공하는 제2 출금부 이송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이송경로가 분기되는 지점에 상기 현금의 이송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전환수단;
    을 포함하여 상기 전환수단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제1 출금부 및 상기 제2 출금부 중 하나로 현금을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출금부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금부 이송수단 또는 상기 제2 출금부 이송수단에 의하여 각각 제1 이송로 및 제2 이송로가 정의되며, 상기 전환수단은 상기 제1 이송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일면 및 회동시 상기 제2 이송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타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출금부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금부 이송수단은 일정거리 이격된 복수개의 순환 벨트이며, 상기 전환수단은 삼각뿔대 형상으로 상기 순환 벨트의 이격된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복수의 출금부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은 솔레노이드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출금부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KR1020050109482A 2005-11-16 2005-11-16 복수의 출금부를 구비한 금융 자동화기기 KR200700519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482A KR20070051989A (ko) 2005-11-16 2005-11-16 복수의 출금부를 구비한 금융 자동화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482A KR20070051989A (ko) 2005-11-16 2005-11-16 복수의 출금부를 구비한 금융 자동화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989A true KR20070051989A (ko) 2007-05-21

Family

ID=38274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9482A KR20070051989A (ko) 2005-11-16 2005-11-16 복수의 출금부를 구비한 금융 자동화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198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873B1 (ko) * 2008-02-26 2010-08-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매체입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975909B2 (en) 2007-12-21 2011-07-12 Nautilus Hyosung Inc. Device of Supplying Paper Medium
US8146804B2 (en) 2007-12-21 2012-04-03 Nautilus Hyosung Inc. Cash transaction machine
KR101244390B1 (ko) * 2011-04-22 2013-03-18 주식회사 푸른기술 매체방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75909B2 (en) 2007-12-21 2011-07-12 Nautilus Hyosung Inc. Device of Supplying Paper Medium
US8146804B2 (en) 2007-12-21 2012-04-03 Nautilus Hyosung Inc. Cash transaction machine
KR100973873B1 (ko) * 2008-02-26 2010-08-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매체입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44390B1 (ko) * 2011-04-22 2013-03-18 주식회사 푸른기술 매체방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3491B1 (ko) 지폐류 취급장치의 일시보관고
KR100380648B1 (ko) 지폐입출금기
US20120031728A1 (en) Financial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medium processing apparatus
JP5959643B2 (ja) 媒体保管箱及び金融機器
KR101250693B1 (ko)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1016245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20070051989A (ko) 복수의 출금부를 구비한 금융 자동화기기
KR200392317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JP4794715B2 (ja) 循環式紙幣入出金装置
KR101226348B1 (ko) 매체 보관함, 금융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099900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200411493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200389004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1247080B1 (ko) 금융기기 및 매체 보관함
KR100696993B1 (ko) 금융자동화기기 및 금융자동화기기의 초기화 방법
KR100600347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입금동작 감지장치
KR200393229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1106794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1289543B1 (ko) 매체보관함 및 그의 제어방법, 금융기기
KR101016508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0610999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출금기의 출금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12368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1781304B1 (ko) 매체 보관 장치와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KR101016494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JP4011195B2 (ja) 紙幣入出金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