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2675B1 -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2675B1
KR100222675B1 KR1019970008106A KR19970008106A KR100222675B1 KR 100222675 B1 KR100222675 B1 KR 100222675B1 KR 1019970008106 A KR1019970008106 A KR 1019970008106A KR 19970008106 A KR19970008106 A KR 19970008106A KR 100222675 B1 KR100222675 B1 KR 100222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plate
moving means
sens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8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3042A (ko
Inventor
박국호
Original Assignee
박국호
주식회사제패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국호, 주식회사제패트로닉스 filed Critical 박국호
Priority to KR1019970008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2675B1/ko
Publication of KR19980073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3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2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2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8/00Preparation of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8/04Preparation of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from carbon dioxide or inorganic carbon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매자의 반환요구에 따라 투입된 지폐를 직접 반환하기 위해, 좌프래임(50)과 우프래임(60)으로 이루어진 프래임(32)과, 상기 프래임(32)의 상부측에 분리가능하도록 금고(34)가 안착되는 결합부재(80)와, 상기 결합부재(80)의 하부측 소정량 이격된 거리에 형성된 슬라이딩부재(90)와, 상기 슬라이딩부재(90)의 하부측 좌우프레임(50, 60) 내면 양측에 설치되어 투입구(40)로부터 들어오는 지폐(36)가 안착되는 안착부(57, 64)와, 상기 안착부(57, 64)의 하부측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2이동수단(120)과, 상기 제 2이동수단(120)의 하부에 일측이 밀착되어 연동되는 제 1이동수단(100)과, 상기 제 1이동수단(100)의 반대측에 구비되며 지폐(36)를 반환시키는 제 3이동수단(140)과, 상기 제 3이동수단(140)의 일측에 고정되며 지폐(36)를 반환구(42)측으로 이동시키는 반송부재(160)와, 상기 반송부재(160)로부터 반환되는 지폐(36)의 반환구(42) 및 투입구(40)가 설치되며 투입구(40)로부터 투입되는 지폐(36)의 금액을 판독하거나 지폐(36)의 손상을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감지박스(3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
본 발명은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매자의 반환요구에 따라 투입된 지폐를 직접 반환하도록 한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판기 및 지하철 승차권의 발매기에 동전을 투입시키는 투입구와 지폐를 투입시키는 투입구가 분리되어 설치되어 있는 바, 본 발명은 상기 지폐를 투입시키는 자판기 및 승차권의 발매기 자동정산기등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하 지폐를 투입하는 자판기 및 승차권의 발매기 자동정산기등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자판기 및 승차권의 발매기 자동정산기는 구매버튼과 취소버튼이 외부측에 소정량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구매자의 요구에 따라 자판기 및 승차권 발매기 자동정산기에서 캔, 커피, 음료 및 승차권을 구입할 수 있는 기기이다.
상기 자판기 및 승차권 발매기의 내부측에는 투입되는 지폐를 구매자의 요구에 따라 반환시키거나 금고에 투입시키는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바, 종래의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는 박스형의 프래임 일측에 소정량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투입구를 통해 지폐가 삽입되고, 상기 투입구로부터 삽입된 지폐는 프래임의 내부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다수개의 회전로울러의 회동에 의해 마찰계수가 비교적 큰 재질의 다수개의 벨트가 이송시킨다. 이 이송중에 구매자의 반환 및 구매요구에 따라 제어판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회전로울러의 회동에 의해 취소시 프래임의 일측에 소정량 돌출되도록 형성된 반환구로 인출시켜 반환시키고, 구매시에는 금고내부에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는 만원권의 지폐를 투입구에 투입시키고 취소버튼을 누르면 천원권으로 바뀌어져 인출되는 경우가 종종 있고, 벨트상에 일시 정지되어 저장되는 지폐가 열한장 이상이면 작동되지 않아 다시 설계하여 제작하여야 하며, 회전로울러의 회동에 의해 벨트가 지폐를 이동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지폐의 이동경로가 길어 잼이 발생될 우려가 있고, 부품수가 많아 가격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작업공정이 복잡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매자가 투입한 지폐를 취소시 구매자에게 직접 반환해 주도록 하는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좌프래임과 우프래임으로 이루어진 프래임과, 상기 프래임의 상부측에 분리할 수 있도록 금고가 안착되어져 있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하부측 소정량 이격된 거리에 형성된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하부측 좌우프레임 내면 양측에 설치되어 투입구로부터 들어오는 지폐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하부측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2이동수단과, 상기 제 2이동수단에 일측이 밀착되어 연동되는 제 1이동수단과, 상기 제 1이동수단의 반대측에 구비되며 지폐를 반환시키는 제 3이동수단과, 상기 제 3이동수단의 일측에 고정되며 지폐를 반환구측으로 이동시키는 반송부재와, 상기 프래임의 일측에는 외향 돌출되도록 투입구와 반환구가 설치되며 투입되는 지폐의 금액을 판독하거나 지폐의 손상을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감지박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를 도시한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를 도시한 좌측면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를 도시한 우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의 제 1이동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의 제 2이동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의 제 3이동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7의 결합 사시도
도 11는 도 8의 결합 사시도
도 12은 도 9의 결합 사시도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의 작동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3a는 지폐가 투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b는 지폐가 안착부에 안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c는 제 2이동수단이 상향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3d는 제 2이동수단이 내려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e는 지폐가 쌓여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3f는 제 3이동수단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
도 13g는 제 1이동수단과 제 2이동수단이 동시에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 32 : 프래임
34 : 금고 36 : 지폐
38 : 감지박스 40 : 투입구
42 : 반환구 44 : 제어판
46 : 전선 50 : 좌프래임
53,69 : 장공 56 : 전선삽입공
57,64 : 안착부 58,65 : 걸림편
59,72 : 하연장부 60 : 우프래임
61 : 제 1취부공 62 : 제 2취부공
63 : 제 3취부공 80 : 결합부재
81 : 사각홀 82 : 결합부
83 : 연장부 90 : 슬라이딩부재
91 : 사각홀 92 : 가이드레일
93 : 걸림부 100 : 제 1이동수단
101 : 제 1구동모터 102 : 제 1평판
103 : 제 1센서판 104,105 : 센서홈
104a,105a : 근접센서 106 : 돌출부
107 : 제 1링크 108 : 장홀
109 : 힌지 110 : 고정부재
111 : 로울러 120 : 제 2이동수단
121 : 본체 122 : 사각홀
123 : 가이드 124 : 가이드봉
125 : 플레이트 126 : 고정부
127 : 제 2링크 128 : 돌출부
129 : 제 2평판 130 : 제 2센서판
131 : 제 2구동모터 132 : 센서홈
132a : 근접센서 134 : 고정브라켓
135 : 가이드판 140 : 제 3이동수단
141 : 고정판 142 : 제 3구동모터
143 : 제 1피니언 144 : 제 2피니언
145 : 제 3센서판 146,147 : 센서홈
146a,147a : 근접센서 148 : 구동축
149 : 제 3평판 149a,150a : 돌출부
150 : 제 4평판 151 : 제 3링크
152 : 장홀 153 : 힌지핀
154 : 제 4링크 160 : 반송부재
161 : 고정핀 162 : 고정턱
163 : 슬라이딩부재 164 : 로울러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도 1는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의 전체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30)는 프래임(32)의 상부 중앙측에 분리가능하도록 금고(34)가 안착되어져 있고, 상기 프래임(32)의 일측에는 투입되는 지폐(36)의 금액을 판독하거나 지폐의 손상을 감지하는 감지박스(38)가 삽입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 도 2는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감지박스(38)의 일측에 지폐(36)를 투입시킬 수 있도록 투입구(40)가 소정량 외향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투입구(40)의 상부측에는 구매가가 취소버튼을 선택할시 지폐(36)가 인출되는 반환구(42)가 구비된다.
또한, 첨부된 도면 도 4는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의 좌측을 도시한 것으로서, 좌프래임(50)의 중앙에는 입출식 적재장치(30)를 제어하는 제어판(44)이 넓게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어판(44)의 소정부위의 양측에는 제어판(44)에 연결된 전선(46)이 프래임(32)의 내부측으로 삽입되도록 전선삽입공(56)이 형성되고, 상기 좌프레임(50)의 내면에는 안착부(57)가 고정되고, 상기 안착부(57)의 일측에는 지폐(36)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편(58)이 구비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도 5는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의 우측을 도시한 것으로서, 우프래임(60)의 전방향에서 사각단면의 제 1, 2, 3취부공(61, 62, 63)이 순차적으로 소정량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2취부공(62)은 상하측으로 길게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우프레임(60)의 내측에는 안착부(64)가 고정되고, 상기 안착부(64)의 일측에는 지폐(36)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편(65)이 구비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래임의 상부측에는 대략 “ㄷ”형상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80)가 형성되되, 상기 결합부재(80)는 중앙에 사각홀(81)이 형성되고, 상기 사각홀(81)의 양측에는 상기 금고(34)의 저면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결합부(82)가 하향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고, 양측으로는 외향 돌출되도록 직각으로 굴곡진 연장부(83)가 형성되어 프래임(32)의 양측에 고정된다.
또한, 결합부재(80)에 소정량 이격된 하부측에 구비되어 양측이 프래임(32)의 내부측에 슬라이딩부재(90)가 고정되되, 상기 슬라이딩부재(90)의 중앙에는 상기 결합부재(80)의 사각홀(81)과 연통되도록 사각홀(91)이 형성되고, 상기 사각홀(91)의 양측에는 대략 “ㄷ”형상의 가이드레일(92)이 용접 등의 방법으로 상기 슬라이딩부재(90)의 상부면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레일(92)의 선단부 중앙에는 두 개의 걸림부(93)가 소정량 이격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프래임(32)의 내부측에는 다수개의 이동수단(100, 120, 140)이 형성되어 있는데, 첨부된 도면 도 7과 10은 제 1이동수단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 1이동수단(100)은 상기 우프래임(60)의 제 1취부공(61)에 외향 돌출되도록 제 1구동모터(101)가 고정되고, 상기 제 1구동모터(101)에 의해 연동되는 제 1평판(102)과 제 1센서판(103)이 소정량 이격된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센서판(103)에는 두 개의 센서홈(104, 105)이 구비되고, 상기 센서홈(104, 105)은 프래임(32)의 내부측 소정공간에 취부되어 있는 두 개의 근접센서(104a, 105a)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판(44)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 1구동모터(101)의 구동을 제한하며, 상기 제 1평판(102)의 일측 소정부위에는 돌출부(106)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06)에 회동가능하게 그 일단이 고정되며 소정량 굴곡진 형상의 제 1링크(107)가 연결되며, 상기 제 1링크(107)는 일측에 장홀(108)이 형성되어 돌출부(106)가 삽입되어 제 1평판(102)의 회동에 따라 장홀(108)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중앙에는 프래임(32)의 바닥에 볼팅되어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재(11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109)되고, 타측에는 로울러(111)가 구비되어 제 2이동수단(120)의 저면에 밀착된다.
한편, 상기 제 1이동수단(100)의 일단이 접촉되는 제 2이동수단(120)은 첨부된 도면 도 8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이동수단(120)의 본체(121)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21)의 상부 중앙에는 사각홀(122)이 형성되고, 상기 사각홀(122)의 양측 저면에는 하향 돌출되게 플라스틱재질의 가이드(12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123)의 내부측에는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봉(124)이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봉(124)의 상부 선단부에는 지폐(36)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판상의 플레이트(125)가 고정되고, 상기 플레이트(125)의 중앙 저면에는 고정부(126)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126)에 그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제 2링크(127)가 고정되고, 상기 제 2링크(127)의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돌출부(128)가 구비된 제 2평판(129)이 형성되고, 상기 제 2평판(129)의 일측에 소정량 이격된 형상으로 제 2센서판(130)이 고정되고, 상기 제 2센서판(130)의 중앙에 고정되며 상기 제 2센서판(130)과 제 2평판(129)을 구동시키는 제 2구동모터(131)가 우프래임(60)에 구비되는 제 2취부공(62)에 상하 이동되도록 소정량 외향 돌출되게 취부되고, 상기 제 2센서판(130)의 외부측에는 센서홈(132)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홈(132)은 프래임(32)의 내부측 소정공간에 취부되어 있는 근접센서(132a)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판(44)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 2구동모터(131)의 구동을 제한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123)의 외부측에는 고정브라켓(134)이 좌/우프래임(50, 60) 양측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브라켓(134)의 중앙 내측에는 플라스틱재질의 가이드판(135)이 가이드(123)의 외부측에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123)가 외부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상기 제 2이동수단(12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3이동수단(140)은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9과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프래임(60)의 내부측에 고정판(141)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141)에 취부되며 제 3취부공(63)에 외향 돌출되며 제어판(44)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 3구동모터(142)가 고정되고, 상기 제 3구동모터(142)의 구동에 의해 회동되는 제 1피니언(143)이 구비되고, 상기 제 1피니언(143)에 치합되는 제 2피니언(144)이 구비되고, 상기 제 2피니언(144)의 일측에 소정량 이격되도록 고정되는 제 3센서판(145)이 제 2피니언(144)과 연동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3센서판(145)의 외부측에는 두 개의 센서홈(146, 147)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홈(146, 147)은 프래임(32)의 내부측 소정공간에 취부되어 있는 두 개의 근접센서(146a, 147a)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판(44)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 3구동모터(142)를 구동을 제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피니언(144)과 제 3센서판(145)의 중앙에는 구동축(148)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구동축(148)의 양측은 좌/우프래임(50, 60)에 형성된 삽입공(55, 71)을 관통하여 프래임(32)의 외부측으로 소정량 연장되며 양단에는 제 3평판(149) 및 제 4평판(150)이 끼워맞춤되어 있으며, 상기 제 3, 4평판(149, 150)의 외부측 소정공간에는 각각 소정량 돌출된 돌출부(149a, 150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149a, 150a)에는 중앙부위가 소정량 굴곡진 형상의 제 3링크(151)가 고정되고, 상기 제 3링크(151)의 일측에는 길게 장홀(152)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49a, 150a)가 상기 장홀(152)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중앙부위는 상기 좌/우프래임(50, 60)의 상부측에 구비된 힌지핀(153)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에는 제 4링크(154)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 4링크(154)의 타단은 상기 좌/우프래임(50, 60)에 길게 형성되어 있는 장공(53, 69)에 양측이 삽입되어 있는 반송부재(160)가 고정된다.
상기 반송부재(160)는 양측으로 장공(53, 69)에 삽입되는 고정핀(161)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지폐(36)가 고정되는 고정턱(16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턱(162)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92)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부(163)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부(163)의 상부측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92)의 상부측에 밀착되어 회동되는 다수개의 로울러(16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30)는 첨부된 도면 도 13a에서와 같이 좌우프래임(50, 60)의 삽입부(54, 70)에 삽입되어 있는 감지박스(38)의 전방향에 외향 돌출되게 구비된 투입구(40)에 지폐(36)를 투입시키면 상기 감지박스(38)의 내부측에 구비되어 있는 지폐식별센서(도시되지 않음)에 도달하게 되어 조건에 따라 선별되게 되는데, 여기에서 선별은 처리가능한가 처리불가능인가의 선별이고, 처리불가능 조건에서는 구겨진지폐, 접혀진지폐, 찢어진 지폐, 복수매 겹친지폐, 연속해서 투입되어 오는 지폐간의 길이가 짧은 지폐등은 다시 투입구(40)를 통해 외부측으로 다시 반송되고, 처리가능한 지폐의 조건에 만족한 지폐는 첨부된 도면 도 13b과 같이 감지박스(38)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좌/우프래임(50, 60)의 내부측에 고정되어 있는 안착부(57, 64)의 상부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안착부(57, 64)의 후방향에 직각으로 굴곡된 걸림편(58, 65)에 지폐(36)의 일단이 걸림되고 중앙은 제 2이동수단(120)의 플레이트(125)의 상부측에 안착되게 되면, 이때 상기 좌프래임(50)의 중앙부위에 넓게 고정되어 있는 제어판(44)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첨부된 도면 도 13c에서와 같이 상기 제 2이동수단(120)의 제 2구동모터(131)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2구동모터(131)가 회동운동에 의해 상기 제 2구동모터(131)에 중앙이 고정되어 있는 제 2센서판(130)과 제 2평판(129)이 연동되어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하며 상기 제 2구동모터(131)가 반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제 2평판(129)의 일측 소정부위에 구비된 돌출부(128)에 그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그 타단은 상기 플레이트(125)의 저면에 구비된 고정부(126)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제 2링크(127)가 제 2평판(129)의 상부측에 위치되어 본체(121)의 상부측에 구비된 사각홀(122)의 내부에서 상향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사각홀(122)의 양측에 하향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123)의 내부로부터 상기 플레이트(125)의 하부측에 하향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봉(124)이 인출되어 상향 이동되어 상기 플레이트(125)의 상부측에 안착된 지폐(36)를 슬라이딩부재(90)의 중앙에 구비되어 있는 사각홀(91)의 양측에 길게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레일(92)에 지폐(36)의 양단이 걸림되도록 안착시킨 다음 다시 반회전하면 첨부도면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봉(124)이 가이드(123)를 따라 하향 이동되고, 제 2링크(127)는 원상태로 되돌아 가게 되며 이때, 상기 근접센서(132a)에 제 2센서판(130)의 일측에 구비된 센서홈(132)이 도달하면 제어판(44)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 2구동모터(131)가 정지하게 된다.
만약, 첨부된 도면 도 1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장이상의 지폐(36)를 입수해야할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투입구(40)로부터 투입되어 들어와 안착부(57)에 안착된 지폐(36)를 순차적으로 상향 이동시켜 가이드레일(92)에 일시 저장시킨다.
한편, 구매자가 취소버튼을 선택하게 되면 첨부된 도면 도 13f과 같이 제 3이동수단(140)이 작동되는데, 좌프래임(50)의 외부측에 고정되어 있는 제어판(44)의 제어신호에 따라 우프래임(60)의 내부측에 고정판(141)에 취부된 제 3구동모터(142)가 구동되게 되고, 상기 제 3구동모터(142)의 구동에 따라 제 1피니언(143)이 회동되며, 상기 제 1피니언(143)에 치합되어 있는 제 2피니언(144)도 회동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 2피니언(144)은 제 3센서판(145)과 연동되고, 상기 제 2피니언(144)과 제 3센서판(145)의 중앙에 고정된 구동축(148)이 회동되어 상기 구동축(148)의 양단에 끼워맞춤되어 있는 제 3평판(149)과 제 4평판(150)을 회동시켜 제 3, 4평판(149, 150)의 외부측에 형성된 돌출부(149a, 150)에 제 3링크(151)의 장홀(152)이 삽입되어 이동가능한 상태에서 제 3링크(151)의 중앙부위가 좌/우프래임(50, 60)에 구비된 힌지핀(153)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제 3링크(151)의 선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제 4링크(154)를 밀게 되면 제 4링크(154)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반송부재(160)의 고정핀(161)을 밀면 상기 고정핀(161)이 좌/우프래임(50, 60)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53, 69)에 삽입된 상태로 프래임(32)의 전방향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고정핀(161)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슬라이딩부재(90)의 상면 양측에 길게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92)의 내부측에는 판상의 슬라이딩부(163)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92)의 상부측에는 다수개의 로울러(164)가 구비되어 있는 반송부재(160)가 자연스럽게 프래임(32)의 전방향측으로 이동되면서 반송부재(160)의 중앙측에 구비된 고정턱(162)이 지폐(36)의 후측을 밀어 반환구(42)측으로 반환시키게 되는데, 즉, 상기 반송부재(160)는 가이드레일(92)에 양단이 걸림되어 안착되어 있는 다수매의 지폐(36)를 한꺼번에 반환구(42)측으로 밀어 반환시키게 되며, 상기 제 3구동모터(142)의 구동에 의해 반송부재(160)는 다시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되면서 슬라이딩부재(90)의 중앙에 형성된 사각홀(91)의 일측에 구비된 걸림부(93)에 고정턱(162)의 후면이 걸림되고, 이때 상기 제 2피니언(144)과 연동되는 제 3센서판(145)의 소정량 이격되어 구비된 두 개의 센서홈(146, 147)에 두 개의 근접센서(146a, 157a)가 위치하게 되면 제어판(44)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 3구동모터(142)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한편, 구매자가 선택버튼을 누르게 되면 첨부된 도면 도 13g와 같이 제 1이동수단(100)과 제 2이동수단(120)이 동시에 작동되게 되는데, 상기 제 1이동수단(100)의 제 1구동모터(100)가 좌프래임(50)에 넓게 고정되어 있는 제어판(44)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받아 구동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 1구동모터(100)에 연결되어 있는 제 1센서판(103)과 제 1평판(102)이 연동되면서 제 1평판(102)의 돌출부(106)에 장홀(108)이 삽입되어 고정된 소정량 굴곡진 제 1링크(107)가 고정부재(110) 상부측에 구비된 힌지(109)를 중심으로 상향 회동되면서 상기 제 1링크(107)의 일단에 구비된 롤러(111)가 마찰없이 제 2이동수단(120)의 본체(121)를 상향 이동시키게 되어 제 2이동수단(120)의 제 2구동모터(131)가 우프래임(60)의 중앙부위에 타원형상의 제 2취부공(62)을 따라 상향 이동되다가 우프래임(60)의 내부측에 고정되어 있는 안착부(64)에 제 2구동모터(131)의 상부측이 걸림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좌우프래임(50, 60)에 양측이 고정된 고정브라켓(134)의 내부측에 구비된 플라스틱재질의 가이드판(135)에 가이드(123)가 밀착된 상태로 상향 이동되게 되고, 제어판(44)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 2구동모터(131)가 회동되고, 이에 따라 제 2구동모터(131)에 중앙이 고정되어 있는 제 2센서판(130)이 제 2평판(129)과 연동되어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하며 상기 제 2구동모터(131)가 반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제 2평판(129)의 일측 소정부위에 돌출된 돌출부(128)에 그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그 타단은 상기 플레이트(125)의 저면에 구비된 고정부(126)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제 2링크(127)가 제 2평판(129)의 상부측에 위치되어 본체(121)의 상부측에 구비된 사각홀(122)의 내부에서 상향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사각홀(122)의 양측에 하향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123)의 내부로부터 상기 플레이트(125)의 하부측에 하향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봉(124)이 인출되어 상향 이동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90)의 가이드레일(92)에 양측이 걸림되어 있던 지폐(36)를 연장부(83)가 좌우프레임(50, 60)에 고정되어 있는 결합부재(80)의 결합부(82)에 삽입되어 고정된 금고(34)의 내부에 상기 슬라이딩부재(90)의 사각홀(91)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사각홀(81)을 통해 저장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구동모터(131)가 다시 반회전하면 상기 가이드봉(124)이 가이드(123)를 따라 하향 이동되고, 제 2링크(127)는 원상태로 되돌아 가게 되며 이때, 상기 근접센서(132a)에 제 2센서판(130)의 일측에 구비된 센서홈(132)이 도달하면 제어판(44)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 2구동모터(131)가 정지되고, 이와 동시에 제 1이동수단(100)의 제 1구동모터(101)도 회전되면서 고정부재(110)의 힌지(109)를 중심으로 제 1링크(107)가 하향 이동되어 오면서 제 2이동수단(120)의 본체(121)도 고정브라켓(134)의 가이드판(135)에 가이드(123)가 밀착된 상태로 하향 이동되고, 상기 제 1센서판(103)의 두 개의 센서홈(104, 105)에 두 개의 근접센서(104a, 105a)가 위치하게 되면 제어판(44)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 1구동모터(101)가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인출식 지폐 적재장치는 회동되는 다수개의 이동수단을 통해 구매자가 투입한 지폐를 취소버튼을 눌렀을시 투입된 지폐를 구매자에게 직접 반환해 주고, 열한장 이상의 지폐를 일시 저장시킬 수 있으며, 잼이 발생되지 않고 가격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좌프래임(50)과 우프래임(60)으로 이루어진 프래임(32)과, 상기 프래임(32)의 상부측에 분리가능하도록 금고(34)가 안착되는 결합부재(80)와, 상기 결합부재(80)의 하부측 소정량 이격된 거리에 형성된 슬라이딩부재(90)와, 상기 슬라이딩부재(90)의 하부측 좌우프레임(50, 60) 내면 양측에 설치되어 투입구(40)로부터 들어오는 지폐(36)가 안착되는 안착부(57, 64)와, 상기 안착부(57, 64)의 하부측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2이동수단(120)과, 상기 제 2이동수단(120)의 하부에 일측이 밀착되어 연동되는 제 1이동수단(100)과, 상기 제 1이동수단(100)의 반대측에 구비되며 지폐(36)를 반환시키는 제 3이동수단(140)과, 상기 제 3이동수단(140)의 일측에 고정되며 지폐(36)를 반환구(42)측으로 이동시키는 반송부재(160)와, 상기 반송부재(160)로부터 반환되는 지폐(36)의 반환구(42) 및 투입구(40)가 설치되며 투입구(40)로부터 투입되는 지폐(36)의 금액을 판독하거나 지폐(36)의 손상을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감지박스(3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이동수단(100)은 상기 우프래임(60)의 제 1취부공(61)에 외향 돌출되도록 고정되는 제 1구동모터(101)와, 상기 제 1구동모터(101)에 의해 구동되는 제 1평판(102)과, 상기 제 1평판에 연동되며 소정량 이격되게 연결된 제 1센서판(103)과, 상기 제 1센서판(103)에 외각에 구비되는 두 개의 센서홈(104, 105)과, 상기 센서홈(104, 105)을 감지하여 제어판(44)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센서판의 회동을 제어하도록 프래임(32)의 내부측 소정공간에 취부되어 있는 두 개의 근접센서(104a, 105a)와, 상기 제 1평판(102)의 일측 소정부위에 형성되는 돌출부(106)와, 상기 돌출부(106)에 회동가능하게 그 일단이 고정되도록 일측에 장홀(108)을 구비하며 소정량 굴곡진 형상의 제 1링크(107)와, 상기 제 1링크(107)의 중앙부위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프래임(32)의 바닥에 볼팅되어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재(110)와, 상기 고정부재(110)를 중심으로 상/하 이동되는 제 1링크(107)의 타단에 구비되며 제 2이동수단(120)의 본체(121) 저면에 접촉되는 로울러(11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이동수단(120)은 좌/우프래임(50, 60) 양측에 고정된 고정브라켓(134)과, 상기 고정브라켓(134)의 내부면에 구비되는 플라스틱재질의 가이드판(135)과, 상기 가이드판(135)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하이동가능한 본체(121)와, 상기 본체(121)의 상부 중앙에는 형성되는 사각홀(122)과, 상기 사각홀(122)의 양측 저면에는 하향 돌출되게 설치되는 플라스틱재질의 가이드(123)와, 상기 가이드(123)의 내부측에는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봉(124)과, 상기 가이드봉(124)의 상부 선단부에는 지폐(36)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판상의 플레이트(125)와, 상기 플레이트(125)의 중앙 저면에는 형성되는 고정부(126)와, 상기 고정부(126)에 그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2링크(127)와, 상기 제 2링크(127)의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돌출부(128)가 구비된 제 2평판(129)과, 상기 제 2평판(129)의 일측에 소정량 이격되어 고정된 제 2센서판(130)과, 상기 제 2센서판(130)의 중앙에 고정되며 상기 제 2센서판(130)과 제 2평판(129)을 구동시키며 우프래임(60)에 구비되는 제 2취부공(62)에 상하 이동되도록 소정량 외향 돌출되게 취부되는 제 2구동모터(131)와, 상기 제 2센서판(130)의 외부측에 형성되는 센서홈(132)과, 상기 센서홈(132)은 프래임(32)의 내부측 소정공간에 취부되며 제어판(44)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 2센서판(130)의 회동을 제한하는 근접센서(132a)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이동수단(140)은 우프래임(60)의 내부측에 고정되는 고정판(141)과, 상기 고정판(141)에 취부되며 제 3취부공(63)에 외향 돌출되며 제어판(44)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 3구동모터(142)과, 상기 제 3구동모터(142)의 구동에 의해 구동되는 제 1피니언(143)과, 상기 제 1피니언(143)에 치합되는 제 2피니언(144)과, 상기 제 2피니언(144)의 일측에 소정량 이격되도록 고정되어 연동되는 제 3센서판(145)과, 상기 제 3센서판(145)의 외부측에 형성되는 두 개의 센서홈(146, 147)과, 상기 센서홈(146, 147)에 제어판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 3구동모터를 온/오프시키는 두 개의 근접센서(146a, 147a)와, 상기 제 2피니언(144)과 제 3센서판(145)의 중앙에 횡설되는 구동축(148)과, 상기 구동축(148)의 양측은 좌/우프래임(50, 60)에 형성된 삽입공(55, 71)을 관통하여 프래임(32)의 외부측으로 연장되며 양단에 끼워맞춤되는 제 3평판(149) 및 제 4평판(150)과, 상기 제 3, 4평판(149, 150)의 외부측 소정공간에는 각각 소정량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149a, 150a)와, 상기 돌출부(149a, 150a)에 고정되는 장홀이 길게 구비되며 중앙부위가 소정량 굴곡진 형상의 제 3링크(151)와, 상기 제 3링크(151)의 중앙부가는 상기 좌/우프래임(50, 60)의 상부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힌지핀(153)과, 상기 힌지핀(153)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 3링크(151)의 선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반송부재(160)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 4링크(15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반송부재(160)는 상기 좌/우프래임(50, 60)에 길게 형성되어 있는 장공(53, 69)에 삽입되는 고정핀(161)과, 상기 고정핀(161)의 일측 중앙에는 지폐(36)의 일단이 걸림되는 고정턱(162)과, 상기 고정턱(162)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92)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부(163)와, 상기 슬라이딩부(163)의 상부측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92)의 상부측에 밀착되어 회동되는 다수개의 로울러(164)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딩부재(90)는 중앙에 상기 결합부재(80)의 사각홀(81)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사각홀(91)과, 상기 사각홀(91)의 양측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길게 고정된 가이드레일(92)과, 상기 가이드레일(92)의 선단부 중앙에는 걸림부(9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
KR1019970008106A 1997-03-11 1997-03-11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 KR100222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8106A KR100222675B1 (ko) 1997-03-11 1997-03-11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8106A KR100222675B1 (ko) 1997-03-11 1997-03-11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3042A KR19980073042A (ko) 1998-11-05
KR100222675B1 true KR100222675B1 (ko) 1999-10-01

Family

ID=65985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8106A KR100222675B1 (ko) 1997-03-11 1997-03-11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26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297B1 (ko) 2005-12-30 2010-10-26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입출금부의 전면가이드판과 트랜스퍼플레이트의연계구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447Y1 (ko) * 2011-01-24 2013-01-02 (주)부일금고 금고의 힌지부 설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297B1 (ko) 2005-12-30 2010-10-26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입출금부의 전면가이드판과 트랜스퍼플레이트의연계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3042A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2095B2 (en) Bill handling device and bill accommodating unit
JP4497575B2 (ja) 紙葉収納払出装置
US5372361A (en) Bill handling apparatus with exchangeable pusher for stacker
US6334610B1 (en) Leaf transfer mechanism unit
CA2395726C (en) Banknote validator with improved drive path
US8640849B2 (en)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KR100222675B1 (ko)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
KR0132199B1 (ko) 지폐류 처리장치
JP3604603B2 (ja) 紙幣入出金装置
EP0289672A1 (en) Coin exchanging machine
JPH0718660Y2 (ja) 紙幣搬送装置
JP3639332B2 (ja) 紙幣識別装置
KR20000018518A (ko) 지폐인식기의 수평형 스태킹장치
JP4753271B2 (ja) 紙幣処理装置
JP3653357B2 (ja) 紙幣搬送装置
JP3638740B2 (ja) 紙幣収納装置
JPH0226274B2 (ko)
JP3454592B2 (ja) 紙葉類処理装置
KR950007855Y1 (ko) 현금자동지급기의 지폐인출 장치
JP2006209717A (ja) 紙幣処理装置
KR20000018519A (ko) 지폐인식기의 수직형 스태킹장치
JP2749356B2 (ja) 紙幣識別機
JPH0830831A (ja) 返却紙幣の一部引抜き検知装置
JP2003217000A (ja) 紙幣一時保留装置
AU721299B2 (en) Bill processin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