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7284A - 보안 파일 케비넷 도어의 시건장치 - Google Patents

보안 파일 케비넷 도어의 시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7284A
KR20020027284A KR1020010061553A KR20010061553A KR20020027284A KR 20020027284 A KR20020027284 A KR 20020027284A KR 1020010061553 A KR1020010061553 A KR 1020010061553A KR 20010061553 A KR20010061553 A KR 20010061553A KR 20020027284 A KR20020027284 A KR 20020027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door
opening
clos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1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해
Original Assignee
김 종 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 종 해 filed Critical 김 종 해
Priority to KR1020010061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7284A/ko
Publication of KR20020027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728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38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using permanent magnets
    • E05B47/0043Mechanical locks operated by cards having permanent magne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 E05B2047/0054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using microprocessor, printed circuit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07C2009/0079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by Hertzian wa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인이 공유하는 도어(DOOR)나, 문서 케비넷의 서랍문에 있어서, 다수의 사용자가 시건장치를 공유하여 사용할 시 문을 연 사용자의 ID(Identification) 데이터와 문을 연 일자와 문을 연 시간을 시건장치 스스로 기억저장 함으로서 고가의 전산망에 접속하지 아니하고 기기 스스로 보안사고에 대응하며, 아울러 다수개의 도어(서랍의 도어)로 구성되는 파일 케비넷에서 하나의 서랍문(도어)을 제어함으로서 전체 서랍문을 동시에 제어하는 서랍의 문짝 내부에 거치할 수 있는 시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보안 파일 케비넷 도어의 시건장치{The locking & unlocking apparatus for security file cabinet door.}
다수인이 공유하는 도어나 보안 서류 케비넷의 서랍문에 있어서 시건장치를 작동시킨 사용자의 ID데이터와 작동일자와 작동시간을 기기 스스로 메모리하여 기억 저장하여 누가 언제 기기를 사용하였는지를 식별할 수 있는 보안장치를 제공하며 아울러 서류 케비넷의 서랍의 문짝 내부에 설치하여 전체의 서랍문을 동시 제어하는 시건장치를 제공한다.
다수인이 공유하는 보안시설의 출입문이나, 사무용 서류 케비넷의 서랍문이나 금고의 문이나 군용 무기 체계의 시건장치에 있어서 언제 누가 열었는지를 식별하는 보안통제의 기술은 고가의 PC네트워크를 구성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수한 카드가 필요했다. 또한 대형시설 금고의 문이나 보안설비의 출입문에 열쇠나 다이얼을 설치해온 종래의 방식은 다이얼번호와 열쇠만 노출되면 누구나 열 수 있으므로 보안에 취약할 뿐만아니라 내부자에 의한 도난사건이 발생할시 범인 색출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다수개의 서랍으로 구성된 문서 보관을 케비넷은 하나의 서랍문을 제어하여 모든 서랍문을 동시에 잠그거나 여는 장치가 개발되지 아니하여 서랍문마다다이얼장치 등을 따로 설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가의 PC네트워크를 구성함이 없이 기기 스스로 사용자의ID와 시건장치의 작동시간을 기억저장하며, 아울러 특별한 열쇠나 특별한 카드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는 보안장치를 제공한다.
아울러 다수개의 서랍문으로 구성된 파일 케비넷에 하나의 ID입력수단으로 다수개의 서랍문을 동시 제어하며, 밧데리의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보안장치를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의 잠금장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ID 입력 수단 2 : 표시 수단
3 : 중앙 처리 장치 4 : 메모리 수단
5 : 시간 데이터 발진 수단 6 : 잠금장치
6-1 : 개폐제어 차단 구멍 7 :잠금장치
7-1 : 잠금장치의 차단레버 8-1,8-2,8-3 : 개폐레버
9 : 제어레버 9-1 : 제어홈
10 : 사용자레버 11 : 감지센서
12 : 개폐센서 13 : 개폐레버용 스프링
14 : 제어레버용 스프링 15 : 2차 시건장치
16 : 회전 디스크 17 : 회전축
18-1,18-2 : 서랍에 부착된 제어핀 19-1,19-2,19-3 : 보조키세트장치
20 : 문짝에 고정된 회전축 21 : 스프링
22 : 2차 서랍 열림 제어날개 23 : 회전축
24 : 2차 서랍 개폐용 제어레버 25 : 서랍문
26 : 케비넷의 몸체 27 : 몸체에 고정된 축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구성과 그에 따른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시스템구성 블록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개폐장치의 상세도이다.
도1과 도2에 의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신의 ID를 입력하는 ID입력수단(1)과; 사용자가 개폐장치를 작동시킨 일자와 시간을 특정하는 시간데이터 발진수단(5)과; 사용자의 ID와 작동시간 데이터를 기억저장하는 메모리수단(4)과; 기기의 Lock/Unlock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2)과; 시건장치의 개폐장치를 제어하는 잠금장치 구동수단(6)과; 위의 각 수단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3)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시건장치의 개폐장치를 솔레노이드방식으로 구성하게되면, 케비넷 서랍의 문짝과 케비넷 문틀간에 잠금과 열림(Locking & Unlocking) 기능을 수행하는 1개 또는 이상의 개폐레버(8-1,8-2,8-3)와; 개폐레버의 작동을 차단하거나 차단을 해제하는 잠금장치(7)와; 장금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수단(6)과; 외부에서 개폐레버장치를 작동시키는 사용자 레버장치(10)와; 개폐레버가 열림 상태일 때(문짝을 닫기전)에 솔레노이드가 잠금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억제하는 제어레버(9)와: 문짝이 잠금 상태가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레버의 억제를 해지하는 감지센서(11)와; 문짝의 닫음 상태를 감지하여 제2의 다른 문짝의 잠금 장치를 제어하는 개폐센서(12)로 구성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자신의 ID를 ID입력수단(1)으로 입력한다. 이때, ID입력수단을 마그네틱 카드로 구성하면 자신이 유일하게 소지하고 있는 은행카드나 그룹회원카드 등의 마그네틱 카드로 입력하며, ID입력수단(1)을 비접촉식 RF카드리더로 구성하면 RF카드로 ID를 입력하고, ID입력수단(1)을 지문인식장치로 구성하면 지문으로 ID를 입력한다.
또한, ID입력수단을 다수개로 구성할시, 예컨대 카드리더와 키패드로 구성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카드와 비밀번호를 모두 입력하거나, 카드만 입력하거나, 비밀번호만 입력하는 등 3가지 방법으로 ID를 입력하고 위 3가지 방법으로 시건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중앙처리장치(3)는 ID입력수단(1)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의 ID데이터를메모리수단(4)에 메모리시킨다. 다수명의 사용자가 시건장치를 공유할 시에는 다수명의 사용자가 다수개의 ID를 메모리시킨다. 사용자가 자신의 ID를 미리 메모리시키는 방법은 케비넷의 문이 열리고 시건장치가 개방된 상태에서, 케비넷 내부에서 ID메모리용 스위치를 작동시켜 메모리시키며, ID메모리용 스위치는 기존의 열쇠형 전원스위치로 구성하거나, 키패드가 내장된 시스템에서는 ID메모리용 비밀번호를 키패드로 입력하고 사용자의 ID를 입력할 수도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사용자는 미리 자신의 ID를 메모리시켜두고, 그 후 케비넷을 열고자할시에는 자신이 메모리시켜둔 ID를 입력하게 되면 중앙처리장치(3)는 ID입력수단 (1)으로부터 전송되어온 사용자의 ID데이터를 메모리수단(4)에 기억저장된 ID데이터와 비교하여 데이터가 일치하면 허가된 사용자로 간주하여 솔레노이드수단(6)을 ON시킨다. 솔레노이드의 ON으로 솔레노이드의 바(BAR)가 UP되어 개폐레버(8-1)의 움직임을 차단하고 있던 솔레노이드의 바를 해제하게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3)는 시간데이터 발진수단(5)이 발진하는 일자와 시간 데이터를 사용자의 ID데이터와 함께 메모리수단(4)에 순차적으로 메모리 시키게되며, 표시수단(2)으로 시건장치의 개폐사실을 표시하게된다.
메모리수단(4)에 기억저장되는 데이터는 먼저 입력한 것부터 순차적으로 기억저장되며, 메모리수단의 용량에 따라 가장 최근에 문을 연 데이터부터 항상 일정한 숫자의 데이터를 소급하여 메모리 하게되고, 가장먼저 저장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지워가면서 항상 일정한 분량의 데이터를 메모리 하게된다.
솔레노이드수단(6)의 ON으로 개폐레버(8-1)를 차단하던 솔레노이드의바(BAR)가 UP되면 사용자는 사용자레버(10)로 시건장치의 회전디스크(16)를 회전시켜, 케비넷의 개폐레버(8-1,8-2,8-3)를 동시에 안으로 끌어들여 케비넷의 서랍문짝과 몸체의 문틀을 분리시켜 서랍을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사용자가 서랍을 열게되면, 회전디스크(16)는 개폐레버(8-1,8-2,8-3)가 케비넷의 서랍이 케비넷의 문특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 유격거리만큼 움직이게 되는 것이나 일단 문이 열리고 사용자가 사용자레버(10)로부터 손을 떼게되면 스프링(13)의 힘으로 인하여 개폐레버(8-1,8-2,8-3)는 제어홈(9-1)의 깊이와 같은 길이만큼 외부로 돌출되는 상태에서 제어레버(9)에 의하여 작동이 차단되는 것이다.
이때, 제어레버(9)가 제어스프링(14)의 힘으로 회전디스크(16)의 제어홈(9-1)에 걸리게되어, 사용자가 사용자레버(10)로부터 손을 떼더라도 개폐레버(8-1, 8-2, 8-3)는 개폐레버를 항상 외부로 밀어내고 있는 스프링(14)의 힘에도 불구하고 외부로 더 이상 돌출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솔레노이드(6)의 BAR는 솔레노이드의 전류가 OFF되더라도 개폐레버(8-1)의 상부에 위치하여 차단구멍(6-1)에 꽂히지 아니하게 되는 것이며, 케비넷의 문을 닫게되면 개폐레버(8-3)가 케비넷의 문틀에 의하여 위로 움직이게되어 제어레버(9)를 제어홈(9-1)에서 이탈시키게 되는 것이고, 동시에 스프링(13)의 힘에 의하여 개폐레버(8-1, 8-2, 8-3)는 모두 외부로 확장하게 되고 개폐레버 8-1에 타설된 솔레노이드바 차단구멍(6-1)이 솔레노이드바 아래에 위치하게 되어 솔레노이드(6)의 BAR는 솔레노이드에 내장된 스프링의 힘으로 아래로 내려와 차단구멍(6-1)에 꽂히게 됨으로서 개폐레버의 움직임을 차단하게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동작으로 케비넷 서랍이 닫히게 되면, 서랍외부의 일단에 설치된 개폐센서(12)가 케비넷 내부의 다른 서랍 개폐용 2차시건장치(15)를 밀게되어 케비넷 회전축(23)의 작용으로 케비넷의 다른 서랍 개폐용 제어레버(21)를 위로 올리게 되고 이때 다른 서랍 외부에 돌출한 제어핀(18-1,18-2)이 서랍 개폐용 제어레버(24)에 부착된 개폐 제어날개(22-1,22-2)에 의하여 열림이 차단되므로 다른 서랍까지 모두 열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케비넷 서랍 외부의 일단에 부설된 개폐센서(12)가 서랍의 닫히는 힘으로 인하여 케비넷 내부의 다른 서랍용 2차시건장치(15)를 밀게되는 힘으로 전체 케비넷 서랍이 모두 잠기게 되는 장치의 구성은 기존의 케비넷 시건장치와 같은 기술구조를 원용한다.
위와 같은 작용으로 케비넷에서 ID입력수단이 부설된 서랍문을 열게되면 다른 서랍의 개폐날개(22-1,22-2)를 차단하고 있던 서랍 개폐용 제어레버(24)가 스프링(21)의 힘으로 이탈되어 케비넷의 다른 문들도 사용자가 각 서랍의 사용자 레버로 서랍별로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서랍별로 재래식 키세트(Keyset)장치 (19-1,19-2,19-3)를 부설하면 서랍문의 열림을 ID입력수단과 열쇠로 이중으로 차단하여 이중 잠금 장치를 요구하는 비밀문건 보관 용기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중앙처리장치(3)에 감지센서와 경보장치를 부가하게 되면 중앙처리장치의 제어로 보안용기에 대한 각종 공격을 센서별로 감지하여 자동 경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열감지센서를 부착하게 되면 용접기에 의한 열공격을 감지하여 경보하게 되는 것이며, 충격감지센서를 부착하면 충격을 감지하여 경보하는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은 기술구조는 다수개의 서랍문으로 구성된 서류 케비넷 뿐만아니라 은행의 대형 시설 금고문이나 보안시설의 출입문이나. 군용무기체계에 대한 접근수단이나 또는 1개 이상의 문짝으로 구성된 케비넷이나 붙박이장의 문짝에도 설치가능 한 것이다. 또한 잠금장치의 구동수단으로 솔레노이드 수단 대신에 소형기어 모터를 설치하여 중앙처리장치(3)의 제어로 잠금장치(7)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차단레버(7-1)를 전동모터로 구동시키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열쇠대신 자신의 ID데이터로 시건장치를 작동시키게 되어 편리하며, ID데이터로 사용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열쇠화하게 되는 것이므로 보안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고가의 전산망을 부설하지 아니하더라도 도어나 케비넷 사용자의 ID와 도어나 케비넷을 연 일자와 시간을 시건장치 스스로 기억저장함으로 인하여 보안사고 발생시 누가 언제 개폐했는지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또한 하나의 솔레노이드로 다수개의 서랍을 함께 제어하는 효과와, 솔레노이드에 일정한 시간동안만 전류가 흐르고 ON하게 되며, 평시에는 전류가 OFF된 상태이므로 전류의 소모를 극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다수인이 이용하는 도어나, 케비넷 문에 있어서,
    (1) 사용자의 ID(Identification)데이터를 입력하는 ID데이터 입력수단과;
    (2) 사용자가 ID데이터를 입력시켜 시건장치를 작동시킬시 작동일자와 작동시간을 특정하는 시간데이터 발진수단과;
    (3) ID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ID데이터와 위 시건장치 작동일자와 시간데이터를 기억저장하는 메모리수단과;
    (4) 시건장치의 잠금장치를 전기적으로 구동시켜 개폐하는 잠금장치 구동수단과;
    (5) 사용자가 ID데이터를 입력하면, 메모리 수단에 입력된 ID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잠금장치 구동수단을 열림(Unlock)모드로 전환시켜 일정시간동안 잠금을 해제하며, 시건장치의 작동일자와 작동시간을 ID데이터와 함께 순차적으로 메모리수단에 기억저장시키며 위 각 전자적 수단의 작용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시건장치를 작동시킨 사용자의 ID번호데이터와, 작동일자와 작동시간을 시건장치 스스로 메모리하여 보안사고에 대응하며 ID데이터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건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장금장치 구동수단을 솔레노이드장치로 구성하고,
    (1) 문짝의 내부에 부착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디스크의 일단에 연결되어 회전디스크의 회전력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이며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항상 외부로 돌출하려는 성질로 인하여 문짝을 닫으면 자동으로 문틀에 의하여 잠기는 상태가 되는 1개 또는 이상의 개폐레버와;
    (2) 위 개폐레버 중에서 좌우로 수평이동하는 1개의 개폐레버의 상단에 타설된 차단구멍에 스프링의 힘으로 솔레노이드의 바(BAR)가 꽂히게 하여 개폐레버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문짝에 부설된 솔레노이드 장치와;
    (3) 사용자가 ID를 입력시켜 열고자할 시 중앙처리장치의 제어로 솔레노이드 바를 UP시켜 솔레노이드바를 차단구멍에서 이탈시킨 다음, 사용자가 외부에서 회전디스크를 회전시켜 개폐레버를 안쪽으로 오무려 문짝을 문틀로부터 이격시키는 사용자 레버장치와;
    (4) 사용자 레버장치로 개폐레버장치를 열림모드로 전환할 시, 스프링의 힘으로 회전 디스크의 차단홈에 꽂히게 되어 개폐레버의 작동을 열림상태에서 정지시키는 작용과, 문짝을 닫으면 문짝의 닫힘동작에 의하여 차단홈으로부터 이격되어 개폐레버의 작동제어를 해제시키는 작용을 하는 제어레버장치와;
    (5) 개폐레버가 열림모드로 전환될 시 차단구멍이 이동하게 되어 솔레노이드의 솔레노이드 바가 잠금모드로 복귀하는 것을 억제하며, 개폐레버가 잠김 상태로 복귀할 시 차단구멍이 솔레노이드 바의 하단에 위치하게 되어 스프링이 힘에 의하여 솔레노이드 바가 돌출하여, 개폐레버상의 차단구멍에 삽입되어 개폐레버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잠금장치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건장치
  3. 청구항1에 있어서,
    잠금장치 구동수단을 소형 전동기어모터로 구성하여
    (1) 문짝의 내부에 부착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디스크의 일단에 연결되어 회전디시크의 회전력에 따라 좌우 수평으로 움직이며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항상 외부로 돌출 하려는 성질로 문짝을 닫으면 자동으로 문틀에 의하여 잠기는 상태가 되는 개폐레버와;
    (2) 위 개폐레버의 일단에 타설된 차단구멍에 전동모터의 회전력으로 Lock시에는 삽입되고, Unlock시에는 빠지는 구조로 개폐레버의 개폐를 제어하는 차단레버와;
    (3) 사용자가 ID를 입력함에 따라 중앙처리장치가 전동모터를 일정시간동안 회전시켜 차단레버를 차단구멍에서 이격시키며 이때 사용자가 외부에서 회전디스크를 회전시켜 개폐레버를 안쪽으로 오무려 문짝을 문틀로부터 이격시키는 사용자 레버장치와;
    (4) 문짝을 닫으면 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장치로 감지센서가 문짝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면 자동으로 전동모터를 회전시켜 개폐레버의 차단구멍에 차단레버를 꽂아 문짝을 폐쇄하는 장치를 부설한 구성으로 전동기어 모터로 개폐제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건장치
  4. 청구항1 또는 청구항2, 또는 청구항3에 있어서,
    ID데이터 입력수단을 비접촉식 RF카드리더장치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건장치
  5. 청구항1 또는 청구항2, 또는 청구항3에 있어서,
    ID데이터 입력수단을 마그네틱 카드리더장치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건장치
  6. 청구항1 또는 청구항2, 또는 청구항3 있어서,
    ID데이터 입력수단을 키패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건장치
  7. 청구항1 또는 청구항2, 또는 청구항3에 있어서,
    ID데이터 입력수단을 지문인식장치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건장치
  8. 청구항1 또는 청구항2, 또는 청구항3에 있어서,
    ID데이터 입력수단을 홍체 인식장치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건장치
  9. 청구항1 또는 청구항2, 또는 청구항3에 있어서,
    ID데이터 입력수단을 음성 데이터 인식장치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건장치
  10. 청구항4 또는 청구항5, 또는 청구항7 또는 청구항8 또는 청구항9에 있어서, ID데이터 입력수단으로 키패드 장치를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건장치
  11. 청구항1 또는 청구항2, 또는 청구항3에 있어서,
    ID데이터 입력수단을 2 또는 이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건장치
  12. 청구항1 또는 청구항2, 또는 청구항3에 있어서,
    시건장치가 닫힘(LOCKED)상태가 될 때 문의 닫히는 힘으로, 다른 문의 시건장치를 닫힘상태로 전환하는 2차 시건수단을 부가하여, 문의 여닫음으로 다른 문의 시건장치를 동시에 잠금 또는 열림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건장치
KR1020010061553A 2001-10-05 2001-10-05 보안 파일 케비넷 도어의 시건장치 KR200200272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553A KR20020027284A (ko) 2001-10-05 2001-10-05 보안 파일 케비넷 도어의 시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553A KR20020027284A (ko) 2001-10-05 2001-10-05 보안 파일 케비넷 도어의 시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813U Division KR200227883Y1 (ko) 2000-10-05 2000-10-05 보안 파일 케비넷 도어의 시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284A true KR20020027284A (ko) 2002-04-13

Family

ID=19714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1553A KR20020027284A (ko) 2001-10-05 2001-10-05 보안 파일 케비넷 도어의 시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72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551B1 (ko) * 2006-06-21 2007-05-28 (주)현대정밀 캐비넷 도어의 잠금장치
KR20180038680A (ko) * 2016-10-07 2018-04-17 한국전력공사 전력설비의 오조작 방지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551B1 (ko) * 2006-06-21 2007-05-28 (주)현대정밀 캐비넷 도어의 잠금장치
KR20180038680A (ko) * 2016-10-07 2018-04-17 한국전력공사 전력설비의 오조작 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7883Y1 (ko) 보안 파일 케비넷 도어의 시건장치
JP4611340B2 (ja) ドアロック装置
RU2145378C1 (ru) Электронная система безопасности
EP3782503B1 (en) Electronic key storage case
US5014049A (en) Electronic lock system
US6843409B2 (en) Media container module
US5124696A (en) Electronic lock system
KR100707518B1 (ko) 지문 인식 방식의 열쇠 보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20027284A (ko) 보안 파일 케비넷 도어의 시건장치
US4232613A (en) Armor plated safe
KR100214222B1 (ko) 키패드 및 카드 겸용 금고 개폐 시스템과 장치
JP3998255B2 (ja) 指紋認証装置付き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4597029B2 (ja) ロッカーの施錠装置
US20090160606A1 (en) Lock System with User Self-Enrollment Method
SE529890C2 (sv) Lås för betalautomat
JP2006256842A (ja) 格納システム及び電子キー
KR200217975Y1 (ko) 비밀문건 보관용 보안 용기의 개폐 제어장치
EP3095935B1 (en) High security hooked lock
KR101726078B1 (ko)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US11842587B1 (en) System, comprising a lock unit for a cabinet and at least one portable user terminal
RU2005107000A (ru) Система безопасности и замок
KR200384809Y1 (ko) 대여금고 도어 개폐장치
GB2380224A (en) A locking arrangement comprising two independent locking mechanisms
KR20020021974A (ko) 비밀문건 보관용 보안 용기 의 개폐 제어장치
TW202341900A (zh) 安全儲存單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