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8680A - 전력설비의 오조작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설비의 오조작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8680A
KR20180038680A KR1020160129611A KR20160129611A KR20180038680A KR 20180038680 A KR20180038680 A KR 20180038680A KR 1020160129611 A KR1020160129611 A KR 1020160129611A KR 20160129611 A KR20160129611 A KR 20160129611A KR 20180038680 A KR20180038680 A KR 20180038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unlocking
power facility
electric powe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1671B1 (ko
Inventor
조휴윤
황명숙
손도현
정영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60129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671B1/ko
Publication of KR20180038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assembly, or maintenance of boards or switchg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의 오조작 방지 시스템은 전력설비의 제어함에 설치되는 잠금 장치, 상기 잠금 장치를 해정하는 해정 장치 및 상기 해정 장치가 상기 잠금 장치를 해정하기 위한 해정 보안코드를 해정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력설비의 오조작 방지 시스템{SYSTEM FOR PREVENT MAL-OPERATION OF POWER FACILITIES}
본 발명은 전력설비의 오조작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력설비 유지보수를 위해 휴전조작을 할 때, 작업자가 조작해야 할 조작기기의 조작승인 여부를 오로지 눈으로 확인하는 방법에 의존하였다. 즉, 많은 변전소의 조작기기가 실제 조작해도 되는 기기인지 여부를 기기조작 절차서를 참조하여 판단하였다. 또한, 작업자는 전력설비 조작을 관리하는 상위관리자(전력거래소, 급전소, 급전분소 또는 배전사령실 등)와 유무선 통신 등을 통해 작업 승인 여부를 요청하고 확인하는 절차를 거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작업자의 착각이나 판단 잘못에 의한, 오조작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없어, 전력설비의 오조작을 방지하지 못하고 중대한 고장을 일으키기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GIS(가스절연개폐 시스템) 설비가 복잡하여 현장작업이 어려운 반면 현장의 모든 작업사항을 시공업체 및 제작사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아무리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서류적인 안전사항을 구비한다고 해도, 1인 감독체제에서는 다수 작업자들의 안전 확보 및 작업자 에러를 방지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GIS 설비에서 많은 오조작에 의한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GIS설비 중 DS(단로기), ES(접지 스위치) 현장 조작함은 현장 작업자에 의해 도어 Open이 용이하고 내부 Inter-Lock 조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작함 내에서 간단하게 조작되고 임의 해제가 가능하여 이에 따른 대형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은 “작업자 에러방지 무선센서 네트워크 종합 시스템 “에 관한 것으로, 조작설비 주변에 움직임 또는 터치와 관련한 환경변화를 인식하는 센서를 설치하고 감지신호를 작업자 에러방지 무선센서 네트워크 종합시스템에 신호를 전송하고 결과를 현장 스피커를 통해 일반 알람 및 경보 알람을 발생시킴으로써, 작업자에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발명은 작업자가 경보를 인지하고 수행중인 작업의 오류를 스스로 인식할 때만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비정상적인 심리상태에서는 착오 또는 무단 조작 행위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56415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해정 장치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해 전력설비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이를 이용하여 작업의 유효성을 판단하며, 작업이 유효한 경우, 해정 장치로 전송되는 해정 보안코드를 이용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전력설비에 대한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전력설비의 오조작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의 오조작 방지 시스템은 전력설비의 제어함에 설치되는 잠금 장치, 상기 장금장치를 해정하는 해정 장치 및 상기 해정 장치가 상기 잠금 장치를 해정하기 위한 해정 보안코드를 해정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전력설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해정 장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잠금 장치로부터 상기 전력 설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해정 보안코드가 수신되면, 상기 해정 보안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잠금장치를 해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해정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전력설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해정 장치에 대한 작업의 유효성을 판단하며, 상기 작업이 유효한 경우, 상기 해정 보안코드를 상기 해정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해정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전력설비에 대한 정보에 따른 상기 전력설비의 작업순서가 기 설정된 작업순서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전력설비에 대한 작업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전력설비의 잠금 장치에 대응되는 해정 보안코드를 상기 해정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전력설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해정 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전력설비의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력설비의 제어함을 잠그는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해정 장치는, 상기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전력설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 상기 전력설비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해정 보안코드를 수신하는 제1 무선 통신부 및 상기 해정 보안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잠금부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잠금해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잠금해제부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극성이 바뀌는 복수개의 전자석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부를 통해 해정 보안코드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해정 보안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자석의 극성을 조절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전자석의 극성에 따라 위치가 조정되는 복수개의 잠금홀 및 상기 복수개의 잠금홀의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잠금홀과 결합되는 복수개의 잠금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잠금핀이 상기 복수개의 잠금홀과 결합되면,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잠금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해정 보안코드는 상기 복수개의 잠금홀과 상기 복수개의 잠금핀이 결합하도록 하는 상기 복수개의 전자석의 극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해제부는, 복수개의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개의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는 복수개의 자석,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해정 보안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복수개의 자석의 위치에 따라 위치가 조정되는 복수개의 잠금핀, 상기 복수개의 잠금핀의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잠금홀과 결합되는 복수개의 잠금홀 및 상기 복수개의 잠금핀이 상기 복수개의 잠금홀과 결합되면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잠금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해정 보안코드는 상기 복수개의 잠금홀과 상기 복수개의 잠금핀이 결합하도록 하는 상기 복수개의 자석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해정 장치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해 전력설비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이를 이용하여 작업의 유효성을 판단하며, 작업이 유효한 경우, 해정 장치로 전송되는 해정 보안코드를 이용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전력설비에 대한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의 오조작 방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버의 작업 유효성을 판단하는 동작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잠금 장치 및 해정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잠금부 및 잠금해제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잠금부 및 잠금해제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해정 보안코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가 사용될 것이며,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의 오조작 방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의 오조작 방지 시스템(10)은 잠금 장치(100), 해정 장치(200) 및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력설비의 제어함은 변전소의 차단기(CB), 단로기(DS), 접지스위치(ES)와 같은 전력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현장 조작 스위치, 가스밸브, 조작 레버 등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잠금 장치(100)는 전력설비의 제어함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함을 열지 못하도록 잠글 수 있다. 잠금 장치(100)는 설치된 전력설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해정 장치(200)가 접근하면,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전력설비에 대한 정보를 해정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설비에 대한 정보는 전력설비의 종류, 위치,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해정 장치(200)는 잠금 장치(100)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잠금 장치(100)로부터 전력설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서버(300)로부터 해정 보안코드가 수신되면, 상기 해정 보안코드를 이용하여 잠금 장치(100)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해정 장치(200)는 전력설비에 대한 정보와 함께, 해정 장치(200)에 대한 정보를 함께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0)는 해정 장치(200)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해정 장치(200)로부터 잠금 장치(100)가 설치된 전력설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300)는 상기 전력설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정 장치(200)에 대한 작업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300)는 작업설비별 작업이 가능한 해정 장치(2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작업의 유효성 판단을 위한 작업순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서버(300)는 특정 해정 장치(200)로부터 전력설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해정 장치(200)가 상기 전력설비에 대한 작업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정 장치(200)가 상기 전력설비에 대한 작업이 가능한 경우, 서버(300)는 상기 해정 장치(200)의 작업순서(예컨대, 해당 해정 장치(200)로 해정 보안코드를 전송한 내역 등을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음)가 기 설정된 작업순서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전력설비에 대한 작업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전력설비에 설치된 잠금장치(100)에 대응되는 해정 보안코드를 상기 해정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버의 작업 유효성을 판단하는 동작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300)는 제1 잠금 장치(100a), 제2 잠금 장치(100b) 및 제3 잠금 장치(100b)에 대하여, 상기 잠금 장치들이 각각 설치된 제1 전력설비, 제2 전력설비 및 제3 전력설비의 작업순서를 제1 전력설비, 제2 전력설비 및 제3 전력설비 순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해정 장치(200)가 제3 잠금 장치(100c)로부터 제3 전력설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서버(300)로 전송하는 경우, 서버(300)는 먼저, 상기 해정 장치(200)가 상기 제3 잠금 장치(100c)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해서 판단하고, 조작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해정 장치(200)가 제1 전력설비 및 제2 전력설비에 대해 작업이 완료된 경우, 제3 잠금 장치(100c)에 대한 해정 보안코드를 상기 해정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잠금 장치 및 해정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100)는 저장부(110),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120) 및 잠금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정 장치(200)는 제1 무선 통신부(210),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220) 및 잠금해제부(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0)는 잠금 장치(100)가 설치된 전력설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전력설비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전력설비의 식별번호, 상기 전력설비의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120)는 잠금 장치(200)의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22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220)가 통신 가능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경우, 저장부(110)에 저장된 전력설비에 대한 정보를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22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근거리 무선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RFID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120)는 NFC 태그일 수 있으며,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220)는 NFC 리더일 수 있다.
잠금부(130)는 전력설비의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전력설비의 제어함을 잠글 수 있다. 여기서, 잠금부(130)의 잠금상태는 해정 장치(200)의 잠금해제부(230)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잠금부(130) 및 잠금해제부(230)에 대해서는 이하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제1 무선 통신부(210)는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220)로 수신된 전력설비에 대한 정보를 서버(2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잠금부 및 잠금해제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해제부(230)는 복수개의 전자석(232) 및 제1 제어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130)는 복수개의 잠금홀(132) 및 잠금돌기부(136)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전자석(232a, 232b, 232c, 232d)은 제1 제어부(234)의 제어에 따라 전류의 극성이 바뀔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전자석(232a, 232b, 232c, 232d)의 일측은 극성에 따라 잠금부(130)의 잠금홀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영구자석(132)의 일측과의 관계에서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할 수 있다.
제1 제어부(234)는 제1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해정 보안코드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전자석(232a, 232b, 232c, 232d)의 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해정 보안코드는 복수개의 전자석(232a, 232b, 232c, 232d)의 극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잠금부(130)는 전자석(232)의 극성에 따라 잠금홀(134)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개의 영구자석(132), 제1 탄성부재(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잠금핀(135)과 잠금홀(134)의 결합에 의해 잠금돌기부(136)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하기 위한 제2 탄성부재(1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234)는 해정 보안코드에 따라 복수개의 전자석(232a, 232b, 232c, 232d)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복수개의 전자석(232a, 232b, 232c, 232d)의 극성을 바꾸거나, 전류를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해정 보안코드는 복수개의 전자석(232a, 232b, 232c, 232d)중 어느 하나의 일측이 S극으로 전환되는 S, N극으로 전환되는 N 및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 O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해정 보안코드는 잠금핀(135)이 잠금홀(134)에 결합하기 위한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잠금홀(134a)이 제1 잠금핀(135a)와 결합하기 위해서는 제1 전자석(232a)와 제1 영구자석(132a) 사이에 척력이 작용해야 하므로, 제1 전자석(232a)의 일측(제1 영구자석(132a)과 인접한 측면)의 극성은 N이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원리로, 제2 전자석(232b)의 극성은 S, 제3 전자석(232c)의 극성은 O, 제4 전자석(232d)의 극성은 N이 되는 경우, 잠금돌기부(136)의 복수개의 잠금핀(135)는 모두 복수개의 잠금홀(132a 내지 132d)와 결합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해정 보안코드는 NSON이 될 수 있다. 잠금돌기부(136)의 복수개의 잠금핀(135a 내지 135d)은 각각 복수개의 잠금홀(132a 내지 132d)와 결합하게 되면, 제2 탄성부재(137)와의 역학적 관계에 따라 잠금돌기(136)가 이동하여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잠금부 및 잠금해제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해정 보안코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해제부(230)는 복수개의 모터(236), 복수개의 회전판(237), 복수개의 자석(238) 및 제2 제어부(2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35)는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해정 보안코드에 따라 복수개의 모터(236)를 제어함으로써, 복수개의 회전판(237)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자석(238)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자석(238)의 위치는 각각 대응되는 잠금핀(135)의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잠금핀(135)과 잠금홀(132)의 결합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회전판(237)의 회전에 따른 자석(238)의 위치에 A 내지 F의 코드가 지정될 수 있고, 이 경우, 해정 보안코드는 A 내지 F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의 경우, 해정 보안코드는 AFAD일 수 있다.
복수개의 잠금핀(135)이 복수개의 잠금홀(134)과 결합하면, 잠금돌기부(136)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삽입된 체결부재(138)가 채결부위로부터 빠져 나오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탄성부재(137)와의 역학적 관계에 따라 잠금돌기(136)가 이동하여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 전력설비의 오조작 방지 시스템
100: 잠금 장치
110: 저장부
120: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
130: 잠금부
200: 해정 장치
210: 제1 무선 통신부
220: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
230: 잠금해제부
300: 서버

Claims (12)

  1. 전력설비의 제어함에 설치되는 잠금 장치;
    상기 잠금 장치를 해정하는 해정 장치; 및
    상기 해정 장치가 상기 잠금 장치를 해정하기 위한 해정 보안코드를 해정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전력설비의 오조작 방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전력설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해정 장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잠금 장치로부터 상기 전력 설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해정 보안코드가 수신되면, 상기 해정 보안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잠금 장치를 해정하는 전력설비의 오조작 방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해정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전력설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해정 장치에 대한 작업의 유효성을 판단하며, 상기 작업이 유효한 경우, 상기 해정 보안코드를 상기 해정 장치로 전송하는 전력설비의 오조작 방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해정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전력설비에 대한 정보에 따른 상기 전력설비의 작업순서가 기 설정된 작업순서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전력설비에 대한 작업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전력설비의 잠금 장치에 대응되는 해정 보안코드를 상기 해정 장치로 전송하는 전력설비의 오조작 방지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전력설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해정 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전력설비의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력설비의 제어함을 잠그는 잠금부;
    를 포함하는 전력설비의 오조작 방지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해정 장치는,
    상기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전력설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
    상기 전력설비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해정 보안코드를 수신하는 제1 무선 통신부; 및
    상기 해정 보안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잠금부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잠금해제부;
    를 포함하는 전력설비의 오조작 방지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부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극성이 바뀌는 복수개의 전자석;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부를 통해 해정 보안코드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해정 보안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자석의 극성을 조절하는 제1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력설비의 오조작 방지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전자석의 극성에 따라 위치가 조정되는 복수개의 잠금홀; 및
    상기 복수개의 잠금홀의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잠금홀과 결합되는 복수개의 잠금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잠금핀이 상기 복수개의 잠금홀과 결합되면,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잠금돌기부;
    를 포함하는 전력설비의 오조작 방지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해정 보안코드는 상기 복수개의 잠금홀과 상기 복수개의 잠금핀이 결합하도록 하는 상기 복수개의 전자석의 극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설비의 오조작 방지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부는,
    복수개의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개의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는 복수개의 자석;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해정 보안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2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력설비의 오조작 방지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복수개의 자석의 위치에 따라 위치가 조정되는 복수개의 잠금핀; 및
    상기 복수개의 잠금핀의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잠금홀과 결합되는 복수개의 잠금홀; 및
    상기 복수개의 잠금핀이 상기 복수개의 잠금홀과 결합되면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잠금돌기부;
    를 포함하는 전력설비의 오조작 방지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정 보안코드는 상기 복수개의 잠금홀과 상기 복수개의 잠금핀이 결합하도록 하는 상기 복수개의 자석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설비의 오조작 방지 시스템.

KR1020160129611A 2016-10-07 2016-10-07 전력설비의 오조작 방지 시스템 KR102051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611A KR102051671B1 (ko) 2016-10-07 2016-10-07 전력설비의 오조작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611A KR102051671B1 (ko) 2016-10-07 2016-10-07 전력설비의 오조작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680A true KR20180038680A (ko) 2018-04-17
KR102051671B1 KR102051671B1 (ko) 2019-12-04

Family

ID=62082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611A KR102051671B1 (ko) 2016-10-07 2016-10-07 전력설비의 오조작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6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42378A (zh) * 2020-04-01 2020-06-26 江苏核电有限公司 一种开关柜绝缘测量用临时解锁工具及解锁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7284A (ko) * 2001-10-05 2002-04-13 김 종 해 보안 파일 케비넷 도어의 시건장치
KR200418827Y1 (ko) * 2006-03-14 2006-06-14 도대욱 제어함 개폐통제장치
KR20110077058A (ko) * 2009-12-30 2011-07-07 송암시스콤 주식회사 지중전력설비함체용 보안키시스템 및 그 보안키
KR20150124703A (ko) * 2014-04-29 2015-11-0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시스템
KR101580188B1 (ko) 2015-04-22 2015-12-24 이창우 작업자 에러방지 무선센서 네트워크 종합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7284A (ko) * 2001-10-05 2002-04-13 김 종 해 보안 파일 케비넷 도어의 시건장치
KR200418827Y1 (ko) * 2006-03-14 2006-06-14 도대욱 제어함 개폐통제장치
KR20110077058A (ko) * 2009-12-30 2011-07-07 송암시스콤 주식회사 지중전력설비함체용 보안키시스템 및 그 보안키
KR20150124703A (ko) * 2014-04-29 2015-11-0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시스템
KR101580188B1 (ko) 2015-04-22 2015-12-24 이창우 작업자 에러방지 무선센서 네트워크 종합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42378A (zh) * 2020-04-01 2020-06-26 江苏核电有限公司 一种开关柜绝缘测量用临时解锁工具及解锁方法
CN111342378B (zh) * 2020-04-01 2024-03-19 江苏核电有限公司 一种开关柜绝缘测量用临时解锁工具及解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671B1 (ko)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127428A1 (en) Lockout/tagout system and method including multi-user lockout device with electronic locking and wireless control interface
AU2011355200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cryptographic key for a field device
CN101185040B (zh) 安全、无混淆、唯一地将操作人员的指令授权对应到可控技术设备的方法和装置
CN101492982A (zh) 应用于户外通信机房、机柜的智能电子门锁监控系统
US1118911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smart lock
CN201377223Y (zh) 应用于户外通信机房、机柜的智能电子门锁监控系统
CN105024283A (zh) 二次压板强制闭锁装置及其强制闭锁的方法
CN114514591A (zh) 带有按钮板的安全开关
CN103366431A (zh) 配网设备锁具的管理系统及方法
JP2015504493A (ja) 機械の動作を制御する装置、このような装置のためのロッキングインサートおよび付属する動作方法
WO2008050371A2 (en) Electromechanical closing device for manhole covers, entrances and technological containers, with an electronic code system for the opening
KR20180038680A (ko) 전력설비의 오조작 방지 시스템
CN203967262U (zh) 防止误操作的轨道交通接地锁
CN108879441B (zh) 变电站巡检和倒闸操作系统及其控制方法
CN105487411A (zh) 基于光纤传感器的智能五防闭锁方法及其装置
CN202221595U (zh) 通用智能解锁系统
CN207453677U (zh) 一种家用电磁智能锁
CN103295299A (zh) 解锁钥匙远程智能管理箱
CA2730984C (en) Secure non-contact switch
CN206991416U (zh) 一种带定位功能的智能钞箱及其监管系统
AU2021236563A1 (en) An equipment isolation switch assembly
CN113593082B (zh) 一种基于区块链的五防锁具管理方法及系统
CN113611014B (zh) 一种基于区块链的五防锁具管理方法
US11532191B2 (en) Interlock system and parts thereof
US20220415107A1 (en) Devices and method for digital consignment of physical resources within an industrial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67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903

Effective date: 2019090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