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481B1 - 캐비닛용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캐비닛용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481B1
KR102440481B1 KR1020220040144A KR20220040144A KR102440481B1 KR 102440481 B1 KR102440481 B1 KR 102440481B1 KR 1020220040144 A KR1020220040144 A KR 1020220040144A KR 20220040144 A KR20220040144 A KR 20220040144A KR 102440481 B1 KR102440481 B1 KR 102440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hole
cabinet
ring portion
extern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0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순
Original Assignee
(주)동화엠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화엠피에스 filed Critical (주)동화엠피에스
Priority to KR1020220040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4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8Sliding handles, e.g. push but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5/00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 E05B35/08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operable by a plurality of keys
    • E05B35/10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operable by a plurality of keys with master and pass ke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oin-Freed Apparatuses For Hir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용 잠금 장치는 캐비닛을 구성하는 도어에 함입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를 구현하는 캐비닛용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일부가 관통구를 형성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며, 일부가 관통공을 형성하는 커버부;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며, 상기 관통공을 통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력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의 일부와 결합되며, 상기 고리부와 연동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캐비닛용 잠금 장치일 수 있다.

Description

캐비닛용 잠금 장치{Cabinet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캐비닛용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캐비닛을 구성하는 도어에 함입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를 구현하는 캐비닛용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번호입력이 가능한 키패드나 NFC 또는 RFID 등 근거리 통신수단을 이용하는 무선 카드키로 개폐가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이 활성화되면서 열쇠를 이용한 개폐장치의 대체수단으로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보다 안전성이 높아지고 편의성이 향상된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도어락에 대한 연구 개발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양한 디지털 도어락이 등장하고 있음에도, 사무실이나 가정에 구비되어 있는 캐비닛이나 서랍장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가구들의 경우에는 대부분 아직까지도 일반적인 열쇠를 이용하는 기계적 자물쇠 잠금 장치가 적용되고 있을 뿐, 디지털 도어락이 일반적으로 적용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디지털 도어락이 주로 적용되는 출입용 도어와는 달리, 캐비닛이나 서랍장과 같은 가구류의 경우 가구 내부에서 도어를 개방하는 일은 없고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을 수납한 후 도어 외부에서만 개폐를 제어하게 되는 이용환경의 차이가 크기 때문이라 할 것이다.
즉, 도어의 외부와 내부 양쪽에서의 개폐 조작이 모두 가능한 일반적인 디지털 도어락을 그대로 적용할 필요성이 크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디지털 도어락을 추가하기 위해 증가하게 되는 제조비용의 증가를 피할 수 없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캐비닛이나 서랍장 등의 가구류에 디지털 도어락이 널리 활용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아직까지도 대부분의 캐비닛이나 서랍장 등의 경우 열쇠를 이용하는 기계식 자물쇠 잠금 장치가 부착된 상태로 판매 및 이용됨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열쇠를 이용하여 개폐하기 위해서는 열쇠를 중요하게 보관하여야 하는데, 열쇠의 보관 및 관리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캐비닛 등의 개폐를 위해서는 열쇠를 항상 소지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캐비닛의 잠금 개폐가 철저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1-0009785 A호에서는 사물함의 잠금장치에 채워진 개별 자물쇠의 열쇠를 사용자의 실수로 분실하더라도 관리자가 보관 중인 마스터키를 이용해 개별 자물쇠가 채워진 사물함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를 개시 하고 있다.
그러나 외부로 노출된 마스터키 뭉치가 파손되거나 훼손되는 경우, 자물쇠가 채워진 사물함을 제대로 개폐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캐비닛을 구성하는 도어에 함입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를 구현하는 동시에 외력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는 캐비닛용 잠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용 잠금 장치는 캐비닛을 구성하는 도어에 함입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를 구현하는 캐비닛용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일부가 관통구를 형성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며, 일부가 관통공을 형성하는 커버부;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며, 상기 관통공을 통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력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의 일부와 결합되며, 상기 고리부와 연동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캐비닛용 잠금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용 잠금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외력이 캐비닛용 잠금 장치에 가해져도, 마스터키가 삽입되는 삽입부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캐비닛용 잠금 장치에 채워진 개별 자물쇠의 열쇠를 사용자의 실수로 분실하더라도 관리자가 보관 중인 마스터키를 이용해 개별 자물쇠가 채워진 캐비닛을 보다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용 잠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용 잠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용 잠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용 잠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용 잠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용 잠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확대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용 잠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용 잠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용 잠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용 잠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정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용 잠금 장치는 캐비닛을 구성하는 도어에 함입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를 구현하는 캐비닛용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일부가 관통구를 형성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며, 일부가 관통공을 형성하는 커버부;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며, 상기 관통공을 통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력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의 일부와 결합되며, 상기 고리부와 연동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캐비닛용 잠금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부는,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캐비닛 본체가 형성하는 홈에 상기 이동부의 일부가 삽입되지 않아 상기 도어가 외력에 의해 개방되는 제1 위치 및 상기 홈에 상기 이동부의 일부가 삽입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도어가 개방되지 않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되는, 캐비닛용 잠금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부는, 상기 이동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되며 자물쇠가 체결되기 위한 제1 체결공을 형성하는 제1 고리부; 및 상기 제1 체결공과 대향하며 자물쇠가 체결되기 위한 제2 체결공을 형성하는 제2 고리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고리부는,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될 경우, 상기 제2 고리부와 접촉되는, 캐비닛용 잠금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 고리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1 고리부의 상기 제1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식별부 및 상기 제1 고리부의 상기 제2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제2 식별부를 구비하는, 이동본체부; 및 상기 고리부의 위치 이동과 연동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홈에 삽입되는 이동연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이동본체부는, 상기 제1 고리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된 경우, 상기 제1 식별부가 상기 관통구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1 고리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된 경우, 상기 제2 식별부가 상기 관통구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캐비닛용 잠금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제2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삽입공을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삽입공과 연통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삽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캐비닛용 잠금 장치는, 상기 삽입공 및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마스터키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삽입본체부; 및 상기 삽입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고리부가 형성하는 삽입공간에 배치되는 삽입연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삽입연장부는, 마스터키에 의해 상기 삽입본체부가 회전 될 경우, 상기 삽입본체부를 기준으로 상기 삽입 공간 상에서 상기 삽입본체부와 연동되어 회전되며, 상기 삽입연장부는, 상기 삽입본체부가 회전되지 않아 위치 이동이 되지 않은 제3 위치 및 상기 삽입본체부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위치 이동이 된 제4 위치 사이에서 회전되며, 상기 제2 고리부는, 상기 제2 체결공을 형성하는 고리본체부 및 상기 삽입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연장부가 배치되는 고리연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삽입연장부는 상기 삽입공간 상에서 상기 제3 위치에 위치될 경우, 상기 삽입 공간 내에서 상기 고리연장부와 접촉되어 상기 제2 고리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캐비닛용 잠금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연장부는, 상기 제4 위치인 경우, 상기 고리연장부와 접촉되지 않아, 외력에 의한 상기 제2 고리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캐비닛용 잠금 장치일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용 잠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용 잠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용 잠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용 잠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용 잠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용 잠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확대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용 잠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용 잠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9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용 잠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용 잠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정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용 잠금 장치(1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우선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자면,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x 방향은 제1 방향을 의미 할 수 있으며, y 방향은 제2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z 방향은 제3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용 잠금 장치(10)는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캐비닛(cabinet)을 구성하는 도어(door)에 함입 설치되며, 상기 캐비닛용 잠금 장치(10)를 구성하는 이동부(400)의 외력에 의한 위치 이동에 의해 캐비닛 본체가 형성하는 홈(S1)에 삽입되거나 인출되어 도어의 개폐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캐비닛용 잠금 장치(10)는 내부공간(S2)을 형성하며 일부가 관통구(S3)를 형성하는 베이스부(100)를 포함한다.
또한,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캐비닛용 잠금 장치(1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전면에서 상기 베이스부(100)와 끼움 결합 또는 체결 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내부공간(S2)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관통구(S4)를 형성하는 커버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용 잠금 장치(10)는 상기 베이스부(100)가 형성하는 상기 관통구(S3)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삽입되는 고리부(3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리부(300)는 상기 관통구(S3)에 삽입되며, 상기 커버부(200)가 형성하는 상기 관통구(S4)에 의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위치 이동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용 잠금 장치(10)는 도 4 및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베이스부(100)의 후면에서 상기 관통구(S3)에 삽입된 상기 고리부(300)의 일부와 끼움 결합 또는 체결 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고리부(300)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이동부(400)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고리부(300)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통해 이와 연동된 상기 이동부(400)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구현한다.
즉, 사용자는 상기 고리부(300)로의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고리부(300)를 통해 이와 연동된 상기 이동부(400)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며, 상기 이동부(300)의 일부를 캐비닛 본체가 형성하는 홈(S1)에 삽입되거나 인출되도록 하여, 캐비닛을 구성하는 도어의 개폐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도어를 개방 할 경우, 상기 내부공간(S2)으로 손가락을 위치 시키고, 상기 커버부(200)의 후면에 외력을 인가하여, 도어를 개방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리부(300)는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캐비닛 본체가 형성하는 홈(S1)에 상기 이동부(300)의 일부가 삽입되지 않아 상기 도어가 외력에 의해 개방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홈(S1)에 상기 이동부(300)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도어가 외력에 의해 개방되지 않은 제2 위치 사이에서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 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고리부(300)는 외력에 의해 상기 관통공(S3) 내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의 일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리부(300)와 연동된 상기 이동부(400)가 캐비닛 본체가 형성하는 홈(S1)에 삽입되지 않은 위치인 제1 위치에서,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외력에 의해 상기 관통공(S3) 내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의 타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리부(300)와 연동된 상기 이동부(400)의 일부가 캐비닛 본체가 형성하는 홈(S1)에 삽입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이 구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캐비닛을 사용할 경우, 도2 와 같이 상기 고리부(300)를 상기 제1 위치에 위치 하도록 하여 캐비닛의 도어를 개방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캐비닛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도 3과 같이 상기 고리부(300)를 상기 제2 위치에 위치 하도록 하여 캐비닛의 도어를 폐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리부(300)는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이동부(400)와 결합되고,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되며 자물쇠(L)가 체결되기 위한 제1 체결공(S5)을 형성하는 제1 고리부(310) 및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체결공(S5)과 대향하며 자물쇠(L)가 체결되기 위한 제2 체결공(S6)을 형성하는 제2 고리부(320)를 더 구비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1 고리부(310)는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도 2 와 같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 및 도 3과 같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 6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도어를 개방할 경우, 상기 제1 고리부(310)를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며, 도 6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도어를 폐쇄할 경우, 상기 제1 고리부(310)를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제1 고리부(310)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될 경우, 도 3 및 도 6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 고리부(310)와 상기 제2 고리부(320)는 접촉하게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고리부(310)가 형성하는 상기 제1 체결공(S5) 및 상기 제2 고리부(320)가 형성하는 상기 제2 체결공(S5) 또한, 접촉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캐비닛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고리부(310)를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제1 고리부(310)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 될 경우,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1 고리부(310)의 상기 제1 체결공(S5) 및 상기 제2 고리부(320)의 상기 제2 체결공(S6) 또한, 상호 접촉되어, 사용자는 상기 제1 체결공(S5) 및 상기 제2 체결공(S6)을 통해 자물쇠(L)를 잠금으로써, 캐비닛 내의 물품에 대해 도난 또는 분실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캐비닛 내에 보관된 물품을 보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부(400)는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고리부(300)와 결합되며, 상기 제1 고리부(310)의 상기 제1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식별부(413) 및 상기 제1 고리부(310)의 상기 제2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제2 식별부(415)를 구비하는이동본체부(410) 및 상기 제1 고리부(310)의 위치 이동과 연동되어 외력에 의해 캐비닛 본체의 홈(S1)에 삽입되는 이동연장부(4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2 및 도 6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 고리부(310)가 상기 관통구(S3) 내에서 상기 제1 위치에 위치 될 경우, 상기 이동본체부(310)는 상기 제1 고리부(310)의 위치 이동과 연동되어, 상기 이동본체부(310)가 구비한 상기 제1 식별부(413)가 상기 관통구(S3)에 노출되도록 한다.
또한, 도 3 및 도 6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 고리부(310)가 상기 관통구(S3) 내에서 상기 제2 위치에 위치 될 경우, 상기 이동본체부(310)는 상기 제1 고리부(310)의 위치 이동과 연동되어, 상기 이동본체부(310)가 구비한 상기 제2 식별부(415)가 상기 관통구(S3)에 노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상기 관통구(S3) 및 상기 관통공(S4)를 통해 상기 제1 고리부(310)의 위치에 따른 캐비닛의 개폐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 할 수 있다.
상기 제1 식별부(413) 및 상기 제2 식별부(415)는 일례로 다른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일례로 다른 무늬로 형성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캐비닛용 잠금 장치(10)는 상기 제1 식별부(413) 및 상기 제2 식별부(415)를 통해 사용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캐비닛의 개폐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상술한 캐비닛의 개폐 여부란, 도 6의 (a)와 같이 상기 제1 고리부(310)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며, 이와 연동되어 상기 이동연장부(420)가 캐비닛 본체의 홈(S1)에 삽입 되지 않아서 캐비닛의 도어가 열릴 수 있는 상태 및 도 6의 (b)와 같이 상기 제1 고리부(310)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며, 이와 연동되어 상기 이동연장부(420)가 캐비닛 본체의 홈(S1)에 삽입 되어 캐비닛의 도어가 열릴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용 잠금 장치(10)는 상기 커버부(200)가 형성하는 삽입공(S7) 및 상기 베이스부(100)가 형성하는 삽입구(S8)에 삽입되는 삽입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커버부(200)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제2 방향(y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S2)과 연통되는 삽입공(S7)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베이스부(100)는 상기 삽입공(S7)과 연통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삽입구(S8)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부(500)는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공(S7) 및 상기 삽입구(S8)로 삽입되게 된다.
상기 삽입부(500)는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마스터키가 삽입되는 삽입홈(S10)을 형성하는 삽입본체부(510) 및 상기 삽입본체부(5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고리부(320)가 형성하는 삽입공간(S9)에 배치되는 삽입연장부(520)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2 고리부(320)는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2 체결공(S6)을 형성하는 고리본체부(321) 및 상기 삽입연장부(520)가 배치되는 상기 삽입공간(S9)을 형성하는 고리연장부(32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리본체부(321)는 상기 고리연장부(322)가 배치되는 상기 삽입공간(S9)을 형성 함으로써, 캐비닛 내에 보관된 물품에 의해 상기 삽입연장부(520)가 파손되거나 물리적인 변형(휨)을 방지한다.
상기 삽입부(500)는 일례로 힌지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삽입본체부(510)에 구비된 상기 삽입홈(S10)에 마스터키가 삽입되도록 한 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마스터키를 회전시키면, 마스터키에 의해 상기 삽입본체부(510)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연장부(520) 또한 상기 삽입본체부(510)와 연동되어 상기 삽입공간(S9) 상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마스터키에 의해 상기 삽입본체부(510)가 회전되지 않아서 상기 삽입연장부(520)는 상기 삽입공간(S9) 내에서 상기 고리연장부(321)와 접촉하는 위치인 제3 위치 및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마스터키에 의해 상기 삽입본체부(5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연동되어 상기 삽입연장부(5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제4 위치 사이에서 상기 삽입연장부(520)는 회전에 의한 위치 이동이 구현된다.
즉, 상기 삽입연장부(520)는 상기 삽입본체부(510)가 회전되지 않아서 상기 삽입공간 내에 상기 제3 위치에 위치된 경우, 상기 고리연장부(321)와 접촉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제2 고리부(320)가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위치 이동 되는 것을 제한한다.
이는, 상기 고리부(300)에 자물쇠(L)가 채워지지 않은 경우, 원치 않은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고리부(320)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의해 캐비닛의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사용자는 물품의 도난 등을 방지하기 위해 캐비닛에 물품을 보관한 후, 상기 고리부(300)에 자물쇠(L)를 채울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부주의에 의해 자물쇠(L)를 열기 위한 키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 캐비닛에 보관된 물품을 인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캐비닛 관리자는 마스터키를 구비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캐비닛 관리자는 사용자가 캐비닛에 채워진 자물쇠(L)를 열기 위한 키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 마스터키(미 도시)를 상기 삽입본체부(510)가 형성한 삽입홈(S10)에 삽입하고,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상기 삽입본체부(51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본체부(510)와 연동된 상기 삽입연장부(520)는 상기 삽입공간(S9) 내에서 상기 제4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삽입연장부(520)는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이동 될 경우, 상기 고리연장부(322)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삽입연장부(520)는 상기 고리연장부(322)와 접촉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리연장부(322)를 구비하는 상기 제2 고리부(320)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구현되며, 상기 제1 고리부(310) 또한 상기 제2 고리부(320)로부터 외력을 인가 받아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구현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사용자는 캐비닛 내에 물품을 보관하기 위해 도 10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 고리부(310)를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고리부(300)에 자물쇠(L)를 채운다.
이 후, 사용자는 자물쇠(L)의 키를 구비한 경우, 캐비닛에 보관된 물품을 꺼내기 위해 자물쇠(L)를 열어서 상기 제1 고리부(310)를 상기 제1 위치에 위치 시킨 후, 캐비닛의 도어를 개방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자물쇠(L)의 키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는, 캐비닛 관리자가 마스터키를 상기 삽입본체부(510)가 형성한 삽입홈(S10)에 삽입하고,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상기 삽입본체부(51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삽입본체부(510)와 연동된 상기 삽입연장부(520)는 상기 삽입공간(S9) 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의 위치 이동이 구현 된다.
다만, 상기 제2 고리부(320)와 상기 이동부(400)는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이격되어 형성됨은 물론이다.
나아가, 도 8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제3 방향(z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고리연장부(322)의 높이(H2)은 상기 고리본체부(321)의 높이(H1)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됨으로서, 마스터키에 의한 상기 삽입연장부(520)의 상기 제3 위치에서의 상기 제4 위치로의 회전을 보다 원활히 구현한다.
상기 삽입연장부(520)는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이동 될 경우, 상기 고리연장부(322)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삽입연장부(520)는 상기 고리연장부(322)와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 때, 사용자 또는 캐비닛 관리자는 상기 제2 고리부(320)로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제2 고리부(320)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위치 이동 시키며, 상기 제1 고리부 또한 상기 제2 고리부(320)로부터 외력을 인가 받아 상기 제1 방향으로 위치 이동 된다.
즉, 상기 삽입연장부(520)는 마스터키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 상에서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삽입연장부(520)의 회전에 따른 상기 제4 위치로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삽입연장부(520)와 상기 고리연장부(322)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된다.
따라서, 도 10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사용자가 캐비닛을 채운 자물쇠의 키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사용자 또는 캐비닛 관리자는 상기 제2 고리부(320)로의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제2 고리부(320) 및 상기 제1 고리부(310)를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리부(300)와 연동된 이동연장부(420) 또한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어 캐비닛 본체의 홈(S1)으로부터 인출되게 된다.
즉, 상기 캐비닛용 잠금 장치(10)는 사용자가 자물쇠의 키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마스터키를 통해 캐비닛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베이스부
200: 커버부
300: 고리부
400: 이동부
500: 삽입부

Claims (6)

  1. 캐비닛을 구성하는 도어에 함입 설치되며, 상기 도어의 개폐를 구현하는 캐비닛용 잠금 장치에 있어서,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일부가 관통구를 형성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며, 일부가 관통공을 형성하는 커버부;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며, 상기 관통공을 통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력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의 일부와 결합되며, 상기 고리부와 연동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리부는,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캐비닛 본체가 형성하는 홈에 상기 이동부의 일부가 삽입되지 않아 상기 도어가 외력에 의해 개방되는 제1 위치 및
    상기 홈에 상기 이동부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도어가 외력에 의해 개방되지 않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되며,
    상기 고리부는,
    상기 이동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되며 자물쇠가 체결되기 위한 제1 체결공을 형성하는 제1 고리부; 및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체결공과 대향하며, 자물쇠가 체결되기 위한 제2 체결공을 형성하는 제2 고리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고리부는,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될 경우,
    상기 제2 고리부와 접촉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제2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삽입공을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삽입공과 연통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삽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캐비닛용 잠금 장치는,
    상기 삽입공 및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마스터키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삽입본체부; 및
    상기 삽입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고리부가 형성하는 삽입 공간에 배치되는 삽입연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삽입연장부는,
    마스터키에 의해 상기 삽입본체부가 회전 될 경우,
    상기 삽입본체부를 기준으로 상기 삽입공간 상에서 상기 삽입본체부와 연동되어 회전되며,
    상기 삽입연장부는,
    상기 삽입본체부가 회전되지 않아 위치 이동이 되지 않은 제3 위치 및
    상기 삽입본체부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위치 이동이 된 제4 위치 사이에서 회전되며,
    상기 제2 고리부는,
    상기 제2 체결공을 형성하는 고리본체부; 및
    상기 삽입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연장부가 배치되는 고리연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삽입연장부는,
    상기 삽입공간 상에서 상기 제3 위치에 위치될 경우,
    상기 고리연장부와 접촉되어 상기 제2 고리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캐비닛용 잠금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 고리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1 고리부의 상기 제1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식별부 및
    상기 제1 고리부의 상기 제2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제2 식별부를 구비하는,
    이동본체부; 및
    상기 고리부의 위치 이동과 연동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홈에 삽입되는 이동연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이동본체부는,
    상기 제1 고리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된 경우,
    상기 제1 식별부가 상기 관통구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1 고리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된 경우,
    상기 제2 식별부가 상기 관통구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캐비닛용 잠금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연장부는,
    상기 제4 위치인 경우,
    상기 고리연장부와 접촉되지 않아, 외력에 의한 상기 제2 고리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캐비닛용 잠금 장치.

KR1020220040144A 2022-03-31 2022-03-31 캐비닛용 잠금 장치 KR102440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144A KR102440481B1 (ko) 2022-03-31 2022-03-31 캐비닛용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144A KR102440481B1 (ko) 2022-03-31 2022-03-31 캐비닛용 잠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481B1 true KR102440481B1 (ko) 2022-09-06

Family

ID=83281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144A KR102440481B1 (ko) 2022-03-31 2022-03-31 캐비닛용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4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1021A (ko) * 2010-05-28 2011-12-06 송철주 사물함용 잠금장치
KR20200112348A (ko) * 2019-03-22 2020-10-05 주식회사 대현상공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1021A (ko) * 2010-05-28 2011-12-06 송철주 사물함용 잠금장치
KR20200112348A (ko) * 2019-03-22 2020-10-05 주식회사 대현상공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80740B1 (en) Lockable enclosure
US9717335B2 (en) Drawer stop mechanism for sliding drawer
CA2585651A1 (en) Lock box
US7984630B2 (en) Locker lock
US9551168B2 (en) Furniture embedded locking device
CN208339230U (zh) 刷卡式文件柜
KR102440481B1 (ko) 캐비닛용 잠금 장치
JP6688827B2 (ja) 収容ボックス
JP7025306B2 (ja) 貸金庫用保護箱の施解錠装置
JP2017145590A (ja) 錠前制御システムおよび錠前制御装置
KR20190075658A (ko) 단말 장치를 이용한 금고 관리 시스템
KR101726078B1 (ko)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KR101932986B1 (ko) 사물함 도어의 손잡이
US10354468B2 (en) Lockable receptacle having plural security features
JP3165854U (ja) 機密書類ストッカー用錠前
JPH04213673A (ja) かばん用錠
KR101453416B1 (ko) 다이얼 키를 구비한 수납 가구
JP3088917U (ja) 貴重品収納庫
KR102404445B1 (ko) 캐비닛 걸고리
EP2240730B1 (en) System for storing of goods requiring refrigeration and storage device adapted for use in such system
JP2019027233A (ja) キャビネットの施錠構造
EP3473134B1 (en) Cabinet comprising drawers and a snap fit lock mechanism
CA2978676A1 (en) Coin operated door lock mechanism
TWI596269B (zh) 撥號鎖
JP6436876B2 (ja) 封緘具、鍵ホルダ、ロック解除装置および鍵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