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4473B1 - 차량의 급출발 방지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급출발 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4473B1
KR100444473B1 KR10-2002-0034050A KR20020034050A KR100444473B1 KR 100444473 B1 KR100444473 B1 KR 100444473B1 KR 20020034050 A KR20020034050 A KR 20020034050A KR 100444473 B1 KR100444473 B1 KR 100444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ccelerator pedal
function
air conditioner
i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4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6948A (ko
Inventor
석길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4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4473B1/ko
Publication of KR20030096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6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4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44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accident or emergency, e.g. deceleration, til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08Vehicle drive related control of the compressor drive means, e.g. for fuel sav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8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i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3Failsaf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5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vehicle or its components
    • F02D2200/501Vehicle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급출발 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엔진 구동 및 에어컨제어스위치 온시 차속을 검색하는 단계와, (b) 상기 (a)단계에서의 검색결과 차속이 0㎞보다 크다면 아이들 알피엠 업(IDLE RPM UP) 기능을 수행하여 연료의 공급을 증가시키고, 상기 차속이 0㎞보다 크지 않다면 액셀페달의 변화를 검색하는 단계와, (c) 상기 (b)단계에서의 검색결과 액셀페달의 변화 순간 상기 아이들 알피엘 업(IDLE RPM UP) 기능을 해제시켜 정상적으로 연료를 공급하여 급출발을 방지하고, 상기 (a)단계이하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에어컨 구동시 밧데리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아이들 알피엠 업(IDLE RPM UP) 기능을 수행시 운전자가 액셀페달을 밟게 되면 아이들 알피엠 업(IDLE RPM UP) 기능을 순간적으로 해제시켜 급출발을 방지함으로써 연비 감소, 성능 및 차량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급출발 방지방법{method for protecting fast start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급출발 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 기술에 적용되는 차량 제어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차속감지부(1)와, 액셀페달감지부(2)와, 에어컨제어스위치(4)와, 엔진속도감지부(3)와, 제어부(5)와, 연료분사부(6)로 구성된다.
상기 차속감지부(1)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액셀페달감지부(2)는 액셀페달의 밟힘 정도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엔진속도감지부(3)는 차량의 엔진의 속도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에어컨제어스위치(4)는 차량의 에어컨을 구동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5)는 회로전체의 동작을 총괄제어하며, 상기 에어컨제어스위치(4) 온시 차속감지부(1)에서 감지된 차속과 액셀페달감지부(2)에서 감지된 액셀페달의 밟힘 정도 및 엔진속도감지부(3)에서 감지된 엔진의 속도에 따라 연료의 분사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연료분사부(6)는 상기 제어부(5)의 제어신호에 따라 연료를 분사하게 된다.
도2는 도1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에어컨 온시 동작 상태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을 걸었을 경우 차속감지부(1)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게 되며, 액셀페달감지부(2)는 액셀페달의 밟힘 정도를 감지하게 되고, 엔진속도감지부(3)는 차량의 엔진 속도를 감지하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4)는 상기 차속감지부(1)에서 감지된 차속과, 액셀페달감지부(2)에서 감지된 액셀페달의 밟힘 정도 및 엔진속도감지부(3)에서 감지된 엔진의 속도에 따라 차량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게 된다(S1).
상기 차량의 동작 상태 검출결과 차속이 0㎞(정지상태)이고, 액셀페달의 밟힘 정도 0%이며, 엔진 속도가 0 RPM이상으로 엔진 구동상태(S2)인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의 에어컨을 구동하기 위하여 에어컨제어스위치(4)를 온(S3)시키게 되면, 제어부(5)는 상기 차속감지부(1)에서 감지된 차속과, 액셀페달감지부(2)에서 감지된 액셀페달의 밟힘 정도 및 엔진속도감지부(3)에서 감지된 엔진의 속도에 따라 정지상태에서 밧데리(미도시)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아이들 알피엠 업(IDLE RPM UP) 기능을 수행하여 에어컨을 구동하게 된다.
즉, 제어부(5)는 상기 에어컨제어스위치(4) 온시 상기 차속감지부(1)에서 감지된 차속이 0㎞(정지상태)이고, 액셀페달감지부(2)에서 감지된 액셀페달의 밟힘 정도가 0%일 경우 정지상태에서 밧데리(미도시)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이들 알피엠 업(IDLE RPM UP)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연료분사부(6)는 상기 제어부(5)의 제어신호에 따라 정상적인 상태보다 더 많은 연료를 분사(S4)하게 되며, 이에 따라 엔진이 구동되어 에어컨을 아이들 알피엠 업(IDLE RPM UP) 기능 상태에서 구동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은 에어컨 구동시 밧데리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이들 알피엠 업(IDLE RPM UP) 기능을 수행시킬 경우 정차 및 출발이 반복되는 정체구간에서 사용자가 액셀을 밟게 되면 정상상태보다 아이들 알피엠 업(IDLE RPM UP)시의 증가된 연료분사로 인한 급출발로 인하여 앞차와의 추돌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러한 급출발을 방지하기 위한 반클러치의 사용 증가로 인하여 연비가 증가하며, 성능 및 차량 내구성의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에어컨 구동시 밧데리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아이들 알피엠 업(IDLE RPM UP) 기능을 수행시 운전자가 액셀페달을 밟게 되면 아이들 알피엠 업(IDLE RPM UP) 기능을 순간적으로 해제시켜 급출발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차량의 급출발 방지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기술 및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량 제어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2는 도1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에어컨 온시 동작 상태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온시 차량의 급출발 방지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속감지부 2 : 액셀페달감지부
3 : 엔진속도감지부 4 : 에어컨제어스위치
5 : 제어부 6 : 연료분사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급출발 방지방법의 특징은, (a) 엔진 구동 및 에어컨제어스위치 온시 차속을 검색하는 단계와, (b) 상기 (a)단계에서의 검색결과 차속이 0㎞보다 크다면 아이들 알피엠 업(IDLE RPM UP) 기능을 수행하여 연료의 공급을 증가시키고, 상기 차속이 0㎞보다 크지 않다면 액셀페달의 변화를 검색하는 단계와, (c) 상기 (b)단계에서의 검색결과 액셀페달의 변화 순간 상기 아이들 알피엘 업(IDLE RPM UP) 기능을 해제시켜 정상적으로 연료를 공급하여 급출발을 방지하고, 상기 (a)단계이하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급출발 방지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량 제어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 요소 및 부호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온시 차량의 급출발 방지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급출발 방지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을 걸었을 경우 차속감지부(1)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게 되며, 액셀페달감지부(2)는 액셀페달의 밟힘 정도를 감지하게 되고, 엔진속도감지부(3)는 차량의 엔진 속도를 감지하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4)는 상기 차속감지부(1)에서 감지된 차속과, 액셀페달감지부(2)에서 감지된 액셀페달의 밟힘 정도 및 엔진속도감지부(3)에서 감지된 엔진의 속도에 따라 차량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게 된다(ST1).
상기 차량의 동작 상태 검출결과 차속이 0㎞(정지상태)이고, 액셀페달의 밟힘 정도 0%이며, 엔진 속도가 0 RPM이상으로 엔진 구동상태(ST2)인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의 에어컨을 구동하기 위하여 에어컨제어스위치(4)를 온(ST3)시키게 되면, 제어부(5)는 상기 차속감지부(1)에서 감지된 차속이 0㎞(정지상태)이상인지를 검색하게 된다(ST4).
상기 ST4단계에서의 검색결과 0㎞(정지상태)이상일 경우 제어부(4)는 밧데리(미도시)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이들 알피엠 업(IDLE RPM UP)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ST4).
그러면, 연료분사부(6)는 상기 제어부(5)의 제어신호에 따라 정상적인 상태보다 더 많은 연료를 분사(ST5)하게 되며, 이에 따라 엔진이 구동되어 에어컨을 아이들 알피엠 업(IDLE RPM UP) 기능 상태에서 구동되게 된다.
상기 ST4단계에서의 검색결과 0㎞(정지상태)인 경우 제어부(4)는 상기 액셀페달감지부(2)에서 감지된 액셀페달의 밟힘 정도에 변화가 있는지를 검색하게 된다(ST6).
상기 ST6단계에서의 검색결과 액셀페달의 밟힘 정도에 변화가 있는 경우 즉, 운전자가 액셀페달을 밟았을 경우 제어부(4)는 상기 정지상태에서의 밧데리(미도시)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이들 알피엠 업(IDLE RPM UP) 기능을 해제(ST7)시킨 후 상기 ST1단계이하의 과정을 반복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급출발 방지방법은 에어컨 구동시 밧데리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아이들 알피엠 업(IDLE RPM UP) 기능을 수행시 운전자가 액셀페달을 밟게 되면 아이들 알피엠 업(IDLE RPM UP) 기능을 순간적으로 해제시켜 급출발을 방지함으로써 연비 감소, 성능 및 차량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1)

  1. (a) 엔진 구동 및 에어컨제어스위치 온시 차속을 검색하는 단계와;
    (b) 상기 (a)단계에서의 검색결과 차속이 0㎞보다 크다면 아이들 알피엠 업(IDLE RPM UP) 기능을 수행하여 연료의 공급을 증가시키고, 상기 차속이 0㎞보다 크지 않다면 액셀페달의 변화를 검색하는 단계와;
    (c) 상기 (b)단계에서의 검색결과 액셀페달의 변화 순간 상기 아이들 알피엘 업(IDLE RPM UP) 기능을 해제시켜 정상적으로 연료를 공급하여 급출발을 방지하고, 상기 (a)단계이하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급출발 방지방법.
KR10-2002-0034050A 2002-06-18 2002-06-18 차량의 급출발 방지방법 KR100444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050A KR100444473B1 (ko) 2002-06-18 2002-06-18 차량의 급출발 방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050A KR100444473B1 (ko) 2002-06-18 2002-06-18 차량의 급출발 방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948A KR20030096948A (ko) 2003-12-31
KR100444473B1 true KR100444473B1 (ko) 2004-08-16

Family

ID=32387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050A KR100444473B1 (ko) 2002-06-18 2002-06-18 차량의 급출발 방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447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6045A (ja) * 1984-11-09 1986-06-03 Toyota Motor Corp 電子制御燃料噴射内燃機関のアイドル回転数制御装置
JPS63280840A (ja) * 1987-05-11 1988-11-17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エアコン制御システム
US4955342A (en) * 1988-10-19 1990-09-11 Fuji Jukogyo Kabushiki Kaisha Idle revolution number control apparatus for carbureter
KR19980022844A (ko) * 1996-09-24 1998-07-06 임경춘 자동차의 엔진회전수 조절장치 및 방법
KR19990020429A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아이들시 공기량 보정장치 및 방법
KR19990020516A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에어콘 선택시 엔진 보상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6045A (ja) * 1984-11-09 1986-06-03 Toyota Motor Corp 電子制御燃料噴射内燃機関のアイドル回転数制御装置
JPS63280840A (ja) * 1987-05-11 1988-11-17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エアコン制御システム
US4955342A (en) * 1988-10-19 1990-09-11 Fuji Jukogyo Kabushiki Kaisha Idle revolution number control apparatus for carbureter
KR19980022844A (ko) * 1996-09-24 1998-07-06 임경춘 자동차의 엔진회전수 조절장치 및 방법
KR19990020429A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아이들시 공기량 보정장치 및 방법
KR19990020516A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에어콘 선택시 엔진 보상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948A (ko) 200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5113B2 (en) Engin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electric vehicle
US7099768B2 (en) Automatic shutdown control for vehicular internal combustion
US7404784B2 (en) Fuel saving sensor system
KR102406133B1 (ko) 아이들 스탑 앤 고 시스템의 제어방법
JP2001041083A (ja) エンジン制御装置
JP2001233088A (ja) 車両のエンジン自動停止再始動装置
JP2000320366A (ja) エンジン自動停止再始動車両
CN1619126A (zh) 控制怠速停止起动系统的方法
KR100444473B1 (ko) 차량의 급출발 방지방법
KR100325166B1 (ko) 디젤 차량의 공회전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4232557A (ja) 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2001132489A (ja) エンジンの自動停止始動装置
WO2010092888A1 (en) Controller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7009812A (ja) 燃料噴射エンジン式ゴルフカー
JP2003269211A (ja) エンジン自動停止・自動再始動装置
JP2002147287A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KR100440334B1 (ko) 디젤 엔진의 매연저감 제어 방법
KR200192951Y1 (ko) 자동차용 연료 절감장치
JP2001140672A (ja) エンジンの自動停止始動装置
KR101293983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엔진시동판정방법
JPH09119331A (ja) エンジン制御ユニット、エンジン制御装置及びエンジン制御方法
KR20020047555A (ko) 차량의 공회전 정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0507136B1 (ko) 디젤 엔진의 인터쿨러팬 구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970069532A (ko) 동력전달장치제어모듈의 브레이크스위치 고장진단시스템
KR970075341A (ko) 아이들시 부하량에 따른 점화시기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