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2714B1 - 코드류의장력조정기구 - Google Patents

코드류의장력조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2714B1
KR100442714B1 KR10-1998-0705685A KR19980705685A KR100442714B1 KR 100442714 B1 KR100442714 B1 KR 100442714B1 KR 19980705685 A KR19980705685 A KR 19980705685A KR 100442714 B1 KR100442714 B1 KR 100442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rollers
winding roller
outpu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5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1967A (ko
Inventor
야스시 구리타
도모히로 아가야
Original Assignee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81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1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2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27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1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devices acting on running material and not associated with supply or take-up devices
    • B65H59/20Co-operating surfaces mounted for relative movement
    • B65H59/26Co-operating surfaces mounted for relative movement and arranged to deflect material from straight path
    • B65H59/28Co-operating surfaces mounted for relative movement and arranged to deflect material from straight path the surfaces being urged towards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1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devices acting on running material and not associated with supply or take-up devices
    • B65H59/18Driven rotary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드류의 장력 조정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코드류 장력 조정기구는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코드류의 감기 로울러(2)를 포함하고, 상기 감기 로울러(2)에서 출력 후의 코드류의 장력을 감지하고, 감지한 장력을 코드류에 따른 적정값에 가까워지도록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드류의 장력 조정기구{TENSION ADJUSTING MECHANISM FOR CORD OR THE LIKE}
종래부터 섬유기계 등에 사용되는 코드류(예를 들면 실 등)의 장력 조정기구로서 코드류와 마찰 로울러 사이의 마찰력을 추에 의해 조정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 실을 자아내는 보빈(bobbin)으로부터 인출될 때의 장력이 거의 미치지 않는 상태에서 실에 따른 적정한 값의 장력을 걸리게 하는 것에 있다. 또한, 실에 가하는 장력의 적정 값은 실 자체의 데니어수(denier number) 등에 관계되고, 통상 수 gf~수십gf로 매우 작은 값이다.
그러나, 이 종래 방식의 장력의 조정은 추의 위치 등에 따라 관능적으로 실시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적정 값으로 조정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 즉, 부적정한 실의 장력 설정에 의해 실이 마찰 마모되어 그 품질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장력의 조정을 종래 보다도 적정하게 실시할 수 있는 코드류의 장력 조정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섬유기계 등에 사용되는 코드류(예를 들면 실 등)의 장력 조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드류 장력 제어기구의 실시형태 1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코드류 장력 제어기구의 실시형태 2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코드류 장력 제어기구의 출력측 감기 로울러를 설명하는 측면도,
도 4는 도 3과는 다른 태양의 출력측 감기 로울러를 설명하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코드류 장력 제어기구의 실시형태 3를 설명하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코드류 장력 제어기구의 실시형태 4를 설명하는 정면도 및
도 7은 도 6의 코드류 장력 제어기구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코드류 장력 제어기구는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코드류의 감기 로울러(wrapping roller)를 갖고, 상기 감기 로울러에서 출력 후의 코드류의 장력을 감지하고, 감지한 장력을 코드류에 따른 적정값에 가까워지도록 구동수단을 제어하도록 하고, 상기 구동수단으로서 모터를 이용함과 동시에 상기 모터의 기계손실을 감기 로울러가 회전할 때의 부하로서 이용하고, 손실부하의 범위내에서 모터를 출력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감기 로울러에서 출력후의 코드류의 장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장력을 코드류에 따른 적정 값에 가까워지도록 구동수단을 제어하도록 했기 때문에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코드류에 따른 적정한 값의 장력이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으로서 모터를 이용함과 동시에 상기 모터의 기계손실을 감기 로울러가 회전할 때의 부하로서 이용하고, 손실부하의 범위내에서 모터를 출력 제어하도록 했기 때문에 로울러에 대해 비전력상(省電力上) 효율적으로 부하를 걸리게 할 수 있다.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감기 원주속도(peripheral spped)를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감기 로울러의 원주속도의 제어라는 간단한 수단으로 코드류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
코드류의 입력측 감기 로울러와 출력측 감기 로울러를 갖고, 또 상호 로울러 사이에서 코드류에 장력이 발생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출력측 감기 로울러가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실을 자아내는 보빈 등에서 인출된 코드류에 다소의 장력의 변동이 생긴다고 해도 코드류의 입력측 감기 로울러와 출력측 감기 로울러 상호간에 발생한 코드류의 장력에 의해 원래의 장력의 변동이 출력 후에 영향받는 것을 완화할 수 있다.
입력측 감기 로울러와 출력측 감기 로울러의 원주속도차에 의해 서로의 로울러 사이에서 코드류에 장력이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간단한 수단에 의해 입력측 감기 로울러와 출력측 감기 로울러 상호간에 코드류에 장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입력측 감기 로울러와 출력측 감기 로울러의 원주속도차에 의해 상호간에 코드류가 신장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동시에 코드류의 신장을 실시할 수 있다.
입력측 감기 로울러와 출력측 감기 로울러가 동축이고 또한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출력측 로울러 직경이 입력측 로울러 직경 보다도 크게 설정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간단한 수단에 의해 입력측 감기 로울러와 출력측 감기 로울러의 원주속도차를 갖게 할 수 있다.
입력측 감기 로울러와 출력측 감기 로울러를 합하여 3개 이상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단식으로 구성하면 다음과 같은 잇점이 있다.
1. 로울러의 외부둘레 직경을 급격하게 변화시키면 사용하는 코드(실)에 의해 장력 변동이 확대될 우려가 있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코드의 신장을 서서히 단계적으로 실시하는 쪽이 좋고, 예를 들어 신장률이 낮은 코드에서 보다 높은 장력으로 설정하고 싶을 때는 다단식 로울러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2. 코드 신장에 의한 슬라이딩을 서서히 크게 하는 것에 의해 코드의 마모의 영향이 적어지고 동시에 큰 마찰력이 얻어진다. 이와 같이 큰 마찰력이 얻어지면 장력의 설정 범위를 넓힐 수 있고, 또 고장력(高張力)의 설정으로의 모터 사용 용량을 소형화할 수 있어 보다 작은 모터로 제어가 가능해진다.
3. 고신축성의 실의 경우는 어느 정도 범위의 신장률까지는 장력 변화가 매우 작지만 그 이하에서는 급격하게 강해진다. 이와 같은 실을 장력 제어할 경우에는 1단째에서 크게 실을 늘려도 장력 변화가 적어 2단째 이상에서의 정확한 장력설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력 후에 설치된 감기 로울러에 장력 센서가 설치되게 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구성하면 출력 후의 코드류의 장력을 원활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코드류 장력 제어기구는 구동수단(광주리체(1)내에 있어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코드류의 감기 로울러(2)를 갖는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구동수단으로서 모터(도 3 및 도 4에 있어서 M으로 나타냄)를 이용하고 있다. 도면부호 “3”은 각각 실방향 가이드이다.
코드류의 감기 로울러(2)로서는 코드류의 입력측 감기 로울러(4)와 출력측 감기 로울러(5)를 갖고,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호 로울러 사이에서 코드류(C)에 장력이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입력측 감기 로울러(4)와 출력측 감기 로울러(5)는 동축이고 또한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출력측 로울러 직경은 입력측 감기 로울러 직경 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로울러의 외주면을 2단의 직경을 갖도록 V홈 가공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하면 소직경으로 한 입력측 감기 로울러(4)의 외부둘레의 원주속도는 늦고 대직경으로 한 출력측 감기 로울러(5)의 외부둘레의 원주속도는 빨라져 간단한 수단에 의해 입력측 감기 로울러(4)와 출력측 감기 로울러(5)의 원주속도차를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도면부호 “6”은 입력측 감기 로울러(4)에서 출력측 감기 로울러(5)로 감기 변환용 가이드 로울러이다.
그리고, 입력측 감기 로울러(4)와 출력측 감기 로울러(5)의 원주속도차에 의해 상호 로울러 사이에서 코드류(C)에 장력이 발생하도록 하고, 간단한 수단에 의해 입력측 감기 로울러(4)와 출력측 감기 로울러(5)의 상호간에 코드류(C)에 장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동축이고 또한 일체적인 것으로 한 입력측 감기 로울러(4)와 출력측 감기 로울러(5)는 코드류(C)로 장력을 부여하는 로울러로서 기능한다.
입력측 감기 로울러(4)와 출력측 감기 로울러(5)의 원주속도차에 의해 상호간에 코드류(C)가 신장하도록 되어 있고, 코드류(C)의 교환 감기와 동시에 코드류(C)의 신장을 실시한다.
그런데, 코드류의 실을 자아내는 보빈(도 2의 7 참조)으로부터의 실 장력은 통상 자유로운 상태에서 풀어지기 때문에 0에 가까운 입력측 감기 로울러(4)의 입구 근방의 실의 장력은 0정도가 되지만 입력측 감기 로울러(4)와 출력측 감기 로울러(5)의 원주속도차에 의해 상호 로울러 사이의 장력을 실 지름 등에 따른 설정으로 할 수 있다.
즉, 입력측 감기 로울러(4)와 출력측 감기 로울러(5)의 원주속도차에 의한실의 신장 왜곡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원주속도차를 입력측 감기 로울러(4)와 출력측 감기 로울러(5)의 양쪽 로울러 직경의 비율에 따라서 설정하고 있다.
동축이고 또한 일체적으로 한 감기 로울러(2)는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실을 자아내는 보빈 등으로부터 인출된 코드류(C)에 다소의 장력의 변동(실을 자아내는 보빈으로부터 인출된 실의 걸림 등 생각지 못한 부하가 발생함)이 생겨도 코드류의 입력측 감기 로울러(4)와 출력측 감기 로울러(5)의 상호간에 발생한 코드류(C)의 장력에 의해 원래의 장력의 변동이 출력 후에 영향받는 것을 완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출력후에 설치된 방향 전환용 감기 로울러(8)에는 실의 장력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고, 이 장력 센서 부착 로울러에 의해 출력후의 코드류(C)의 장력을 감지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장력 센서로서 초저하중용의 정전용량형 센서를 이용했다.
모터를 구동하지 않을 때는 코드류와 로울러의 마찰력에 의해 모터축이 강제적으로 회전되고 있다. 모터축이 코드류에 의해 회전될 때는 모터의 로터와 요크 사이의 자기손실이 기계 손실이 되지만 이 기계 손실을 로울러가 회전할 때의 부하(토크)로서 이용하여 손실 부하의 범위내에서 모터를 출력 제어하는 것에 의해 로울러에 대해 저전력상 효율적으로 부하를 걸리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손실에 맞는 에너지를 모터가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공급하면 코드류의 장력은 감기 로울러 사이에서 발생한 마찰력이 된다. 이 마찰력에 맞는 에너지를 모터에 공급하면 코드류의 장력은 「O」이 되고, 여기에서 매우 낮은 장력의 설정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모터의 개발은 일반적으로 자기(磁氣)에 의한 기계 손실을 가능한한 작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보다 고가인 자성재료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 실시형태의 장력 조정 기구에서는 모터의 기계적인 손실을 역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고장력으로 설정할 경우에는 더욱 큰 손실이 있는 비교적 염가인 모터라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브러쉬 부착 모터를 사용하여 자기 발전 에너지를 이용하고 이 에너지를 재이용하여 공급하도록 하면 코드류에 대해 더욱 큰 장력 범위에서 제어를 카바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 실시형태의 코드류 장력 제어기구의 사용 상태를 설명한다.
코드류(C)의 감기 변환 때에 장력조정기구의 모터(M)를 구동하지 않을 때는 출력 후의 감기장치(9)의 인장력과 이에 대항하는 장력 조정 기구의 모터(M)의 브레이크 작용에 의해 실에 걸리는 장력은 최대가 된다. 감기장치(9)의 인취속도(引取速度)와의 관계에 있어서 실에 걸리는 장력이 설정값에 수렴하도록 모터(M)를 구동한다. 출력측 감기 로울러(5)의 원주속도가 감기 장치(9)의 인취속도 보다도 약간 늦게 모터(M)를 구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 장력센서의 감지압이 설정값 근방에서 일정해지도록 모터(M)의 회전수를 조정·제어한다.
모터(M)를 구동하지 않을 때는 실에 걸리는 장력이 최대가 됨과 동시에 그 장력 변동이 크지만(실을 자아내는 보빈으로부터 인출된 실의 걸림 등 생각지 못한부하의 발생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생각됨), 코드류의 입력측 감기 로울러(4)와 출력측 감기 로울러(5)의 상호간에 발생한 코드류(C)의 장력에 의해 원래의 장력의 변동이 출력후에 영향 받는 것을 완화함과 동시에 장력 센서에 의한 설정 피드백으로 모터(M)의 회전을 조정·제어하는 것에 의해 실에 미치는 장력을 감소시키고, 또 그 장력 변동을 작게 할 수 있다. 거의 일정한 장력으로 바꿔 감는 것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것에 의하면 저장력의 코드류의 경우에도 대응한 미세한 코드·장력의 설정을 실시할 수 있다.
출력측 감기 로울러(5)에서 출력후의 코드류(C)의 장력을 장력 센서에 의해 감지하고, 감지한 장력을 코드류(C)에 따른 적정값에 가까워지도록 구동수단인 모터(M)를 제어하고 출력측 감기 로울러(5)의 원주속도를 제어한다. 즉, 구동수단의 제어에 의해 코드류(C)에 따른 적정한 값의 장력이 되도록 조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출력측 감기 로울러(5)의 원주속도의 제어라는 간단한 수단으로 코드류(C)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코드류(C)의 변환 감기시에는 실을 자아내는 보빈으로부터 인출된 실의 걸림 등 생각지 못한 부하가 발생하여 실의 실제 장력이 변동하는 경우가 많고, 이 생각지 못한 장력 변동에 의해 실이 마찰·마모되어 그 품질에 악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었지만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입력전의 장력의 변동이 출력후에 영향받는 것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실의 마찰·마모에 의한 품질 영향을 매우 적게 할 수 있다. 즉, 코드류(C)를 고품질 그대로 바꿔 감을 수 있는 큰 잇점이 있다.
또한, 출력측 감기 로울러(5)에 브레이크(도시하지 않음)를 부착하는 것에 의해 고장력 코드류의 제어용으로 할 수 있고, 모터(M)의 회전 자계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중간 정도의 장력의 코드류의 제어용으로 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실시형태 2를 실시형태 1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코드류 장력 제어기구는 입력측 감기 로울러(4)와 출력측 감기 로울러(5) 사이에서, 합하여 3개의 로울러 직경을 구비하고 있다. 즉, 중간 로울러 직경을 갖는 제 3 감기 로울러(10)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2개뿐만 아니라 3개 이상의 감기 로울러 직경을 갖도록 다단식으로 구성하면 다음과 같은 잇점이 있다.
1. 로울러의 외부둘레 직경을 급격하게 변화시키면 사용하는 코드(실)에 의해 장력 변동이 확대될 우려가 있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코드의 신장은 서서히 단계적으로 실시한 쪽이 좋고, 예를 들면 탄성률이 낮은 코드에서 보다 높은 장력을 설정하고 싶을 때는 다단식 로울러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2. 코드 신장에 의한 슬라이딩을 서서히 크게 하는 것에 의해 코드의 마모의 영향이 적어지고 동시에 큰 마찰력이 얻어진다. 이와 같이 큰 마찰력이 얻어지면 장력의 설정 범위를 넓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고장력의 설정으로의 모터 사용 용량을 소형화할 수 있는 더욱 작은 모터로의 제어가 가능해진다.
3. 고신축성 실의 경우는 어느 정도 범위의 신장률까지는 장력 변화가 매우작지만 그 이후에는 급격하게 강해진다. 이와 같은 실을 장력 제어할 경우에는 1단째에서 크게 실을 늘려도 장력변화가 적어 2단째 이상에서의 정확한 장력 설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는 3개 이상의 직경의 감기 로울러(2)를 V홈 단부착 로울러로서 형성한 경우를, 도 4에는 3개 이상의 직경의 감기 로울러(2)를 테이퍼로울러로서 형성한 경우를 나타낸다.
(실시형태 3)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코드류 장력 제어기구는 코드류의 입력측 감기 로울러(4)와 출력측 감기 로울러(5)를 별개로 형성하고, 상호 로울러 사이에서 코드류(C)에 장력이 발생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출력측 감기 로울러(5)는 구동 수단인 모터(M)에 의해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11”은 각 감기 로울러를 연동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벨트이다. 또한, 적어도 출력측 감기 로울러(5)가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하면 좋다.
즉, 코드류의 입력측 감기 로울러(4)와 출력측 감기 로울러(5)는 반드시 실시형태 1, 2와 같이 동축으로 형성할 필요는 없고, 이와같이 별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 4)
다음으로, 실시형태 4를 상기 실시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코드류 장력 제어기구는 구동수단인 모터(M)에 의해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코드류의 감기 로울러(2)(장력풀리)를 갖고, 이 감기 로울러(2)에서 감기 변환용 가이드 로울러(6)(리턴풀리)를 통하여 다시 한번 감기 로울러(2)에 감고, 이 감기 로울러(2)로부터 출력후의 코드류(C)의 장력을 방향 전환용 감기 로울러(8)(센서 풀리)에 설치된 장력 센서(정전용량형 센서)에 의해 감지하고, 감지된 장력을 코드류(C)에 따른 적정값에 가까워지도록 구동수단을 제어하고 있다. 또한, 실의 감기 경로는 도 1의 것과 동일하다.
감기 로울러(2)로서 1단의 직경인 것을 이용하고, 이 감기 로울러(2)에는 변환 감기 가이드 로울러(6)를 통하여 코드(C)를 2번 걸고 있다. 또한, 입력측에 공지된 스프링 텐서(spring tenser)(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실의 진동을 없애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장력 센서에 의해 감지된 장력은 코드류(C)에 따른 적정값에 가까워지도록 구동수단인 모터(M)를 제어하여 감기 로울러(2)의 원주속도를 제어한다.
이 코드류의 장력 조정기구에 의하면 코드류의 감기 로울러(2)의 직경이 한단이라는 매우 단순한 구조이기 때문에 최초의 실 통과시(후통과시의 방향 순서는 도 1의 것과 동일)의 작업성, 조작성이 매우 우수하고, 스프링 텐서의 병용과 함께 실용적으로 매우 좋은 잇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감지한 장력을 코드류에 따른 적정값에 가까워지도록 구동수단을 제어하도록했기 때문에 장력의 조정을 종래 보다도 적정하게 실시할 수 있는 코드류의 장력 조정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감기장치의 인장력에 의해 인장되는 코드류에 의해 함께 회전 가능함과 동시에 구동수단에 의해서도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코드류의 감기 로울러(2)와, 상기 감기 로울러(2)로부터의 출력후의 코드류(C)의 장력을 감지하는 장력감지수단을 갖고, 상기 장력검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장력을 코드류에 따른 적정 값에 가까워지도록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코드류의 장력조정기구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으로서 모터(M)를 이용하는 동시에 상기 모터의 기계손실을 감기장치의 인장력에 의해 감기 로울러(2)가 회전할 때의 부하로서 이용하고, 모터(M)의 기계손실의 범위내에서 상기 장력감지수단에 의해 모터의 회전을 조정·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류의 장력조정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M)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감기 로울러(2)의 원주속도를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류의 장력조정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류의 감기 로울러(2)는 동축의 입력측 감기 로울러(4)와 출력측 감기 로울러(5)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호 로울러 사이에서 코드류(C)에 장력이 발생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출력측 감기 로울러(5)는 상기 모터(M)에 의해 회전구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류의 장력조정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입력측 감기 로울러(4)와 출력측 감기 로울러(5)의 원주속도차에 의해 상호 로울러(4,5) 사이에서 코드류에 장력이 발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류의 장력조정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입력측 감기 로울러(4)와 출력측 감기 로울러(5)의 원주속도차에 의해 상호간에 코드류(C)가 신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류의 장력조정기구.
  6. 제 3 항에 있어서,
    입력측 감기 로울러(4)와 출력측 감기 로울러(5)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출력측 로울러(5) 직경이 입력측 로울러(4) 직경 보다도 크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류의 장력조정기구.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류의 감기 로울러(2)는 입력측 감기 로울러(4), 출력측 감기 로울러(5), 중간 로울러(10)를 합하여 3개 이상의 동축의 로울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류의 장력조정기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출력후에 배열 설치된 감기 로울러(8)에 장력감지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류의 장력조정기구.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류의 감기 로울러(2)는 입력측 감기 로울러(4), 출력측의 감기 로울러(10), 중간 로울러(10)를 합하여 3개 이상의 로울러로 이루어지고, 중간 로울러(10)는 다른 로울러(4,5)와 별체로 하여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류의 장력조정기구.
KR10-1998-0705685A 1996-01-23 1997-01-13 코드류의장력조정기구 KR1004427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4796 1996-01-23
JP8-9047 1996-01-23
JP8-348387 1996-12-26
JP34838796A JP4072647B2 (ja) 1996-01-23 1996-12-26 コード類の張力調整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1967A KR19990081967A (ko) 1999-11-15
KR100442714B1 true KR100442714B1 (ko) 2004-09-18

Family

ID=26343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5685A KR100442714B1 (ko) 1996-01-23 1997-01-13 코드류의장력조정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42040A (ko)
EP (1) EP0876986B1 (ko)
JP (1) JP4072647B2 (ko)
KR (1) KR100442714B1 (ko)
CN (1) CN1072183C (ko)
DE (1) DE69716239T2 (ko)
WO (1) WO19970271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1078A2 (de) * 2000-03-20 2001-09-27 Memminger-Iro Gmbh Fadenliefergerät für eine strick- oder wirkmaschine bzw. garnproduktionsmaschine sowie eine strick- oder wirkmaschine
JP3960418B2 (ja) * 2002-02-28 2007-08-15 Ykk株式会社 糸切れ防止装置及び同糸切れ防止手段を有する糸条加工機類
MX2009011342A (es) * 2007-04-20 2009-11-05 Invista Tech Sarl Fileta compacta de desenrollamiento continuo por encima con control de tension.
US8554391B2 (en) * 2009-09-18 2013-10-08 Honda Motor Co., Ltd. Control device of inverted pendulum type vehicle
US8645030B2 (en) * 2009-09-18 2014-02-04 Honda Motor Co., Ltd. Control device of inverted pendulum type vehicle
CN102506136B (zh) * 2011-09-23 2015-04-15 三一汽车制造有限公司 一种绳索驱动机构的架体、绳索驱动机构和工程机械
ITTO20130335A1 (it) * 2013-04-24 2014-10-25 Lgl Electronics Spa Alimentatore di filato a tamburo rotante motorizzato, particolarmente idoneo al trattamento di filati presentanti elevata elasticità.
CN104787621A (zh) * 2015-01-09 2015-07-22 青岛科技大学 一种偏心轮式纱线张力控制器
CN104973448A (zh) * 2015-06-03 2015-10-14 浙江鑫鸿拉链有限公司 拉链收卷机及收卷方法
CN106081738A (zh) * 2016-07-28 2016-11-09 吴江金叶织造有限公司 纱线张力机构
CN108502255B (zh) * 2018-03-28 2019-08-06 山东大业股份有限公司 一种胎圈钢丝包纸装置及包纸方法
CN108946300B (zh) * 2018-04-23 2020-12-29 绵阳聚贤自动化设备有限公司 基于线缆生产中成品打卷的专用设备
WO2022154836A1 (en) 2021-01-12 2022-07-21 Torrance Clayne Bistline Cable wrapping system
CN116136034A (zh) * 2023-04-03 2023-05-19 盐城市荣意来纺机有限公司 一种可智能导纱的长丝整经机
CN117163766B (zh) * 2023-11-02 2023-12-26 南通永祥机电有限公司 一种电缆注塑加工用输送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2667A (ja) * 1990-02-08 1991-10-16 Nippon Steel Corp 巻線機の張力制御装置
JPH0616336A (ja) * 1992-03-30 1994-01-25 Meteor Ag 糸状財、特に電気コイル用の捲線の緊張度を調整する装置と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66467A (en) * 1938-05-20 1941-12-16 Ind Rayon Corp Means for compensating for irregularities in manufacturing artificial silk thread
US2266557A (en) * 1939-07-15 1941-12-16 Ind Rayon Corp Apparatus for handling thread or the like
US2350182A (en) * 1941-12-20 1944-05-30 Du Pont Yarn production
JPS4620044Y1 (ko) * 1968-08-19 1971-07-12
US3938751A (en) * 1973-12-21 1976-02-17 Heijiro Kawakami Device for continuously treating wires
JPS59172362A (ja) * 1983-03-16 1984-09-29 Tokyo Seikou Kk 線条の張力付加装置
DE3326099C2 (de) * 1983-07-20 1985-05-23 Memminger Gmbh, 7290 Freudenstadt Fadenliefervorrichtung für Textilmaschinen
JPS6155096A (ja) * 1984-08-23 1986-03-19 株式会社 安田製作所 直列2胴型キヤプスタンの過張力防止方法
DE3437252C1 (de) * 1984-10-11 1986-01-16 Gustav 7290 Freudenstadt Memminger Fadenspeicher- und -liefervorrichtung,insbesndere fuer Textilmaschinen
JPH0229094Y2 (ko) * 1984-12-13 1990-08-03
JPS61170708A (ja) * 1985-01-25 1986-08-01 Chubu Electric Power Co Inc 光フアイバケ−ブル引取り装置
US4890800A (en) * 1987-07-30 1990-01-02 Barmag, Ag Yarn withdrawal apparatus and method
JPH0828877B2 (ja) * 1988-07-18 1996-03-21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自動白バランス調整方法及び装置
DE3903214A1 (de) * 1989-02-03 1990-08-09 Sahm Georg Fa Wickelvorrichtung fuer einen faden, insbesondere fuer einen faden mit angenaeherter nulldehnung
JPH02239065A (ja) * 1989-03-10 1990-09-21 Konica Corp 巻取張力制御方法及び巻取装置
JPH0428671A (ja) * 1990-05-23 1992-01-31 Bando Chem Ind Ltd 伝動ベルト成形における巻付けコードの繰出し制御方法
JPH06101132A (ja) * 1992-09-14 1994-04-12 Kawamoto Seiki Kk 糸張力制御装置
JPH06255883A (ja) * 1993-03-03 1994-09-13 Nitta Ind Corp コードの張力制御装置
DE4324412C2 (de) * 1993-07-21 1998-03-19 Mayer Textilmaschf Vorrichtung zur Einstellung der Fadenspannung
JP2509880B2 (ja) * 1994-01-10 1996-06-26 春日電機株式会社 連続体巻取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2667A (ja) * 1990-02-08 1991-10-16 Nippon Steel Corp 巻線機の張力制御装置
JPH0616336A (ja) * 1992-03-30 1994-01-25 Meteor Ag 糸状財、特に電気コイル用の捲線の緊張度を調整する装置と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263359A (ja) 1997-10-07
EP0876986A4 (en) 1999-05-12
CN1213353A (zh) 1999-04-07
EP0876986A1 (en) 1998-11-11
DE69716239T2 (de) 2003-06-05
EP0876986B1 (en) 2002-10-09
US6042040A (en) 2000-03-28
KR19990081967A (ko) 1999-11-15
DE69716239D1 (de) 2002-11-14
CN1072183C (zh) 2001-10-03
WO1997027137A1 (fr) 1997-07-31
JP4072647B2 (ja) 200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2714B1 (ko) 코드류의장력조정기구
US4574574A (en) Tension regulator for a stranding machine
RU201145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ложения заданной тормозной силы к движущейся со сматывающей катушки проволоке
US4526329A (en) Magnetic tensioning device
CN1102816A (zh) 纱线张力调整装置
GB2125072A (en) Self-adjusting filament tensioner
US5826774A (en) Wire tensioner for dynamo-electric machine coil winder
US4650133A (en) Winder apparatus and method
JP4399054B2 (ja) 繊維機械のボビンクリール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
EP1457447A3 (en) Tension control and slack eliminating device for a yarn winder
KR930008387B1 (ko) 위사를 직기에 공급하는 장치
JPH05228738A (ja) 放電加工機のリボン又はワイヤ電極の張力測定及び/又は張力制御装置
JP2001354360A (ja) 綾巻ボビンを巻成する繊維機械の運転法
CN216997087U (zh) 一种自动调节张力纱架
US40931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stant magnetic tape tension
JPH03120166A (ja) ストランド張力補償器
EP1187301B1 (en) Wire tensioner for dynamo-electric machine coil winder
KR200241812Y1 (ko) 와인더기의 무단변속장치
CN1187249C (zh) 纺织机的筒子架的控制装置
EP4074637A1 (en) Machine and process for unwinding and winding yarn at a speed greater than 1m/s
CN107829181B (zh) 一种电动张力器、捻线机及张力控制方法
KR200278956Y1 (ko) 장력자동제어방식의 권선기
JPS5831419B2 (ja) 積極的に巻戻される織機における経糸の張力調整装置
CN210973390U (zh) 张力控制装置
SU91637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натяжения нити 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