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2474B1 - 신규 흡착제 - Google Patents

신규 흡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2474B1
KR100442474B1 KR10-1999-7000513A KR19997000513A KR100442474B1 KR 100442474 B1 KR100442474 B1 KR 100442474B1 KR 19997000513 A KR19997000513 A KR 19997000513A KR 100442474 B1 KR100442474 B1 KR 100442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bent
food
adsorption
gel
sub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0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9491A (ko
Inventor
아오야기주로
엔도류이치
Original Assignee
고키붓산 유겐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415358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4247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고키붓산 유겐가이샤 filed Critical 고키붓산 유겐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29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9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2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24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7/00Other dairy technology
    • A23C7/04Removing unwanted substances other than lactose or milk proteins from milk
    • A23C7/043Removing unwanted substances other than lactose or milk proteins from milk using chemicals in liquid or solid state, e.g. flocculating, adsorbing or extrac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2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in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6Preservation of finish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84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23L33/21Addition of substantially indigestible substances, e.g. dietary fibres
    • A23L33/29Mineral substances, e.g. mineral oils or clay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7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chemical treatment, by adsorption or by absorption
    • A23L5/273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chemical treatment, by adsorption or by absorption using adsorption or absorption agents, resins, synthetic polymers, or ion exc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47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sorbit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47G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0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support or substrate used for impregnation or coating
    • B01J20/3204Inorgan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34Inorganic material layers
    • B01J20/3236Inorganic material layers containing metal, other than zeolites, e.g. oxides, hydroxides, sulphides or sa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68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327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68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3272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involving only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 B01J20/3274Proteins, nucleic acids, polysaccharides, antibodies or antig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68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3276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02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combined with removal of precipitate or added materials, e.g. adsorption material
    • C12H1/04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combined with removal of precipitate or added materials, e.g. adsorption material with the aid of ion-exchange material or inert clarification material, e.g. adsorption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yc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oxicology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활성탄 등의 흡착체를 고분자 폴리카르복실산의 2가 금속염, 두부, 젤리, 곤약, 한천, 때죽나무, 우무, 키토산옥살산염겔 등의 겔상 물질로 피복한 후 동결처리하거나, 글리세린 등의 동해방지물질을 포함하는 상기 겔상 물질로 피복한 후 상기 동해방지물질을 제거하여 이루어진 흡착제이다. 직접 식품 등에 접촉시키거나 직접 소화기계 내로 투여함으로써 식품 등에 부착 또는 함유되거나 또는 소화기계 내에 존재하는 식품첨가물, 사료첨가물, 농약류, 식중독의 원인물질, 알레르겐, 중금속 또는 독성이 강한 유기화합물 등, 소화기계 내에 존재하는 잉여영양소, 주류에 함유된 올리고머, 첨가물 등, 알콜 섭취후 소화기계 내에 생성되는 알콜의 중간대사물, 유지중의 불포화지방산의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등의 유해물질이나 생선비린내 등의 냄새성분을 매우 고율로 흡착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 흡착제{NOVEL ADSORBENT}
활성탄은 비표면적이 크고 높은 흡착능력을 나타내며 대표적인 흡착제로서 각종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활성탄을 자가(自家)중독, 약물중독 등의 원인물질의 흡착제거 등의 목적으로 약용탄으로서 직접 소화기계 내에 투여한 경우 변비를 일으키는 폐해를 갖고 있었다. 또한, 활성탄을 식품 등에 혼입하여 섭취하고자 하는 경우, 먹을 때 이물감이 있고 음식을 검은색으로 오염시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동물세포에서는 세포막 외층의 단백 또는 당단백에 미립자활성탄이 흡착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으며,미립자활성탄을 유해물질의 흡착제거제 등으로서 직접 소화기계 내에 투여한 경우, 그 일부가 소화기계 내의 세포에 흡착잔류하여 이것을 완전히 소화기계 밖으로 배출시키는 것이 매우 어렵다고 생각된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활성탄을 곤약 등 수불용화만난이나 알긴산칼슘 등의 가교폴리머 등으로 피복한 흡착제가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55-95611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4-210239호 공보). 그러나, 이들 흡착제는 활성탄의 입자표면에 피막을 형성한 것이기 때문에 표면적의 저하 등을 초래하여 본래의 활성탄이 갖는 흡착능력을 충분히 발현시킬 수 없다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활성탄 등의 흡착체가 본래 갖는 흡착능력을 저하시키지 않고 직접식품 등에 접촉시키거나 또는 직접 소화기계 내에 투여함으로써 식품 등에 부착 또는 함유되는 또는 소화기계 내에 존재하는 유해물질 등을 매우 고율로 흡착제거할 수 있는 흡착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모든 목적은 본 발명의 흡착체를 겔상 물질로 피복한 후 동결처리하여 이루어지는 흡착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모든 목적은 또한 본 발명의 흡착체를 동해(凍害)방지물질을 포함하는 겔상 물질로 피복한 후 상기 동해방지물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여 이루어지는 흡착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동해방지물질은 글리세린인 상기 흡착제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흡착체는 흡착능을 갖는 탄소재인 상기 흡착제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흡착능을 갖는 탄소재는 활성탄 또는 목탄인 상기 흡착제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겔상 물질은 고분자 폴리카르복실산의 2가 금속염인 상기 흡착제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고분자폴리카르복실산의 2가금속염은 알긴산 칼슘인 상기 흡착제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겔상 물질은 두부, 젤리, 곤약, 한천, 때죽나무, 우무 또는 키토산옥살산염겔인 상기 흡착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착제를 건조시켜 이루어진 흡착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흡착체를 제l 겔상 물질로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흡착제부와 제2 겔상 물질부로 이루어진 흡착제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흡착제부 또는 상기 제2 겔상 물질부 중 어느 한쪽에 조미(調味)를 하여 이루어진 상기 흡착제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흡착제부는 상기 각 흡착제로 이루어진 상기 흡착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착제로 이루어진 유해물질의 흡착제거제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유해물질은 식품 또는 사료에 부착 또는 함유되는, 또는 소화기계 내에 섭취된 식품첨가물, 사료첨가물, 농약류, 식중독의 원인물질, 알레르겐(allergen), 중금속 또는 독성이 강한 유기 화합물인 상기 유해물질의 흡착제거제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사료첨가물은 항생 물질, 합성항균제 또는 호르몬제인 상기 유해물질의 흡착제거제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식중독의 원인물질은 외독소, 자연독 또는 유해 화학물질인 상기 유해물질의 흡착제거제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흡착제로 이루어진 항생 물질을 경구투여했을 때의 항생물질 자체 또는 항생물질이 장내 세균에 작용하여 생성되는 유해물질의 흡착제거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착제로 이루어진 소화기계 내에 섭취된 잉여영양소의 흡착제거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착제로 이루어진 알콜섭취후 소화기계 내에 생성된 알콜의 중간대사물의 흡착제거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착제로 이루어진 유지중의 불포화지방산의 하이드로퍼옥사이드의 흡착제거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착제로 이루어진 방취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착제를 0.01∼60중량혼입한 가공식품 또는 사료이다.
본 발명은 또한 유제품, 수산가공식품, 어패류가공품, 식육가공품, 두제품, 야채가공품, 감자ㆍ고구마류 가공품, 곡물가공품, 감미류, 유지류 또는 과자류인 상기 가공식품이다.
본 발명의 흡착제에는 흡착체를 겔상 물질로 피복한 후 동결처리하는 것에 의해서 피막의 겔상 물질중의 수분이 응결하여, 가교만으로 형성된 공경(孔徑)보다는 큰 직경의 미세공이 상기 피막에 형성되고, 이에 의해서 흡착체가 본래 갖는 흡착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마찬가지로 흡착체를 동해방지물질을 포함하는 겔상 물질로 피복한 후 상기 동해방지물질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서도 피막의 겔상 물질중에 동일한 미세공이 형성되어, 동일한 효과를 발현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발명의 흡착제는 흡착체로서 분말활성탄 등의 미립자를 사용한 경우 흡착체를 겔상 물질중에 균일하게 분산시킨 분산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활성탄의 고분산화에 의해 활성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도 흡착제 전체로서의 유효흡착면적이 증가하고, 흡착능의 증대에 의해 유해물질 등을 매우 고율로 흡착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착제는 흡착체를 겔상 물질로 피복하고 있기 때문에 소화기계 내에 직접 투여할 수 있으며, 식품 등에 혼입되어 소화기계 내에 섭취된 유해물질을 소화기계 내에서 간편하게 흡착제거할 수 있다. 게다가 소화기계 내에 직접 투여하더라도 변비 등을 동반하지 않으며, 소화기계 내의 유해물질을 흡착제거한 뒤의 흡착제는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소화기계 밖으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흡착제는 식품 등에 혼합접촉시켜 식품 등에 포함되는 유해물질 등을 흡착제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흡착체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 유해물질을 흡착제거한 뒤의 흡착제를 식품으로부터 간단히 단시간에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실수로 흡착제가 분리되지 않고 식품 등에 혼입되어 소화기계 내로 섭취되었다고 해도 상술한 바와 같이 신속히 소화기계 밖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안전하다.
본 발명의 흡착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화기계 내에 직접 투여하여 이용하는 것 외에도 가공식품 등에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착제는 가공식품 등에 혼합하여도 먹을 때 이물감이 없어 식감(食感)이 우수하며 음식을 검은 색으로 오염시키는 것도 없다.
본 발명의 흡착제는 인체에 유해한 물질의 흡착제거제로서 인간에게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육동물에게도 이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흡착제를 이용하여 사료를 처리하거나 본 발명의 흡착제를 직접 또는 사료에 혼합함으로써 사육동물에게 투여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해물질의 흡착제거제 등에 사용되는 신규흡착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흡착체를 겔상 물질로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흡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흡착제는 흡착체를 겔상 물질로 피복한 후 동결처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착제에 있어서 사용되는 흡착체로서는 활성탄, 목탄, 알루미나, 실리카겔, 제올라이트, 벤트나이트, 인산칼슘, 이온교환수지, 킬레이트수지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중에서는 활성탄, 목탄 등 흡착능을 갖는 탄소재가 바람직하며 특히 활성탄이 바람직하다.
흡착제로서 활성탄을 사용하는 경우 분상, 입상, 섬유상 등 여러가지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분상 또는 입상의 활성탄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 활성탄의 입경은 5μm∼10mm가 좋다. 활성탄의 입경이 5μm 미만이면 취급이 어렵고, 10mm를 초과하면 활성탄의 단위중량당 흡착능이 저하된다. 또한, 겔상 물질중에의 활성탄 혼합량은 0.02∼90중량가 좋다. 활성탄의 혼합량이 0.02중량미만이면 흡착효과가 낮고, 90중량를 초과하면 겔상 물질중에 분산시키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흡착제에 있어서 사용하는 겔상 물질로서는 소화기계 내에 투여해도 무해한 겔상 물질, 예를 들면 고분자 폴리카르복실산의 2가 금속염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폴리카르본산의 2가 금속염으로는 알긴산, 펙틴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키틴, 스티렌-말레인산공중합체, 스티렌-말레인산 반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폴리 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아크릴산-말레인산 공중합체, 아크릴산-말레인산 반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등 측쇄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고분자화합물의 칼슘, 마그네슘, 철, 동염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폴리카르복실산의 2가 금속염을 사용한 흡착제는 고분자 폴리카르복실산의 알칼리금속염 또는 암모늄염과 활성탄분말 등의 흡착체의 현탁액을 2가 금속염 수용액에 적하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현탁액의 고분자 폴리카르복실산의 알칼리금속염 또는 암모늄염의 농도는 0.01∼5몰이 바람직하며, 하한 미만에서는 흡착체를 피복 또는 분산하는 튼튼한 겔을 얻을 수 없고, 상한을 넘으면 흡착체를 둘러싼 고분자 폴리카르복실산염이 많아 피흡착물의 흡착체 내부로의 진입이 저해되어 흡착능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또한, 2가 금속염 수용액의 농도는 0.05∼5몰이 바람직하며, 하한 미만에서는 가교율이 낮아 흡착체의 강도가 약해지고, 상한을 초과하면 가교율이 높아져 흡착체의 공경이 매우 작아져 피흡착체가 흡착체 내부로 진입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겔상 물질로서는 두부, 젤리, 곤약, 한천, 때죽나무 또는 우무 등 겔상 식품, 키토산옥살산염겔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겔상 물질을 이용한 흡착제는 각각의 겔상식품의 제조과정에서 겔 형성전에 활성탄분말 등의 흡착체를 적절히 첨가하여 분산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흡착제에서는 상기 겔상 물질을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복수혼합하여 사용하여도 관계없다. 또한, 필요에 따라 아몬드검, 아에로모나스 검(AEROMONASU gum), 아소토바쿠타(ASOTOBAKUTAA)·비네란지(BINERANJII)검, 아마시도(AMASHIIDO)검, 아라비아검, 아라비노갈락탄, 알긴산, 알로에베라 추출물, 우에란(UERAN)검, 에르위니아ㆍ미쯔엔시스(ERWINIA MITSUENSHISU)검, 에레미(EREMI)수지, 엔테로바쿠타·미쯔엔시스(ENTEROBAKUTAAㆍMITSUENSHISU)검, 엔테로바쿠타·시마나스검, 엔테로바쿠타(ENTEROBAKUTAA)검, 오라크(ORAKU) 추출물, 카도란(KAADORAN), 해조 셀룰로오스, 카시아(KASHIA)검, 갈조추출물, 카라기난(KARAGINAN), 카라야검(karaya gum), 카로부비인(KAROBUBIIN)검, 가치(GACHII)검, 크산탄검(xanthan gum), 키다치알로에(KITACHIAROE) 추출물, 키틴, 키토산, 구아율검(guayule gum), 글루코사민, 효모세포막, 사이류무시이도(SAIRYUMUSHIDO)검, 쥬란(JURAN)검, 스크레로(SUKURERO)검, 야스레로(YASURERO)검, 세스바니아(SESUBANIA)검, 타마린도시이도(TAMARINDOSHIIDO)검, 타라(TARA)검, 담마르(DAMMAR)수지, 푸키스토소(PUKISUTOSSO), 트라가칸트(tragacanth)검, 토리아칸소스(TORIAKANSOSU), 닥풀(TOROROAOI), 납두균(Bacillus natto)검, 미소섬유상 셀룰로오스, 노아세레란(NOASERERAN), 조루란(ZORURAN), 펙틴, 마크로호모부시스(MAKUROHOMOBUSHISU)검, 라무잔(RAMUSAN)검, 레반(levan) 등의 증점안정제, 에레누(ERENU)수지, 오우리큐리로우(OURIKYURIROU), 오조케라이토(OZOKERAITO), 나보바나쿠스(NABOBANAKKUSU)수지, 카우리(KAURI)검, 카나우바(carnauba) 왁스, 칸데리요(KANDERIWO) 왁스, 고래 왁스(whale wax), 크라운 검, 구타카추(gutta KACHU), 구타 한칸(gutta HANKAN), 구타베루카(gutta BERUKA), 구아이약 수지(guaiac resin), 구아율, 쿠파루 수지(KOOPARU resin), 코파이파파루사무(KOPAIPAPARUSAMU), 쌀겨 왁스(rice bran wax), 고무, 고무분해수지, 사탕수수 왁스, 산다라크(SANDARAKKU) 수지, 셀락(정제셀락, 백셀락), 셀락 왁스, 주루튼(JURUTON), 소루바(SORUBA), 소루빈바(SORUBINBA), 탈크, 담마르(DAMMAR)수지, 치크부루(CHIKUBURU), 치클, 칠테, 츠메(TSUMEE), 저분자고무, 뉴우코우(NYUKOU), 니가구타(nigger gutta), 니츠베로(NITSUBERO), 발라타(balata), 파라핀 삭스(paraffin socks), 모피 발삼(fur balsam), 분말펄프, 분말왕겨, 베네수엘라 치클, 벤조인 검, 베리조(BERIIJO), 호호바 왁스(HOHOBA was), 맛사란도바(MASSARANDOBA) 초콜릿, 맛사란도 바바라타(MASSARANDO BABARATA), 마이크로크리스털린 삭스(microcrystalline socks), 매스틱(mastic), 허니 왁스(honey wax), 미르라(myrrh), 슈막 왁스(sumac wax), 몬탄 왁스(montan wax), 기름겨종자 왁스(oilcake seed wax), 라놀린, 레츄부바카(RETCHUBUBAKA), 로지킨하(ROJIKINHA), 로진 등의 검 베이스, 오우리큐리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칸데리라(KANDERIRA) 왁스, 고래 왁스, 코리앤더 종자, 사프론, 산초(prickly ash), 차조기(perilla), 샤롯토(SYAROTTO), 쥬니바(JUNIBAA) 베리, 생강, 신나몬, 스타 아니스 오일(star anise oil), 스피아민트, 세이지, 세보리(SEBORII), 셀러리 시드(celery seed), 타임(thyme), 여뀌(water pepper), 양파, 타라곤(tarragon), 치커리(chicory), 차이브(CHAIBU), 샤비루(CHAABIRU), 추출 분말 향신료, 칠리 페퍼, 딜(dill), 육두구, 부추, 마늘, 파, 바딜, 파슬리, 박하집(peppermint), 파프리카, 피스타치오, 페누그 부추(FENUGU leek), 페네루 종자(FENNERU seed), 양고추냉이, 마죠란(MAAJORAN), 파드득나물(umbrelliferous plant), 양하(Japanese ginger), 메이스(mace), 유자(citron), 라임, 레드페퍼, 레몬, 로즈마리, 로렐(laurel), 고추냉이 등의 광택제, 치즈, 생크림, 버터, 분유, 훼이(whey), 연유 등의 유제품, 큐라노(curano), 버찌술(Kirschwasser), 쉐리주, 청주, 맥주, 포도주, 브랜디, 분말주, 베르무트, 럼주, 리큐르 등의 주류, α화 전분, 알파미(alpha rice), 팥소, 우롱차, 에로우테로코쿠(EROUTEROKOKKU) 추출물, 건조야채, 한천, 글루텐, 클로렐라, 혈구분말, 혈장분말, 누룩, 홍차, 커피, 효모, 고려인삼, 코코아, 쌀가루, 쌀겨, 옥수수가루, 소맥분, 소맥배아, 콜라겐, 곤약가루, 초산균, 술지게미, 잼, 식염, 스필리나, 정제 어육단백질, 정제 소맥단백질, 정제 대두단백질, 젤라틴, 메밀국수가루, 씨누룩, 초콜릿, 덱스트린, 전분, 옥수수가루, 납두균, 난소화성 덱스트린, 유산균, 유당, 맥아, 맥아엑기스, 햄, 비피더스균, 밀기울, 부분 α화 전분, 분말감자, 분말 얌(powdered yam), 홍누룩, 헤미셀룰로오스, 가루차, 귤펄프, 난황분말, 난황유, 난백, 녹차 등을 첨가해도 좋다.
본 발명의 흡착제는 흡착체를 동해방지물질을 포함하는 겔상 물질로 피복한 후 상기 동해방지물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착제에 있어서 사용하는 동해방지물질로서는 아세트아민, L-알라닌, 알부민, 초산암모늄, 클로로포름, 콜린(choline), 덱스트란,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폰, 디메틸설폭사이드, 에리스리톨, 에탄올, 에틸렌글리콜, 포름아미드, 글루코오스, 글리세린, 글리신, 히드록시에틸스타치, 이노시톨(inositol), 락토스, 염화마그네슘, 인산마그네슘, 말토스, 만니톨, 만노스, 메탄올, 메틸아세트아미드, 메틸포름아미드, 메틸우레아, 모노아세틴, 페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옥시에틸렌, 폴리비닐피롤리돈, L-프롤린, 프로피온아미드, 프로필렌글리콜, 피리딘, N-옥사이드(N-oxide), 레소시놀, 리비톨(ribitol), 리보스, L-세린, 브롬화나트륨, 염화나트륨, 요오드화나트륨, 질산나트륨, 아질산나트륨, 황산나트륨, 솔비톨, 수크로스, 트리에틸렌글리콜, 요소, L-바렌, 크실로스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중 글리세린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흡착제를 소화기내에 투여하는 형태로 이용할 때에는 복용을 쉽게 하기 위해 흡착제 자체에 적당한 조미를 해도 좋다.
본 발명의 흡착제는 식품 또는 사료에 부착 또는 함유되는 또는 소화기계내에 섭취된 식품첨가물, 사료첨가물, 농약류, 식중독의 원인물질, 알레르겐, 중금속, 독성이 강한 유기 화합물등의 유해물질을 흡착제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흡착제는 사카린 및 그의 염류, 글리시리진산 2칼륨(dipotassium glycyrrhizinate), 글리시리진산 3칼륨, 아세트초산에틸 등의 감미료, 32산화철, 식용적색3호, 40호, 102호, 104호, 105호, 106호, 식용황색4호, 5호, 식용녹색3호, 식용청색1호, 2호, 이산화티타늄 등의 착색료, 안식향산, 오르토페닐페놀, 솔빈산, 디히드로초산, 프로피온산 및 그들의 염류, 디페닐, 치아벤다졸, 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테르류 등의 보존료,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품질보존제,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칼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전분글리콜산나트륨, 전분인산에스테르나트륨, 메틸셀룰로스,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등의 증점제·안정제·겔화제·풀재료, d1-α토코페롤, 니리솔빈산 및 그 나트륨염, 구아야크지, 구연산이소프로필,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노르디히드로구아야레틱산,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몰식자산프로필, 에틸렌디아민4초산칼슘2나트륨, 에틸렌디아민4초산2나트륨 등의 산화방지제, 아질산나트륨, 질산칼륨, 질산나트륨, 황산제일철, 인산염 등의 발색제, 과산화수소, 차아염소산, 차아염소산나트륨 등의 살균제, 아황산 및 그의 염류등의 표백제, 오르토페닐페놀 및 그의 염류, 디페닐, 치아벤다졸 등의 항곰팡이·항부패제 등 식품첨가물의 흡착제거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농약류로서는 MEP, 다이아디논, PAP, IBP, EDDP, DDVP, DEP, 마라톤, EPN 등의 유기인, 클로로살로닐, 크롤피크린, D-D, 피라조레이트, PCNB, 프라사이드, DCIP, 프로시미돈 등의 유기염소, BPMC, MTMC, XMC, MCC, MIPC 등의 카바메이트, 브롬화메틸 등의 유기브롬, 티오파네이트메틸 등의 벤조이미다졸, 벤티오커브 등의 티오카바메이트, CNP 등의 디페닐에텔, 염소산염 등의 염소, 캡탄 등의 프탈이미드, 만네브 등의 디티오카바메이트, 파라코트 등의 비피리디움, 클로메톡시닐 등의 디페닐에텔, DCPA 등의 산아미드, 무기구리 등의 구리, 세톡시딤(Sethoxydim), 이소프로티오란, 프로베나졸, 다임론, 나푸로아니리드 등의 살균제, 살충제, 제초제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알레르겐으로서는 알레르기성 식중독의 원인이고 고기등의 부패로 인해 생성되는 히스타민 등, 중금속으로서는 수은, 납, 육각크롬, 카드뮴, 셀렌, 비소, 구리, 철, 아연 등, 독성이 강한 유기화합물로서는 인화물, 염화물, 벤젠 등의 흡착제거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착제는 또한 식중독의 원인물질인 외독소, 자연독, 유독화학물질 등의 흡착제거에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외독소로서는 보쯔리누스균산생(産生)독소(A∼F형), 클로스트리듐디피실산생의 엔테로톡신 및 사이트톡신, 웰슈균산생의 엔테로톡신, 독소원성대장균산생의 이열성 엔테로톡신 및 내열성 엔테로톡신, 적리균산생의 시가(志賀)독소, 포도구균산생의 엔테로톡신(A∼E형), 콜레라균산생의 콜레라독소, 장염비브리오산생의 내열성용혈독 및 엔테로톡신, 엘시니아엔테로코리티카산생의 엔테로톡신 등의 장관감염원인균이 산생하는 독소, 벨로톡신 등의 장관출혈성 대장균산생의 벨로독소, 세레우스균산생독소 등, 자연독으로서는 테트로도톡신(음독), 아마톡신스(Amatoxins), 팔로톡신스(phallotoxins), 머스카린(muscarine), 머스카리딘(muscaridine), 이보텐산(ibotenic acid), 부포테닌(bufotenine), 머스시몰(muscimo1), 프실로시빈(psi1ocybin), 프실로신(psilocin), 세로티닌(serotinin), 기로미트린(gyromitrin; 헬벨산(helvellic acid)), 일루딘(illudin) 등의 버섯독, 사크시톡신, 네오사크시톡신, 고니오톡신 등의 마비성패독, 오카다산, 디노피시스톡신-1, -3, 페크테노톡신 등의 설사성패독, 비타민A(돗돔중독), 페넬핀(모시조개 독), 테테라민(테트라민중독), 네오슬가톡신 및 프로슬가톡신(패중독), 파이페오홀파이트a(광선과민증) 등 어패류의 독, 솔라닌(감자), 아트로핀, 스코포라민, L-히요스티아민, 아코니틴, 시안화수소(매실, 복숭아, 살구, 사과, 배의 씨에 그 자체 무독인 청산배합체의 형태로 존재하지만 체내에서 청산을 발생한다), 4'-메톡시피리독신(은행중독), 아플라톡신(곰팡이독) 등, 유해화학물질로서는 메탄올, 비소, 시안화합물, 글루타민산나트륨, 사카린나트륨, 주석, 구리, 아연, 카드뮴, 비소화합물, 불화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착제에 의해서 항생 물질을 경구투여했을 때의 항생물질 자체 또는 항생물질이 장내세균에 작용하여 생성되는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최근 가축의 발육촉진이나 감염증치료 또는 예방을 위해 항생물질이나 합성항균제 등을 사료에 첨가하거나, 숫소의 육질개선를 위해 여성호르몬 등의 호르몬제가 투여되고 있지만, 이들이 잔류하는 유제품이나 식육류를 섭취하는 것에 의한 알레르기 증상이나 성적발육 이상 등의 발현, 합성항균제의 발암성 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의 흡착제는 유제품이나 식육류 등에 잔류하는 페니실린 등의 항생 물질, 설파제 등의 합성항균제, 프로게스트론, 에스트라디올 등의 호르몬제 등 사료첨가물의 흡착제거에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착제는 소화기계 내에 섭취된 잉여영양소를 흡착제거할 때에도 사용할 수 있다. 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착제는 세포배양시험에 있어서 배지 중의 영양원을 흡착함으로써 세포증식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으며, 식품 등과 같이 또는 식전 또는 식후에 섭취함으로써 음식물 등의 대사를 억제하기 때문에 항비만제 등이나 식이요법에도 이용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통상 식이량의 약 20을 본 발명의 흡착제와 바꿔 섭취함으로써 본 발명의 흡착제가 식품 등 양분의 20∼25를 더 흡착제거하기때문에 흡수대상의 양분량은 실질적으로 60∼64가 된다. 체중 감량에 유의하면서 이것을 되풀이함으로써 단계적으로 감량이 달성되어 적정체중으로 교정할 수 있다. 게다가 통상과 같은 섭취량이기 때문에 공복감이 없어 스트레스를 유발하지 않으므로 오랫동안 해당 식이요법을 계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착제는 주류에 함유되는 올리고머, 첨가물류 등을 흡착제거하고 또 음주후 소화기계 내에 생성된 알콜의 중간대사물인 아세트알데히드 등을 흡착제거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즉, 포유동물에 있어서 알콜(에틸알콜)대사는 단계적으로 진행되어 중간대사물로서 아세틸알데히드를 생성하고, 아세틸알데히드는 계속해서 초산과 아세틸-CoA로 산화된다. 이들 알콜대사에 있어서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가 높아지면 메스꺼움, 구토, 안면홍조, 심박증가, 박동성두통, 피부온도상승, 최저혈압저하 등의 증상(아세트알데히드증상, 이른바 숙취)이 발생한다. 또한, 주류에 함유된 올리고머, 첨가물 등도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음주시 또는 그 전후에 본 발명의 흡착제를 섭취하여 주류에 함유된 올리고머, 첨가물 등을 흡착제거함과 함께 소화기계 내에 생성되는 아세트알데히드도 흡착제거함으로써 이들 아세트알데히드 증상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메탄올 등의 오용에 의한 중독증상도 그 알콜의 중간대사물에 기인하는 것인데, 이들 아지도시스(azidosis, acidosis)의 치료에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착제는 또한 분자량 100∼수만의 관능성올리고머, 예를 들면 프리온 등의 병원성단백질, 지방산, 당류 또는 이들의 조합화합물 등의 흡착제거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착제는 또한 바르비투르산(barbituric acid)계 약제, 농약, 수면제, 진정제, 항우울제, 진통제, 심혈관작동제, 항생물질, 항암제, 각성제 등의 약물중독에 있어서 상기 약품의 흡착제거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착제는 식용유 등의 유지 산패의 원인물질인 불포화지방산의 하이드로퍼옥사이드의 흡착제거에 쓸 수 있다. 즉, 식용유 등의 유지 산패의 원인은 주로 유지중의 불포화지방산이 공기중의 산소에 의해 자동산화되어 하이드로퍼옥사이드를 생성하는데 있으며, 하이드로퍼옥사이드는 더 분해되어 알데히드, 케톤, 저급지방산 등을 발생시켜 냄새나 맛을 나쁘게 한다. 본 발명의 흡착제는 자동산화에 의해 발생한 유지중의 불포화지방산의 하이드로퍼옥사이드를 흡착하기 때문에 유지의 산패방지제 등으로서도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착제는 물고기비린내 등 악취성분을 흡착제거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흡착제는 물고기비린내 성분인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등의 휘발성염기류, 희산(dilute acids), 초산 등의 휘발성산류,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등의 휘발성 카르보닐화합물,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등의 휘발성 함황 화합물, 알콜, 페놀 등의 비카르보닐 중성화합물 등이나 기타 대표적 악취성분 등을 흡착제거하기 때문에 방취제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는 상기 흡착제를 0.01∼60중량혼입한 가공식품 또는 사료이다. 본 발명의 흡착제의 가공식품 등에의 혼합량을 0.01∼60중량로 한 것은 0.01중량미만에서는 충분한 흡착능을 얻을 수 없으며, 60를 초과하면 식품 등으로서의 느낌이나 식감를 얻을 수 없으며 이물감이 심하기 때문이다.
흡착제를 혼입하는 가공식품으로는 요구르트, 치즈 등의 유제품, 어묵, 꼬치오뎅 등 수산가공식품, 맛살 등의 어패류가공품, 소세지, 프랑크푸르트, 리버페이스트 등의 식육가공품, 두부, 부친 두부, 두부튀김, 유부, 비지, 얼린 두부, 두부껍질 등의 두제품, 퓨레 등 야채가공품, 으깬 감자, 칡, 녹두국수, 곤약 등의 감자류가공품, 떡, 찹쌀경단, 흰밥, 밀기울, 비픈, 마카로니, 스파게티, 소면, 메밀국수, 우동, 중화면, 식빵, 건빵, 팥빵 등 곡물가공품, 잼 등의 감미류, 버터, 마가린, 마요네즈, 드레싱 등의 유지류, 사탕, 강정, 센베이, 카스텔라, 양갱, 떡, 모나카, 만두, 경단, 초콜릿, 비스켓, 쿠키, 도넛츠, 케이크, 파이, 아이스크림, 푸딩, 바바루아 등의 과자류, 두부, 젤리, 곤약, 한천, 때죽나무, 또는 우무 등의 겔상 식품, 다시마, 미역, 김, 우뭇가사리 등의 해초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가공식품에 흡착제를 혼입할 때에는 흡착제가 가공식품의 맛성분을 흡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젤리를 예로 들면 조미 안 한 부분(층)과 조미한 부분(층)을 마련하여 조미 안 한 부분(층)에 흡착제를 혼입하거나, 전술한 바와 같이 미리 조미한 흡착제를 조미 안 한 젤리에 혼입하는 등의 방법을 채용해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흡착제(동결처리·활성탄함유 곤약)의 제조
정제 곤약가루(精紛) 16g과 평균 입경 15μm인 활성탄 4g을 잘 섞어 30℃의 온수 750mℓ에 덩어리가 생기지 않도록 소량씩 넣어 교반하면서 센 불에서 약 5분간 가열하였다. 거품이 부글부글 나게 된 후 중불로 해서 7∼8분간 교반을 계속한 다음 40℃ 정도까지 냉각시켰다. 여기에, 유발로 잘 갈은 CaO 0.64g을 40℃의 온수 50mℓ에 용해시킨 것을 가하고 전체를 재빨리 반죽한 다음 형상틀에 넣고 손가락으로 잘 눌러 내부의 공기를 없애 균질하게 하였다. 형상틀을 열탕에 넣어 약 5분간 가열한 다음 형상틀에서 꺼내어 다시 25분간 열탕에서 가열을 계속하여 완전히 응고시켜 활성탄함유 곤약 640g을 얻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활성탄함유 곤약 500g을 1ℓ의 물에 넣고 이것을 -30℃에서 동결시켜 5시간 후에 꺼내 80℃의 열수중에서 1분간 해동했다. 이것을 흐르는 물에 헹구어 떫은 맛을 우려낸 다음 약 1mm3로 잘게 잘라 본 발명의 흡착제(동결처리·활성탄함유 곤약)를 얻었다.
실시예 2
흡착제(동결·건조처리·활성탄함유 곤약)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흡착제 200g을 다시 건조기로 완전히 건조하여 본 발명의 흡착제(동결·건조처리·활성탄함유 곤약)을 얻었다.
실시예 3
흡착제(글리세린 첨가·활성탄함유 곤약)의 제조
정제 곤약가루 16g과 평균 입경 30μm의 활성탄 16g을 잘 섞어 30℃의 5중량글리세린 수용액 750mℓ에 덩어리가 생기지 않도록 소량씩 넣고 교반하면서 센 불에서 약 5분간 가열하였다. 거품이 부글부글 나게 된 후 중불로 해서 7∼8분간 교반을 계속한 다음 40℃ 정도까지 냉각시켰다. 여기에, 유발로 잘 갈은 CaO 0.64g을 40℃의 온수 50mℓ에 용해시킨 것을 가하여 전체를 재빨리 반죽한 다음 형상틀에 넣고 손가락으로 잘 눌러 내부의 공기를 없애 균질하게 하였다. 형상틀을 열탕에넣어 약 5분간 가열한 다음 형상틀에서 꺼내어 다시 25분간 5중량글리세린 수용액 1000mℓ에서 가열을 계속하여 완전히 응고시켜 글리세린 첨가 활성탄함유 곤약 650g을 얻었다. 이것을 흐르는 물에 헹구어 글리세린 제거 및 떫은 맛을 우려낸 다음 약 1mm3로 잘게 잘라 본 발명의 흡착제(글리세린 첨가·활성탄함유 곤약)를 얻었다.
실시예 4
흡착제(글리세린 첨가·동결처리·활성탄함유 곤약)의 제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제조한 글리세린 첨가 활성탄함유 곤약 500g을 액체질소(-196℃) 속에서 동결한 후, 40℃의 온수에서 해동시켰다. 이것을 흐르는 물에 헹구어 글리세린 제거 및 떫은 맛을 제거하여 약 1mm3로 잘게 잘라 본 발명의 흡착제(글리세린 첨가ㆍ동결처리·활성탄함유 곤약)를 얻었다.
실시예 5
흡착제(글리세린 첨가·건조처리·활성탄함유 곤약)의 제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흡착제 200g을 다시 건조기로 완전히 건조하여 본 발명의 흡착제(글리세린 첨가·건조처리·활성탄함유 곤약)을 얻었다.
실시예 6
흡착제(글리세린 첨가·동결·건조처리·활성탄함유 곤약)의 제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흡착제 200g을 다시 건조기로 완전히 건조하여, 본 발명의 흡착제(글리세린첨가·동결·건조처리·활성탄함유 곤약)을 얻었다.
비교예 1
흡착제(활성탄함유 곤약)의 제조
실시예 1에 있어서, 동결해동처리를 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와 같이 하여 비교의 흡착제(활성탄함유 곤약)를 얻었다.
비교예 2
흡착제(건조처리·활성탄함유 곤약)의 제조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흡착제 200g을 다시 건조기로 완전히 건조하여 비교의 흡착제(건조처리·활성탄함유 곤약)를 얻었다.
실시예 7
흡착제(동결처리·활성탄함유 알긴산 칼슘겔 볼)의 제조
알긴산나트륨 2g과 평균입경 15μm의 활성탄 3g을 잘 혼합하여 교반하 물 800mℓ에 소량씩 첨가하였다. 다시 물을 첨가해 전량을 1000mℓ로 만들어 24시간 교반하여 활성탄 0.3중량를 포함하는 알긴산나트륨 용액을 조제하였다. 별도로 염화칼슘 11.1g을 증류수 800mℓ에 용해시킨 다음 다시 증류수를 더 넣어 중량을 1000mℓ로 하여 1.11중량염화칼슘 용액을 조제하였다.
다음에 상기 알긴산나트륨 용액을 50mℓ의 뷰렛에 주입하고 상기 염화칼슘 용액 500mℓ에 l방울씩 떨어뜨려 활성탄함유 알긴산 칼슘겔 볼의 조제품 10g을 얻었다. 이것을 5ℓ 용기에 넣어 이온 교환수를 흘리면서 10시간 처리함으로써 미반응물 및 부생성물을 제거하여 활성탄함유 알긴산 칼슘겔 볼을 얻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활성탄함유 알긴산 칼슘겔 볼 10g을 -85℃에서 동결한후, 40℃의 온수에서 해동하였다. 이것을 흐르는 물에 헹구어 미반응물 및 부생성물을 제거하여 본 발명의 흡착제(동결처리·활성탄함유 알긴산 칼슘겔 볼)를 얻었다.
실시예 8
흡착제(동결·건조처리·활성탄함유 알긴산 칼슘겔 볼)의 제조
실시예 7에서 제조한 흡착제 10g을 다시 건조기로 완전히 건조하여 본 발명의 흡착제(동결·건조처리·활성탄함유 알긴산 칼슘겔 볼)를 얻었다.
실시예 9
흡착제(글리세린 첨가·활성탄함유 알긴산 칼슘겔 볼)의 제조
알긴산나트륨 2g과 평균입경 15μm의 활성탄 3g을 잘 혼합하여 교반하 5중량글리세린 수용액 800mℓ에 소량씩 첨가하였다. 다시 물을 더해 전량을 1000mℓ로 하고 24시간 교반하여 활성탄 0.3중량을 포함하는 알긴산나트륨-글리세린용액을 조제하였다. 별도로 염화칼슘 11.1g을 증류수 800mℓ에 용해시키고 다시 증류수를 더해 중량을 1000mℓ로 하여 1.11중량염화칼슘 용액을 조제하였다.
다음에 상기 알긴산나트륨-글리세린 용액을 50mℓ의 뷰렛에 주입하고 상기 염화칼슘용액 500mℓ에 1방울씩 떨어뜨려 글리세린첨가 활성탄함유 알긴산 칼슘겔 볼의 조제품 10g을 얻었다. 이것을 5ℓ의 용기에 넣어 이온교환수를 흘리면서 10시간 처리하여 미반응물 및 부생성물을 제거하여 본 발명의 흡착제(글리세린 첨가·활성탄함유 알긴산 칼슘겔 볼)를 얻었다.
실시예 10
흡착제(글리세린 첨가·동결처리·활성탄함유 알긴산 칼슘겔 볼)의 제조
실시예 9에서 제조한 흡착제 10g을 -85℃에서 동결후, 40℃의 온수에서 해동하였다. 이것을 흐르는 물에 헹구어 글리세린, 미반응물 및 부생성물을 제거하여 본 발명의 흡착제(글리세린 첨가·동결처리·활성탄함유 알긴산 칼슘겔 볼)를 얻었다.
실시예 11
흡착제(글리세린 첨가·건조처리·활성탄함유 알긴산 칼슘겔 볼)의 제조
실시예 9에서 제조한 흡착제 10g을 다시 건조기로 완전히 건조하여 본 발명의 흡착제(글리세린 첨가·건조처리·활성탄함유 알긴산 칼슘겔 볼)를 얻었다.
실시예 12
흡착제(글리세린 첨가·동결·건조처리·활성탄함유 알긴산 칼슘겔 볼)의 제조
실시예 10에서 제조한 흡착제 10g을 다시 건조기로 완전히 건조하여 본 발명의 흡착제(글리세린 첨가·동결·건조처리·활성탄함유 알긴산 칼슘겔 볼)를 얻었다.
비교예 3
흡착제(활성탄함유 알긴산 칼슘겔 볼)의 제조
실시예 7에 있어서, 동결해동처리를 하지 않은 것 외에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여 비교의 흡착제(활성탄함유 알긴산 칼슘겔 볼)를 얻었다.
비교예 4
흡착제(건조처리·활성탄함유 알긴산 칼슘겔 볼)의 제조
비교예 3에서 제조한 흡착제 10g을 다시 건조기로 완전히 건조하여 비교의 흡착제(건조처리·활성탄함유 알긴산 칼슘겔 볼)를 얻었다.
실시예 13
흡착속도 평가시험
실시예 1∼12 및 비교예 1∼4에서 제조한 각 흡착제의 흡착능을 흡착속도로 평가하였다.
300mℓ 비이커에 각 흡착제를 각각 1g씩 넣고 청색잉크 희석액(흡광도 0.112)을 50mℓ씩 가했다. 교반하에서 잉크희석액의 파장 475nm에서의 흡광도를 경시적으로 측정하여 잉크첨가후부터 상기 흡광도가 0.01이하가 될 때까지의 시간을 흡착속도로써 구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각 흡착제의 처리조건도 함께 나타냈다.
흡착제 겔상 물질 동결처리 건조처리 글리세린 첨가 흡착속도
실시예 1 곤약 7분
실시예 2 곤약 15분
실시예 3 곤약 1분
실시예 4 곤약 3분
실시예 5 곤약 10분
실시예 6 곤약 5분
실시예 7 알긴산칼슘 겔 15분
실시예 8 알긴산칼슘 겔 20분
실시예 9 알긴산칼슘 겔 10분
실시예 10 알긴산칼슘 겔 15분
실시예 11 알긴산칼슘 겔 15분
실시예 12 알긴산칼슘 겔 20분
비교예 1 곤약 200분
비교예 2 곤약 150분
비교예 3 알긴산칼슘 겔 70분
비교예 4 알긴산칼슘 겔 140분
활성탄단체 5분
실시예 14
착색료(식용적색 104호(프록신))의 흡착제거시험
식품첨가물 착색료는 식품의 미화 또는 천연색의 색채모방을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합성타르계 색소로서 현재 사용이 인정되고 있는 것은 적색 104호 등 수용성 산성색소 뿐이고, 그 사용도 제한되어 있다.
흡착제로서 실시예 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것을 사용하여 소세지 안의 식용적색104호의 흡착제거시험을 실시하였다. 소세지 20g을 잘게 으깨 흡착제 0.5g과 물 100㎖를 가하고, 교반하 일정시간마다 채취한 액층 10mℓ에 뜨거운 물 5배을 더하여 용해한 뒤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시험용액으로 하였다. 이것을「눈으로 보는 식품위생검사법」하루다 미사오(春田三佐夫) 외 편집, 중앙법규출판, 제146∼149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처리하고 여과지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판정하였다.
식용적색 104호가 검출되지 않게 되기까지의 시간은 비교예 1의 흡착제로는 10분인 데 대하여 실시예 3의 흡착제로는 1분이었다.
실시예 15
보존료(오르토페닐페놀(OPP))의 흡착제거시험
오르토페닐페놀은 챤벤다졸(TBZ)과 마찬가지로 발암성이나 기형유발성이 인정된다. 이 보존료는 곰팡이류, 각종 호기성 및 혐기성균에 대하여 발육저지작용이 있으며 광범위한 가공식품에 사용되고 있다.
흡착제로서 실시예 10 및 비교예 3에서 제조한 것을 사용하여 오렌지 중의 오르토페닐페놀의 흡착제거시험을 실시하였다. 오렌지를 잘게 자른 시료 50g을 비이커에 채취하여 물을 약 100mℓ 넣고 그 위에 흡착제 1g을 넣어 교반하 일정시간마다 액층 10mℓ를 채취하여 시험용액으로 하였다. 이것을 「눈으로 보는 식품위생검사법」하루다 미사오 외 편집, 중앙법규출판, 제142∼143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처리하고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써 오르토페닐페놀 농도를 정량했다.
오르토페닐페놀 농도가 검출한계(0.01ppm) 이하가 되기까지의 시간은 비교예 3의 흡착제로는 10분인 데 대하여 실시예 10의 흡착제로는 3분이었다.
실시예 16
산화방지제(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BHT))의 흡착제거시험
산화방지제는 유지의 산패를 막는 것 외에 풍미의 손실 방지, 산화에 의해 열화되는 식품의 영양가 보존, 수산가공품의 햇볕에 의한 변색방지, 색소의 갈색 방지 등의 효과가 있어 여러 종류의 식품에 사용되고 있다.
흡착제로서 실시예 10 및 비교예 3에서 제조한 것을 사용하여 추잉검 중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의 흡착제거시험을 실시하였다. 추잉검 5g, NaCl 50g, 피로가롤 0.2g, 물 200mℓ, 비등석 및 흡착제 1g을 500mℓ의 가지형 플라스크에 넣고 환류냉각기가 부착된 연속추출기에 접속시켜 연속추출하고 일정시간마다 추출액 10mℓ를 채취하여 시험용액으로 하였다. 이것을「눈으로 보는 식품위생검사법」하루다 미사오 외 편집, 중앙법규출판, 제158∼159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처리하고 가스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농도를 정량하였다.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농도가 검출한계(0.0lg/kg) 이하가 되기까지의 시간은 비교예 3의 흡착제로는 10분인 데 대하여 실시예 10의 흡착제로는 4분이었다.
실시예 17
살균제(과산화수소)의 흡착제거시험
과산화수소는 강력한 산화작용, 살균력을 갖지만 입을 통한 경구투여로 십이지장에 미약하지만 암의 발생이 인정된 이래로 사용이 제한되어 현재는 말린 청어알에만 사용되고 있다.
흡착제로서 실시예 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것을 사용하여 말린 청어알 중 과산화수소의 흡착제거시험을 실시하였다. 잘게 썬 말린 청어알 약 5g을 마쇄용 컵에 넣어 침출용액 40mℓ를 가하여 외측부터 얼리면서 3분간 마구 섞은 뒤, 흡착제 0.3g을 가했다. 교반하 일정시간마다 채취한 액층 10mℓ에 실리콘 0.1mℓ를 가하여 생성된 거품을 제거하고 물을 가해 50mℓ로 한 뒤 잘 섞어 여과하였다. 여과액은 최초의 5mℓ를 버리고 그대로 시험용액으로 하였다. 이것을「눈으로 보는 식품위생검사법」하루다 미사오 외 편집, 중앙법규출판, 제144∼145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처리하고 산소전위측정에 의해 과산화수소 농도를 정량하였다.
과산화수소 농도가 검출한계(0.01ppm) 이하가 되기까지의 시간은 비교예 1의 흡착제에서는 5분인 데 대하여 실시예 3의 흡착제로는 1분이었다.
실시예 18
표백제(아황산)의 흡착제거실험
아황산 및 그의 염류는 표백효과 이외에 보존, 산화방지 등의 효과를 갖기 때문에 많은 식품에 첨가물로서 사용되어 있고, 각 식품별로 이산화황의 잔존량으로서 규제되고 있다.
흡착제로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1로 제조한 것을 사용하여 오가리 중 아황산의 흡착제거시험을 실시하였다. 잘게 썬 오가리 0.2g을 흡착제 0.2g과 증류수 20mℓ를 가하여 교반하 일정시간마다 액층 l0mℓ를 채취하여 시험용액으로 하였다. 이것을「눈으로 보는 식품위생검사법」하루다 미사오 외 편집, 중앙법규출판, 제150∼151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처리하고 개량 랭킨법에 의해 아황산농도를 정량하였다.
아황산농도가 검출한계(160ppm) 이하가 되기까지의 시간은 비교예 1의 흡착제로는 10분인 데 대하여 실시예 1의 흡착제로는 5분이었다.
실시예 19
쇠고기중의 여성 호르몬(에스트라디올)의 흡착제거실험
흡착제로서 실시예 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것을 사용해 쇠고기중의 에스트라디올의 흡착제거시험을 실시하였다. 에스트라디올을 혼이(混餌)투여한 숫소육 25g을 채취하고 물을 가해 전량을 50g으로 하였다. 이것에 흡착제 7g을 가하고 교반하 일정시간마다 액층 10mℓ를 채취, 5000rpm에서 원심분리하여 웃물액을 시험용액으로 하였다. 이것을 RIA(Radioimmunoassay) 방사면역측정법(「임상검사법제요」개정 제30판, 가나이 마사미츠(金井正光) 편저, 가네하라(金原)출판주식회사, 제818페이지)에 따라서 에스트라디올 측정키트(에스트라디올=항체키트; 일본DPC제)를 사용해 에스트라디올 농도를 측정하였다.
에스트라디올 농도가 검출한계(5 pg/m0)이하가 되기 까지의 시간은 비교예1의 흡착제로는 10분인 데 대하여 실시예 3의 흡착제로는 1.5분이었다.
실시예 20
우유중 여성 호르몬(에스트라디올)의 흡착제거실험
흡착제로서 실시예 3 및 비교예1에서 제조한 것을 사용해 우유중 에스트라디올의 흡착제거시험을 실시하였다. 두께 3mm, 내경 6cm, 길이 100cm의 스테인레스제 컬럼에 흡착제(5mm×3 mm×1.5mm)의 덩어리를 충진하여 흡착제거용 컬럼을 제작하였다. 이 컬럼에 에스트라디올 300pg/mℓ를 포함하는 원유(지방율 3.0) 5ℓ를 2.8ℓ/분의 유속으로 유입하였다. 일정시간마다 용출한 처리유 30g을 분취하여 H2O 150g을 가하여 30분간 교반한 뒤 10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웃물액을 시료로 하였다. 이것을 실시예 19와 마찬가지로 에스트라디올 농도를 측정했을 때 에스트라디올 농도가 검출한계(5pg/mℓ) 이하가 되기까지의 시간은 비교예 1의 흡착제로는 30분인 데 대하여 실시예 3의 흡착제로는 3분이었다.
실시예 21
유기인제(다이아디논)의 흡착제거시험
유기인제(有機燐劑)는 현재 살충제로서 35종류, 살균제로서 3종류, 제초제로서 8종류가 등록되어 있고, 저잔류성, 저독성이라고 하는 이유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흡착제로서 실시예 9 및 비교예 3에서 제조한 것을 사용해 사과중의 다이아디논의 흡착제거시험을 실시하였다. 잘게 자른 사과 20g을 아세톤 100㎖에 넣고 고속 호모지나이저로 5분간 혼화하였다. 여기에 흡착제 1g을 가하고, 교반하 일정시간마다 액층 10mℓ를 채취하여 기리야마(桐山)제 깔때기(여과조제 5mm)로 여과하고, 다시 30함수 아세톤 100mℓ로 동일하게 추출여과하여 여과액을 시험용액으로 하였다. 이것을「눈으로 보는 식품위생검사법」 하루다 미사오 외 편집, 중앙법규출판, 제94∼95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처리하고,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다이아디논 농도를 정량하였다.
다이아디논 농도가 검출한계(10ppb) 이하가 되기까지의 시간은 비교예 3의 흡착제로는 5분인 데 대하여 실시예 9의 흡착제로는 3분이었다.
실시예 22
유기염소제(클로로살로닐(TPN))의 흡착제거시험
유기염소제는 독성, 잔류성 면에서 문제가 되어 현재는 거의 사용금지되었지만, 클로로살로닐(TPN), PCNB, 프탈이미드계, 클로르벤질레이트류 등은 현재도 살균제, 살진드기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흡착제로서 실시예 10 및 비교예 3에서 제조한 것을 사용해 오이중의 클로로살로닐의 흡착제거시험을 실시하였다. 잘게 자른 오이 20g을 아세톤 100mℓ에 넣어 고속 호모지나이저로 5분간 혼화한 뒤, 흡착제 1g를 가해 교반하 일정시간마다 액층 10mℓ를 채취하여 추출액을 시험용액으로 하였다. 이것을「눈으로 보는 식품위생검사법」하루다 미사오 외 편집, 중앙법규출판, 제96∼99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처리하고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클로로살로닐 농도를 정량하였다.
클로로살로닐 농도가 검출한계(0.001ppm) 이하가 되기까지의 시간은 비교예 3의 흡착제로는 10분인 데 대하여 실시예10의 흡착제로는 3분이었다.
실시예 23
카바메이트제의 흡착제거시험
카바메이트제는 살충제로서 11종류, 제초제로서 8종류가 등록되어 있으며 저독성, 저잔류성이라는 점에서 유기인제와 함께 살충제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흡착제로서 실시예 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것을 사용하여 토마토 중의 카바메이트제의 흡착제거시험을 실시하였다. 잘게 자른 토마토 20g을 아세톤 l00mℓ에 넣고 고속 호모지나이저로 5분간 혼화한 뒤 흡착제 1g을 가하고 교반하 일정시간마다 액층 10mℓ를 채취하여 추출액을 시험용액으로 하였다. 이것을「눈으로 보는 식품위생검사법」하루다 미사오 외 편집, 중앙법규출판, 제102∼103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처리하고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카바메이트제 농도를 정량하였다.
카바메이트제 농도가 검출한계(0.001ppm)이하가 되기까지의 시간은 비교예 1의 흡착제로는 10분인 데 대하여 실시예 3의 흡착제로는 1분이었다.
실시예 24
자연독(솔라닌)의 흡착제거시험
솔라닌는 감자의 새싹부분에 존재하는 알카로이드 배당체이다. LD50은 토끼경구에서 0.45g/kg이고, 인간의 경우 0.2∼0.4g에서 중독을 일으킨다.
흡착제로서 실시예 9 및 비교예 3에서 제조한 것을 사용해 감자 중의 솔라닌의 흡착제거시험을 실시하였다. 잘게 자른 감자 5g을 메탄올 30mℓ에 넣어 5분간균질화한 다음, 흡착제 0.5g을 가하여 교반하 일정시간마다 액층 10mℓ를 채취하여 추출액을 시험용액으로 하였다. 이것을「눈으로 보는 식품위생검사법」하루다 미사오외 편집, 중앙법규출판, 제82∼83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처리하고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솔라닌 농도를 정량하였다.
솔라닌 농도가 검출한계(0.001ppm) 이하가 되기까지의 시간은 비교예 3의 흡착제로는 5분인 데 대하여 실시예 9의 흡착제로는 l분이었다.
실시예 25
히스타민의 흡착제거시험
알레르기성 식중독의 원인이 되기 쉬운 고등어, 전갱이, 꽁치 등 붉은살 생선은 근육중의 유리 히스티딘 함유량이 높다. 이들 어육이 히스티딘디카르복실라제 활성이 강하고 히스타미나제 활성이 약한 세균에 의해 오염되면 히스타민이 축적된다.
흡착제로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것을 사용하여 고등어 중의 히스타민의 흡착제거시험을 실시하였다. 고등어 근육 10g에 물 15mℓ를 가하고 5분간 균질화하였다. 그 위에 흡착제 1g을 가하여 교반하 일정시간마다 액층 10mℓ를 채취하여 시험용액으로 하였다. 이것을「눈으로 보는 식품위생검사법」하루다 미사오 외 편집, 중앙법규출판, 제134∼135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처리하고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히스타민 농도를 정량하였다.
히스타민 농도가 검출한계(2.5mg/100g) 이하가 되기까지의 시간은 비교예 1의 흡착제로는 10분인 데 대하여 실시예 1의 흡착제로는 7분이었다.
실시예 26
카드뮴의 흡착제거실험
카드뮴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공업적으로도 대량 이용되어 그에 따른 환경오염이나 식품을 통한 인체로의 카드뮴오염이 문제시되고 있다. 카드뮴은 경구에 의해 대량 섭취한 경우에는 급성위장장애가, 미량의 섭취에 의한 만성중독일 때에는 콩팥장애가 발생한다. 일본인의 카드뮴 1일 섭취량은 대략 30∼60μg이고, 그 30∼40는 쌀을 통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흡착제로서 실시예 4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것을 사용해 현미속 카드뮴의 흡착제거시험을 실시하였다. 분말현미 10g과 흡착제 3g을 반응기에 넣고 증류수 40mℓ를 가하고 그 위에 황산을 가한 뒤 서서히 가열하였다. 분해액이 담황색으로 투명하게 되면 냉각하고 다시 증류수를 가하여 전량을 100mℓ로 하여 시험용액으로 하였다. 이것을「눈으로 보는 식품위생검사법」하루다 미사오 외 편집, 중앙법규출판, 제126∼127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처리하고 원자흡광광도법에 의해 카드뮴을 정량하였다.
카드뮴농도가 검출한계(0.02ppm) 이하가 되기까지의 시간은 비교예 1의 흡착제로는 l0분인 데 대하여 실시예 4의 흡착제로는 3분이었다.
실시예 27
디에틸렌글리콜(DEG)의 흡착제거시험
디에틸렌글리콜(DEG)은 자동차용 부동액, 브레이크유 배합제, 셀로판유연제, 고무·유지 등의 용제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 독성은 인간의 경우 경구로LD501000mg/kg으로 되어 있다. 소화(昭和) 60년 식품첨가물로서 사용이 허가되지 않은 디에틸린글리콜이 와인의 감칠맛과 단맛을 높일 목적으로 외국산 와인에 혼화되어 일본으로도 수입되고 있는 것이 판명되어 문제가 되었다.
흡착제로서 실시예 4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것을 사용하여 디에틸렌글리콜의 흡착제거시험을 실시하였다. 디에틸렌글리콜을 100μg/mℓ가 되도록 메탄올에 용해하여 용액 100g을 조제하였다. 이 용액 40g을 채취하고 흡착제 3g을 가하고 교반하 일정시간마다 액층 l0mℓ를 채취하여 추출액을 45℃에서 농축시킨 뒤 물을 가해 10mℓ로 조제하여 시험용액으로 하였다. 이것을「눈으로 보는 식품위생검사법」하루다 미사오 외 편집, 중앙법규출판, 제114∼115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처리하고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써 디에틸렌글리콜 농도를 정량하였다.
디에틸렌 글리콜 농도가 검출한계(10ppm) 이하가 되기까지의 시간은 비교예 1의 흡착제로는 10분인 데 대하여 실시예 4의 흡착제로는 3분이었다.
실시예 28
숙취방지(아세트알데히드의 흡착제거)시험
흡착제로서 실시예 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것을 사용하여 숙취방지시험을 실시하였다. 성인남성 20명에게 음주직전에 10명은 실시예 3의 흡착제, 다른 10명은 비교예 1의 흡착제를 각각 l0g씩 먹고 2시간 동안 1명당 평균 500mℓ의 알콜음료(정종, 알콜함유율 16)를 섭취하였다.
음주 l2시간 뒤 각자의 몸상태를 관찰했을 때 음주전에 비교예 1의 흡착제를섭취한 집단 10명 중 구역질이 나거나 기분이 나빠진 사람은 0명, 위가 메슥거리는 사람은 6사람인데 반하여, 음주전에 실시예 3의 흡착제를 섭취한 집단 10명 중 구역질이 나거나 기분이 나빠진 사람은 0명, 위가 메슥거리는 사람은 0명 이었다.
실시예 29
유지의 열화방지(하이드로퍼옥사이드의 흡착제거)시험
흡착제로서 실시예 6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것을 사용하여 유지의 열화방지시험을 실시하였다. 참기름 500mℓ를 l45∼150℃로 가열하여 잉어 50g을 통째로 10분간 튀겼다. 기름의 온도를 28±1℃까지 식혔다가 다시 145∼150℃로 가열하였다. 같은 기름을 사용하여 같은 조작을 되풀이하면서 잉어 튀기기를 10회 실시하였다. 흡착제 10g을 스테인레스제 바구니에 넣은 다음 뚜껑을 덮고 사용이 끝난 기름에 넣어 악취, 빛깔, 거품발생도, 점도, 기름빠짐 및 연기(230∼240℃)의 각 평가항목에 관해서 미사용유와 비교하여 기름의 열화를 평가하였다.
미사용유와 비교하여 전혀 열화가 발생하지 않은 기름상태가 되기까지의 시간은 비교예 1의 흡착제로는 30분인 데 대하여 실시예 6의 흡착제로는 10분이었다.
실시예 30
묵은 쌀의 탈취(카르보닐화합물의 흡착제거)시험
묵은 쌀로 지은 밥은 고온, 다습한 가운데 저장하는 중에 지방산이 분해되어 n-발레르알데히드, n-카프로알데히드 등의 카르보닐 화합물이 생성되어 묵은 쌀냄새를 형성한다고 한다.
흡착제로서 실시예 3 및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제조하여 구상으로 만든 것(지름 약 2cm)을 사용해 묵은 쌀의 탈취시험을 실시하였다. 묵은 쌀 540g을 씻은 뒤 자동밥솥에 넣고 그 위에 흡착제를 넣어 침지시키고 물을 조절하여 밥을 지었다.
묵은 쌀냄새를 완전히 제거하는 데 필요한 흡착제의 개수는 비교예 l의 흡착제로는 3개인 데 대하여 실시예 3의 흡착제로는 1개였다.
실시예 31
대장균 벨로톡신의 흡착제거시험
흡착제로 실시예 4에서 제조한 것을 사용하여 병원성대장균 O 157주가 발생하는 독소(벨로톡신 1형·2형)의 흡착제거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사용한 시약, 배지 및 대장균은 다음와 같다.
·시약
대장균 벨로톡신 검출용킷트(덴카생연(生硏)주식회사제)
·CA-YE배지
카자미노산 20g
효모엑기스 6g
NaC1 2.5g
K2HPO48.7lg
염류용액*lmℓ
증류수 l000mℓ
pH8.5(1N NaOH 사용)
*염류용액의 조성
MgSO45
MnCl20.5
FeCl30.5
상기시약을 0.001N H2SO4에 용해한다.
·LB배지
백트트리프톤 10g
이스트엑기스트랙트 5g
NaCl 5g
증류수 1000mℓ
pH7.2(1N NaOH 사용)
·대장균
TT-11(국립소아의료센터제공균)
멸균된 시험관에 CA-YE배지를 l0mℓ씩 넣고 피검균을 백금선으로 접종하여 37℃에서 18시간 격렬하게 진양배양(120회/분)하였다. 배양액을 4℃, 35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후 아크로디스크(Acrodisc) 0.45μm을 사용하여 여과감균시켰다. 여과액를 튜브에 2mℓ씩 넣고 각각에 소정량의 흡착제를 넣고 10분간 혼합한 뒤, 4℃에서 24시간 정치시켰다. 혼합액을 4℃, 3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후, 아크로디스크 0.45μm을 사용, 여과하여 검체로 하였다.
1검체에 대하여 마이크로 플레이트(U형) 3계열에 드로퍼를 사용하여 8웰까지 희석액 25㎕씩 떨어뜨렸다. 대조 벨로톡신용으로서 2계열에 드로퍼를 사용하여 8웰까지 희석액 25㎕씩 떨어뜨렸다. 검체를 마지막 웰을 제외하고 2배단계 희석했다(마지막 웰은 라텍스의 대조로 하였다). 마찬가지로 대조 벨로톡신 1형 및 2형은 각각 1계열씩 2배단계 희석하였다. 검체 희석계열의 첫 번째 줄에는 감작 라텍스 VT1, 두 번째 줄에는 감작 라텍스 VT2를, 또한 세 번째 줄에는 대조 라텍스를 각각 25㎕씩 떨어뜨렸다. 대조 벨로톡신1형의 희석계열에는 감작 라텍스 VT1을, 대조 벨로톡신 2형에는 감작 라텍스 VT2를 각각 25㎕씩 떨어뜨렸다.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충분히 진양하여 검체와 라텍스시약을 혼합하였다. 반응액의 증발을 막기 위해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덮고 실온에서 20시간 이상 정치(靜置)시킨 후, 밝고 평탄한 장소에 검은 종이를 깔고 그 위에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놓고 윗쪽에서부터 각 웰의 라텍스 침강상을 육안으로 관찰 판정하였다. 벨로톡신 1형 및 2형의 흡착제거결과를 각각 표 2 및 표 3에 도시한다.
웰의 라텍스 침강상 육안관찰
(VT1) 1:(CA-YE 배지) 2 4 8 16 32 64 128 대조
흡착제(0.2g) - - - - - - - -흡착제(0.1g) - - - - - - - -TT-11 (대조) + + + + + ± - -
웰의 라텍스침강상 육안관찰
(VT1) 1:(CA-YE배지) 2 4 8 16 32 64 128 256 512 대조
흡착제(0.2g) - - - - - - - - - -흡착제(0.1g) - - - - - - - - - -TT-11 (대조) + + + + + + + ± - -
실시예 32
항생물질(에리트로마이신)의 경구투여에 의한 설사방지시험
체중 3.0∼3.2kg의 토끼를 1군 6마리를 사용해 혼이함으로써 에리트로마이신 1회 40mg을 6시간마다 12회 경구투여하였다. 매번 에리트로마이신 투여 30분 전에 실시예 6에서 제조한 흡착제를 1회 3g 경구투여하였다.
설사증상의 발현은 흡착제 비투여군에서는 100였던데 반하여 흡착제 투여군에서는 0였다. 이때 흡착제 투여군 및 비투여군 중 어느것 에서도 에리트로마이신의 혈중농도는 경구투여로부터 1.5시간 후 측정했을 때 0.12∼0.13μg/mℓ였다.
실시예 33
항생물질(에리트로마이신)의 경구투여에 의한 설사방지시험
남성(60세, 체중 78kg)에게 6시간마다 식사를 시키고 5분 후에 에리트로마이신 300mg을 경구투여했을 때 18회째 투여시 설사증상이 발현하였으므로 투여를 중지하였다.
같은 남성에게 설사증상 회복후 1개월간 통상의 식사를 시킨 뒤, 상기와 마찬가지로 에리트로마이신을 경구투여함과 함께 식사 30분 전에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흡착제 10g을 경구투여했을 때 20회째 투여시에도 설사증상은 발현하지 않았다.
실시예 34
흡착제 함유 한천의 제조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흡착제 100g을 끓고 있는 가다랭이 국물 1ℓ에 넣고 3분간 펄펄 끓였다. 이 시료 10g을 30cm3의 알루미늄 용기에 넣고, 거기엔 한천용액을 15g 첨가해 잘 뒤섞었다. 이것을 탈기한 후 알루미늄 호일로 뚜껑을 덮어 열차단하고 121℃에서 20분간 오토클레이브에서 멸균하여 흡착제 함유 한천을 얻었다.
실시예 35
흡착제 함유 한천의 제조
실시예 31에 있어서, 흡착제로서 비교예 3에서 제조한 흡착제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l과 동일하게 하여 흡착제 함유 한천을 얻었다.
실시예 36
흡착제 함유 한천의 제조
약 50cm3의 알루미늄 용기에 실시예 3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한 흡착제 함유 한천 10g을 넣고 여기에 한천용액 20g을 가하였다. 이 위에 중화풍 샐러드 오일로조미한 다시마를 얹고 그 위에 다시 한천용액 10g을 가하였다. 이것을 탈기시킨 뒤, 알루미늄호일로 뚜껑을 덮어 열차단하고 121℃에서 20분간 오토클레이브에서 멸균하여 흡착제 함유 한천을 얻었다.
실시예 37
흡착제 함유 알긴산 칼슘 겔의 제조
실시예 31에 있어서, 흡착제로서 실시예 3에서 제조한 흡착제를 사용하여 한천용액 대신에 알긴산 칼슘 겔을 같은 량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31과 동일하게 하여 흡착제 함유 알긴산 칼슘 겔을 얻었다.
실시예 38
흡착제 함유 알긴산 칼슘 겔의 제조
실시예 34에 있어서, 흡착제로서 실시예 9에서 제조한 흡착제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4와 동일하게 하여 흡착제 함유 알긴산 칼슘 겔을 얻었다.
실시예 39
흡착제 함유 알긴산 칼슘 겔의 제조
실시예 33에 있어서, 흡착제로서 실시예 4에서 제조한 흡착제를 사용하고 한천용액 대신에 알긴산 칼슘 겔을 같은 량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33과 동일하게 하여 흡착제 함유 알긴산 칼슘 겔을 얻었다.
본 발명의 흡착제는 흡착체를 겔상 물질로 피복한 후 동결처리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흡착체를 겔상 물질중에 균일하게 분산시킨 분산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흡착체가 본래 갖는 흡착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유해물질을 매우 고율로 흡착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착제는 또한 흡착체를 동해방지물질을 포함하는 겔상 물질로 피복한 후 상기 동해방지물질을 제거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동일한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착제는 흡착체로서 분말활성탄 등의 미립자를 사용한 경우 흡착체를 겔상 물질내에 균일하게 분산시킨 분산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활성탄의 고분산화에 의해 활성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 보다도 흡착제 전체의 유효흡착면적이 증가함으로써 흡착능의 증대에 의해 유해물질 등을 매우 고율로 흡착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착제는 흡착체를 겔상 물질로 피복하고 있기 때문에 소화기계내에 직접 투여할 수 있으며, 식품 등에 혼입되어 소화기계 내에 섭취된 유해물질을 소화기계 내에서 간편히 흡착제거할 수 있다. 게다가 소화기계 내에 직접 투여하더라도 변비 등을 동반하지 않으며, 소화기계 내의 유해물질을 흡착제거한 후의 흡착제는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소화기계 밖으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흡착제는 식품 등에 혼합접촉시켜 식품 등에 포함된 유해물질 등을 흡착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흡착체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 유해물질을 흡착제거한 후의 흡착제를 식품으로부터 간단히 단시간에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실수로 흡착제가 분리되지 않고 식품 등에 혼입되어 소화기계 내에 섭취되었다고 해도 상술한 바와 같이 신속하게 소화기계 밖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안전하다.
본 발명의 흡착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화기계 내에 직접 투여하여 이용하는 것 외에 가공식품 등에 혼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흡착제는 가공식품 등에 혼합해도 먹을 때 이물감이 없고 식감이 뛰어난 데다가 식재를 검게 오염시키는 것도 없다.
본 발명의 흡착제는 상기 우수한 효과가 있기 때문에 식품 등에 부착 또는 함유되거나 또는 소화기계 내에 존재하는 식품첨가물, 사료첨가물, 농약류, 식중독의 원인물질, 알레르겐, 중금속 또는 독성이 강한 유기화합물, 항생물질을 경구투여했을 때의 항생물질 자체 또는 항생물질이 장내 세균에 작용되어 생성되는 유해물질, 소화기계 내에 존재하는 잉여 영양소, 주류에 함유된 올리고머, 첨가물 등, 알콜섭취후 소화기계 내에 생성되는 알콜의 중간대사물, 유지 중의 불포화지방산의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등의 유해물질이나 생선비린내 등의 냄새성분의 흡착제거 등에 사용되는 경우 특히 유용하다.

Claims (25)

  1. 흡착체를, 고분자 폴리카르복실산의 2가 금속염, 두부, 젤리, 곤약, 한천, 때죽나무, 우무 또는 키토산 옥살산염 겔로부터 선택되는 겔상 물질로 피복한 후 동결처리하여 이루어진 흡착제.
  2. 흡착체를, 고분자 폴리카르복실산의 2가 금속염, 두부, 젤리, 곤약, 한천, 때죽나무, 우무 또는 키토산 옥살산염 겔로부터 선택되는 겔상 물질로서 동해방지물질을 포함하는 겔상 물질로 피복한 후 상기 동해방지물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여 이루어진 흡착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해방지물질은 글리세린인 흡착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체는 흡착능을 갖는 탄소재인 흡착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능을 갖는 탄소재는 활성탄 또는 목탄인 흡착제.
  6. 제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겔상 물질은 고분자 폴리카르실산의 2가 금속염인 흡착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폴리카르복실산의 2가 금속염은 알긴산칼슘인 흡착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체를 상기 겔상 물질로 피복한 후에 동결처리하고, 이어서 상기 동해방지물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여 이루어진 흡착제.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착제를 건조시켜서 이루어진 흡착제.
  10. 흡착체를 제1 겔상 물질로 피복하여 이루어진 흡착제부와 제2 겔상 물질부로 이루어진 흡착제로서,
    상기 제1 및 제2 겔상 물질은 고분자 폴리카르복실산의 2가 금속염, 두부, 젤리, 곤약, 한천, 때죽나무, 우무 또는 키토산 옥살산염 겔로부터 선택되는 겔상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부 또는 상기 제2 겔상 물질부의 어느 한쪽을 조미하여 이루어진 흡착제.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부는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착제로 이루어진 흡착제.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착제로 이루어진 유해물질의 흡착제거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물질은 식품 또는 사료에 부착 또는 함유되거나 또는 소화기계 내에 섭취된 식품첨가물, 사료첨가물, 농약류, 식중독의 원인물질,알레르겐, 중금속 또는 독성이 강한 유기화합물인 유해물질의 흡착제거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첨가물은 항생물질, 합성항균제 또는 호르몬제인 유해물질의 흡착제거제.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식중독의 원인물질은 외독소, 자연독 또는 유해화학물질인 유해물질의 흡착제거제.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물질은 항생물질을 경구투여했을 때의 항생물질 자체 또는 항생물질이 장내 세균에 작용하여 생성되는 유해물질인 유해물질의 흡착제거제.
  1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착제로 이루어진 소화기계 내에 섭취된 잉여영양소의 흡착제거제.
  1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착제로 이루어진 알콜섭취 후 소화기계 내에 생성되는 알콜의 중간대사물의 흡착제거제.
  2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착제로 이루어진 유지중의 불포화지방산의 하이드로퍼옥사이드의 흡착제거제.
  2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착재로 이루어진 방취제.
  2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착제를 0.01∼60중량% 혼입한 가공식품 또는 사료.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식품은 유제품, 수산가공식품, 어패류가공품, 식육가공품, 두제품, 야채가공품, 감자류가공품, 곡물가공품, 감미류, 유지류 또는 과자류인 가공식품.
  24. 흡착체를, 상기 흡착체량이 0.02∼90중량%가 되도록, 고분자 폴리카르복실산의 2가 금속염, 두부, 젤리, 곤약, 한천, 때죽나무, 우무 또는 키토산 옥살산염 겔로부터 선택되는 겔상물질로 피복한 후, 동결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제의 제조방법.
  25. 흡착체를, 상기 흡착체량이 0.02∼90중량%가 되도록, 고분자 폴리카르복실산의 2가 금속염, 두부, 젤리, 곤약, 한천, 때죽나무, 우무 또는 키토산 옥살산염 겔로부터 선택되는 겔상물질로서 동해(凍害)방지물질를 포함하는 겔상물질로 피복한 후 상기 동해방지물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제의 제조방법.
KR10-1999-7000513A 1996-07-22 1996-12-27 신규 흡착제 KR1004424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6/002048 WO1998003260A1 (fr) 1996-07-22 1996-07-22 Nouvel adsorbant
JPPCT/JP96/02048 1996-07-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491A KR20000029491A (ko) 2000-05-25
KR100442474B1 true KR100442474B1 (ko) 2004-07-30

Family

ID=14153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0513A KR100442474B1 (ko) 1996-07-22 1996-12-27 신규 흡착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6299867B1 (ko)
EP (1) EP0914862B1 (ko)
JP (1) JP3914265B2 (ko)
KR (1) KR100442474B1 (ko)
CN (1) CN100345625C (ko)
AT (1) ATE372826T1 (ko)
AU (2) AU6471696A (ko)
CA (1) CA2261310C (ko)
DE (1) DE69637247T2 (ko)
WO (2) WO199800326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89814A4 (en) * 2015-12-16 2019-07-03 Khalifa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CALCIUM-ADSORBENTS
KR102142494B1 (ko) * 2020-03-31 2020-08-07 강연균 누출 화학물질 제독용 중화흡수제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충진한 중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21509A1 (de) * 1998-05-13 1999-11-18 Manfred Brunner Verfahren zum Adsorbieren von toxischen Substanzen, insbesondere Mycotoxinen, bei der Herstellung von Human-Nahrungs- oder Tierfuttermitteln und die dabei erhaltenen Produkte
US6616860B1 (en) * 1999-02-16 2003-09-09 Agency Of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Biopolymer composite ion-exchanger with high cesium selectivit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0583852B1 (ko) 1999-12-23 2006-05-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숯 적용 하이드로 겔 방향 제품용 조성물
KR100393734B1 (ko) * 2000-07-18 2003-08-09 홍국선 세라믹 탈취제
FI121528B (fi) * 2000-10-30 2010-12-31 Biohit Oyj Farmaseuttinen koostumus syöpään sairastumisen riskin vähentämiseen paikallisesti sitomalla asetaldehydi syljessä, mahalaukussa tai paksusuolessa
US20110171296A1 (en) * 2000-10-30 2011-07-14 Biohit Oyj Method and preparation for binding acetaldehyde in saliva, the stomach and the large intestine
US20020102229A1 (en) * 2001-01-29 2002-08-01 Paul Wegner Product for and method of controlling odor
US20050101482A1 (en) * 2001-08-16 2005-05-12 Juuro Aoyagi Novel adsorbent
KR20030020004A (ko) * 2001-08-28 2003-03-08 이중헌 커들란과 활성탄을 이용한 고성능 흡착제
KR100425377B1 (ko) * 2001-11-05 2004-03-30 김시관 생약재 추출물로 제조된 제품에 함유된 지용성 잔류 농약 제거 방법 및 그 제품
CA2478663A1 (en) * 2002-03-11 2003-09-18 General Nutrition Investment Company Method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overweight in mammals
EP1356865A1 (en) * 2002-04-19 2003-10-29 OMG AG & Co. KG Article comprising a cryogel
US7976855B2 (en) * 2002-04-30 2011-07-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al ion modified high surface area materials for odor removal and control
US7578997B2 (en) 2002-04-30 2009-08-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al ion modified high surface area materials for odor removal and control
US7666410B2 (en) 2002-12-20 2010-02-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elivery system for functional compounds
US8409618B2 (en) 2002-12-20 2013-04-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Odor-reducing quinone compounds
JP2004298783A (ja) * 2003-03-31 2004-10-28 Kitakyushu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Industry Science & Technology 化学物質分離膜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化学物質の検出方法及び化学物質検出装置
US7314569B2 (en) * 2003-04-04 2008-01-01 Arrowhead Center, Inc. Treatment of arsenic-contaminated water using akaganeite adsorption
KR20060011960A (ko) * 2003-04-25 2006-02-06 고키붓산 유겐가이샤 변비 예방 및 개선제
JP4630597B2 (ja) * 2003-08-04 2011-02-09 エーザイ・アール・アンド・ディー・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環境ホルモン排泄促進剤
US20050031708A1 (en) * 2003-08-06 2005-02-10 Portney Micah S. Composition comprising a zeolite compound for treatment of diseases
NO319624B1 (no) 2003-09-15 2005-09-05 Trouw Internat Bv Fiskefôr for laksefisk i ferskvann og anvendelse av slikt fôr.
US7837663B2 (en) 2003-10-16 2010-11-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Odor controlling article including a visual indicating device for monitoring odor absorption
US7413550B2 (en) 2003-10-16 2008-08-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Visual indicating device for bad breath
US7438875B2 (en) 2003-10-16 2008-10-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for reducing odor using metal-modified silica particles
US7794737B2 (en) 2003-10-16 2010-09-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Odor absorbing extrudates
US7879350B2 (en) 2003-10-16 2011-02-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for reducing odor using colloidal nanoparticles
US7678367B2 (en) 2003-10-16 2010-03-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for reducing odor using metal-modified particles
US7488520B2 (en) 2003-10-16 2009-02-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igh surface area material blends for odor reduction, articles utilizing such blend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7754197B2 (en) 2003-10-16 2010-07-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for reducing odor using coordinated polydentate compounds
WO2005039312A1 (ja) * 2003-10-29 2005-05-06 Miura Co., Ltd. 食品
EP1750681A4 (en) 2004-05-27 2012-02-22 Denovo Inc DECONTAMINATING EDIBLE PRODUCT, MANUFACTURING AND APPLICATION METHOD THEREFOR
CN1964699B (zh) * 2004-06-07 2010-12-08 株式会社吴羽 干燥形态经口摄取用组合物和用时调制型凝胶状经口摄取用组合物
US7763061B2 (en) 2004-12-23 2010-07-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hermal coverings
FI122914B (fi) * 2005-04-01 2012-08-31 Biohit Oyj Elintarvikekoostumus asetaldehydin sitomiseksi suussa ja ruoansulatuskanavassa ja menetelmä koostumuksen valmistamiseksi
WO2006114847A1 (ja) * 2005-04-08 2006-11-02 Otsuka Foods Co., Ltd. 蒸留酒の精製方法
JP2007000125A (ja) * 2005-06-21 2007-01-11 Taro Tamura 改質活性炭の製造法及び健康食品としての応用法
JP5009521B2 (ja) * 2005-10-24 2012-08-22 国立大学法人東京海洋大学 動物の飼育方法
JP2007174912A (ja) * 2005-12-27 2007-07-12 Yamada Ayumi 黒色食用油脂及びこれを用いてなる油脂組成物
US7977103B2 (en) 2006-04-20 2011-07-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for detecting the onset of ovulation
US8048413B2 (en) * 2006-05-17 2011-11-01 Helene Huguet Site-specific intestinal delivery of adsorbents,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degrading molecules
DK177279B1 (da) * 2006-07-27 2012-09-24 Vegano Aps Ukrudtsmiddel samt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JP4748117B2 (ja) * 2006-09-25 2011-08-17 三浦工業株式会社 食品
WO2008056977A1 (en) * 2006-11-10 2008-05-15 Coöperatie Avebe U.A. Glycoalkaloid removal
EP2083635B1 (en) * 2006-11-10 2013-09-04 Coöperatie AVEBE U.A. Glycoalkaloid removal
JP4832407B2 (ja) * 2007-11-19 2011-12-07 花王株式会社 コラーゲン含有組成物
US20090305883A1 (en) * 2008-06-09 2009-12-10 Alcoa Inc. Defluoridation of water
WO2010028068A1 (en) * 2008-09-04 2010-03-11 Timms Cynthia G Solid deodorizer for ostomy pouches
AU2010250143B2 (en) * 2009-05-19 2016-08-25 Biotage Ab Porous polymeric separation material
JP5435578B2 (ja) * 2010-04-27 2014-03-05 石川県 ヒスタミン吸着剤およびヒスタミン除去方法
JP2012035233A (ja) * 2010-08-11 2012-02-23 Seiko Epson Corp ゲル形成性溶液及びゲル製造方法
JP2013060554A (ja) * 2011-09-14 2013-04-04 Seiko Epson Corp ゲル製造装置及びゲル製造方法
CN103841981B (zh) * 2011-10-07 2016-11-16 帝人制药株式会社 口服给药用吸附剂
CN103354721B (zh) * 2011-12-31 2014-07-30 晨光生物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提取番茄红素的方法
AR092640A1 (es) * 2012-09-24 2015-04-29 Basf Se Aditivo adyuvante y composicion agroquimica que lo incluye
WO2014085440A1 (en) * 2012-11-30 2014-06-05 Corning Incorporated Chitosan-functionalized cordierite monoliths as heavy metal sorbents
RU2531233C1 (ru) * 2013-08-15 2014-10-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Технофильтр" Способ сорбционной очистки алкогольсодержащих напитков
CN103893804B (zh) * 2014-02-27 2016-06-08 上海应用技术学院 一种火锅除味喷剂及其制备方法
CN104907058A (zh) * 2015-05-19 2015-09-16 青岛博睿林新材料有限公司 一种去除豆酱制品中白色结晶体吸附材料的制备方法
CN105688808A (zh) * 2016-01-21 2016-06-22 广西大学 一种混合型油脂吸附剂
CN105861184A (zh) * 2016-05-05 2016-08-17 华若延 一种果蔬清洗粉的制备方法
AR108532A1 (es) * 2016-05-19 2018-08-29 Decafino Inc Material adsorbente de cafeína, sistema adsorbente de cafeína, sistema de descafeinado y métodos relacionados para separar la cafeína de una solución
CN107173554A (zh) * 2017-05-03 2017-09-19 丁永胜 一种育肥期羊用复合饲料
WO2018227448A1 (zh) * 2017-06-15 2018-12-20 财团法人祺华教育基金会 口服毒物吸附剂及其制造方法
CN107467366A (zh) * 2017-09-18 2017-12-15 黑龙江宝基农业科技股份有限公司 利用有益微生物制作的生物发酵饲料及其制作方法
CN107758660A (zh) * 2017-10-27 2018-03-06 武汉工程大学 一种以氯化锌为激活剂制备甘蔗渣基活性炭的方法
US10744220B2 (en) * 2017-11-13 2020-08-1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pparatus for efficient removal of air pollutants
US10967360B2 (en) * 2017-11-13 2021-04-0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Gels for removing air pollutants
CN108740696A (zh) * 2018-05-15 2018-11-06 贵州务川仡苗特色食品有限公司 羊肉干加工工艺
JP7228184B2 (ja) * 2019-01-15 2023-02-24 株式会社東洋新薬 飲食用組成物
CN110117009B (zh) * 2019-05-27 2020-10-13 武汉大学 一种铁氮共掺杂磁性多孔石墨化纳米碳气凝胶的制备方法
CN110614085A (zh) * 2019-07-16 2019-12-27 西安海润新材料有限公司 一种大颗粒套孔结构免脱附吸附剂的制备方法
CN111821948B (zh) * 2020-07-16 2022-06-03 常熟理工学院 一种基于面粉的除氟吸附剂的制备方法
KR102274828B1 (ko) * 2020-08-28 2021-07-08 인테이크 주식회사 아마씨검, 곤약 및 한천을 포함하는 식용 천연 겔화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12642404A (zh) * 2020-12-01 2021-04-13 安徽鸿昌糖业科技有限公司 一种可降解吸附剂及其制备方法、应用
CN113663640A (zh) * 2021-08-20 2021-11-19 华南理工大学 一种多级孔炭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8840B2 (ko) * 1973-05-31 1977-10-01
JPS5542210A (en) * 1978-09-12 1980-03-25 Koichi Ogawa Special activated carbon
JPS5595611A (en) * 1979-01-17 1980-07-21 Osamu Otsubo Mannan-coated activated carbon
JPS62207220A (ja) * 1986-03-07 1987-09-11 Shigeo Ochi 肥満防止剤
JPS6371158A (ja) * 1986-09-16 1988-03-31 Kazuo Hara 成形疎水性コンニヤクゲル及び成形疎水性ゲル状物質の製造方法
CA2027534C (en) * 1989-10-23 1999-10-12 Yoshiaki Inoue Inhibitor parcel and method for preserving electronic devices or electronic parts
JPH03204803A (ja) * 1989-12-28 1991-09-06 Shiseido Co Ltd 過酸化脂質吸着剤
JPH04210239A (ja) * 1990-12-13 1992-07-31 Osaka Gas Co Ltd 吸着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ES2118219T3 (es) 1991-12-20 1998-09-16 Allied Signal Inc Materiales de baja densidad que tienen alta superficie especifica, y articulos formados a partir de ellos para uso en la recuperacion de metales.
JPH05244879A (ja) * 1992-03-09 1993-09-24 Kazuo Yanai 鶏用飼料
JP3204803B2 (ja) 1992-06-24 2001-09-04 三菱製紙株式会社 感圧記録シート
JP3417963B2 (ja) * 1992-11-19 2003-06-16 三井化学株式会社 高分子多孔質体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89814A4 (en) * 2015-12-16 2019-07-03 Khalifa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CALCIUM-ADSORBENTS
KR102142494B1 (ko) * 2020-03-31 2020-08-07 강연균 누출 화학물질 제독용 중화흡수제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충진한 중화기
WO2021201543A1 (ko) * 2020-03-31 2021-10-07 주식회사 지티사이언 누출 화학물질 제독용 중화흡수제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충진한 중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14862A4 (en) 2000-04-19
US20020025911A1 (en) 2002-02-28
EP0914862A1 (en) 1999-05-12
EP0914862B1 (en) 2007-09-12
DE69637247T2 (de) 2008-06-19
CA2261310A1 (en) 1998-01-29
AU6471696A (en) 1998-02-10
ATE372826T1 (de) 2007-09-15
JP3914265B2 (ja) 2007-05-16
CN100345625C (zh) 2007-10-31
AU1210497A (en) 1998-02-10
CN1229367A (zh) 1999-09-22
CA2261310C (en) 2007-04-17
US6299867B1 (en) 2001-10-09
WO1998003259A1 (fr) 1998-01-29
DE69637247D1 (de) 2007-10-25
KR20000029491A (ko) 2000-05-25
WO1998003260A1 (fr) 1998-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2474B1 (ko) 신규 흡착제
JP4358957B2 (ja) フリーラジカル又は活性酸素を消去もしくは低減する剤
Mahmoudi et al. Ultrasonication and encapsulation of Butcher broom (Ruscus Hyrcanus L.) extract and its bioactive effects on qualitative properties, oxidative stability and shelf life of cake
JPH0975723A (ja) 有害物質の吸着除去剤
US20050101482A1 (en) Novel adsorbent
US4820520A (en) Antiseptic agent for food and drink and method of antiseptic treatment thereof
KR101808586B1 (ko) 정유성분을 제거한 고순도 흑마늘 진액의 제조방법
JP5096658B2 (ja) 生物学的利用能を向上させたソフトカプセル
Sturza et al. Use of sea buckthorn fruits in the pastry manufacturing
JPH0847381A (ja) 持久力向上飲食品
JP4383689B2 (ja) 油脂含有食品の風味劣化防止剤
KR100895969B1 (ko) 항산화 및 항콜레스테롤 활성을 갖는 양파추출농축액 및이의 제조방법
KR20180013306A (ko) 계피를 함유한 꿀의 제조방법
RU2287936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деликатесных рыбных пресервов
KR101933043B1 (ko) 삼채가 함유된 간장게장의 제조방법
Ajani et al. Free Polyphenol Contents,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of Enzymes Linked with Type-2-Diabetes of Bread Produced from Cocoa Powder Flavoured Improved Variety Cassava-Wheat Composite Flours: doi. org/10.26538/tjnpr/v6i2. 10
JP3419282B2 (ja) 新規飲食品類
RU2157647C1 (ru) Пищевая добавка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ая добавка к пище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пищевой продукт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KR20050102320A (ko) 맛과 향이 보존된 마늘죽염 또는 마늘소금 복합조미소재의제조방법
JP7228184B2 (ja) 飲食用組成物
You Spent Coffee Grounds As Efficient and Cost-Effective Adsorbents To Remove Common Food Dyes
JPH08140592A (ja) 脱臭方法ならびに機能性食品素材またはその組成物および機能性食品
JP2005015482A (ja) 有害物質の吸着除去剤
JP3616607B2 (ja) 食品添加物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2117969A1 (ja) 抗炎症剤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