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956Y1 - 장력자동제어방식의 권선기 - Google Patents

장력자동제어방식의 권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956Y1
KR200278956Y1 KR2020020008562U KR20020008562U KR200278956Y1 KR 200278956 Y1 KR200278956 Y1 KR 200278956Y1 KR 2020020008562 U KR2020020008562 U KR 2020020008562U KR 20020008562 U KR20020008562 U KR 20020008562U KR 200278956 Y1 KR200278956 Y1 KR 2002789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winding machine
wire
winding
devi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85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화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화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화산업
Priority to KR20200200085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9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9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956Y1/ko

Links

Landscapes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력자동제어방식의 권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로프 및 철사 등을 권회하는 권선기의 장력 조정방식을 파우더 클러치에 의한 전자적인 자동제어방식으로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제품의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장력자동제어방식의 권선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와이어로프 및 철사 등의 선재가 일정한 꼬임 형태가 되도록 가공하는 가공장치부와, 가공장치부를 통과한 선재가 풀림이 없도록 적절한 장력으로 안내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부와, 이송장치부에 의해 안내된 선재가 완성품으로서 균일하게 감겨질 수 있도록 장력조정장치가 연설된 권취장치부로 이루어진 권선기에 있어서, 상기 권취장치부의 장력조정장치를 전자적으로 작동하는 파우더 클러치로 구성하여 장력이 일정하게 자동 제어될 수 있도록 한 장력자동제어방식의 권선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장력자동제어방식의 권선기{A winding machine with automatic tension control system}
본 고안은 장력자동제어방식의 권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로프 및 철사 등을 권회하는 권선기의 장력 조정방식을 파우더 클러치에 의한 전자적인 자동제어방식으로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제품의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장력자동제어방식의 권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로프 및 철사 등을 가공하는 선재 가공장치의 장력 조정용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클러치장치는 도 4와 같이 디스크휠(101)과 라이닝(102)의 상호 마찰작용에 의한 다판 클러치 방식으로, 핸들(103)의 회전에 의한 너트(104)의 조임으로 스프링(105)을 압축시켜 라이닝의 탄성 반발력에 변화를 주므로서 라이닝과 디스크휠 사이의 마찰력에 변화를 주어 변화된 디스크휠의 회전력에 의해 선재의 장력을 조정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력 조정방식은 여러가지 변수로 말미암아 선재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는데, 이의 변수로는 특히 핸들 작업이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의 경험과 숙련도에 의해 장력이 변화되는 현상과, 스프링의 노후화에 따라 탄발력이 변화되어 장력이 변화되는 현상과, 스프링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므로 인해 너트가 이완 또는 체결되어 장력이 변화되는 현상과, 자체 진동에 의해 라이닝과 디스크휠 사이의 마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장력이 변화되는 현상 등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와이어로프 및 철사 등을 가공하는 선재 가공장치의 장력 조정방식을 파우더 클러치에 의한 전자적인 자동제어방식으로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종래의 수작업에 따른 문제점과 스프링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점 및 자체 진동에 의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선재의 장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장력자동제어방식의 권선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권선기의 설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파우더 클러치가 설치된 부위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부 측단면도
도 4는 종래의 다판 클러치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권선기 1 : 선재 2 : 가공장치부
3 : 이송장치부 4 : 장력조정장치 5 : 권취장치부
6 : 파우더 클러치 7 : 권취보빈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의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자동제어장치의 설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파우더 클러치가 설치된 부위의 평면도로서, 본 고안은 와이어로프 및 철사 등의 선재(1)가 일정한 꼬임 형태가 되도록 가공하는 가공장치부(2)와, 가공장치부(2)를 통과한 선재(1)가 풀림이 없도록 적절한 장력으로 안내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부(3)와, 이송장치부(3)에 의해 안내된 선재(1)가 완성품으로서 균일하게 감겨질 수 있도록 장력조정장치(4)가 연설된 권취장치부(5)로 이루어진 권선기(100)에 있어서, 상기 권취장치부(5)의 장력조정장치(4)를 전자적으로 작동하는 파우더 클러치(6)로 구성하여 장력이 일정하게 자동 제어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7은 권취보빈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권선기(100)의 권취장치부(5)에 연설된 장력조정장치 (4)를 파우더 클러치(6)에 의한 전자적인 자동제어방식으로 구성하므로서 권취되는 선재(3)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실시예를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권선기(100)의 권취장치부(5)에 설치되는 파우더 클러치(6)는 시중에서 흔히 사용되는 것으로 이의 일반적인 구조를 간단히 살펴보면, 도 3에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201)의 지지를 받으면서 회전하는 입력휠(202)이 설치된 하우징(203)의 일측에는 제어동작을 하는 제어구(204)와 상기 입력휠(202)과 연결되는 출력휠(205)이 연결된 케이싱(206)이 설치되고, 케이싱의 내부에는 Fe,Al,Cr 합금 등의 구상분말(207)이 충진되며, 이의 외주에는 마그네트코일(208)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싱(206)의 외부로 노출된 단자를 통하여 전원을 인가시키게 되면, 전원은 제어구(204)의 외주에 설치된 마그네트코일(208)로 전달되어 발생된 자력에 의하여 케이싱(206)의 내부에 충전된 Fe,Al,Cr 합금 등의 구상분말(207)들이 쇄상으로 연결 되면서 연결력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연결력을 가진 구상분말(207)과 상기 제어구(204)의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됨에 따라 주어진 셋팅 전압값에 맞추어 입력휠(202)과 출력휠(205)의 구동력이 자동으로 연결 또는 차단되면서 동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권선기(100)는 선재가 완제품으로서 권취보빈(7)에 감길때 전자적으로 작동하는 파우더 클러치(6)에 의해 선재(1)의 장력이 자동으로 조정되므로 일정한 장력으로 감기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파우더 클러치(6)는 용량에 따라 전압을 조정하여 전달토오크를 가변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어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고, 작업자에 상관없이 장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가 있으며, 또한 일정한 전압값을 셋팅하여 두면 자력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클러치(6)의 동작이 안정적이면서도 원활하게 이루어져 기계적인 충격에 의한 소음 공해를 줄일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파우더 클러치(6)는 분말만 보충하면 이상없이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관리비와 수리비를 최대한 절감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와이어로프 및 철사 등을 권회하는 권선기의 장력 조정방식을 파우더 클러치에 의한 전자적인 자동제어방식으로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작업자에 상관없이 장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가 있고, 클러치의 동작이 안정적이면서도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기계적인 충격에 의한 소음 공해를 줄일 수가 있으며, 아울러 파우더 클러치는 분말만 보충하면 이상없이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관리비와 수리비를 최대한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와이어로프 및 철사 등의 선재(1)가 일정한 꼬임 형태가 되도록 가공하는 가공장치부(2)와, 가공장치부(2)를 통과한 선재(1)가 풀림이 없도록 적절한 장력으로 안내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부(3)와, 이송장치부(3)에 의해 안내된 선재(1)가 완성품으로서 균일하게 감겨질 수 있도록 장력조정장치(4)가 연설된 권취장치부(5)로 이루어진 권선기(100)에 있어서, 상기 권취장치부(5)의 장력조정장치(4)를 전자적으로 작동하는 파우더 클러치(6)로 구성하여 장력이 일정하게 자동 제어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자동제어방식의 권선기.
KR2020020008562U 2002-03-22 2002-03-22 장력자동제어방식의 권선기 KR2002789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562U KR200278956Y1 (ko) 2002-03-22 2002-03-22 장력자동제어방식의 권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562U KR200278956Y1 (ko) 2002-03-22 2002-03-22 장력자동제어방식의 권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956Y1 true KR200278956Y1 (ko) 2002-06-21

Family

ID=73074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562U KR200278956Y1 (ko) 2002-03-22 2002-03-22 장력자동제어방식의 권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95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348B1 (ko) 2009-04-22 2010-02-09 (주)이엔비엔지니어링 권취 와이어의 균일장력 유지가 가능한 트위스팅 장치
KR101066925B1 (ko) 2009-04-09 2011-09-22 이운선 전선용 선재 꼬임 및 권취기의 자동 장력 조절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925B1 (ko) 2009-04-09 2011-09-22 이운선 전선용 선재 꼬임 및 권취기의 자동 장력 조절 장치
KR100939348B1 (ko) 2009-04-22 2010-02-09 (주)이엔비엔지니어링 권취 와이어의 균일장력 유지가 가능한 트위스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14551A1 (en) Torque limiting slip clutch apparatus for cable reel drive assembly
WO2004104435A1 (en) Load spreader
KR200278956Y1 (ko) 장력자동제어방식의 권선기
CN1232743C (zh) 一种超越离合器
US6702221B2 (en) Magnetorheological fluid actively controlled bobbin tensioning apparatus
CN2517712Y (zh) 永磁张力控制器
US2605875A (en) Adjustable magnetic slip brake
CN206907646U (zh) 齿条式环绕机构及环形绕线机
CN104386533A (zh) 机械式绕线机
JPH07501603A (ja) 保全に好都合な変速駆動装置及び方法
US4015415A (en) Twisting machine
EP0573655A4 (en) Robo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CN201494966U (zh) 用于收线张力控制的磁滞差速器
KR101291735B1 (ko)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
CN214934937U (zh) 一种电磁感应式可在线调整阻尼导轮
TW372907B (en) Supplement to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agnetic adjustable torque screwdriver
CN110417184A (zh) 一种用于织机的一体式可控定子调速电机
CN210854755U (zh) 一种调节铜丝张力的放线架
CN212611114U (zh) 整经机退绕卷纱装置
EP1188703A3 (de) Vorrichtung zum Steuern eines Spulenrahmens einer Textilmaschine
JP2559441Y2 (ja) 電動ホイストの巻上装置
CN209329881U (zh) 电机皮带松紧调节装置
KR200297713Y1 (ko) 트위스트 번처
CN215326223U (zh) 一种随行电缆卷扬装置
CN107749327A (zh) 一种带磁滞张力摇篮架的电缆绞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