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8882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8882B1
KR100438882B1 KR10-2001-0014482A KR20010014482A KR100438882B1 KR 100438882 B1 KR100438882 B1 KR 100438882B1 KR 20010014482 A KR20010014482 A KR 20010014482A KR 100438882 B1 KR100438882 B1 KR 100438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ozone generating
generating means
chamber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2700A (ko
Inventor
오까다다이신
오이까와다꾸미
하또리다까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10092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2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8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5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deodori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6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using an ozone gen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취 장치로부터 유출하는 오존 농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탈취 장치의 승압 트랜스를 트랜스실에 배치하고, 오존 발생용 전극을 전극실에 배치한다. 그리고, 탈취 제어 장치는 냉장실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가 되면(스텝 A1,「YES」) 탈취 장치의 운전을 개시시키고(스텝 A2), R 도어 또는 V 도어가 열린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스텝 A3, 「YES」), 탈취 장치(11)의 운전을 정지한다(스텝 A6). 한편, R 도어 및 V 도어가 닫힌 상태에 있는 경우는(스텝 A3, 「NO」) R 팬이 운전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A4), R 팬이 운전 중이 아니면(「NO」) 스텝 A6으로 이행하여 탈취 장치의 운전을 정지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발생시킨 오존을 분해함으로써, 냉장실 내의 탈취, 살균을 행하는 탈취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 냉장고 내의 탈취에는 백금 촉매를 서리 제거 히터의 근방에 배치하여 냉장고 내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 물질을 흡착하고, 서리 제거 시에 히터를 가열하여 악취 물질을 가열 분해하는 것으로 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냉장고 내의 염려가 되는 냄새를 제거하고, 다른 식품으로의 냄새 이동을 충분히 방지하기 위해서는 보다 강력한 탈취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최근의 냉장고에는 냉장실이나 냉동실에 각각 전용 냉각기를 사용하여 냉장실 내의 습도를 보다 높게 설정함으로써, 식품의 신선도 보유 지지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 있다. 이와 같이 냉장실 내의 습도가 높아지면, 악취를 보다 쉽게 느끼게 되며, 또한 냉장실 내의 잡균도 보다 번식하기 쉬운 환경이 되어 버린다.
이러한 사정으로부터, 보다 강력한 탈취 방식으로서 오존의 산화력을 이용한 탈취 장치가 냉장고에 도입되어 있다. 이러한 탈취 장치에서는 악취 물질과 오존을 기상(氣相)에서 직접 반응시키는 것은 효율이 나쁘므로, 오존을 분해하는 촉매를 병용하는 것이 있다. 즉, 악취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와 오존 발생기로 발생시킨 오존을 혼합시켜 촉매의 표면에 양자를 흡착시킨다. 그러면, 촉매에 의해 오존이 분해하여 활성 산소가 발생하고, 그 활성 산소가 악취 물질을 산화 분해함으로써 탈취 작용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탈취 장치에서는 냉장고의 운전 조건이나 냉장고 내의 온도, 습도 등에 의해 오존의 발생 효율이나 분해 효율이 변화하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분해할 수 없었던 오존이 냉장고 내로 유출되어 오존 농도가 일시적으로 상승하는것을 생각할 수 있다. 냉장고 내의 오존 농도가 어느 정도(예를 들어, 0.02 내지 0.03ppm 정도) 상승하면, 사용자가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한 때에 오존 냄새를 감지하는 경우가 있어, 반대로 불쾌감을 가져오는 결과가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탈취 장치로부터 유출되는 오존 농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냉장고는 식품이 수납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 내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와,
상기 저장실 내에 설치되어 오존 발생 수단에 의해 오존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발생시킨 오존을 오존 분해 수단에 의해 분해함으로써 상기 저장실 내의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 성분을 산화 분해하여 탈취하는 탈취 장치와,
이 탈취 장치를 상기 저장실 내의 냉각에 관한 제어 조건에 의거하여 운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어 수단은 오존을 발생, 분해시킴으로써 냉장고 내의 공기를 탈취하는 탈취 장치를 저장실 내의 냉각에 관한 제어 조건에 의거하여 운전 제어한다. 즉, 냉장실 내의 온도나 습도는 냉각에 관한 제어 조건에 따라서 변화하고, 그 온도, 습도의 변화에 의해 탈취 장치에 있어서의 오존의 발생량이나 분해량도 변화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 조건에 의거하여 탈취 장치를 운전 제어하면, 탈취 장치에 있어서의 오존의 발생, 분해량을 조절할 수 있어 저장실 내는 적절한오존 농도로 보유 지지된다. 그리고, 오존 농도가 과도하게 상승하여 오존 냄새에 의해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탈취 장치의 불필요한 동작을 억제하여 전력 소비를 저감하는 동시에, 탈취 장치의 수명을 장기화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 경우, 청구항 2에 기재한 바와 같이 탈취 장치를 냉장고 내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제1 실에 승압 트랜스를 배치하고,
공기가 유통하도록 구성된 제2 실에, 오존 발생용 전극과 오존 분해 수단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승압 트랜스는 제1 실에 배치됨으로써 냉장고 내를 순환하는 냉기로부터 차단되어 오존 발생용 전극만이 제2 실에 있어서 순환 냉기에 노출되게 된다. 그리고, 냉장고의 도어가 개폐된 때에 냉장고 내로 유입하는 외기에도 직접 노출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승압 트랜스 주변의 온도 변화가 가능한 한 완화되므로 결로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제어 수단을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냉각 장치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 내로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 팬의 동작에 관련시키는 구성으로 하면 좋고(청구항 3), 구체적으로는 송풍 팬의 동작에 동기시키도록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4).
즉, 송풍 팬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냉장고 내의 냉기가 순환하지 않으므로, 그대로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계속하면 발생한 오존은 오존 분해 수단에송출되지 않게 되어 탈취 장치 내에 정체한다. 그 결과, 미분해의 오존이 냉장고 내로 유출해 버리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그 상태에서 송풍 팬의 운전을 재개하면, 고농도의 오존이 오존 분해 수단에 송입되므로, 이 경우에도 완전히 분해할 수 없는 오존이 냉장고 내로 유출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송풍 팬이 운전되고 있어 저장실 내로 냉기가 순환하고 있을 때에 맞추어 오존 발생 수단을 운전시키면, 그 사이에 발생한 오존은 순환 냉기에 의해 오존 분해 수단으로 차례로 송출되어 분해되므로, 발생한 오존이 미분해인 상태에서 저장실 내로 유출하는 일이 없다.
그리고, 이 경우 청구항 5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제어 수단을 송풍 팬의 동작이 정지하는 시점보다도 소정 시간 전에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이 정지한 시점에서는 미분해인 상태에 있는 오존이 탈취 장치 내에 잔류하고 있다. 따라서, 그 후에 소정 시간만큼 송풍 팬을 운전하면, 순환 냉기에 의해 미분해 상태인 오존이 오존 분해 수단으로 송출되어 분해된다.
또, 청구항 6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제어 수단을 송풍 팬의 회전 속도에 따라서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송풍 팬의 회전 속도가 상승하여 탈취 장치의 오존 분해 수단에 대한 순환 냉기의 통과 속도가 어느 정도 빨라지면, 오존이 충분히 분해되지 않아 미분해인 오존이 저장실 내로 유출해 버린다. 한편, 송풍 팬의 회전 속도가 저하하여 냉기의 순환 속도가 어느 정도 지연되면, 오존 분해 수단에 대한 오존의 송출이 불충분해져 탈취 장치에 있어서의 냉기의 유입구 부근의 오존 농도가 상승해 버린다.
따라서, 송풍 팬의 회전 속도가 상한을 넘은 경우와 하한을 하회한 경우에는 모두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정지하여 상기 회전 속도가 상한과 하한 사이에 있는 경우에만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행하도록 하면, 오존 농도는 적절한 범위가 되도록 유지된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제어 수단을 냉각 운전의 개시 시에는 저장실 내가 설정 온도로 냉각되기까지 오존 발생 수단을 정지 상태로 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즉, 냉장고가 기동되어 냉각 운전이 개시된 시점으로부터, 냉장실 내의 온도가 충분히 저하하기까지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 그리고, 온도가 높은 상태에서는 오존의 발생량도 상승하므로, 발생한 오존을 분해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냉각 운전의 개시 시에는 저장실 내가 설정 온도로 냉각되기까지 오존 발생 수단을 정지 상태로 함으로써, 운전 개시 초기시에 오존 농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경우에 있어서,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제어 수단을 습윤 운전시에(청구항 8), 또는 서리 제거 운전시에(청구강 9)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습윤 운전은 냉각기에 부착된 서리를 송풍 팬에 의해 증발시켜 저장실 내로 환원함으로써, 저장실 내의 습도를 높이는 데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서리 제거 운전은 주로 냉각기에 부착된 서리를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같은 운전을 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저장실 내의 습도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냉각 운전시에 비교하여 오존의 분해 효율이 저하하는 경향이 된다. 따라서, 습윤 운전시나(청구항 8) 서리 제거 운전시에(청구항 9)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정지함으로써, 미분해 상태의 오존이 오존 분해 수단을 통과하여 냉장고 내의 오존 농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청구항 10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제어 수단을, 저장실의 도어가 열린 상태가 된 경우에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저장실의 도어가 열린 상태가 되면 냉장실 내로 외기가 유입하므로, 그 외기의 습도가 높은 경우에는 오존 분해 수단에 결로가 발생해 오존의 분해 효율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어의 개폐시에 발생하는 압력의 변동에 의해 탈취 장치에 있어서의 냉기의 유통 방향이 변화하여 오존 분해 수단과는 반대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가 열린 상태가 된 경우에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오존 농도의 상승이 방지된다.
또, 청구항 1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제어 수단을, 저장실 내에 설치한 오존 센서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저장실 내의 오존 농도를 직접 검출하여 그 농도가 적당한 범위로 유지되도록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청구항 12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제어 수단을, 저장실 내에 설치한 습도 센서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저장실 내의 습도를 직접 검출하여 그 습도에 따라서 변화하는 오존의 분해 효율을 고려하여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제어함으로써, 오존농도가 적당한 범위로 유지된다.
덧붙여서, 청구항 13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제어 수단을, 탈취 장치의 오존 분해 수단에 설치한 결로 센서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오존 분해 수단에 있어서의 결로의 발생 상태에 따라서 변화하는 오존의 분해 효율을 고려하여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제어함으로써, 오존 농도를 적당한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이며, 탈취 제어 장치의 제어 내용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2는 냉장고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3은 탈취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냉장고의 냉동 사이클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5는 냉장고의 종단 측면도.
도6은 R 팬을 단속 운전한 경우에, 탈취 장치의 촉매 출구의 오존 농도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7은 습윤 운전시와 냉각 운전시를 교대로 행한 경우에 있어서의 냉장실 내의 상대 습도[%]와 촉매의 오존 분해 효율[%]을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5에 상당하는 도면.
도9는 탈취 장치의 정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이며, 탈취 제어 장치에 의한 탈취 장치의 제어내용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주로 R 팬의 동작과 관련하여 제어를 행하는 부분).
도11은 R 팬 및 탈취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타이밍차트.
도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10에 상당하는 도면.
도13은 횡축에 냉장실 내의 순환 냉기의 풍속[m/s]을 예로 들고, 종축에 탈취 장치의 유입구(입구), 유출구(출구) 부근에 있어서의 오존 농도를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
도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이며, 횡축에 시간을 예로 들고, 종축에 냉장실 내의 상대 습도[%]와 촉매의 오존 분해 효율[%]을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냉장실(저장실)
13 : 야채실(저장실)
11 : 탈취 장치
61 : 트랜스실(제1 실)
62 : 승압 트랜스
63 : 전극실(제2 실)
64 : 오존 발생용 전극(오존 발생 수단)
65 : 촉매(오존 분해 수단)
70 : 탈취 제어 장치(제어 수단)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해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냉장고의 종단 측면도를 도시한 도5에 있어서, 냉장고 본체(1)는 전방면이 개구하는 직사각형 하우징형을 이루는 것이며, 외부 하우징(2) 내에 내부 하우징(3)을 배치하고, 외부 하우징(2)과 내부 하우징(3) 사이에 발포우레탄 등의 단열재(4)를 충전하는 것에 의거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부 하우징(3)의 내면에는 수평한 합성 수지제의 칸막이 판(냉장실 바닥판)(5)이 고정되어 있다. 이 칸막이 판(5)은 냉장고 본체(1) 내의 상부에 냉장실(저장실)(6)을 형성하는 것이며, 냉장실(6)의 전방단부에는 R 도어(7)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칸막이 판(5)의 상면에는 복수의 돌기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돌기부 상에는 냉동 케이스(8)가 탑재되어 있다. 이 칠드 케이스(8)는 상면 및 전방면이 개구하는 용기형을 이루는 것이며, 칠드 케이스(8)의 하면과 칸막이 판(5)의 상면 사이에는 냉기 통로(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 부호 10은 냉동 케이스(8)의 전방면을 개폐하는 덮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칸막이 판(5)의 일부는 개구하고 있으며, 그 개구부에는 탈취 장치(11)가 끼워 맞추어져 있다. 탈취 장치(11)의 하방측에는 지지판(100)이 고정되어 있으며, 탈취 장치(11)를 지지하고 있다. 또, 칸막이 판(5)과 지지판(100) 사이에 냉기 통로(101)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 하우징(3) 내에는 칸막이 판(5)의 하방에 위치하여 단열 칸막이 판(12)이 고정되어 있다. 이 단열 칸막이 판(12)은 합성 수지제의 케이스 내에 발포 스티롤을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단열 칸막이 판(12)과 칸막이 판(5) 사이에는 야채실(저장실)(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야채실(13)은 칸막이 판(5)에 배치된 탈취 장치(11)를 거쳐서 냉장실(6) 내로 통과하는 것[냉장실(6)의 일부로서 기능하는 것]이며, 야채실(13)의 전방단부에는 V 도어(14)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야채실(13) 내에는 하부 케이스(15)가 수납되어 있다. 이 하부 케이스(15)는 상면이 개구하는 용기형을 이루는 것이며, 하부 케이스(15)에는 상부 케이스(16)가 탑재되어 있다. 이 상부 케이스(16)는 하부 케이스(15)의 상면 중 전방단부를 제외한 부분을 폐색하는 것이며, 상면이 개구하는 용기형을 이루고 있다. 이 상부 케이스(16)의 상면에는 덮개(17)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덮개(17)와 칸막이 판(5) 사이에는 냉기 통로(18)가 형성되어 있다.
단열 칸막이 판(12)의 하방에는 냉동실(19)이 형성되어 있다. 이 냉동실(19)은 상방의 야채실(13) 및 냉장실(6)에 대하여 열적으로 격절된 것이며, 냉동실(19)의 전방단부에는 상부 도어(20) 및 하부 도어(21)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고, 냉동실(19) 내에는 냉동 케이스(22 및 23)가 상하 2단으로 수납되어 있다.
냉장고 본체(1)의 하단부에는 기계실(24)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계실(24) 내에는 냉동 사이클의 압축기(25)가 배치되어 있다. 이 압축기(25)는 콤프 모터(26)를 구동원으로 하는 왕복형인 것이며, 콤프 모터(26)는 구동 회로(27)를 거쳐서 메인 제어 장치(2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메인 제어 장치(28)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주체로 구성된 것이며, 냉장고 본체(1) 내에 배치되어 있다.
압축기(25)의 토출구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동 사이클의 콘덴서(29)를 거쳐서 유로 밸브(30)의 입력 포트에 접속되어 있다. 이 유로 밸브(30)는 밸브 모터(31)(도2 참조)의 정역전에 의거하여 RF 출력 포트 및 F 출력 포트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밸브 모터(31)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회로(27)를 거쳐서 메인 제어 장치(2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유로 밸브(30)의 RF 출력 포트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RF 캐필러리 튜브(32)를 거쳐서 R 증발기(33)의 입구에 접속되어 있으며, R 증발기(33)의 출구에는 F 증발기(34)의 입구가 접속되어 있다. 이 F 증발기(34)의 출구는 압축기(25)의 흡입구에 접속되어 있으며, RF 출력 포트의 개방시에는 압축기(25)로부터 토출되는 냉매가 R 증발기(33) 및 증발기(34)의 쌍방에 공급된다. 또, R 증발기(33) 및 F 증발기(34)는 냉장실용 냉각기 및 냉동실용 냉각기에 상당하는 것이다.
유로 밸브(30)의 F 출력 포트에는 F 캐필러리 튜브(35)의 입구가 접속되어있다. 이 F 캐필러리 튜브(35)의 출구는 R 증발기(33)의 출고와 F 증발기(34)의 입구 사이에 접속되어 있으며, F 출력 포트의 개방시에는 압축기(25)로부터 토출되는 냉매가 F 증발기(34)에만 공급된다.
야채실(13)의 후방부에는 R 냉기 생성실(36)이 형성되어 있으며, R 증발기(33)는 R 냉기 생성실(36) 내에 수납되어 있다. 이 R 냉기 생성실(36)은 원통형의 냉기 토출구(37) 및 루버형의 냉기 흡입구(38)를 갖는 것이며, 냉기 토출구(37)는 상부 케이스(16) 내에 삽입되어 있다.
냉장실(6) 내에는 대략 L자형의 덕트 커버(39)가 고정되어 있다. 이 덕트 커버(39)는 합성 수지를 재료로 형성된 것이며, 덕트 커버(39)에는 냉장실(6) 내에 개구하는 복수의 냉기 토출 구멍(4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덕트 커버(39)는 내부 하우징(3)의 후방판과 협동하여 L자 통로형의 냉기 덕트(41)를 구성하는 것이며, 냉기 덕트(41)의 상단부는 냉장실(6) 내에 개구하고, 냉기 덕트(41)의 하단부는 R 냉기 생성실(36) 내로 통과시키고 있다.
R 냉기 생성실(36) 내에는 R 팬 모터(42)가 수납되어 있으며, R 팬 모터(42)는 구동 회로(27)를 거쳐서 메인 제어 장치(2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R 팬 모터(42)의 회전축에는 R 팬(송풍 팬)(43)이 연결되어 있으며, R 팬(43)의 회전시에는 하기의 경로에서 냉기가 순환한다. 또, 도면 부호 44는 R 팬 모터(42) 및 R 팬(43)으로 구성되는 R 팬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 R 팬 장치(44)는 냉장실용 송풍기에 상당하는 것이며, R 증발기(33)와 협동하여 냉장실용 냉각 장치에 상당하는 R 냉각 장치(45)를 구성하고 있다.
<냉장실(6), 야채실(13)에 있어서의 냉기의 순환 경로에 대해>
공기의 일부가 R 냉기 생성실(36) 내로부터 냉기 토출구(37)를 통해 상부 케이스(16) 내로 토출되고, 덮개(17)의 전방단부에 형성된 냉기 유출 구멍(46)을 통해서 냉기 통로(18) 내로 방출된다. 그리고, 하부 케이스(15)의 전방면에 따라서 하방으로 흐르고, 하부 케이스(15)의 하면에 따라서 후방으로 흐르고, 냉기 흡입구(38)를 통해 R 냉기 생성실(36) 내로 복귀된다. 이 때, R 증발기(33)가 공기를 냉각하는 것에 의거하여 냉풍화하여 야채실(13) 내를 냉각한다.
공기의 나머지가 R 냉기 생성실(36) 내로부터 냉기 덕트(41)의 복수의 냉기 토출 구멍(40) 및 상단부를 통해 냉장실(6) 내로 토출되고, 칠드 케이스(8) 하방의 냉기 통로(9) 내로 유입한다. 그리고, 칸막이 판(5)에 끼워 맞추어져 있는 탈취 장치(11) 및 냉기 통로(101)를 통해 야채실(13) 내로 유입하고, 냉기 통로(18) 내를 전방으로 흐른다. 이 후, 하부 케이스(15)의 전방면에 따라서 하방으로 흐르고, 하부 케이스(15)의 하면에 따라서 후방으로 흐르고, 냉기 흡입구(38)를 통해 R 냉기 생성실(36) 내로 복귀된다. 이 때, R 증발기(33)가 공기를 냉각함에 의거하여 냉풍화하여 냉장실(6) 내 및 야채실(13) 내를 냉각한다. 즉, 탈취 장치(11)는 순환 냉기의 귀환 경로 측에 배치되어 있다.
냉동실(19)의 후방부에는 F 냉기 생성실(47)이 형성되어 있으며, F 냉기 생성실(47)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냉기 토출구(48) 및 냉기 흡입구(49)가 설치되어 있다. 이 F 냉기 생성실(47) 내에는 F 증발기(34) 및 F 팬 모터(50)가 수납되어 있으며, F 팬 모터(50)는 구동 회로(27)를 거쳐서 메인 제어 장치(2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F 팬 모터(50)의 회전축에는 F 팬(51)이 연결되어 있으며, F 팬(51)의 회전시에는 하기의 경로에서 냉기가 순환한다. 또한, 도면 부호 52는 F 팬 모터(50) 및 F 팬(51)으로 구성되는 F 팬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 F 팬 장치(52)는 냉동실용 송풍기에 상당하는 것이며, F 증발기(34)와 협동하여 냉동실용 냉각 장치에 상당하는 F 냉각 장치(53)를 구성하고 있다.
<냉동실(19)에 있어서의 냉기의 순환 경로에 대해>
공기가 F 냉기 생성실(47) 내로부터 냉기 토출구(48)를 통해 냉동실(19) 내로 토출되고, 냉기 흡입구(49)를 통해 F 냉기 생성실(47) 내로 복귀된다. 이 때, F 증발기(34)가 공기를 냉각함에 의거하여 냉풍화하여 냉동실(19) 내를 냉각한다.
냉장실(6) 내 및 냉동실(19) 내에는 R 온도 센서(54)(도2 참조) 및 F 온도 센서(55)(도2 참조)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R 온도 센서(54) 및 F 온도 센서(55)는 냉장실(6) 내의 온도에 따른 전압 레벨의 온도 신호 Vr 및 냉동실(19) 내의 온도에 따른 전압 레벨의 온도 신호 Vf를 출력하는 서미스터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제어 장치(2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메인 제어 장치(28)에는 R 증발기 온도 센서(56) 및 F 증발기 온도 센서(57)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 R 증발기 온도 센서(56) 및 F 증발기 온도 센서(57)는 R 증발기(33) 및 F 증발기(34)에 부착 지그(도시하지 않음)를 거쳐서 부착된 서미스터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R 증발기(33)의 표면 온도에 따른 전압 레벨의 온도 신호 Vre 및 F 증발기(34)의 표면 온도에 따른 전압 레벨의 온도 신호Vfe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R 도어 스위치(102) 및 V 도어 스위치(103)는 각각 R 도어(7) 및 V 도어(14)의 개폐를 검출하는 스위치이며, 그 개폐 검출 신호도 또한 메인 제어 장치(28)에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메인 제어 장치(28)의 내부 ROM에는 운전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으며, 메인 제어 장치(28)는 R 온도 센서(54)로부터의 온도 신호 Vr 내지 F 증발기 온도 센서(57)로부터의 온도 신호 Vfe에 의거하여 콤프 모터(26), 밸브 모터(31), R 팬 모터(42), F 팬 모터(50)를 구동 제어하고, 하기의 <R 냉각 운전(냉장실 냉각 운전에 상당함)> 및 <습윤 운전>을 실행한다.
도3은 탈취 장치(11)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탈취 장치(11)는 직사각형 하우징형을 이루는 수지제의 케이스(58)를 가지고 있지만, 그 케이스(58)의 도1 중 하방측은 개방되어 있다. 또, 케이스(58)에 사용되는 수지는 투명, 비투명 중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형편상 투명한 것으로 한다.
케이스(58)의 내부에는 칸막이 벽(59 및 60)에 의해 도3 중 전방 측면으로부터 보아 우측 상부의 일각에 상당하는 부분이 구획됨으로써 트랜스실(제1 실)(6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트랜스실(61)의 내부에는 소형의 승압 트랜스(62)가 배치되어 있다. 승압 트랜스(62)는 도시하지 않은 일차측 단자로부터 급전되도록 되어 있으며, 2차측 단자(62a, 62b)는 칸막이 벽(59)을 관통하여 트랜스실(61)의 외부로 노출하고 있다. 또, 케이스(58) 내부의 트랜스실(61) 이외의 공간은 전극실(제2 실)(63)을 형성하고 있다.
2차측 단자(62a, 62b)에는 연면(沿面) 방전형의 오존 발생 전극(오존 발생 수단)(64)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오존 발생용 전극(64)은 직사각 박판형의 세라믹 판(64a)과, 2차측 단자(62a, 62b)에 각각 접속되는 2개의 금속 전극(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쪽 전극은 세라믹판(64a)의 표면(도3 중 좌측, 방전면)으로 노출되어 배치되고(방전 전극), 다른쪽 전극은 세라믹 판(64a)의 내부에 몰드되어 있다(유도 전극). 또한, 방전 전극의 표면에는 방전에 의한 경시적인 열화를 억제하기 위한 세라믹 코팅이 실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2개의 금속 전극에, 승압 트랜스(62)에 의해 승압된 교류 4.5kV 정도의 고전압이 인가되면, 양 금속 전극은 세라믹 판(64a)을 거쳐서 방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58)의 도3 중 좌측 면에는 냉장고 내의 악취를 포함한 공기를 취입하기 위한 유입구(58a)가 직사각 형상으로 개구하고 있으며, 케이스(58) 하방측의 개방되어 있는 부분인 유출구(58b)에는 그 유출구(58b)를 폐쇄하도록 하여 촉매(오존 분해 수단)(65)가 배치되어 있다.
촉매(65)는 예를 들어 산화 망간 베이스의 세라믹제 벌집형(성형품), 혹은 금속 벌집형을 직사각 판형으로 형성하여 코어재로 한 것에 촉매 성분을 고정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벌집형 구조를 이룸으로써 촉매(65)와 오존이나 악취 성분과의 접촉 면적을 보다 크게 확보하여 분해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촉매(65)에 있어서 탈취된 공기는 도3 중 하방측으로 유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도면에서는 도시의 형편상 벌집형 구조를 사각형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유입구(158a)에는 이물질 침입 방지용의 프리필터(104)가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탈취 장치(11)는 도5에 있어서는 유입구(58a)가 상방이 되도록, 즉 냉장실(6) 측을 향한 상태에서 칸막이 판(5)에 배치되어 있다.
승압 트랜스(62)와 상용(商用) 교류 전원(66) 사이에는 릴레이(67)의 항상 개방 접점(68)이 전기적으로 개재되어 있으며, 릴레이(67)의 코일(69)은 탈취 제어 장치(7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탈취 제어 장치(70)는 제어 수단에 상당하는 것이며, 마이크로 컴퓨터를 주체로 구성되어 있다.
탈취 제어 장치(70)는 메인 제어 장치(2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메인 제어 장치(28)는 탈취 제어 장치(70)에 운전 모드 정보 및 팬 정보를 정기적으로 출력한다. 전자의 운전 모드 정보는 실행 중인 운전 모드가 상술한 <R 냉각 운전> 또는 <습윤 운전>을 도시하고, 후자의 팬 정보는 R 팬 모터(42)가 운전 중인지 또는 정지 중인지를 도시한 것이며, 탈취 제어 장치(70)는 운전 모드 정보 및 팬 정보에 의거하여 릴레이(67)의 코일(69)을 온 오프하여, 탈취 장치(11)를 운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도1,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탈취 장치(11)의 탈취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탈취 장치(11)는 전기 화학적으로는 소위 플라즈마 탈기 장치로서 작용한다. 즉, 오존 발생용 전극(64)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고,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Ar(아르콘) 등의 불활성 가스가 전리(電離)하여 플라즈마 상태가 된다.
Ar → Ar++ e … (1)
(1)식의 전리에 의해 발생한 전자가 산소 원자 O2에 충돌하면, 활성 산소 O를 발생한다.
O2→ O + O … (2)
(2)식에서 발생한 활성 산소 O가 산소 원자 O2와 결합함으로써, 오존 O3이 생성된다.
02+ 0 → 03… (3)
상기 (1) 내지 (3)식의 프로세스에 의해 생성된 오존 03은 냉장고 내에 냉기가 순환함으로써 유입구(58a)로부터 유입하는 악취를 포함한 공기와 혼합된다. 그리고, 촉매(65)의 표면에 있어서 오존 03과 악취 성분이 흡착되면, 오존 03이 분해되어 활성 산소 0가 발생한다. 활성 산소 0는 매우 강한 산화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악취 성분을 산화하여 분해한다. 또한, 공기 중의 세균 등도 산화하여 살균 작용도 이룬다. 이와 같이 하여 탈취된 공기가 유출구(58b)로부터 유출된다.
이상의 탈취 작용이, 상술한 냉장실(6)에 있어서의 냉기의 순환 경로 내에 있어서 행해진다. 즉, 유입구(158a)에는 냉기 통로(9)에 따라서 순환하는 냉기와 함께 악취 함유 공기가 유입하고, 유출구(58b)로부터는 탈취된 공기가 야채실(13) 내의 냉기 통로(101)로 유출한다.
이 경우, 승압 트랜스(62)는 트랜스실(61)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냉장고 내를 순환하는 냉기로부터 차단되어 있으며,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 발생용전극(64)만이 전극실(63)에 배치되어 순환 냉기에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R, F 냉각 운전에 대해>
메인 제어 장치(28)는 밸브 모터(31)를 구동 제어하는 것에 의거하여 유로 밸브(30)의 RF 출력 포트를 개방하고, 콤프 모터(26)를 구동하는 것에 의거하여 R 증발기(33) 및 F 증발기(34)의 쌍방에 냉매를 흘린다. 이 때, R 팬 모터(42) 및 F 팬 모터(50)를 구동하는 것에 의거하여 R 증발기 및 F 증발기(34)에 바람을 흘리고, R 증발기(33)에서 냉기를 생성하여 냉장실(6) 내 및 야채실(13) 내에 공급하여, F 증발기(34)에서 냉기를 생성하여 냉동실(19) 내에 공급한다.
<습윤 운전에 대해>
메인 제어 장치(28)는 밸브 모터(31)를 구동 제어하는 것에 의거하여 유로 밸브(30)의 F 출력 포트를 개방하고, 콤프 모터(26)를 구동하는 것에 의거하여 F 증발기(34)에만 냉매를 흘린다. 이 때, F 팬 모터(50)를 구동하는 것에 의거하여 F 증발기(34)에 바람을 흘리고, F 증발기(34)에서 냉기를 생성하여 냉동실(19) 내에 공급한다. 이와 동시에, R 팬 모터(42)를 구동하여 냉장실(6) 내 및 야채실(13) 내로 송풍한다.
습윤 운전시에는 R 증발기(33)에 대한 냉매의 공급이 차단되어 있다. 이로 인해, R 증발기(33)의 승온에 의거하여 R 증발기(33)의 표면에 부착된 서리가 용융하므로, 냉장실(6) 내 및 야채실(13) 내에 습기를 포함한 바람이 이송되어 냉장실(6) 내 및 야채실(13) 내의 식품의 건조가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1은 탈취 제어 장치(70)의 내부 ROM에 기록된 탈취 장치(11)의 운전 제어프로그램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도1의 운전 제어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한다. 전원이 투입되면, 탈취 제어 장치(70)의 운전 제어 프로그램이 기동된다. 동시에, 메인 제어 장치(28)의 운전 제어 프로그램도 기동되어 냉장실(6) 및 야채실(13), 냉동실(19)의 냉각 운전이 개시된다.
탈취 제어 장치(70)는, 우선 R 온도 센서(54)의 온도 신호 Vr을 메인 제어 장치(28)를 거쳐서 판독하여, 냉장실(6)의 온도가 설정 온도(예를 들어 10℃) 이하가 되기 까지 대기한다(스텝 A1). 전원 투입시로부터 개시되는 냉각 운전에 의해 냉장실(6) 내의 온도는 상온에 가까운 상태에서 서서히 저하해 간다.
그리고, 냉장실(6)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가 되면(「YES」), 탈취 제어 장치(70)는 릴레이(67)의 코일(69)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에 의거하여 접점(68)을 폐쇄한다. 그리고, 오존 발생용 전극(64)에 교류 고전압을 인가하여, 탈취 장치(11)의 운전을 개시시킨다(스텝 A2). 즉, 전원 투입 직후로부터 잠시 동안, 냉장실(6)의 온도는 비교적 높은 상태가 되므로, 탈취 장치(11)에 있어서의 오존의 발생량도 많아진다. 따라서, 냉장실(6)의 냉각이 진행되어 그 온도가 설정 온도에 달하기 까지는 탈취 장치(11)를 정지 상태로 유지한다.
다음에, 탈취 제어 장치(70)는 R 도어 스위치(102) 또는 V 도어 스위치(103)의 개폐 검출 신호를 메인 제어 장치(28)를 거쳐서 참조하고, R 도어(7) 또는 V 도어(14)가 열린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A3). 즉, R 도어(7) 또는 V 도어(14)가 개방 상태가 되면 냉장실(6) 내부나 야채실(13) 내로 외기가 유입한다. 이 외기의 습도가 높은 경우에는 탈취 장치(11)의 촉매(65)에 결로가 발생해 오존의 분해 효율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탈취 장치(11)의 운전을 정지한다.
한편, 스텝 A3에 있어서 R 도어(7) 및 V 도어(14)가 닫힌 상태에 있는 경우(「NO」), 탈취 제어 장치(70)는 메인 제어 장치(28)로부터 취득한 정보에 의해 R 팬(43)이 운전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A4). 그리고, R 팬(43)이 운전 중이 아니면(「NO」), 스텝 A6으로 이행하여 탈취 장치(11)의 운전을 정지한다. 즉, R 팬(43)이 정지하는 경우는 온도 조절을 위해 냉각 운전이 정지하고 있는 경우 또는 서리 제거 운전을 행하고 있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는 냉장실(6) 내 및 야채실(13) 내에 있어서의 냉기의 순환이 정지하므로, 탈취 장치(11)의 전극실(63) 내에도 냉기는 유통하지 않게 된다. 그러면, 오존 발생용 전극(64) 부근에서 발생한 오존은 촉매(65) 방향으로 향하지 않고서 체류하며, 유입구(58a) 부근의 오존 농도가 상승하게 된다(도6 참조). 따라서, 이 경우에도 탈취 장치(11)의 운전을 정지한다.
또한, 스텝 A4에 있어서 R 팬(43)이 운전 중이면(「YES」), 탈취 제어 장치(70)는 메인 제어 장치(28)로부터 취득한 정보에 의해 냉장실(6)에 대해 습윤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A5). 습윤 운전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경우(「NO」), 냉장실(6)에 대해서는 통상의 냉각 운전이 행해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탈취 제어 장치(70)는 스텝 A3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습윤 운전이 행해지고 있으면(「YES」), 탈취 제어 장치(70)는 스텝 A6으로 이행하여 탈취 장치(11)의 운전을 정지한다.
즉, 습윤 운전시에는 R 증발기(33)에 붙어 있는 서리를 R 팬(43)의 송풍에의해 증발시켜 냉장실(6) 내 및 야채실(13) 내로 수분을 환원시킨다. 따라서, 냉장실(6) 내 및 야채실(13) 내에 고습도의 냉기가 송풍되게 되어 냉장실(6) 및 야채실(13) 내의 습도가 상승한다. 이 경우에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 운전시에 비교하여 탈취 장치(11)에 있어서의 촉매(65)의 오존 분해 효율이 저하하므로 탈취 장치(11)의 운전을 정지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승압 트랜스(62)를 트랜스실(61)에 배치하였으므로, 승압 트랜스(62)는 냉장고 내를 순환하는 냉기에 직접 노출되거나, 냉장고의 R 도어(7)가 개폐된 때에 냉장고 내로 유입하는 외기에도 직접 노출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승압 트랜스(62) 주변의 온도 변화를 가능한 한 완화하여 결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승압 트랜스(62)의 수명을 장기화시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탈취 제어 장치(70)는 전원 투입 후의 냉각 운전의 개시시에는 냉장실(6) 내가 설정 온도로 냉각되기 까지 오존 발생용 전극(60)에 의한 방전을 행하지 않고 탈취 장치(11)를 정지 상태로 하므로, 운전 개시 초기시에 냉장실(6) 내의 오존 농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탈취 장치(11)의 운전을 R 팬(43)의 동작에 동기시키도록 제어하므로, R 팬(43)이 운전되어 냉장실(6) 또는 야채실(13) 내로 냉기가 순환하고 있을 때에 맞추어 탈취 장치(11)를 운전시킴으로써, 그 사이에 발생한 오존은 순환 냉기에 의해 촉매(65)에 차례로 송출되어 분해된다. 따라서, 발생한 오존이 미분해인 상태가 되어 냉장실(6) 또는 야채실(13) 내로 유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탈취 제어 장치(70)는 습윤 운전시에 탈취 장치(11)의 운전을 정지시키므로, 냉장실(6) 또는 야채실(13) 내의 습도가 상승하여 촉매(65)의 오존 분해 효율이 저하하는 경우에 탈취 장치(11)의 운전을 정지하여 오존 농도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서, 냉장실(6) 또는 야채실(13)의 도어(7 또는 14)가 열린 상태가 된 경우에 탈취 장치(11)의 운전을 정지시키므로, 냉장실(6) 또는 야채실(13) 내에 높은 습도의 외기가 유입하여 촉매(65)에 결로가 발생해 오존 분해 효율이 저하하는 경우에 탈취 장치(11)의 운전이 정지되므로, 이 경우에도 오존 농도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의 소정 조건에 따라서 탈취 장치(11)의 운전을 단속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억제할 수도 있다.
도8 및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제1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탈취 장치(11)의 배치가 제1 실시예와는 다를 뿐이다. 즉, 제1 실시예의 칸막이 판(5)은 칸막이 판(5A)으로 대체되어 있으며, 그 칸막이 판(5A)에는 탈취 장치(11)가 배치되어 있었던 위치에 복수의 냉기 유통구(1개만 도시함)(7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탈취 장치(11A)는 야채실(13)의 냉기 흡입구(38)가 형성되어 있는 벽면에 배치되어 있다. 그 정면을 도시한 도9에 있어서, 탈취 장치(11A)는 냉기 토출구(37)의 하방에서 또한 2개의 냉기 흡입구(38) 사이에 위치하고, 유입구(58a)를 야채실(13) 내로 향하게 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 탈취 장치(11A)의 케이스(58A)의 형상은 탈취 장치(11A)의 케이스(58)와는 약간 다르다. 즉,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유출구(58b)는 폐색되어 있으며, 대신에 케이스(58A)의 배면측에 있어서 R 냉기 생성실(36)과 연통하도록 하여 유출구(58c)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탈취 장치(11A)를 야채실(13) 내의 냉기 흡입구(38)가 형성되는 부분에 배치하였으므로, 순환 냉기의 귀환 경로의 말단부에 있어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비교하여 더욱 많은 악취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공기의 탈취를 한층 더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촉매(65)를 오존 발생용 전극(64)의 하방측에 배치했다.
즉, 오존은 공기보다도 무거우므로, 자연히 하방측으로 이동하므로,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오존 발생용 전극(64)의 근방에 있어서 생성된 오존은 자연히 촉매(65)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오존의 분해와 그에 수반하는 악취 성분의 산화 분해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오존 발생용 전극(64)은 그 방전면이 세로 방향(수직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므로, 오존 발생용 전극(64)에 먼지 등이 체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0 및 도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3 실시예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며, 탈취 제어 장치(70)에 의한 탈취 장치(11)의 제어가 다르다. 도10은 탈취 제어 장치(70)에 의한 탈취 장치(11)의 제어 내용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며, 주로 R 팬(43)의 동작과 관련하여 제어를 행하는 부분만을 도시하고 있다. 또, 도11은 R 팬(43) 및 탈취 장치(11)의 동작을 도시한 타이밍차트이다.
도10에 있어서, 탈취 제어 장치(70)는 제1 실시예의 스텝 A4와 같이 메인 제어 장치(28)로부터 주어지는 정보를 참조하여 R 팬(43)이 동작을 개시할 때까지 대기하고(스텝 B1), R 팬(43)이 동작을 개시하면(「YES」) 탈취 장치(11)의 운전도 개시시킨다(스텝 B2). 그 때부터, 탈취 제어 장치(70)는 메인 제어 장치(28)로부터 탈취 장치 정지 지령이 출력되기 까지 대기하고(스텝 B3), 상기 지령이 출력되면(「YES」) 탈취 장치(11)의 운전을 정지시킨다(스텝 B4). 그러면, 메인 제어 장치(28)는 탈취 장치 정지 지령을 출력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TW)만큼 R 팬(43)을 운전하여 그 후 정지시킨다.
즉, 메인 제어 장치(제어 수단)(28)는 R 팬(43)을 정지시키는 경우에는 미리 탈취 제어 장치(70)에 탈취 장치 정지 지령을 출력함으로써 탈취 장치(11)의 운전을 소정 시간(TW) 전에 정지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R 팬(43)과 탈취 장치(11)를 동시에 정지시키면, 탈취 장치(11)에 있어서는 그 정지 직전까지 오존 발생용 전극(64)에 의해 발생된 오존이 촉매(65)에 의해 분해되지 않고서 잔류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탈취 장치(11)의 운전을 먼저 정지시키고, 그 후 소정 시간(TW)만큼 R 팬(43)을 운전하고 나서 정지시킴으로써, 탈취 장치(11) 내에서 발생한 오존을 촉매(65)에 의해 충분히 분해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제어 장치(28) 및 탈취 제어 장치(70)는 R 팬(43)의 동작이 정지하는 시점보다도 소정 시간 전에 탈취 장치(11)의 운전을 정지시키므로, 탈취 장치의 운전이 정지한 시점에 있어서 미분해의 상태에 있는 오존을 순환 냉기에 의해 촉매(65)에 송출하여 분해할 수 있어 오존 농도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도12 및 도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4 실시예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며, 탈취 제어 장치(70)에 의한 탈취 장치(11)의 제어가 다르다. 도12는 탈취 제어 장치(70)에 의한 탈취 장치(11)의 제어 내용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며, 제3 실시예의 도10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12에 있어서, 탈취 제어 장치(70)는 메인 제어 장치(28)로부터 주어지는 정보를 참조하여, R 팬(43)[R 팬 모터(42)]의 회전수가 하한치 이상인지의 여부(스텝 C1)와, 또한 상기 회전수가 상한치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C2). 그리고, 스텝 C1, C2 중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도「YES」라 판단한 경우에 탈취 장치(11)를 운전한다(스텝 C3). 한편, 탈취 제어 장치(70)는 스텝 C1, C2 중 어느 한쪽에 있어서「NO」라 판단한 경우는 탈취 장치(11)의 운전을 정지한다(스텝 C4).
여기에서, 도13은 횡축에 R 팬(43)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냉장실(6) 내의 순환 냉기의 풍속[m/s]을 예로 들고, 종축에 탈취 장치(11)의 유입구(58a)(입구), 유출구(58b)(출구) 부근에 있어서의 오존 농도를 예로 들어 도시한 것이다. 이 도13으로부터, 예를 들어 냉장고 내의 온도가 상승한 경우나 급속 냉장 등의 경우에 순환 냉기의 풍속이 빨라지면, 촉매(65)의 통과 속도가 빨라져 분해할 수 없는 오존이 유출함으로써, 유출구(58b) 부근의 오존 농도가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 순환 냉기의 풍속이 지연되면, 오존이 촉매(65) 방향으로 송출되지 않아 유입구(58a) 부근의 오존 농도가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그래서, 예를 들어 스텝 C1에 있어서의 하한치를 풍속 0.5[m/s]에 대응하는회전수로 설정하고, 스텝 C2에 있어서의 상한치를 풍속 1.0[m/s]에 대응하는 회전수로 설정하여 순환 냉기의 풍속이 0.5 내지 10[m/s]의 범위에 있을 때만 탈취 장치(11)를 운전하면, 미분해 상태의 오존의 유출, 혹은 역류가 방지되어 오존 농도는 일정 범위로 유지된다.
이상과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르면, 탈취 제어 장치(70)는 R 팬(43)의 회전 속도에 따라서 탈취 장치(11)의 운전을 제어하므로, 냉장실(6) 및 야채실(13) 내에 있어서의 순환 냉기의 풍속이 일정 범위에 있는 경우에만 탈취 장치(11)를 운전하여 오존 농도의 과도한 상승을 방지하고, 농도를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5 실시예는 구체적으로는 도시하지 않지만, 냉장실(6) 또는 야채실(13) 내에 습도 센서를 배치하고, 그 습도 센서의 검출 신호를 메인 제어 장치(28)를 거쳐서 탈취 제어 장치(70)에 부여하도록 한다. 그리고, 탈취 제어 장치(70)는 습도 센서의 검출 신호에 따라서 탈취 장치(11)의 운전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도14는 횡축에 시간을 예로 들고, 냉장실(6) 내의 상대 습도[%]와, 촉매(65)의 오존 분해 효율[%]을 모두 종축에 예로 들어 도시한 것이다. 이 도면으로부터, 또한 상기 실시예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냉장실(6) 내의 습도가 상승하면 촉매(65)의 오존 분해 효율은 저하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그래서, 예를 들어 탈취 제어 장치(70)는 습도 센서의 검출 신호에 의해 도시되는 냉장실(6) 내의 습도가 80%를 넘은 경우에는 탈취 장치(11)의 운전을 정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예를 들어 습윤 운전시, 서리 제거 운전시, 도어 개폐후나 수분이 많은 식품을 냉장고 내에 넣은 경우 등에 냉장고 내의 습도가 상승하고, 오존 분해 효율이 저하한 상태에 있어서의 탈취 장치(11)의 운전을 금지하여 오존 농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과 같은 변형 또는 확장이 가능하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1에 도시한 플로우차트에 있어서, 예를 들어 스텝 A3, A4, A5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와 스텝 A6과의 조합으로 실시해도 좋다. 또한, 스텝 A1 및 A2만으로 실시해도 좋으며, 혹은 스텝 A1을 삭제하여 스텝 A3, A4, A5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와, 스텝 A6과의 조합으로 실시해도 좋다.
또한, 스텝 A3에 있어서 도어의 열린 상태를 검출하는 대신에, 도어가 열린 상태가 된 경우에, 외기의 침입 방지 또는 냉장고 내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 커텐이 작동한 것을 검출하여 탈취 장치(11)를 정지시켜도 좋다.
그리고, 서리 제거 히터가 0N이 된 경우에 서리 제거 운전이 개시되었다고 판정하여 탈취 장치(11)를 정지시켜도 좋다.
예를 들어, 냉장실(6)이나 야채실(13) 내에 반도체 박막 센서 등으로 이루어지는 오존 센서를 배치하여 탈취 제어 장치(70)는 오존 센서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탈취 장치(11)의 운전을 제어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냉장실(6)이나 야채실(13) 내의 오존 농도를 직접 검출하여 그 농도가 적당한 범위로 유지되도록 탈취 장치(11)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는 농도의 기준치를 예를 들어 0.03ppm 정도로 설정하고, 센서에 의해 검출한 오존 농도가 상기 기준치를 넘은 경우에 탈취 장치를 정지시키도록 구성한다.
또한, 탈취 장치(11)의 촉매(65)에 결로 센서를 배치하고, 탈취 제어 장치(70)는 결로 센서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탈취 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5 실시예와 같이 습윤 운전시, 서리 제거 운전시 등에 냉장고 내의 습도가 상승하여, 촉매(65)에 결로가 발생한 경우를 검출하여 탈취 장치(11)의 운전을 정지시키면, 제5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냉장고에 따르면, 제어 수단은 오존을 발생, 분해시키는 것으로 저장실 내의 공기를 탈취하는 탈취 장치를 저장실 내의 냉각에 관한 제어 조건에 의거하여 운전 제어하므로, 탈취 장치에 있어서의 오존의 발생, 분해량을 조절할 수 있어 저장실 내를 적절한 오존 농도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오존 농도가 과도하게 상승하여 오존 냄새에 의해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탈취 장치의 불필요한 동작을 억제하여 전력 소비를 저감하는 동시에, 탈취 장치의 수명을 장기화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냉장고에 따르면, 승압 트랜스는 제1 실에 배치됨으로써 냉장고 내를 순환하는 냉기로부터 차단되고, 오존 발생용 전극만이 제2 실에 있어서 순환 냉기에 노출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냉장고의 도어가 개폐된 때에 냉장고 내로 유입하는 외기에도 직접 노출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승압 트랜스 주변의 온도 변화를 가능한 한 완화하여 결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 또는 4에 기재된 냉장고에 따르면, 제어 수단은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냉각 장치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 내로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 팬의 동작에 관련시킨다(청구항 3). 구체적으로는 송풍 팬의 동작에 동기시키도록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제어하므로(청구항 4), 저장실 내에 냉기가 순환하고 있을 때에 맞추어 오존 발생 수단을 운전시킴으로써, 그 동안에 발생한 오존은 순환 냉기에 의해 오존 분해 수단에 차례로 송출되어 분해된다. 따라서, 발생된 오존이 미분해인 상태가 되어 냉장실 내로 유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냉장고에 따르면, 제어 수단은 송풍 팬의 동작이 정지하는 시점보다도 소정 시간 전에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정지시키므로,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이 정지한 시점에 있어서 미분해인 상태에 있는 오존을, 그 후에 소정시간만큼 송풍 팬을 운전하여 순환 냉기에 의해 오존 분해 수단으로 송출하여 분해할 수 있다. 따라서, 발생한 오존이 미분해인 상태가 되어 저장실 내로 유출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냉장고에 따르면, 제어 수단은 송풍 팬의 회전 속도에 따라서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제어하므로, 예를 들어 송풍 팬의 회전 속도가 상한을 넘은 경우와 하한을 하회한 경우에는 모두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정지하고, 상기 회전 속도가 상한과 하한 사이에 있는 경우에만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행하도록 함으로써, 오존 농도가 적절해지도록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냉장고에 따르면, 제어 수단은 냉각 운전의 개시시에는 저장실 내가 설정 온도로 냉각되기 까지 오존 발생 수단을 정지 상태로 하므로, 운전 개시 초기시의 저장실 내가 비교적 높은 온도에 있는 경우에 오존 농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8 또는 9에 기재된 냉장고에 따르면, 제어 수단은 습윤 운전시에(청구항 8) 또는 서리 제거 운전시에(청구항 9)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정지시키므로, 저장실 내의 습도가 상승하는 경우에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정지함으로써, 오존 농도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냉장고에 따르면, 제어 수단은 저장실의 도어가 열린 상태가 된 경우에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정지시키므로, 저장실 내에 높은 습도의 외기가 유입하여 오존의 분해 효율이 저하하거나, 또한 도어의 개폐시에 발생하는 압력의 변동에 의해 탈취 장치에 있어서의 냉기의 유통 방향이 변화하여 오존 농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냉장고에 따르면, 제어 수단은 저장실 내에 설치한 오존 센서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제어하므로, 저장실 내의 오존 농도를 직접 검출하여 그 농도가 적당한 범위로 유지되도록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냉장고에 따르면, 제어 수단은 저장실 내에 설치한 습도 센서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제어하므로, 저장실 내의 습도를 직접 검출하고, 그 습도에 따라서 변화하는 오존의 분해 효율을 고려하여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제어함으로써, 오존 농도를 적당한 범위로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냉장고에 따르면, 제어 수단은 탈취 장치의 오존 분해 수단에 설치한 결로 센서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제어하므로, 오존 분해 수단에 있어서의 결로의 발생 상태에 따라서 변화하는 오존의 분해 효율을 고려하여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제어함으로써, 오존 농도를 적당한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3)

  1. 식품이 수납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 내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와,
    상기 저장실 내에 설치되어 오존 발생 수단에 의해 오존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발생시킨 오존을 오존 분해 수단에 의해 분해함으로써 상기 저장실 내의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 성분을 산화 분해하여 탈취하는 탈취 장치와,
    이 탈취 장치를 상기 저장실 내의 냉각에 관한 제어 조건에 의거하여 운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오존 발생 수단은 승압 트랜스와, 이 승압 트랜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오존 발생용 전극으로 구성되고,
    탈취 장치는 저장고 내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제1 실에 상기 승압 트랜스를 배치하고,
    상기 공기가 유통하도록 구성된 제2 실에, 상기 오존 발생용 전극과 오존 분해 수단을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냉각 장치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 내로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 팬을 구비하고,
    제어 수단은 상기 송풍 팬의 동작에 관련시키도록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제어 수단은 송풍 팬의 동작에 동기시키도록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3항에 있어서, 제어 수단은 송풍 팬의 동작이 정지하는 시점보다도 소정 시간 전에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3항에 있어서, 송풍 팬은 회전 속도가 변화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제어 수단은 상기 송풍 팬의 회전 속도에 따라서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어 수단은 냉각 운전의 개시시에는 저장실 내가 설정 온도로 냉각되기 까지 오존 발생 수단을 정지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냉장고.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어 수단은 습윤 운전시에는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어 수단은 서리 제거 운전시에는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어 수단은 저장실의 도어가 열린 상태가 된 경우는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냉장고 내에 오존의 농도를 검출하는 오존 센서를 설치하고,
    제어 수단은 상기 오존 센서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냉장실 내에 습도 센서를 설치하고,
    제어 수단은 상기 습도 센서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탈취 장치의 오존 분해 수단에 결로의 발생을 검출하는 결로 센서를 설치하고,
    제어 수단은 상기 결로 센서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오존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1-0014482A 2000-03-22 2001-03-21 냉장고 KR1004388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80035A JP3759856B2 (ja) 2000-03-22 2000-03-22 冷蔵庫
JP2000-080035 2000-03-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700A KR20010092700A (ko) 2001-10-26
KR100438882B1 true KR100438882B1 (ko) 2004-07-05

Family

ID=18597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482A KR100438882B1 (ko) 2000-03-22 2001-03-21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759856B2 (ko)
KR (1) KR100438882B1 (ko)
CN (1) CN1175230C (ko)
TW (1) TW58662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8706B2 (ja) * 2001-09-28 2007-12-26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JP4637459B2 (ja) * 2002-06-07 2011-02-23 有限会社 湘南実業 保冷庫
CN102047051B (zh) * 2008-08-27 2015-08-1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食品贮藏库
JP5248275B2 (ja) * 2008-11-18 2013-07-31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JP5468330B2 (ja) * 2009-08-19 2014-04-09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KR20120082992A (ko) 2011-01-17 2012-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2013015269A (ja) * 2011-07-04 2013-01-24 Sharp Corp 冷蔵庫
CN102538383B (zh) * 2012-03-01 2013-12-25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的灭菌保鲜控制方法
JP5759946B2 (ja) * 2012-07-10 2015-08-05 株式会社Ihiシバウラ 脱臭除菌装置
CN104677040B (zh) * 2013-12-02 2018-08-21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冰箱的工作控制方法
CN104740664B (zh) * 2013-12-25 2018-10-12 海尔集团公司 抗菌装置及冰箱
CN104964501B (zh) * 2015-06-10 2018-11-27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一种冷藏装置及净化方法
CN104964510B (zh) * 2015-06-10 2019-02-01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一种净化的方法及冷藏装置
CN108844279A (zh) * 2018-06-28 2018-11-20 池州市若水软件开发有限公司 一种臭氧消毒冰箱
JP7349866B2 (ja) * 2019-09-30 2023-09-25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CN113137796A (zh) * 2020-01-17 2021-07-20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一种具有除农残功能的冰箱及其控制方法
CN111365939B (zh) * 2020-04-26 2022-04-26 河南新飞制冷器具有限公司 除菌冰箱的控制方法
CN114034154B (zh) * 2021-11-08 2022-11-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冰箱除菌控制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冰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008A (ko) * 1998-06-25 2000-01-15 전주범 냉장고내 악취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008A (ko) * 1998-06-25 2000-01-15 전주범 냉장고내 악취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14574A (zh) 2001-09-26
TW586621U (en) 2004-05-01
CN1175230C (zh) 2004-11-10
KR20010092700A (ko) 2001-10-26
JP2001263916A (ja) 2001-09-26
JP3759856B2 (ja) 200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8882B1 (ko) 냉장고
JP3754601B2 (ja) 冷蔵庫
US7056476B2 (en) Refrigerator and deodorizer producing ozone by high-voltage discharge
JP2637693B2 (ja) 冷蔵庫の多機能付加装置
EP1936301A2 (en) Refrigerator with ion gen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3042645A (ja) 冷蔵庫
JP2007170781A (ja) 冷蔵庫
JP3676158B2 (ja) 冷蔵庫
JP2621739B2 (ja) 冷凍冷蔵庫及び脱臭装置
KR100406093B1 (ko) 탈취 장치 및 냉장고
JP2003014365A (ja) 冷蔵庫
JP2005201542A (ja) 冷蔵庫
JP2022513028A (ja) 空冷式冷蔵庫
JP2604798B2 (ja) 冷蔵庫
JP2005207639A (ja) 冷蔵庫
JP2011002227A (ja) 冷蔵庫
KR100437771B1 (ko) 김치 냉장고
JP2002156182A (ja) 冷蔵庫
CN1316213C (zh) 泡菜电冰箱
JP2005201528A (ja) 冷蔵庫
KR0129501B1 (ko) 냉장고의 살균 및 탈취장치
JP2548245B2 (ja) 冷蔵庫
JP2005069649A (ja) 冷蔵庫
KR20080059977A (ko) 김치냉장고의 공기순환 탈취구조
JP2005195203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