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8518A - 지폐인식기의 수평형 스태킹장치 - Google Patents

지폐인식기의 수평형 스태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518A
KR20000018518A KR1019980036133A KR19980036133A KR20000018518A KR 20000018518 A KR20000018518 A KR 20000018518A KR 1019980036133 A KR1019980036133 A KR 1019980036133A KR 19980036133 A KR19980036133 A KR 19980036133A KR 20000018518 A KR20000018518 A KR 20000018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bill
stacking
recognize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6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연식
Original Assignee
함현철
주식회사 푸른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현철, 주식회사 푸른기술 filed Critical 함현철
Priority to KR1019980036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8518A/ko
Publication of KR20000018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51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1Testing electronic circuits there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인식기를 지나 유입된 지폐를 회동레버에 의해서 수직 하방으로 이동되는 밀판을 이용하여 다수의 지폐를 적재함에 스태킹함과 동시에, 지폐 인입구에는 다수의 안내비드와 슬롯을 형성하여 유입되는 지폐의 폭이 일정하도록 정렬하여 인식수단의 위치에 정확하고 규칙적으로 위치하게 하며 원활하게 스태킹될 수 있도록 구성한 지폐인식기의 수평형 스태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수평형 스태킹장치는 지폐인식기(1)에서 배출된 지폐가 수평상태로 유입되는 수납홈(122)을 지닌 홀더(120)가 설치되고, 이 홀더(120)의 하부에는 스프링(210)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되는 밀림판(208)이 내장되어 있는 적재함(200)이 개폐도어(110)에 의해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캐비닛(102)과, 제어부(100)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기어(142)를 회전시키는 DC모터(140)와, 구동기어(142)와 치합되어 있는 종동기어(144)에 의해서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는 회동레버(160)와, 이 회동레버(160)에 의해서 수직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수납홈(122)내의 지폐(180)를 적재함(200)의 유입구(202)내로 밀어 넣어 밀림판(208)에 밀착시키는 밀판(150)과, 이 밀판(150)의 상부면으로부터 연장된 제 1센서돌기(154)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100)로 보내는 제 1위치센서(170) 및 고정핀(164)에 의해서 회동레버(160)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제 2센서돌기(156)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100)로 보내는 제 2위치센서(172)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지폐인식기의 수평형 스태킹장치
본 발명은 지폐인식기의 수평형 스태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폐인식기를 지나 유입된 지폐를 회동레버에 의해서 수직 하방으로 이동되는 밀판을 이용하여 다수의 지폐를 적재함에 스태킹함과 동시에, 지폐 인입구에는 다수의 안내비드와 슬롯을 형성하여 유입되는 지폐의 폭이 일정하도록 정렬하여 원활하게 스태킹될 수 있도록 구성한 지폐인식기의 수평형 스태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폐인식기는 투입되는 지폐의 권종을 판별하는 장치로서, 다양한 종류의 지폐를 정확히 판별하는 기능과 함께 위폐를 식별하여 배출시키는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최근에는 각종 자동판매기의 보급이 증가됨에 따라 고액의 물건도 자동판매기로 판매하는 경우가 늘고 있기 때문에 그 만큼 자동판매기에서의 지폐 사용율도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게 자동판매기에서 취급하는 다양한 권종의 지폐를 판별할 수 있는 지폐인식기를 필요로 하게 되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출원인은 도 1과 도 2에 도시한 지폐인식기를 개발하였다.
도 1과 도 2는 각각, 1998년 2월 5일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8-3287호에 개시되어 있는 지폐인식기의
도 1과 도 2에 도시한 구성도 및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지폐인식기의 구성을 보면, 흡입구(62)로 투입된 지폐를 이송하는 지폐이송수단(60)과, 지폐이송수단(60)을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80)과, 동력전달수단(80)에 의해 전달될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90)와, 지폐의 권종에 따른 기준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장치(50)와, 지폐이송수단(60)에 의해 이송된 지폐의 규격을 감지하기 위한 규격감지수단(10)과, 지폐의 일측 내부에 그려진 은화를 인식하기 위한 은화인식수단(20)과, 지폐에 기록된 자기기록정보를 읽기 위한 마그네틱센서(40)와, 지폐 전면의 패턴 및 색조를 읽기 위한 이미지인식수단(30)과, 규격감지수단(10)과 은화인식수단(20)과 마그네틱센서(40)와 이미지인식수단의 값을 입력받아 기억장치에 기억된 권종의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위폐의 여부 및 권종을 판별하며 지폐이송수단(60)과 동력발생부(90)의 작동 및 이송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100)와, 제어부(100)에서 판별된 결과를 표시부에 보내는 결과전송수단(70)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2에는 지폐인식기의 일예로서, 규격감지수단(10), 은화인식수단(20), 이미지인식수단(30), 마그네틱센서(40), 지폐이송수단(60), 동력전달수단(80), 동력발생부(90)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규격감지수단(10)으로는 지폐를 투과하는 빛의 양에 따라 지폐의 두께와 크기를 감지할 수 있는 광센서(10a)가 사용되었으며, 은화인식수단(20)으로는 지폐 내부에 그려진 은화부분과 그려지지 않은 부분과의 빛의 투과 특성에 따라 은화를 인식할 수 있는 광투과센서(20a)를 좌우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미지인식수단(30)으로는 특정파장의 광원에 대한 지폐영상의 이미지 패턴 및 색조를 추출할 수 있는 이미지 획득장치(30a)가 사용되었으며, 마그네틱센서(40)는 지폐의 투입시에 앞뒤와 좌우가 바뀌더라도 동일한 결과를 얻기 위해 다수개를 설치하여 놓았다.
한편, 지폐이송수단(60)은 동력발생부(90)에서 발생된 동력에 따라 작동되는 다수개의 이송롤러(67)와 아이들롤러(67a)의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이들롤러(67a)는 텐션 스프링(69)에 의해 이송롤러(67)와 밀착되어 마찰력을 제공한다. 인입된 지폐를 배출구(69)로 토출시키는 과정에서, 이송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배출구(64)와 인접한 곳에는 스폰지롤러(642, 644)를 갖는 배출롤러(6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흡입구(62)로 투입된 지폐를 지폐권종 인식후 강제로 흡입구(62)를 통해 빼내려는 것을 방지하는 역방출방지브라켓(648)이 설치되어 있으며, 흡입구(62)에서 배출구(64)로 이송되는 지폐를 유도하기 위한 하부측 이송가이드(66)가 설치되어 있다.
동력 발생부(90)에는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구동모터(92)가 구비되어 있으며, 구동모터(92)에서 발생된 동력을 지폐이송수단(60)까지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80)에는 구동모터(92)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기어(94)의 회전력을 다수개의 이송롤러(67)로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아이들기어(68)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지폐인식기에 있어서, 흡입구(62)를 통해 유입된 지폐는 이송롤러(67)와 아이들롤러(68)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지폐의 두께는 광센서(10a)에 의해서 그 크기와 두께가 감지되며,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100)로 보내진다. 제어부(100)는 기억장치(50)에 기억되어 있는 기준 데이터와 광센서(10a)에서 입력된 정보를 비교하여, 기준규격과 다를 경우에는 구동모터(92)를 반대로 회전시켜 흡입구(62)를 통해 지폐를 배출시키며, 기준규격과 동일한 경우에는, 구동모터(92)를 동일방향으로 계속 회전시켜 지폐가 이송되도록 한다. 지폐는 각종 감지수단을 통과하면서 제어부에 권종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 후에 배출구(64)로 빠져나가 저장된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지폐인식기는 투입된 지폐를 판독하여 권종을 식별하고 위폐여부를 가리는데는 효과적이지만, 일련의 판독과정을 거친 후에 배출구를 통해 빠져나온 지폐가 통상적인 사각형태의 박스에 저장되기 때문에 많은 수량을 수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권종에 따라 지폐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지폐의 폭이 일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지폐 인식부를 통과한 지폐의 위치가 제각기 다르게 되며, 박스에 불균일하게 저장되어 있는 지폐를 간추리는 데에도 별도의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폐인식기를 통해 유입된 지폐를 수평상태로 이동시킨 다음, 회동레버에 의해 수직 하방으로 이동되는 밀판을 이용하여 지폐를 적재함에 스태킹함으로써 지폐인식기를 통과한 지폐를 다량으로 적재할 수 있는 지폐인식기의 수평형 스태킹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밀판에 의해서 적재함에 스태킹되는 과정에서 지폐의 권종마다 폭이 다른 경우에도 이들 지폐의 한쪽면이 일치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인입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적재함 내에 스태킹되는 과정에서 모든 지폐가 권종에 관계없이 균일하게 정렬되도록 하며, 지폐에 묻어 있는 빗물이나 이물질을 제거하여 스태킹 후에도 지폐가 달라붙거나 불균일하게 스태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폐인식기의 수평형 스태킹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지폐인식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지폐인식기의 일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스태킹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스태킹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스태킹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A, 6B는 각각,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지폐인식기의 인입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지폐인식기 62, 64:흡입구, 배출구
67:이송롤러 101:스태킹장치
102:캐비닛 104:베이스패널
106:상부 프레임 108:하부 프레임
110:개폐도어 112:제 1자물쇠
114:롤러 120:홀더
122:수납홈 134:슬라이드 레일
140:DC모터 150:밀판
160:회동레버 162:장홈
170, 172:제 1, 2위치감지센서 180:지폐
200:적재함 202:유입구
204:제 2자물쇠 206:적재함 도어
208:밀림판 210:스프링
230:인입구 240:안내비드
242:안내표시 244:슬롯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구로 유입된 지폐를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이송하는 지폐이송수단과, 지폐의 권종에 따른 기준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장치와, 지폐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지폐의 규격을 감지하기 위한 규격감지수단과, 지폐의 일측 내부에 그려진 은화를 인식하기 위한 은화인식수단과, 지폐에 기록된 자기기록정보를 읽기 위한 마그네틱센서와, 지폐 전면의 패턴 및 색조를 읽기 위한 이미지인식수단과,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를 기억장치에 기억된 권종의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위폐의 여부 및 권종을 판별하여 지폐이송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폐인식기에 있어서, 지폐인식기에서 배출된 지폐가 수평상태로 유입되는 수납홈을 지닌 홀더가 설치되고, 이 홀더의 하부에는 스프링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되는 밀림판이 내장되어 있는 적재함이 개폐도어에 의해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캐비닛과,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DC모터와, 구동기어와 치합되어 있는 종동기어에 의해서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는 회동레버와, 이 회동레버에 의해서 수직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수납홈내의 지폐를 적재함의 유입구내로 밀어 넣어 밀림판에 밀착시키는 밀판과, 이 밀판의 상부면으로부터 연장된 제 1센서돌기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보내는 제 1위치센서 및 고정핀에 의해서 회동레버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제 2센서돌기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보내는 제 2위치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인식기의 수평형 스태킹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폐가 투입되는 인입구에는 유입되는 지폐의 폭이 일정하게 정렬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안내비드와, 지폐에 묻어 있는 빗물이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다수의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인식기의 수평형 스태킹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폐인식기의 수평형 스태킹장치를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고로 설명하기로 하며, 도 1과 도 2에서 설명한 종래 구조와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스태킹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스태킹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스태킹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1과 도 2에서 설명한 종래의 지폐인식기로부터 권종이 판별된 후에 이송되는 지폐를 수평상태 그대로 가지런히 스태킹하기 위한 수평형 스태킹장치(101)를 예시하였다. 이 수평형 스태킹장치(101)의 외형을 구성하는 캐비닛(102)의 우측 상단에는 도 2에서 설명한 지폐인식기(1)가 배치되며, 이 지폐인식기(1)를 지나면서 권종이 판별된 후에 배출되는 지폐는 좌측 상단에 배치된 스태킹 수단에 의해서 좌측 하단에 배치된 적재함(200)내에 차례대로 스태킹된다. 도시의 목적상 도 2에서 설명한 지폐인식기(1)는 개략으로 위치만을 도시하였으며, 전체번호(1)로 나타내었다.
캐비닛(102)의 상부에 배치된 지폐인식기(1)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폐가 유입되는 흡입구(62) 및 이송가이드(66)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흡입구(62)로 들어온 지폐는 구동모터(92)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142)의 회전력이 아이들기어(68)를 통해서 이송롤러(114)로 전달되면, 다수의 이송롤러(114) 및 배출롤러(63)에 의해 이송됨으로써, 배출구(64)를 통해서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순서로 지폐인식기(1)를 통과하여 유입된 지폐를 적재함(200)내에 스태킹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유입된 지폐의 방향과 동일한 수평방향으로 지폐를 스태킹 위치에 대기시킨 상태에서 소정의 범위내에서 수직 하방으로 상하이동되는 밀판을 이용하여 수평상태의 지폐를 적재함(200)내에 수직으로 나란하게 적재하는 수평형 스태킹장치를 채용하였다.
본 발명의 수평형 스태킹장치(101)는 대략적으로, 상부에 지폐인식기(1)가 장착되는 캐비닛(102)과, 지폐인식기(1)를 지나 유입된 지폐를 밀어 넣기 위한 것으로, DC(Direct Current)모터(140)와 회동레버(160) 및 밀판(150)등으로 이루어진 스태킹 수단과, 이 스태킹 수단에 의해 수직 하방으로 내려오는 지폐(180)가 가지런히 정렬된 상태로 적재되는 적재함(200)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캐비닛(102)내에는 상기 지폐인식기(1)에서 배출된 지폐가 수평상태로 유입되는 수납홈(122)을 지닌 홀더(12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지폐는 지폐인식기(1)를 통과하면서 권종이 판독된 다음에, 배출롤러(63)에 의해서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배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이송됨으로써 홀더(120)에 형성되어 있는 수납홈(122)내에 삽입된다. 이때, 제어부(100)는 배출롤러(114)를 빠져 나간 지폐(180)가 수납홈(122)에 안착될 때까지의 시간을 계산한 다음, 수납홈(122)에 삽입이 완료된 시점에서 DC모터(14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홀더(120)의 유입단 쪽에 지폐(180)의 삽입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지폐감지센서를 채용하여 DC모터(14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나, 본 실시예서와 같은 수평이송의 방식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시간지연방식의 제어로도 원활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DC모터(140)에는 모터축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142)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에서 신호가 전달되면 구동기어(142)가 회전되기 시작하면서, 이 구동기어(142)와 맞물려 있는 종동기어(144)를 회전시키게 된다.
종동기어(144)의 회전 중심이 되는 힌지축(146)에는 회동레버(160)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이 회동레버(160)의 타단은 고정핀(164)에 의해 밀판(150)의 제 2센서돌기(156)에 연결되어 있으며, 고정핀(164)이 소정의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장홈(16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DC모터(140)의 작동으로 종동기어(144)에 회동레버(160)가 회동하면서 밀판(150)을 미는 과정에서, 고정핀(164)은 장홈(162)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밀판은 수평상태를 유지한 채로 수직 하방으로 하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밀판(150)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 2센서돌기(156)와 함께, 제 1센서돌기(154)가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1위치센서(170)는 상기 제 2센서돌기(156)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100)로 보내며, 제 2위치센서(172)는 제 2센서돌기(156)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100)로 보내게 된다. 제어부(100)는 이들 제 1 및 제 2위치센서(170, 172)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바탕으로 DC모터(14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그의 작동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DC모터(140)는 제어부(100)로부터 전달되는 출력신호에 따라 소정의 시간동안 정회전 및 역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 회동레버(160)는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되면서 밀판(150)을 적재함(200)쪽으로 밀거나 당김으로써 적재함(20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한다. 지폐(180)의 스태킹이 완료된 후에, 제어부(100)는 DC모터(140)에 역방향 전류를 보내 역회전시킴으로써, 회동레버(16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하여 다음 지폐의 유입을 대기하게 된다.
홀더(120)를 기준으로 도면에서 우측의 캐비닛(102)내에는 지폐(180)가 수평상태로 적재되는 적재함(200)이 인출 가능하게 수납된다. 이 적재함(200)의 일측에는 수납홈(122)에 들어 있는 지폐가 유입되는 유입구(20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서 좌측에는 제 2자물쇠(204)가 설치되어 있어 적재함 도어(206)를 개방하거나 잠그는 것이 가능하다. 적재함(200)내부에는 조립시에 홀더(12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밀림판(208)과, 일단은 이 밀림판(208)과 연동되도록 제 1스프링 시트(212)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적재함(200)의 하부벽에 부착된 제 2스프링 시트(214)에 의해 고정되는 스프링(210)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스태킹수단에 의해서 수납홈(122)내에 있는 지폐(180)가 적재함(200)내부로 유입되면, 밀판(150)에 의해 밀려들어온 지폐는 밀림판(208)에 의해서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지지되며, 타측면은 유입구(202)에 걸려 다시 유입구(202)를 통해 수납홈(122)으로 배출되는 것이 제지된다. 이때, 밀판(150)의 일단에는 유연한 재질의 연장단(15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밀판(150)이 적재함(200)의 유입구(202)를 통해 삽입되면서 지폐를 함께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며, 밀판(150)의 후퇴시에는 연장단(152)만 유입구(202)를 빠져 나오게 되며, 지폐는 유입구(202)의 내측면에 걸려 적재함 내에 그대로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평형 스태킹장치(101)의 후면에는 은선으로 도시한 제 1자물쇠(112)가 설치되어 있어 도 4에서 설명할 개폐도어(110)를 수평으로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1자물쇠(112)와 인접한 곳에는 개폐도어(110)의 개방시에 도어가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롤러(114)가 설치되어 있다. 캐비닛(102)의 하단은 베이스 패널(104)상에 고정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스태킹장치(101)의 측면도로, 상부에 배치되는 스태킹 수단은 전체번호(101)로만 나타내었다. 여기에서는 개폐도어(110) 및 캐비닛(102)의 슬라이드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캐비닛(102)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부 프레임(106)과 하부 프레임(108)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프레임(106, 108)에는 각각, 개폐도어(110)가 미끄럼 이동되는 가이드 레일(106a, 108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폐도어(110)에는 도 3에서 설명한 제 1자물쇠(112)와 함께 롤러(114)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 1자물쇠(112)를 열고 개폐도어(110)를 수평으로 밀면, 개폐도어(110)는 상부 프레임(106)과 하부 프레임(108)의 가이드 레일(106a, 108a)을 따라 수평으로 개방되며, 이 과정에서, 롤러(114)에 의해 원활하게 개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개폐도어(110)를 수평으로 열고 닫는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하게 될 적재함 도어(206)는 하나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개폐되는 방식을 채용하였다.
캐비닛(102)의 하단은 베이스 패널(104)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베이스 패널(104)은 볼(132)을 개재하여 트랙(130)위를 미끄럼 이동하는 슬라이드 레일(13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에는 캐비닛(102)을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편의성을 향상시켰다.
다음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평형 스태킹장치(101)에는 적재함(200)의 인위적인 개방을 막기 위한 시건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적재함(200)의 일측에는 힌지(208)를 이용하여 적재함 도어(206)를 고정하였으며, 적재함 도어(206)에는 제 2자물쇠(204)를 장착하였다. 시건장치로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자물쇠(112)와 롤러(114)를 이용한 수평식 미닫이형 개폐문의 모델이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자물쇠(204)와 힌지(208)를 이용한 회전형 개폐문의 모델이 있다.
다음에, 도 6A, 6B는 각각,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지폐인식기의 인입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는 밀판에 의해서 적재함에 스태킹되는 과정에서 지폐의 권종마다 폭이 다른 경우에도 이들 지폐의 한쪽면이 일치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인입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적재함 내에 스태킹되는 과정에서 모든 지폐가 권종에 관계없이 균일하게 정렬되도록 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입구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적재함(200)내로 스태킹되는 지폐(180)의 한쪽면이 일치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 6A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지폐(180)가 투입되는 인입구(230) 양옆에 안내비드(240)를 형성하였으며, 지폐(180)의 투입방향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화살표 형태의 안내표지(242)를 중앙에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지폐(18)의 폭만큼 중앙을 비어둔 상태에서 좌우측에 안내비드(240)를 형성하여 중앙으로 정해진 폭을 따라 유입되도록 한다.
6B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인입구(230)의 일측에만 안내비드(240')를 형성하였으며, 지폐(180)의 밀착방향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화살표 형태의 안내표지(242')를 형성하였다. 그러므로, 인입구(230)를 통해 유입된 지폐(18)는 안내비드(240')에 의해서 도면에서 보아 좌측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흡입구(62)로 유입된다.
또한, 도 6A,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입구(230)에는 다수의 슬롯(244, 24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인입구(230)를 통해 유입된 지폐(180)의 표면에 묻어 있는 빗물이나 먼지 및 이물질 등은 이송되는 과정에서 슬롯(244, 244')을 통해 빠져나가게 되며, 지폐(180)는 흡입구(62)를 통해 지폐인식기(1)로 보내진다.
다음에는 도 3을 중심으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스태킹장치(101)를 이용하여 지폐를 적재함(200)내에 차례대로 스태킹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인입구(230)를 지나면서 지폐의 폭에 관계없이 일측면이 밀착된 상태로 흡입구(62)를 통해 유입된 지폐는 이송롤러(67)와 아이들롤러(68)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다. 그에 따라,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폐의 두께는 광센서(10a)에 의해서 그 크기와 두께가 감지되며,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100)로 보내진다. 제어부(100)는 기억장치(50)에 기억되어 있는 기준 데이터와 광센서(10a)에서 입력된 정보를 비교하여, 기준규격과 다를 경우에는 구동모터(92)를 반대로 회전시켜 흡입구(62)를 통해 지폐를 배출시키며, 기준규격과 동일한 경우에는, 구동모터(92)를 동일방향으로 계속 회전시켜 지폐가 이송되도록 한다. 지폐는 각종 감지수단을 통과하면서 제어부에 권종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 후에 배출구(64)로 빠져나가 저장된다.
배출구(64)로 빠져 나온 지폐는 배출롤러(63)에 의해서 계속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홀더(120)에 형성된 수납홈(122)내에 삽입되며, 이 시점을 기준으로 제어부(100)는 DC모터(140)에 작동신호를 보낸다.
DC모터(140)의 작동에 따라 구동기어(142)와 종동기어(144)가 차례대로 회전되면서 2종동기어(144)의 힌지축(146)에 결합되어 있는 회동레버(160)는 적재함(200)쪽으로 회동하기 시작한다. 회동레버(160)의 이동에 따라서, 밀판(150)은 점차로 적재함(200)쪽으로 수직 이동되면서 수납홈(122)내에 들어 있는 지폐(180)를 적재함(200)의 유입구(202)내로 밀어 넣는다. 이때, 제 2센서돌기(156)의 끝단 위치가 제 2위치센서(172)에 의해서 감지되어 제어부(100)로 전달되며, 제어부(100)는 이 신호를 바탕으로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밀판(150)이 적재함(200)내에 삽입된 상태임을 판단하고 DC모터(14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에 따라, 밀판(150)과 회동레버(160)는 가상선으로 도시한 위치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이 과정에서 밀판(150)의 제 1센서돌기(154)의 위치는 제 1위치센서(170)에 의해서 감지되어 제어부(100)로 보내지게 되며, 제어부(100)는 이 신호를 바탕으로 스태킹이 완료되었음을 판단하여 DC모터(14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이송롤러에 의해서 수평으로 유입된 지폐를 수평상태 그대로 홀더에 형성된 수납홈에 도입한 상태에서 밀판을 수직 하방으로 이동시켜 지폐를 적재함 내부에 가지런히 스태킹함으로써 지폐인식기를 통과한 많은 양의 지폐를 적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폐인식기의 인입구에는 다수의 안내비드 및 슬롯이 형성되어 있어, 권종마다 각기 다른 폭을 지닌 지폐가 유입된다 해도 한쪽면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흡입구로 보내지기 때문에, 수직으로 가지런히 세워진 상태의 지폐를 밀판를 이용하여 적재함에 스태킹하는 과정에서 균일하게 정렬되므로 스태킹 상태가 양호하다. 또한, 스태킹 후에 이를 정렬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이를 정렬시키기 위한 시간 및 노력을 절감함으로써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흡입구(62)로 유입된 지폐를 동력전달수단(80)에 의해 이송하는 지폐이송수단(60)과, 지폐의 권종에 따른 기준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장치(50)와, 지폐이송수단(60)에 의해 이송된 지폐의 규격을 감지하기 위한 규격감지수단(10)과, 지폐의 일측 내부에 그려진 은화를 인식하기 위한 은화인식수단(20)과, 지폐에 기록된 자기기록정보를 읽기 위한 마그네틱센서(40)와, 지폐 전면의 패턴 및 색조를 읽기 위한 이미지인식수단(30)과,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를 기억장치(50)에 기억된 권종의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위폐의 여부 및 권종을 판별하여 지폐이송수단(60)을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는 지폐인식기에 있어서,
    상기 지폐인식기(1)에서 배출된 지폐가 수평상태로 유입되는 수납홈(122)을 지닌 홀더(120)가 설치되고, 이 홀더(120)의 하부에는 스프링(210)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되는 밀림판(208)이 내장되어 있는 적재함(200)이 개폐도어(110)에 의해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캐비닛(102)과,
    제어부(100)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기어(142)를 회전시키는 DC모터(140)와,
    상기 구동기어(142)와 치합되어 있는 종동기어(144)에 의해서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는 회동레버(160)와,
    상기 회동레버(160)에 의해서 수직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수납홈(122)내의 지폐(180)를 적재함(200)의 유입구(202)내로 밀어 넣어 상기 밀림판(208)에 밀착시키는 밀판(150)과,
    상기 밀판(150)의 상부면으로부터 연장된 제 1센서돌기(154)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100)로 보내는 제 1위치센서(170) 및 고정핀(164)에 의해서 상기 회동레버(160)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제 2센서돌기(156)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100)로 보내는 제 2위치센서(17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인식기의 수평형 스태킹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자물쇠(112)에 의해 록킹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개폐도어(110)는 원활한 슬라이딩을 가능케 하는 롤러(114)를 지니며, 상부 프레임(106)과 하부 프레임(108)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06a, 108a)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고,
    힌지(208)에 의해 상기 적재함(20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재함 도어(206)는 제 2자물쇠(204)에 의해 록킹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인식기의 수평형 스태킹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102)은 베이스 패널(104)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베이스 패널(104)은 볼(132)을 개재하여 트랙(130)위를 미끄럼 이동하는 슬라이드 레일(134)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인식기의 수평형 스태킹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지폐(180)가 투입되는 인입구(230)에는 유입되는 지폐의 폭이 일정하게 정렬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안내비드(240)와,
    지폐(180)에 묻어 있는 빗물이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다수의 슬롯(24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인식기의 수평형 스태킹장치.
KR1019980036133A 1998-09-02 1998-09-02 지폐인식기의 수평형 스태킹장치 KR200000185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6133A KR20000018518A (ko) 1998-09-02 1998-09-02 지폐인식기의 수평형 스태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6133A KR20000018518A (ko) 1998-09-02 1998-09-02 지폐인식기의 수평형 스태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518A true KR20000018518A (ko) 2000-04-06

Family

ID=19549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6133A KR20000018518A (ko) 1998-09-02 1998-09-02 지폐인식기의 수평형 스태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851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000B1 (ko) * 2003-06-04 2006-08-01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콘락스 용지류의 적재 수용 장치
KR100737130B1 (ko) * 2006-06-30 2007-07-06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분리가능한 푸쉬플레이트모듈을 갖는 리사이클박스
KR101706892B1 (ko) * 2016-07-01 2017-02-16 이승현 다리 스트레칭 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000B1 (ko) * 2003-06-04 2006-08-01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콘락스 용지류의 적재 수용 장치
KR100737130B1 (ko) * 2006-06-30 2007-07-06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분리가능한 푸쉬플레이트모듈을 갖는 리사이클박스
KR101706892B1 (ko) * 2016-07-01 2017-02-16 이승현 다리 스트레칭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7575B2 (ja) 紙葉収納払出装置
KR100351172B1 (ko) 지폐입출금기
CA2613534C (en) Atm with stack transporter for bulk note deposit
US5271613A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picking sheets
US6334610B1 (en) Leaf transfer mechanism unit
JP3959297B2 (ja) 紙幣取扱装置
US20220139144A1 (en) Medium processing device
US8708126B2 (en) Bill validator—dispenser with improved security
JP3192973B2 (ja) 紙幣入出金装置
KR20000018518A (ko) 지폐인식기의 수평형 스태킹장치
KR20100077436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취출장치 및 방법
KR20000018519A (ko) 지폐인식기의 수직형 스태킹장치
KR100545779B1 (ko)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
KR20050024111A (ko) 주화 자동 입금장치
KR100222675B1 (ko)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
JP2580584Y2 (ja) 循環式硬貨入出金機
JP4265511B2 (ja) 紙幣収納庫、紙幣処理装置および金銭処理装置
JPS62274390A (ja) 入出金口のシヤツタ装置
JPH0573761A (ja) プリペイドカード販売機
JPH06243328A (ja) 硬貨処理装置
JP2600701Y2 (ja) 貨幣入出金機
JPS62274391A (ja) 貨幣取込装置
JP3454592B2 (ja) 紙葉類処理装置
KR20150125227A (ko)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 장치
KR100555953B1 (ko) 지폐 및 동전 입출금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